호산장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산장성은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단둥시에 위치한 성으로, 만리장성의 동쪽 기점으로 알려져 있으나, 고구려가 쌓은 박작성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명나라 성화제 시기에 축조되었다는 주장과 함께, 1989년 항공 조사를 통해 만리장성의 흔적이 확인되었고, 1990년에는 명나라 장성의 동쪽 기점으로 인정되어 만리장성이 연장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고구려의 박작성이라는 주장은 중국의 동북공정의 일환으로, 고구려 역사를 중국에 편입시키려는 시도로 비판받고 있다. 호산장성은 압록강과 인접해 있으며, 관광지 개발과 역사 왜곡 문제로 논란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둥시의 건축물 - 조중우의교
조중우의교는 중화인민공화국 단둥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신의주를 연결하는 압록강 위의 다리로, 1943년에 완공되어 한국 전쟁 중 폭격을 받았지만 수리되어 현재까지 도로와 철도 운송에 사용된다. - 단둥시의 건축물 - 신압록강대교
신압록강대교는 중국 랴오닝성 단둥시와 북한 신의주시를 연결하기 위해 압록강에 건설 중인 교량으로, 조중우의교의 노후화와 통행 제한을 대체하고자 2011년 착공되었으나 북한 측의 지연과 여러 요인으로 개통이 연기되었다. - 만리장성 - 산해관
산해관은 허베이성 친황다오시에 위치한 만리장성의 중요한 관문으로, 군사적 요충지로서 명나라 때 건설되어 청나라 시대에는 수도의 관문으로 불렸으며, 현재는 "천하제일관" 현판이 걸린 진동문이 대표적인 볼거리로 남아있다. - 만리장성 - 팔달령 장성
팔달령 장성은 베이징 시내에서 가까운 만리장성으로, 명나라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로프웨이 등 시설이 갖춰져 있고, 1972년 리처드 닉슨 대통령 등 여러 세계 지도자들이 방문했으며, 2008년 하계 올림픽 도로 사이클 경기의 결승 지점이 되었다. - 중국의 성 - 안시성
안시성은 고구려의 요충지로 요하 유역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645년 당나라와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고구려 멸망을 늦추는 데 기여했지만, 이후 당나라에 함락되었고 현대 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 중국의 성 - 오녀산성
오녀산성은 고구려의 첫 도읍지로 추정되는 산성으로, 훈강 유역 해발 200m 절벽 위에 위치하며,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호산장성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위치 |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단둥 시 |
좌표 | 40°13′18″N 124°30′55″E |
종류 | 만리장성의 일부 |
상세 정보 | |
명칭 | 호산 장성 (虎山長城) |
길이 | 약 1250m |
시대 | 명나라 |
특징 | 명나라 만리장성의 동쪽 기점으로 여겨짐 |
역사 | |
건설 시기 | 명나라 성화제 시기 |
발견 및 연구 | 명나라 만리장성의 동쪽 기점이라는 주장이 뤄저원(罗哲文)에 의해 제기됨 |
논쟁 | 장성의 기점에 대한 논쟁 존재 (한국 측의 반론) |
지리 | |
위치 | 아이허(叆河) 강변의 호산 |
역할 | 국경 방어선의 일부 (변방 장벽(边墙) 역할) |
기타 | |
관련 정보 | The Korea Herald 등의 언론에서 장성 확장 관련 역사 논쟁 보도 |
2. 역사
명나라 성화제 시기인 1469년에 여진족과 해상으로부터의 외침을 막기 위해 호산장성이 축조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장이다. 실제로는 고구려가 세운 '''박작성'''으로, 동북공정의 일환으로 해석된다.[1]
1989년 항공 조사를 통해 랴오닝성의 장성이 호산에서 서쪽으로 푸순, 선양, 랴오양, 안산, 진저우를 거쳐 허베이성과의 경계에 있는 산하이관까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1990년에는 장성 전문가들의 실지 조사를 통해 명나라 시대 장성의 동쪽 기점으로 인정되었으며, 이전까지 산하이관으로 알려졌던 장성의 동쪽 기점이 호산으로 변경되면서 장성의 길이가 1000여 킬로미터 연장되었다. 1992년과 2000년에는 대규모 투자를 통해 호산장성 복원 공사가 진행되었다.
2. 1.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장
- 1469년 (명나라 성화제 시기)에 여진족과 해상으로부터의 외침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되었다.
- 1989년, 항공 조사를 통해 랴오닝성의 장성을 조사하여 명사대로 호산에서 시작해 서쪽으로 푸순, 선양, 랴오양, 안산, 진저우를 거쳐 허베이성과의 경계에 있는 산하이관까지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 1990년, 뤄톄원(羅哲文) 등의 장성 전문학자들에 의한 실지조사에서 명나라 시기 장성의 동쪽 끝 기점으로 인정되었다. 이 발견으로 중국 장성은 1000여 km 연장되어 호산이 장성의 동쪽 끝 기점이 되었다.
- 1992년에는 3800000CNY을 투자하여 600여 m의 호산장성을 수리하고, 처음으로 장성 최동단의 전모가 나타나게 되었다. 2000년에는 22300000CNY을 투자하여 1000여 미터 장성의 주체 복구를 완성했다.
- 호산으로부터 동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까지 이르는 장성은 연나라의 장성으로, 후일 진나라와 연결되는 연진장성이다.
2. 2. 대한민국의 반박
호산장성은 명나라의 장성이 아니라 고구려가 세운 박작성이다. 이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통일적 다민족 국가론에 입각한 동북공정의 일환으로, 한족의 명나라가 만주를 지배했다는 것을 과시하기 위한 역사 왜곡이다.[1]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대한민국의 진보 진영에서는 중국의 역사 왜곡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하고 있으며, 고구려 역사 지키기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보수 진영은 중국과의 외교적 관계를 고려하여 신중한 입장을 취하기도 하지만, 역사 왜곡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하고 있다.
3. 지리적 특징
호산은 멀리서 보면 호랑이가 앉아있는 것처럼 보여 붙여진 이름이며, 유적에서 출토되는 벽돌이 주변 주민들의 건축에도 사용되었기 때문에 "석산"이라고도 불렸다. 단둥 시가지에서 20km 떨어져 있으며, 압록강을 따라 북상하여 그 지류인 애하를 건너는 곳에 위치한다.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 영토의 중간 섬이 펼쳐져 있다.[1]
유적 아래 압록강의 강폭이 불과 몇 미터인 곳이 있어, 한 걸음만 건너면 그 중간 섬에 상륙할 수 있다는 의미로 "일보과"라고 부르는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다.[1]
현재 장성 유적은 산책로로 정비되어 있다. 입구에서는 완만한 경사이지만, 도중에 능선을 따라 급경사가 되어 최고 지점인 해발 146.3m에 이른다. 그 뒤를 중턱까지 내려가면 장성은 끊어지고, 그 후로는 험한 산책로가 되며 도중에 현수교가 있다.[1]
4. 논란
호산장성은 중국의 역사 왜곡 문제와 관련된 논란이 있다.
4. 1. 역사 왜곡 문제
중화인민공화국은 1989년부터 랴오닝성의 장성을 조사하여 명사의 기록대로 호산에서 시작해 서쪽으로 산하이관까지 이어짐을 확인하였다고 주장한다.[1] 1990년에는 장성 전문학자들이 호산의 600여 미터 장성 유적을 발굴하고 실지 조사를 통해 명나라 시기 장성의 동쪽 끝 기점으로 인정하였다.[1] 그 결과, 이전까지 만리장성의 동쪽 끝으로 알려졌던 산하이관 대신 호산을 동쪽 끝 기점으로 변경하였다.[1]그러나 이는 고구려가 세운 '''박작성'''을 명나라 장성으로 왜곡한 것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통일적 다민족 국가론에 입각한 동북공정의 일환이다.[1] 한족 중심의 명나라가 만주 지역을 지배했다는 것을 강조하여, 만주를 자국의 지방 정권 또는 영토로 편입시키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1]
5. 사진
참조
[1]
서적
Lonely Planet China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Publications
2015-04-01
[2]
웹사이트
明万里长城东端起点的发现与研究
http://www.mnr.gov.c[...]
2020-12-29
[3]
웹사이트
明长城东部起点—虎山长城
http://www.ddrtv.cn/[...]
2020-12-29
[4]
논문
A Study on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Great Wall in Liaodong of Yan, Qin and Han Dynasties [燕秦汉辽东长城形制考古调查研究]
https://www.sinoss.n[...]
2015
[5]
서적
中國東北與東北亞古代交通史
https://books.google[...]
Liaoning People's Press
2016
[6]
웹사이트
Great Wall rekindles history row
http://www.koreahera[...]
[7]
웹사이트
The Scope of the Great Wall of China
http://contents.nahf[...]
[8]
웹사이트
Koreans Are Skeptical That the Great Wall Just Doubled In Size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2-07-19
[9]
뉴스
アジアの街から】中国・丹東/行けない北朝鮮、長城から思う
日経MJ
2020-1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