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해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해관은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 친황다오시에 위치한 도시로, 만리장성의 동쪽 끝에 자리 잡고 있으며, 군사적 요충지로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한나라 시대에는 임유관으로 불렸으며, 명나라 시대에 산과 바다 사이에 위치한다는 의미로 산해관으로 명명되었다. 명나라 말기에는 오삼계가 청나라에 항복하기 전까지 난공불락의 요새였으며, 청나라 시대에는 베이징으로 가는 관문 역할을 했다. 산해관은 만주사변, 의화단 운동 등 근현대사의 주요 사건들의 무대가 되었으며, 현재는 관광 명소로도 유명하다. 산해관은 정사각형 모양의 성벽과 동, 서, 남, 북에 위치한 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동문인 진동문은 "천하제일관"이라는 현판으로 유명하다. 이 지역은 냉대 여름 장마 기후를 보이며, 베이징-하얼빈 철도와 톈진-산해관 철도가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친황다오시의 건축물 - 친황다오 올림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친황다오 올림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은 33,000명을 수용하는 육상 경기장으로, 돛단배 모양의 지붕이 특징이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축구 조별 리그를 포함한 여러 국제 경기를 개최했다.
  • 만리장성 - 팔달령 장성
    팔달령 장성은 베이징 시내에서 가까운 만리장성으로, 명나라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로프웨이 등 시설이 갖춰져 있고, 1972년 리처드 닉슨 대통령 등 여러 세계 지도자들이 방문했으며, 2008년 하계 올림픽 도로 사이클 경기의 결승 지점이 되었다.
  • 만리장성 - 가욕관
    가욕관은 만리장성의 중요한 관문이자 가장 잘 보존된 군사 건축물로, 명나라 초기에 건설되어 티무르 제국 침략에 대비한 요새이자 실크로드의 중심지였으며, 3중 방어 체계와 관련된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 중국의 관문 - 우의관
    우의관은 중국과 베트남 국경 지점의 역사적 요충지로서, 프랑스-청 전쟁, 신해혁명 봉기, 중국 인민해방군 진주, 중월 전쟁 등 여러 사건의 무대가 되었으며, 국경 획정 과정에서 영토 분쟁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 중국의 관문 - 옥문관
    옥문관은 중국 간쑤성 둔황에 위치한 만리장성 서쪽 끝으로, 한나라와 당나라 시대에 서역으로 통하는 중요한 통로였으며, 옥 카라반의 통과로 이름이 유래되었고 1988년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산해관
위치 정보
만리장성이 [[보하이해]]와 만나는 곳인 [[노룡두]]
노룡두(老龙头), 산해관의 일부로 만리장성이 보하이해와 만나는 곳
기본 정보
이름산해관 (山海关)
다른 이름산해관 (山海關)
샤나하 푸르단 (šanaha furdan, 만주어 로마자 표기: šanaha furdan)
산과 바다의 관문
지리
위치친황다오시 산해관구, 허베이성, 중국
통과 노선징하 철도
역사
설명산해관은 허베이성 친황다오시 산해관구에 위치한 만리장성의 관문임.
추가 정보

2. 역사

만리장성 동쪽 끝에서 처음 만나게 되는 관문이라는 의미로 "천하제일관"이라고도 불리는 산해관은, 이곳을 통과해야 중원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 산해관 바깥쪽의 동북 지역은 '관외'나 '관동'이라고 불렸으며, 관동주관동군 등의 명칭도 이 관문을 기준으로 동쪽 지역을 가리키는 데서 유래했다.

천하제일관 산해관


1381년 명나라 장군 서달(徐達)과 그의 군사들은 낡은 영평(永平, Yongping)과 계령(界岭, Jieling) 관문을 수리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를 계기로 산과 바다 사이에 위치한 지리적 특징을 반영하여 산해관(Shanhaiguan)이라는 이름이 붙은 현재의 관문을 건설했다. 16세기 후반, 명나라 장군 기제광은 관문 주변에 군사 도시를 축조하고 동쪽, 남쪽, 북쪽으로 도시와 요새를 건설하여 중국에서 가장 요새화된 관문 중 하나로 만들었다.

청나라 건륭제 시대에는 산해관이 용평부(永平府, Yongping Mansion)의 관할 아래 림유현(临榆县城, Linyu County)의 중심지가 되었다. 청나라 말기에는 해안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많은 요새가 건설되었다. 중화민국 시대에는 장쭤린의 봉천군벌, 장제스의 국민정부, 일본군, 그리고 冀熱遼軍区(Jireliao Military Region)의 지배를 차례로 받았다. 1948년 11월 27일 중국 공산당의 동북야전군에 점령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에는 먼저 요서성(Liaoxi Province)의 관할 아래 있다가 나중에 허베이성의 관할 아래 놓였다.

산해관은 가장 잘 보존된 만리장성 관문 중 하나이다.[6]

명나라 홍무 14년(1381년), 장군 서달이 산해관을 정비하면서 산과 바다 사이에 있다는 뜻의 산해위(山海衛)라고 명명했고, 영평부의 관할로 삼았다. 이후 '산해관(山海關)'으로 불리게 되었다. 청나라 때는 행정구역 명칭이 임유현(臨楡縣)으로 바뀌었으나, 현대에는 산해관이라는 명칭이 행정구역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군사적 요충지였던 산해관은 근대에 들어서도 그 중요성이 변하지 않았다. 만주사변 이후에는 만주국중화민국의 국경이 되기도 했다.

2. 1. 고대 ~ 원

(漢) 때는 “임유관”이라 불렸고, (隋) 문제의 오만한 국서에 반발하여 598년 고구려 영양왕강이식 장군이 선제공격했던 임유관 전투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산해관은 연산(Yan Mountain) 남쪽, 보하이 해(Bohai Sea) 북쪽에 위치하여 수 세기 동안 동북 중국과 중앙 동부 중국 사이의 좁은 통로를 지키는 요새 역할을 했다. 북제, , 은 이곳에 관문을 건설했다. 당나라 시대에는 이곳을 유관(Yuguan)이라 불렀고, 785년에는 수비대가 주둔했다. 유관에서 진뉴구(Jinniukou)까지 8개의 수비대가 더 설치되었다. 후당오대 십국 시대에는 자치주 지사들이 이 지역을 통치했다. 오대 십국 시대에는 유관을 제외한 모든 수비대가 사라졌다. 그 후 (Liao dynasty)가 이 지역과 관문을 장악했다. 요는 현재 산해관이 있는 곳의 동쪽에 천민현(Qianmin County)을 건설했다. (Jin dynasty (1115–1234))과 (Yuan dynasty) 왕조 시대에도 이 지역에 수비대가 주둔했다.[5]

이 지역은 (周) 시대에는 연의 땅이었고, (秦)·(漢) 때는 요서군에 속했다. 연산(燕山)이 보하이(渤海)에 닿는 좁은 이 지역은 만주 방면에서 중원으로 향하는 군대가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교통의 요충지였기에, “병가필쟁지지(兵家必爭之地)”였다. 만주의 여진에 대한 방어 요충지였기 때문에 고대부터 성벽이 축조되었고, 한대(漢代)에는 이미 '''임유관(臨楡關)'''이라 불렸다. (隋)와 (唐) 때도 만리장성의 일부로 확장 공사가 거듭되었고, 현재도 당시의 성벽이 남아 있다.

2. 2. 명·청 시대

때는 “임유관”으로 칭했고, 문제의 오만한 국서에 반발하여 598년 고구려 영양왕 때 장군 강이식이 선제공격했던 임유관 전투의 배경지이다.

명나라 때는 산해위를 설치하면서 산해관으로 불렀다. 명나라 말 누르하치, 홍타이지에 의한 만주족 침입을 여러 번 방어한 수장 오삼계가 청나라에 항복할 때까지 난공불락 요새였다. 청나라 성립 후 공식 이름을 임유현으로 바꾸었지만, 그 후에도 산해관으로 부르기도 했다.[5]

1931년 유조호 사건(만주사변 발발), 1932년 만주국 건국과 계속되는 전화의 확대로 1933년 1월 일본군이 산해관을 점령하면서 북경 공략 동부 루트가 열렸고, 2월에는 열하 작전을 진행하여 열하성을 장악하고 만주국에 병합되었다.

군사 요충지로서 산해관의 방비는 매우 삼엄했으며, 1622년에는 주둔하는 수비대가 병사 7만 9869명, 말 1만 2760필이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명나라 말 누르하치, 홍타이지가 이끄는 만주족의 침입을 저지했고, 수장이었던 오삼계가 청군에 투항할 때까지 함락되지 않은 요새였다.

2. 3. 근현대

(漢) 때는 “임유관”으로 칭했고 (隋) 때 문제(文帝)의 오만한 국서에 반발하여 598년 고구려 영양왕 때 장군 강이식이 선제공격했던 임유관 전투의 배경지이다.

명나라 때는 산해위를 설치하면서 산해관으로 불렀다. 명나라 말 누르하치, 홍타이지에 의한 만주족 침입을 몇 번이나 잘 방어한 수장 오삼계가 청나라에 항복할 때까지 난공불락 요새였다. 청나라 성립 후 공식 이름을 임유현으로 바뀌었지만, 그 후에도 산해관으로 부르기도 했다.[5]

1931년 유조호 사건(만주사변 발발), 1932년 만주국 건국과 계속되는 전화의 확대로 1933년 1월에 일본군이 산해관을 점령하면서, 북경 공략 동부 루트가 열렸다. 이후 2월에는 열하 작전을 진행하여 열하성을 장악하고 만주국에 병합되었다.

1900년, 여행 중인 사람이 그린 산해관


청나라 시대 산해관은 심양과 베이징 사이에 위치하여 "수도의 관문"으로 불렸다. 중화민국 시대(1912~1949년)와 팔국 연합군의 개입,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산해관은 많은 전투의 현장이 되었다.

1900년 7월, 팔국 연합군의 일환으로 일본 제국 육군 1만 5천 명이 산해관에 상륙하여 의화단의 열강 공사관 포위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베이징으로 진격했다. 당시 소수의 청나라 군대만이 주둔하고 있어 사전 포격은 불필요했다.[7] 일본군과 프랑스군 사이에 발생한 술 취한 싸움으로 연합군 관계는 악화되었다. 이 전투에서 프랑스 군인 3명과 일본군 7명이 사망하고, 프랑스 군인 5명과 일본군 12명이 부상을 입었다.[8]

1945년 11월, 동북 인민해방군(PLA)은 남쪽에서 공격해 오는 국민당군에 맞서 산해관을 사수하려 했다. 그들은 장제스의 국민당 정부가 만주로 진입하는 것을 막으려 했으나, 1만 명의 인민해방군은 장비가 부족했고 수적으로 열세였기에 방어에 실패하고 집안으로 후퇴했다. 이후 공산당이 중국 내전에서 우세를 점하기 시작하자 산해관은 랴오선 전투를 피해 도망치는 난민들의 피난처가 되었다.[9]

2. 4. 산해관 전투

1644년, 이자성이 이끄는 반군이 명나라 수도 북경을 점령하면서 명나라가 멸망했다. 이자성은 만리장성 북쪽 흥원의 강력한 주둔군 사령관이었던 명나라 장군 오삼계의 지지를 얻으려 했다. 그러나 오삼계는 이자성의 새로운 순(順)나라에 복종하는 대신, 청나라와 연합하여 반군을 수도에서 몰아내기로 결정했다. 청나라의 섭정 왕 돌궐은 군대를 이끌고 산해관으로 진격하여 오삼계의 항복을 받았다. 오삼계와 만주족은 산해관 근처에서 이자성의 군대를 함께 격파했고, 이자성은 수도를 버리고 도망칠 수밖에 없었다. 이 승리로 청나라는 북경에 무혈입성하여 중국 최강의 세력으로 자리 잡았다.[10]

명나라 말, 누르하치와 홍타이지가 이끄는 만주족의 침입을 막아낸 오삼계가 청나라에 항복할 때까지 산해관은 난공불락의 요새였다.

3. 구조

산해관은 정사각형 모양으로 둘레는 약 4km이다. 성벽의 높이는 14m이고, 두께는 7m이다. 동쪽, 남쪽, 북쪽은 깊고 넓은 해자로 둘러싸여 있으며, 그 위에는 도개교가 있다. 산해관 중앙에는 높은 종루가 서 있다.

산해관의 네 방향에는 모두 문이 있었는데, 동쪽에는 진동문(鎭東門, Zhèndōng Gate), 서쪽에는 영은문(迎恩門, Yíng'ēn Gate), 남쪽에는 망양문(望洋門, Wàngyáng Gate), 북쪽에는 위원문(威遠門, Wēiyuǎn Gate)이 있었다. 오랜 세월 동안 보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현재는 진동문만 남아 있다. 진동문은 산해관 밖, 베이징 방향을 향하고 있어 가장 중요한 문이었다.

성곽은 약 4km에 달하는 성벽으로 둘러싸인 직사각형이다. 흙을 다져 쌓은 외벽에 벽돌을 쌓은 성벽은 높이 14m, 두께 7m이며, 성벽 위에는 규광각(奎光閣), 목영루(牧営楼), 위원당(威遠堂)과 같은 여러 망루를 갖추고 있다. 동쪽 성벽의 남북 양쪽은 만리장성과 연결되며, 동쪽, 남쪽, 북쪽 성벽 외곽에는 깊이 8m, 너비 17m의 해자가 있고, 그 위에는 현수교가 놓여 있었다. 성곽 중앙에는 종루가 있다.

관문의 동서남북에는 각각 성문이 설치되어 있으며, 동쪽에서 오는 적을 맞이하기 위한 동문인 진동문이 가장 견고하고 유명하다. 동문의 성벽은 높이 12m이며, 문 위의 목조 망루는 높이 13m, 너비 20m, 깊이 11m이고, 세 개의 문 외에도 화살을 발사하기 위한 68개의 창문이 설치되어 있었다. 동문 망루 위에는 "천하제일관(天下第一關)"이라는 큰 현판이 걸려 있어 관광 명소가 되고 있다.

4. 기후

산해관 지역의 기후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냉대 여름 장마 기후(Dwa)이다. 연평균 기온은 11.2°C이며, 일평균 최저 기온은 5.7°C, 일평균 최고 기온은 16.8°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613.2mm이다.

산해관구 (1991~2018년 평균)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0°C)0.4°C3.4°C9.8°C17.9°C24.5°C28°C30°C30.1°C26°C19.3°C9.5°C2.4°C
평균 기온 (0°C)-5.5°C-2.5°C4.1°C11.9°C18.6°C22°C25.8°C25.6°C20.3°C13.2°C3.9°C-3.2°C
평균 최저 기온 (0°C)-11.3°C-8.4°C-1.6°C5.9°C12.7°C17.7°C21.7°C21°C14.6°C7°C-1.8°C-8.8°C
평균 강수량 (mm)2.83.310.322.354.375.5168.1180.057.223.812.33.3



5. 교통

산해관역은 베이징-하얼빈 철도와 톈진-산해관 철도에 있으며, 산해관에서 가장 가까운 기차역이다.

참조

[1] 서적 China Cultural Heritage, Issues 1–6 https://books.google[...] China Cultural Heritage Magazine Agency
[2] 서적 Science and Technology Achievements in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Foreign Languages Press 2018
[3] 뉴스 Old Dragon's Head – where the Great Wall of China meets the sea https://timesofindia[...] 2014-09-08
[4] 서적 Chinese Ancient Culture Common Sens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ttps://books.google[...] Zhonghua Book Company 2018
[5] 서적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Volume 5: Asia and Oceania Fitzroy Dearborn Publishers
[6] 서적 China's Top 10 Passes https://books.google[...] Xi'an Map Publishing Agency
[7] 뉴스 Straits Times 1900-07-18
[8] 뉴스 Sydney Morning Herald 1904-07-19
[9] 서적 The Tragedy of Liberation: A History of the Chinese Revolution, 1945–1957 Bloomsbury Press 2013
[10] 참고문헌
[11] 서적 欽定新清語 下
[12] 웹사이트 秦皇岛市山海关景区 https://www.mct.gov.[...] 中華人民共和国文化観光部 2021-07-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