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화천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천댐은 일제강점기 일본이 대륙 침략을 위해 건설한 댐으로, 1944년 완공되었다. 한국 전쟁 당시 전략적 요충지로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으며, 특히 항공 어뢰를 이용한 공격으로 유명하다. 현재는 수력 발전 및 홍수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중력식 콘크리트 댐이며, 16개의 수문을 통해 방류량을 조절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4년 완공된 건축물 - 수풍댐
    수풍댐은 일제강점기에 압록강을 막아 건설된 아시아 최대 규모의 수력 발전 댐으로, 한반도와 만주 지역에 전력을 공급했으나 현재는 노후화와 북한 에너지 정책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 화천군의 건축물 - 화천어린이도서관
    화천어린이도서관은 화천군에 2016년 개관한 어린이 도서관으로,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운영하며 월요일과 법정 공휴일은 휴관한다.
  • 화천군의 건축물 - 화천공영버스터미널
    화천공영버스터미널은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에 위치하며, 강원권 및 수도권 방면 시외버스와 화천군 내 군내버스를 운행한다.
화천댐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1951년 5월 화천댐 습격
1951년 5월 화천댐 습격
기본 정보
공식 명칭화천댐
한글 표기화천댐
한자 표기華川댐
로마자 표기hwacheon daem
위치화천군
국가대한민국
소유주한국수력원자력
상태가동 중
건설 정보
착공1939년
개장1944년
준공1944년 5월
댐 정보
댐 높이81.5 m
댐 길이435 m
유역 면적3901 km²
방수로 용량5428 m³/s
저수지 정보
저수지 이름파로호
총 저수 용량1,018,000,000 m³
저수 면적38.9 km²
발전소 정보
유효 낙차74.5 m
터빈4 x 27 MW
총 발전 용량108 MW

2. 배경

화천댐은 일제강점기 시기 제2차 세계 대전 중 대륙 침략을 위한 에너지원 확보라는 일본의 필요에 의해 건설되었다.[37][2] 댐 완공 이후에도 발전 시설은 계속 증설되어, 1957년 11월에 3호기가 준공되었고, 1968년 6월에는 4호기가 마지막으로 준공되었다.[37][38][2][3][4] 또한 2005년 상류 지역에 평화의 댐이 건설되기 전까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임남댐 붕괴나 기습적인 방류로 인한 피해를 막는 중요한 1차 방어선 역할을 수행하였다.[39][5]

2. 1. 일제강점기 건설

화천댐은 일제강점기 시기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킨 일본이 대륙 침략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건설하였다.[37] 1939년 7월 한강수력전기회사가 설립되어 댐 건설을 시작했으며,[37][2] 1944년 10월 댐을 완공하였다.[37][2] 댐 완공 몇 달 전인 1944년 5월에는 제1호 발전기가 준공되어 발전을 시작했고, 같은 해 10월에는 제2호 발전기가 준공되었다.[37][2]

3. 한국전쟁

한국 전쟁 기간 동안 화천댐은 수력 발전 능력과 하류 수량 조절 기능 때문에 유엔군조선인민군/중국인민지원군 양측 모두에게 중요한 전략적 거점이었다.[45][11][29] 1951년 봄, 댐을 둘러싼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졌다. 북한군과 중국군은 댐의 물을 방류하여 하류의 유엔군 작전을 방해했고,[40][6][24] 유엔군은 수차례에 걸쳐 댐을 점령하거나 무력화하려 시도했다.

특히 미국 해군 항공대는 항공 어뢰까지 동원하여 댐의 수문을 파괴하는 공습 작전을 감행했으며,[44][10][28] 이 작전은 한국 전쟁 중 어뢰가 사용된 유일한 사례로 기록되었다.[48][49][14][15][32][33] 이 공습으로 댐의 기능 일부가 마비되었고, 작전에 참여한 미 해군 비행대 VFA-195는 '댐버스터스'(Dambusters)라는 별명을 얻었다.[45][11][29]

같은 해 5월 말에는 댐 인근에서 대한민국 육군 제6사단이 중국군을 상대로 큰 전과를 올린 파로호 전투가 있었다. 전투 후 이승만 당시 대통령은 이곳을 방문하여 '파로호(破虜湖)'라는 이름을 부여했다.[34][35]

3. 1. 전략적 중요성

화천댐은 수력 발전 능력과 함께, 갈수기에는 용수 공급을 통제하고 홍수기에는 하류를 범람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 한국 전쟁 중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시설이었다. 따라서 유엔군과 공산군 양측 모두에게 댐을 점령하거나 무력화하는 것이 핵심 목표가 되었다.[45][11][29]

1951년 4월 8일 밤, 북한군중국군은 댐의 방수로를 통해 물을 대량 방류하여 하류에 있던 유엔군의 부교 다섯 개를 파괴했다.[40][6][24] 다음 날인 4월 9일, 해당 지역에서 작전 험준을 수행 중이던 미 제7기병연대가 댐을 점령하려 시도했으나, 북한군과 중국군의 견고한 방어로 인해 실패했다.[41][42][7][8][25][26]

4월 16일부터 21일 사이, 연합군은 다시 댐을 확보했지만, 댐의 수문을 파괴하기 전에 중국군의 반격으로 격퇴당했다.[26] 이후 B-29 폭격기를 동원한 댐 무력화 시도도 실패로 돌아갔다.[43][9][27] 결국 4월 30일, 스카이레이더 공격기가 동원되어 타이니 팀 로켓과 2,000파운드 폭탄 두 발을 투하하여 댐의 여수로 수문 하나를 파괴하는 데 성공했다.[43][9][27]

댐으로 인한 홍수 위협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5월 1일[44][10] (일부 자료에서는 5월 2일[28]) 미 해군 제19항공단 소속 스카이레이더 8대가 Mk 13 어뢰를 장착하고 콜세어 전투기 12대의 호위를 받으며 댐을 공습했다. 발사된 어뢰 8발 중 7발이 댐에 명중했고, 그중 6발이 폭발했다. 이 공격으로 수문 한 개가 추가로 파괴되고 다른 여러 수문이 손상되어 댐 방류로 인한 홍수 위협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44][10][28] 이 작전에 참여했던 미 해군 항공대 VFA-195는 기존의 별명 '타이거스'(Tigers) 대신 '댐버스터스'(Dambusters)라는 새로운 별명을 얻게 되었다.[45][11][29]

화천댐 공습은 항공 어뢰가 지상 목표물 공격에 사용된 마지막 사례이자, 한국 전쟁에서 어뢰가 사용된 유일한 작전으로 기록되었다.[46][47][12][13][30][31][48][49][14][15][32][33]

3. 2. 주요 전투 및 공습

한국 전쟁 중 화천댐은 수력 발전 기능과 함께 갈수기 용수 공급 통제, 풍수기 하류 범람 유발 능력 때문에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시설이었다. 이 때문에 유엔군조선인민군/중국인민지원군 양측 모두에게 핵심 목표가 되었다.[45][11][29]

1951년 4월 8일 한밤중, 조선인민군과 중국인민지원군은 댐의 방수로를 통해 물을 대량 방류하여 하류에 있던 유엔군의 부교 다섯 개를 파괴하거나 사용 불가능하게 만들었다.[40][6][24] 이에 유엔군은 댐을 확보하거나 무력화할 필요성을 느꼈다. 4월 9일, 해당 지역에서 작전 험준(Operation Rugged)을 수행 중이던 미국 육군 제7기병연대가 댐 점령을 시도했으나, 조선인민군과 중국인민지원군의 견고한 방어로 인해 실패했다.[41][42][7][8][25][26]

4월 16일과 21일 사이, 연합군은 다시 댐을 확보하려 했으나 중국인민지원군의 반격으로 수문을 파괴하지 못하고 격퇴되었다.[45][11][29] B-29 폭격기의 폭격으로도 댐을 무력화하는 데 실패하자, 4월 30일 미국 해군스카이레이더 공격기가 타이니 팀 로켓과 약 907.18kg 폭탄 두 발을 투하하여 여수로 수문 하나를 파괴했다.[43][9][27]

결정적인 공격은 1951년 5월 1일(일부 자료는 5월 2일[28])에 이루어졌다. 미국 해군 제19항공단 소속 스카이레이더 8대가 콜세어 전투기 12기의 호위를 받으며 Mk 13 어뢰를 이용해 댐을 공격했다. 발사된 어뢰 8발 중 7발이 댐에 명중했고, 그중 6발이 폭발했다. 이 공격으로 수문 한 개가 완전히 파괴되고 다른 수문들도 손상을 입어, 댐 방류로 인한 하류 범람 위협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44][10][28] 이 작전에 참여했던 미 해군 항공대 VFA-195는 기존의 별명 '타이거스'(Tigers) 대신 '댐버스터스'(Dambusters)라는 새로운 별명을 얻게 되었다.[45][11][29]

화천댐 공습은 전 세계적으로 항공 어뢰가 지상 목표물 공격에 사용된 마지막 사례로 기록되었으며,[46][47][12][13][30][31] 한국 전쟁 중 어뢰가 사용된 유일한 작전이기도 했다.[48][49][14][15][32][33]

3. 3. 파로호 전투와 명칭

1951년 4월 8일 자정, 북한군과 중국군은 댐의 방수로에서 대량의 물을 방류하여 하류에 있던 유엔군 사령부의 부교 5개를 파괴했다.[6] 화천댐은 수력 발전 능력과 더불어 하류 지역에 홍수나 가뭄을 유발할 수 있는 전략적 중요성 때문에 주요 목표 시설로 간주되었다.[11] 따라서 댐을 점령하거나 기능을 마비시키는 것이 중요 과제로 떠올랐다. 4월 9일, 이미 해당 지역에서 작전 험준을 수행하던 제7기병연대가 댐 점령 임무를 맡았으나, 강력한 저항에 부딪혀 실패했다.[7][8] 4월 16일부터 21일 사이 연합군이 댐을 확보하기도 했지만, 중국군의 반격으로 수문을 파괴하지 못하고 후퇴해야 했다. B-29 폭격기의 폭격 시도도 실패로 돌아갔다. 결국 4월 30일, 스카이레이더 공격기가 타이니 팀 로켓과 2,000파운드 폭탄 2발을 투하하여 방수로 수문 하나를 파괴하는 데 성공했다.[9]

5월 1일에는 제19항공단 소속 스카이레이더 8대(각각 Mk 13 어뢰 장착)와 콜세어 전투기 12대가 호위하며 댐을 공격했다. 발사된 8발의 어뢰 중 7발이 댐에 명중했고, 그중 6발이 폭발했다. 이 공격으로 수문 하나가 추가로 파괴되고 여러 개가 손상되어 댐으로 인한 홍수 위협이 크게 줄었다.[10] 이 작전에 참여했던 미 해군 비행대 VA-195는 기존의 "타이거스"(Tigers)라는 별칭 대신 "댐버스터스"(Dambusters)라는 새로운 별칭을 얻게 되었다.[11]

이 공습은 전 세계적으로 항공 어뢰가 지상 목표물에 사용된 마지막 사례로 알려져 있으며,[12][13] 한국 전쟁 중 어뢰가 사용된 유일한 사례이기도 하다.[14][15]

1951년 5월 26일부터 4일간, 현재 파로호라 불리는 지역 부근에서 한국군 제6사단과 중국 인민지원군 사이에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이 파로호 전투에서 중국군은 2만 명이 넘는 사상자를 내며 크게 패퇴했다. 당시 한국군 측에서는 수많은 중국군 병사의 시신을 호수에 수장(水葬)하여 호수 물이 붉게 변할 정도였다고 전해진다. 전쟁 후 당시 대통령이었던 이승만은 이곳을 방문하여, "오랑캐(虜)를 격파(破)한 호수(湖)"라는 의미로 '파로호(破虜湖)'라는 이름을 직접 지었다. 2019년 기준으로도 이승만이 직접 쓴 휘호가 새겨진 기념비가 남아 있다.[34][35]

3. 4. 의의

1951년 화천댐 공방전 당시 미 해군의 공습은 전 세계적으로 항공 어뢰가 지상 목표물에 사용된 마지막 사례로 기록되었으며,[12][13] 한국 전쟁 중 어뢰가 사용된 유일한 사례이기도 하다.[14][15]

4. 구조 및 기능

화천댐은 북한강에 건설된 중력식 콘크리트댐으로, 전력 생산과 홍수 조절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1][17] 댐은 본체 구조물과 물을 가두는 저수지, 그리고 댐 하류에 위치한 발전소로 구성되어 있다.[2][3][18][20] 댐의 저수 능력과 방류 시설은 홍수 피해를 줄이는 데 기여하며, 저장된 물은 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1][16]

4. 1. 구조

LandSat 7에서 본 화천댐(이미지 중앙)


화천댐은 높이 78m, 길이 435m의 중력식 콘크리트댐이다.[1][17] 댐이 위치한 유역 면적은 3901km2이며, 저수지의 총 저수량은 10억 1,800만 m³이다.[1] 이 중 8억 900만 m³는 발전 등에 사용되는 유효 저수량이며, 2억 1,300만 m³는 홍수 조절 용량이다.[1] 저수지의 수면 면적은 38.9km2에 달한다.[16] 댐의 여수로는 16개의 수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통해 초당 최대 5428m3의 물을 방류할 수 있다.[16][36]

댐의 발전소는 댐 본체에서 남서쪽으로 2.5km 떨어진 산등성이 너머에 별도로 위치해 있다. 이 발전소에는 각각 27 MW 용량의 수차 발전기 4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물이 떨어지는 유효 낙차는 74.5m이다.[2][3][18][20]

4. 2. 발전 설비

댐에서 남서쪽으로 2.5km 떨어진 능선 위에 발전소가 위치해 있다. 발전소에는 27MW급 수차 발전기 4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유효낙차는 74.5m이다.[18][20]

참조

[1] 서적 Korea's continuing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Ministry of Reconstruction, Republic of Korea
[2] 웹사이트 Hydroelectric Plants http://www.khnp.co.k[...]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2011-08-04
[3] 웹사이트 Hwacheon Dam http://tour.ihc.go.k[...] Hawcheon-gun 2011-08-05
[4] 웹사이트 Hwacheon http://blog.daum.net[...] Damu 2011-08-05
[5] 서적 The environmental dimension of Asian security: conflict and cooperation over energy, resources, and pollution https://books.google[...] US Institute of Peace Press 2011-08-05
[6] 서적 The world's water: the biennial report on freshwater resources https://archive.org/[...] Island Press 2011-08-05
[7] 서적 "Skirmish" red, white and blue: the history of the 7th U.S. Cavalry, 1945–1953 https://books.google[...] Turner Publishing Company
[8] 서적 Over the beach: US Army amphibious operations in the Korean War https://books.google[...] Combat Studies Institute Press
[9] 서적 Korean War almanac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10] 서적 The naval air war in Kore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Alabama Press
[11] 서적 Such men as these: the story of the Navy pilots who flew the deadly skies over Korea https://books.google[...] Da Capo Press
[12] 서적 One hundred years of world military aircraft https://archive.org/[...] Naval Institute Press
[13] 서적 Korean air war https://books.google[...] Motorbooks International
[14] 웹사이트 The War Stabilizes, 25 January – 30 June 1951 http://www.history.n[...] Department of The Navy – Naval Historical Center 2011-08-05
[15] 서적 Carriers in combat: the air war at sea https://books.google[...] Stackpole Books
[16] 학술지 Multireservoir system optimization in the Han River basin using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s John Wiley & Sons, Ltd. 2006
[17] 서적 Korea's continuing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Ministry of Reconstruction, Republic of Korea
[18] 웹사이트 Hydroelectric Plants http://www.khnp.co.k[...]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2011-08-04
[19] 웹사이트 中国、韓国政府に「破虜湖」の名称変更を求める http://www.chosunonl[...] Chosun Online 朝鮮日報 2019-05-28
[20] 웹사이트 Hwacheon Dam http://tour.ihc.go.k[...] Hawcheon-gun 2011-08-05
[21] 서적 The environmental dimension of Asian security: conflict and cooperation over energy, resources, and pollution https://books.google[...] US Institute of Peace Press 2011-08-05
[22] 웹사이트 파로호전투(破虜湖戰鬪) http://encykorea.aks[...] 2024-01-13
[23] 뉴스 오랑캐무찌른歷史(역사)자랑 「破虜湖(파로호)」命名記念碑除幕式盛大(명명기념비제막식성대) https://newslibrary.[...] 1955-11-20
[24] 서적 The world's water: the biennial report on freshwater resources https://books.google[...] Island Press 2011-08-05
[25] 서적 "Skirmish" red, white and blue: the history of the 7th U.S. Cavalry, 1945–1953 https://books.google[...] Turner Publishing Company 2011-08-05
[26] 서적 Over the beach : US Army amphibious operations in the Korean War https://books.google[...] Combat Studies Institute Press
[27] 서적 Korean War almanac https://books.google[...] Facts On File
[28] 서적 The naval air war in Kore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Alabama Press
[29] 서적 Such men as these : the story of the Navy pilots who flew the deadly skies over Korea https://books.google[...] Da Capo Press
[30] 서적 One hundred years of world military aircraft https://books.google[...] Naval Institute Press
[31] 서적 Korean air war https://books.google[...] Motorbooks International
[32] 웹사이트 The War Stabilizes, 25 January – 30 June 1951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The Navy – Naval Historical Center 2011-08-05
[33] 서적 Carriers in combat : the air war at sea https://books.google[...] Stackpole Books
[34] 웹사이트 파로호전투(破虜湖戰鬪) http://encykorea.aks[...] 2024-01-13
[35] 뉴스 오랑캐무찌른歷史(역사)자랑 「破虜湖(파로호)」命名記念碑除幕式盛大(명명기념비제막식성대) https://newslibrary.[...] 1955-11-20
[36] 논문 Multireservoir system optimization in the Han River basin using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s http://hydro-eng.yon[...] John Wiley & Sons, Ltd. 2011-08-05
[37] 웹인용 Hydroelectric Plants http://www.khnp.co.k[...]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2011-08-04
[38] 웹인용 Hwacheon Dam http://tour.ihc.go.k[...] Hawcheon-gun 2011-08-05
[39] 서적 The environmental dimension of Asian security: conflict and cooperation over energy, resources, and pollution http://books.google.[...] US Institute of Peace Press 2011-08-05
[40] 서적 The world's water: the biennial report on freshwater resources http://books.google.[...] Island Press 2011-08-05
[41] 서적 "Skirmish" red, white and blue: the history of the 7th U.S. Cavalry, 1945–1953 http://books.google.[...] Turner Publishing Company 2011-08-05
[42] 서적 Over the beach : US Army amphibious operations in the Korean War http://books.google.[...] Combat Studies Institute Press
[43] 서적 Korean War almanac http://books.google.[...] Facts On File
[44] 서적 The naval air war in Korea http://books.google.[...] University of Alabama Press
[45] 서적 Such men as these : the story of the Navy pilots who flew the deadly skies over Korea http://books.google.[...] Da Capo Press
[46] 서적 One hundred years of world military aircraft http://books.google.[...] Naval Institute Press
[47] 서적 Korean air war http://books.google.[...] Motorbooks International
[48] 웹인용 The War Stabilizes, 25 January – 30 June 1951 http://www.history.n[...] Department of The Navy – Naval Historical Center 2011-08-05
[49] 서적 Carriers in combat : the air war at sea http://books.google.[...] Stackpole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