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전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전면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순천시의 면이다. 백제 무령왕 때 점방현과 삽현이 있던 곳으로 추정되며, 신라 진성여왕 때 승주군에 편입되었다가 조선 시대에는 순천군에 속했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황전면으로 칭해졌고, 1995년 순천시와 승주군 통합으로 순천시 황전면이 되었다. 현재 15개의 법정리와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순천시 시내버스와 곡성군, 구례군의 농어촌버스가 운행된다. 전라선구례구역, 봉덕역, 괴목역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천시 (전라남도)의 행정 구역 - 해룡면
    해룡면은 전라남도 순천시에 위치한 면으로, 해촌면과 용두면이 합쳐져 탄생했으며, 신대지구 개발로 인구가 증가하고 산업단지가 조성되었으며, 벼농사와 문화재로도 알려져 있다.
  • 순천시 (전라남도)의 행정 구역 - 서면 (순천시)
    서면은 순천시 서쪽에 위치하며, 고속도로 나들목이 있어 교통 요충지이고, 14개 법정리와 59개 행정리로 구성된 지역이다.
  • 전라남도의 읍·면 - 회진면
    회진면은 전라남도 장흥군에 속하는 면으로, 백제 시대 마사량현에서 시작하여 고려 시대 회령을 거쳐 조선 시대 회령면으로 존속하다가 1986년 분면되어 현재 대리, 덕산리, 신상리, 진목리, 회진리의 5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 전라남도의 읍·면 - 삼호읍
    전라남도 영암군 남서쪽에 위치한 삼호읍은 대불국가산업단지 조성으로 인구가 증가하여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영암군청과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이 위치하고 국도 제2호선으로 연결된다.
  • 1914년 설치 - 이촌동
    이촌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한강변 모래벌판에서 이주한 주민들에 의해 "옮겨진 마을"이라는 뜻으로 이름 붙여졌으며, 동부이촌동은 일본인 거주 지역, 서부이촌동은 개발이 진행 중인 지역이고, 한강공원, 국립중앙박물관 등 주요 시설과 이촌역을 통해 편리한 교통 환경을 제공한다.
  • 1914년 설치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황전면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순천시 지도
순천시 지도
이름황전면
한자 표기黃田面
영문 표기Hwangjeon-myeon
광역시도전라남도
시군구순천시
면적99.03
세대1,714
세대 조사2014년 12월 31일
인구2897
인구 조사2022년 3월
법정리16
행정리40
52
면사무소황전면 백야중길 12 (괴목리)
홈페이지황전면 행정복지센터

2. 연혁

3. 지리

순천시의 최북단에 위치했으며, 북으로 곡성군이 있고 섬진강으로 구례군을 접경하며 동으로 광양시를 인접한다. 농경지가 협소하고 산지가 많은 산간면이다.

황전면의 면적은 순천시 전체 면적의 10.9%인 98.89km2이다. 봉두산(753m), 서면과 경계를 이루는 농암산(470m), 갓꼬리봉(688m), 구례군 문척면과 경계를 이루는 천황봉(652m) 등의 산이 있다. 섬진강(비촌리→황전천 5.1km)과 황전천(18.5km), 평촌천(0.6km), 회룡천(6.8km) 등의 하천이 흐르고 있다. 비촌 송림유원지와 용소폭포는 하계 휴양지이며, 덕림리 미초마을은 산림청에서 선정한 '산촌 종합개발 사업 대상 마을'로 기능하고 있다.

4. 행정 구역

황전면은 16개의 법정리와 37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법정리는 다음과 같다.

괴목리, 금평리, 내구리, 대치리, 덕림리, 모전리, 봉덕리, 비촌리, 선변리, 수평리, 월산리, 죽내리, 죽청리, 평촌리, 황학리, 회룡리

4. 1. 법정리 및 행정리 목록

법정리한자명행정리비고
괴목리槐木里괴목리, 백야리면 행정복지센터 소재지
금평리琴坪里금평리, 교동리
내구리內九里내구리
대치리大峙里대치리, 건천리
덕림리德林里구룡리, 덕림리, 미초리
모전리毛田里모전리, 임선리
봉덕리鳳德里봉덕리, 덕계리
비촌리飛村里비촌리, 신계리, 칠안리, 복호리
선변리仙邊里선변리, 용두리, 용림1리, 용림2리
수평리水坪里수평리, 상수평리, 신촌리
월산리月山里월산리, 성암리
죽내리竹內里죽동리, 내동리
죽청리竹淸里죽청리, 하검리
평촌리坪村里상평리, 하평리
황학리黃鶴里황학리, 본황리, 발산리
회룡리回龍里회룡리, 각문리, 신기리, 산영리


5. 교통

시내버스로는 배차 간격이 3~4시간인 순천시 버스가 다닌다. 곡성군농어촌버스가 하루 1회 경유하며, 구례군에서는 하루 13회 버스가 경유한다.

전라선 구례구역, 봉덕역, 괴목역이 있다. 이 중 여객 열차는 구례구역에만 정차한다. 구례구역은 사실상 구례군으로 가기 위한 길목으로 기능하며, 괴목역은 면소재지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례구역과 거리가 가까워 여객 열차가 서지 않는다.

순천시 황전면(괴목리)은 순천시내버스 33, 34번 버스가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하고 있고, 황전면 마을순환버스 등이 운행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