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효은태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은태자는 고려 태조의 아들이자 동양원부인 유씨의 소생으로, 유금필의 외손자이다. 그는 성품이 사납고 반역을 꾀한다는 이유로 이복 형인 고려 광종에 의해 처형당했다. 효은태자에게는 효목태자라는 형이 있었으며, 두 아들 왕림과 왕정은 살아남아 후일 강조가 정권을 잡았을 때 작위를 받았다. 그의 후손들은 개성 왕씨의 일부를 이루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태자 - 왕제 (고려)
    왕제는 고려 혜종의 아들이며, 생모는 후궁 궁인 애이주이고 명혜부인이 누나로 있으나 구체적인 생애 기록은 미비하다.
  • 고려의 태자 - 효성태자
    효성태자는 고려 태조의 아들로 천안부원부인 임씨 소생이며, 정종의 딸 공주 부인 박씨와 혼인했으나, 경종 즉위 후 귀족들에 의해 이복 동생 원녕태자와 함께 살해당했다.
  • 고려 광종 - 과거제
    수나라에서 시작되어 당나라에서 정례화된 과거제는 시험을 통해 관리를 선발하는 제도로, 주변 국가에 영향을 주었으나 각국의 상황에 따라 운영 방식과 효과가 달랐다.
  • 고려 광종 - 신주원부인
    신주원부인은 고려 태조 왕건의 부인으로, 아찬 강기주의 딸이며 아들을 낳았으나 요절하여 신명순성왕후의 아들 왕소(광종)를 양자로 길렀고, 광종 즉위 기반 형성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 개성시 출신 - 마해송
    마해송은 일제강점기 및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이자 언론인으로, 방정환 등과 색동회를 조직하여 아동문학 운동을 전개했으며, 광복 후에는 작품을 통해 사회상을 비판하는 등 대한민국 아동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 개성시 출신 - 오자복
    오자복은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대장으로 예편하기까지 36년간 복무했으며, 국방부 장관, 대한방직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효은태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왕원 또는 왕숙
작위고려 태조의 왕자
다른 이름동양군, 동양대군
출생일미상
사망일미상
배우자미상
자녀동양군 왕림, 온결공 왕정
부친태조
모친동양원부인 유씨
봉작 및 시호
시호효은태자 (孝隱太子)
봉작동양군 (東陽君), 동양대군 (東陽大君)
이름 (언어별 표기)
한국어 (한글)효은태자
한국어 (한자)孝隱太子
한국어 (본명, 한글)왕원 또는 왕숙
한국어 (본명, 한자)王垣 또는 王肅
로마자 표기 (시호)Hyoeun Taeja
로마자 표기 (본명)Wang Won 또는 Wang Suk
한국어 (작위, 한글)동양군, 동양대군
한국어 (작위, 한자)東陽君, 東陽大君
가계
왕가왕씨
종교불교

2. 생애

어머니는 고려의 개국공신인 유금필의 딸 동양원부인이다. 동양군(東陽君) 또는 동양대군(東陽大君)으로도 불렸다. 동복 친형인 효목태자 왕의(王義)는 일찍이 출가하여 불교 승려가 되었다. 승려가 된 친형 왕의에 대한 기록은 전하지 않으나, 개성왕씨성원록에 의하면 평주 출신 시중 유방에게 장가간 딸이 하나 있고, 외손자 유달(庾達)은 공부상서를 지냈다고 한다.

그의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정확히 전하지 않는다.

2. 1. 광종과의 갈등 및 죽음

효은태자는 성품이 사납고 하찮은 사람들과 사귀어 몰래 다른 생각을 품었으므로 광종이 그를 처형하였다.[7] 광종은 군소배와 사귀면서 다른 마음을 먹고 있다는 이유로 사약을 내렸다.

효은태자는 이름이 전하지 않으며,[8] 동양군(東陽君)이라고도 불렸다. 성격이 난폭하였으며 작당하여 반역을 꾸미려는 뜻을 품고 있었으므로 광종이 사약을 내렸다.[9] 효은태자의 아들 왕임(王琳)과 왕정(王禎)은 효은이 자결할 때 어렸기 때문에 죽음을 면하여 도망칠 수 있었다.[9]

광종은 이복동생 효은태자에게 사약을 내리면서, 성격이 난폭하였으며 작당하여 반역을 꾸미려는 뜻을 품고 있었다고 했다.[9] 아들 왕임(王琳)과 왕정(王禎)은 너무 어려 죽임을 면하고 도망하여 민가(民家)에 은신하여 생존하다가, 훗날 강조가 정권을 잡았을 때 작위를 주고 노비와 토지를 받아 종실의 일원이 되었다.[7]

3. 가족 관계

관계이름
조부세조
조모위숙왕후
아버지태조
외조부유금필
외조모미상
어머니동양원부인 유씨
효목태자 왕의
형수미상
조카왕씨, 유방에게 출가
부인미상
아들동양군 왕림
아들온결공 왕정 ( ? ~ 1013년)
손녀양여양에게 출가
손자왕경수


4. 후손

상서 좌복야를 지낸 왕림은 동양군에 봉해졌고, 그의 아들 왕정은 태자 첨사, 상경거도위를 지내고, 사후 증 호부상서에 추증되었으며, 온결공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왕정의 다른 이름은 왕유(王裕)이며 1013년 3월에 사망했다. 왕정은 아들 왕경수(王景壽)와 딸 왕씨(王氏)를 두었는데, 왕씨는 양여양(楊汝陽)과 혼인하였다. 왕정을 비롯한 그 후손들은 비교적 번성하여 개성 왕씨 중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10]

5. 기타

효은태자의 아들 왕림은 상서성 좌복야를 지냈으며 동양군에 봉해졌다. 왕림의 아들 왕정은 태자첨사, 상경거도위를 지냈고, 사후 호부상서에 추증되었으며 온결공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효은태자의 후손들은 비교적 번성하여 개성 왕씨 중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10]

6. 대중 매체

참조

[1] 논문 https://books.google[...] 2002
[2] 논문 https://books.google[...] 2002
[3]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6-02
[4]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6-02
[5] 논문 Progeny of the Koryŏ Dynasty: The Kaesŏng Wang in Chosŏn Korea 2015
[6] 웹인용 성씨정보 - 개성 왕씨 http://www.surname.i[...] 2012-06-25
[7] 기타 효은태자:네이트 한국학 http://koreandb.nate[...]
[8] 문서
[9] 서적 고려시대 향리연구 국학자료원 2001
[1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mjbnews.c[...] 2011-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