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한의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한의 행정 구역은 주(州), 군(郡), 현(縣), 향(鄕), 정(亭), 리(里)로 구성되었다. 각 주에는 주자사가 파견되어 감찰을 담당했고, 황건적의 난 이후에는 주목 제도가 신설되어 행정 및 군사 권한이 강화되었다. 군에는 태수가 임명되었고, 왕국과 속국이 존재했다. 현에는 현령 또는 현장이 임명되었고, 열후가 봉해진 후국이 있었다. 하부 행정 단위인 향에는 유질, 정에는 정장, 리에는 리괴가 임명되어 업무를 수행했다. 후한 시대에는 13개의 주가 있었으며, 각 주는 여러 군과 현을 관할했다.

2. 행정 구역 체계

각 주의 아래에는 군(郡)을 두었으며, 각 군에 태수(太守)를 임명하여 행정을 담당하게 하였다. 태수 밑에는 태수의 업무를 보조하는 승(丞)이 있었으며, 승 밑에는 승의 업무를 보조하는 장사(長史)가 있었다. 황자(皇子)가 봉해진 군을 왕국(王國)이라고 하며, 각 왕국에는 태수의 역할을 하는 상(相)이 임명되었고, 상 이하의 관직은 그 왕국에 봉해진 황자가 임명하였다. 이민족(異民族)이 모여 있는 군을 속국(屬國)이라고 하며, 각 속국에는 태수의 역할을 하는 도위(都尉)가 임명되었고, 속국은 중앙 정부의 직접적인 관리를 받지 않았다.

각 군과 왕국의 아래에는 현(縣)을 두었으며, 일만 호(戶) 이상의 현에는 현령(縣令)을, 일만 호 이하의 현에는 현장(縣長)을 임명하여 행정을 담당하게 하였다. 현령의 품계는 1천 석이었으며, 현장의 품계는 3백 석에서 4백 석이었다. 열후(列侯)가 봉해진 현을 후국(侯國)이라고 하며, 각 후국에는 현령 또는 현장의 역할을 하는 상(相)이 임명되었고, 상 이하의 관직은 그 후국에 봉해진 열후가 임명하였다.

각 현의 아래에는 향(鄕)을 두었으며, 각 향에 유질(有秩)을 임명하여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고, 유질의 품계는 백 석이었다. 각 향의 아래에는 정(亭)을 두었으며, 각 정에 정장(亭長)을 임명하여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다. 각 정의 아래에는 리(里)을 두었으며, 각 리에 리괴(里魁)를 임명하여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다. 리괴 밑에는 리괴의 업무를 보조하는 십장(什長)과 오장(伍長)이 있었다.

2. 1. 주(州)

각 주의 아래에는 군(郡)을 두었으며, 각 군에 태수(太守)를 임명하여 행정을 담당하게 하였다. 태수 밑에는 태수의 업무를 보조하는 승(丞)이 있었으며, 승 밑에는 승의 업무를 보조하는 장사(長史)가 있었다. 황자(皇子)가 봉해진 군을 왕국(王國)이라고 하며, 각 왕국에는 태수의 역할을 하는 상(相)이 임명되었고, 상 이하의 관직은 그 왕국에 봉해진 황자가 임명하였다. 이민족(異民族)이 모여 있는 군을 속국(屬國)이라고 하며, 각 속국에는 태수의 역할을 하는 도위(都尉)가 임명되었고, 속국은 중앙 정부의 직접적인 관리를 받지 않았다.

각 군과 왕국의 아래에는 현(縣)을 두었으며, 일만 호(戶) 이상의 현에는 현령(縣令)을, 일만 호 이하의 현에는 현장(縣長)을 임명하여 행정을 담당하게 하였다. 현령의 품계는 1천 석이었으며, 현장의 품계는 3백 석에서 4백 석이었다. 열후(列侯)가 봉해진 현을 후국(侯國)이라고 하며, 각 후국에는 현령 또는 현장의 역할을 하는 상(相)이 임명되었고, 상 이하의 관직은 그 후국에 봉해진 열후가 임명하였다.

각 현의 아래에는 향(鄕)을 두었으며, 각 향에 유질(有秩)을 임명하여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고, 유질의 품계는 백 석이었다. 각 향의 아래에는 정(亭)을 두었으며, 각 정에 정장(亭長)을 임명하여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다. 각 정의 아래에는 리(里)을 두었으며, 각 리에 리괴(里魁)를 임명하여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다. 리괴 밑에는 리괴의 업무를 보조하는 십장(什長)과 오장(伍長)이 있었다.

2. 1. 1. 주목(州牧)의 등장과 군벌 할거

후한 시대에는 삭방자사부가 병주로 편입되어, 중국 전역이 13개의 주(州)로 나뉘게 되었다. 후한 말까지 각 주에 주자사를 파견하여 각 주의 실무를 담당하는 관리의 감찰을 맡는 체제가 이어졌다. 주자사 품계는 6백 석으로, 2천 석인 태수보다 낮았다.

영제 시대에 황건의 난이 일어나자, 황건적과 기타 반란 세력에 대항하기 위해 주목 제도를 신설한 뒤 조정의 중신들을 주목으로 임명했으며, 각 주의 행정 · 군사 권한을 갖게 하여 태수를 제치고 실질적인 지방 장관이 되게 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각 주의 주목이 군벌이 되어 할거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삼국 시대의 출현을 촉진시켰다.

2. 2. 군(郡)과 현(縣)

각 주의 아래에는 군(郡)을 두었으며, 각 군에 태수(太守)를 임명하여 행정을 담당하게 하였다. 태수 밑에는 태수의 업무를 보조하는 승(丞)이 있었으며, 승 밑에는 승의 업무를 보조하는 장사(長史)가 있었다. 황자(皇子)가 봉해진 군을 왕국(王國)이라고 하며, 각 왕국에는 태수의 역할을 하는 상(相)이 임명되었고, 상 이하의 관직은 그 왕국에 봉해진 황자가 임명하였다. 이민족(異民族)이 모여 있는 군을 속국(屬國)이라고 하며, 각 속국에는 태수의 역할을 하는 도위(都尉)가 임명되었고, 속국은 중앙 정부의 직접적인 관리를 받지 않았다.

각 군과 왕국의 아래에는 현(縣)을 두었으며, 일만 호(戶) 이상의 현에는 현령(縣令)을, 일만 호 이하의 현에는 현장(縣長)을 임명하여 행정을 담당하게 하였다. 현령의 품계는 1천 석이었으며, 현장의 품계는 3백 석에서 4백 석이었다. 열후(列侯)가 봉해진 현을 후국(侯國)이라고 하며, 각 후국에는 현령 또는 현장의 역할을 하는 상(相)이 임명되었고, 상 이하의 관직은 그 후국에 봉해진 열후가 임명하였다.

각 현의 아래에는 향(鄕)을 두었으며, 각 향에 유질(有秩)을 임명하여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고, 유질의 품계는 백 석이었다. 각 향의 아래에는 정(亭)을 두었으며, 각 정에 정장(亭長)을 임명하여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다. 각 정의 아래에는 리(里)을 두었으며, 각 리에 리괴(里魁)를 임명하여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다. 리괴 밑에는 리괴의 업무를 보조하는 십장(什長)과 오장(伍長)이 있었다.

2. 3. 하부 행정 단위: 향(鄕), 정(亭), 리(里)

각 현(縣)의 아래에는 향(鄕)을 두었으며, 각 향에 유질(有秩)을 임명하여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고, 유질의 품계는 백 석이었다. 각 향의 아래에는 정(亭)을 두었으며, 각 정에 정장(亭長)을 임명하여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다. 각 정의 아래에는 리(里)을 두었으며, 각 리에 리괴(里魁)를 임명하여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다. 리괴 밑에는 리괴의 업무를 보조하는 십장(什長)과 오장(伍長)이 있었다.

3. 행정 구역 목록

후한 시기 기주(冀州)는 고읍(高邑)을 주도로 삼고 104개의 현을 관할했다. 기주는 상산국, 위군, 거록군, 발해군, 중산국, 안평국, 하간국, 청하국, 조국을 포함했다.

3. 1. 사례(司隸)

사례(司隸)는 후한 시대의 행정 구역 중 하나로, 수도 낙양을 포함하는 지역이다. 사례에는 하남윤, 경조윤, 좌풍익, 우부풍, 홍농군, 하내군, 하동군 등 7개의 군이 속해 있었으며, 총 108개의 현을 관할했다.

'''후한 13주'''
주에 속한 현의 개수주도군에 속한 현의 개수
사례
(司隸)
108낙양 (雒陽)하남윤 (河南尹)21
경조윤 (京兆尹)12
좌풍익 (左馮翊)13
우부풍 (右扶風)15
홍농군 (弘農郡)9
하내군 (河內郡)18
하동군 (河東郡)20


3. 2. 기주(冀州)

후한 시기 기주(冀州)는 고읍(高邑)을 주도로 삼고 104개의 현을 관할했다. 기주는 상산국, 위군, 거록군, 발해군, 중산국, 안평국, 하간국, 청하국, 조국을 포함했다.

3. 3. 유주(幽州)

후한 시기 유주(幽州)는 계(薊)를 주도로 삼고 90개의 현을 관할했다. 유주에는 광양군(廣陽郡), 탁군(涿郡), 상곡군(上谷郡), 어양군(漁陽郡), 우북평군(右北平郡), 요서군(遼西郡), 요동군(遼東郡), 현도군(玄菟郡), 낙랑군(樂浪郡), 대군(代郡), 요동속국(遼東屬國)이 속해 있었다.

3. 4. 병주(幷州)

병주(幷州)는 후한 시대에 설치된 13주 중 하나로, 진양(晉陽)을 주도로 삼았다. 태원군(太原郡), 상당군(上黨郡), 서하군(西河郡), 오원군(五原郡), 운중군(雲中郡), 정양군(定襄郡), 안문군(雁門郡), 삭방군(朔方郡), 상군(上郡)을 포함하여 총 98개의 현을 관할했다.

3. 5. 양주(凉州)

양주(凉州)는 후한 시대 13주 중 하나로, 주도는 농(隴)이었다. 양주에는 12개의 군이 있었으며,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 한양군 (漢陽郡): 13개 현
  • 농서군 (隴西郡): 11개 현
  • 무도군 (武都郡): 7개 현
  • 금성군 (金城郡): 10개 현
  • 안정군 (安定郡): 8개 현
  • 북지군 (北地郡): 6개 현
  • 무위군 (武威郡): 14개 현
  • 장액군 (張掖郡): 8개 현
  • 주천군 (酒泉郡): 9개 현
  • 돈황군 (敦煌郡): 6개 현
  • 장액속국 (張掖屬國): 5개 현
  • 거연속국 (居延屬國): 1개 현


이들 군, 현의 상세한 정보는 각 군, 현 문서를 참고하라.

3. 6. 익주(益州)

익주(益州)는 후한 시대의 행정 구역 중 하나로, 지금의 쓰촨성(四川省)과 윈난성(雲南省) 일대에 해당한다. 익주의 치소는 초기에는 낙(雒)이었으나, 이후 면죽(綿竹)을 거쳐 성도(成都)로 옮겨졌다.

익주에는 광한군(廣漢郡), 한중군(漢中郡), 파군(巴郡), 촉군(蜀郡), 건위군(犍爲郡), 장가군(牂柯郡), 월수군(越嶲郡), 익주군(益州郡), 영창군(永昌郡), 광한속국(廣漢屬國), 건위속국(犍爲屬國) 등 11개 군국과 2개 속국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총 114개의 현을 관할했다.

3. 7. 교주(交州)

교주(交州)는 후한 시대에 설치된 행정 구역으로, 주도는 용편이었다. 교주는 교지군(交趾郡), 남해군(南海郡), 울림군(鬱林郡), 창오군(蒼梧郡), 합포군(合浦郡), 구진군(九眞郡), 일남군(日南郡)의 7개 군으로 구성되었다. 각 군은 다시 여러 현으로 나뉘었는데, 교지군은 12개 현, 남해군은 7개 현, 울림군은 11개 현, 창오군은 11개 현, 합포군은 5개 현, 구진군은 5개 현, 일남군은 5개 현을 각각 관할하여 교주 전체 현의 개수는 56개였다.

3. 8. 형주(荊州)

형주(荊州)는 한수(漢壽)와 양양(襄陽)을 주도로 삼았다. 형주에는 무릉군(武陵郡), 남양군(南陽郡), 남군(南郡), 강하군(江夏郡), 영릉군(零陵郡), 계양군(桂陽郡), 장사군(長沙郡)이 속해있었으며, 총 117개의 현을 관할했다.

3. 9. 양주(揚州)

양주(揚州)는 역양(歷陽), 수춘(壽春), 합비(合肥)를 치소로 삼았으며, 구강군(九江郡), 단양군(丹陽郡), 예장군(豫章郡), 오군(吳郡), 회계군(會稽郡), 여강군(廬江郡)을 관할했다.

군명속현 수
구강군14
단양군16
예장군21
오군13
회계군14
여강군14



3. 10. 예주(豫州)

예주(豫州)는 후한 13주 중 하나로, 주도는 초(譙)였다. 예주에는 6개의 군국이 속해 있었으며, 총 98개의 현을 포함했다.

군국명현 개수
패국 (沛國)21
영천군 (潁川郡)17
여남군 (汝南郡)37
양국 (梁國)8
동국 (東國)9
노국 (魯國)6


3. 11. 서주(徐州)

서주는 후한 시대에 설치된 13주 중 하나로, 주도는 담(郯)이었다. 서주는 동해국(東海國), 광릉군(廣陵郡), 낭야국(琅邪國), 팽성국(彭城國), 하비국(下邳國)의 5개 군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서주에는 총 62개의 현이 속해 있었다.

3. 12. 청주(靑州)

후한 시대 청주(靑州)는 임치 (臨淄)를 주도로 삼고 62개 현을 관할했다. 청주에는 제국(齊國), 평원군(平原郡), 동래군(東萊郡), 제남국(濟南國), 낙안국(樂安國), 북해국(北海國)이 속해 있었다.

3. 13. 연주(兗州)

연주(兗州)는 후한 시대 13주 중 하나로, 창읍(昌邑)에 치소를 두었다. 산양군(山陽郡), 진류군(陳留郡), 동군(東郡), 태산군(泰山郡), 제음군(濟陰郡), 동평국(東平國), 임성국(任城國), 제북국(濟北國)을 관할했으며, 속한 현의 총 개수는 80개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