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거록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록군은 중국 역사 속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가 조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되었다. 진나라 시기에는 거록군으로, 이후 전한 시대에는 기주에 속했으며, 20개의 현을 관할했다. 신나라 때는 현의 이름이 변경되기도 했으며, 후한 시대에는 광평국을 병합하여 15개의 현을 관할했다. 이후 조위, 서진 시대를 거치며 위축되었고, 북위 시대에는 정주에 속했다. 수나라 때 군제가 폐지되어 조주에 편입되었으며, 당나라 시기에는 형주로 개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베이성의 군 - 탁군
    탁군은 중국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명칭과 관할 구역이 변경되었으며, 현재의 바오딩 시, 창저우 시, 헝수이 시 일대에 해당한다.
  • 허베이성의 군 - 중산군
    중산군은 전한부터 수나라까지 존속하며 현재 허베이성 중남부에 위치했던 중국의 옛 군으로, 시대에 따라 행정구역과 소속 현에 변화가 있었고, 후한 말 흑산적의 주요 거점, 조위와 서진 시대 제후국, 오호십육국 시대 여러 나라의 영역으로 편입, 북위 시대 정주 소속 등의 변화를 겪다가 수나라 때 폐지되었다.
  • 진나라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진나라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조위의 군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조위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거록군
개요
위치현재의 허베이성 남부
존속 기간진나라 ~ 북위
중심지거록현
역사
설치 시기진나라
폐지 시기북위
행정 구역
속현거록현
평향현
극양현
원향현
임자현
남곡양현
도향현
고역현
무읍현
무도현
관진현
사구현
요양현
평가현
양씨현
고안현
중수현
인구
호구 (서기 2년)127,140호
인구 (서기 2년)676,050명
주요 인물
관련 인물장각
조조
장초
원소
저수
한복
조운
장염
마초
두무
경무
유식
유양
경단
주우
팽총
오한
왕랑
손회종
손진
유우
공손찬
장수
조해
곽도
장남
순우경
고람
조예
신비
신평
허유
전풍
풍기
진림
원담
최염
국도
안량
문추
심배
봉기
원상
여광
동소
원희
조순
전해
견일
견초
견부
견황후
조비
조창
조식
조웅
조간
노육
최림
양준
양기
염현
왕창
장균
좌관
이섭
전주
전영
전주
전해
전속
전역
전미
배잠
사마의
사마랑
양호
두예
왕준
손초
유총
장통
조구
굴준
장궤
장식
송요
고윤
장통
석륵
서광
곽흑략
조나
장웅
정영
이농
구거
마융
장통
부홍
염파
장사
요익중
곽경
장요
동윤
유번
위총
유현
장빈
배개
유진
장환
왕파
왕여
제갈영
요장
모용수
경간
모용륭
유위진
독고표
장숭
고호
경진
최현
최군
최광
최감
최열
최경지
최심
최식
최수
최린
최염
최상
최량
최천
최협
최준
최심
최문수
최경숭
최홍
최군
최원백
최보
최언
최사정
최유
최언조
최광소
고윤
원경
원요
원억
원회
원연
원계
원옹
원담
원색
원숙
원우
원천목
원심
원욱
원흠
원휴
원찬
원수
원제
원증
원간
원식
원헌
원간
이표
이충
이숙인
이준
이숭
이선
이예흥
노도발
노세명
노원경
노경화
노회경
노사도
노변
노승유
노경현
노달
조작
조익
조세장
조흠
조영
조민흥
조휘
배숙
배구
배자열
배균
배현백
염지추
양소
양열
양기
양대안
양함
양주언
양기
양준
양간
유방
유증
유원민
유희
유강
유소
유현
유목
유진
유정
유원경
유등
유렴지
유천
손혜영
우렬
송변
곽묵
정위
정기
정원자
왕준
왕숙
왕해
왕회
왕준
위자건
위경준
위수
위웅
위탄
위경목
위원랑
위자원
위린
위경
위상
위경준
위조
위도
위열
풍탄
풍숭
강유
두고
맹위
봉숭
원영
한웅
석경언
참고 문헌
참고 자료저우전허, 《서한정구지리》, 인민출판사, 1987년, 82-84쪽
리샤오제, 《동한정구지리》, 산동교육출판사, 1999년, 86-88쪽

2. 진

진나라조나라를 멸망시킨 후 거록군을 설치했다. 군의 이름은 거록택(鉅鹿澤)에서 유래했으며,[12][14] 군 치소는 거록현(지금의 허베이성 싱타이시 핑샹현 서남)이다.[12] 설치 시기는 문헌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역도원은 기원전 222년을,[11] 양수경은 기원전 228년을 주장했다.

2. 1. 속현 목록 (진)

진나라가 조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한 거록군의 속현 목록은 다음과 같다.[15] 설치 시기는 문헌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역도원은 기원전 222년을,[11] 양수경은 기원전 228년을 주장했다.[12] 《전국사》에서는 역도원의 설을 지지했고,[12] 《진대정구지리》에서는 군 설치에 대해선 양수경의 설을 지지했으나[13] 속현 목록에서는 기원전 222년을 설치 연도로 적어 일관되지 못하다.[14]

거록군 속현 목록 (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거록鉅鹿허베이성 한단시 지쩌현 북동 거록고성시안시 상가항에서 출토된 진나라 봉니 “거록지승”(鉅鹿之丞)
양씨楊氏허베이성 싱타이시 닝진현 부근1979년 진시황릉 서 조배호촌 진나라 형도 묘에서 출토된 기와 도문에 “양씨거대”(楊氏居大), “양씨거공사부”(楊氏居公士富) 명문
송자宋子허베이성 스자좡시 자오현 송자고성1982년 산서 삭현 진한묘군 중 전한 말~후한 초 묘에서 출토된 “송자”(宋子) 삼공포폐
성양成襄?전국 조 평수척족포에 “성양”(成襄)포
평양平襄?전국 조 평수척족포에 “평양”(平襄)포
허베이성 싱타이시 런현 동전국 조 방족포에 “인야”(人也)포
하곡양下曲陽허베이성 스자좡시 진저우시전국 조 삼공포에 “하방양”(下匚陽)포
하박下博허베이성 헝수이시 선저우시전국 조 삼공포에 “하박”(下博)포
무읍武邑허베이성 헝수이시 우이현전국 조 방족포에 “무읍”(武邑)포
남궁南宮허베이성 싱타이시 난궁시 북서전세 삼진 고새에 “남궁장행”(南宮將行)인


3. 전한

전한 무제 때 13주를 두면서 기주에 속했다.[16] 평제 시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5만 5951호, 82만 7177명이 거주했다. 원연·수화 지간(기원전 8년)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12현 8후국으로 총 20현을 두었다.[16] 속현 목록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3. 1. 속현 목록 (전한)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거록현鉅鹿縣싱타이시 핑샹현 남서 평향진군 치소 소재지다. 《우공》의 대륙택(大陸澤)이 북쪽에 있다. 사구대(沙丘臺)가 북동쪽 70리에 있다.
남련현南䜌縣싱타이시 쥐루현 북왕선겸에 따르면 난무자(欒武子)의 봉읍 난(欒)인데 이후 남쪽으로 옮겼기에 남련이라고 한다.
광아현廣阿縣싱타이시 룽야오현 동광아의후 임오의 후국이었다.
상씨후국象氏侯國싱타이시 룽야오현 북조경숙왕의 아들 유하가 원삭 3년(기원전 126년) 4월 갑진일에 봉해지면서 조나라에서 편입[17]
영도현廮陶縣싱타이시 닝진현 남서
송자현宋子縣스자좡시 자오현 북동
양씨현楊氏縣싱타이시 닝진현
임평현臨平縣스자좡시 진저우시 남동
하곡양현下曲陽縣스자좡시 진저우시 서도위의 치소가 있다. 응소에 따르면 순오가 멸한 고(鼓)가 이 현의 고취(鼓聚) 석양정(昔陽亭)이다.
세현貰縣신지시 남서
교현郻縣신지시 동
신시후국新市侯國싱타이시 난궁, 신허, 쥐루 교외 일대?광천유왕의 아들 유길이 원봉 5년(기원전 76년) 11월 경자일에 봉해지면서 광천나라에서 편입[18]
당양현堂陽縣싱타이시 신허현 북염관이 있었다.
안정후국安定侯國신지시 북동연날왕의 아들 유현이 본시 원년(기원전 73년) 7월 임자일에 봉해지면서 연나라에서 편입[18]
경무현敬武縣스자좡시 자오현 동
역향후국歷鄕侯國싱타이시 닝진현 동광천유왕의 아들 유필승신작 3년(기원전 59년) 임자일에 봉해지면서 광천나라에서 편입[18]
악신후국樂信侯國신지시 동광천유왕의 아들 유강이 신작 3년 4월 무술일에 봉해지면서 광천나라에서 편입[18]
무도후국武陶侯國?광천유왕의 아들 유조오봉 원년(기원전 57년) 7월 임오일에 봉해지면서 광천나라에서 편입[18]
백향후국柏鄕侯國싱타이시 바이샹현 남서조애왕의 아들 유매가 경녕 원년(기원전 33년) 4월 정묘일에 봉해지면서 조나라에서 편입[18]
안향후국安鄕侯國스자좡시 진저우시 동조애왕의 아들 유희가 경녕 원년 4월 정묘일에 봉해지면서 조나라에서 편입[18]



전한 무제 때 13주를 두면서 기주에 속했다.[16] 평제 시기에 시행된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5만 5951호, 82만 7177명이 거주했다. 원연·수화 지간(기원전 8년)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20현(12현 8후국)을 두었다.[16]

4. 신

왕망은 거록군을 나누어 화융(和戎)군[20]을 설치하고, 그 치소를 하곡양현에 뒀다고 한다.[19][21]

4. 1. 개명된 현

다음은 전한의 현 이름을 신나라에서 고친 표이다.

전한
남련(南䜌)부평(富平)
상씨(象氏)영창(寧昌)
송자(宋子)선자(宣子)
양씨(楊氏)공륙(功陸)
교(郻)진취(秦聚)
신시(新市)시악(市樂)
역향(歷鄕)역취(歷聚)


5. 후한

37년(건무 13년), 광평국이 폐지되고 거록군에 병합되었다.[22] 57년(영평 3년), 후한 명제가 아들 유선을 광평왕으로 봉하면서 광평국이 다시 분리되었고, 69년(영평 15년)에는 유공을 거록왕으로 봉하면서 왕국이 되었다.[24] 79년(건초 4년), 유공이 강릉왕으로 옮겨가면서 거록군은 다시 군이 되었고, 82년(건초 7년)에는 폐지된 광평국을 다시 병합했다.[25]

93년(영원 5년), 광종현이 광종국으로 분리되었으나, 화제의 아우 유만세가 아들 없이 죽으면서 다시 거록군에 흡수되었다.[26] 165년(연희 8년), 영도현이 영도국으로 분리되었으나, 167년(영강 원년)에 다시 거록군으로 흡수되었다.[27]

5. 1. 속현 목록 (후한)

37년(건무 13년)에 폐지된 광평국을 병합하여[22] 15현을 두었고, 10만 9517호, 60만 2906명을 다스렸다.[23] 57년(영평 3년)에 후한 명제의 아들 유선을 광평왕으로 봉하면서 다시 광평국이 떨어져 나갔고, 69년(영평 15년)에 후한 명제의 아들 유공을 거록왕으로 봉하면서 왕국이 되었고,[24] 79년(건초 4년)에 유공이 강릉왕으로 옮겨지면서 군이 되었다. 82년(건초 7년)에는 광평왕 유선이 강릉왕으로 옮겨지면서 폐지된 광평국을 다시 병합했다.[25]

이름종류비고
영도(廮陶)
거록(鉅鹿)
양씨(楊氏)
교(鄡)
하곡양(下曲陽)
임(任)합병된 광평국에서 편입.[28]
남화(南和)합병된 광평국에서 편입.[28]
광평(廣平)합병된 광평국에서 편입.[28]
척장(斥章)합병된 광평국에서 편입.[29]
광종(廣宗)
곡주(曲周)합병된 광평국에서 편입.[28]
열인(列人)합병된 광평국에서 편입.[28]
광년(廣年)합병된 광평국에서 편입.[28]
평향(平鄕)합병된 광평국에서 편입.[28]
남련(南䜌)

[23]

93년(영원 5년) 정월 신묘일, 광종현이 광종국이 되어, 화제의 아우 유만세가 왕으로 봉해졌고, 9월 신유일에 아들 없이 죽으면서 광종국은 폐해지고 거록군에 흡수되었다.[26] 165년(연희 8년), 영도현이 영도국이 되어, 반란을 일으켰다 봉국 발해국을 상실한 발해왕 유회의 식읍이 되었다. 167년(영강 원년), 유회가 다시 발해왕이 되면서 영도국은 다시 거록군에 흡수되었다.[27]

6. 조위, 서진

213년(건안 13년), 관도대전에서 승리한 조조가 하북을 점령하면서 위군을 복구하는 과정에서 거록군 광평현, 남화현, 임현, 곡주현, 열인현, 광년현, 척장현이 위군으로 이관되었다.[5] 서진 건국 이후에는 평향현, 하곡양현, 교현이 한단군으로 이관되었다.[7]

6. 1. 속현 목록 (서진)

서진 건국 이후 평향현, 하곡양현, 교현이 한단군으로 이관되면서 2현 10,040호를 거느리는 작은 군이 되었다.[7]

서진 속현 목록
현명한자
영도현廮陶縣
거록현鉅鹿縣
양씨현楊氏縣


  • 참고: 원문에 제시된 현 목록을 모두 유지하면서, 서진으로 이관된 군현들을 제외한 결과입니다. '교현', '하곡양현', '평향현'은 한단군으로 이관되었으므로, 남은 현은 영도현, 거록현, 양씨현입니다.

7. 북위

북위 때 거록군은 진정국, 상산군, 박릉군, 북평군과 함께 정주에 속했으며, 3개 현, 27,172호, 130,239명을 거느렸다. 487년 (태화 11년) 정주의 거록군에서 남거록군이 분리 설치되었고, 494년 (태화 18년) 남거록군은 남조군으로 개칭되어 상주로 전속되었다. 526년 (효창 2년) 은주(북제 이후의 조주)가 설치되면서 남조군은 은주로 전속되었다. 동위 때 정주의 거록군은 곡양, 고성, 효 3개 현을, 은주의 남조군은 영도, 송자, 서경, 영요 4개 현을 관할했다.[8]

7. 1. 속현 목록 (북위)

북위 시대 거록군의 속현 목록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곡양현曲陽縣스자좡시 진저우시 서쪽임평성(臨平城), 진향성(真鄉城), 곡향성(曲鄕城), 요임금 사당, 청구(靑丘)가 있었다.
고성현槀城縣스자좡시 롼청구 북동쪽488년(북위 태화 12년) 폐지되었던 현이 복구되었다. 비루(肥壘)가 있었다.
교현鄡縣스자좡시 선저우시 남서쪽교성(鄡城), 안정성(安定城), 조군신(趙君神), 청구(靑丘), 우구(牛丘), 황구(黃丘), 치구(馳丘), 영구(靈丘)가 있었다.


8. 수

37년(건무 13년), 광평국이 폐지되고 거록군에 병합되었다. 후한의 거록군은 영도, 거록, 양씨, 효, 하곡양, 임, 남화, 광평, 척장, 광종, 곡주, 열인, 광년, 평향, 남만 등 15개 현을 관할했다.[6]

진나라 때 '''거록국'''이 설치되었으며, 영도와 거록 2개 현을 관할했다.[7]

북위 때 거록군은 정주에 속했다. 487년(태화 11년), 정주의 거록군에서 '''남거록군'''이 분할 설치되었다. 494년(태화 18년), 남거록군은 남조군으로 개칭되었고 상주로 전속되었다. 526년(효창 2년), 은주(북제 이후 조주)가 설치되자 남조군은 은주로 전속되었다. 동위 때 정주의 거록군은 곡양, 고성, 효의 3개 현을, 은주의 남조군은 영도, 송자, 서경, 영요의 4개 현을 관할했다.[8]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거록군은 폐지되어 조주에 편입되었다. 607년(대업 3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옛 거록군 땅에는 조군과 상국군이 설치되었다.[9]

9. 역대 태수

'''전한'''


  • 주수(? ~ 기원전 76년)
  • 등의(기원전 19년 ~ ?)
  • 평당(기원전 12년 ~ ?)
  • 손굉(孫宏, 孫閎, ? ~ 기원전 8년)[30]


'''현한'''

  • 왕랑이 임명한 왕요(王饒)가 있었다.[31]


'''후한'''

9. 1. 전한


  • 주수(? ~ 기원전 76년)
  • 등의(기원전 19년 ~ ?)
  • 평당(기원전 12년 ~ ?)
  • 손굉(孫宏, 孫閎, ? ~ 기원전 8년)[30]

9. 2. 현한

왕랑이 임명한 왕요(王饒)가 있었다.[31]

9. 3. 후한

참조

[1] 서적 Book of Han
[2] 서적 Xihan Zhengqu Dili People's Publishing House 1987
[3] 서적 Book of Later Han
[4] 서적 Donghan Zhengqu Dili Shandong Education Press 1999
[5] 서적 漢書
[6] 서적 後漢書
[7] 서적 晋書
[8] 서적 魏書
[9] 서적 隋書
[10] 서적 旧唐書
[11] 서적 수경·탁장수주
[12] 서적 战国史 上海人民出版社 2003
[13] 서적 秦代政区地理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9-01-01
[14] 서적 秦代政区地理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9-01-01
[15] 서적 秦代政区地理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9-01-01
[16] 서적 한서
[17] 서적 위와 같음
[18] 서적 위와 같음
[19]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20] 문서 화성(和成)군이라고도 한다.
[21] 서적 《후한서》 권1 상 광무제 기제1상의 주석에서 재인용
[22] 서적 《후한서》 권1하 제기제1 하
[23] 서적 《속한서》 지리지 제20
[24] 서적 전게서, 권2 현종효명제기제2
[25] 서적 위와 같음
[26] 서적 위와 같음
[27] 서적 위와 같음
[28] 서적 전게서, 권28하 지리지제8하
[29] 서적 전게서, 권18 오갑진장열전제8
[30] 서적 《한서》 권60 두주전·권84 적방진전
[31] 서적 《후한서》 권1 상 광무제기제1 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