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고속의 시외버스 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고속버스
- 3. 시외버스
- 3.1. 동서울종합터미널 출발
- 3.2.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및 센트럴시티 출발
- 3.3. 서울남부버스터미널 출발
- 3.4. 인천종합버스터미널 출발
- 3.5. 의정부터미널 출발
- 3.6. 하남시외버스정류장 출발
- 3.7. 성남종합버스터미널 출발
- 3.8. 이천종합버스터미널 출발
- 3.9. 오산시외버스터미널 출발
- 3.10. 평택시외버스터미널 출발
- 3.11. 수원종합버스터미널 출발
- 3.12. 부천터미널 소풍 출발
- 3.13. 안산종합버스터미널 출발
- 3.14. 고양종합터미널 출발
- 3.15. 원주시외버스터미널 출발
- 3.16. 천안종합버스터미널 출발
- 3.17. 충주공용버스터미널 출발
- 3.18. 기타 출발
- 4. 공항버스
- 5. 이전 운행 노선
- 참조
1. 개요
경기고속은 고속버스, 시외버스, 공항버스 등 다양한 노선을 운행한다. 고속버스는 서울, 동서울을 기점으로 밀양, 영월, 충주, 구미 등지로 운행하며, 시외버스는 동서울,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 서울남부, 인천, 의정부, 하남, 성남, 이천, 오산, 평택, 수원, 부천, 안산, 고양, 원주, 천안, 충주 등 다양한 터미널에서 출발하여 전국 각지로 운행한다. 공항버스는 김포공항과 인천국제공항에서 성남, 의정부, 덕소, 연천, 원주, 강릉, 태백, 충주, 정읍, 안동, 하남 등지로 운행한다. 과거에는 도봉산역,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포천, 인천, 성남 등에서 출발하는 노선도 운행했으나, 현재는 폐선되었거나 운행이 중단된 상태이다.
2019년 4월 기준이다.[1] 모든 노선이 시외버스에서 고속버스로 전환된 노선이다.
2. 고속버스
운행
노선공동
운행사운행구간 경유지 운행 대수 비고 일반 우등 서울 ↔ 밀양 천일고속
한일고속서울경부 ↔ 밀양 선산휴게소 1 1 2016년 3월 2일 신설 인가
2016년 5월 4일 신설서울 ↔ 영월 서울경부 ↔ 영월 2 1 서울 ↔ 충주 대원고속 서울호남 ↔ 충주 2 3 2021년 7월부터 프리미엄 고속버스 운행 개시 동서울 ↔ 구미 동서울 ↔ 구미 선산(일반) 3 13 2013년 3월 2일 고속버스 노선으로 전환
2014년 9월 29일 일반 중간경유지 추가동서울 ↔ 충주 대원고속 동서울 ↔ 충주 1 3
2. 1. 서울 출발
wikitext
2019년 4월 기준이다.[1] 모든 노선이 시외버스에서 고속버스로 전환된 노선이다.
운행 노선 | 공동 운행사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 대수 | 비고 | |||
---|---|---|---|---|---|---|---|---|
일반 | 우등 | |||||||
서울 ↔ 밀양 | 천일고속 한일고속 | 서울경부 | ↔ | 밀양 | 선산휴게소 | 1 | 1 | 2016년 3월 2일 신설 인가 2016년 5월 4일 신설 |
서울 ↔ 영월 | 서울경부 | ↔ | 영월 | 2 | 1 | |||
서울 ↔ 충주 | 대원고속 | 서울호남 | ↔ | 충주 | 2 | 3 | 2021년 7월부터 프리미엄 고속버스 운행 개시 | |
2. 1. 1. 밀양행
천일고속, 한일고속과 공동 운행하며 서울경부에서 밀양까지 운행한다. 선산휴게소를 경유한다.[1] 2016년 3월 2일 신설 인가되었고, 2016년 5월 4일에 신설되었다.2. 1. 2. 영월행
서울경부 ↔ 영월 간을 운행하는 노선이다. 모든 노선이 시외버스에서 고속버스로 전환되었다.[1] 2019년 4월 기준으로 일반 2대, 우등 1대가 운행한다.2. 1. 3. 충주행
노선운행사
우등 3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