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신여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신여객은 1930년 설립된 경기 부천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1930년 소신자동차부로 시작하여, 1958년 소신여객자동차주식회사로 법인 전환했다. 2022년 1월 기준 시내일반, 시내좌석, 직행좌석버스 등 총 20개 노선을 운행하며, 본사는 부천시 심곡동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CJ대한통운
CJ대한통운은 1930년 설립되어 동아그룹, 금호아시아나그룹을 거쳐 2011년 CJ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종합 물류 기업으로, 계약물류, 택배, 포워딩, 항만하역을 주력 사업으로 하며 2013년 CJ GLS와 합병하여 국내 택배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2017년 CJ Logistics로 영문 사명을 변경, 해외 사업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 193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경기고속
경기고속은 1930년 경충버스 주식회사로 시작하여 KD 운송그룹 계열로 편입되었으며, 시외버스, 고속버스, 시내버스, 공항버스 등을 운행하는 대한민국의 버스 운송 회사이다. - K1 모빌리티 - 남양여객
남양여객은 1998년 삼성여객 노선을 용남고속이 인수하여 설립되었고, 수원여객 자회사로 운영되다가, 현재는 화성시에 본점을 두고 여러 노선을 운행하며 다양한 차종을 보유하고 있다. - K1 모빌리티 - 경진여객
경진여객은 1970년 대명여객으로 설립되어 사명 변경과 사업 확장을 거쳐 현재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 등을 운행하는 경기도의 버스 운송 업체이다. - 2015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보광운수
보광운수는 서울특별시 중랑구를 기반으로 1997년 설립된 시내버스 회사로, 용림교통을 거쳐 2015년 현재 사명으로 변경되었고 2020년 다모아자동차에 인수되었으며, 2113번, 2114번, 2236번 등의 노선과 서울동행버스 서울04번을 운행하고 과거 여러 노선을 운행한 바 있다. - 2015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전북고속
전북고속은 2015년 분할 설립된 시외버스 운송 업체로,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현대 유니버스 모델 등을 사용한다.
소신여객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이름 | 소신여객자동차 주식회사 |
원어 | Sosin Transportation Co., Ltd. |
![]() | |
형태 | 주식회사 |
창립 | 1930년 9월 15일 |
이전 회사 | 해당사항 없음 |
이후 회사 | 해당사항 없음 |
해체 | 해당사항 없음 |
상장일 | 해당사항 없음 |
국가 | 대한민국 |
장소 | 경기도 부천시 부일로 490 (심곡동) |
사업 지역 | 춘의동영업소 : 경기도 부천시 원미로 218 (춘의동) 대장동영업소 : 경기도 부천시 벌말로 43 (대장동) 상동영업소 : 경기도 부천시 상동 618 소사동영업소 : 경기도 부천시 소사로 58 (소사본동) 고강동영업소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 2-38 전진아파트영업소 : 경기도 부천시 마니로 74 (송내동) |
인물 | 권성욱 (대표이사) |
산업 | 운수업 |
서비스 | 해당사항 없음 |
제품 | 시내버스 |
자본금 | 300,000,000원 (2020.12) |
매출액 | 47,461,857,555원 (2020) |
영업이익 | -3,742,716,721원 (2020) |
순이익 | -3,133,018,230원 (2020) |
자산총액 | 17,485,271,089원 (2020.12) |
주주 | 에스티엘자비스2018의1사모투자합자회사: 90.43%, 시흥교통: 3.00% |
모기업 | 해당사항 없음 |
계열사 | 화성운수 |
종업원 | 667명 (2020.12) |
웹사이트 | 소신여객자동차 홈페이지 소신여객자동차 공식 트위터 |
2. 연혁
소신여객의 연혁은 크게 설립 초기, 성장기, 변화와 혁신기의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시기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시기 | 주요 내용 |
---|---|
설립 초기 (1930년대 ~ 1950년대) | |
성장기 (1970년대 ~ 1990년대) | |
변화와 혁신 (2000년대 ~ 현재) |
2. 1. 설립 초기 (1930년대 ~ 1950년대)
1930년 9월 15일, 소신여객은 합자회사 소신자동차부로 시작하여 10인승 차량 2대로 소사역(현 부천역)에서 소래면 신천리까지 노선을 신설하며 설립되었다.[1] 이후 노선을 확장하여, 1931년 5월 1일에는 군포역과 반월장 간 노선을,[2] 1933년 12월 20일에는 안양과 군자 간 노선을 개통하였다.[3] 1938년 2월 25일에는 소사와 오정 간 노선도 개통하였다.[4]1950년 5월 1일 사업면허를 발급받았고,[5] 1958년 9월 15일에는 당시 버스 30대를 갖춘 소신여객자동차주식회사로 법인 설립 및 사명을 변경하였다. 이때 부천남부역을 기점으로 소래면, 오정면, 김포공항 등지의 비포장도로를 운행하였다.[6][7]
2. 2. 성장기 (1970년대 ~ 1990년대)
1979년 7월 1일 부천남부역에 있던 본사를 부천시청이 원미동으로 이전할 때 현 위치인 부천북부역 근처로 이전하였다.[5] 같은 해 9월 2일에는 반월영업소(현 안산시) 및 안양영업소를 경원여객으로, 인천 송도지역(현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영업소를 송도버스로 각각 분리 독립시켰다.[5]1990년 6월 4일, 부천역에서 춘의사거리, 고강동, 양평동을 거쳐 영등포역과 문래동 구간을 운행하는 770번 노선을 신설하였다.[5] 1990년대 초반 중동신도시 건설 이후에는 19개 노선, 133대를 추가 운행하였다.[5]
2. 3. 변화와 혁신 (2000년대 ~ 현재)
2002년에 문병권 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6] 2009년 4월 13일에는 부천역에서 라일락마을을 잇는 5-6번 노선이 신설되었다. 2011년 11월, 경기도 시내버스 요금 인상으로 700번 직행좌석버스의 부천시 심야좌석버스 요금이 일반좌석버스와 동일하게 인하되었고, 소신여객은 작동영업소를 매각하고 고강동 부천고강공영차고지로 이전하였다.2012년 7월 1일, 700번 직행좌석버스가 일반좌석버스로 전환되었다. 같은 해 7월 11일 96번 노선이 삼산체육관, 삼산서해그랑블, 영상단지까지 연장되었고, 8월 31일에는 승객 감소로 9번 노선(소사동-오정구청)이 폐선되었다. 10월 25일에는 7-3번 노선 경로가 조정되어 중앙공원, 롯데백화점 대신 그린타운, 미리내마을, 신중동역을 경유하고 오정구청에서 고강동까지 연장 운행되었으며, 5-2번 노선(부천역-삼산동 지구)이 폐선되었다. 10월 27일에는 22번 노선이 신중동역으로 변경되었고, 11월 4일에는 7-2번 노선이 삼산동 구간에서 조정되어 테크노파크까지 임시 연장 운행되었으며(송내역-테크노파크 구간 운행, 작전동-송내역 구간에는 테크노파크 운행 안 함), 이마트 계양점까지 연장 운행 및 상동역-라일락 굴곡 구간 단축 및 상동역-다정한마을 직선화되었다.
2013년 1월 양인권 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 3월 3일에는 70-1번 노선(춘의동차고지-증미역)이 폐선되고, 7-3번, 23번은 화곡역으로 연장 운행, 7-4번, 22번은 김포국제공항으로 연장 운행되었다(당시 22번 노선은 지금의 220번 노선). 5월 10일에는 7-2번 노선(송내역-작전동 한림병원)이 폐선되고, 96번 노선(범박단지-삼산동)이 96번(범박단지-송내역)과 96-1번(송내역-삼산동)으로 분리 운행되었다. 6월 27일에는 33번 노선이 신설되어 현재 23번 노선에서 작동 구간을 지나도록 변경되었다. 8월 5일에는 3-1번이 3번에 통합되었고, 9월 17일에는 23-1번 노선(오정동 몰드벨리-범박휴먼시아)이 현재 25번(범박 휴먼시아-반달마을)과 23-1번(상동차고지-오정동 몰드벨리)으로 분리 운행되었다.
2015년 10월 13일, 5-6번이 5-4번에 통합되고 23-1번 노선 경로가 변경되었다. 12월 22일에는 여객운송 사업부문을 신설법인 소신여객자동차주식회사로 분할하고 잔존법인은 주식회사 소신홀딩스로 사명을 변경했으며, 민충기, 여광혁 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6][7]
2016년 3월 23일, 220번, 7-4번 노선을 경원여객으로 이관하였다.[8] 3월 28일에는 여광혁 대표이사가 퇴임하여 민충기 대표이사 단독체제가 되었다. 4월 6일에는 12번 노선을 시흥교통으로 이관하였다.[9] 7월 1일에는 96-1번을 부일교통으로 이관하고 6-1번을 수요 부족으로 폐선하였으며,[10] 7월 16일에는 7-3번이 수요 부족으로 폐선되었다. 12월 28일에는 33번이 수요 부족으로 청우운수로 이관된 후 77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2017년 12월 25일, 5-4번 노선이 대장동에서 테크노파크로 단축되었다. 2018년 1월 20일에는 23-5번 노선이 까치울역에서 송내역으로 단축되고 고강동공영차고지로 변경되었으며, 5월 11일에는 수요 부족으로 폐선되었다. 10월 15일에는 70-2번 노선이 부천북부역에서 춘의동차고지로 연장되었다.
2019년 4월 경원여객에서 계열 분리되었고 민충기 대표이사가 퇴임하였으며, 권성욱 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 5월 13일에는 5-5번이 5-3번과 통폐합되었고, 8월 12일에는 7-1번이 8번과 통폐합되었다. 2020년 4월 13일에는 G8808번이 운행을 시작했다. 2022년 4월 30일, 70-3번 기점이 대장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다. 2023년 6월 1일에는 70번 노선이 화곡역으로 단축되고 까치산역과 고강공영차고지를 경유하게 되었다.
3. 운행 노선
소신여객의 운행 노선은 다음과 같다. 아래 표는 소신여객에서 운행하는 모든 노선을 포함하고 있으며, 주요 경유지, 배차 간격, 인가 대수, 비고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노선 번호 | 영업소 (차고지)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인가 대수 (대) | 비고 | ||
---|---|---|---|---|---|---|---|---|
3 | 소사동 | 소사동 | ↔ | 김포국제공항 | 소사초교, 대보시장, 부천역, 중동역, 팰리스카운티, 부천시민회관, 전화국4, 부천역, 소명여고, 원미동, 부천종합운동장역, 여월동, 성곡동행정복지센터, 미성주유소, 원종4, 오정초교, 원종 나들목, 오쇠동, 대한항공, 방화중교 | 13~15 | 15 | 3-1번 버스로 분리되었다가 다시 통합 |
5 | 고강동 | 고강동 | ↔ | 테크노파크 | 수주초교, 고강본동, 고강우체국, 작동, 까치울역, 역곡역, 가톨릭대학교, 소명4, 부천역, 부천대학교, 부천상공회의소, 부천중교, 넘말,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경기국제통상고교, 중앙공원, 부천시청역, 현대백화점 중동점, 경인지방노동청, 은하마을, 한라마을, 덕유마을, 다니엘병원, 신흥시장, 부천삼정초교 | 5~8 | 25 | 저상버스 운행 |
5-3 | 부천북부역 | 부천역 | ↔ | 부천북부역 | 대성병원, 부천보건소, 원미고교, 신중동역 → 중흥중교 → 부천교육지원청, 부천세무서 → 중흥고교 → 금강마을 → 진달래마을 → 라일락마을 → 상동역→ 현대백화점 중동점 → 부천시청, 부천시청역 → 롯데백화점 중동점 → 부천소방서 → 부천대학교 → 부천역 | 6~7 | 9 | |
5-4 | 대장동 | 부천역 | ↔ | 부천체육관북문 | 대성병원, 부천보건소, 부천소방서, 계남고교, 그린타운, 계남중교, 미리내마을, 부천시청[12], 중앙공원, 상2동주민센터, 상동역, 라일락마을, 다정한마을, 부천테크노파크 | 13~20 | 6 | |
5-5 | 춘의동 | 춘의차고지 | ↔ | 아인스월드 | 소명여고, 부천역, 원미1동행정복지센터.원미어울마당, 원미고교, 신영증권, 신중동역, 롯데백화점, 부천교육청, 부천세무서, 설악,중흥마을, 중원고교 → 다정한마을 → 라일락마을 → 아인스월드 → 진달래마을 → 한라,금강마을 → 중흥고교 → 설악,중흥마을 (이하 역순) | 13~20 | 10 | |
6 | 춘의동 | 전진아파트 | ↔ | 부천시청 | 정명고교, 깊은구지4, 극동아파트, 부천역, 전화국4, 부천대학교, 부천소방서 → 계남고교 → 영안아파트 →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 부천시청역, 현대백화점 중동점 → 신중동역 → 신영증권 → 부천소방서 (이하 역순) | 9~10 | 6 | |
6-2 | 춘의동 | 전진아파트 | ↔ | 부천터미널 | 정명고교, 깊은구지4, 자유시장, 부천역, 극동아파트, 부천남중교, 부천고교, 중동역, 펠리스카운티, 중앙공원, 미리내마을, 부천시청역, 현대백화점 중동점 → 부천터미널 소풍 → 상동역 → 현대백화점 중동점 (이하 역순) | 11~13 | 9 | |
8 | 고강동 | 고강동 | ↔ | 대장공영차고지 | 고강우체국, 원종4, 미성주유소, 성곡동행정복지센터, 여월휴먼시아4,5단지, 부천종합운동장역, 춘의역, 원미1동행정복지센터.원미어울마당, 대성병원, 부천역, 전화국4, 부천시민회관, 팰리스카운티, 부천여고, 송내역, 부인중학교, 반달마을, 복사골문화센터, 상도중교, 영안아파트,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경기국제통상고교, 중앙공원, 부천시청역, 현대백화점 중동점, 경인지방노동청, 한라마을, 덕유마을, 부천체육관, 부천테크노파크, 부천자동차검사소 | 10~15 | 17 | 저상버스 운행 |
16 | 대장동 | 송내역 | ↔ | 삼산농산물시장 | 복사골문화센터, 부천정보산업고, 하얀마을, 상동역, 진달래마을, 다정한마을, 미래타운 | 5~8 | 9 | 부천버스에서 이관받은 노선 전 차량 저상버스 운행 |
23 | 고강동 | 고강공영차고지 | ↔ | 송내역 | 신월청소년센터, 화곡역, 신월동, 고강동, 원종동, 여월휴먼시아1단지, 부천종합운동장역, 춘의역, 신중동역, 부천시청역, 현대백화점 중동점,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복사골문화센터 | 6 | 25 | 저상버스 운행 |
23-2 | 계수동 | 소사공영차고지 | ↔ | 라일락마을 | 시흥대야역, 범안동현장민원실, 범박힐스테이트, 진영정보공업고, 소사본동주민센터, 소사3, 부천역, 부천대학교, 부천소방서, 신중동역, 부천시청역, 현대백화점 중동점, 부천터미널 소풍, 상동역 → 부천영상문화단지 → 라일락마을 → 상동역 (이하 역순) | 4~7 | 23 | 저상버스 운행 |
25 | 계수동 | 소사공영차고지 | ↔ | 자유시장 | 부안초교, 역곡역, 괴안3, 삼익아파트, 소사초교, 소사3, 부천역, 극동아파트, 깊은구지4, 자유시장 (이하 역순) | 10~15 | 8 | 2013년 9월 17일에 기존 23-1번 노선에서 범박동 구간 분리 |
70 | 고강동 | 고강공영차고지 | ↔ | 송내역 | 송내역, 복사골문화센터, 부천정보산업고, 상원고교, 상동역, 부천터미널 소풍, 현대백화점 중동점, 부천시청역, 은하마을, 덕유마을, 다니엘병원, 신흥시장, 삼정4, 도당4, 부천북부도서관, 성곡동주민센터, 원종4, 오정농협, 신월5동주민센터, 화곡역, 화곡터널, 까치산역, 신월1동주민센터, 고강공영차고지 | 8~10 | 19 | |
70-2 | 춘의동 | 춘의동(부천장례식장) | ↔ | 국회의사당역 | 부천역, 대성병원, 춘의역, 도당4거리, 여월동, 원종동, 고강동, 화곡역, 등촌역, 염창역, 당산역 | 5~6 | 40 | 저상버스 운행 |
70-3 | 대장동 | 대장공영차고지 | ↔ | 영등포역 | 송내역, 송내초교, 상동주민센터, 영안아파트, 넘말, 중앙공원, 미리내마을, 신중동역, 부천세무서, 부천교육지원청, 약대5, 도당4, OBS, 신월5동주민센터, 화곡역, 강서구청, 등촌역, 염창역, 당산역, 영등포구청역, 당산동진로아파트, 타임스퀘어(영등포역) | 7~9 | 24 | 저상버스 운행 |
71 | 소사동 | 소사동 | ↔ | 방화동 | 소사초교, 대보시장, 소사역, 부천역, 대성병원, 원미1동행정복지센터.원미어울마당, 춘의역, 심원고교, 부천세무서, 부천교육지원청, 약대5, 삼정4, 부천 나들목, OBS경인TV, 대장동입구, 오쇠동, 서울송정중교 → 김포국제공항 → 방화중교 → 개화산역, 방화1동주민센터 → 공항시장역 → 공항동주민센터 | 8~11 | 18 | 전 차량 저상버스 운행 |
75 | 고강동[13] | 고강동 | ↔ | 광명역 | 수주초교, 고강4, 원종4, 미성주유소, 성곡동주민센터, 여월휴먼시아4,5단지, 부천종합운동장역, 춘의역, 원미1동행정복지센터.원미어울마당, 대성병원, 부천역, 전화국4, 부천시민회관, 중동역, 송내4, 부천고교, 깊은구지4, 극동아파트, 부천역, 대보시장, 소사초교, 괴안동4, 부안초교, 역곡역, 유한대학교, 오류동역, 오류 나들목, 개봉역, 가산디지털단지역, 독산역, 하안동, 광명시보건소, 소하동 | 8~11 | 27 | 저상버스 운행 |
700 좌석버스 | 상동 | 부천상동 | ↔ | 여의도 | 송내역, 복사골문화센터, 부천터미널 소풍, 현대백화점 중동점, 부천시청역, 신중동역, 춘의역, 부천종합운동장역, 까치울역, 서부트럭터미널 - 목동동로(상행) / 목동서로 (하행) - 선유도역, 당산역, 영등포전화국, 영등포시장역, 영등포역, 여의도공원 → MBC → 여의나루역 → 63빌딩 → 샛강역, KBS별관 | 12~16 | 17 | 심야버스 운행 |
G8808 직행좌석 | 소풍터미널 | ↔ | 동안경찰서.범계역 | →송내역→시흥요금소→광명역→안양1번가→비산사거리 | 30~40 | [14] | ||
3. 1. 개요
소신여객은 경기도 부천시를 기반으로 하는 시내버스 운수 회사이다. 1950년 9월 1일에 설립되었으며, 부천시 면허의 시내버스 회사 중 가장 오래된 역사를 자랑한다. 현재 총 19개의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중에는 좌석버스 1개 노선(700번)과 직행좌석버스 1개 노선(G8808번)도 포함되어 있다.[14]소신여객은 부천시 관내 뿐만 아니라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구, 영등포구, 구로구, 경기도 시흥시, 광명시, 안양시 등 인접 지역으로 운행하는 노선도 보유하고 있다. 특히, 70-2번 노선은 부천시에서 서울 국회의사당역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많은 승객들이 이용하고 있다.
소신여객은 저상버스 도입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2023년 5월 기준으로 5번, 8번, 16번, 23번, 23-2번, 70-2번, 70-3번, 71번, 75번 노선에 저상버스를 운행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소신여객이 운영하는 주요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 번호 | 운행 구간 | 주요 경유지 | 비고 |
---|---|---|---|
3 | 소사동 ↔ 김포국제공항 | 부천역, 중동역, 부천종합운동장역, 오쇠동, 대한항공 | 3-1번 버스로 분리되었다가 다시 통합 |
5 | 고강동 ↔ 테크노파크 | 까치울역, 역곡역, 부천역, 부천시청역,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 저상버스 운행 |
8 | 고강동 ↔ 대장공영차고지 | 부천종합운동장역, 춘의역, 부천역, 송내역, 부천시청역 | 저상버스 운행 |
16 | 대장동 ↔ 송내역 | 상동역, 삼산농산물시장 | 부천버스에서 이관, 전 차량 저상버스 운행 |
23 | 고강공영차고지 ↔ 송내역 | 화곡역, 신중동역, 부천시청역,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 저상버스 운행 |
70-2 | 춘의동 ↔ 국회의사당역 | 부천역, 화곡역, 당산역 | 저상버스 운행 |
71 | 소사동 ↔ 방화동 | 소사역, 부천역, 김포국제공항 | 전 차량 저상버스 운행 |
700 (좌석) | 부천상동 ↔ 여의도 | 송내역, 부천터미널 소풍, 신중동역, 당산역, 영등포역 | 심야버스 운행 |
3. 2. 현황
현재 운행하는 노선은 2022년 1월 기준이다.[11]운행업체 | 보유 노선수 | 등록 대수 | ||||||||
---|---|---|---|---|---|---|---|---|---|---|
노선 합계 | 광역급행 | 직행좌석 | 일반좌석 | 시내일반 | 대수 합계 | 광역급행 | 직행좌석 | 일반좌석 | 시내일반 | |
소신여객 | 20 | - | 1 | 1 | 18 | 319 | - | 4 | 16 | 299 |
3. 3. 노선 목록
노선 번호 | 영업소 (차고지)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인가 대수 (대) | 비고 | ||
---|---|---|---|---|---|---|---|---|
3 | 소사동 | 소사동 | ↔ | 김포국제공항 | 소사초교, 대보시장, 부천역, 중동역, 팰리스카운티, 부천시민회관, 전화국4, 부천역, 소명여고, 원미동, 부천종합운동장역, 여월동, 성곡동행정복지센터, 미성주유소, 원종4, 오정초교, 원종 나들목, 오쇠동, 대한항공, 방화중교 | 13~15 | 15 | 3-1번 버스로 분리되었다가 다시 통합 |
5 | 고강동 | 고강동 | ↔ | 테크노파크 | 수주초교, 고강본동, 고강우체국, 작동, 까치울역, 역곡역, 가톨릭대학교, 소명4, 부천역, 부천대학교, 부천상공회의소, 부천중교, 넘말,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경기국제통상고교, 중앙공원, 부천시청역, 현대백화점 중동점, 경인지방노동청, 은하마을, 한라마을, 덕유마을, 다니엘병원, 신흥시장, 부천삼정초교 | 5~8 | 25 | 저상버스 운행 |
5-3 | 부천북부역 | 부천역 | ↔ | 부천북부역 | 대성병원, 부천보건소, 원미고교, 신중동역 → 중흥중교 → 부천교육지원청, 부천세무서 → 중흥고교 → 금강마을 → 진달래마을 → 라일락마을 → 상동역→ 현대백화점 중동점 → 부천시청, 부천시청역 → 롯데백화점 중동점 → 부천소방서 → 부천대학교 → 부천역 | 6~7 | 9 | |
5-4 | 대장동 | 부천역 | ↔ | 부천체육관북문 | 대성병원, 부천보건소, 부천소방서, 계남고교, 그린타운, 계남중교, 미리내마을, 부천시청[12], 중앙공원, 상2동주민센터, 상동역, 라일락마을, 다정한마을, 부천테크노파크 | 13~20 | 6 | |
5-5 | 춘의동 | 춘의차고지 | ↔ | 아인스월드 | 소명여고, 부천역, 원미1동행정복지센터.원미어울마당, 원미고교, 신영증권, 신중동역, 롯데백화점, 부천교육청, 부천세무서, 설악,중흥마을, 중원고교 → 다정한마을 → 라일락마을 → 아인스월드 → 진달래마을 → 한라,금강마을 → 중흥고교 → 설악,중흥마을 (이하 역순) | 13~20 | 10 | |
6 | 춘의동 | 전진아파트 | ↔ | 부천시청 | 정명고교, 깊은구지4, 극동아파트, 부천역, 전화국4, 부천대학교, 부천소방서 → 계남고교 → 영안아파트 →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 부천시청역, 현대백화점 중동점 → 신중동역 → 신영증권 → 부천소방서 (이하 역순) | 9~10 | 6 | |
6-2 | 춘의동 | 전진아파트 | ↔ | 부천터미널 | 정명고교, 깊은구지4, 자유시장, 부천역, 극동아파트, 부천남중교, 부천고교, 중동역, 펠리스카운티, 중앙공원, 미리내마을, 부천시청역, 현대백화점 중동점 → 부천터미널 소풍 → 상동역 → 현대백화점 중동점 (이하 역순) | 11~13 | 9 | |
8 | 고강동 | 고강동 | ↔ | 대장공영차고지 | 고강우체국, 원종4, 미성주유소, 성곡동행정복지센터, 여월휴먼시아4,5단지, 부천종합운동장역, 춘의역, 원미1동행정복지센터.원미어울마당, 대성병원, 부천역, 전화국4, 부천시민회관, 팰리스카운티, 부천여고, 송내역, 부인중학교, 반달마을, 복사골문화센터, 상도중교, 영안아파트,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경기국제통상고교, 중앙공원, 부천시청역, 현대백화점 중동점, 경인지방노동청, 한라마을, 덕유마을, 부천체육관, 부천테크노파크, 부천자동차검사소 | 10~15 | 17 | 저상버스 운행 |
16 | 대장동 | 송내역 | ↔ | 삼산농산물시장 | 복사골문화센터, 부천정보산업고, 하얀마을, 상동역, 진달래마을, 다정한마을, 미래타운 | 5~8 | 9 | 부천버스에서 이관받은 노선 전 차량 저상버스 운행 |
23 | 고강동 | 고강공영차고지 | ↔ | 송내역 | 신월청소년센터, 화곡역, 신월동, 고강동, 원종동, 여월휴먼시아1단지, 부천종합운동장역, 춘의역, 신중동역, 부천시청역, 현대백화점 중동점,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복사골문화센터 | 6 | 25 | 저상버스 운행 |
23-2 | 계수동 | 소사공영차고지 | ↔ | 라일락마을 | 시흥대야역, 범안동현장민원실, 범박힐스테이트, 진영정보공업고, 소사본동주민센터, 소사3, 부천역, 부천대학교, 부천소방서, 신중동역, 부천시청역, 현대백화점 중동점, 부천터미널 소풍, 상동역 → 부천영상문화단지 → 라일락마을 → 상동역 (이하 역순) | 4~7 | 23 | 저상버스 운행 |
25 | 계수동 | 소사공영차고지 | ↔ | 자유시장 | 부안초교, 역곡역, 괴안3, 삼익아파트, 소사초교, 소사3, 부천역, 극동아파트, 깊은구지4, 자유시장 (이하 역순) | 10~15 | 8 | 2013년 9월 17일에 기존 23-1번 노선에서 범박동 구간 분리 |
70 | 고강동 | 고강공영차고지 | ↔ | 송내역 | 송내역, 복사골문화센터, 부천정보산업고, 상원고교, 상동역, 부천터미널 소풍, 현대백화점 중동점, 부천시청역, 은하마을, 덕유마을, 다니엘병원, 신흥시장, 삼정4, 도당4, 부천북부도서관, 성곡동주민센터, 원종4, 오정농협, 신월5동주민센터, 화곡역, 화곡터널, 까치산역, 신월1동주민센터, 고강공영차고지 | 8~10 | 19 | |
70-2 | 춘의동 | 춘의동(부천장례식장) | ↔ | 국회의사당역 | 부천역, 대성병원, 춘의역, 도당4거리, 여월동, 원종동, 고강동, 화곡역, 등촌역, 염창역, 당산역 | 5~6 | 40 | 저상버스 운행 |
70-3 | 대장동 | 대장공영차고지 | ↔ | 영등포역 | 송내역, 송내초교, 상동주민센터, 영안아파트, 넘말, 중앙공원, 미리내마을, 신중동역, 부천세무서, 부천교육지원청, 약대5, 도당4, OBS, 신월5동주민센터, 화곡역, 강서구청, 등촌역, 염창역, 당산역, 영등포구청역, 당산동진로아파트, 타임스퀘어(영등포역) | 7~9 | 24 | 저상버스 운행 |
71 | 소사동 | 소사동 | ↔ | 방화동 | 소사초교, 대보시장, 소사역, 부천역, 대성병원, 원미1동행정복지센터.원미어울마당, 춘의역, 심원고교, 부천세무서, 부천교육지원청, 약대5, 삼정4, 부천 나들목, OBS경인TV, 대장동입구, 오쇠동, 서울송정중교 → 김포국제공항 → 방화중교 → 개화산역, 방화1동주민센터 → 공항시장역 → 공항동주민센터 | 8~11 | 18 | 전 차량 저상버스 운행 |
75 | 고강동[13] | 고강동 | ↔ | 광명역 | 수주초교, 고강4, 원종4, 미성주유소, 성곡동주민센터, 여월휴먼시아4,5단지, 부천종합운동장역, 춘의역, 원미1동행정복지센터.원미어울마당, 대성병원, 부천역, 전화국4, 부천시민회관, 중동역, 송내4, 부천고교, 깊은구지4, 극동아파트, 부천역, 대보시장, 소사초교, 괴안동4, 부안초교, 역곡역, 유한대학교, 오류동역, 오류 나들목, 개봉역, 가산디지털단지역, 독산역, 하안동, 광명시보건소, 소하동 | 8~11 | 27 | 저상버스 운행 |
700 좌석버스 | 상동 | 부천상동 | ↔ | 여의도 | 송내역, 복사골문화센터, 부천터미널 소풍, 현대백화점 중동점, 부천시청역, 신중동역, 춘의역, 부천종합운동장역, 까치울역, 서부트럭터미널 - 목동동로(상행) / 목동서로 (하행) - 선유도역, 당산역, 영등포전화국, 영등포시장역, 영등포역, 여의도공원 → MBC → 여의나루역 → 63빌딩 → 샛강역, KBS별관 | 12~16 | 17 | 심야버스 운행 |
G8808 직행좌석 | 소풍터미널 | ↔ | 동안경찰서.범계역 | →송내역→시흥요금소→광명역→안양1번가→비산사거리 | 30~40 | [14] | ||
4. 영업소
- 부천북부역 본사: 경기도 부천시 심곡동에 있는 본사이자 환승 정류장이다.
- 춘의동차고지: 경기도 부천시 춘의동에 있는 영업소다.
- 대장동공영차고지: 경기도 부천시 대장동에 있으며, 부일교통, 성광운수, 부천버스 등과 공동으로 사용중이다.
- 상동영업소: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있으며, 인천 부개역, 부천 상동시계 부근에 있는 영업소다.
- 소사동영업소: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에 있는 영업소다.
- 고강동영업소(부천공영차고지):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있으며, 도원교통, 청우운수, 부일교통 등과 공동으로 사용중이다.
- 송내동 전진아파트영업소: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에 있으며, 6번, 6-2번의 차고지로 두 대 가량만 주차가 가능한 소규모 형태의 영업소로 6번, 6-2번의 요금 정산 등은 이쪽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운행이 끝나면 첫차로 운행할 두 대를 제외하고 모두 춘의동차고지로 공차회송한다.
5. 미운행 노선 (폐선 및 이관 노선)
- 1번: 약대동 - 부천시청 - 송내역 - 시민회관 - 부천역 - 원미구청 - 오정동 - 방화동
- 1-1번: 중동신도시 - 원미경찰서 - 약대사거리 - 오정동 - 김포공항
- 2번: 오쇠동 - 오정동 - 도당동 - 원미구청 - 부천역 - 부천전화국 - 넘말
- 2-1번: 오쇠동 - 고강동 - 작동 - 까치울역 - 부천종합운동장역 - 석왕사 - 부천역 - 원미구청 - 도당동 - 한다리
- 2-2번: 작동 - 까치울역 - 부천종합운동장역 - 석왕사 - 부천역 - 넘말 - 부천시청 - 부천교육청 - 원미구청 - 춘의차고지
- 3-1번: 부천공영차고지 - 고강동 - 원종동 - 부천종합운동장역 - 원미로 - 부천역 - 중동역 - 부천고등학교 - 부천역 - 대보시장 - 소사동 (2013년 8월 5일 3번 도시형버스에 통폐합)
- 5-1번: 부천역 - 상공회의소 - 중앙공원 - 부천시청 - 삼정동 (도시형버스 5번에 통폐합)
- 5-2번: 춘의동차고지 - 부천역 - 원미구청 - 상동시장 - 송내역 - 부천정보산업고등학교 - 무지개고가차도 - 부천영상문화단지 - 진산고등학교 (2012년 10월 27일 폐선)
- 5-5번: 춘의동차고지 - 부천역 - 원미구청 - 신중동역 - 라일락마을 (2019년 5월 13일 5-3번 도시형버스에 통폐합)
- 5-6번: 부천역 - 부천소방서 - 미리내마을 - 부천시청 - 상동역 - 부천터미널 소풍 (2015년 10월 13일 5-4번에 통폐합)
- 6-1번: 송내역 - 중동역 - 부천고등학교 - 부천남중학교 - 부천역 - 부천남초등학교 - 소사삼거리 - 소사구청(2016년 7월 1일 폐선)
- 7번: 송내역 - 상동시장 - 부곡초등학교 - 연화마을 - 조마루 - 춘의차고지
- 7-1번: 춘의동 - 상도중교 - 순천향대병원 - 경기국제통상고등학교 - 부천시청역 - 한라마을 - 부천체육관 - 부천테크노파크 - 송내역(2019년 8월 12일 8번 도시형버스에 통폐합)
- 7-2번: 송내역 - 목련마을 - 부천정보산업고등학교 - 상동역 - 라일락마을 - 서해그랑블 - 삼산농산물시장 - 한림병원 (2013년 5월 10일 폐선)
- 7-3번: 송내역 - 복사골문화센터 - 넘말 - 무지개마을 - 미리내마을 - 신중동역 - 중흥고교 - 부천테크노파크 - 내동4 - 북부도서관 - 영화아파트 - 원종사회복지회관 - 오정구청 - 고강1동주민센터 - 신월동 - 화곡역 (2016년 7월 16일 폐선)
- 7-4번: 상동 - 송내역 - 복사골문화센터 - 경기국제통상고등학교 - 중앙공원 - 부천시청역 - 은하마을 - 덕유마을 - 삼정초등학교 - 부천테크노쌍용3차 - 오정동 - OBS경인TV - 오쇠동 - 김포국제공항 (2016년 3월 23일부터 경원여객으로 이관)
- 8-1번: 대장동공영차고지 - 부천 폐기물 처리장
- 9번: 소사차고지 - 소사역 - 석왕사 - 부천종합운동장 - 작동 - 새보미아파트 - 욱일아파트 - 원종고등학교 - 오정구청 - 덕산 초,중,고등학교 (2012년 8월 31일 폐선)
- 10번: 부천역 - 원미구청 - 춘의사거리 - 원미경찰서 - 중동신도시 - 송내역 - 부천역
- 11번: 대장공영차고지 - 부천자동차검사소 - 부천테크노 쌍용3차 - 부천테크노파크 - 약대주공아파트 - 신흥시장 - 도당동 - 부천대우테크노파크 - 춘의역 - 원미1동행정복지센터 - 부천역[15]
- 11-1번: 약대동 - 중동신도시 - 부천역
- 12번: 계수동 - 범박힐스테이트 - 괴안동 - 역곡역 - 소사역 - 부천역 - 춘의역 - 도당동 - 오정동 - OBS경인TV - 오쇠동 - 김포국제공항 (2016년 4월 6일부터 시흥교통으로 이관)
- 12-1번: 계수동 - 부천역 - 중동역 - 법원검찰청 - 부천시청 - 부천교육청 - 오정동 - 대장동 (도원교통으로 이관 직전 노선)
- 12-2번: 계수동 - 역곡역 - 부천역 - 춘의사거리 - 페어차일드반도체 - 도당동 - 오정동 - 대장동 (12번 도시형버스에 통합)
- 15번: 역곡역 - 가톨릭대학교 (현 부일교통 15번과 무관)
- 22-1번: 소사동 - 대보시장 - 부천역 - 시민회관 - 부천여자고등학교 - 상동시장 - 복사골마을 - 중앙공원 - 중흥마을
- 23-3번: 작동 - 원종동 - 성곡동 - 원미동 - 부천역 - 중동역 - 부천역 - 소사삼거리 - 대보시장 - 괴안동사거리 - 역곡역 (도시형버스 75번에 통폐합)
- 23-1번: 송내역 - 대장공영차고지
- 23-5번: 소사공영차고지 - 소사국민체육센터 - 부천범박힐스테이트입구.동남사거리 - 역곡역 - 역곡초.중.고등학교 - 까치울역 - 까치울초등학교 - 수주초등학교 - 고강본동 (2018년 5월 11일 폐선)
- 33번: 화곡역 - 신월5동주민센터 - 수주초교 - 고강본동 - 고강우체국 - 작동 - 까치울역 - 여월휴먼시아2,3,4,5단지 - 부천종합운동장역 - 춘의역 - 신중동역 - 부천시청역 - 현대백화점 중동점 - 중앙공원 - 경기국제통상고교 -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 복사골문화센터 - 송내역 (2013년 6월 27일 ~ 2016년 12월 28일. 청우운수로 이관 후 77번 번호 변경)
- 51번: 월미도 - 인천역 - 동인천역 - 제물포역 - 석바위 - 백운역 - 부평역 - 부천역 - 춘의역 - 강남시장 - 약대오거리 - 오정동 - 방화동 (현 정원운수 51번과 무관)
- 53번: 월미도 - 인천역 - 동인천역 - 제물포역 - 석바위 - 백운역 - 부평역 - 부천역 - 원미동 - 여월동 - 성곡동 - 원종동 - 오쇠동 - 방화동 (현 부일교통 53번과 무관)
- 55번: 구미마을 - 계수동 - 범박동 현대홈타운 - 괴안동사거리 - 대보시장 - 소사삼거리 - 부천역 - 한전 앞 - 인천중앙병원 (현 부일교통 55번과 무관)
- 70-1번: 춘의동차고지 - 여월지구 - 새보미아파트 - 화곡역 - 강서구청 - 가양역 - 가양7단지상가 - 증미역 (2013년 3월 3일 23번 도시형버스에 통합)
- 70-4번: 약대동 - 송내역 - 도당동 - 원종동 - 고강동 - 화곡역 - 강서구청 - 당산역 - 영등포역
- 72번: 오쇠동 - 발산역 - 등촌역 - 염창역 - 당산역 - 영등포역 - 신도림역 - 오류동역 - 부천역 - 오쇠동
- 72-1번: 계수동 - 역곡역 - 오류동역 - 신도림역 - 영등포역 - 당산역 (1997년 당산철교 보수공사로 인해 폐선)
- 73번: 부천역 - 원미동 - 원종동 - 오쇠동 - 발산역 - 등촌역 - 염창역 - 당산역 - 영등포역 - 신도림역 - 오류동역 - 역곡역 - 부천역 - 오쇠동 (순환 노선으로 역방향 노선도 있었음. 2000년 때 폐선)
- 96번: 범박휴먼시아2단지 - 범박고등학교 - 범박휴먼시아1단지 - 괴안동사거리 - 소사구청 - 소사역 - 부천역 - 전화국사거리 - 부천시민회관 - 펠리스카운티 - 부천여자고등학교 - 송내역 (부천버스에서 받은 노선. 2015년 10월 부일교통으로 이관)
- 96-1번: 송내역 - 부인초등학교 - 부천정보산업고등학교 - 상일고등학교 - 부개여자고등학교 - 부개주공2단지 - 삼산동(구 96번 노선 계통분리. 2016년 7월 1일 부일교통으로 이관)
- 220번: 소사동 - 부천역 - 부천대학교 - 부천소방서 - 신중동역 - 춘의역 - 도당사거리 - 부천 나들목 - OBS경인TV - 대장동입구 - 오쇠동 - 김포국제공항 (구 22번. 2016년 3월 23일부터 경원여객으로 이관)
- 300번: 소사동 - 부천역 - 원미동 - 원종동 - 김포국제공항 (3번 도시형버스에 통폐합)
- 550번: 월미도 - 인천역 - 동인천역 - 제물포역 - 석바위 - 백운역 - 부평역 - 중동역 - 부천역 - 원미구청 - 페어차일드반도체 - 도당사거리 - 성곡동 - 원종동 - 김포국제공항 (이후 백운역으로 단축되고, 2002년 3월 때 도원교통으로 이관 후 50번 도시형버스로 형간 전환, 송내역으로 단축)
- 550-1번: 소사차고지 - 부천역 - 중동역 - 송내역 - 넘말 - 부천시청 - 설악마을 - 오정동 - 김포국제공항
- 770번: 부천역 - 원미구청 - 페어차일드반도체 - 도당사거리 - 성곡동 - 원종동 - 고강동 - 화곡역 - 강서구청 - 등촌역 - 염창역 - 당산역 - 영등포역 (1990년 6월 4일 신설. 기존 70-2번 급행격 노선. 2000년 12월 때 70-2번 도시형버스에 통폐합)
- 770-1번: 삼정동 - 부천시청 - 약대동 - 원종동 - 화곡역 - 강서구청 - 등촌역 - 염창역 - 당산역 - 영등포역 (현재 70번 도시형버스가 운행방향이 비슷하다.)
6. 보유 차종
- 자일대우 NEW BS106
- 우진산전 아폴로 1100
- 현대 그린시티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 현대 일렉시티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럭셔리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
- 하이거 하이퍼스 EV
- 하이거 하이퍼스 HP
- 비야디(BYD) eBus-11
- 비야디(BYD) eBus-12
참조
[1]
뉴스
창립기념일 축하합니다
https://newslibrary.[...]
매일경제
1993-09-13
[2]
뉴스
軍浦塲半月塲間(군포장반월장간) 乘合自動車開通(승합자동차개통)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1-06-12
[3]
뉴스
安養君子間(안양군자간) 自動車開通(자동차개통) 오는二十(이십)일부터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3-12-16
[4]
뉴스
素砂(소사)⇆吾丁間(오정간) 自動車開通(자동차개통)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8-02-26
[5]
뉴스
부천~영등포,서울시청 좌석버스 2개노선 개통
https://newslibrary.[...]
한겨레
1990-06-05
[6]
웹사이트
소신여객 기업개요
http://www.kreport.c[...]
한국기업데이터
[7]
웹사이트
소신홀딩스 기업개요
http://www.kreport.c[...]
한국기업데이터
[8]
웹사이트
220번, 7-4번 노선 이관
http://www.sosinbus.[...]
소신여객 공지사항
2016-03-24
[9]
웹사이트
12번 운행개시(2016-04-06)
http://www.shbus.net[...]
시흥교통 공지사항
2016-04-05
[10]
웹사이트
6-1번 및 96-1번 폐선안내
http://www.sosinbus.[...]
소신여객 공지사항
2016-07-01
[11]
웹사이트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2-03-22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뉴스
부천 시내버스 11번 ‘폐선’… 사라진 ‘시민의 발’
https://www.kyeonggi[...]
경기일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