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토 시영 지하철 가라스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토 시영 지하철 가라스마선은 교토부 교토시를 운행하는 지하철 노선이다. 1981년 기타오지역과 교토역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1997년 전 노선이 개통되었으며, 다케다역에서 긴키 닛폰 철도 교토선과 상호 직통 운행을 한다. 노선 거리는 13.7km이며, 총 15개 역이 있다. 가라스마선 내 반복 운행 외에 긴테쓰 나라선으로 운행하는 급행 열차도 운행하며, 교토 시 교통국 10계, 20계 전동차와 긴키 닛폰 철도 3200계, 3220계 전동차가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토 시영 지하철 노선 - 교토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
교토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은 교토부의 지하철 노선으로, 1997년 개통하여 게이한 전기 철도와 공동 운행하며, 재정 문제와 연장 계획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 교토시의 교통 - 교토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
교토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은 교토부의 지하철 노선으로, 1997년 개통하여 게이한 전기 철도와 공동 운행하며, 재정 문제와 연장 계획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 교토시의 교통 - 에이잔 전철 에이잔 본선
에이잔 전철 에이잔 본선은 교토시 데마치야나기역과 야세히에이잔구치역을 잇는 5.6km의 복선 철도 노선으로, 8개의 역이 있으며, 1925년 개업 이후 현재는 에이잔 전철에서 운영한다. - 198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북전주선
북전주선은 전라북도 전주시에 있는 1.7km 길이의 한국철도공사 화물 전용 철도 노선으로, 1981년 전라선 이설로 분리되었으며, 동산역과 북전주역을 잇고 표준궤를 사용하며 전철화 및 복선화는 되어 있지 않다. - 198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
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은 후쿠오카시 교통국이 운영하며 메이노하마역과 후쿠오카 공항역을 잇고 지쿠히선, 하코자키선과 직결 운행하는 후쿠오카시 중심부와 공항을 연결하는 핵심 노선으로, 2024년 11월 29일부터 4000계 전동차가 운행을 시작했고 향후 사사구리선과의 직통 운전도 구상 중이다.
교토 시영 지하철 가라스마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종류 | 도시 철도 |
노선 체계 | 교토 시영 지하철 |
노선 상태 | 영업 중 |
노선 기점 | 국제회관역 (교토부 교토시 사쿄구) |
노선 종점 | 다케다역 (교토부 교토시 후시미구) |
역 수 | 15개 역 |
노선 기호 | K |
개통일 | 1981년 5월 29일 |
최종 연장 | 1997년 6월 3일 |
소유자 | 교토시 교통국 |
운영자 | 교토시 교통국 |
차량 기지 | 다케다 차량기지 |
노선 구조 | 지상 구간: 다케다 역 |
노선 길이 | 13.7 km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수 | 복선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방식 |
신호 방식 | CS-ATC |
최고 속도 | 75 km/h |
웹사이트 | 교토시 교통국 |
명칭 | |
한국어 명칭 | 교토 시영 지하철 가라스마선 |
일본어 명칭 | (가라스마 선) |
로마자 표기 | Karasuma-sen |
차량 정보 | |
사용 차량 | 10계 20계 |
2. 역사
교토 시영 지하철 가라스마선은 교토 시내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중요한 노선이다. 1981년 기타오지 역 - 교토역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1988년, 1990년, 1997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노선이 연장되었다.[4] 특히 가라스마 거리 지하를 지나는 기타오지 역 - 주조역 구간은 교토 도심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개통 초기에는 4량 편성이었으나, 다케다역 연장 후 6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다. 긴키 일본 철도(긴테츠) 교토선과의 상호 직통 운행으로 긴테쓰 나라역까지 연결되어 교토와 나라를 잇는 광역 교통망의 중요한 축이기도 하다. 2022년 기준 하루 평균 약 25만 명이 이용하여, 간사이 지역 지하철 중 오사카 메트로 주요 노선 다음으로 이용객이 많다.
2. 1. 연표
- 1974년 호오 신사에서 가라스마선 기공식이 거행되었다.[15] 이 해에 발매된 "기념 메달과 승차권 세트"로 개업 당시 시운전에 탑승할 수 있었다.
- 1981년 5월 29일: 기타오지 역 - 교토역 구간이 개업하고,[2][4] 10계 전동차 영업 운전이 시작되었다.
- 1988년
- * 6월 11일: 교토역 - 다케다 역 구간이 개업하였다.[2]
- * 8월 28일: 긴테쓰 교토선 신타나베역까지 상호 직통 운전을 시작하였다. 긴테쓰 3200계 전동차의 운용이 시작되었다.
- 1990년 10월 24일: 기타야마 역 - 기타오지 역 구간이 개업하였다.
- 1997년
- * 5월 22일: 도자이선 개업에 앞서 오이케 역을 가라스마오이케역으로 개칭하였다.
- * 6월 3일: 고쿠사이카이칸역 - 기타야마 역 구간이 개업하여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정오부터 영업 시작).
- * 12월 1일 - 12월 10일: 교토 회의 개최에 따라 고쿠사이카이칸역 - 다카노하라역 간의 직통 운전을 실시하였다.
- 2000년 3월 15일: 고쿠사이카이칸역 - 긴테쓰 나라역 간 직통 급행 운전을 시작하였다(낮 시간대에는 30분 간격으로 운전). 긴테쓰 3220계 전동차의 영업 운전이 시작되었다.
- 2010년 3월 19일: 백지 다이어 개정을 실시하였다. 21시・22시 대 증편과, 가라스마오이케역에서의 환승 시간 균등화 등을 실시하였다. 또한, 가라스마오이케역에서의 가라스마선・도자이선 최종 열차의 전 방향 일제 발차 작전 "신데렐라 크로스"를 시작하였다.
- 2011년 3월 25일: 이날부터 개업 당시부터 30년간 사용된 접근 방송이 갱신되어, 입선 멜로디가 도입되었다.[16] 상하행선에 따라 다른 멜로디를 사용하며, 상행은 남성, 하행은 여성의 안내 방송을 사용한다.[17]
- 2012년 3월 20일: 다이어 개정이 이루어졌다. 낮 시간대의 급행을 60분 간격 운전으로 감편하였다.
- 2013년 3월 23일: 교통계 IC 카드의 전국 상호 이용을 시작하였다.
- 2014년 12월 20일: 가라스마오이케역에서 가동식 홈 울타리의 가동을 시작하였다 (2015년도에는 시조 역, 교토역에도 설치).
- 2015년 10월 2일: 연말연시 및 오봉 기간을 제외한 매주 금요일에만 최종 열차를 30분 연장하는 "코토킨 라이너" 운전을 시작하였다 (가라스마오이케 역에서의 "신데렐라 크로스"도 실시).
- 2018년 3월 17일: 다이어 개정을 실시하였다. 평일 다이어의 7시 대와 10시 대에 각 1 왕복 및 15시 - 17시 대에 2 왕복 증편하였다. 평일・토요일・공휴일 다이어 모두 고쿠사이카이칸역의 시발 열차를 5분 앞당겼다.
- 2021년 3월 26일: "코토킨 라이너"의 운행을 당분간 중지하였다.[18]
- 2022년
- * 3월 26일: 20계 운행을 시작하였다.[19][20]
- * 12월 17일: 다이어 개정을 실시하였다. 주간 매시 8개 운전에서 7개 운전으로 감편하였다.[21] 평일의 고쿠사이카이칸역 - 긴테쓰 나라역 간 직통 급행의 운전 시간대를 주간에서 아침・저녁으로 변경하였다.[10]
2. 2. 연장 계획
아부라노코지 도리 고밀도 집적 지구로 지정되어 활성화를 기대하며 다케다역에서 긴테쓰 교토선과 분기하는 요코오지 부근까지 4.4km를 연장할 계획이 있다. 노선은 오테스지를 지나 게이한 본선 주쇼지마역과 요도역 사이 부근까지로 되어있다. 국토교통성의 자문 기관인 긴키 지방 교통 심의회가 2004년 10월 8일에 중장기적으로 원하는 철도 네트워크로서 다케다 역 이남의 연장 계획을 답신했다.[23][24]2017년 교토 신문의 취재에 따르면, 교통국은 지하철 사업에 많은 빚이 있다는 것을 이유로 공사 착수는 어렵다고 밝혔다.[22]
우지 강을 넘어 남진해 우지 강 남부에 계획되고 있는 라쿠난 신도시까지의 연장 구상도 있었지만,[25] 긴키 지방 교통 심의회 답신에서는 언급되지 않았다. 북단도 이와쿠라 지구까지 연장하는 구상이 있었는데 이쪽도 긴키 지방 교통 심의회 답신에서는 일절 언급되지 않고 있다.
3. 운행 형태
가라스마선은 다케다역에서 긴키 닛폰 철도(긴테쓰) 교토선과 상호 직결 운행을 한다. 2012년 3월 20일 개정된 시간표에 따르면, 낮 시간대에는 1시간에 8편(7분 30초 간격)이 운행되며, 고쿠사이카이칸역과 다케다역 사이를 모두 운행한다. 세부적으로는 가라스마선 내 반복 운행 5편, 신타나베역 직통 보통 열차 2편, 긴테쓰 나라역 직통 급행 열차 1편으로 구성된다. 구간 운행은 하지 않는다.
긴테쓰 교토선 신타나베역 발착 열차와 긴테쓰 나라역 발착 급행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3. 1. 가라스마선 내 반복
가라스마선은 자체 반복 운행 외에도 다케다역에서 긴키 닛폰 철도(긴테쓰) 교토선과 상호 직결 운행을 한다. 2012년 3월 20일 개정된 시간표에 따르면, 낮 시간대에는 1시간에 8편(7분 30초 간격)이 운행되며, 이 중 5편은 가라스마선 내 반복, 2편은 신타나베역 직통 보통, 1편은 긴테쓰 나라역 직통 급행이다. 모든 열차는 고쿠사이카이칸역과 다케다역 사이를 운행하며, 구간 운행은 없다.가라스마선 반복 열차는 낮에는 매시 5편 운행된다. 가을 성수기, 기온마쓰리, 대문자 태워보내기 행사 등 승객이 많은 시기에는 증편되기도 한다.
교토 시 교통국 차량과 주행 거리를 맞추기 위해 긴테쓰 차량도 운용된다. 역의 행선 안내와 열차 행선막에는 열차 종별이 표시되지 않고 '고쿠사이카이간', '다케다' 등 행선지만 표시된다. 3200계는 열차 종별을 표시하지 않는 행선막(행선지만 검은 문자)이 별도로 준비되어 있지만, 3220계는 열차 종별 표시를 흑색으로 하여 운행한다. 직통 열차도 상행(고쿠사이카이간행)의 경우 다케다 역 행선 표시만으로 변경된다.
3. 2. 긴테쓰 직통 보통
다케다역에서 긴키 닛폰 철도(긴테쓰) 긴테쓰 교토선으로 상호 직통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긴테쓰 교토선 신타나베역 발착 열차가 낮 시간대에는 1시간에 2번(30분 간격) 운행된다.[9] 열차의 행선지 표시에는 행선지 왼쪽에 파란색 바탕에 흰색 글씨로 " 보통 "이라고 표시된다.[9] 국제회관행의 경우에도 종별 표시가 없는 선내 회차용으로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가라스마선으로 직통한다.[9]2024년 3월 16일 시간표 변경 전까지 평일 저녁에는 긴테쓰 미야즈발 국제회관행 보통 열차가 1편 운행되었다. 미야즈 발만 있었고 반대 방향인 국제회관 발 미야즈행은 없었으며, 긴테쓰 차량으로 운행되었다. 새벽에 1편만 긴테쓰 미야쓰 역 출발 고쿠사이카이간행 보통이 운행되고 있다(긴테쓰 미야쓰행 열차는 없다).
3. 3. 긴테쓰 직통 급행
2000년 3월 15일 시간표 개정으로 긴테쓰 나라 역 발착 급행 열차(가라스마 선내 각역 정차)가 낮 시간대에 매시 1편(60분 간격), 아침에도 고쿠사이카이칸 역 출발만 2편(토·휴일은 1편) 운행되기 시작했다. 2012년 3월 20일 시간표 개정 이전에는 낮 시간대에 매시 2편(30분 간격) 운행되었다.[10]긴테쓰 나라 역 발착 급행은 평일 아침, 저녁 시간대와 토, 휴일에 운행된다. 가라스마선 내에서는 각 역에 정차하며, 긴테쓰선 내에서는 급행 정차역에 정차한다. 열차의 방향막에는 왼쪽에 주황색 바탕에 흰색으로 '''급행'''이라고 표시되지만, 국제회관행의 경우에는 다케다 역 도착 시 종별 표시가 없는 선내 회차용 표시로 변경된다.
2012년 3월 20일 시간표 개정으로 낮 시간대는 1시간에 2편(30분 간격)에서 1시간에 1편(60분 간격) 운행으로 변경되었다. 2022년 12월 17일 시간표 개정으로 평일은 아침, 저녁 시간대에만 운행하게 되었다.[10]
급행에는 긴테쓰 차량 외에 교토 시 교통국 차량도 투입된다. 지하철 선내에서도 우등 열차로 운행되는 열차에 지하철 사업자의 차량이 투입되는 것은 수도권 외에는 이 가라스마선뿐이다.[11]
4. 노선 정보
1981년 기타오지역 - 교토역 구간이 개통되었다.[7] 1988년 교토역 - 다케다역 구간, 1990년 기타야마역 - 기타오지역 구간, 1997년 고쿠사이카이칸역 - 기타야마역 구간으로 순차적으로 연장되었다. 기타오지역 - 주조역 구간은 가라스마 거리의 지하를 지나며, 교토 시 중심부를 남북으로 관통하고 있다. 다케다역은 지상 구간이며, 이는 도자이선을 포함한 교토 시영 지하철 전 노선에서 유일하다. 개업 초기에는 4량 편성으로 운행되었으나, 다케다역 연장 개통 후에는 모든 열차가 6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다. 다케다 연장 개통 약 2개월 후부터 긴테츠 교토선과의 상호 운행을 시작하여, 처음에는 신타나베역까지, 나중에는 긴테쓰 나라역까지 직통 운행 구간이 확대되었다. 가라스마선 내 모든 역은 장래 증결에 대응하는 홈 길이를 갖추고 있다.[7]
항목 | 내용 |
---|---|
노선 거리 (영업 킬로미터) | 13.7 km (지상부 0.4 km)[7] |
궤간 | 1435 mm |
역 수 | 15개역 (기종점역 포함) |
복선 구간 | 전선 |
전철화 구간 | 전선 전철화 (직류 1500V · 가공 전차선 방식) |
지상 구간 | 다케다역 |
폐색 방식 | 차내 신호 방식 (ATC) |
최고 속도 | 75 km/h[7][5] |
평균 속도 | 38.7 km/h (2021년 4월 1일 현재)[7] |
표정 속도 | 29.9 km/h (2021년 4월 1일 현재)[7] |
전선 소요 시간 | 27분 30초 (2021년 4월 1일 현재)[7] |
총 건설비 | 3.054조엔[8] |
5. 차량
교토 시 교통국과 긴키 닛폰 철도(긴테쓰)에서 운행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 10계
- 20계
- 3200계
- 3220계
- 3000계 (2012년 폐차)
5. 1. 교토 시 교통국
10계는 긴테쓰 선에서는 지하철 노선과 직결 운행을 하는 다케다역 - 신타나베역·긴테쓰나라역 구간에서만 운행한다. 긴테쓰 선내에서는 운행하지 않는다. 가라스마 선 내에서의 행선막으로는 '고쿠사이카이간', '다케다' 외에 과거의 종착역인 '교토'(긴테쓰 차량은 긴테쓰 선의 교토행이 있기 때문에 현재도 사용 중), '기타오지', '기타야마', '가라스마오이케'행이 있다. '가라스마오이케'행은 평소에는 사용되지 않지만 2005년 5월 23일 교토역 연기 발생 소동 때 사용된 적이 있다(지하철 차량은 일부를 제외하고 비상 건넘선이 존재하는 역의 행선지도 포함되어 있다).[12]20계는 2021년부터 개업 당시부터 운용하던 10계 9개 편성을 ATO에 대응하는 신형 차량으로 교체하기 위해 도입되었다.[12] 2022년 3월 26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19] 운행 범위는 10계와 마찬가지로, 긴테쓰 선에서는 지하철 노선과 직통 운행을 하는 다케다역 - 신타나베역·긴테쓰나라역 구간에서 운행한다.

5. 2. 긴키 닛폰 철도
긴키 닛폰 철도(긴테쓰) 차량으로는 3200계와 3220계가 운행되고 있다. 이 두 차량은 긴테쓰 선 직통 열차뿐만 아니라 가라스마 선 내에서만 운행되기도 한다.3000계는 1979년에 교토 시영 지하철 가라스마선과의 상호 직통 운전을 고려하여 제조된 차량이었다. 긴테쓰 유일의 스테인리스 차체를 가진 차량이었으나, 실제 가라스마선 직통 운행에는 3200계가 사용되었다. 3000계는 2012년에 폐차되었다.
6. 역 목록
승하차객 수
(2023년도)
서일본 여객철도: 도카이도 본선(JR 교토선·비와코선:JR-A31)・ 코세이선 (JR-B31)・ 산인 본선(사가노선:JR-E01)・ 나라선 (JR-D01)
킨키 일본 철도: 교토선 (B01)
○ 급행…나라선 킨테츠나라역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