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당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편찬 과정 및 배경
- 3. 구성
- 3.1. 본기(本紀)
- 3.1.1. 당 고조(高祖)
- 3.1.2. 당 태종(太宗)
- 3.1.3. 당 고종(高宗)
- 3.1.4. 측천무후(則天武后)
- 3.1.5. 당 중종(中宗)·예종(睿宗)
- 3.1.6. 당 현종(玄宗)
- 3.1.7. 당 숙종(肅宗)
- 3.1.8. 당 대종(代宗)
- 3.1.9. 당 덕종(德宗)
- 3.1.10. 당 순종(順宗)·헌종(憲宗)
- 3.1.11. 당 목종(穆宗)
- 3.1.12. 당 경종(敬宗)·문종(文宗)
- 3.1.13. 당 무종(武宗)
- 3.1.14. 당 선종(宣宗)
- 3.1.15. 당 의종(懿宗)
- 3.1.16. 당 희종(僖宗)
- 3.1.17. 당 소종(昭宗)
- 3.1.18. 당 애제(哀帝)
- 3.2. 지(志)
- 3.3. 열전(列傳)
- 3.1. 본기(本紀)
- 4. 평가 및 의의
- 참조
1. 개요
《구당서》는 후진 시대에 편찬된 당나라의 정사로, 총 20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941년 석경당의 명으로 시작되어 조영이 초대 총 편집자를 맡았으나, 유욱이 재상이 되면서 유욱이 총 편집자로 기록되었다. 기전체 형식으로 본기, 지, 열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당나라 황제의 치세, 제도, 문물, 인물들의 전기를 담고 있다. 비록 북송 시대에 조직의 부실함과 문체 부족으로 비판받아 《신당서》가 편찬되었지만, 1차 사료를 많이 보존하고 있어 사료적 가치가 높다. 특히 발해와 일본의 고대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왜국과 일본에 대한 기록이 두 개의 열전으로 나뉘어 수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대 십국 시대의 문학 - 화간파
화간파는 중국 최초의 사(詞) 모음집인 《화간집》과 관련된 문학 사조로, 이 모음집은 18명 작가의 500여 수 사(詞)를 통해 남녀 간의 애정, 이별, 덧없는 삶을 온화하고 유연하게 묘사하며 송대 사(詞)와 후대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 - 진신의 난 - 덴무 천황
덴무 천황은 덴지 천황의 뒤를 이어 임신의 난으로 즉위한 일본 제40대 천황(재위: 672년~686년)으로, 중앙 집권적 통치 강화, 율령 제정 추진, 신도와 불교 진흥, 일본 고유 문화 발굴 및 정비, "천황" 칭호와 "일본" 국호 최초 사용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진신의 난 - 고분 천황
고분 천황은 덴지 천황의 아들이자 태정대신이었으나, 임신왜란에서 패배 후 자결하였고, 메이지 시대에 천황으로 추증되었으나 즉위 여부는 논쟁 중이다. - 10세기 역사책 - 구오대사
구오대사는 송나라가 오대 왕조의 역사를 기록하여 중화 왕조를 통치할 천명에 대한 주장을 확립하고자 편찬한 책으로, 황제 기록인 본기, 주요 인물 전기인 열전, 천문, 역법 등을 기록한 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외국 열전에는 고려, 발해, 신라에 대한 기록이 있어 한국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이다. - 10세기 역사책 - 오대회요
구당서 | |
---|---|
개요 | |
제목 | 구당서 |
원제 | 舊唐書 |
저자 | 유후 등 |
편찬 시기 | 후진 |
편찬 완료 | 945년 |
권수 | 200권 |
분류 | 정사 |
상세 정보 | |
편찬 경위 | 당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기전체 역사서 |
특징 | 가위와 조희가 총재를 맡아 편찬 |
내용 | 본기 20권 지 30권 열전 150권 |
중요 인물 | 가위, 조희, 장소 |
참고 | 신당서와 함께 당나라 역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 |
역사적 평가 | |
비판 | 사마광이 자치통감에서 구당서의 오류를 지적 |
참고 문헌 | 22사차기 |
관련 서적 | 신당서 |
기타 | |
관련 항목 | 24사 |
2. 편찬 과정 및 배경
《구당서》는 후진의 건국 황제 석경당이 941년에 편찬을 명하면서 편찬이 시작되었다. 초대 총 편집자는 당시 재상이었던 조영이었다. 그러나 책이 완성될 무렵 유욱이 재상이 되어 조직 업무를 맡았고, 결과적으로 945년 진 초제에게 책을 헌상할 때 그가 총 편집자로 기록되었다.
wikitext
《구당서》는 비교적 빠르게 편찬된 정사로서, 현재는 유실된 초기 연대기를 편집한 것이며, 두우의 《통전》과 같은 자료를 사용하여 다른 단행본과 전기를 통합했다. 이러한 자료들은 종종 기록과 이전의 역사에서 직접 복사되었다. 그 결과 북송 시대에 심하게 비판받았는데, 송 인종은 이 책을 "조직이 부실하고, 중요하지 않은 세부 사항으로 가득하며, 문체가 부족하고 연구가 부실하다"고 칭했다. 이러한 오류는 등장인물의 중복된 전기까지 포함했다.
이러한 비판 때문에 1044년, 당나라의 새로운 역사가 편찬되었고, 구양수와 송기가 편집자로 참여하여 《신당서》가 제작되었다. 《신당서》가 헌상된 후, 원래의 《구당서》는 절판되었고, 수 세기 동안 매우 희귀해졌다. 명나라 시대에 남아있는 사본이 수집되어 책이 다시 출판되었고, 결국 《이십사사》 중 하나로 정식 역사서가 되었다.
3. 구성
《구당서》는 총 200권으로, 기전체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기(本紀) 20권, 지(志) 30권, 열전(列傳) 150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권 | 군주 | 시기(음력) | 비고 |
---|---|---|---|
권1 | 고조 이연 | 613년 ~ 635년 5월 (수 대업(大業) 9년 ~ 정관(貞觀) 9년) | |
권2 권3 | 태종 이세민 | 617년 12월 ~ 649년 5월 (수 의녕(義寧) 원년 ~ 정관(貞觀) 23년) | |
권4 권5 | 고종 이치 | 649년 5월 ~ 683년 12월 (정관(貞觀) 23년 ~ 홍도(弘道) 원년) | |
권6 | 측천황후 무조 | 683년 12월 ~ 705년 11월 (홍도(弘道) 원년 ~ 신룡(神龍) 원년) | |
권7 | 중종 이현 예종 이단 | 705년 1월 ~ 716년 6월 (신룡(神龍) 원년 ~ 개원(開元) 4년) | |
권8 권9 | 현종 이융기 | 710년 6월 ~ 761년 4월 (경룡(景龍) 4년 ~ 상원(上元) 2년) | |
권10 | 숙종 이형 | 754년 1월 ~ 762년 4월 (천보(天寶) 13재 ~ 보응(寶應) 원년) | |
권11 | 대종 이예 | 762년 4월 ~ 779년 5월 (보응(寶應) 원년 ~ 대력(大曆) 14년) | |
권12 권13 | 덕종 이괄 | 779년 5월 ~ 805년 1월 (대력(大曆) 14년 ~ 정원(貞元) 21년) | |
권14 권15 | 순종 이송 헌종 이순 | 805년 1월 ~ 820년 1월 (정원(貞元) 21년 ~ 원화(元和) 15년) | |
권16 | 목종 이항 | 820년 1월 ~ 824년 1월 (원화(元和) 15년 ~ 장경(長慶) 4년) | |
권17상 권17하 | 경종 이담 문종 이앙 | 824년 1월 ~ 840년 1월 (장경(長慶) 4년 ~ 개성(開成) 5년) | |
권18상 | 무종 이염 | 840년 1월 ~ 846년 3월 (개성(開成) 5년 ~ 회창(會昌) 6년) | |
권18하 | 선종 이침 | 846년 3월 ~ 859년 8월 (회창(會昌) 6년 ~ 대중(大中) 13년) | |
권19상 | 의종 이최 | 859년 8월 ~ 873년 7월 (대중(大中) 13년 ~ 함통(咸通) 14년) | |
권19하 | 희종 이현 | 873년 7월 ~ 888년 3월 (함통(咸通) 14년 ~ 문덕(文德) 원년) | |
권20상 | 소종 이엽 | 888년 2월 ~ 904년 8월 (문덕(文德) 원년 ~ 천우(天祐) 원년) | |
권20하 | 애제 이축 | 904년 8월 ~ 907년 3월 (천우(天祐) 원년 ~ 천우(天祐) 4년) |
- '''지(志)''': 총 30권. 예의, 음악, 역법, 천문, 오행, 지리, 직관, 여복, 경적, 식화, 형법 등 당나라의 제도와 문물에 대한 기록이다.
권 | 제목 | 비고 |
---|---|---|
권21 | 예의(禮儀) 1 | |
권22 | 예의(禮儀) 2 | |
권23 | 예의(禮儀) 3 | |
권24 | 예의(禮儀) 4 | |
권25 | 예의(禮儀) 5 | |
권26 | 예의(禮儀) 6 | |
권27 | 예의(禮儀) 7 | |
권28 | 음악(音樂) 1 | |
권29 | 음악(音樂) 2 | |
권30 | 음악(音樂) 3 | |
권31 | 음악(音樂) 4 | |
권32 | 역(曆) 1 | |
권33 | 역(曆) 2 | |
권34 | 역(曆) 3 | |
권35 | 천문(天文) 上 | |
권36 | 천문(天文) 下 | |
권37 | 오행(五行) | |
권38 | 지리(地理) 1 | |
권39 | 지리(地理) 2 | |
권40 | 지리(地理) 3 | |
권41 | 지리(地理) 4 | |
권42 | 직관(職官) 1 | |
권43 | 직관(職官) 2 | |
권44 | 직관(職官) 3 | |
권45 | 여복(輿服) | |
권46 | 경적(經籍) 上 | |
권47 | 경적(經籍) 下 | |
권48 | 식화(食貨) 上 | |
권49 | 식화(食貨) 下 | |
권50 | 형법(刑法) |
== 예의지(禮儀志) ==
== 음악지(音樂志) ==
== 역지(曆志) ==
== 천문지(天文志) ==
== 오행지(五行志) ==
== 지리지(地理志) ==
== 직관지(職官志) ==
== 여복지(輿服志) ==
== 경적지(經籍志) ==
== 식화지(食貨志) ==
== 형법지(刑法志) ==
- '''열전(列傳)''': 총 150권. 황후, 후궁, 종실, 공신, 문인, 외국 등 다양한 인물들의 전기이다.
{{숨김 시작
|title = 열전
|titlestyle = background:#FFE400; text-align:center;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color:#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100%;"
|-
!colspan="2" width="15%"| ### !!width="15%"| 부제 !!width="60%"| 목록 !!width="5%"| 비고
|-
| 권51 || 열전1 || 후비(后妃) 상 || 태목황후 두씨(太穆皇后 竇氏), 문덕황후 장손씨(文德皇后 長孫氏), 태종현비 서씨(太宗賢妃 徐氏), 고종폐후 왕씨(高宗廢后 王氏), 폐양제 소씨(廢良娣 蕭氏), 화사황후 조씨(和思皇后 趙氏), 위서인(韋庶人), 상관소용(上官昭容), 숙명황후 유씨(肅明皇后 劉氏), 소성황후 두씨(昭成皇后 竇氏), 현종폐후 왕씨(玄宗廢后 王氏), 정순황후 무씨(貞順皇后 武氏), 현종양귀비(玄宗楊貴妃) ||
|-
| 권52 || 열전2 || 후비(后妃) 하 || 원헌황후 양씨(元獻皇后 楊氏), 숙종장황후(肅宗張皇后), 숙종위비(肅宗韋妃), 장경황후 오씨(章敬皇后 吳氏), 예진황후 심씨(睿眞皇后 沈氏), 정의황후 독고씨(貞懿皇后 獨孤氏), 소덕황후 왕씨(昭德皇后 王氏), 덕종위비(德宗韋妃), 장헌황후 위씨(莊憲皇后 王氏), 의안황후 곽씨(懿安皇后 郭氏), 효명황후 정씨(孝明皇后 鄭氏), 여학사상궁 상씨(女學士尙宮 宋氏), 공희황후 왕씨(恭僖皇后 王氏), 곽귀비(郭貴妃), 정헌황후 소씨(貞獻皇后 蕭氏), 선의황후 위씨(宣懿皇后 韋氏), 왕현비(王賢妃), 원소황후 조씨(元昭皇后 晁氏), 혜안황후 왕씨(惠安皇后 王氏), 적선황후 하씨(積善皇后 何氏) ||
|-
| 권53 || 열전3 || || 이밀(李密), 단웅신(單雄信) ||
|-
| 권54 || 열전4 || || 왕세충(王世充), 두건덕(竇建德) ||
|-
| 권55 || 열전5 || || 설거(薛擧), 이궤(李軌), 유무주(劉武周), 고개도(高開道), 유흑달(劉黑闥) ||
|-
| 권56 || 열전6 || || 소선(蕭銑), 두복위(杜伏威), 보공석(輔公祏), 심법흥(沈法興), 이자통(李子通), 나예(羅藝), 양사도(梁師都) ||
|-
| 권57 || 열전7 || || 배적(裴寂), 유문정(劉文靜) ||
|-
| 권58 || 열전8 || || 당검(唐儉), 장손순덕(長孫順德), 유홍기(劉弘基), 은교(殷嶠), 유정회(劉政會), 시소(柴紹), 무사확(武士彠) ||
|-
| 권59 || 열전9 || || 굴돌통(屈突通), 임괴(任瓌), 구화(丘和), 허소(許紹), 이습지(李襲志), 강모(姜謩) ||
|-
| 권60 || 열전10 || 종실(宗室) || 영안장왕 효기(永安壯王 孝基), 회안정왕 신통(淮安靖王 神通), 양읍공왕 신부(襄邑恭王 神符), 장평숙왕 숙량(長平肅王 叔良), 양무왕 침(襄武王 琛), 하간원왕 효공(河間元王 孝恭), 여강왕 원(廬江王 瑗), 회양장왕 도현(淮陽壯王 道玄), 강하왕 도종(江夏王 道宗), 농서경왕 부예(隴西敬王 博乂) ||
|-
| 권61 || 열전11 || || 온대아(溫大雅), 진숙달(陳叔達), 두위(竇威) ||
|-
| 권62 || 열전12 || || 이강(李綱), 정선과(鄭善果), 양공인(楊恭仁), 황보무일(皇甫無逸), 이대량(李大亮) ||
|-
| 권63 || 열전13 || || 봉륜(封倫), 소우(蕭瑀), 배구(裴矩), 우문사급(宇文士及) ||
|-
| 권64 || 열전14 || 고조 제자(高祖諸子) || 은태자 건성(隱太子 建成), 위회왕 현패(衛懷王 玄霸), 소척왕 이원길(巢刺王 元吉), 초애왕 지운(楚哀王 智雲), 형왕 원경(荊王 元景), 한왕 원창(漢王 元昌), 풍왕 원형(鄷王 元亨), 주왕 원방(周王 元方), 서왕 원례(徐王 元禮), 한왕 원가(韓王 元嘉), 팽사왕 원칙(彭思王 元則), 정혜왕 원의(鄭惠王 元懿), 곽왕 원궤(霍王 元軌), 괵장왕 봉(虢莊王 鳳), 도효왕 원경(道孝王 元慶), 등강왕 원유(鄧康王 元裕), 서왕 원명(舒王 元名), 노왕 영기(魯王 靈夔), 강안왕 원상(江安王 元祥), 밀정왕 원효(密貞王 元曉), 등왕 원영(滕王 元嬰) ||
|-
| 권65 || 열전15 || || 고사렴(高士廉), 장손무기(長孫無忌) ||
|-
| 권66 || 열전16 || || 방현령(房玄齡), 두여회(杜如晦) ||
|-
| 권67 || 열전17 || || 이정(李靖), 이적(李勣) ||
|-
| 권68 || 열전18 || || 울지경덕(尉遲敬德), 진숙보(秦叔寶), 정지절(程知節), 단지현(段志玄), 장공근(張公謹) ||
|-
| 권69 || 열전19 || || 후군집(侯君集), 장량(張亮), 설만철(薛萬徹) ||
|-
| 권70 || 열전20 || || 왕규(王珪), 대주(戴冑), 잠문본(岑文本), 두정륜(杜正倫) ||
|-
| 권71 || 열전21 || || 위징(魏徵) ||
|-
| 권72 || 열전22 || || 우세남(虞世南), 이백약(李百藥), 저량(褚亮) ||
|-
| 권73 || 열전23 || || 설수(薛收), 요사렴(姚思廉), 안사고(顔師古), 영호덕분(令狐德棻), 공영달(孔穎達) ||
|-
| 권74 || 열전24 || || 유계(劉洎), 마주(馬周), 최인사(崔仁師) ||
|-
| 권75 || 열전25 || || 소세장(蘇世長), 위운기(韋雲起), 손복가(孫伏伽), 장현소(張玄素) ||
|-
| 권76 || 열전26 || 태종 제자(太宗諸子) || 항산왕 승건(恆山王 承乾), 초왕 관(楚王 寬), 오왕 각(吳王 恪), 복공왕 태(濮恭王 泰), 서인 우(庶人 祐), 촉도왕 음(蜀悼王 愔), 장왕 운(蔣王 惲), 월경왕 정(越敬王 貞), 기왕 신(紀王 愼), 강상왕 효(江殤王 囂), 대왕 간(代王 簡), 조왕 복(趙王 福), 조왕 명(曹王 明) ||
|-
| 권77 || 열전27 || || 위정(韋挺), 양찬(楊纂), 유덕위(劉德威), 염입덕(閻立德), 류형(柳亨), 최의현(崔義玄) ||
|-
| 권78 || 열전28 || || 우지녕(于志寧), 고계보(高季輔), 장행성(張行成) ||
|-
| 권79 || 열전29 || || 조효손(祖孝孫), 부인균(傅仁均), 부혁(傅奕), 이순풍(李淳風), 여재(呂才) ||
|-
| 권80 || 열전30 || || 저수량(褚遂良), 한원(韓瑗), 내제(來濟), 상관의(上官儀) ||
|-
| 권81 || 열전31 || || 최돈례(崔敦禮), 노승경(盧承慶), 유상도(劉祥道), 이경현(李敬玄), 이의염(李義琰), 손처약(孫處約), 악언위(樂彦瑋), 조인본(趙仁本) ||
|-
| 권82 || 열전32 || || 허경종(許敬宗), 이의부(李義府) ||
|-
| 권83 || 열전33 || || 곽효각(郭孝恪), 장검(張儉), 소정방(蘇定方), 설인귀(薛仁貴), 정무정(程務挺), 장사귀(張士貴), 조도흥(趙道興) ||
|-
| 권84 || 열전34 || || 유인궤(劉仁軌), 학처준(郝處俊), 배행검(裴行儉) ||
|-
| 권85 || 열전35 || || 당림(唐臨), 장문관(張文瓘), 서유공(徐有功) ||
|-
|rowspan="2"| 권86 ||rowspan="2"| 열전36 || 고종 제자(高宗諸子) || 연왕 충(燕王 忠), 원도왕 효(原悼王 孝), 택왕 상금(澤王 上金), 허왕 소절(許王 素節), 효경황제 홍(孝敬皇帝 弘), 장회태자 현(章懷太子 賢) ||rowspan="2"|
|-
| 중종 제자(中宗諸子) || 의덕태자 중윤(懿德太子 重潤), 서인 중복(庶人 重福), 절민태자 중준(節湣太子 重俊), 상황제 중무(殤皇帝 重茂)
|-
| 권87 || 열전37 || || 배염(裴炎), 유의지(劉禕之), 위현동(魏玄同), 이소덕(李昭德) ||
|-
| 권88 || 열전38 || || 위사겸(韋思謙), 육원방(陸元方), 소괴(蘇瑰) ||
|-
| 권89 || 열전39 || || 적인걸(狄仁傑), 왕방경(王方慶), 요숙(姚璹) ||
|-
| 권90 || 열전40 || || 왕급선(王及善), 두경검(杜景儉), 주경칙(朱敬則), 양재사(楊再思), 이회원(李懷遠), 두로흠망(豆盧欽望) ||
|-
| 권91 || 열전41 || || 환언범(桓彦範), 경휘(敬暉), 최현위(崔玄暐), 장간지(張柬之), 원서기(袁恕己) ||
|-
| 권92 || 열전42 || || 위원충(魏元忠), 위안석(韋安石), 소지충(蕭至忠), 종초객(宗楚客), 기처눌(紀處訥) ||
|-
| 권93 || 열전43 || || 누사덕(婁師德), 왕효걸(王孝傑), 당휴경(唐休璟), 장인원(張仁愿), 설눌(薛訥), 왕준(王晙) ||
|-
| 권94 || 열전44 || || 소미도(蘇味道), 이교(李嶠), 최융(崔融), 노장용(盧藏用), 서언백(徐彦伯) ||
|-
| 권95 || 열전45 || 예종 제자(睿宗諸子) || 양황제 헌(讓皇帝 憲), 혜장태자 총(惠莊太子 摠), 혜문태자 범(惠文太子 範), 혜선태자 업(惠宣太子 業), 수왕 융제(隋王 隆悌) ||
|-
| 권96 || 열전46 || || 요숭(姚崇), 송경(宋璟) ||
|-
| 권97 || 열전47 || || 유유구(劉幽求), 종소경(鐘紹京), 곽원진(郭元振), 장설(張說) ||
|-
| 권98 || 열전48 || || 위지고(魏知古), 노회신(盧懷愼), 원건요(源乾曜), 이원굉(李元紘), 두섬(杜暹), 한휴(韓休), 배요경(裴耀卿) ||
|-
| 권99 || 열전49 || || 최일용(崔日用), 장가정(張嘉貞), 소숭(蕭嵩), 장구령(張九齡), 이적지(李適之), 엄정지(嚴挺之) ||
|-
| 권100 || 열전50 || || 윤사정(尹思貞), 이걸(李傑), 해완(解琬), 필구(畢構), 소향(蘇珦), 정유충(鄭惟忠), 왕지음(王志愔), 노종원(盧從願), 이조은(李朝隱), 배최(裴漼), 왕구(王丘) ||
|-
| 권101 || 열전51 || || 이예(李乂), 설등(薛登), 위주(韋湊), 한사복(韓思復), 장정규(張廷珪), 왕구례(王求禮), 신체부(辛替否) ||
|-
| 권102 || 열전52 || || 마회소(馬懷素), 저무량(褚無量), 유자현(劉子玄), 서견(徐堅), 원행충(元行沖), 오긍(吳兢), 위술(韋述) ||
|-
| 권103 || 열전53 || || 곽건관(郭虔瓘), 장숭(張嵩), 곽지운(郭知運), 왕군(王君), 장수규(張守珪), 우선객(牛仙客), 왕충사(王忠嗣) ||
|-
| 권104 || 열전54 || || 고선지(高仙芝), 봉상청(封常淸), 가서한(哥舒翰) ||
|-
| 권105 || 열전55 || || 우문융(宇文融), 위견(韋堅), 양신긍(楊愼矜), 왕홍(王鉷) ||
|-
| 권106 || 열전56 || || 이임보(李林甫), 양국충(楊國忠), 장위(張暐), 왕거(王琚), 왕모중(王毛仲), 진현례(陳玄禮) ||
|-
| 권107 || 열전57 || 현종 제자(玄宗諸子) || 봉천황제 종(奉天皇帝 琮), 폐태자 영(廢太子 瑛), 체왕 염(棣王 琰), 악왕 요(鄂王 瑤), 광왕 거(光王 琚), 하도왕 일(夏悼王 一), 의왕 수(儀王 璲), 영왕 교(潁王 璬),
3. 1. 본기(本紀)
《구당서》의 본기(本紀)는 당나라 역대 황제들의 치세를 다룬다.권 | 군주 | 시기(음력) | 비고 |
---|---|---|---|
권1 | 고조 이연 | 613년 ~ 635년 5월 (수 대업(大業) 9년 ~ 정관(貞觀) 9년) | |
권2 권3 | 태종 이세민 | 617년 12월 ~ 649년 5월 (수 의녕(義寧) 원년 ~ 정관(貞觀) 23년) | |
권4 권5 | 고종 이치 | 649년 5월 ~ 683년 12월 (정관(貞觀) 23년 ~ 홍도(弘道) 원년) | |
권6 | 측천황후 무조 | 683년 12월 ~ 705년 11월 (홍도(弘道) 원년 ~ 신룡(神龍) 원년) | |
권7 | 중종 이현 예종 이단 | 705년 1월 ~ 716년 6월 (신룡(神龍) 원년 ~ 개원(開元) 4년) | |
권8 권9 | 현종 이융기 | 710년 6월 ~ 761년 4월 (경룡(景龍) 4년 ~ 상원(上元) 2년) | |
권10 | 숙종 이형 | 754년 1월 ~ 762년 4월 (천보(天寶) 13재 ~ 보응(寶應) 원년) | |
권11 | 대종 이예 | 762년 4월 ~ 779년 5월 (보응(寶應) 원년 ~ 대력(大曆) 14년) | |
권12 권13 | 덕종 이괄 | 779년 5월 ~ 805년 1월 (대력(大曆) 14년 ~ 정원(貞元) 21년) | |
권14 권15 | 순종 이송 헌종 이순 | 805년 1월 ~ 820년 1월 (정원(貞元) 21년 ~ 원화(元和) 15년) | |
권16 | 목종 이항 | 820년 1월 ~ 824년 1월 (원화(元和) 15년 ~ 장경(長慶) 4년) | |
권17상 권17하 | 경종 이담 문종 이앙 | 824년 1월 ~ 840년 1월 (장경(長慶) 4년 ~ 개성(開成) 5년) | |
권18상 | 무종 이염 | 840년 1월 ~ 846년 3월 (개성(開成) 5년 ~ 회창(會昌) 6년) | |
권18하 | 선종 이침 | 846년 3월 ~ 859년 8월 (회창(會昌) 6년 ~ 대중(大中) 13년) | |
권19상 | 의종 이최 | 859년 8월 ~ 873년 7월 (대중(大中) 13년 ~ 함통(咸通) 14년) | |
권19하 | 희종 이현 | 873년 7월 ~ 888년 3월 (함통(咸通) 14년 ~ 문덕(文德) 원년) | |
권20상 | 소종 이엽 | 888년 2월 ~ 904년 8월 (문덕(文德) 원년 ~ 천우(天祐) 원년) | |
권20하 | 애제 이축 | 904년 8월 ~ 907년 3월 (천우(天祐) 원년 ~ 천우(天祐) 4년) |
3. 1. 1. 당 고조(高祖)
당 고조의 내용은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3. 1. 2. 당 태종(太宗)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3. 1. 3. 당 고종(高宗)
요약(summary) 및 원본 소스(source)에 내용이 없어, '당 고종(高宗)' 섹션에 대한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3. 1. 4. 측천무후(則天武后)
측천무후와 관련된 어떠한 요약 및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제공된 정보가 없으므로 위키 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3. 1. 5. 당 중종(中宗)·예종(睿宗)
요약(summary) 내용이 없습니다. `summary`에 내용을 채워주세요.3. 1. 6. 당 현종(玄宗)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요약과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3. 1. 7. 당 숙종(肅宗)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3. 1. 8. 당 대종(代宗)
요약(summary) 및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구당서'의 '당 대종(代宗)'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 및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3. 1. 9. 당 덕종(德宗)
(내용 없음)3. 1. 10. 당 순종(順宗)·헌종(憲宗)
요약(summary)에 내용이 없으므로, 출력할 내용이 없습니다.3. 1. 11. 당 목종(穆宗)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3. 1. 12. 당 경종(敬宗)·문종(文宗)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있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과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3. 1. 13. 당 무종(武宗)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3. 1. 14. 당 선종(宣宗)
요약(summary)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source) 또한 내용이 비어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 및 원본 소스 내용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3. 1. 15. 당 의종(懿宗)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에 내용이 없으므로, '당 의종(懿宗)' 섹션에 대해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3. 1. 16. 당 희종(僖宗)
(내용 없음)3. 1. 17. 당 소종(昭宗)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3. 1. 18. 당 애제(哀帝)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에 내용이 없어, '당 애제(哀帝)' 섹션에 대한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생성해 드리겠습니다.3. 2. 지(志)
wikitable권 | 제목 | 비고 |
---|---|---|
권21 | 예의(禮儀) 1 | |
권22 | 예의(禮儀) 2 | |
권23 | 예의(禮儀) 3 | |
권24 | 예의(禮儀) 4 | |
권25 | 예의(禮儀) 5 | |
권26 | 예의(禮儀) 6 | |
권27 | 예의(禮儀) 7 | |
권28 | 음악(音樂) 1 | |
권29 | 음악(音樂) 2 | |
권30 | 음악(音樂) 3 | |
권31 | 음악(音樂) 4 | |
권32 | 역(曆) 1 | |
권33 | 역(曆) 2 | |
권34 | 역(曆) 3 | |
권35 | 천문(天文) 上 | |
권36 | 천문(天文) 下 | |
권37 | 오행(五行) | |
권38 | 지리(地理) 1 | |
권39 | 지리(地理) 2 | |
권40 | 지리(地理) 3 | |
권41 | 지리(地理) 4 | |
권42 | 직관(職官) 1 | |
권43 | 직관(職官) 2 | |
권44 | 직관(職官) 3 | |
권45 | 여복(輿服) | |
권46 | 경적(經籍) 上 | |
권47 | 경적(經籍) 下 | |
권48 | 식화(食貨) 上 | |
권49 | 식화(食貨) 下 | |
권50 | 형법(刑法) |
== 예의지(禮儀志) ==
== 음악지(音樂志) ==
== 역지(曆志) ==
== 천문지(天文志) ==
== 오행지(五行志) ==
== 지리지(地理志) ==
== 직관지(職官志) ==
== 여복지(輿服志) ==
== 경적지(經籍志) ==
== 식화지(食貨志) ==
== 형법지(刑法志) ==
3. 2. 1. 예의지(禮儀志)
구당서의 예의지(禮儀志)는 당나라의 국가 의례와 제도에 대한 기록이다. 제사, 조회, 의복 등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3. 2. 2. 음악지(音樂志)
구당서의 음악지는 당나라 궁중 음악과 각종 의례에 사용되던 음악에 대해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3. 2. 3. 역지(曆志)
구당서에는 역지(曆志)에 대한 내용이 존재하지 않습니다.3. 2. 4. 천문지(天文志)
구당서에는 천문지가 수록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천문 현상과 점성술에 대한 기록은 구당서의 내용이 아니다.3. 2. 5. 오행지(五行志)
오행 사상과 관련된 자연 현상(지진, 홍수 등)에 대한 기록이 있다.3. 2. 6. 지리지(地理志)
구당서의 지리지는 당나라의 행정 구역과 지리 정보를 담고 있다. 752년경 당나라 제국의 지역 행정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당시 당나라의 발전된 행정 체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3. 2. 7. 직관지(職官志)
구당서의 직관지(職官志)는 당나라의 관료 제도와 행정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당나라는 이전 시대의 제도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중앙집권적인 관료제를 확립하였으며, 이는 고려와 조선 등 한국의 후대 왕조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3. 2. 8. 여복지(輿服志)
구당서의 여복지에는 황제와 관료들의 의복, 수레 등 복식에 대한 기록이 있다.3. 2. 9. 경적지(經籍志)
구당서의 경적지(經籍志)는 당나라 시대의 서적 목록과 학술 경향을 보여준다.3. 2. 10. 식화지(食貨志)
구당서의 식화지는 당나라의 경제, 재정, 화폐 제도 등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다.3. 2. 11. 형법지(刑法志)
법률, 형벌, 사법 제도 등에 대한 기록이다.3. 3. 열전(列傳)
{{숨김 시작|title = 열전
|titlestyle = background:#FFE400; text-align:center;
}}
3. 3. 1. 후비(后妃)
구당서의 후비전(后妃傳)은 황후와 후궁들의 전기(傳記)이다.3. 3. 2. 종실(宗室)
종실(宗室)은 황족들의 전기이다.3. 3. 3. 개국 공신 및 주요 신하
구당서에는 당나라 건국과 발전에 기여한 주요 인물들의 전기가 실려있다.- 이밀: 수나라 말기의 군벌로, 당나라에 귀순하지 않고 독자적인 세력을 유지하려다 멸망했다.
- 왕세충: 수나라 말기의 군벌로, 당나라에 대항하다 멸망했다.
- 두건덕: 수나라 말기의 군벌로, 당나라에 대항하다 멸망했다.
- 배적: 당나라 초기의 재상으로, 건국에 큰 공을 세웠다.
- 유문정: 당나라 초기의 재상으로, 건국에 큰 공을 세웠다.
- 방현령: 당나라 초기의 재상으로, 당 태종의 치세를 보좌하며 훌륭한 정치를 펼쳤다. '방모두단(房謀杜斷)'이라는 고사성어로 유명하다.
- 두여회: 당나라 초기의 재상으로, 방현령과 함께 당 태종의 치세를 보좌했다. '방모두단(房謀杜斷)'이라는 고사성어로 유명하다.
- 이정: 당나라 초기의 명장으로, 돌궐을 정벌하는 등 큰 공을 세웠다.
- 위지경덕: 당나라 초기의 명장으로, 현무문의 변에서 당 태종을 도와 공을 세웠다.
- 위징: 당나라 초기의 간신(諫臣)으로, 당 태종에게 직언을 서슴지 않아 태종의 치세를 바로잡는 데 큰 역할을 했다.
3. 3. 4. 문인(文人)
구당서에는 별도로 문인(文人)이라는 항목은 존재하지 않지만, 요약에서 언급된 인물들은 대부분 학자 또는 문인으로 활동했다. 우세남, 이백약, 저량 등은 당나라 초기의 학자이자 문인으로, 정치에도 참여했다. 설수는 당 태종 때의 인물이며, 요사렴은 진, 수, 당나라 때의 역사학자이다. 안사고는 당나라 초기의 학자로, 한서 주석으로 유명하다. 한유는 당나라 중기의 문인이자 사상가로, 당송팔대가 중 한 명이다. 장적은 한유의 제자이며, 맹교는 중당 시기의 시인이다. 백거이는 중당 시기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향산거사로도 불린다. 이들은 모두 당나라 시대를 대표하는 문인들로, 그들의 작품과 사상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3. 3. 5. 충신(忠臣)과 열녀(烈女)
구당서의 충신(忠臣)과 열녀(烈女) 부분은 나라를 위해 충의를 다한 인물들과 정조와 절개를 굳게 지킨 여성들의 전기를 담고 있다.3. 3. 6. 은일(隱逸)
당나라 정사인 구당서의 은일(隱逸)은 속세를 떠나 은둔 생활을 한 인물들의 전기이다.3. 3. 7. 유학(儒學)
유학자들의 전기이다.3. 3. 8. 문원(文苑)
문원(文苑)은 당나라의 문학가들의 전기이다.3. 3. 9. 방기(方伎)
의술, 점술 등 특수한 기술을 가진 인물들의 전기이다.3. 3. 10. 혹리(酷吏)
혹리는 가혹한 형벌을 내린 관리들의 전기이다.3. 3. 11. 외척(外戚)
구당서의 외척은 황후의 친족들에 대한 전기를 기록하고 있다.3. 3. 12. 환관(宦官)
구당서에는 환관들의 전기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양사욱, 고력사, 이보국 등 일부 환관들에 대한 내용이 다른 인물들의 전기에 흩어져 있을 뿐이다.3. 3. 13. 양리(良吏)
백성을 잘 다스린 관리들의 전기이다.3. 3. 14. 외이(外夷)
『구당서』「권199상 열전 제149상 동이(東夷)[4]」에는 「왜국전」과 「일본국전」의 두 가지 기술이 있으며, 「왜국」의 기술에 이은 「일본」에서는, 「일본국은 왜국의 별종이다. 그 나라는 해변에 있으므로 일본을 이름으로 삼았다. 혹 말하기를, 왜국은 스스로 그 이름이 좋지 않다고 하여 일본으로 고쳤다. 혹 이르기를, 일본은 옛 작은 나라이고 왜국의 땅을 병합하였다. 그 사람이 입조하는 자는, 대부분 스스로 자랑하며 실제대로 대답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중국은 이를 의심했다. 또 이르기를, 그 국경은 동서남북 각 수천 리이고, 서쪽과 남쪽 경계는 모두 대해에 이르고, 동쪽과 북쪽 경계는 큰 산이 있어 한정되었다. 산 밖은 곧 모인의 나라이다.zh-tw」[5]」라고 있으며, 「일본의 나라는 왜국의 다른 종이다. 그 나라는 해변에 있으므로, 일본을 이름으로 삼았다.」 그리고 이어서 의견이 다른 두 가지 예를 들어, 먼저 「혹 말하기를, 왜국은 스스로 그 이름이 아름답지 않다고 하여, 일본으로 고쳤다.」, 그러나 이어서 「혹 이르기를, 일본은 옛 작은 나라로, 왜국의 땅을 병합했다. 그 사람이 입조하는 자는, 대부분 스스로 긍대(교만)하며, 사실대로 대답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중국은 이를 의심했다.」. 총괄적으로 전자의 의견에는 회의적이며, 후자의 견해에 의해 「일본의 나라는 왜국의 다른 종이다. 그 나라는 해변에 있으므로, 일본을 이름으로 삼았다.」라는 말이 되었다.그리고 지세가 설명되어, 「또 이르기를, 그 국경은 동서남북 각 수천 리이고, 서쪽과 남쪽의 경계는 대해에 모두 이르며, 동쪽과 북쪽은 큰 산이 있어 한정되었다. 산 밖은 즉 모인의 나라이다.」라고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송대 초기의 『태평어람』에도 그대로 두 개의 나라인 취지가 계승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는, 편찬 과정의 영향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일본에서의 통설이다. 이견도 존재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모리 마사아키는 「일본」의 국호 성립 후 최초의 견당사였던 702년의 파견 시에는 국호 변경의 이유에 대해 일본 측에서도 불명확해져, 견당사가 당나라 측에 이유를 설명할 수 없었을 가능성을 지적한다[6]。오바 슈는, 이것을 단순한 편찬 과정의 실수뿐만 아니라 「왜국전」과 「일본국전」 사이의 왜국(일본) 관련 기사의 중단 기간에는, 백강구 전투 및 임신정변이 포함되어 있으며, 당시의 중국 측에는, 임신정변으로 「왜국(덴지 정권)」이 무너지고 「일본국(덴무 정권)」이 성립되었다는 견해가 존재하고 있어, 결론이 나오지 않은 채 기술되었을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다. 479년, 왜왕 무의 도독호에 포함된 가라국의 하지왕이 남조의 제에 조공하여 「보국장군·본국왕」으로 봉해진 것, 『일본서기』가 기록하는 임나일본부가 무에 비정되는 유랴쿠 천황기에 처음 등장하는 것도 주의를 요한다.
4. 평가 및 의의
《구당서》는 《신당서》 편찬의 직접적인 계기가 될 정도로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당나라 시대의 원사료를 많이 보존하고 있어 사료적 가치가 높다.[7] 특히 당대 실록 등의 1차 사료의 원문들이 고스란히 인용되어 현존하지 않는 초기 연대기를 파악할 수 있다.[7] 또한 두우의 《통전》과 같은 자료를 사용하여 다른 단행본과 전기를 통합했다.
《구당서》는 편찬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편찬자들의 한계로 인해 내용상 오류나 부족한 점이 있다는 비판도 받았다. 후진 개운(開運) 2년(945년)에 완성되어 주상되었으나,[7] 그 이듬해에 후진이 멸망하면서 편찬 책임자가 교체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이 때문에 한 인물이 두 개의 열전에 나뉘어 수록되거나, 초당(初唐) 시기에 비해 만당(晩唐) 시기에 대한 기술이 빈약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7] 송 인종은 이 책을 "조직이 부실하고, 중요하지 않은 세부 사항으로 가득하며, 문체가 부족하고 연구가 부실하다"고 비판했다. 이러한 이유로 북송 시대에 구양수와 송기를 편집자로 하여 《신당서》가 편찬되었다. 《신당서》가 헌상된 후, 《구당서》는 절판되었으나 명나라 시대에 남아있는 사본이 수집되어 다시 출판되었고, 《이십사사》 중 하나로 정식 역사서가 되었다.
《구당서》의 기록은 발해와 일본의 고대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구당서》와 《신당서》는 발해 건국 시조인 대조영에 대해 다르게 기술하고 있는데, 《구당서》는 "발해말갈의 대조영은 고려의 별종이다."[8]라고 기록한 반면, 《신당서》는 "발해는 본래 속말말갈로 고구려에 더부살이하던 족속인데 성은 대씨였다."[9]라고 기록하여 한국, 중국, 일본 학계의 해석이 엇갈린다.
《구당서》에는 왜국과 일본에 대한 기록이 「왜국전」(倭國傳)과 「일본국전」(日本國傳) 두 열전으로 나뉘어 입전되어 있다.[4][5] 「일본국은 왜국의 별종이다. 그 나라가 해 뜨는 변두리에 있으므로 나라 이름을 일본이라고 하였다. 또는 왜국이 스스로 그 이름이 아름답지 않음을 꺼려서 일본이라고 고쳤다고도 하고, 일본은 예로부터 소국이었는데 왜국의 땅을 병합하였다고도 한다.」[10]라는 기록은 태평어람에도 인용되었는데, 편찬 과정에서 당시 일본의 존재에 영향을 받았다는 설과 백강구 전투 및 임신정변과 같은 역사적 사건으로 인해 왜국(덴지 천황 정권)이 멸망하고 일본국(덴무 천황 정권)이 성립되었다는 중국 측의 견해가 반영되었다는 설 등이 존재한다.[6]
참조
[1]
서적
Ch. 16 "Old and New Books of Tang" (新舊唐書), ''Notes on Twenty-two Histories'' (廿二史劄記)
https://ctext.org/wi[...]
[2]
서적
中国小説史略 上
ちくま学芸文庫
[3]
서적
五代会要
[4]
위키문헌
舊唐書/卷199上
[5]
위키문헌
舊唐書/卷199上#.E6.97.A5.E6.9C.AC
[6]
간행물
大宝度の遣唐使とその意義
[7]
서적
오대회요
[8]
서적
구당서
[9]
서적
신당서
[10]
서적
구당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