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리장전 (미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리장전 (미국)은 미국 헌법에 추가된 최초의 10개 수정 조항을 의미하며,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1787년 필라델피아 제헌 회의에서 권리장전 추가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헌법 비준 과정에서 반연방주의자들의 요구로 인해 수정안 형태로 제안되었다. 1791년에 비준된 권리장전은 언론, 종교, 무기 소지, 불합리한 수색 및 압수, 적법 절차, 배심원 재판 등 다양한 권리를 보장한다. 권리장전은 20세기에 들어 14조 수정 조항을 통해 주 정부에도 적용되었으며, 미국의 민주주의와 법치주의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임스 매디슨 - 미국의 헌법
미국 헌법은 연방 정부의 조직, 권한, 시민의 기본권을 규정하는 미국의 최고 법규로서, 수많은 수정을 거치며 통치 체제를 확립하고 사회 변화를 반영해왔으며, 권력 분립, 연방주의, 기본권 보장 등의 원칙으로 세계 각국 헌법에 영향을 주었으나 현재까지도 여러 논쟁점을 안고 있다. - 제임스 매디슨 - 연방주의자 논문 제10호
연방주의자 논문 제10호는 제임스 매디슨이 파벌의 문제를 다루며 대의 민주주의와 큰 공화국이 파벌의 폐해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고 주장한 연방주의자 논문 중 하나이다. - 제1대 미국 의회 - 1790년 귀화법
1790년 귀화법은 미국의 초기 국적법으로, 미국 시민권 취득 조건을 규정하며 2년 이상 미국 거주, 선량한 성품, 헌법 지지 서약 등을 요구했으나, 여성과 비유럽계 미국인의 시민권 문제에 대한 명확한 규정은 없었다. - 제1대 미국 의회 - 미국 제1은행
미국 제1은행은 알렉산더 해밀턴의 주도로 1791년 설립된 최초의 국립 은행으로, 통화 안정과 국가 신용 확립에 기여했으나 위헌 논쟁과 반발에 부딪혀 20년 후 재인가에 실패, 이후 지라드 은행으로 운영되다 미국 제2은행으로 대체되었으며, 현재 은행 건물은 박물관으로 개조될 예정이다. - 조지 워싱턴 행정부 - 핑크니 조약
핑크니 조약은 1795년 미국과 스페인 간에 체결되어 미국의 서부 국경을 확정하고 미시시피 강을 자유롭게 이용하도록 보장했으며, 뉴올리언스 항구를 개방하여 무역을 증진시켰다. - 조지 워싱턴 행정부 - 1792년 미국 대통령 선거
1792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조지 워싱턴의 재선을 위한 선거로, 알렉산더 해밀턴의 연방파와 토머스 제퍼슨과 제임스 매디슨의 민주공화파 간 대립 속에 워싱턴이 압승하고 존 애덤스가 부통령에 당선되어 미국 정치사에서 당파 정치의 시작을 알린 간접 선거였다.
권리장전 (미국) | |
---|---|
기본 정보 | |
![]() | |
문서 이름 | 미국 권리 장전 |
작성일 | 1789년 9월 25일 |
비준일 | 1791년 12월 15일 |
목적 | 미국 헌법 수정 |
문서 위치 | 국립기록원 |
작성자 | 미국 제1차 의회, 주로 제임스 매디슨 |
구성 | |
내용 | 제1조 제2조 제3조 제4조 제5조 제6조 제7조 제8조 제9조 제10조 |
역사 | |
제정 배경 | 연방주의자들의 반대를 극복하고 헌법 비준을 얻기 위해 약속됨 |
주요 역할 | 개인의 자유와 권리 보장 정부의 권력 제한 시민의 자유와 권리 보호 |
영향 | |
미국 사회 | 미국인의 삶에 가장 큰 영향 |
법적 체계 | 미국 법의 기초를 이룸 |
중요성 | 개인의 자유와 권리 보장의 핵심 |
기타 | |
관련 문서 | 미국 헌법, 미국 헌법 수정 조항 |
2. 역사적 배경
미국 헌법 비준 및 시행 이전, 13개의 주들은 제2차 대륙 회의가 만들고 1781년에 비준된 연합 조항을 따랐다.[5] 그러나 연합 조항에 따라 운영되던 중앙 정부는 주들 사이의 갈등을 조정하기에는 약했다.[5] 이러한 연합 조항의 약점을 바로잡기 위해 1787년 필라델피아에서 제헌 회의가 열렸다.[5]
필라델피아 협약 이후, 패트릭 헨리, 새뮤얼 애덤스 등은 권리장전 부재를 이유로 헌법에 반대하는 반연방주의 입장을 취했다.[9] 반연방주의자들은 강력한 중앙 정부가 개인의 권리를 침해할 것을 우려했다. 엘브리지 게리가 작성한 "존경하는 게리 씨의 반론"은 제안된 헌법에 권리장전이 없다는 점을 비판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9] 익명의 반연방주의자 "브루투스"(아마도 로버트 예이츠)는 권리장전이 없다면 정부가 광범위하고 불명확한 권한을 남용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11][12]
반면, 알렉산더 해밀턴 등 연방주의자들은 권리장전이 불필요하며, 오히려 헌법 자체가 권리장전이라고 주장했다.[13] 해밀턴은 ''연방주의 논문'' 84편에서 권리장전은 부여되지 않은 권한에 대한 예외를 포함하여 오히려 더 많은 권한을 주장할 구실을 제공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13] 그는 또한 비준이 미국 국민이 자신의 권리를 포기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므로 보호 조치가 불필요하다고 주장했다.[13] 패트릭 헨리는 연방주의자들의 견해를 비판하며, 국민의 권리를 명확히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논쟁 속에서 1787년 12월과 1788년 1월, 델라웨어주, 펜실베이니아주, 뉴저지주, 조지아주, 코네티컷주 등 5개 주는 비교적 쉽게 헌법을 비준했다.[13] 그러나 매사추세츠주 의회는 분노와 논쟁으로 가득 찼고, 결국 새뮤얼 애덤스와 존 핸콕이 의회에서 수정안을 제안한다는 조건으로 비준에 동의하면서 '매사추세츠 타협'이 이루어졌다.
매사추세츠 주의 선례를 따라 버지니아주와 뉴욕주에서도 연방주의자 소수파는 비준을 권고된 수정안과 연계함으로써 의회에서 비준을 얻을 수 있었다.[18] 결국 노스캐롤라이나주와 로드아일랜드주만이 의회의 수정안을 기다린 후 비준했다.[18] 뉴욕 주 비준 협약에서는 수정안 제안을 뉴욕의 비준 조건으로 내세우거나, 수정안이 빨리 제안되지 않으면 연방에서 탈퇴할 권리를 주장하려 했다. 하지만, 알렉산더 해밀턴은 제임스 매디슨과 상의 후, 이러한 조건은 의회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라고 알렸다. 결국 뉴욕 협약은 타협안으로, 각 주가 제5조에 따른 협약 절차를 통해 새로운 수정안을 요구할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비준을 제안했다. 존 제이는 이러한 절차를 촉구하는 뉴욕 순환 서한을 작성하여 모든 주에 보냈다.
제임스 매디슨은 미국 제1회 의회에서 권리장전을 구성하는 헌법 수정안을 제출하겠다는 선거 공약을 제시하여 당선되었다.[15] 1789년 4월 30일, 미국의 초대 대통령 조지 워싱턴은 취임사에서 헌법 개정 문제를 언급하며, 자유민의 권리와 공공 조화를 고려할 것을 촉구했다.[16]
매디슨은 기존 주 헌법, 특히 조지 메이슨의 버지니아 권리 선언을 참고하여 수정안을 작성했다. 하원은 매디슨의 제안을 수정, 축소하여 1789년 8월 24일 17개의 수정안을 승인하고 상원에 전달했다.[20] 상원은 이를 다시 수정하여 12개의 수정안으로 축소하고 1789년 9월 9일 승인했다.[21] 1789년 9월 25일, 12개의 헌법 수정안을 확정한 보고서가 의회의 결의안으로 승인되어 각 주에 전달되었다.[22]
1791년 12월 15일, 12개 수정 조항 중 10개 조항(3조부터 12조)이 비준되어 권리장전이 되었다.[24][25][26] 1조는 비준에 필요한 주 숫자를 채우지 못해 계류 중이며,[27] 2조는 1992년 5월 5일에 비준되어 미국 헌법 제27조가 되었다.[28]
2. 1. 필라델피아 제헌 회의
미국 헌법 비준 및 시행 이전, 13개의 주권을 가진 주들은 제2차 대륙 회의가 만들고 1781년에 비준된 연합 조항을 따랐다.[5] 그러나 연합 조항에 따라 운영되던 중앙 정부는 주들 사이에 발생하는 다양한 갈등을 적절하게 조정하기에는 너무 약했다.[5] 필라델피아 회의는 미국 독립 전쟁이 성공적으로 끝나기 전부터 이미 분명해졌던 연합 조항의 약점을 바로잡기 위해 시작되었다.[5]이 회의는 1787년 5월 14일부터 9월 17일까지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열렸다. 이 회의는 연합 조항을 개정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버지니아주 출신 제임스 매디슨과 뉴욕주 출신 알렉산더 해밀턴을 비롯한 많은 지지자들의 의도는 기존의 것을 고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정부를 만드는 것이었다. 회의는 펜실베이니아 주 의사당에서 열렸고, 버지니아 출신 조지 워싱턴이 만장일치로 회의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헌법을 초안한 55명의 대표들은 새로운 국가의 건국 아버지들 중 하나이다. 회의 기간 동안 프랑스 대사였던 토머스 제퍼슨은 대표들을 "반신들"의 집회라고 묘사했다.[5] 로드아일랜드는 회의에 대표를 파견하지 않았다.
9월 12일, 버지니아 출신 조지 메이슨은 이전 주 선언을 모델로 한 권리장전을 헌법에 추가할 것을 제안했고, 매사추세츠주 출신 엘브리지 게리는 이를 공식적인 동의로 만들었다. 그러나 로저 셔먼이 새로운 헌법에 의해 주 권리장전이 폐지된 것이 아니라고 지적한 짧은 논의 후,[6][7] 주 대표단의 만장일치로 이 제안은 부결되었다. 당시 권리장전에 반대했던 매디슨은 이후 주 권리장전을 전제에 불과하며 폭정에 대한 보호라는 환상만을 제공하는 "양피지 장벽"이라고 불렀다. 또 다른 대표인 펜실베이니아주 출신 제임스 윌슨은 이후 사람들의 권리를 열거하는 행위는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권리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위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알렉산더 해밀턴은 ''연방주의 논문'' 84편에서 이 점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메이슨과 게리는 제안된 새로운 헌법의 반대자로 부상했기 때문에, 회의 종료 5일 전에 제기된 그들의 제안은 다른 대표들에게 지연 전술로 여겨졌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제안의 신속한 거부는 나중에 전체 비준 과정을 위태롭게 했다. 저술가 데이비드 O. 스튜어트는 원래 헌법에서 권리장전을 누락시킨 것을 "최대의 정치적 실수"라고 묘사했고, 역사가 잭 N. 라코브는 이를 "제정자들이 비준을 둘러싼 투쟁을 내다보면서 저지른 유일한 심각한 잘못된 계산"이라고 불렀다.
39명의 대표가 최종 헌법에 서명했다. 13명의 대표는 완료되기 전에 떠났고, 회의가 끝날 때까지 남아 있던 3명은 서명을 거부했다. 조지 메이슨, 엘브리지 게리, 그리고 버지니아 출신 에드먼드 랜돌프이다. 그 후, 헌법은 연합 조항 의회에 제출되었고, 그 후 각 주에서 국민에 의해 선출된 대표자 회의에 제출되어 그들의 동의와 비준을 받도록 요청되었다.[8]
2. 2. 연방주의자와 반연방주의자
필라델피아 협약 이후, 패트릭 헨리, 새뮤얼 애덤스 등은 권리장전 부재를 이유로 헌법에 반대하는 반연방주의 입장을 취했다.[9] 반연방주의자들은 강력한 중앙 정부가 개인의 권리를 침해할 것을 우려했다.[9] 엘브리지 게리가 작성한 "존경하는 게리 씨의 반론"은 제안된 헌법에 권리장전이 없다는 점을 비판하며 46번이나 인쇄될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다.[9] 익명의 반연방주의자 "브루투스"(아마도 로버트 예이츠)는 권리장전이 없다면 정부가 광범위하고 불명확한 권한을 남용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11][12]알렉산더 해밀턴 등 연방주의자들은 권리장전이 불필요하며, 오히려 헌법 자체가 권리장전이라고 주장했다.[13] 해밀턴은 ''연방주의 논문'' 84편에서 권리장전은 부여되지 않은 권한에 대한 예외를 포함하여 오히려 더 많은 권한을 주장할 구실을 제공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13] 그는 또한 비준이 미국 국민이 자신의 권리를 포기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므로 보호 조치가 불필요하다고 주장했다.[13]
패트릭 헨리는 연방주의자들의 견해를 비판하며, 국민의 권리를 명확히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3] 그는 입법부가 "국민이 보유한 권리의 범위를 확실히 알아야 한다... 불확실한 상태에 있으면, 암묵적으로 권력을 포기하기보다는 오히려 권력을 장악할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2. 3. 매사추세츠 타협

1787년 12월과 1788년 1월, 델라웨어주, 펜실베이니아주, 뉴저지주, 조지아주, 코네티컷주 등 5개 주는 비교적 쉽게 헌법을 비준했지만, 펜실베이니아 반대파의 격렬한 소수 의견 보고서는 널리 유포되었다.[13] 이전의 주들과는 달리 매사추세츠주 의회는 분노와 논쟁으로 가득 찼고, 한때 연방주의자 대표 프랜시스 데이나와 반연방주의자 엘브리지 게리가 후자가 발언을 허용받지 못하자 주먹다짐을 벌이기도 했다.[15] 이러한 교착 상태는 혁명 영웅이자 주요 반연방주의자인 새뮤얼 애덤스와 존 핸콕이 의회에서 수정안을 제안한다는 조건으로 비준에 동의하면서 해결되었다.[16] 의회가 제안한 수정안에는 사형 사건에 대한 대배심의 기소 요건(이는 나중에 제5조의 일부가 됨)과 연방 정부에 명시적으로 부여되지 않은 권한을 주에 보유하도록 하는 수정안(이는 나중에 제10조의 기초가 됨)이 포함되었다.[17]
매사추세츠 주의 선례를 따라 버지니아주와 뉴욕주에서도 연방주의자 소수파는 비준을 권고된 수정안과 연계함으로써 의회에서 비준을 얻을 수 있었다.[18] 법학교수 조지 와이스가 이끄는 버지니아 주 의회 위원회는 의회에 40개의 수정안을 제출했는데, 그중 20개는 개인의 권리를, 나머지 20개는 주의 권리를 열거한 것이었다.[14] 후자의 수정안에는 연방 정부의 세금 부과 및 무역 규제 권한 제한이 포함되었다.[19]
메릴랜드주의 루터 마틴과 같은 소수의 헌법 비판가들은 계속해서 비준에 반대했다.[20] 그러나 뉴욕주의 존 랜싱 주니어와 같은 마틴의 동맹들은 의회 절차를 방해하려는 움직임을 중단했다. 그들은 "있는 그대로"의 헌법에 이의를 제기하기 시작하여 수정안을 요구했다. 여러 주 의회에서 "비준 전 수정"을 지지하던 사람들이 연방에 남기 위해 "비준 후 수정" 입장으로 바뀌었다. 결국 노스캐롤라이나주와 로드아일랜드주만이 의회의 수정안을 기다린 후 비준했다.[18]
2. 4. 뉴욕 순환 서한
뉴욕 주 비준 협약에서는 대다수가 반연방주의자들이었고, 매사추세츠 타협을 따르려 하지 않았다. 멜랑크톤 스미스(Melancton Smith)를 중심으로 이들은 뉴욕의 비준 조건으로 수정안 제안을 내세우거나, 수정안이 빨리 제안되지 않으면 연방에서 탈퇴할 권리를 주장하려 했다. 해밀턴은 매디슨과 상의 후, 이러한 조건은 의회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라고 협약에 알렸다.뉴햄프셔 주가 아홉 번째로 비준하고, 버지니아 주가 곧이어 비준하면서 뉴욕 주의 참여 여부와 관계없이 헌법이 발효되는 것은 분명해졌다. 이에 뉴욕 협약은 타협안으로, 각 주가 제5조에 따른 협약 절차를 통해 새로운 수정안을 요구할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비준을 제안했으며, 이를 뉴욕 주의 비준 조건으로 내걸지는 않았다. 존 제이는 이러한 절차의 사용을 촉구하는 뉴욕 순환 서한을 작성하여 모든 주에 보냈다. 뉴욕 주와 버지니아 주 의회는 각 주가 요구했던 수정안 제안을 위한 협약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고, 여러 주에서 향후 입법 회기에서 이 문제를 고려하도록 제기했다. 매디슨은 이러한 주들의 움직임에 부분적으로 대응하여 권리장전을 작성했다.[14]
2. 5. 수정안 제안 및 비준
제임스 매디슨은 미국 제1회 의회에서 권리장전을 구성하는 헌법 수정안을 제출하겠다는 선거 공약을 제시하여 당선되었다.[15] 그는 두 번째 헌법 개정 회의를 막고, 개인의 자유를 보장하는 수정안을 통해 정부의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했다.[16]1789년 4월 30일, 미국의 초대 대통령 조지 워싱턴은 취임사에서 헌법 개정 문제를 언급하며, 자유민의 권리와 공공 조화를 고려할 것을 촉구했다.[16]
매디슨은 기존 주 헌법, 특히 조지 메이슨의 버지니아 권리 선언을 참고하여 수정안을 작성했다. 하원은 매디슨의 제안을 수정, 축소하여 1789년 8월 24일 17개의 수정안을 승인하고 상원에 전달했다.[20] 상원은 이를 다시 수정하여 12개의 수정안으로 축소하고 1789년 9월 9일 승인했다.[21]
1789년 9월 21일, 하원-상원 합동위원회는 두 권리장전 제안 간의 차이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집되었다. 1789년 9월 24일, 위원회는 12개의 헌법 수정안을 확정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최종본은 1789년 9월 25일 의회의 결의안으로 승인되어 각 주에 전달되었다.[22]
미국 헌법 수정안은 1789년 제임스 매디슨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고, 여러 차례 수정을 거쳐 총 12개의 수정 조항이 의회에서 승인되었다. 이 중 10개 조항이 1791년 12월 15일에 비준되어 미국 권리장전의 주요 내용이 되었다.
1791년 12월 15일, 12개 수정 조항 중 10개 조항(3조부터 12조)이 비준되어 권리장전이 되었다.[24][25][26]
1조는 1789년부터 1803년 사이에 헌법에 채택될 필요한 주 수에서 한 개 주가 부족했다. 의회가 비준 기한을 부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주들 앞에 계류 중이다.[27]
2조는 1992년 5월 5일에 비준되어 미국 헌법 제27조가 되었다.[28]
3. 주요 내용
하원 승인 (17개 조항, 1789년 8월 24일) 상원 승인 (12개 조항, 1789년 9월 9일) 의회 승인 (12개 조항, 1789년 9월 25일) 비준 상태 제1조: 미국 헌법 제1조에 규정된 첫 번째 인구 조사 후, 대표자 수 100명까지 3만 명당 대표 1명. 이후 대표자 수 200명까지 대표자 수 100명 미만이거나 4만 명당 대표 1명 미만이 되지 않도록 의회가 비율 조정. 이후 대표자 수 200명 미만이거나 5만 명당 대표 1명 초과하지 않도록 의회 비율 조정. 제1조: 헌법 제1조 규정 첫 번째 인구 조사 후, 대표자 수 100명까지 3만 명당 대표 1명. 이후 대표자 수 200명까지 4만 명 증가마다 대표 1명 추가. 이후 6만 명 증가마다 대표 1명 추가. 제1조: 미국 헌법 제1조에 규정된 첫 번째 인구 조사 후, 대표자 수 100명까지 3만 명당 대표 1명. 이후 대표자 수 200명까지 대표자 수 100명 미만이거나 4만 명당 대표 1명 미만이 되지 않도록 의회가 비율 조정. 이후 대표자 수 200명 미만이거나 5만 명당 대표 1명 초과하지 않도록 의회 비율 조정. 계류 중: 의회 비례 대표 수정 조항 제2조: 의원 보수 변경 법률은 대표 선거 후 효력 발생. 제2조: 상원의원과 대표 봉급 변경 법률은 대표 선거 후 효력 발생. 제2조: 상원의원과 대표 봉급 변경 법률은 대표 선거 후 효력 발생. 후에 비준됨: 1992년 5월 5일 제27조 수정안 제3조: 의회는 종교 설립, 자유로운 행사 금지 법률 제정 불가, 양심의 자유 침해 불가. 제3조: 의회는 신앙 조항, 예배 방식 확립, 종교 자유 행사 금지, 언론/출판 자유, 국민 평화 집회, 정부 불만 제기 권리 제한 법률 제정 불가. 제3조: 의회는 종교 설립 법률 제정, 자유로운 행사 금지 법률 제정 불가, 언론/출판 자유, 국민 평화 집회, 정부 불만 제기 권리 제한 불가. 비준됨: 1791년 12월 15일 제1조 수정안 제4조: 언론/출판 자유, 국민 평화 집회, 공동 이익 위한 협의, 정부 불만 제기 권리 침해 불가. (위 제3조 참조) 제5조: 국민 집단으로 구성, 잘 규율된 민병대 자유 국가 최고 안보, 국민 무기 소지/휴대 권리 침해 불가, 무기 소지 종교적 꺼리는 사람 직접 군복무 강요 불가. 제4조: 잘 규율된 민병대 자유 국가 안보 필요, 국민 무기 소지/휴대 권리 침해 불가. 제4조: 잘 규율된 민병대 자유 국가 안보 필요, 국민 무기 소지/휴대 권리 침해 불가. 비준됨: 1791년 12월 15일 제2조 수정안 제6조: 평화 시 소유주 동의 없이 주택 병사 주둔 불가, 전시 법률 규정 방식만 주둔 가능. 제5조: 평화 시 소유주 동의 없이 주택 병사 주둔 불가, 전시 법률 규정 방식만 주둔 가능. 제5조: 평화 시 소유주 동의 없이 주택 병사 주둔 불가, 전시 법률 규정 방식만 주둔 가능. 비준됨: 1791년 12월 15일 제3조 수정안 제7조: 국민 부당한 수색/압수 신체, 주택, 서류, 재산 안전 보장 권리, 영장 상당 이유, 선서/확언 뒷받침, 수색 장소, 체포 사람/물건 명시 경우만 발부. 제6조: 국민 부당한 수색/압수 신체, 주택, 서류, 재산 안전 보장 권리, 영장 상당 이유, 선서/확언 뒷받침, 수색 장소, 체포 사람/물건 명시 경우만 발부. 제6조: 국민 부당한 수색/압수 신체, 주택, 서류, 재산 안전 보장 권리, 영장 상당 이유, 선서/확언 뒷받침, 수색 장소, 체포 사람/물건 명시 경우만 발부. 비준됨: 1791년 12월 15일 제4조 수정안 제8조: 탄핵 제외 동일 범죄 두 번 이상 재판/처벌 불가, 형사 사건 자신 증언 강요 불가, 적법 절차 없이 생명, 자유, 재산 박탈 불가, 정당 보상 없이 사유 재산 공용 징발 불가. 제7조: 사형/기타 불명예 범죄 대배심 고발/기소 없이 책임 불가, 전쟁/공공 위험 시 복무 육군/해군/민병대 경우 제외, 동일 범죄 두 번 생명/신체 위험 불가, 형사 사건 자신 증언 강요 불가, 적법 절차 없이 생명, 자유, 재산 박탈 불가, 정당 보상 없이 사유 재산 공용 징발 불가. 제7조: 사형/기타 불명예 범죄 대배심 고발/기소 없이 책임 불가, 전쟁/공공 위험 시 복무 육군/해군/민병대 경우 제외, 동일 범죄 두 번 생명/신체 위험 불가, 형사 사건 자신 증언 강요 불가, 적법 절차 없이 생명, 자유, 재산 박탈 불가, 정당 보상 없이 사유 재산 공용 징발 불가. 비준됨: 1791년 12월 15일 제5조 수정안 제9조: 모든 형사 소송 피고인 신속/공개 재판 권리, 혐의 성격/원인 통지 권리, 자신 증인 대질 권리, 유리 증인 확보 강제 절차 권리, 변호인 조력 권리 향유. 제8조: 모든 형사 소송 피고인 신속/공개 재판 권리, 혐의 성격/원인 통지 권리, 자신 증인 대질 권리, 유리 증인 확보 강제 절차 권리, 변호인 조력 권리 향유. 제8조: 모든 형사 소송 피고인 범죄 발생 주/지역 공정 배심원 신속/공개 재판 권리, 혐의 성격/원인 통지 권리, 자신 증인 대질 권리, 유리 증인 확보 강제 절차 권리, 변호인 조력 권리 향유. 비준됨: 1791년 12월 15일 제6조 수정안 제10조: 모든 범죄 재판(탄핵, 전쟁/공공 위험 시 복무 육군/해군/민병대 경우 제외) 지역 주민 구성 공정 배심원, 유죄 판결 만장일치, 기피권/기타 관습 요건 적용, 대배심 고발/기소 없이 사형/기타 불명예 범죄 책임, 적국 점령지/폭동 발생 범죄 동일 주 내 다른 곳 기소/재판 허용. (위 제7조 참조) 제11조: 분쟁 가치 1000USD 미만 미국 대법원 항소 불가, 일반법 배심원 심리 사실 일반법 규칙만 재심사 가능. 제9조: 분쟁 가치 20USD 초과 일반법 소송 배심원 재판 권리 보장, 배심원 심리 사실 미국 법원 일반법 규칙만 재심사 가능. 제9조: 분쟁 가치 20USD 초과 일반법 소송 배심원 재판 권리 보장, 배심원 심리 사실 미국 법원 일반법 규칙만 재심사 가능. 비준됨: 1791년 12월 15일 제7조 수정안 제12조: 일반법 소송 배심원 재판 권리 보장. (위 제9조 참조) 제13조: 과도한 보석금 요구, 과도한 벌금 부과, 잔혹/비정상 형벌 부과 금지. 제10조: 과도한 보석금 요구, 과도한 벌금 부과, 잔혹/비정상 형벌 부과 금지. 제10조: 과도한 보석금 요구, 과도한 벌금 부과, 잔혹/비정상 형벌 부과 금지. 비준됨: 1791년 12월 15일 제8조 수정안 제14조: 어떤 주도 형사 사건 배심원 재판 권리, 양심 자유, 언론/출판 자유 침해 불가. (위 제3조, 제9조 참조) 제15조: 헌법 특정 권리 열거, 국민 보유 다른 권리 부인/폄하 해석 불가. 제11조: 헌법 특정 권리 열거, 국민 보유 다른 권리 부인/폄하 해석 불가. 제11조: 헌법 특정 권리 열거, 국민 보유 다른 권리 부인/폄하 해석 불가. 비준됨: 1791년 12월 15일 제9조 수정안 제16조: 헌법 미국 정부 위임 권한 규정 행사, 입법부 행정부/사법부 위임 권한 행사 불가, 행정부 입법부/사법부 위임 권한 행사 불가, 사법부 입법부/행정부 위임 권한 행사 불가. 제17조: 헌법 위임, 헌법 금지 권한 각 주 보유. 제12조: 헌법 미국 위임, 주 금지 권한 각 주/국민 보유. 제12조: 헌법 미국 위임, 주 금지 권한 각 주/국민 보유. 비준됨: 1791년 12월 15일 제10조 수정안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3. 1. 전문 (Preamble)
Congress of the United States영어 (미합중국 의회)는 1789년 3월 4일 수요일 뉴욕시에서 소집되어 개회되었다. 몇몇 주의 회의에서 각 주들이 헌법을 채택할 때, 권력 오남용을 막기 위해 좀 더 단정적이고 제한적인 규정을 추가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조치는 정부에 대한 대중적 신뢰를 확대하여 정부 시행 제도의 유익한 목적을 보장할 것이라는 기대를 담고 있었다.[19]
소집된 의회 상하원 각각 3분의 2의 찬성으로, 다음 조항들을 미합중국 헌법의 수정 조항으로 각 주의 의회에 제안하였다. 제안된 조항들은 각 주 의회의 4분의 3이 비준하면 모든 의도와 목적에 따라 헌법의 일부로 유효하게 된다. 이 수정 조항들은 의회에 의해 발의되고 각 주의 의회에 의해 비준되었으며, 원래 헌법 제5조에 따른 것이다.[19]
3. 2. 각 조항
미국 제1회 의회는 페더럴 홀에서 개최되었으며 연방주의자들의 승리로 끝났다. 당시 상원에는 20명의 연방주의자와 2명의 반연방주의자가 있었고, 하원에는 48명의 연방주의자와 11명의 반연방주의자가 있었다.[15]
하원의 버지니아 대표단에는 버지니아 비준 협의회에서 패트릭 헨리의 주요 반대자였던 제임스 매디슨이 있었다. 매디슨은 제1회 의회에서 권리장전을 구성하는 헌법 개정안을 제출하겠다는 선거 공약을 제시한 후 당선되었다.[15]
매디슨은 처음에는 헌법에 권리장전 포함에 반대했지만, 비준 논쟁을 통해 그 중요성을 이해하게 되었다. 그는 두 번째 헌법 개정 회의를 막고자 했으며, 개인의 자유를 보장하는 개정안이 정부에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15]
1789년 4월 30일, 조지 워싱턴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헌법 개정 문제를 언급하며, 자유민의 권리와 공공 조화를 고려하여 심의할 것을 촉구했다.[16]
연방주의자 대표들은 매디슨의 제안을 공격했지만, 하원은 1789년 7월 21일부터 매디슨의 제안을 다루기로 합의했다. 11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는 매디슨의 제안에 변화를 주었고, 하원은 수정안을 논의한 후 17개로 축소하여 상원에 전달했다.[16]
상원은 수정안을 더욱 편집하여 12개로 축소하고 1789년 9월 9일에 승인했다. 하원-상원 합동위원회는 1789년 9월 24일에 12개의 헌법 수정안을 확정했고, 이는 9월 25일에 의회에서 승인되어 존 J. 벡리(John J. Beckley)에 의해 각 주에 전달되었다.[20][21][22]
권리장전 수정안 작성 과정에서 많은 개인적인 의견이 바뀌었다. 많은 연방주의자들이 지지 입장을 밝혔고, 반연방주의자들은 수정안에 대한 의회의 승인이 제2의 헌법 개정 가능성을 줄일 것이라는 점을 깨닫고 반대했다.[33]
매디슨은 입법 과정 전반에 걸쳐 수정안 진행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역사학자 고든 S. 우드는 매디슨의 노력 덕분에 권리장전이 통과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33]
의회와 각 주에서의 권리장전 승인[23] | |||
---|---|---|---|
17개 조항 하원 승인 1789년 8월 24일 | 12개 조항 상원 승인 1789년 9월 9일 | 12개 조항 의회 승인 1789년 9월 25일 | 비준 상태 |
제1조: 미국 헌법 제1조에 규정된 첫 번째 인구 조사 후에는, 대표자 수가 100명에 이를 때까지 3만 명당 대표 1명을 두고, 그 이후에는 대표자 수가 200명에 이를 때까지 대표자 수가 100명 미만이거나 4만 명당 대표 1명 미만이 되지 않도록 의회가 비율을 조정하고, 그 이후에는 대표자 수가 200명 미만이거나 5만 명당 대표 1명을 초과하지 않도록 의회가 비율을 조정한다. | 제1조: 헌법 제1조에 규정된 첫 번째 인구 조사 후에는, 대표자 수가 100명에 이를 때까지 3만 명당 대표 1명을 두고, 그 이후에는 대표자 수가 200명에 이를 때까지 4만 명 증가마다 대표 1명을 추가하고, 그 이후에는 6만 명 증가마다 대표 1명을 추가한다. | 제1조: 헌법 제1조에 규정된 첫 번째 인구 조사 후에는, 대표자 수가 100명에 이를 때까지 3만 명당 대표 1명을 두고, 그 이후에는 대표자 수가 200명에 이를 때까지 대표자 수가 100명 미만이거나 4만 명당 대표 1명 미만이 되지 않도록 의회가 비율을 조정하고, 그 이후에는 대표자 수가 200명 미만이거나 5만 명당 대표 1명을 초과하지 않도록 의회가 비율을 조정한다. | 계류 중: 의회 비례 대표 수정 조항 |
제2조: 의원의 보수를 변경하는 법률은 대표 선거가 있은 후에야 효력을 갖는다. | 제2조: 상원의원과 대표의 봉급을 변경하는 법률은 대표 선거가 있은 후에야 효력을 갖는다. | 제2조: 상원의원과 대표의 봉급을 변경하는 법률은 대표 선거가 있은 후에야 효력을 갖는다. | 후에 비준됨: 1992년 5월 5일 제27조 수정안 |
제3조: 의회는 종교를 설립하거나 그 자유로운 행사를 금지하는 법률을 제정하지 않으며, 양심의 자유도 침해하지 않는다. | 제3조: 의회는 신앙 조항이나 예배 방식을 확립하거나 종교의 자유로운 행사를 금지하거나 언론이나 출판의 자유 또는 국민이 평화롭게 집회하고 정부에 불만을 제기할 권리를 제한하는 법률을 제정하지 않는다. | 제3조: 의회는 종교의 설립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거나 그 자유로운 행사를 금지하는 법률을 제정하지 않으며, 언론이나 출판의 자유 또는 국민이 평화롭게 집회하고 정부에 불만을 제기할 권리를 제한하지 않는다. | 비준됨: 1791년 12월 15일 제1조 수정안 |
제4조: 언론과 출판의 자유, 그리고 국민이 평화롭게 집회하고 공동의 이익을 위해 협의하며 정부에 불만을 제기할 권리는 침해되지 않는다. | (위의 제3조 참조) | style="background: #ecefc9; padding: 1em"| | style="background: #ecefc9; padding: 1em"| |
제5조: 국민의 집단으로 구성된 잘 규율된 민병대는 자유 국가의 최고의 안보이므로, 국민이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는 침해되지 않지만, 무기를 소지하는 것을 종교적으로 꺼리는 사람은 본인이 직접 군복무를 할 것을 강요받지 않는다. | 제4조: 잘 규율된 민병대는 자유 국가의 안보에 필요하므로, 국민이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는 침해되지 않는다. | 제4조: 잘 규율된 민병대는 자유 국가의 안보에 필요하므로, 국민이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는 침해되지 않는다. | 비준됨: 1791년 12월 15일 제2조 수정안 |
제6조: 평화 시에는 소유주의 동의 없이 어떤 주택에도 병사를 주둔시킬 수 없으며, 전시에도 법률에 규정된 방식으로만 주둔시킬 수 있다. | 제5조: 평화 시에는 소유주의 동의 없이 어떤 주택에도 병사를 주둔시킬 수 없으며, 전시에도 법률에 규정된 방식으로만 주둔시킬 수 있다. | 제5조: 평화 시에는 소유주의 동의 없이 어떤 주택에도 병사를 주둔시킬 수 없으며, 전시에도 법률에 규정된 방식으로만 주둔시킬 수 있다. | 비준됨: 1791년 12월 15일 제3조 수정안 |
제7조: 국민은 부당한 수색 및 압수로부터 자신의 신체, 주택, 서류 및 재산의 안전을 보장받을 권리를 가지며, 영장은 상당한 이유가 있고 선서 또는 확언에 의해 뒷받침되며 수색할 장소와 체포할 사람 또는 물건을 특히 명시하는 경우에만 발부된다. | 제6조: 국민은 부당한 수색 및 압수로부터 자신의 신체, 주택, 서류 및 재산의 안전을 보장받을 권리를 가지며, 영장은 상당한 이유가 있고 선서 또는 확언에 의해 뒷받침되며 수색할 장소와 체포할 사람 또는 물건을 특히 명시하는 경우에만 발부된다. | 제6조: 국민은 부당한 수색 및 압수로부터 자신의 신체, 주택, 서류 및 재산의 안전을 보장받을 권리를 가지며, 영장은 상당한 이유가 있고 선서 또는 확언에 의해 뒷받침되며 수색할 장소와 체포할 사람 또는 물건을 특히 명시하는 경우에만 발부된다. | 비준됨: 1791년 12월 15일 제4조 수정안 |
제8조: 어떤 사람도 탄핵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범죄에 대해 두 번 이상의 재판이나 처벌을 받지 않으며, 어떤 형사 사건에서도 자신에 대해 증언하도록 강요받지 않으며, 적법 절차 없이 생명, 자유 또는 재산을 박탈당하지 않으며, 정당한 보상 없이 사유 재산이 공용으로 징발되지 않는다. | 제7조: 어떤 사람도 사형 또는 기타 불명예스러운 범죄에 대해 대배심의 고발이나 기소가 없는 한 책임을 지지 않으며, 전쟁 또는 공공의 위험 시에 실제로 복무하는 육군 또는 해군, 또는 민병대에서 발생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동일한 범죄에 대해 두 번 생명이나 신체의 위험에 처하지 않으며, 어떤 형사 사건에서도 자신에 대해 증언하도록 강요받지 않으며, 적법 절차 없이 생명, 자유 또는 재산을 박탈당하지 않으며, 정당한 보상 없이 사유 재산이 공용으로 징발되지 않는다. | 제7조: 어떤 사람도 사형 또는 기타 불명예스러운 범죄에 대해 대배심의 고발이나 기소가 없는 한 책임을 지지 않으며, 전쟁 또는 공공의 위험 시에 실제로 복무하는 육군 또는 해군, 또는 민병대에서 발생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동일한 범죄에 대해 두 번 생명이나 신체의 위험에 처하지 않으며, 어떤 형사 사건에서도 자신에 대해 증언하도록 강요받지 않으며, 적법 절차 없이 생명, 자유 또는 재산을 박탈당하지 않으며, 정당한 보상 없이 사유 재산이 공용으로 징발되지 않는다. | 비준됨: 1791년 12월 15일 제5조 수정안 |
제9조: 모든 형사 소송에서 피고인은 신속하고 공개적인 재판을 받을 권리, 혐의의 성격과 원인을 통지받을 권리, 자신에 대한 증인과 대질할 권리, 자신에게 유리한 증인을 얻기 위한 강제적인 절차를 밟을 권리, 그리고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향유한다. | 제8조: 모든 형사 소송에서 피고인은 신속하고 공개적인 재판을 받을 권리, 혐의의 성격과 원인을 통지받을 권리, 자신에 대한 증인과 대질할 권리, 자신에게 유리한 증인을 얻기 위한 강제적인 절차를 밟을 권리, 그리고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향유한다. | 제8조: 모든 형사 소송에서 피고인은 범죄가 발생한 주와 지역의 공정한 배심원에 의한 신속하고 공개적인 재판을 받을 권리, 혐의의 성격과 원인을 통지받을 권리, 자신에 대한 증인과 대질할 권리, 자신에게 유리한 증인을 얻기 위한 강제적인 절차를 밟을 권리, 그리고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향유한다. | 비준됨: 1791년 12월 15일 제6조 수정안 |
제10조: 모든 범죄의 재판(탄핵의 경우와 전쟁 또는 공공의 위험 시에 실제로 복무하는 육군 또는 해군, 또는 민병대에서 발생하는 경우를 제외하고)은 지역 주민으로 구성된 공정한 배심원에 의해 이루어지며, 유죄 판결에는 만장일치가 필요하고, 기피권과 기타 관습적인 요건이 적용되며, 어떤 사람도 대배심의 고발이나 기소가 없는 한 사형 또는 기타 불명예스러운 범죄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지만, 적국의 점령지 또는 폭동이 발생한 곳에서 범죄가 발생한 경우에는 동일 주 내의 다른 곳에서 기소와 재판을 허용할 수 있다. | (위의 제7조 참조) | style="background: #ecefc9; padding: 1em"| | style="background: #ecefc9; padding: 1em"| |
제11조: 분쟁 가치가 1000USD에 달하지 않는 경우 미국 대법원에 대한 항소는 허용되지 않으며, 일반법에 따라 배심원이 심리할 수 있는 사실은 일반법의 규칙에 따라서만 재심사될 수 있다. | 제9조: 분쟁 가치가 20USD를 초과하는 일반법 소송에서는 배심원 재판 권리가 보장되며, 배심원이 심리한 사실은 미국 법원에서 일반법의 규칙에 따라서만 재심사될 수 있다. | 제9조: 분쟁 가치가 20USD를 초과하는 일반법 소송에서는 배심원 재판 권리가 보장되며, 배심원이 심리한 사실은 미국 법원에서 일반법의 규칙에 따라서만 재심사될 수 있다. | 비준됨: 1791년 12월 15일 제7조 수정안 |
제12조: 일반법 소송에서는 배심원 재판 권리가 보장된다. | (위의 제9조 참조) | style="background: #ecefc9; padding: 1em"| | style="background: #ecefc9; padding: 1em"| |
제13조: 과도한 보석금을 요구하거나 과도한 벌금을 부과하거나 잔혹하고 비정상적인 형벌을 가하지 않는다. | 제10조: 과도한 보석금을 요구하거나 과도한 벌금을 부과하거나 잔혹하고 비정상적인 형벌을 가하지 않는다. | 제10조: 과도한 보석금을 요구하거나 과도한 벌금을 부과하거나 잔혹하고 비정상적인 형벌을 가하지 않는다. | 비준됨: 1791년 12월 15일 제8조 수정안 |
제14조: 어떤 주도 형사 사건에서 배심원 재판 권리나 양심의 자유 또는 언론이나 출판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는다. | (위의 제3조와 제9조 참조) | style="background: #ecefc9; padding: 1em"| | style="background: #ecefc9; padding: 1em"| |
제15조: 헌법에 특정 권리가 열거되어 있다고 해서 국민이 보유한 다른 권리를 부인하거나 폄하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 제11조: 헌법에 특정 권리가 열거되어 있다고 해서 국민이 보유한 다른 권리를 부인하거나 폄하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 제11조: 헌법에 특정 권리가 열거되어 있다고 해서 국민이 보유한 다른 권리를 부인하거나 폄하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 비준됨: 1791년 12월 15일 제9조 수정안 |
제16조: 헌법에 의해 미국 정부에 위임된 권한은 그 안에 규정된 대로 행사되어야 하므로, 입법부는 행정부나 사법부에 위임된 권한을 행사하지 않으며, 행정부는 입법부나 사법부에 위임된 권한을 행사하지 않으며, 사법부는 입법부나 행정부에 위임된 권한을 행사하지 않는다. | style="background: #ecefc9; padding: 1em"| | style="background: #ecefc9; padding: 1em"| | style="background: #ecefc9; padding-left: 1em"| |
제17조: 헌법에 위임되지 않거나 헌법에 의해 금지되지 않은 권한은 각 주에 각각 보유된다. | 제12조: 헌법에 의해 미국에 위임되지 않거나 주에 대해 금지되지 않은 권한은 각 주 또는 국민에게 보유된다. | 제12조: 헌법에 의해 미국에 위임되지 않거나 주에 대해 금지되지 않은 권한은 각 주 또는 국민에게 보유된다. | 비준됨: 1791년 12월 15일 제10조 수정안 |
3. 2. 1. 수정 제1조
의회는 국교를 정하거나 종교의 자유로운 행사를 금지하는 법률, 언론·출판의 자유, 국민의 평화로운 집회 권리, 정부에 청원할 수 있는 권리를 제한하는 법률을 제정할 수 없다.[45]이는 종교 설립을 금지하고(건국조항), 종교의 자유로운 행사를 보장하며(자유행사조항), 언론, 출판, 평화로운 집회, 정부에 대한 청원의 자유를 보장한다. 수정헌법 제1조는 처음에는 의회가 제정한 법률에만 적용되었고, 많은 조항이 오늘날보다 좁게 해석되었다.[46]
에버슨 대 교육위원회 판결(1947)에서 대법원은 토머스 제퍼슨의 서신을 인용하여 "교회와 국가 사이의 분리 장벽"을 요구했지만, 이 분리의 정확한 경계는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46] 언론의 자유는 20세기와 21세기의 여러 법원 판결을 통해 확대되었으며, 다양한 형태의 정치적 발언, 익명 발언, 선거 자금, 포르노, 학교 내 발언을 보호하고 수정헌법 제1조 보호의 예외를 정의했다. 대법원은 뉴욕타임스 대 설리반 판결(1964)에서 명예훼손 소송의 입증 책임을 높이기 위해 영국 관습법의 선례를 뒤집었다.[47] 상업적 발언은 정치적 발언보다 수정헌법 제1조의 보호를 덜 받으며, 더 많은 규제를 받는다.[46]
자유 출판 조항은 정보와 의견의 발표를 보호하며, 다양한 매체에 적용된다. 니어 대 미네소타 판결(1931)[48]과 뉴욕타임즈 대 미국 판결(1971)에서[49] 대법원은 수정헌법 제1조가 거의 모든 경우에 사전 검열을 금지한다고 판결했다. 청원 조항은 모든 정부 부처와 기관에 행동을 청원할 권리를 보호한다. 대법원은 이 조항이 보장하는 집회 권리 외에도 결사의 자유를 암묵적으로 보호한다고 판결했다.[46]
3. 2. 2. 수정 제2조
미국 수정헌법 제2조는 개인의 무기 소지 및 휴대 권리를 보호한다. 이러한 권리의 개념은 권리장전 제정 훨씬 이전부터 영국의 관습법에 존재했다.[50] 1689년 영국 권리장전(단, 당시에는 프로테스탄트에게만 적용)에 처음으로 성문화된 이 권리는 혁명 시대 동안 버지니아 권리선언(1776)과 펜실베이니아 헌법(1776)을 포함한 여러 미국 주의 기본법에 명시되었다. 오랫동안 미국 정치, 법률 및 사회 담론에서 논란이 많은 문제였던 수정헌법 제2조는 여러 대법원 판결의 중심에 있었다.-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대 크루이크섐크''(1876) 사건에서 대법원은 "무기를 소지할 권리는 헌법에 의해 부여된 것이 아니며, 그 존재에 있어서 그 문서에 의존하지도 않는다. 수정헌법 제2조는 의회에 의해 침해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지 않으며, 연방 정부의 권한을 제한하는 것 외의 다른 효과를 갖지 않는다"고 판결했다.[51]
-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대 밀러''(1939) 사건에서 대법원은 이 수정헌법이 "잘 조직된 민병대의 보존 또는 효율성과 합리적인 관계가 있는 무기를 보호한다"고 판결했다.[52]
- ''워싱턴 D.C. 대 헬러''(2008) 사건에서 대법원은 수정헌법 제2조가 "기존의 권리를 성문화한 것"이며, "민병대 복무와 관련이 없는 화기를 소지하고, 자기 방어와 같이 전통적으로 합법적인 목적으로 그 무기를 사용할 개인의 권리를 보호한다"고 판결했지만, "이 권리는 무제한이 아니며, 어떤 무기든 어떤 방식으로든 어떤 목적으로든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는 아니다"라고도 밝혔다.[53]
- ''맥도널드 대 시카고''(2010)[54] 사건에서 대법원은 수정헌법 제2조가 연방 정부를 제한하는 것과 같은 정도로 주 및 지방 정부를 제한한다고 판결했다.[55]
(국민의 무장권)
- 미국헌법 수정조항 제2조(大礒正美에 의한 의역) - 연방정부에 대한 잠재적 저항권(자유권)을 확보할 필요에서, 정당하게 조직된 민병대는 금지되어서는 안 되며, (따라서) 의용병이 되어야 할 주민이 자신의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하는 권리 또한 연방정부에 의해 침해되어서는 안 된다.
3. 2. 3. 수정 제3조
수정 제3조는 미국 독립 전쟁 당시 영국 의회가 통과시킨 병영법에 대한 대응으로, 사유 주택에 병사를 주둔시키는 것을 제한하고 있다. 이 조항은 헌법 조항 중 가장 논란이 적은 조항 중 하나이며, 현재까지 대법원 판결의 주요 근거가 된 적이 없다.[56][57][58]요약 | 내용 |
---|---|
평시 | 주택 소유자의 동의 없이 병사 주둔 불가 |
전시 | 법률에 정해진 방식으로만 병사 주둔 가능 |
3. 2. 4. 수정 제4조
수정헌법 제4조는 부당한 수색과 압수를 금지하고, 모든 영장이 사법적으로 허가되고 개연성 있는 이유에 의해 뒷받침되어야 함을 규정한다. 이 조항은 미국 독립혁명 당시 남용되었던 일반적인 수색영장의 일종인 수색영장의 남용에 대한 대응으로 채택되었다. 수색과 압수(체포 포함)는 발부 법원에 제출된 구체적인 정보, 보통은 선서한 법 집행관이 제출한 정보에 따라 범위가 제한되어야 한다. 이 수정헌법은 불법적으로 얻은 증거는 형사 재판에 제출할 수 없도록 하는 제외 규칙의 근거가 된다.[59] 이 수정헌법의 해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해 왔다. 얼 워렌이 이끄는 좌파 성향의 법원 하에서 그 보호 범위가 확대되었고, 윌리엄 레인퀴스트의 법원과 같은 우파 성향의 법원 하에서 축소되었다.[60]- 본 조항은 직접적으로 수색·압수(Search and Seizure)에 관한 규정이지만, 여기서 말하는 압수에는 “사람의 압수”, 즉 체포(Arrest)가 포함된다는 것이 미국 판례 및 통설이다.
- 본 조항에 대해서는 매우 많은 판례가 있다. 미국에서 형사 사건에 대한 수사 절차는 대륙법계처럼 상세한 형사소송법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오로지 본 조항의 해석에 따라 규율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그 해석이 많은 형사 사건에서 다투어져 왔기 때문이다.
3. 2. 5. 수정 제5조
수정 제5조는 적법절차의 원리, 일사부재리의 원칙, 자기부죄 금지의 원칙, 공용침해에 대한 조항을 담고 있다.[45]'''주요 내용:'''
- 누구라도 대배심의 고발이나 공소 제기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사형에 해당하는 죄나 중죄에 대하여 심문당해서는 안 된다. (단, 전쟁 시나 공공의 위험이 발생했을 때 육해군이나 민병대에 복무 중인 경우는 예외)
- 어느 누구도 동일한 범죄에 대하여 생명이나 신체의 위험에 두 번 처해져서는 안 된다. (일사부재리의 원칙)
- 어느 형사 사건에서도 자신의 증인이 될 것을 강요받아서는 아니 된다. (자기부죄 금지의 원칙)
- 적법절차에 의하지 아니하고 생명이나 자유 또는 재산이 박탈당해서는 아니 된다.
- 사유재산권은 정당한 보상 없이는 공익 목적을 위하여 수용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 수정헌법은 미란다 대 애리조나주 판결(1966)의 기초가 되었는데, 이 판결은 피고인이 경찰 심문 전에 변호인을 선임할 권리와 자기부죄 금지 권리를 알려받아야 함을 규정했다. 이것이 바로 미란다 경고이다.[61]
3. 2. 6. 수정 제6조
수정헌법 제6조는 모든 형사 소송에서 피고인이 다음과 같은 권리를 누린다고 규정한다.[45]- 신속하고 공개적인 재판을 받을 권리
- 범죄가 발생한 주와 지역의 공정한 배심원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 (해당 지역은 법률에 의해 미리 확정되어야 함)
- 기소의 성격과 이유를 통지받을 권리
- 자신에게 불리한 증인과 대질할 권리
- 자신에게 유리한 증인을 얻기 위한 강제적인 절차를 밟을 권리
-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62]
대법원은 ''기든 대 웨인라이트''(1963) 판결에서 수정헌법 제6조가 주와 연방 법원 모두에서 모든 중범죄 기소에 대해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보장한다고 판결했다.[62]
제임스 매디슨은 수정헌법 제6조를 포함한 일련의 헌법 수정안을 하원에 제출했다. 이 수정안들은 버지니아 권리 선언 등 기존 주 헌법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수정안 논의 과정에서 하원과 상원은 여러 차례 수정을 거쳤고, 최종적으로 12개의 수정안이 의회에서 승인되어 각 주에 전달되었다.
3. 2. 7. 수정 제7조
제7조는 민사 재판에서 배심원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는 조항이다.[17] 분쟁 가액이 20USD를 초과하는 일반법 소송에서는 배심원 재판을 받을 권리가 보장되며, 배심원이 심리한 사실은 보통법의 규정에 의하지 않고는 미국의 어느 법원에서도 재심받지 아니한다.[19]In suits at common law, where the value in controversy shall exceed twenty dollars, the right of trial by jury shall be preserved, and no fact tried by a jury, shall be otherwise reexamined in any Court of the United States, than according to the rules of the common law.영어
이 수정 조항은 20USD를 초과하는 청구와 관련된 연방 민사 사건에서 배심원 재판을 보장한다. 또한 연방 민사 재판에서 판사가 배심원의 사실 인정을 뒤집는 것을 금지한다. 대법원은 ''콜그로브 대 배틴 판결 (Colgrove v. Battin)''(1973)에서 최소 6명의 배심원으로 수정 조항의 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 제7조는 통합되지 않은(주에 적용되지 않은) 몇 안 되는 조항 중 하나이다.[63]
3. 2. 8. 수정 제8조
미국 수정헌법 제8조는 과도한 보석금, 과도한 벌금, 그리고 잔혹하고 이례적인 형벌을 금지한다.[45] 이 조항은 1689년 영국 권리장전에서 유래되었으며, 제임스 매디슨이 미국 권리장전을 작성할 때 주요 참고 자료 중 하나로 사용했다.[17]"과도한"이라는 용어의 해석은 다양할 수 있지만, 수정헌법 제8조에서 가장 논쟁이 되는 부분은 잔혹하고 비정상적인 형벌 금지 조항이다.[64][65] 이 조항은 1970년대 이전에는 대법원에서 사형 집행 방법에 대한 사건에서만 드물게 적용되었다.
''퍼먼 대 조지아주 사건''(1972)에서 대법원 일부 재판관들은 사형 자체가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도덕적 기준"에 어긋난다고 판단했다. 다른 재판관들은 사형 재판 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사형 집행을 일시 중단시키는 판결을 내렸다.[66] 이후 ''그레그 대 조지아주 사건''(1976)에서 배심원에게 명확한 지침이 주어지면 사형이 합헌이라는 판결이 내려져 사형 집행이 재개되었다.[66]
대법원은 ''에스텔 대 갬블 사건''(1976)과 ''브라운 대 플라타 사건''(2011)에서 열악한 교도소 환경도 잔혹하고 이례적인 형벌에 해당한다고 판결했다.[64]
다음은 수정 제8조와 관련된 주요 사건들이다.
사건명 | 연도 | 내용 |
---|---|---|
퍼먼 대 조지아주 사건 | 1972 | 사형 자체가 "도덕적 기준"에 어긋난다는 판결 (일부 재판관), 사형 재판 과정의 문제점 지적, 사형 집행 일시 중단 |
그레그 대 조지아주 사건 | 1976 | 배심원에게 명확한 지침이 주어지면 사형이 합헌, 사형 집행 재개 |
에스텔 대 갬블 사건 | 1976 | 열악한 교도소 환경도 잔혹하고 이례적인 형벌에 해당 |
브라운 대 플라타 사건 | 2011 | 열악한 교도소 환경도 잔혹하고 이례적인 형벌에 해당 |
3. 2. 9. 수정 제9조
수정헌법 제9조는 헌법에 명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기본권이 존재함을 선언한다. 즉, 헌법에 열거된 권리들이 개인 권리의 전부는 아니라는 의미이다.20세기 후반까지 대법원 판결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았으나, 1965년 그리스월드 대 코네티컷주 사건에서 여러 대법관들이 이 조항을 인용하였다. 이 판결에서 대법원은 피임약 사용 금지 법률이 부부의 사생활 보호권을 침해한다고 판결하여 무효화했다.[67]
이후 로 대 웨이드(1973) 사건에서 텍사스주의 낙태 지원 금지 법률을 무효화하고, 기획출산협회 대 케이시(1992) 사건에서 낙태 시 배우자 동의를 요구하는 펜실베이니아주 법률을 무효화하는 등 여러 중요 판례의 근거가 되었다.
하원 승인 (17개 조항, 1789년 8월 24일) | 상원 승인 (12개 조항, 1789년 9월 9일) | 의회 승인 (12개 조항, 1789년 9월 25일) | 비준 (1791년 12월 15일) |
---|---|---|---|
제15조: 헌법에 특정 권리가 열거되어 있다고 해서 국민이 보유한 다른 권리를 부인하거나 폄하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 제11조: 헌법에 특정 권리가 열거되어 있다고 해서 국민이 보유한 다른 권리를 부인하거나 폄하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 제11조: 헌법에 특정 권리가 열거되어 있다고 해서 국민이 보유한 다른 권리를 부인하거나 폄하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 제9조 수정안 |
3. 2. 10. 수정 제10조
수정 제10조는 헌법에 의해 미국 연방 정부에 위임되지 않았거나 주에 금지되지 않은 권한은 각 주 또는 국민에게 귀속된다는 규정을 통해 권력 분립과 연방제의 원칙을 강화한다.[45] 이 수정 조항은 주에 새로운 권한이나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연방 정부에 명시적으로 부여되지 않았거나 주에 명시적으로 금지되지 않은 모든 사항에 대한 주의 권한을 보존하는 것이다.[68]4. 영향 및 의의
국립 기록 보관소의 자유 헌장의 로툰다에는 원본 권리장전이 헌법, 독립 선언 등 미국의 건국 문서와 함께 전시되어 있다.[76] 조지 워싱턴은 권리장전 필사본 14부를 만들었는데, 의회에 1부, 그리고 원래 13개 주에 각각 1부씩 전달했다.[69]
조지아주, 메릴랜드주, 뉴욕주, 펜실베이니아주의 사본은 분실되었다.[70] 뉴욕주 사본은 화재로 소실된 것으로 추정된다.[71] 분실된 4부 중 2부(조지아주와 메릴랜드주의 사본으로 추정)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한 부는 국립 기록 보관소에, 다른 한 부는 뉴욕 공공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72][73] 노스캐롤라이나주의 사본은 남북 전쟁 후 연방군 병사에 의해 주 청사에서 도난당했다가 2003년 FBI의 함정 수사 작전을 통해 회수되었다.[74][75]
50년간 전시된 후, 보관함의 노후화 징후가 발견되었지만, 문서 자체는 잘 보존된 것으로 나타났다.[77] 2003년 9월 17일, 보관함을 개선하고 로툰다를 다시 헌정했다. 헌정사에서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진정한 [미국의] 혁명은 지상의 권력에 도전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지상의 권력 위에 우뚝 서 있는 원칙, 즉 하나님 앞에 모든 사람의 평등과 모든 사람의 권리를 보장할 정부의 책임을 선포하는 것이었다"라고 말했다.[78]
1941년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은 권리장전 비준 150주년을 기념하여 12월 15일을 권리장전의 날로 선포했다.[79] 1991년에는 권리장전의 이백주년을 기념하여 버지니아주 사본이 전국을 순회하며 50개 주의 주도를 방문했다.[80]
5. 한국에 대한 시사점
한국은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발전시켜 온 과정에서 미국의 권리장전으로부터 많은 영감을 받았다. 특히, 표현의 자유, 집회 및 결사의 자유, 적법절차 원칙 등은 대한민국 헌법에 반영되어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권리장전의 정신을 이어받아 시민의 기본권 보호와 확대를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예를 들어, 검경 수사권 조정,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등 사법 개혁을 통해 국민의 인권을 더욱 두텁게 보호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다만, 수정 헌법 제2조(무기 소지 권리)와 같이 한국의 현실과 맞지 않는 부분도 존재한다. 따라서 권리장전의 역사와 내용을 깊이 이해함으로써, 한국 사회에 맞는 인권 보장 체계를 더욱 발전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Northwest Ordinance of 1787 and its Effects
http://www.americanh[...]
2012-04-08
[2]
웹사이트
Bill of Rights
https://www.history.[...]
A&E Television Networks
[3]
웹사이트
Essays on Article V: Amendments
https://www.heritage[...]
The Heritage Foundation
[4]
웹사이트
Bill of Rights – Facts & Summary
http://www.history.c[...]
[5]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Constitutional Convention
http://teachingameri[...]
Teaching American History
[6]
웹사이트
Madison Debates, September 12
http://avalon.law.ya[...]
[7]
서적
Judicial Politics: Readings from Judicatur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999
[8]
웹사이트
Federal Convention, Resolution and Letter to the Continental Congress
http://press-pubs.uc[...]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
웹사이트
Jefferson's letter to Madison, March 15, 1789
http://press-pubs.uc[...]
The Founders' Constitution
[10]
간행물
Hamilton et al.
[11]
간행물
Brutus
[12]
간행물
Brutus
[13]
웹사이트
On opposition to a Bill of Rights.
http://press-pubs.uc[...]
The Founders' Constitu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4]
간행물
Labunksi
[15]
웹사이트
From Thomas Jefferson to James Madison, 20 December 1787
https://founders.arc[...]
United State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1787-12-20
[16]
웹사이트
Anticipating the Bill of Rights in the First Congress
http://teachingameri[...]
The Ashbrook Center at Ashland University
[17]
간행물
Madison introduced "amendments culled mainly from state constitutions and state ratifying convention proposals, especially Virginia's."
[18]
웹사이트
Virginia Declaration of Rights: Primary Documents of American History (Virtual Programs & Services, Library of Congress)
https://www.loc.gov/[...]
[19]
웹사이트
Madison's Speech Proposing Amendments to the Constitution: June 8, 1789
http://teachingameri[...]
Ashbrook Center at Ashland University
[20]
서적
Freedom of Religion, the First Amendment, and the Supreme Court: How the Court Flunked History
https://books.google[...]
Pelican Publishing
[21]
서적
Free, Sovereign, and Independent States: The Intended Meaning of the American Constitution
https://books.google[...]
Arcadia
[22]
웹사이트
Creating the United States - Creating the Bill of Rights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3]
웹사이트
The Four Stages of Approval of the Bill of Rights in Congress and the States
http://teachingameri[...]
The Ashbrook Center at Ashland University
[24]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Centennial Edition, Interim Edition: Analysis of Cases Decided by the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to June 26, 2013
http://www.gpo.gov/f[...]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5]
서적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and Amendments Thereto
Virginia Commission on Constitutional Government
[26]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The Story of the Constitution the Bill of Rights and the Amendments
https://books.google[...]
Mossy Feet Books
[27]
웹사이트
Ratifications of the Amendments to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 Teaching American History
http://teachingameri[...]
[28]
뉴스
Founders Online: From George Washington to the United States Senate and House o ...
https://founders.arc[...]
[29]
웹사이트
The Telling Tale of the Twenty-Seventh Amendment
http://writ.news.fin[...]
2002-09-27
[30]
학술지
The Sleeper Wakes: The History and Legacy of the Twenty-Seventh Amendment
http://ir.lawnet.for[...]
[31]
백과사전
Twenty-Seventh Amendment
http://www.highbeam.[...]
[32]
웹사이트
The Documentary History of the Ratification of the Constitution, Digital Edition
http://csac.history.[...]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33]
백과사전
Bill of Rights (United States)
http://www.highbeam.[...]
[34]
웹사이트
The Bill of Rights: A Brief History
https://www.aclu.org[...]
ACLU
[35]
웹사이트
Barron v. Mayor & City Council of Baltimore – 32 U.S. 243 (1833)
http://supreme.justi[...]
Justia.com
[36]
백과사전
BARRON v. CITY OF BALTIMORE 7 Peters 243 (1833)
http://www.highbeam.[...]
""
2000-01-01
[37]
백과사전
American Indians and the Constitution
http://www.highbeam.[...]
""
[38]
웹사이트
Research Guides: 14th Amendment to the U.S. Constitution: Primary Documents in American History: Introduction
https://guides.loc.g[...]
[39]
서적
Robertson
[40]
서적
Understanding Human Rights Principles
https://books.google[...]
Hart Publishing
[41]
서적
Constitutional Law, Administrative Law, and Human Rights: A Critical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42]
서적
The Judicial Application of Human Rights Law: National, Regional and International Jurispruden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법원판례
http://laws.findlaw.[...]
1943-01-01
[44]
법원판례
Obergefell v. Hodges
https://www.supremec[...]
2015-06-26
[45]
웹사이트
Bill of Rights Transcript
https://www.archives[...]
Archives.gov
[46]
백과사전
First Amendment
http://www.highbeam.[...]
""
[47]
법원판례
New York Times Co. v. Sullivan
1964
[48]
법원판례
Near v. Minnesota
1931
[49]
법원판례
New York Times Co. v. United States
1971
[50]
학술지
Bringing Forward The Right To Keep And Bear Arms: Do Text, History, Or Precedent Stand In The Way?
http://scholarship.l[...]
1997-03-01
[51]
법원판례
1875
[52]
법원판례
1939
[53]
법원판례
2008
[54]
웹사이트
McDonald v. City of Chicago, 561 U.S. 742 (2010)
https://supreme.just[...]
[55]
뉴스
Justices Extend Firearm Rights in 5-to-4 Ruling
https://www.nytimes.[...]
2010-06-28
[56]
웹사이트
The Third Amendment
http://www.revolutio[...]
2012-09-07
[57]
백과사전
Third Amendment
http://www.highbeam.[...]
""
[58]
백과사전
Third Amendment
http://www.highbeam.[...]
""
2009-01-01
[59]
백과사전
Exclusionary rule
http://www.britannic[...]
[60]
백과사전
Fourth Amendment
http://www.britannic[...]
[61]
백과사전
Fifth Amendment
http://www.highbeam.[...]
""
2006-01-01
[62]
웹사이트
The Sixth Amendment
http://www.highbeam.[...]
""
2008-01-01
[63]
백과사전
Seventh Amendment
http://www.highbeam.[...]
""
[64]
백과사전
Cruel and Unusual Punishment
http://www.highbeam.[...]
""
[65]
백과사전
U*X*L Encyclopedia of U.S. History
http://www.highbeam.[...]
""
2009-01-01
[66]
백과사전
Capital Punishment
http://www.highbeam.[...]
""
[67]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Centennial Edition, Interim Edition: Alalysis of Cases Decided by the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to June 26, 2013
http://www.gpo.gov/f[...]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68]
백과사전
Tenth Amendment
http://www.britannic[...]
[69]
뉴스
FBI recovers original copy of Bill of Rights
http://www.cnn.com/2[...]
CNN
2003-03-19
[70]
웹사이트
Bill of Rights FAQs
http://constitutionc[...]
National Constitution Center
[71]
웹사이트
Background on the Bill of Rights and the New York Ratification of the Bill of Rights
https://www.archives[...]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08-07-28
[72]
웹사이트
Primary Documents in American History: The Bill of Rights
https://www.loc.gov/[...]
The Library of Congress
2017-12-29
[7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Bill of Rights
https://www.revoluti[...]
2023-02-23
[74]
웹사이트
Treasures of Carolina: Stories from the State Archives Opens Oct. 24
http://www.ncdcr.gov[...]
North Carolina Department of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2016-02-15
[75]
웹사이트
The U.S. Marshals Service Takes Possession of North Carolina's Copy of the Bill of Rights
http://www.usmarshal[...]
U.S. Marshals Service
2008-07-28
[76]
웹사이트
A homecoming for six pages of parchment
http://prologue.blog[...]
The National Archives
2011-12-13
[77]
웹사이트
A New Era Begins for the Charters of Freedom
https://www.archives[...]
U.S. National Archives
2003-09-01 # 추정 날짜 (Fall 2003)
[78]
서적
The United States Bill of Rights for Know-It-Alls
https://books.google[...]
Filiquarian Publishing, LLC.
[79]
웹사이트
Bill of Rights Day: what Obama says about it
http://www.csmonitor[...]
2009-12-15
[80]
웹사이트
Bill of Rights Tour Opens in Kansas City
https://news.google.[...]
1991-09-18
[81]
웹사이트
미국의 역사 개요 – 중앙 정부의 형성|About THE USA|American Center JAPAN
https://americancent[...]
2022-01-12
[82]
뉴스
미국인들의 삶에 가장 큰 영향준 제1차 수정 헌법
http://www.voanews.c[...]
미국의 소리
2005-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