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승학의 친일파 명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승학의 친일파 명단은 2001년 공개된 육필 원고에 수록된 명단으로, 1948년 김구 등 한국독립당 지도부의 지시로 김승학이 작성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명단에는 정계, 관계, 실업계, 언론계, 문학계, 연예계, 교육, 종교계, 다액 국방금 헌납자, 지원병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김연수, 윤치호, 이광수, 김활란 등이 주요 인물로 언급된다. 명단의 출처와 정확성에 대한 논란과 한계가 존재하며, 친일파 청산과 관련된 역사적, 사회적 논의의 맥락에서 다루어진다.

2. 명단의 출처 및 역사적 배경

이 명단은 《친일파 군상(親日派 群像)》이라는 제목이 붙은 육필 원고에 들어 있으며, 2001년 발굴되어 《월간중앙》을 통해 공개되었다.

명단이 작성된 1948년은 남한에 단독 선거가 실시되고 단독 정부가 세워지며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반민특위)의 결성이 가시화되던 시기였다. 이 때문에 해당 명단은 정부 수립 과정에서 소외된 대한민국 임시정부한국독립당 계열 인사들의 친일파 청산에 대한 관점을 엿볼 수 있는 사료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김승학이 김구 등 한국독립당 지도부의 지시를 받고 명단을 작성했는지 여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오랫동안 해외에서 활동하여 국내 사정에 상대적으로 어두웠던 임시정부 계열 민간 인사들의 정보 수집 능력에는 한계가 있었을 수 있다는 점에서 명단의 정확성이나 완결성에는 의문이 제기된다. 예를 들어, 혈서 지원자로 표시된 가수 남인수, 백년설, 박향림 등은 실제로는 〈혈서지원〉이라는 제목의 노래를 부른 사실이 착각을 일으켜 명단에 잘못 포함되었을 수 있다는 분석이 있다.[1]

김승학의 원고는 1948년 삼성문화사에서 발간한 《친일파 군상》이라는 단행본의 초고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3. 명단에 포함된 주요 인물 및 분류

김승학이 작성한 것으로 알려진 친일파 명단은 당시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며 일제에 협력한 인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명단은 김승학이 독립운동 과정에서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인물들을 활동 분야와 협력 형태에 따라 분류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

주요 분류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정계, 관계, 실업계: 일제 강점기 당시 조선총독부의 고위 관료, 중추원 참의 등 행정 관료, 친일 경제인 등이 포함된다.
  • 언론계, 문학계, 연예계: 신문, 잡지 등 언론 매체를 통해 친일 논조를 폈거나, 문학, 연극, 영화, 음악 등 문화예술 분야에서 일제의 황국신민화 정책에 동조하고 선전 활동에 참여한 인물들이 해당된다.
  • 교육, 종교계: 교육기관의 주요 직책을 맡아 내선일체황국신민서사 암송 강요 등 식민 교육 정책에 협력했거나, 종교 지도자로서 신사참배 강요 등 일제의 종교 정책에 동조한 인물들이 포함된다.
  • 다액 국방금 헌납자: 태평양 전쟁 시기 일제의 전쟁 수행을 돕기 위해 거액의 국방헌금이나 비행기 대금 등을 헌납한 자산가 및 기업가들이 해당된다.
  • 지원병: 일제가 강제 징병을 시행하기 이전, 지원병 제도를 통해 자발적으로 일본군에 입대한 것으로 기록된 인물들이다. 이 중에는 당시 대중적 인지도가 있던 인물도 포함되어 있다.


이 명단은 김승학 개인의 판단과 수집 정보에 기반한 것이므로, 명단 자체나 포함된 인물에 대한 평가는 역사적 맥락과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각 분류에 속한 구체적인 인물 명단과 그들의 주요 행적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정계, 관계, 실업계 (43명)

이름주요 직책 및 친일 행적
이성환임전보국단 간부, 국민동원총진회 이사장
이승우전 경성부회 의원, 전 국민총동원 이사
윤치호1945년 12월 사망
김연수경성방직 사장, 전 만주국 명예총영사
고원훈중추원 참의, 전 도지사
신태악변호사
조병상종로경방단장
여운홍친일논문 발표, 시국 강연
인정식사회주의에서 전향 후 국민문학 등에 친일논문 발표
박희도전 동양지광 사장[1]
이각종전 총독부 촉탁, 국민정신총동원 연맹 상무이사[1]
김한경동양지광 등에 친일논문 게재[1]
김시권전 도지사
박인덕전 청화여숙장
이정섭임전보국단 의원[1]
김사연중추원 참의, 전 도지사
문명기전 조선신문 사장[1]
한상룡전 중추원 고문, 전 관동군 최고 고문, 조선총력연맹 사무국장
정교원전 도지사
차재정전 대동민우회 간부
이성근전 충남지사, 전 매신(매일신보) 사장
박흥식조선비행기공업회사 사장
박춘금민족학살 도모한 대의당 당수
안인식총력연맹 참사
한규복중추원 참의, 충북지사
이종린천도교 요인
최린천도교 요인, 중추원 참의
최남선사학자
박윤진친일 시국 강연[1]
이돈화천도교인
장덕수전 보성전문 교수
방응모조선일보 사장
김석원일본 육군 소좌[1]
김동원평양상공회의소 회주
박정형경무국 경찰 (현재 세도 부림)
정방오전 일제 헌병대 (현재 세도 부림)[1]
김신석은행가[1]
손영목강원, 전북 지사, 국민동원총진회 이사
고일청임전보국단 간부[1]
차재명황국신민의 십자군 간부
문덕상황국신민의 십자군 간부
박상준귀족원 의원
김오성공산주의 이론가, 문학 평론가. 일제 말기 전향, 친일 논설 게재. 해방 후 월북[1]


3. 2. 언론계, 문학계, 연예계 (45명)

김승학이 작성한 친일파 명단 중 언론계, 문학계, 연예계 관련 인물은 총 45명이다. 각 인물 옆의 괄호 안 숫자는 김승학이 기록한 해당 인물의 친일 행위 관련 횟수나 중요도로 추정되나, 명확한 기준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이름한자주요 활동친일 행위 관련 기록 (김승학)
김기진金基鎭평론가1
박영희朴英熙평론가3
정인택鄭人澤소설가2
이희적李熙迪변호사2
이광수李光洙소설가15
주요한朱耀翰시인13
김동환金東煥시인12
김동인金東仁소설가2
모윤숙毛允淑시인8
현영섭玄永燮녹기연맹 이사조선어 사용 폐지 주장 (1)
백철白鐵문학평론가7
장혁주張赫宙소설가1
이찬李燦시인1
김용제金龍濟시인3
최재서崔載瑞국민문학 주간, 평론가1
이석훈李石薰소설가1
정인섭鄭寅燮문학인, 교육가5
최승희崔承喜무용가1 (친일 행적 관련 논란 존재)
오정민吳禎民연극평론가1
김정의金正義일제 국민가요 작가1
박경조朴景祚일제 국민가요 작가1
김용환金龍煥가수1
이용설李容卨의학박사1
홍해성洪海星극작가1
유치진柳致眞극작가1
김태진金兌鎭극작가1
박영호朴英鎬극작가1
김화랑金火浪배우1
안석주安碩柱영화감독1
안종화安鐘和영화감독1
최인규崔寅奎영화감독1
박기채朴基采영화감독1
방한준方漢駿영화감독2
서강백徐康百평론가1
노천명盧天命시인숫자 미기록
홍양명洪陽命경제학자1
고승제高承濟경제학자숫자 미기록
안함광安含光평론가1
김억金億시인1
이창수李昌洙평론가1
배상하裵相河숫자 미기록
이영근李永根미국에서 친일활동하다 일본인 도움으로 귀국 (1)
대조실신大朝實臣내선일체 잡지 간행, 숫자 미기록
송영宋影극작가1
박순천朴順天친일시국강연 (2)



특히 이광수, 주요한, 김동환, 모윤숙, 백철 등은 김승학이 기록한 친일 행위 관련 횟수가 두드러지게 높아, 이들의 적극적인 친일 협력 행태를 짐작하게 한다. 노천명 시인 역시 명단에 포함되어 있으나 관련 숫자는 기록되지 않았다. 무용가 최승희의 경우, 예술적 성취와는 별개로 일제 강점기 말기 활동에 대한 친일 논란이 존재한다.

명단에는 문학, 연극, 영화, 음악 등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인물들이 포함되어 있어, 당시 문화예술계 전반에 걸친 친일 협력의 일면을 보여준다. 다만, 이 명단은 김승학 개인의 판단에 따른 기록이며, 각 인물의 친일 행적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과 역사적 평가는 추가적인 자료 검토와 연구가 필요하다.

3. 3. 교육, 종교계 (19명)

3. 4. 다액 국방금 헌납자 (36명 외)

이름한자 표기헌납 내용 / 주요 직책
김연수金秊洙81만과 물품
최창학崔昌學임전보국단 이사
김치구金致龜백미 1만석 (10년간) 헌납
원봉수元鳳洙백미 3천석
김성호金聖浩20만
박흥식朴興植조선비행기주식회사 대표, 20만
임훈林薰12만
산본승사山本昇司10만
이교식李敎植10만
대산계치大山啓治20만
손창식孫昌植40만
수묵심일水墨深一10만
이영구李英九12.5만
김용섭金龍燮20만
평산용웅平山龍雄10만
박기효朴基孝
이병길李丙吉
청목무일靑木茂一20만
남경이南耕二50만
김순흥金淳興
김정호金正浩
민대식閔大植
민규식閔奎植
손홍준孫洪駿
맹영옥孟永玉
이병길李丙吉
임종상林宗相
장지필張志弼
장황張璜
박흥래朴興來
한인수韓寅洙
김상훈金相訓
김상진金相鎭
손창윤孫昌潤
박우석朴宇錫
백낙승白樂承
그 외 56명


3. 5. 지원병 (70명)

이름한자 이름이름한자 이름
이수우李壽宇윤철모尹哲模
김근창金根昌정병두鄭炳斗
김주석金柱錫김용인金容仁
유영복劉永福송문식宋文植
김칠수金七洙이영우李英雨
김광수金光洙하공식河公植
이용성李龍星이종정李鐘亭
김병순金秉淳임병선林炳善
청목무靑木茂조순용趙順容
김성덕金聖德윤시숙尹時淑
이지봉李之鳳김대진金大鎭
오인상吳寅象최정낙崔程洛
최병옥崔炳玉오재춘吳在春
정선영鄭先永김종만金鍾萬
김기창金起昌이병윤李炳潤
김정수金正秀김종규金宗圭
허인구許印九외삼오각外三五各
김도근金道根조병묵趙秉黙
손복희孫福熙허만학許萬鶴
서원순광西原順光송원주훈宋原柱薰
송원규희宋原奎喜신목부차랑新木富次郞
해원삼절海原三節산본규순山本圭淳
김전승환金田昇丸무원병권武源炳權
현무기완玄武磯完백년설白年雪
신농철수新農鐵秀길전청작吉田淸作
박용해朴龍海죽림객승竹林客承
청수홍석淸水弘錫평산기범平山基範
장병학張炳學신생창근新生昌根
암본종조岩本鍾詔대촌희명大村熙明
박용석朴容錫해본의웅海本義雄
옥산광랑玉山光郞김동은金東殷
복전수창福田秀昌백정재정白井載貞
무평충웅武平忠雄박향림朴響林
남인수南仁樹연규홍延奎弘
김중환金重煥송본원영宋本元榮


4. 명단의 한계와 논란

김승학김구한국독립당 지도부의 지시를 받고 명단을 작성했는지 여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오랫동안 해외에서 활동하여 국내 사정에 어두웠을 수 있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계열 민간 인사들의 정보 수집 능력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명단의 정확성이나 완결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예를 들어 혈서 지원자로 표시된 가수 남인수, 백년설, 박향림은 이들이 부른 '혈서지원'이라는 노래 때문에 착오로 명단에 잘못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있다.[1]

5. 친일파 청산 논의와 현대적 의의

김승학이 작성한 친일파 명단은 《친일파 군상(親日派 群像)》이라는 제목이 붙은 육필 원고 형태로 존재했으며, 2001년에 발굴되어 《월간중앙》을 통해 공개되었다.

이 명단이 작성된 시기는 1948년으로, 남한에서 단독 선거가 치러지고 단독 정부가 수립되었으며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반민특위)의 결성이 구체화되던 때였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명단은 정부 수립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대한민국 임시정부한국독립당 계열 인사들이 가졌던 친일파 청산에 대한 관점을 엿볼 수 있는 사료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이 명단의 작성 경위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김승학이 김구를 비롯한 한국독립당 지도부의 지시를 받고 작성했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김승학을 포함한 임시정부 계열 인사들은 오랫동안 해외에서 활동했기 때문에 국내 사정에 상대적으로 어두웠을 수 있으며, 민간인 신분으로서 정보 수집 능력에도 한계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점 때문에 명단 자체의 정확성이나 완결성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명단에 혈서 지원자로 기록된 가수 남인수, 백년설, 박향림 등은 실제 혈서 지원자가 아니라 〈혈서지원〉이라는 노래를 불렀던 사실이 와전되어 잘못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있다.[1]

김승학의 육필 원고는 1948년 삼성문화사에서 출간된 《친일파 군상》이라는 단행본의 초고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명단은 당시 임시정부 계열의 친일파 청산 의지를 보여주는 사료로서 가치가 있지만, 작성 경위의 불확실성과 정보 수집의 한계로 인해 내용의 정확성에 대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