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버스는 1973년 일성교통 좌석버스 87번을 인수하여 상계운수로 시작한 대한민국의 시내버스 회사이다. 삼호운수, 서울버스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며 노선을 확장했으며, 2000년 승원여객 노선을 인수하고, 2001년 공항버스 노선을 개통했다. 2014년 공항버스 노선은 서울공항리무진으로 분사되었다. 현재 간선, 지선, 순환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과거에는 공항버스, 지선버스, 간선버스, 순환버스 노선을 운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버스 계열사 - 서울공항리무진
서울공항리무진은 서울특별시와 인천국제공항을 잇는 공항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기업으로, 2001년 서울버스에서 시작하여 KD운송그룹 대원공항 인수를 거쳐 현재는 티맵모빌리티의 자회사이며, 강남, 강동 지역과 인천공항을 연결하는 다양한 노선을 현대 유니버스와 기아 뉴 그랜버드 등의 차종으로 운행한다. - 1973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도선여객
도선여객은 1973년 삼영교통으로 설립되어 서울여객을 인수하며 확장, 2004년 체계개편 후 간선 및 지선버스를 운영하며 개포동을 기점으로 현대자동차 버스를 운행하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운송업체이다. - 1973년 설립된 교통 기업 - 경진여객
경진여객은 1970년 대명여객으로 설립되어 사명 변경과 사업 확장을 거쳐 현재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 등을 운행하는 경기도의 버스 운송 업체이다. - 서울 송파구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서울 송파구의 교통 - 양재대로
양재대로는 과천시에서 시작하여 서울을 가로질러 구리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19.36km의 주요 간선도로로, 경부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서울 남부의 관문 역할을 하지만, 출퇴근 시간대 교통 정체가 심각하여 교통 시스템 개선이 요구되는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을 포함하고 있다.
서울버스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서울버스 주식회사 |
원어 | Seoul Bus Corp. |
형태 | 주식회사 |
산업 | 운수업 |
창립일 | 1973년 4월 6일 |
국가 | 대한민국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송파구 충민로6길 61-29 (장지동) |
대표이사 | 조준서 |
제품 | 시내버스 |
이전 회사 | 일성교통 (1965년 ~ 1973년) |
자본금 | 210,000,000원 (2020.12) |
매출액 | 23,422,182,992원 (2020) |
영업이익 | 1,399,779,767원 (2020) |
순이익 | -1,555,784,959원 (2020) |
자산총액 | 15,483,871,091원 (2020.12) |
주주 | 조준서 외 특수관계인 : 100% |
종업원 수 | 282명 (2020.12) |
2. 역사
서울버스는 1973년 9월 7일 설립 이후 여러 차례 노선 인수, 변경, 회사명 변경 등을 겪었다. 설립 초기에는 상계동에서 상계운수로 시작하여 경영난에 처한 노선을 인수하고, 서울특별시의 명령에 따라 노선을 양도하거나 새로운 노선을 인수하는 과정을 반복했다.
1976년 서울버스로 사명을 변경한 후, 1980년대에는 방배동으로 본사를 이전하고 노선을 확장했다. 1982년에는 좌석버스 731번과 도시형버스 87번, 87-1번 노선을 인수하여 운행 범위를 넓혔다. 1993년에는 도시형버스 87번을 좌우 순환형식으로 분리하기도 했다.
2000년대 들어서는 승원여객 노선을 인수하고, 공항버스 노선을 개통하는 등 사업 영역을 다각화했다. 2004년 서울시 버스 개편에 참여하였고, 2008년에는 장지공영차고지로 이전했다. 2012년에는 KD운송그룹의 대원공항을 인수하였으며, 2014년에는 공항버스 노선을 분사하여 서울공항리무진을 설립하였다.[1]
2. 1. 설립 초기 (1973년 ~ 1981년)
1973년 9월 7일 경영난에 처한 일성교통 좌석버스 87번(남성동 - 중화동)을 인수하여 노원구 상계동에서 '''상계운수'''로 설립되었다. 1974년 '''삼호운수'''로 회사 이름을 변경하였고, 같은 해 8월 87번 노선을 상계동 - 서울역으로 단축하였다. 1975년 태릉교통 43번 노선 (상계동 - 서울역) 폐지로 대체 노선 10번을 신설하였고, 87번 노선은 폐지하였다. 그러나 상계동의 버스 승차난으로 서울시의 명령에 따라 흥안운수에 10번 노선과 상계동 차고지를 넘겨주고, 567번 (천호동 ~ 서울역)을 받았다.[1]1976년 사무소를 중랑구 망우동으로 이전하면서 '''서울버스 주식회사'''로 회사 이름을 변경하였고, 567번(망우리 - 어린이대공원 - 약수동 - 사당동) 운행을 개시하였다. 1979년 41번 좌석버스 (방배동 - 광화문) 운행을 시작하였고, 1981년 동북운수(현.동아운수)로부터 42번 좌석버스 노선 (방배동 - 광화문)을 인수받았다.[1]
2. 2. 방배동 이전과 노선 확장 (1980년 ~ 2000년)
1980년 서울버스는 567-1번 (망우리 - 압구정동 - 사당동)과 567-2번 (망우리 - 영동지구 - 사당동)을 신설하였다.[1] 1981년 성동여객(현. 우신운수)에 567번과 567-1번, 망우리차고지를 넘겨주고 본사를 방배동 차고지로 이전하였다.[1] 1982년에는 567-2번을 우신운수에 넘겨주었다.[1]1982년 한서교통으로부터 좌석버스 31번 (잠실동 - 한남대교 - 광화문)을 인수하여 좌석버스 731번으로 변경하고, 노선을 잠실동 - 한남대교 - 광화문 - 반포대교 - 방배동으로 변경하였다.[1] 1982년 10월 동아운수로부터 도시형버스 87번 (화계사 - 용산역 - 봉은사)과 87-1번 (개포동 - 영동지구)를 넘겨받았고, 노선을 개포동 - 봉은사 - 선정릉 - 고속터미널 - 남산제3호터널 - 광화문으로 변경하였다.[1] 1983년 9월 87번 노선을 "개포동 - 도곡동 - 선정릉 - 영양학원 - 고속터미널 - 반포동 - 방배동 - 서울교대 - 개포동"이라는 좌우 순환형식 노선으로 변경하였다.[1]
1984년에는 좌석버스 731번을 장위동 - 동이로 - 영동단지 - 방배동으로 변경하였고,[1] 1987년에 좌석버스 731번의 상계동 연장으로 한성버스(현. 흥안운수)에 양도하였다.[1] 1993년 도시형버스 87번을 87번 (파랑: 외선)과 87-1번 (빨강: 내선)으로 분리하였다.[1]
2. 3. 승원여객 노선 인수와 장지동 이전 (2000년 ~ 현재)
2000년 1월 서울특별시의 명령으로 퇴출된 승원여객 소속 도시형버스 63번과 63-1번, 421번 노선을 승계하여 운행을 시작하였다.[1] 2001년 서울 공항버스 노선을 개통하였고, 본사 및 차고지를 송파구 장지동으로 이전하면서 서초구 마을버스 09번(현 서초 21번)을 대복마을버스(현 선흥상운)로 분리독립시켰다.[1] 2004년 서울시 버스 개편 때 한국비알티자동차 컨소시엄에 참여하였다.[1] 2008년 장지동의 택지지구에 조성한 장지공영차고지로 이전하였고,[1] 2012년 8월 KD운송그룹의 대원공항 부분을 인수하였다.[1] 2014년 1월 공항버스 노선을 담당하는 서울공항리무진으로 분사하였다.[1]3. 운행 노선
운행 노선 | 운행 구간 | 배차 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
301번 | 장지공영차고지 | ↔ | 혜화동 | 5~9 | 44 | 구 63-1번 |
401번 | 장지공영차고지 | ↔ | 서울역 | 8~14 | 26 | 구 좌석 37번, 43번 통합 |
3011번 | 장지공영차고지 | ↔ | 한남동 | 7~13 | 13 | 구 83번 변경, 구 3420번. 3421번, 4412번 통합. 진화운수와 공동 배차 운행 |
3426번 | 서울버스종점 | ↔ | 청담동 | 7~13 | 21 | 구 63번, 3219번 |
3. 1. 순환버스
2005년 4월 10일 한국비알티자동차에 인수된 후 2006년 4월 21일 최종 폐선된 41번 순환버스는 종합운동장역에서 출발하여 삼성역, 강남역, 서초역, 고속터미널역, 논현역, 신사동, 압구정역, 청담역을 거쳐 다시 삼성역과 종합운동장역으로 돌아오는 시계 방향 단방향 순환 노선이었다.[1] 이 노선은 동성교통, 동아운수, 신길운수, 신성교통이 공동 배차 운행하였다.[1]4. 과거 운행 노선
서울버스는 과거 다양한 노선을 운행했으나, 현재는 운행하지 않는 노선들이 있다.
지선버스 3219번은 장지동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여 경찰병원역, 가락시장역, 수서역 등을 경유하여 영동대교 북단까지 운행했으나, 2015년 2월 27일 3426번으로 노선이 단축되었다.
공항버스는 서울공항리무진으로 분사되어 이관되었다. 이관된 노선은 다음과 같다.
- ● 6006번: 강동자이아파트 ↔ 천호역 ↔ 강동구청역 ↔ 풍납동 ↔ 잠실역 ↔ 잠실새내역 ↔ 종합운동장역 ↔ 삼성역 (한국도심공항) ↔ 프리마호텔 ↔ 미성아파트 ↔ 신사중학교 ↔ 올림픽대로 ↔ 88 분기점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인천국제공항 (구 606번)
- ● 6009번: 일원역 ↔ 대모산입구역 ↔ 학여울역 ↔ 대치역 ↔ 도곡역 ↔ 매봉역 ↔ 양재역 ↔ 역삼동 ↔ 강남역 ↔ 신논현역 ↔ 논현역 ↔ 신사역 ↔ 올림픽대로 ↔ 88 분기점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인천국제공항 (일부 차량 28인승 우등) (구 609번)
- ● 6010번: 프라마호텔 ↔ 강남구청역 ↔ 청담역 ↔ 갤러리아백화점 압구정점 (신청담역) ↔ 압구정역 ↔ 올림픽대로 ↔ 88 분기점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인천국제공항 (2012년 폐지)
- ● 6020번: 역삼역 ↔ 강남역 ↔ 교대역 ↔ 고속터미널역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 ↔ 신반포역 ↔ 구반포역 ↔ 올림픽대로 ↔ 88 분기점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인천국제공항
- ● 6300번: 고덕역 → 명일역 ↔ 굽은다리역 ↔ 길동역 ↔ 둔촌동역 ↔ 올림픽공원역 ↔ 방이역 ↔ 오금동 ↔ 오금역 ↔ 경찰병원역 ↔ 가락시장역 ↔ 수서역 ↔ 동부간선도로 ↔ 올림픽대로 ↔ 88 분기점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인천국제공항
- ● 6500번: 교육문화회관 ↔ 양재화물터미널 ↔ 양재시민의숲역 ↔ 역삼동 ↔ 강남역 ↔ 신논현역 ↔ 논현역 ↔ 신사역 ↔ 올림픽대로 ↔ 88 분기점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인천국제공항
4. 1. 지선버스
3219한국어번 (구 63번): 장지동공영차고지 ↔ 경찰병원역 ↔ 가락시장역 ↔ 수서역 ↔ 일원역 ↔ 삼성서울병원 ↔ 개포주공1, 2, 3, 5단지 ↔ 개포동역 ↔ 대치역 ↔ 도곡역 ↔ 한티역 ↔ 선릉역 ↔ 강남구청역 ↔ 청담동성당 ↔ 청담사거리 ↔ 영동대교 북단 (화양동) (2015년 2월 27일 3426번으로 노선 단축)4. 2. 공항버스 (서울공항리무진으로 분사)
아래 노선은 서울공항리무진으로 법인 분리되어 양도되었다.- ● 6006번: 강동자이아파트 ↔ 천호역 ↔ 강동구청역 ↔ 풍납동 ↔ 잠실역 ↔ 잠실새내역 ↔ 종합운동장역 ↔ 삼성역 (한국도심공항) ↔ 프리마호텔 ↔ 미성아파트 ↔ 신사중학교 ↔ 올림픽대로 ↔ 88 분기점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인천국제공항 (구 606번)
- ● 6009번: 일원역 ↔ 대모산입구역 ↔ 학여울역 ↔ 대치역 ↔ 도곡역 ↔ 매봉역 ↔ 양재역 ↔ 역삼동 ↔ 강남역 ↔ 신논현역 ↔ 논현역 ↔ 신사역 ↔ 올림픽대로 ↔ 88 분기점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인천국제공항 (일부 차량 28인승 우등) (구 609번)
- ● 6010번: 프라마호텔 ↔ 강남구청역 ↔ 청담역 ↔ 갤러리아백화점 압구정점 (신청담역) ↔ 압구정역 ↔ 올림픽대로 ↔ 88 분기점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인천국제공항 (2012년 폐지)
- ● 6020번: 역삼역 ↔ 강남역 ↔ 교대역 ↔ 고속터미널역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 ↔ 신반포역 ↔ 구반포역 ↔ 올림픽대로 ↔ 88 분기점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인천국제공항
- ● 6300번: 고덕역 → 명일역 ↔ 굽은다리역 ↔ 길동역 ↔ 둔촌동역 ↔ 올림픽공원역 ↔ 방이역 ↔ 오금동 ↔ 오금역 ↔ 경찰병원역 ↔ 가락시장역 ↔ 수서역 ↔ 동부간선도로 ↔ 올림픽대로 ↔ 88 분기점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인천국제공항
- ● 6500번: 교육문화회관 ↔ 양재화물터미널 ↔ 양재시민의숲역 ↔ 역삼동 ↔ 강남역 ↔ 신논현역 ↔ 논현역 ↔ 신사역 ↔ 올림픽대로 ↔ 88 분기점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인천국제공항
5. 보유 차량
서울버스는 자일대우버스, 우진산전, 비야디의 차량을 운행한다.
5. 1. 자일대우버스
- 자일대우 BS106 뉴 로얄시티
- 자일대우 BC211 뉴 로얄하이시티
- 자일대우 BS110 뉴 로얄논스텝
5. 2. 우진산전
우진산전에서 우진산전 아폴로 1100을 생산한다.5. 3. 비야디 자동차
비야디는 중국의 전기 자동차 제조사로, 서울시에서는 BYD eBus-12 모델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6. 갤러리
참조
[1]
문서
나머지 노선은 공항리무진으로 인수되었다.
[2]
웹사이트
2023년 2월 시내버스 인가현황
http://news.seoul.go[...]
서울특별시청 교통기획관 버스정책과
2023-04-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