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각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각역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전철역이다. 1974년 8월 15일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서울 지하철 1호선 종로 구간의 급곡선 선로로 인해 열차 운행 속도가 느리다. 인근에 보신각, 광화문, 인사동 등 주요 시설이 위치해 있으며, 수도권 전철 5호선 광화문역, 수도권 전철 3호선 안국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과 가깝다. 매년 12월 31일 보신각 타종 행사로 인해 특정 시간대에는 열차가 무정차 통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종로구의 전철역 - 혜화역
혜화역은 서울 종로구 대학로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4호선 역으로, 1985년 개통 이후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며 대학로, 서울대학교병원, 성균관대학교 인근에 있어 유동 인구가 많고, 2018년 불법촬영 규탄 시위, 2023년 엘리베이터 훼손 논란이 있었다. - 서울 종로구의 전철역 - 경복궁역
경복궁역은 건축가 김수근이 설계하여 1985년에 개통된 서울 지하철 3호선의 역으로,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역사 내 서울교통공사 미술관이 있고, 경복궁과 연결되는 출구를 통해 주요 관광 및 행정 시설 접근성이 높다. - 1974년 개업한 철도역 - 남영역
남영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환승 거점 역할을 한다. - 1974년 개업한 철도역 - 동대문역
동대문역은 서울 지하철 1호선과 4호선이 환승되는 역으로 종로구와 중구에 걸쳐 있으며, 1호선은 상대식 승강장, 4호선은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동대문시장, DDP, 흥인지문 등과 인접한 10개의 출구를 갖춘 역이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남영역
남영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환승 거점 역할을 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종각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역 이름 | 종각역 |
한자 표기 | 鐘閣驛 |
로마자 표기 | Jonggak-yeok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가 20-3, 종로 지하 55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
개업일 | 1974년 8월 15일 |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
승강장 구조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승강장 수 | 2 |
선로 수 | 2 |
노선 정보 | |
노선 | 서울 지하철 1호선 |
역 번호 | 131 |
이전 역 | 종로3가역 |
다음 역 | 시청역 (서울) |
서울역 기점 거리 | 2.1 km |
소요산역 기점 거리 | 48.6 km |
이용 정보 | |
2012년 일일 평균 승객 수 (1호선) | 92,954명 |
2015년 일일 평균 승차 인원 | 46,571명 |
2015년 일일 평균 승하차 인원 | 90,857명 |
인접역 정보 | |
1호선 | "이전 역: 종로3가역, 다음 역: 시청, 종착역 방향: 인천" "이전 역: 종로3가역, 다음 역: 시청, 종착역 방향: 신창 또는 서동탄, 의정부 또는 광운대학교 방향" |
기타 정보 | |
전보 약호 | 0152 |
수도권 전철 AFC 코드 | 0152 |
관련 시설 | 보신각 |
2. 역사
1974년 8월 15일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5] 2005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가 서울메트로로 개칭되었고,[5] 2017년 5월 31일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되었다.[5]
2. 1. 개요
1974년 8월 15일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본부 1호선(당시)의 역으로 개업하였다.[5] 2005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가 서울메트로로 개칭되었고,[5] 2017년 5월 31일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되었다.[5] 2017년 6월 7일 SC제일은행과 역명 유상병기 사용 계약을 체결하여 3년간 '종각(SC제일은행)'으로 병기되었다.[5] 2019년 12월 13일 종각역 지하 정원 '태양의 정원'이 개장되었다.[5]2. 2. 역명 유래
역명은 조선시대부터 시간을 알리는 종루인 보신각에서 유래했다. 2017년 6월 7일 SC제일은행은 서울교통공사와 체결한 종각역 역명 유상병기 사용 계약에 따라 3년간 'SC제일은행'을 병기한다고 발표하였다.[5] 실제로 SC제일은행 공평동 본점과의 연결 통로가 부역명 병기 이전부터 설치되어 있다.2. 3. 역 주변 변화
2016년 5번과 6번 출구 사이에 전봉준 동상이 설치되었다.2019년 12월 13일에는 종로타워 입구에 '태양의 정원'이라는 지하 정원이 개장되었다.
3. 역 구조
종각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 출구는 7개가 있다.
3. 1. 개요
종각역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바로 아래를 동서로 지나는 지하역이다. 지하 2층 규모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개찰구는 지하 1층에 동쪽, 중앙, 서쪽 3곳에 있다. 동쪽과 중앙 개찰구는 상하행 승강장별로 분리되어 있으며, 동쪽 개찰구는 지하상가와 연결된다. 화장실은 개찰구 밖에 1곳, 출구는 1번부터 6번까지와 3-1번, 총 7개가 있다.
3. 2. 승강장
종각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
3. 3. 급곡선 구간
이 역과 시청역 사이에는 반경 140m의 상당히 급한 곡선 선로가 있다. 1호선 종로 구간 건설 당시 지하철 공사는 주로 개착식으로 진행되었는데, 이 방식은 도로 위의 시설물을 철거해야 했다. 따라서 동아일보 본사 사옥 지하 구간을 피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선로를 급하게 꺾어 건설해야 했다. 당시에는 켄트 시공 기술이 없었다. 현재도 이 구간의 운행 속도는 25km 정도로 매우 느리며, 급곡선 때문에 레일과 전동차륜이 마찰되는 소리가 매우 심하여 지상의 환풍구 근처에서도 들을 수 있을 정도이다. 이 급곡선 구간은 서울 지하철 1호선, 더 나아가 수도권 전철 1호선 전체 구간의 표정 속도를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5]4. 역 주변
종각역의 각 출구에서 접근할 수 있는 장소는 다음과 같다.
- '''1번 출구''': 광화문(서울), 국세청, 미국 대사관, 서울소방재난본부, 종로구청, 종로소방서, 광화문역(5호선)
- '''2번 출구''': 공평동, 안국동, 조계사
- '''3번 출구''': 인사동, 서울 YMCA
- '''4번 출구''': 관철동, 보신각, 한국산업은행
- '''5번 출구''': 무교동, 광교, 보험회사, 한국관광공사
- '''6번 출구''': 서린동, 광화문우체국
4. 1. 주요 시설
주요 시설 | |
---|---|
공평동 | GS그랑서울 |
관철동 | LOL 파크 |
서린동 | LCK 아레나 |
안국동 | 탑골공원 |
인사동 | 교보빌딩(교보문고) |
광교 | 낙원상가 |
광화문 | 우리은행 종로 YMCA지점 |
서울종로경찰서 | 대한민국 외교부 여권·이민·영사과 |
광화문우체국 | 갓텐스시 종로점 |
국세청 | 하나투어 본사 |
무교동 | |
보신각 | |
서울기독교청년회(YMCA) | |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 |
예금보험공사 | |
조계사 | |
종로구청 | |
서울종로소방서 | |
종로타워 | |
청계천 | |
한국관광공사 서울센터 | |
SC제일은행 본점 |
4. 2. 인접 지하철역
수도권 전철 5호선 광화문역과 가까우며, 광화문역이 있는 세종대로네거리에서 보신각 방향으로 도보 5분 정도의 거리에 있다. 수도권 전철 3호선 안국역과는 북쪽 조계사 방향으로 880m 떨어져 있고,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은 광교 방향 남쪽으로 460m 떨어져 있어서 비환승역들과도 가까운 위치에 있다.[5]5. 이용객 변동
최근 1일 평균 이용객 추이는 아래 표와 같다.[6] 2000년은 개통일인 8월 7일부터 12월 31일까지 147일간의 평균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1호선 | 승차 | 55,231 | 56,135 | 55,369 | 51,824 | 53,093 | 52,412 | 52,145 | 52,333 | 51,885 | 50,386 | |
하차 | 56,539 | 57,447 | 56,273 | 53,342 | 53,072 | 51,840 | 51,156 | 51,151 | 50,065 | 49,186 | ||
승하차 | 111,770 | 113,582 | 111,643 | 105,166 | 106,165 | 104,252 | 103,301 | 103,484 | 101,949 | 99,572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각주 | ||
1호선 | 승차 | 49,443 | 48,989 | 47,944 | 47,215 | 49,017 | 46,570 | 47,093 | 45,507 | 43,754 | ||
하차 | 47,742 | 47,030 | 45,271 | 44,997 | 46,679 | 44,286 | 44,608 | 42,956 | 41,616 | |||
승하차 | 97,185 | 96,019 | 93,215 | 92,212 | 95,696 | 90,856 | 91,701 | 88,463 | 85,370 | [3] |
6. 기타
보신각에서 매년 12월 31일 제야의 종 타종 행사가 열릴 때, 많은 인파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당일 특정 시간대에는 모든 열차가 종각역을 무정차 통과한다.[5]
7. 인접한 역
노선 | 전역 | 후역 |
---|---|---|
서울 지하철 1호선 | 종로3가역 (130) | 시청역 (132) |
참조
[1]
웹사이트
종각역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2015-09-28
[2]
웹사이트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Subway Stations
http://www.ktdb.go.k[...]
Korea Transportation Database
2013-10-15
[3]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4]
기타
[5]
뉴스
지하철1호선 종각역 별칭은 'SC제일은행역'…3년간 사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7-06-07
[6]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