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보당 (1956년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보당(1956년 대한민국)은 1956년 조봉암을 중심으로 창당된 정당이다. 1954년 사사오입 개헌에 반대하는 세력을 규합하여 결성되었으며, 조봉암의 대통령 후보 출마와 1956년 대통령 선거에서 이승만과 경쟁했다. 진보당은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하며 평화통일을 주장했으나, 1958년 조봉암이 간첩 혐의로 기소되면서 해산되었고, 조봉암은 이듬해 사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보당 (대한민국) - 진보당 (2017년 대한민국)
    진보당은 2017년 새민중정당과 민중연합당의 합당으로 창당되어 통합진보당의 계승 정당으로 여겨지며, 반미·반일 성향과 진보적인 경제·사회 정책을 표방하고 친북 논란 등 여러 논란에 직면해 왔으나, 2023년 재보궐선거에서 승리하며 원내 진출 후 2024년 총선에서 1석을 확보한 대한민국 정당이다.
  • 진보당 (대한민국) - 진보당 조봉암 사건
    진보당 조봉암 사건은 1950년대 이승만 정권이 조봉암과 진보당 간부들을 공산주의자로 몰아 탄압한 사건으로, 조봉암은 사형 집행 후 2011년 재심에서 무죄가 확정되었으나 친일 의혹으로 독립유공자 서훈은 보류되었으며, 2020년에는 김일성의 진보당 지원 요청 관련 구소련 기밀 문서가 공개되었다.
  • 1958년 해산된 정당 - 대한국민당 (1948년)
    대한국민당은 이승만 지지 세력이 창당 후 윤치영을 중심으로 재창당되어 원내 제1당으로 부상했으나, 자유당 창당과 이승만의 권위주의 통치 강화로 쇠퇴하여 자유당에 흡수, 해산되었으며, 일민주의를 당의 강령으로 삼았다.
  • 1958년 해산된 정당 - 반파시스트 인민자유연맹
    반파시스트 인민자유연맹은 1944년 아웅 산 등에 의해 결성된 미얀마의 정치 조직으로, 독립 후 장기간 여당으로 집권했으나 군부의 개입과 쿠데타로 해산되었다.
  • 1956년 설립된 정당 - 노동자 투쟁
    노동자 투쟁은 1939년 트로츠키주의 그룹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 참여하고 유럽 의회 선거에서도 활동하며, 국제공산주의자연맹을 중심으로 여러 국가의 단체들과 관계를 맺고 있다.
  • 1956년 설립된 정당 - 헝가리 사회노동당
    헝가리 사회노동당은 1956년부터 1989년까지 헝가리를 통치한 공산당으로, 헝가리 봉기 이후 커다르 야노시에 의해 재편되어 일당 독재 체제를 구축하고 굴라시 공산주의 노선을 통해 경제 개혁을 추진했으나, 1989년 민주화 운동의 영향으로 해산 후 헝가리 사회당으로 재창당되었다.
진보당 (1956년 대한민국)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진보당
원어 이름진보당 (進步黨)
로마자 표기Jinbodang
영문 표기Progressive Party
창당1956년 1월 26일 (사실상)
1956년 11월 10일 (법률상)
해산1958년 2월 25일
본부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2가
당원 수약 1,500명 (1956년)
지도부
대표조봉암
총재윤길중
이념 및 정책
이념한국형 진보주의
사회민주주의 (de jure)
사회자유주의 (de facto)
정치적 스펙트럼중도좌파
관련 항목
관련 정당진보당 (대한민국, 2017)

2. 역사

한국 전쟁 이후 조봉암의 주도로 창당되었다. 조봉암은 국내 좌익 세력은 물론 이승만의 독재에 반대하는 우익 세력까지 규합하여 광범위한 지지 기반을 구축하고자 했다. 진보당의 창당과 성장은 조봉암 개인의 정치적 역량에 크게 힘입은 것으로 평가된다. 진보당은 대한민국 내 민주 세력을 강화하고 평화 통일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특히 조봉암반공주의와 반권위주의를 동시에 내세우며 농민과 도시 빈민을 위한 사회 복지 정책을 주장했다.[4]

1956년 대통령 선거에서 조봉암은 현직 대통령 이승만과 맞붙었다. 비록 선거에서 패배했지만, 이승만 정권의 방해 공작 속에서도 예상치를 뛰어넘는 216만 표(득표율 30%)를 얻으며[4] 강력한 정치적 경쟁자로 부상했다. 이는 당시 이승만 정권에 대한 국민들의 반감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대선 이후 진보당 창당 과정에서 서상일 계열이 이탈하는 등 내부 갈등을 겪기도 했지만,[8] 1956년 11월 10일 조봉암을 위원장으로, 윤길중을 간사장으로 선출하며 정식으로 창당되었다. 진보당은 강령으로 ▲책임 있는 혁신 정치 ▲수탈 없는 계획 경제 ▲민주적 평화 통일을 내걸었다. 특히 국제 연합(UN) 감시 하의 남북 총선거를 통한 평화 통일 주장은 이승만 정권뿐 아니라 보수 야당인 민주당으로부터도 북한의 주장과 유사하다는 의심을 받는 빌미가 되었다.

진보당의 성장에 위협을 느낀 이승만 정권은 1958년 1월, 조봉암을 비롯한 당 간부들을 간첩 혐의로 구속하는 이른바 진보당 사건을 일으켰다. 결국 1958년 2월 25일, 진보당은 정당 등록이 취소되어 강제로 해산되었고, 조봉암은 이듬해인 1959년 7월 31일 사형당했다.

2. 1. 사사오입 개헌과 신당추진운동 (1954년-1955년)

1954년 11월 29일, 이승만 정부와 자유당이 강행한 이른바 '사사오입 개헌'은 큰 정치적 파장을 일으켰다. 이를 계기로 임정 출신의 김성숙·최익환 및 천도교 지도자 신숙 등 재야 원로들과 민주국민당, 무소속 동지회, 순수 무소속 출신 야당 의원 60여 명이 만든 '호헌동지회'를 중심으로 반(反) 자유당 세력을 모으려는 신당 창당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신당 추진 과정에서 조봉암의 참여 문제를 두고 내부 갈등이 발생했다. 보수 우익 성향의 자유민주계 인사들은 조봉암의 합류에 강하게 반발했고, 결국 이들은 1955년 9월 18일 독자적으로 민주당을 창당했다. 이에 조봉암을 중심으로, 보수 우익 세력의 진보 인사 기피에 반발하여 민주당 창당 과정에서 이탈한 서상일(한국민주당 출신) 등과 김성숙, 장건상, 정화암, 이동화 같은 혁신계열 원로들이 대거 참여하여 독자적인 정당 운동을 전개하게 되었다.

이들 혁신 계열은 1955년 12월 22일, '진보당 창당추진위원회'를 결성했다. 조봉암·서상일·김두한·김성숙·박기출·이동화·신숙·박용의·장지필·김인태 등 12명이 창당추진위원회 지도부로 선출되었고, 강령 초안도 발표되었다. 강령 초안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었다: "우리는 공산독재는 물론 자본가와 부패분자의 독재도 배격하고 민주주의 체제를 확립하여 책임있는 혁신정치를 실시, 생산분배의 합리적 통제로 민족자본을 육성, 민주우방과 제휴하여 민주세력이 결정적 승리를 얻을 수 있는 조국통일의 실현, 교육체제의 혁신에 의한 국가보장제 수립을 지향한다." 이는 1950년대 한국 사회의 어려움을 미군정기 이후 집권한 보수 세력으로 인한 난국으로 진단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수 대중의 각성과 대중 중심의 경제 정책을 추진하려는 혁신 세력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2. 2. 제3대 정·부통령 선거 (1956년)

1956년 제3대 정·부통령 선거를 앞두고 진보당 창당 세력은 1956년 1월 26일 '진보당 추진위원회'를 결성했다.[8] 이어 3월 31일에는 전국추진대표회의를 열어 정·부통령 후보자를 지명하고 정강·정책 채택 및 창당추진위원회를 구성했다. 이 과정에서 서상일 계열은 표결 없이 서상일을 대통령 후보로 추대할 것을 주장했으나, 조봉암 계열은 표결을 통한 지명을 주장하며 맞섰다. 결국 조봉암 계열의 주장이 받아들여져 대통령 후보에는 조봉암, 부통령 후보에는 서상일이 지명되었으나, 서상일이 사양하면서 박기출이 부통령 후보로 대신 선임되었다.

선거 국면에서 이승만의 3선을 막기 위한 범야권 후보 단일화 요구가 제기되었다. 수차례의 막후 협상을 통해 민주당이 진보당의 기본 정책 일부(책임 정치 수립, 수탈 없는 경제체제 확립, 평화통일)를 수용하여 공약으로 발표하는 것을 전제로 진보당의 정·부통령 후보가 모두 사퇴하기로 합의했다. 본래 5월 6일 전주에서 민주당의 신익희 후보와 진보당의 조봉암 후보가 만나 최종 합의를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회담 전날인 5월 5일 신익희가 급서하면서 단일화는 무산되었다. 이로써 조봉암은 사실상 야권의 단일 대통령 후보가 되었다.

당시 이승만 정권에 대한 국민적 불만은 높았다. 정부와 유착한 일부 상인들의 특혜 독점과 만성적인 인플레이션으로 도시 대중의 삶은 피폐해졌고, 1950년 시작된 토지개혁은 한국 전쟁 등으로 지지부진했으며 원조물자로 인한 곡물값 폭락으로 농민들의 생활도 어려웠다. 신익희가 사망 직전인 5월 3일 한강 백사장에서 연 연설회에 30만 인파가 모인 것은 이승만 정권에 대한 반감을 보여주는 사례였다. 또한 조봉암이 초대 농림부 장관을 지낸 경력은 농민들에게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상황이 불리해지자 이승만 정권과 자유당은 관권을 총동원하여 진보당의 선거운동을 탄압하기 시작했다. 충남, 강원 등지에서는 선거운동원들이 정치깡패에게 테러를 당하거나 유인물을 빼앗겼고, 경남에서는 선거운동원이 경찰서장에게 연행되어 경고를 받기도 했다. 이러한 탄압 속에서 임시 조직이었던 진보당 창당준비위원회는 공개적인 선거운동을 하기 어려워졌다. 이에 진보당은 민주당과의 공조를 위해 부통령 후보 박기출을 사퇴시키고 민주당의 장면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돌연 '정권교체를 단념하고 부통령 선거에만 전력하겠다'는 특별성명을 발표하며 진보당에 대한 지지를 사실상 거부했다.

정권의 탄압은 더욱 강화되었다. 조봉암 일행이 광주에 도착했을 때 경찰이 차량 통행을 막았고, 신익희의 운구가 서울역에 도착했을 때 운집한 군중들이 "못살겠다 갈아보자! 독재정권 타도하자!"를 외치며 경무대 방향으로 가려 하자 경찰이 발포하여 10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하고 700여 명이 구속되는 사건도 벌어졌다. 정권교체 열망이 조봉암에게 쏠릴 것을 우려한 이승만 정권은 조봉암에 대한 탄압을 가중시켰고, 암살 위협까지 제기되자 조봉암은 선거운동을 중단하고 서울에서 잠적했다.

투표 당일에도 자유당과 관권의 부정선거는 계속되었다. 정부 관리들의 방해로 진보당은 대부분의 투표소에 참관인을 보내지 못했고, 이승만과 조봉암의 표가 뒤바뀌는 일도 빈번하게 발생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부통령 선거는 공정하게 할 테니 대통령 선거 부정은 눈감아 달라'는 민주당과 자유당 사이의 모의 의혹도 제기되었다.

이러한 극심한 탄압과 부정선거 속에서도 조봉암은 216만 3,808표(23.86%)를 득표하여, 504만 6,437표(55.66%)를 얻은 이승만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4] 이는 이승만의 득표율이 80%를 넘을 것이라는 예상을 뒤엎는 결과였으며, 1952년 대선 당시 이승만의 득표율(74%)보다 20% 가까이 낮은 수치였다. 신익희에게 던져진 무효표와 기권표를 합하면 다수의 유권자가 이승만을 거부했음을 보여주었다. 조봉암은 전국 25개 선거구에서 이승만을 앞섰고, 특히 대구에서는 이승만보다 3배 가까운 표를 얻었다. 반면 강원도 평창, 정선, 홍천 등지에서는 이승만이 4만여 표를 얻을 때 조봉암은 180여 표에 그쳤는데, 당시 내무부 장관이었던 최인규는 훗날 자서전에서 "강원도에서 나온 이승만의 90% 지지는 엄청난 조작"이었다고 시인했다.

이 선거를 통해 조봉암은 유력한 정치 지도자로 부상했으나, 동시에 보수 정당인 자유당과 민주당 모두를 적으로 두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2. 3. 민주혁신세력의 분열과 진보당의 창당 (1956년-1957년)

1956년 대선에서 패배한 야권은 통합이나 연대 논의 없이 분열된 상태로 8월 13일 시도의회 의원 선거와 1958년 제4대 민의원 선거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승만의 3선 집권으로 독재 체제가 공고해진 상황에서 야권의 분열은 선거 승리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혁신계 내부에서는 민주사회주의적 정당을 건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조봉암은 이에 동조하여 좌우를 아우르는 혁신정당 창당을 위해 여러 인사를 만났다. 1956년 1월 26일, 민주당 창당 과정에서 배제된[8] 조봉암, 서상일, 박기출 등 진보주의 세력은 '진보당 추진위원회'를 결성하며 독자 노선을 걷기 시작했다. 5월 대선에서 조봉암박기출을 부통령 후보로 내세웠으나, 민주당 신익희 후보의 5월 5일 급서 후 박기출이 사퇴하면서 단독으로 출마했다. 이승만 정권의 탄압 속에서도 조봉암은 지난 대선보다 3배 가까운 216만 표(득표율 30%)를 얻어 차점으로 낙선하며 만만치 않은 저력을 보여주었다.[4]

대선 이후 조봉암은 창당 작업을 본격화하여, 1956년 6월 초에는 이승만과 반목하던 이범석, 장택상과도 접촉했다. 조선민족청년단 계열과 보수 개신교계의 신흥우 등도 참여 의사를 보이는 등 창당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그러나 혁신정당 창당은 내부 갈등으로 난항을 겪었다. 장건상조봉암의 남한 단독선거 참여 전력을 문제 삼아 참여를 반대했고, 아나키스트 정화암은 독자 노선을 선언했다. 혁신계 원로들은 서상일을 당수로 추대하고 당명을 '민주혁신당'으로 할 것을 주장했으나, 소장파는 대중적 지지가 높은 조봉암을 중심으로 한 '진보당' 창당을 내세웠다.

갈등 봉합을 위해 1956년 6월 초, 서상일, 이명룡, 김창숙, 박용희, 장건상 등 원로들이 모여 진보혁신세력 단합회의를 열고 진보세력 단결을 촉구했다. 이 자리에서 조봉암은 자신의 공산당 경력이 논란이 될 수 있음을 인정하며 2선 후퇴를 선언하기도 했다. 그러나 혁신대동운동은 성과 없이 지지부진했고, 조봉암은 더 이상 창당을 미룰 수 없다고 판단, '진보당 창당준비위원회'를 재가동했다. 하지만 조봉암계, 서상일계, 장건상계 간의 계파 갈등은 여전했고, 자금난과 정부 탄압까지 겹쳐 8월 13일 지방선거 참여는 사실상 포기 상태에 이르렀다.

지방선거 포기는 내부 갈등을 폭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서상일계는 '진보당 추진위원회' 백지화와 조봉암의 완전한 후퇴, '진보당' 당명 사용 불가 등을 요구하며 조봉암을 "대통령병에 걸린 환자"라고 비난하며 결별을 선언했다. 이동화, 최익환, 김성숙, 고정훈 등 22명의 중앙상무위원도 이에 동조하여 진보당에서 제명되었다. 결국 서상일 계열은 민주혁신당 창당준비위원회를 발족시키며 진보당을 위험 정당으로 몰아붙였다. 상황이 악화되자 진보당은 10월 20일 상무위원회에서 창당을 서두르기로 결정했다.

우여곡절 끝에 1956년 11월 10일, 서울 시립극장에서 전국 대의원 853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보당 창당대회가 열렸다. 1955년 12월 추진위 결성 이후 약 1년 만이었다. 대회에서는 위원장에 조봉암, 간사장에 윤길중을 선출하고, "노동자, 농민을 중심으로 한 근로 대중의 정치적 결집체"임을 선언하며 3대 강령(▲책임 있는 혁신 정치 ▲수탈 없는 계획 경제 ▲민주적 평화 통일)을 채택했다. 특히 평화통일 방안으로 국제 연합 감시 하의 남북 총선거를 주장했는데, 이는 북한의 주장과 유사하다는 의심을 받기도 했다. 당원 구성은 마르크스주의자보다는 좌익민족주의자가 다수였다.

창당대회는 이승만 정권의 노골적인 방해 속에서 진행되었다. 경찰 수백 명이 대회장을 포위하고 대의원 검문과 시민 해산을 강행했으며, 사복 경찰들이 단상에 난입해 당직자들과 몸싸움을 벌이고 달걀을 투척하는 만행을 저지르기도 했다. 중앙당 창당 이후에도 시도지부 및 지구당 결성은 관권과 괴청년들의 폭력으로 순탄치 않았다. 자유당과 민주당 역시 진보당을 좌경 집단으로 몰아 경계했다.

이러한 탄압 속에서도 진보당은 보수 양당에 대한 비판과 평화통일론을 앞세워 지지 기반을 넓혀나갔다. 1957년 8월에는 민주혁신당 창당준비위에 참여했던 장건상, 김성숙 등 혁신계 원로 8명이 진보당에 합류하면서 제3세력으로서의 입지를 다져갔다. 진보당의 창당과 성장은 조봉암 개인의 카리스마와 이승만 독재에 반대하는 우익 세력까지 포섭한 결과로 평가된다. 진보당은 민주 세력 강화와 평화 통일을 목표로 삼았으며, 조봉암은 반공주의와 반권위주의를 동시에 내세우며 농민과 도시 빈민을 위한 사회 복지 정책을 주장했다.[4]

2. 4. 조봉암 사건과 해산, 그리고 조봉암의 사망 (1958년-1959년)

1958년 제4대 민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보당은 독자 교섭단체 구성(20석)을 목표로 선거를 준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1958년 1월 1일, 검찰은 조봉암을 비롯한 당 간부들을 간첩 접촉 혐의로 구속하고 중앙당 사무실을 수색하며 당원 명부 등 서류를 압수하는 등 전면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이를 '''진보당 사건'''이라고 부른다.[4]

2월 16일, 검찰은 조봉암을 간첩죄, 국가보안법 위반, 무기 불법 소지 혐의로, 간사장 윤길중국가보안법 위반 및 간첩 방조 혐의로, 그 외 간부들을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기소했다. 검찰은 기소장에서 조봉암이 남파간첩 및 재외 북한 관련 단체와 접선했으며, 진보당의 평화통일론이 대한민국의 존립을 부인하고 정강정책이 북한 노동당의 정책과 상통하여 대한민국의 헌법을 위반한 불법 단체라고 주장했다. 기소 직후인 2월 20일에는 육군특무부대가 남파 간첩 사건인 이른바 '양이섭 사건'을 발표하며 양이섭과 조봉암의 연관성을 주장했다. 이어 2월 25일, 공보실장 오재경은 진보당의 평화통일론과 북한 간첩 접선을 이유로 "진보당이 당원을 국회에 진출시켜 대한민국을 파괴하려 기도했다"고 발표하며, 재판이 열리기도 전에 진보당의 정당 등록을 전격 취소했다. 진보당은 이에 반발하여 서울고등법원에 등록 취소 처분에 대한 행정소송을 제기했으나, 대법원의 최종 판결에서 기각되었다. 이로써 진보당은 창당 4개월 만에 강제로 해산되었고, 남은 당원 대부분은 민주당에 흡수되었다.

1958년 7월 2일 열린 1심 재판에서는 조봉암에게 징역 5년을 선고하고 나머지 간부들에게는 무죄를 선고했다. 그러나 판결 직후 반공청년단을 자처하는 청년들이 법원에 난입해 난동을 부리는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는 대한민국 사법 역사상 최초의 재판 파동이었다. 9월 4일부터 10월 25일까지 열린 2심 재판에서는 양이섭이 자신의 이전 진술을 번복하며, 자신과 조봉암의 간첩 혐의는 조봉암을 제거하려는 육군특무부대의 협박과 회유에 의한 허위 자백이었다고 증언했다. 하지만 재판부는 이 증언을 무시하고 번복 진술에 대한 증거 조사 요청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마침내 1959년 2월 7일, 대법원조봉암에 대한 간첩, 국가보안법 위반, 무기 불법 소지 등 모든 혐의를 인정하여 사형을 선고했다. 그러나 판결문에서는 기소의 배경이 된 진보당의 강령이나 정강정책, 평화통일론 자체는 법에 저촉되지 않는다고 밝혀, 판결의 모순성에 대한 의구심을 낳았다.

이후 조봉암의 가족과 변호인단이 재심을 청구했으나 기각되었고, 결국 조봉암1959년 7월 31일 사형 집행으로 생을 마감했다. 그의 옥중 성명은 7월 16일에 마지막으로 남겨졌다.

세월이 흘러 2007년 9월 18일,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는 진보당 사건이 당시 대통령 이승만이 자신의 강력한 정치적 경쟁자였던 조봉암을 제거하기 위해 조작한 사건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그리고 진보당 사건 발생 52년 만인 2011년 1월 20일, 대법원은 진실화해위의 권고와 유족의 재심 청구를 받아들여 조봉암에게 내려졌던 모든 유죄 판결을 파기하고 무죄를 선고했다.

3. 이념 및 노선

진보당의 노선에 대한 논의는 진보당 창당의 배경이 된 1955년 9월 1일 '광릉 회합'에서 시작되었다. 이 자리에서 정화암민주사회주의를, 장건상사회민주주의를 당의 이념으로 삼자고 제안했고 서상일은 정화암의 의견에 찬성했다. 그러나 조봉암은 당장 이념적 합의를 보기보다는 먼저 당을 창당한 후 노선을 결정하자고 주장하며, 과거 농림부 장관 시절 경험을 들어 "사회주의 정치노선에 입각하여 일을 해보려고 각 방면으로 노력을 해보았으나 우리나라의 현실에서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며 현실적인 접근을 강조했다. 이는 이념 자체를 포기했다기보다는 당시 상황에 맞는 현실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한 것으로 평가된다. 실제로 이후 창당 과정에서 발표된 여러 문서에는 민주사회주의사회민주주의에 대한 고민이 담겨 있다.

진보당 창당대회 개회사에서 조봉암은 "우리들 지식인은 당연히 이 두 가지, 즉 자본주의공산주의를 다 같이 거부하고 청산을 하는 동시에 인류의 새 이상, 즉 원자력시대에 적응할 인류의 새 이상을 옳게 파악하고 실현해 내지 않으면 안 됩니다"라고 말하며 기존 이념과 다른 새로운 길을 갈 것을 선언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민주적이고 평화적인 남북 통일 ▲인민민주주의에 입각한 정치 실현 ▲계획 경제를 통한 민족자본 육성 ▲사회보장제도 실시를 통한 국민 생활 향상 ▲점진적인 교육 국가보장제도 실시 등을 제시했다.

진보당 강령 역시 ▲공산독재자본가, 부패분자의 독재를 배격하고 책임있는 혁신 정치 실현 ▲생산·분배의 합리적 통제를 통한 민족자본 육성 ▲민주 우방과의 제휴를 통한 평화통일 실현 ▲교육의 국가보장제 수립 등을 내걸어, 자본주의공산주의 모두를 넘어서는 새로운 이념을 추구함을 명확히 하고 있다.

공식적으로 진보당은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했지만, 실제로는 자유주의 정당으로 평가받기도 했다.[5] 대한민국 학계에서는 진보당과 조봉암이 독일식 사회민주주의보다는 미국식 진보적 자유주의 노선에 가까웠다고 분석하며, 이는 보수 언론인 조선일보에서도 언급된 바 있다. 다만 당시 대한민국 정치에서 '자유주의'라는 용어는 자유당과 같은 우익 보수 세력이나 민주당계 세력에 의해 '반공'과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었다.[6]

당의 중심인물이었던 조봉암은 북한을 포용하는 정책을 제안했는데, 이는 훗날 대한민국 자유주의 진영의 햇볕 정책에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된다. 동시에 그는 강력한 반공주의자였으며 자유민주주의를 신봉했다.[7]

이승만 대통령의 여당자유당에 맞서기 위해 민주당이 창당될 때 배제되었던[8] 조봉암, 서상일, 박기출 등 진보주의 세력은 독자적인 진보주의 정당 결성을 추진하여 1956년 1월 26일 '진보당 추진위원회'를 결성했다. 같은 해 5월 대통령 선거에는 조봉암을 대통령 후보, 박기출을 부통령 후보로 내세웠다. 선거 운동 중 이승만 정권에 비판적인 국민들의 지지를 받던 민주당의 신익희 대통령 후보가 5월 5일 갑작스럽게 사망하자, 야당 후보 단일화를 위해 박기출 부통령 후보가 사퇴하고 조봉암 후보 단독으로 선거를 치렀다. 선거 결과 조봉암은 이승만 정권의 탄압과 부정 선거에도 불구하고 지난 대통령 선거 때보다 3배 가까이 많은 216만 표를 얻어 이승만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선거 이후 서상일 계열이 조직 운영상의 이견으로 이탈하면서, 조봉암 계열 중심으로 1956년 11월 10일 진보당이 정식으로 창당되었다. 위원장에는 조봉암, 간사장에는 윤길중이 선출되었다.

진보당은 기본 노선으로 "우리 당은 노동자, 농민을 중심으로 진보적 지식인, 중소 상공업자, 양심적인 종교인 등 광범위한 근로 대중의 정치적 결집체이며, 국민 대중의 이익 실현을 위해 싸운다"고 선언하고, 3대 강령으로 다음을 채택했다.

# 책임 있는 혁신 정치

# 수탈 없는 계획 경제

# 민주적 평화 통일

세 번째 강령인 '민주적 평화 통일'의 구체적인 방법으로 국제 연합(UN) 감시 하의 남북 총선거를 주장했으나, 이는 북한의 주장(중립국 감시위원회의 감시 하 총선거)과 유사하다는 의혹을 받기도 했다.

당원 구성 면에서는 마르크스주의자보다는 좌익민족주의자 성향의 인물들이 다수를 차지했다. 그러나 진보당은 이승만 정권뿐만 아니라 보수 성향의 야당으로부터도 경계의 대상이 되었다. 결국 1958년 1월 1일, 조봉암을 비롯한 당 간부들이 간첩 혐의로 구속되는 진보당 사건이 발생했고, 조봉암은 이듬해인 1959년 사형당했다. 이후 진보당은 1958년 2월 25일 정당 등록이 취소되어 강제로 해체되었다.

4. 조직

1956년 11월 10일 열린 창당대회에서 위원장으로 조봉암, 부위원장으로 박기출김달호가 선출되었다. 중앙당 간사장에는 윤길중이 내정되었으며, 당무를 담당하는 각 부서의 간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부서간사
당무최희규
재정박준길
조직이명하
노동임기봉
농민임갑수
사회윤복덕
선전조규희
교양김병휘



이 외에도 의결기구로 36명의 중앙상무위원을 두었으며, 장지필을 위원장으로 하는 11인 총무위원회와 김위제를 위원장으로 하는 14인 통제위원회를 설치했다. 또한, 진보당의 핵심 정책인 평화통일론을 구체화하기 위해 통일연구위원회를 별도로 두어 김기철을 위원장으로 선임하였다.

조봉암을 중심으로 한 진보당은 창당 과정에서 불거진 혁신계 내부의 여러 갈등으로 인해 모든 혁신 세력을 아우르지는 못했지만, 학생연맹이나 서북청년회 같은 광복 직후 결성된 우파 성향의 전위단체 출신 인사들과 군인, 경찰 경력자들까지 포함하는 등 상당히 다양한 인적 구성을 보였다. 특히 조직부에서는 당 대표인 조봉암의 공산당 활동 경력을 의식하여 남로당 계열 인사의 가입을 억제하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NATO Divided, NATO United: The Evolution of an Alliance https://books.google[...] Praeger 2004
[2] 뉴스 The conflict between Seo and Jo is more intensifying http://newslibrary.n[...] 1956-08-12
[3] 서적 The Failure of Socialism in South Korea: 1945 - 2007 Routledge 2016
[4] 서적 The Failure of Democracy in South Kore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4
[5] 서적 NATO Divided, NATO United: The Evolution of an Alliance Praeger 2004
[6] 뉴스 Cho Bong-am, who led the farmland reform, was a pragmatist who pursued the integration of the left and right https://www.chosun.c[...] 2019-04-25
[7] 서적 South Korea's 70-Year Endeavor for Foreign Policy, National Defense, and Unific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8
[8] 문서 新党(民主党)結成推進勢力の中でも[[民主国民党 (韓国 1949-1955)|民主国民党]]や興士団を中心とする保守系の自由民主派が曺奉岩の新党への加盟に反対した。
[9] 서적 NATO Divided, NATO United: The Evolution of an Alliance https://books.google[...] Praeger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