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시의 지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백시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 고생대, 중생대에 걸쳐 형성되었으며, 다양한 지층과 화석, 광물 자원을 포함하고 있다. 선캄브리아기에는 고선리층과 홍제사 화강암이, 고생대에는 조선 누층군(장산 규암층, 묘봉층, 풍촌 석회암층, 화절층, 동점 규암층, 두무골층, 막골층, 직운산층, 두위봉층)이 퇴적되었다. 고생대와 중생대에 걸쳐 평안 누층군(만항층, 사동층)이 형성되었으며, 이 지역은 삼엽충과 같은 고생대 화석의 주요 산지이다. 주요 단층으로는 함백산 단층과 철암 단층이 있으며, 철암 은광상, 장성 망가니즈광상, 거도광산 등 다양한 광물 자원이 매장되어 있다. 백운산 향사대는 태백시 남부에 동서 방향으로 발달한 대규모의 습곡 구조이다.
태백시 남부에는 선캄브리아기의 지층인 고선리층과 홍제사 화강암이 일부 분포한다.
고생대 초기 캄브리아기에서 오르도비스기까지 퇴적된 해성층인 조선 누층군은 태백시 북부와 남부에 넓게 분포한다. 특히 태백시 남부에서는 백운산 향사대의 영향으로 장성-철암동을 중심으로 둥글고 좁고 길게 대상(帶狀)으로 분포하며,[1] 동점동, 철암동 등지에서 하부의 선캄브리아기 지층을 부정합으로 덮고 있다.[1]
2. [[선캄브리아기]]
2. 1. 고선리층
선캄브리아기의 지층인 율리층군 고선리층(PCEygo; Precambrian goseonri formation)은 혈동 남부 태백산 주변에만 일부 분포한다. 더 남쪽은 영남 지괴로 이어진다.
2. 2. 홍제사 화강암
선캄브리아기의 '''홍제사 화강암'''(PCEhgr; Precambrian Hongjesa granite)은 태백시 남부의 동점동, 철암동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2][1] 이호선 외(2010)는 강원특별자치도 도계읍 신리 지역의 홍제사 화강암에서 저어콘을 채취해 LA-ICP-MS 저어콘 U-Pb 연대측정을 실시한 결과 2013 +30/-24(2 σ) Ma의 연령이 구해져 홍제사 화강암은 약 20억 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3]
3. [[고생대]] [[조선 누층군]]과 [[삼엽충]], [[구문소]]
조선 누층군에서는 다양한 삼엽충 화석이 발견되며, 구문소와 같은 독특한 지형이 나타난다. 삼엽충 화석은 직운산층에서 많이 발견되는데,[15] 이는 고생대 당시 태백 지역이 삼엽충이 서식하던 바다였음을 의미한다. 이후 신생대의 경동성 요곡 운동으로 태백산맥이 형성되면서 오늘날과 같이 높은 지대에 위치하게 되었다.[15]
구문소는 태백시 동점동에 위치하며, 막골층이 잘 드러나 연흔, 건열과 같은 다양한 퇴적 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11]
3. 1. [[장산 규암층]]
'''장산 규암층'''(영어: Jangsan formation)은 조선 누층군의 기저층으로 태백시 동점동 지역에서 남서 방향의 두 개의 주향 이동 단층에 의해 단절되어 분포되어 있다. 태백시 남부 동점동 지역(이하 동점 지역)에서는 주로 담회색 내지 유백색의 중-조립의 규암으로 구성되며, 상부에서 암회색 역질규암이 협재된다. 동점 지역에서는 주향 이동 단층을 경계로 서쪽은 경사가 급하나 동쪽은 수평층에 가깝고, 지층의 두께는 약 200m이다. 장산층은 퇴적물의 조성 및 조직에 근거해 사주 해변(Barrier beach)이 천해성 사질환경(Nearshoresand)으로 전이되는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추정되며, 퇴적 초기 및 후기 단계에 각각 해침과 해퇴 작용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 지층은 혈동 등지에서 하부의 율리층군을 경사 부정합으로 덮고 있다.[4][5]
()
()
3. 2. [[묘봉층]]
묘봉층(CEm; Cambrian myobong formation)은 장산 규암층 상위에 정합으로 분포하는 지층이다. 주로 암회색 이암과 사암으로 구성된다.[7]3. 3. [[대기층 (암석)|대기층]] ([[풍촌 석회암층]])
'''대기층''' 또는 '''풍촌 석회암층'''(Punchon formation)은 묘봉층을 정합적으로 덮으며 괴상(塊狀) 석회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점 지역에서 풍촌층은 서쪽에 분포되는 주향 이동 단층의 영향으로 동쪽은 완만한 습곡의 형태로 북동, 북서 방향으로 향사 습곡의 형태로 분포하며 서쪽은 단층의 영향으로 북으로 경사져 있다. 주요 구성 암석은 백색 내지 유백색의 괴상 석회암과 담회-회색 괴상 석회암, 암회색 괴상 석회암 등이다.[1]
풍촌 석회암층 최상부 약 20 m 구간은 백색-유백색의 괴상 석회암이 우세하며 국내 석회석 자원 산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지층이다. 풍촌 석회암층은 평균 200-300 m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주로 괴상의 밝은색 석회암과 어란상(魚卵狀) 석회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점 지역에서는 습곡 및 단층의 영향으로 서쪽에는 약 90 m, 동쪽에는 약 110 m 이상으로 나타난다. 이는 북동-남서로 경사하는 습곡의 영향일 것으로 보인다.[1]
3. 4. [[화절층]]
화절층(CEw; Cambrian hwajeol formation)은 하위의 풍촌층과 정합 관계이며, 동점동 지역 북동부에 넓은 범위로 분포한다. 동점 지역의 서쪽 주향 이동 단층에 의해 연장이 단절된다. 화절층의 주향은 보통 북서-북동 방향이 우세하며, 30~40°로 지형의 경사와 지층의 경사가 유사한 구조를 보여 화절층이 넓게 분포하고 있다. 연구 지역의 암상은 주로 암회색~회색 점판암, 담회색 석회암이 함께 이루어진 리본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하부 약 5 m 에는 회색 점판암과 암갈색 점판암이 나타나며 최상부에는 일부 갈색 셰일이 협재되기도 한다. 지층의 두께는 약 350 m이다.[1]
3. 5. [[동점 규암층]]
'''동점 규암층'''(Od)은 화절층과 두무골층 사이에 약 50 m 두께로 발달하는 규암층이며 동점동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동점 지역의 동점 규암층은 화절층과 상위에 놓이며 정합 관계이다. 동점 지역 북동부에 능선을 따라 협소하게 분포된다. 동점 지역에는 남-북 주향의 2개 조의 주향 이동 단층에 의해 변위된다. 주향 이동 단층을 기점으로 서쪽에는 지층의 경사가 고각으로 발달되어 있고, 단층에 의한 지층의 주향이 동-서 방향과 북동 방향으로 변화되어 분포된다. 동점층은 야외 조사 시에 화절층과 두무골층을 구분하는 지시 지층으로 구분되며 본 층은 주로 유백색의 중~조립의 규암, 암갈색의 함철(含鐵) 사암 등으로 구성된다. 최하부의 암갈색 함철 사암에서 상부로 가면서 중-조립으로 규암의 입도(粒度) 양상이 점이적 변화를 보이는 특징이 있다. 동점 지역에서 본 지층의 두께는 약 20 m이다.[1]
3. 6. [[두무골층]]
'''두무골층'''(Dumudong formation)은 동점 규암층 상위의 지층으로 이 지층 역시 동점동에서 남-북 주향 이동 단층을 기점으로 변위되어 있다. 주향 이동 단층의 서쪽에서는 지층의 경사가 고각으로 발달되어 있으며, 주향이 동-서 방향에서 북북동 방향으로 변하는데 이는 주향 이동 단층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두무골층은 암갈색 점판암, 담회색 석회암으로 이루어진 리본암으로 구성되어있고, 상부로 갈수록 리본암에 담회색 석회암이 협재된 빈도가 증가되며 층후는 약 200m이다. 두무골층의 과거 퇴적환경에 대한 연구에서 셰일과 석회암이 교호되는 사실로 동점 규암층보다는 다소 깊은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되었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암상 및 퇴적상 분석으로 폭풍의 영향을 받은 조하대 램프 환경에서 퇴적되었고, 간조대, 여울 환경까지는 이르지 않은 것으로 해석되었다.[1]
3. 7. [[막골층]] ([[막동 석회암층]])
'''막골층''' 또는 '''막동 석회암층'''(Makgol limestone formation)은 두무골층 위에 정합으로 놓이며 석회질이암, 돌로마이트, 층간 석회질 역암, 생쇄설 입자암, 어란상(魚卵狀) 입자암 등의 다양한 탄산염암으로 구성되고 얇은 사암과 셰일이 협재한다. 지층의 두께는 250~400 m이며, 암상을 기준으로 기저층원, 하부층원, 중부층원, 상부층원으로 구분된다.[11][1]
막골층은 태백시 동점동의 구문소 주변에서 잘 관찰되며[11][1], 구문소의 막동 석회암층에서는 연흔, 건열, 소금 결정의 흔적이 뚜렷하게 관찰된다. 막골층은 퇴적구조 및 암상 관찰에 근거하여, 조간대(tidal flat)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되었으며, 막골층의 탄산염암은 해수 및 담수에 의한 속성 작용의 영향을 받았고 해수와 담수의 혼합이 막동 석회암층의 돌로마이트 형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11]
태백고생대자연사박물관 인근 황지천에는 막골층의 석회암 노두가 드러나 있다. 이곳은 구문소 바로 뒤쪽이며, 층리가 선명하게 드러나 있고, 북서쪽을 향해 크게 기울어져 있다. 해당 지역은 백운산 향사대의 남익에 위치한다.
장성 지질도폭(1967)에 의하면 막동 석회암층은 지방도 제910호선이 지나는 석개재 부근에서 덕풍계곡에 이르는 지대에 잘 발달되어 있으며 이 지역에서의 막동 석회암층은 하부에서는 괴상(塊狀)이나 상부는 판상(板狀)으로 층리가 양호하며 암흑색을 띠는 경향이 있다. 지층의 두께는 200~250 m이다. 중봉산(739.9m) 부근의 풍곡 탄광에서는 일부 역단층을 수반하는 동사(同斜) 구조를 이루어 평안 누층군 홍점층의 남, 북측에 반복 노출된다.[12]
이경우와 이하영은 태백시 장성-동점 지역에서 조선 누층군 상부 막동 석회암층, 직운산층, 두위봉층에 대한 코노돈트 생층서대를 연구했다. 태백시 장성-동점 지역의 4개 단면에 드러난 3개 지층으로부터 총 1,849개의 코노돈트 개체가 수집되었고 이중 막동 석회암층으로부터 332개 개체가 나왔다. 막동 석회암층에서만 산출되는 ''Aurilobodus leptosomatus'', ''A''. n. sp., ''Drepanodus altipes'', ''Histoidella serratus'', ''Oistodus inclinatus'', ''Paltodus inconstans'', ''Rhipidognathus maggolensis'', ''Scolopodus cornutiformis'', ''S. giganteus'', ''Ulrichodina'' off. ''wisconsinensis''와 같은 코노돈트 화석들로 2개의 생층서대가 설정되었고, 하부는 ''Aurilobodus leptosomatus'' 코노돈트 생층서대로 명명되었으나 상부는 이름이 정해지지 않았다.[13]
태백시 원동 지역 원동 스러스트 단층 남부에 분포하는 막동 석회암층은 주로 판상 및 렌즈상, 또는 괴상(塊狀)의 돌로마이트질 석회암과 돌로마이트로 구성되며, 일부 탄산염 각력암이나 평력암들이 협재된다. 일반적으로 막골의 하부층준은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이, 상부층준은 돌로마이트가 우세하게 나타나며, 이러한 돌로마이트질 석회암과 돌로마이트들은 속성작용 초기에 일어난 돌로마이트화 작용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지층의 두께는 약 400m다.[14]
3. 8. [[직운산층]]
고생대의 생물 삼엽충은 한국에서는 태백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화석으로 특히 직운산층에서 많이 발견된다.[15] 태백에서 삼엽충 화석이 대량으로 산출되는 것은 고생대 때 이곳이 삼엽충이 서식하는 바다였음을 의미한다. 태백이 오늘날과 같이 높은 지대에 위치하게 된 것은 태백산맥을 만든 신생대의 경동성 요곡 운동의 결과이다.[15]3. 9. [[두위봉층]]
조선 누층군의 최상부 지층으로, 석회암과 석회질 셰일로 구성된다. 두위봉층은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에 해당하며 50~75m의 두께를 가진다.[1]
4. [[평안 누층군]]과 석탄, 장성광업소
고생대 후기 석탄기에서 중생대 삼첩기에 이르기까지 퇴적된 '''평안 누층군'''은 태백시 내에서 조선 누층군을 부정합으로 덮으며 동점동, 장성동, 문곡동, 황지동 등지에 분포한다.[1] 태백시에 분포하는 평안 누층군은 삼척탄전의 일부이다. 과거 하부에서부터 홍점층(Ch), 사동층(Ps), 고방산층(TRg), 녹암층(TRn1~3)으로 구분되었으나, 정창희는 이를 밑에서부터 만항층, 금천층, 장성층, 함백산층, 도사곡층, 고한층, 동고층으로 새로 설정하였다.[16]
이들 석탄기 및 삼첩기의 지층들은 중생대의 송림 변동 및 대보 조산운동과 같은 지각 변동에 의한 단층과 습곡(백운산 향사대)에 의해 심하게 교란되어 있다.
'''백운산 향사대'''는 강원도 영월군 고한읍에서 태백시 남부까지 동-서로 발달해 있는 대규모의 향사 습곡 구조이다. 중생대 대보 조산운동에 의해 동-서 방향을 축으로 하는 습곡 구조가 형성되었으며, 밑으로 볼록한 향사 구조에 의해 조선 누층군이 바깥쪽에, 평안 누층군이 안쪽에 분포한다.[23]
삼척탄전은 평안 누층군 중에 무연탄이 존재하여, 과거 무연탄을 개발하였던 곳이다.[1] 현재도 대한석탄공사 장성광업소에서 석탄을 채굴하고 있다.
4. 1. 금천골 석탄층


금천동 금천골 도로절개면에는 평안 누층군이 드러나 있으며, 인근에는 한국에서 최초로 석탄이 발견된 장소에 건립된 최초석탄발견지탑이 있다.[17]
4. 2. 홍점층 ([[만항층]])
평안 누층군 최하부 지층 만항층은 과거 홍점층으로 불렸으며, 장성광업소 삼척탄좌 부근에서는 주로 사암과 셰일의 호층으로 구성된다.[18]4. 3. 사동층
사동층은 하위의 홍점층을 정합으로 덮으며 고생대 후기 석탄기에서 중생대 삼첩기에 이르기까지 퇴적된 지층이다. 암석의 특징에 따라 상부, 중부, 하부 3개 부분으로 구분된다.사동층은 약 500 m 내외의 폭으로 백운산 향사대 남익에서는 황지동과 장성동, 동점동 일부 지역에, 북익에서는 황지동과 화전동 일부 지역에 대상(帶狀)으로 분포하고 있다.
사동층은 여러 석탄층을 협재하고 있는데, 특히 중부에 2매의 큰 석탄층(중부 및 상부 탄층)을 협재하고 있으며, 상부에도 1매의 석탄층(상부 탄층)을 협재한다.
사동층의 각 부분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구분 | 특징 |
---|---|
하부 | 홍점층 직상부에서부터 하부 탄층 하반사암 직하부까지의 지층으로, 석회암을 협재한다. 흑색 셰일, 흑색 사질 셰일, 흑색 세립 사암, 중립 사암 등의 호층으로 구성되며, 1 m 내외 두께의 암회색 내지 흑색 석회암층이 2~5매 협재된다. 장성 탄광에서는 4매의 석회암과 이들 사이에 협재된 흑색 셰일 및 엷은 석탄층으로 구성되며 두께는 55 m 내외이다. |
중부 | 하부 탄층 하반사암 기저부로부터 중탄층까지를 포함하며, 사암을 주로 하고 2매의 큰 석탄층(중부 및 상부 탄층)을 협재한다. 흑색 셰일 내지 회색 조립 사암을 주로 하며 세립 사암, 흑색 셰일을 협재하는 육성층으로서 2매의 주요 석탄층을 협재하는 두께 20~55 m의 지층이다. |
상부 | 중부 탄층 직상부 함화석 셰일층으로부터 고방산층 기저부의 직하부까지의 셰일 또는 세립사암대로서 1매의 석탄층(상부 탄층)을 협재한다. 흑색 세립 사암, 사질 셰일 및 1매의 석탄층으로 구성된다. |
5. 태백시의 단층
태백시는 옥천 습곡대의 동부에 위치하며, 오랜 지질 시대의 지각 운동으로 인해 지질 구조가 매우 복잡하다. 특히 평안 누층군에서는 무연탄이 산출되어 석탄 채굴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1]
태백시에는 함백산 단층, 철암 단층 등 여러 단층이 발달해 있다.
- '''함백산 단층'''은 화전동에서 함백산 동쪽을 지나 봉화군 석포면 대현리까지 이어지는 북서 10~20° 주향의 단층이다.
- '''철암 단층'''은 동점동과 장성동 경계 부근에서 철암역을 지나는 단층으로, 평안 누층군 녹암층 이하 모든 지층을 수평으로 변위시킨다.
이러한 단층들은 중생대의 송림 변동 및 대보 조산운동과 같은 지각 변동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습곡 구조(백운산 향사대)와 함께 태백시의 복잡한 지질 구조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1. 함백산 단층
화전동에서 함백산 동쪽과 소도동, 금천동을 지나 봉화군 석포면 대현리까지 이어지는 북서 10~20° 주향의 단층이다. 단층의 낙차는 남부에서 많다.5. 2. 철암 단층
태백시 동점동과 장성동의 경계 부근에는 철암역을 지나는 철암 단층이 있다. 이 단층은 평안 누층군 녹암층 이하 모든 지층을 수평으로 변위시키고 있으며, 변위량은 장산 규암층 기준으로 2km에 달한다.[21]6. 화석
태백시의 조선 누층군과 평안 누층군에서는 삼엽충, 두족류, 완족류, 생흔 화석, 식물 화석 등 다양한 화석이 산출된다.[22] <한국화석도감>에 의하면 태백시에서 발견된 화석은 아래와 같다.
화석명 | 지층 | 산출지 | 비고 |
---|---|---|---|
Holmiceras coreanicum영어 | 직운산층 | 혈동 사내골, 동점동 나팔고개 | 두족류 |
Kirkoceras arcuatum영어 | 두위봉층 | 소도동 소로골 | |
Wennanoceras영어 sp. | 직운산층 | 소도동 소로골 | |
Kogenoceras nanpiaoense영어 | 막동 석회암층 | 혈동 사내골 | |
Ormoceras cricki영어 | 막동 석회암층 | 혈동 사내골 | |
Michelinoceras cancellatum영어 | 막동 석회암층 | 혈동 사내골 | |
Stereoplasmoceras영어 sp. | 직운산층 | 소도동 소로골 | |
Wennanoceras chikunense영어 | 직운산층 | 소도동 소로골 | |
Armenoceras영어 sp. aff. A. asiaticum영어 | 두위봉층 | 소도동 소로골 | |
Polydesmia영어 sp. cf. P. canaliculata영어 | 막동 석회암층 | 혈동 사내골 | |
Wutinoceras robustum영어 | 막동 석회암층 | 혈동 사내골 | |
Actinoceras영어 sp. aff. A. arbakuntchense영어 | 두위봉층 | 혈동 사내골 | |
Raphistoma katoi영어 | 두위봉층 | 소도동 | 복족류 |
Streoblochondria영어 sp. | 만항층 | 장성동 구금천탄광 맞은편 야산 중턱 | |
Rafinesquina영어 sp. | 직운산층 | ||
Spiriferellina영어 sp. cf. S. hochuanensis영어 | 만항층 | 장성 | |
Diplograptus perexcavatus영어 | 직운산층 | 장성 | 필석류 |
Rusophycus영어, ichno sp. | 두무동층 | 동점동 | |
Planolites beverlyensis영어 | 화절층 | 동점동 | |
Helminthopsis hieroglypica영어 | 막동 석회암층 | 동점동 | |
Pecopteris영어 sp. | 산지 불명 | ||
Sphenophyllum thonii Mahr영어 | 산지 불명 | ||
Mariopteris영어 sp., Sphenophyllum영어 sp. | 평안 누층군 | 산지 불명 | |
Neuropteris영어 sp. | 산지 불명 | ||
Tingia hamaguchi영어 Komo | 산지 불명 | ||
Lepidodendron영어 sp. | 산지 불명 | ||
Equisetites영어 sp. | 산지 불명 | ||
Calamites영어 sp. | 산지 불명 | ||
Sphenophyllum oblongifoliym영어 | 산지 불명 | ||
Lobatannularia영어 sp. | 석탄기 | 산지 불명 | |
Annularia영어 sp. | 석탄기 | 산지 불명 | |
Sphenophyllum영어 sp. | 산지 불명 | ||
Sphenopteris영어 sp. | 산지 불명 | ||
Lepidophyllum영어 sp. | 산지 불명 | ||
Cordaites영어 sp. 잎 | 산지 불명 | ||
Taeniopteris영어 sp. | 산지 불명 | ||
Ctenis영어 sp. | 산지 불명 | ||
Alloiopteris영어 sp. | 산지 불명 | ||
Tingia영어 sp. | 산지 불명 | ||
Gigantopteris영어 sp. | 산지 불명 | ||
Annularia영어 sp. | 금천층 | 혈동 사내골 | |
Proconodontus tricarinatus영어 | 화절층 | 동점동 | |
Idiognathodus delicatus영어 | 요물골 계곡 |
6. 1. 주요 화석 산지
태백시의 주요 화석 산지는 다음과 같다.- 혈동 사내골은 계곡을 따라 조선 누층군 직운산층이 매우 잘 드러나 있고 두족류, 삼엽충 화석이 양호한 보존 상태로 산출된다. 특히 두족류인 ''Holmiceras coreanicum영어''이 가장 많이 산출된다.[22]
- 소도동 소로골 노두는 직운산층 상부와 두위봉층이 만나는 경계부에 해당하는 곳으로 흑색 셰일과 생물 쇄설물로 구성되며 두족류, 삼엽충, 완족류 등의 무척추동물 화석이 산출된다.[22]
- 장성동 동점 나팔고개 노두에서는 철길을 따라 노출된 직운산층에서 삼엽충, 복족류, 두족류 화석이 많이 산출된다. 고개 마루에서 보이는 두위봉층 노두에서도 두족류 화석이 산출된다.[22]
7. 광물과 지하자원
태백시는 옥천 습곡대의 동부에 위치하며, 지질 구조가 매우 복잡하다. 특히 평안 누층군에서는 무연탄이 산출되어 과거 석탄(무연탄)이 많이 산출되었으며, 현재도 대한석탄공사 장성광업소에서 석탄을 채굴하고 있다.[1] 태백시에는 석탄 외에도 철, 은, 망가니즈 등 다양한 광물이 매장되어 있다.
7. 1. 철암 은광상
철암 은광상은 각력암맥 내에 발달한 은 광상으로 일제강점기부터 개발된 광산이다. 광산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 홍제사 화강암, 고생대 조선 누층군과 이를 관입한 여러 종류의 암맥들로 구성된다. 이 광상에서 산출되는 은광석의 품위는 700~1,000 g/t이다. 산출되는 광석은 철망간중석, 황철석, 유비철석, 섬아연석, 방연석, 황동석, 휘은석, 사면동석, 농홍은석, 호박금, 안티모니-은광물, 자연 은 등이다.[24]7. 2. 장성 망가니즈광상
장성 망가니즈광상은 태백시 장성동에 위치하며, 광산의 지질은 조선 누층군 풍촌 석회암층, 화절층, 동점 규암층, 두무동층, 막골층으로 구성된다. 주향 북동 5~10°, 경사 남동 75~80°, 주광맥 폭 80~100 cm의 망가니즈 광맥이 동점 규암층과 두무동층을 횡단하며 시추 결과 심부에 대규모 연-아연광체가 부존되어 있다.[25]7. 3. 거도광산
거도광산은 태백시 소도동에 위치한 철·구리 광산으로, 이 광산의 지질은 조선 누층군과 이들을 관입한 화강섬록암, 화강반암, 장석반암 등으로 구성된다. 광상은 조선 누층군과 화성암류의 접촉부 부근의 석회암 내 스카른대에 부존된 접촉교대광상이다. 주로 자철석과 황동석 등이 산출된다.[26]8. 백운산 향사대
'''백운산 향사대'''는 강원도 영월군 고한읍에서 태백시 남부까지 동-서로 발달해 있는 대규모 향사 습곡 구조이다. 중생대 대보 조산운동에 의해 동-서 방향을 축으로 하는 습곡 구조가 형성되었으며, 밑으로 볼록한 향사 구조에 의해 조선 누층군이 바깥쪽에, 평안 누층군이 안쪽에 분포한다.[23]
참조
[1]
웹인용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
웹인용
長省 地質圖幅說明書 (장성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7-01-01
[3]
저널
영남육괴 북동부 홍제사 화강암의 LA-ICP-MS U-Pb 저콘 연대 (LA-ICP-MS U-Pb Zircon Age of the Hongjesa Granite in the Northeast Yeongnam Massif)
https://www.dbpia.co[...]
2010-03-01
[4]
웹인용
西碧里 地質圖幅說明書 (서벽리 지질조사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5-01-01
[5]
웹인용
강원도 태백시 동점동 일대의 지질구조 및 지질모델링 (Geologic structures and geological modeling at the Dongjum-dong, Taebaek-city, Kangwon-do, Korea)
http://www.riss.kr/s[...]
강원대학교
2018-01-01
[6]
웹인용
長省 地質圖幅說明書 (장성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7-01-01
[7]
저널
Taebaek Group (Cambrian-Ordovician) in the Seokgaejae section, Taebaeksan Basin: a refined lower Paleozoic stratigraphy in Korea
https://www.proquest[...]
2004-06-01
[8]
저널
스카른광체를 탐지하기 위한 물리탐사 적용
https://scienceon.ki[...]
2010-03-01
[9]
저널
원동지역 하부 조선누층군의 광물학적 특성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ower Choseon Supergroup in the Weondong Area)
https://www.dbpia.co[...]
2016-01-01
[10]
저널
강원도 태백시 일대에 분포하는 풍촌층 돌로마이트의 성인 (The origin of the dolomite of the Pungchon Formation near Taebaeg City, Kangwondo, Korea)
https://scienceon.ki[...]
1995-01-01
[11]
웹인용
석개재 지역 하부 막골층 탄산염암의 광물조성, 미세구조 및 지화학적 특성
http://www.riss.kr/s[...]
2018-01-01
[12]
웹인용
長省 地質圖幅說明書 (장성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7-01-01
[13]
저널
Conodont Biostratigraphy of the upper Choseon Supergroup in Jangseong-Dongjeom Area, Gangwon-do (강원도 장성-동점지역에 분포하는 상부 조선누층군의 코노돈트 생층서)
https://www.dbpia.co[...]
1990-12-01
[14]
웹인용
국내 육상 CO2 지중저장 파일럿 저장소 선정 연구 (Site Selection for Pilot-Scale CO2 Geologic Storage in the Korean Peninsula)
https://scienceon.ki[...]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4-07-01
[15]
서적
손영운의 우리 땅 과학답사기
[16]
저널
Stratigraphy and Paleontology of the Samcheog Coalfield, Gangweondo, Korea (Ⅰ) (江原道 炭三田陟의 層序 및 古生物)
https://www.dbpia.co[...]
1969-03-01
[17]
웹인용
금천골 석탄층
https://www.paleozoi[...]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 공식 사이트
[18]
저널
Geologic Structure of Jangseong Coal Field and its Vicinity (長省炭田 一帶의 地質構造)
https://www.dbpia.co[...]
1969-03-01
[19]
웹인용
태백산지구 지하자원 조사보고서 : 석탄편
https://data.kigam.r[...]
대한지질학회
1962-01-01
[20]
서적
지구과학개론
교학연구사
[21]
웹인용
태백산분지 (백운산 향사대) 장성지역에 분포하는 하부페름기 장성층의 고지온
https://www.dbpia.c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99-01-01
[22]
서적
한국화석도감
2003-01-01
[23]
웹인용
백운산 향사대에 분포하는 동고층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https://www.dbpia.c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93-01-01
[24]
저널
철암은광상(鐵岩銀鑛床)의 광석(鑛石)과 유체포유물(流體包有物) Silver Ores and Fluid Inclusions of the Cheolam Silver Deposits)
https://scienceon.ki[...]
1987-01-01
[25]
저널
장성(長省) 망간 광석(鑛石)에 대(對)한 광물학적(鑛物學的) 및 성인적(成因的) 연구(硏究) (Mineralogy and Genesis of Manganese Ores from the Jangseong Manganese Deposits, Korea)
https://scienceon.ki[...]
1986-01-01
[26]
웹인용
희유원소 광역 지구화학도 작성 (Regional Geochemical Mapping for Rare elements)
https://scienceon.ki[...]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4-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