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어의 방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어의 방언은 음운, 문법, 어휘의 차이에 따라 6개로 분류되며, 연구자에 따라 세분화되기도 한다. 한국의 산악 지형이 방언 분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오구라 신페이의 연구를 바탕으로 함경 방언, 평안 방언, 중부 방언, 경상 방언, 전라 방언, 제주 방언으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부 방언은 경기 방언, 충청 방언, 강원 방언, 황해 방언 등으로 세분되며, 제주 방언은 별도의 언어로 간주되기도 한다. 남북한 표준어는 서로 차이를 보이지만 상호 이해가 가능하며, 사회적 요인으로 인해 지역 방언의 사용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어의 방언 - 동남 방언
    동남 방언은 경상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한국어 방언으로, 표준어와 다른 음운 및 문법 체계를 가지며, 고저 악센트와 고유 어휘, 중세 국어의 영향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 한국어의 방언 - 경기 방언
    경기 방언은 한강을 기준으로 북부와 남부로 나뉘며, 표준어의 근간인 서울 방언을 포함하고, 산업화와 도시화로 지역별 차이가 희석되었으며, 젊은 세대는 서울 방언의 음운 변화를 보이는 특징이 있다.
  • 한국어에 관한 - 문장 부호
    문장 부호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와 각 기호의 명칭(북한 명칭 포함) 및 사용법을 포함한다.
  • 한국어에 관한 - 이두
    이두는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한국어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신라 시대에 시작되어 한국어의 형태소와 문법 요소를 나타내는 데 활용되었으며 훈민정음 창제 이후 사용이 줄었지만 한국어 표기법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한국어의 방언
개요
언어 계통한국어
사용 지역한반도 및 재외 한인 사회
하위 방언함경 방언 (동북 방언)
평안 방언 (서북 방언)
중부 방언
경상 방언 (동남 방언)
전라 방언 (서남 방언)
제주어 (소멸 위기)
육진 방언 (?)
언어 코드
ISO 639-1ko
ISO 639-2kor
ISO 639-3kor
Glotto 코드kore1280
Glotto 코드 참조Korean
Glotto 코드 각주아니오

2. 방언 구획

한국은 산이 많은 지형 때문에 한국어가 여러 지역 방언으로 나뉘는 원인이 되었을 수 있다. 방언 사이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아 방언 분류는 어느 정도 임의적이며, 전통적인 팔도를 기반으로 한다. 1944년 오구라 신페이가 처음 제시하고 이후 연구자들이 수정한 일반적인 분류는 6개의 방언 구역을 식별한다.[19]

방언은 음운, 문법, 어휘 차이에 따라 여러 구획으로 나뉘며, 연구자마다 견해가 다르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이 6개 방언을 구분한다.

upright


upright


upright


일부 언어학자들은 함경북도 북부에 위치한 역사적인 육진 지역에서 사용되는 육진 방언을 동북 방언에서 분리해야 한다고 제안하기도 한다. 육진 방언은 다른 지역과 격리되어 중세 한국어의 특징을 보존하고 있으며, 유일하게 성조를 가진 한국어 방언이다.[3]

최근 통계 분석에 따르면, 이러한 방언들 간의 계층 구조는 매우 불확실하며, 방언들 사이에 가족 나무와 같은 관계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정량적 증거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19]

일부 연구자들은 한국어 방언을 서부 방언과 동부 방언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중세 한국어와 비교하여 서부 방언은 장모음을 보존하고 있고, 동부 방언은 성조 또는 강세를 보존하고 있다.[19]

2. 1. 일반적인 구획

한국어의 방언은 음운, 문법, 어휘 면에서 여러 구획으로 나뉜다. 방언 구획은 연구자마다 약간의 견해 차이가 있어 일치하지 않지만, 많은 경우 아래 여섯 개의 방언으로 구분한다. 각 방언의 명칭은 방언연구회(2001)에 따른다.

2. 2. 방언 구획에 관한 견해들

한국어 방언 구획은 연구자마다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주요 견해는 다음과 같다.

  • 이극로 (1932):[18] 제주 방언을 제외하고, 한반도 방언을 중부, 서북부, 동북부, 서남부, 동남부의 5개 방언으로 구분했다.
  • '관서 방언' (평안도, 황해도 일부)
  • '관북 방언' (함경도)
  • '중부 방언' (경기도, 강원도 일부)
  • '호남 방언' (충청도, 전라도)
  • '영남 방언' (강원도 일부, 경상도)

  • 오구라 신페이 (1940):[19] 한국어 방언을 6개로 구분했다. (【그림1】 참조)
  • '평안도 방언' (구 후창군 제외 평안남북도)
  • '함경도 방언' (구 영흥군 이남 제외 함경남북도, 구 평안북도 후창군 포함)
  • '경기 방언' (구 황해도, 경기도, 구 울진군 제외 강원도, 충청남북도, 구 영흥 이남 함경남도, 전북 무주군)
  • '전라도 방언' (무주군 제외 전라남북도)
  • '경상도 방언' (경상남북도, 구 강원도 울진군 포함)
  • '제주도 방언'

  • 고노 로쿠로 (1945):[20] 오구라의 구분법을 기본으로 5개 방언으로 구분했다.
  • '서선 방언' (서북 방언)
  • '북선 방언' (동북 방언)
  • '중선 방언' (중부 방언)
  • '남선 방언' (오구라의 전라도+경상도 방언)
  • '제주도 방언'

  • 이숭녕 (1967):[21] 오구라와 동일하게 6개 방언으로 구분했지만, 각 구획 범위는 차이가 있다. (【그림2】 참조)[22]
  • '평안도 방언'
  • '함경도 방언'
  • '중부 방언'
  • '전라도 방언'
  • '경상도 방언'
  • '제주도 방언'

  • 최학근: 충청도 북부와 강원도 강릉 이남 영동 지역을 잇는 선을 기준으로 북부/남부 방언군으로 크게 나누었다.

  • 김병제: 동부/서부 방언으로 나눈 후, 동부 방언은 동북/동남 방언, 서부 방언은 서북, 중부, 서남, 제주 방언으로 세분했다. 황해도 방언을 평안도 방언과 합쳐 서북 방언으로 분류했다.

  • 김성근:[24] 서북, 동북, 중부, 서남, 동남, 제주, 육진의 7개 구획을 인정했다. 육진 방언을 동북 방언에서 적극 구별하고, 황해북도 지역을 서북 방언으로 보았다.


이처럼 다양한 방언 구획이 제시되었지만, 대체로 오구라 신페이가 제시한 6개 구획 구분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3. 방언의 특징 및 분류

오구라 신페이의 연구에 기초한 분류에 따르면, 한국어 방언은 크게 6~7가지로 나뉜다. 이 구분은 하위 방언을 분류할 때 일반적으로 통용된다.

한국어 방언은 크게 동부 방언과 서부 방언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중세 국어는 장단과 성조를 가지고 있었는데, 서부 방언에서는 성조가, 동부 방언에서는 장단이 주로 사라졌다. 이러한 음운 변화 외에도 특징적인 음운 변동을 공유하는 등의 의의가 있다.

한국은 산악 지형이 많아, 이것이 한국어가 여러 개의 작은 지역 방언으로 나뉜 주요 원인일 수 있다. 방언 간에 명확한 경계가 거의 없으므로 방언 분류는 어느 정도 임의적이며, 전통적인 팔도를 기반으로 한다. 1944년 오구라 신페이가 처음 제시하고 이후 연구자들이 수정한 일반적인 분류는 6개의 방언 구역을 식별한다.[3]



일부 언어학자들은 육진 방언을 동북 방언에서 분리하기도 한다. 육진 방언은 함경북도 북부에 위치한 역사적인 육진 지역에서 사용되며, 중세 한국어의 뚜렷한 특징을 보존하고 있다. 유일하게 알려진 성조를 가진 한국어 방언이다.

3. 1. 오구라 신페이 분류

오구라 신페이는 1944년에 한국어 방언을 6개 구역으로 나누는 방언 구획을 제시했다. 이후 이 분류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수정되었지만, 일반적으로 6~7개의 하위 방언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통용된다.

3. 2. 김병제 분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학자 김병제는 방언을 '동부 방언'과 '서부 방언'으로 나누었다. 동부 방언은 다시 동북 방언동남 방언의 두 가지로, 서부 방언은 서북 방언, 중부 방언, 서남 방언, 제주 방언의 네 가지로 나누었다. 하위 방언을 여섯 가지로 나누는 방법은 오구라의 구분법과 동일하지만, 황해도 방언은 평안도 방언과 합쳐 서북 방언으로 삼고 있다.[23]

4. 남북한의 표준어

대한민국표준어는 국립국어원에서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의하고 있다. 이는 인천광역시, 대부분의 경기도 및 강원도 서부 지역 (영서)과 매우 유사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수도 평양시와 그 주변에서 사용되는 평안 방언을 조선말 (문화어|文化語한국어)의 기반으로 삼는다는 포고령이 발표되었다. 실제로는 수세기 동안 국가 표준이었던 경기 방언에 "굳건히 뿌리내리고" 있지만, 일부 북부 방언 단어를 포함한다.[4]

남북 언어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표준어는 여전히 광범위하게 상호 이해 가능하다. 주목할 만한 특징 중 하나는 고립주의주체사상으로 인해 북한이 영어 차용어 및 기타 외래어 차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언어 순수주의에 따라 순수한/창작된 한국어 단어를 사용한다는 점이다.[4]

사회적 요인으로 인해 남북한 모두에서 지역 방언의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북한에서는 중앙 정부가 주민들에게 거친 언어 사용을 막기 위해 북한 표준어를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김정은은 연설에서 "생활에서 언어가 문화적이고 예의바르면 인민들 간의 화합과 동지적 단결을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5] 대한민국에서는 일자리를 찾아 서울로의 인구 이동과 교육 및 미디어에서의 표준어 사용으로 인해 지역 방언의 보급이 감소했다.[6] 표준어는 또한 전국적으로 젊은 한국인과 온라인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는 국제적으로 가장 널리 가르쳐지는 형태이며, K팝의 증가하는 인기로 인해 더욱 널리 사용되고 있다.

5. 방언의 변화와 보존

강원도 방언은 제주 방언을 제외하고 대한민국 전체 방언 중 사용 인구가 가장 적다.[1] 강원도는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영서와 영동으로 나뉘어 있어 같은 강원도라도 두 지역 간의 방언 차이가 상당히 크다.[1]

영서 (강원도(대한민국)/강원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태백산맥 서쪽) 방언의 경우 억양은 경기도 방언과 약간 다르지만 어휘의 대부분은 경기도 방언과 유사하다.[1] 영동 (강원도(대한민국)/강원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태백산맥 동쪽) 방언은 함경도 방언, 경상도 방언과 같이 음조가 있다.[1]

한국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들을 수 없는 'ㆉ(yoi)'나 'ㆌ(yui)'와 같은 발음이 있다.[1] 모음 'ㅠ(yu)'가 'ㅟ(wi)' 또는 'ㆌ(yui)'로 바뀐다.[1]

표준어강원도
휴가휘가



의문형으로 '나(na)'를 많이 사용한다.[1]

표준어강원도(영동)
요즘 뭐해?요즘 뭐하나?


참조

[1] 간행물 Världens 100 största språk 2007 Nationalencyklopedin
[2] 서적 대전 사람들은 사투리를 안 쓴다? https://www.youtube.[...] 중도일보
[3] 웹사이트 朝鲜语六镇话的方言特点 http://trs.library.n[...]
[4] 뉴스 North Chides South for Dirtying Korean Tongue https://web.archive.[...] 2019-10-23
[5] 뉴스 북한, 사투리·외래어·한자어 배격…"고유한 평양말 쓰자" https://www.yna.co.k[...] Yonhap News Agency 2020-11-26
[6] 간행물 표준어와 방언의 오늘과 내일 https://www.korean.g[...]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20-11-26
[7] 뉴스 https://www.hani.co.[...] 2021-08-29
[8] 뉴스 내래 밥 먹었지비? 평안·함경도 말 뒤섞인 엉터리 https://www.chosun.c[...] 2023-04-28
[9] 서적 서북 방언 https://www.korean.g[...] 2023-04-28
[10] 웹사이트 김병제 https://encykorea.ak[...] 2023-05-21
[11] 웹사이트 황해도 방언 https://encykorea.ak[...] 2023-05-21
[12] 웹사이트 '서울 사투리?' 방송 인터뷰 모음.zip https://www.youtube.[...] 2021-03-29
[13] 웹사이트 90년대 말투는 서울 사투리가 아니다?...서울 사투리 특징 3가지 https://www.youtube.[...] 2018-07-24
[14] 웹사이트 수원 사투리 쓰는 이창섭 https://www.youtube.[...] 2018-07-04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방언연구회(2001)
[19] 문서 Ogura(1940)
[20] 문서 河野(1945)
[21] 문서 李崇寧(1967)
[22] 문서
[23] 웹사이트 통일뉴스 http://www.tongilnew[...]
[24] 문서 김성근(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