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3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53은 숫자, 종교, 과학, 교통, 군사,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숫자이다. 수학적으로는 17번째 삼각수이자 9번째 육각수이며, 각 자릿수의 세제곱의 합으로 표현되는 가장 작은 세 자리 숫자이다. 종교적으로는 성경에 등장하는 153마리의 물고기 사건과 관련되어 축복, 시작의 의미를 가지며, 다양한 수비학적 해석이 존재한다. 과학 분야에서는 듀이 십진 분류법 코드, ICD 코드, 소행성, 혜성, 원소 등에 사용된다. 또한, 일본 국도, 철도, 항공기, 자동차, 군사 장비, 부대, 문화재, 채널 번호, 송신기 주파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 153이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53 | |
---|---|
숫자 정보 | |
수 | 153 |
약수 | 1, 3, 9, 17, 51, 153 |
수학적 속성 | |
종류 | 자연수 |
십진법 | 153 |
이진법 | 10011001 |
팔진법 | 231 |
십이진법 | 109 |
십육진법 | 99 |
소인수분해 | 32×17 |
오일러 피 함수 | 96 |
약수 합 | 234 |
약수 개수 | 6 |
뫼비우스 함수 | 0 |
메르텐스 함수 | -1 |
2. 수학
- 합성수이며, 약수는 1, 3, 9, 17, 51, 153이다. 진약수의 합은 이므로, 153은 부족수이다.
- 17번째 삼각수이자 9번째 육각수이다. 153은 처음 17개의 정수의 합과 같다. ()

- 1의 계승부터 5의 계승까지의 합이다. [2]
- 각 자릿수의 세제곱의 합으로 표현되는 가장 작은 세 자리 숫자이다.[3] . 이러한 성질을 가지는 다른 세 자리 이상의 숫자는 370, 371, 407뿐이다.[4] 153은 3-자기 묘사 수이다.
- 3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임의의 양의 정수에 대해, 각 자릿수의 세제곱의 합을 구하는 과정을 반복하면 최종적으로 153이 된다.[5][6][7] 예를 들어 84에서 시작하면 다음과 같다:
- 각 자릿수의 합()과 진약수의 합()이 모두 제곱수이다.
- 50번째 하샤드 수이다. (153은 자릿수 합 1+5+3=9로 나누어진다.)
- 프리드먼 수이다. ()
- 153의 서로 다른 소인수의 합은 이고, 154의 서로 다른 소인수의 합은 으로 같으므로, 153과 154는 루스-애런 쌍을 이룬다.
- 빅스-스미스 그래프는 153개의 모서리를 가진 대칭 그래프이다.
- 처음 8개 헤그너 수(1, 2, 3, 7, 11, 19, 43, 67)의 합은 153이다.
- 아르키메데스는 그의 저서 ''원 측량''에서 비율 153/265를 ἰχθύος μέτρον|이흐티오스 메트론grc(물고기의 척도)로 언급했는데, 이는 의 근사값이다.[1]
- 소인수분해하면 이다.
- 두 제곱수의 합으로 표현 가능하다: .
- 세 제곱수의 합으로 네 가지 방식으로 표현 가능하다: .
3. 종교
요한 복음 (21장 1-14절)에는 예수의 부활 후 세 번째 나타나심과 관련된 153마리의 물고기를 잡는 기적적인 어획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8] 이야기 전반에 걸쳐 세부 묘사가 부족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153이라는 숫자는 저자가 의도적으로 포함한 세부 사항으로 보인다.
숫자 153의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
-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153이 17번째 삼각수(1부터 17까지의 합)이며, 17은 신의 은총(성령의 일곱 가지 은사, 7)과 율법(십계명, 10)의 결합을 상징한다고 주장했다.[9][10] 많은 신학자들이 아우구스티누스의 수비학적 해석을 지지했지만, 이는 당대 신학보다는 역사적 신학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평가도 있다.
- 신학자 D. A. 카슨은 여러 해석을 검토한 후, "만약 복음서 저자가 153이라는 숫자에 어떤 상징성을 염두에 두었다면, 그것을 매우 잘 숨겨 놓았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11] 다른 학자들 역시 "요한복음 21장 11절에 나오는 153마리의 물고기 숫자에 대한 상징적 의미는 널리 지지를 받지 못했다"고 지적한다.[12]
- 제롬은 153이 세상의 모든 종류의 물고기 수를 나타낸다고 보았다. 그는 당시 시인 오피아누스 등이 세상에 153종의 물고기가 있다고 믿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 그러나 로버트 M. 그랜트는 오피아누스가 실제로는 149종만 언급했으며, 대 플리니우스 등 다른 고대 저자들은 다른 숫자를 제시했다는 점을 들어 제롬의 주장을 반박했다. 데이비드 슈트라우스 역시 그랜트보다 한 세기 전에 같은 지적을 했다. 또한, 20세기 초까지 갈릴리 호수에서 기록된 어종은 24종에 불과했다. 그럼에도 일부 신학자들은 제롬이 현재는 사라진 오피아누스의 다른 저작을 보았을 가능성 등을 제기하며 제롬의 해석을 계속 지지하기도 한다.
- 알렉산드리아의 키릴의 덧셈(100+50+7)이나 대 그레고리오의 곱셈(17×3×3) 등 다양한 수비학적 해석과 게마트리아(문자에 숫자를 대응시켜 단어나 문장의 의미를 해석하는 방법)를 이용한 설명들도 제시되었다. 프레데릭 루이 고데는 이러한 해석들을 "이상하다"고 평가했으며, 존 에머턴은 1958년 기준으로 최소 18가지의 다른 수비학적 설명을 확인했다. 신약학자 크레이그 S. 키너는 여러 게마트리아 설명을 검토하며 "억지스럽다"고 비판하고, 원하는 답에서 거꾸로 추론하지 않고는 발견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 존 버나드와 고데 등은 153이 단순히 실제 잡힌 물고기의 수를 기록한 것이라는 문자적 해석을 지지했다. 아치볼드 맥브라이드 헌터는 "베드로가 헤엄친 백 야드보다 더 상징적이지 않다. 그것은 '풍성한' 어획을 기억하는 숫자이다."라고 말했다.
- 코르넬리우스 아 라피데는 153마리의 물고기가 베드로와 사도들이 복음 전파를 통해 그리스도께 인도할 많은 신자들을 상징한다고 해석했다.[13]
마리아 막달레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들은 그녀의 그리스어 칭호 "η Μαγδαληνή"의 동일수치(각 글자에 해당하는 숫자를 더한 값)가 8 + 40 + 1 + 3 + 4 + 1 + 30 + 8 + 50 + 8 = 153이라는 점을 지적한다.[14] 마찬가지로, 이 구절에서 사용된 "τὸ δίκτυον"(그물)이라는 구절의 동일수치 값은 1224 = 8 × 153이다.[14] 하지만 코이네 그리스어에서는 다양한 명사 어미를 사용할 수 있어 다른 동일수치 값이 나올 수도 있으므로 이 해석의 중요성은 불분명하다.[15][16] 숫자 153은 물고기 방울(Vesica piscis)과도 연관 지어지며, 아르키메데스가 그의 저서 ''원의 측정''에서 제곱근 3의 근사값으로 사용했다는 주장이 있으나[14], 해당 저작물을 검토한 결과[17] 이는 부분적으로만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5]
다른 종교적 맥락에서도 153이 언급된다.
-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는 기도에 관한 저서를 153장으로 구성하면서 153마리 물고기를 잡은 기적과 숫자의 수학적 속성(153 = 100 + 28 + 25, 여기서 100은 제곱수, 28은 삼각수, 25는 제곱수)을 언급했다.[18]
- 몽포르의 루이는 묵주 기도의 다섯 번째 방식에서 성모송 횟수(3번에 15개의 10세트를 더함, 총 153번)를 153마리의 물고기와 연결했다.[19]
- 존 콜렛은 1512년 세인트 폴 학교를 설립하며 153명의 가난한 소년을 가르치도록 했는데, 이 역시 물고기 잡는 기적과 관련이 있다.[20]
- 바하이 신앙에서는 바하올라가 저술한 숨겨진 말씀에 총 153개의 격언(아랍어 71개, 페르시아어 82개)이 담겨 있다. 바하이 신자들은 바하올라를 예수 이후 세 번째 아브라함 계통의 신의 현현으로 믿는다.
4. 과학
5. 교통
6. 군사

- HMAS 스튜어트 (FFH 153)는 오스트레일리아 해군의 안작급 호위함이다.
- HMAS 와이앨라 (J153)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오스트레일리아 해군의 배서스트급 호위함이었다.
- JDS 유기리 (DD-153)는 일본 해상자위대의 아사기리급 호위함이다.
- USNS 컴벌랜드 (T-AO-153)는 베트ナム 전쟁 동안 미국 해군의 보조 함선이었다.
- USS 애스팔트 (IX-153)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해군의 트레포일급 콘크리트 바지선이었다.
- USS 버나두 (DD-153)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해군의 위크스급 구축함이었다.
- USS 부오얀트 (AM-153)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해군의 애드미럴급 기뢰 제거함이었다.
- USS 컴패스 아일랜드 (AG-153)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해군의 해군 전투함이었다.
- USS 제너럴 R. M. 블래치퍼드 (AP-153)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해군의 제너럴 G. O. 스콰이어급 수송선이었다.
- USS 로렌스 (APA-153)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해군의 하스켈급 공격 수송선이었다.
- USS 루벤 제임스 (DE-153)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해군의 버클리급 구축함 호위함이었다.
- USS S-42 (SS-153)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해군의 미국 S급 잠수함이었다.
- 제153 수송 비행대대는 미국 공군의 부대로, 와이오밍주 샤이엔의 샤이엔 리저널 공항에 위치해 있다.
- 제153 공중급유 비행대대는 미시시피 주 방위군의 부대로, KC-135 스트라토탱커를 운용한다.
- 제153 일리노이 의용 보병 연대는 미국 남북 전쟁 당시 북군에서 복무한 보병 연대였다.
- 아칸소 육군 주 방위군 제39 여단 전투단 소속 제153 보병 연대의 두 개 기동 대대(1대대, 2대대)가 있다. 1대대는 아칸소주 남서부에, 2대대는 아칸소주 북중부에 위치한다.
- 러시아 소비에트의 폴리카르포프 I-153 차이카("갈매기")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전투에 참여한 1930년대 후반의 복엽기 전투기였다.
7. 문화 및 기타
-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