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구 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악구 갑은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관악구 선거구가 분구되면서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봉천동과 남현동을 관할 구역으로 시작하여, 2012년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보라매동, 은천동, 성현동, 중앙동, 청림동, 행운동, 청룡동, 낙성대동, 인헌동, 남현동, 신림동을 관할한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한광옥, 이상현, 이훈평, 유기홍, 김성식, 박민규 등이 있으며,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계열 정당이 번갈아 가며 당선되는 경향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관악구의 정치 - 관악구 을
관악구 을은 1988년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초기 신림동 일대를 관할하다 2012년 행정동 개편으로 구역이 변경되었으며, 이해찬 의원의 5선 이후 다양한 정당 소속 의원들이 당선되었고 현재는 더불어민주당 정태호 의원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서울 관악구의 정치 - 관악구청장
관악구청장은 서울특별시 관악구의 행정 책임자로, 1973년부터 1995년까지는 관선 구청장이 임명되었고, 이후에는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는 민선 구청장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종로구 (1988년 선거구)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종로구는 소선거구제 시행으로 단독 선거구로 치러졌으며, 민주정의당 이종찬 후보가 당선되었다. -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6년 인구 감소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관악구 갑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한민국 선거구 정보 | |
이름 | 관악구 갑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서울특별시 |
연도 | 1988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관악구 |
의원 | 박민규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의원수 | 1인 |
2. 역사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관악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 봉천동과 남현동이 관악구 갑으로 묶였다.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봉천동에 속한 동에 각각 이름이 붙여져, 보라매동, 은천동, 성현동, 중앙동, 청림동, 행운동, 청룡동, 낙성대동, 인헌동, 남현동으로 바뀌었다.
2. 1. 행정 구역 변천
3. 관할 구역
wikitable
대수 | 관할 구역 |
---|---|
13대 ~ 14대 | 관악구 봉천본동, 봉천1동, 봉천2동, 봉천3동, 봉천4동, 봉천5동, 봉천6동, 봉천7동, 봉천8동, 봉천9동, 봉천10동, 봉천11동, 남현동 |
15대 ~ 18대 | 관악구 봉천본동, 봉천1동, 봉천2동, 봉천3동, 봉천4동, 봉천5동, 봉천6동, 봉천7동, 봉천8동, 봉천9동, 봉천10동, 봉천11동, 남현동, 신림5동 |
19대 ~ 현재 | 관악구 보라매동, 은천동, 성현동, 중앙동, 청림동, 행운동, 청룡동, 낙성대동, 인헌동, 남현동, 신림동 |
3. 1. 역대 관할 구역
wikitable대수 | 관할 구역 |
---|---|
13대 ~ 14대 | 관악구 봉천본동, 봉천1동, 봉천2동, 봉천3동, 봉천4동, 봉천5동, 봉천6동, 봉천7동, 봉천8동, 봉천9동, 봉천10동, 봉천11동, 남현동 |
15대 ~ 18대 | 관악구 봉천본동, 봉천1동, 봉천2동, 봉천3동, 봉천4동, 봉천5동, 봉천6동, 봉천7동, 봉천8동, 봉천9동, 봉천10동, 봉천11동, 남현동, 신림5동 |
19대 ~ 현재 | 관악구 보라매동, 은천동, 성현동, 중앙동, 청림동, 행운동, 청룡동, 낙성대동, 인헌동, 남현동, 신림동 |
4. 역대 국회의원
선거 | 정당 | 의원 | |
---|---|---|---|
1988년 | 평화민주당 | 한광옥 | |
1992년 | 민주당 | ||
1996년 | 신한국당 | 이상현 | |
2000년 | 새천년민주당 | 이훈평 | |
2004년 | 열린우리당 | 유기홍 | |
2008년 | 한나라당 | 김성식 | |
2012년 | 민주통합당 | 유기홍 | |
2016년 | 국민의당 | 김성식 | |
2020년 | 더불어민주당 | 유기홍 | |
2024년 | 더불어민주당 | 박민규 |
관악구 갑에서는 더불어민주당계 정당과 국민의힘계 정당이 번갈아 가며 당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4. 1. 주요 국회의원
wikitable선거 | 정당 | 의원 | |
---|---|---|---|
1988년 | 평화민주당 | 한광옥 | |
1992년 | 민주당 | ||
1996년 | 신한국당 | 이상현 | |
2000년 | 새천년민주당 | 이훈평 | |
2004년 | 열린우리당 | 유기홍 | |
2008년 | 한나라당 | 김성식 | |
2012년 | 민주통합당 | 유기홍 | |
2016년 | 국민의당 | 김성식 | |
2020년 | 더불어민주당 | 유기홍 | |
2024년 | 더불어민주당 | 박민규 |
4. 1. 1. 한광옥
한광옥은 평화민주당 및 민주당 소속으로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및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김대중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장을 역임하는 등, 민주당계 정당의 주요 인사였다.4. 1. 2. 이상현
이상현은 신한국당 소속으로 제15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신민주공화당, 무소속으로도 출마했으나 낙선했다.4. 1. 3. 김성식
김성식은 한나라당, 국민의당,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과 낙선을 반복했다. 개혁 성향의 정치인으로 평가받으며, 탈당과 복당을 거듭하며 정치적 노선을 변경했다. 특히 20대 총선에서는 국민의당 소속으로 당선되어, 당시 안철수 대표의 최측근으로 활약했다.4. 1. 4. 유기홍
유기홍은 열린우리당, 민주통합당,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17대, 19대, 21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대표적인 친노, 친문 인사로 분류된다.4. 1. 5. 박민규
박민규는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2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5. 역대 선거 결과
5. 1. 주요 선거
5. 1. 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관악구 갑 선거구의 총 유권자 수는 182,934명이었다. 투표 결과 평화민주당 한광옥 후보가 51,199표(38.99%)를 얻어 당선되었다. 신민주공화당 이상현 후보는 37,390표(28.47%), 민주정의당 김우연 후보는 21,829표(16.62%), 통일민주당 임광순 후보는 14,473표(11.02%)를 얻었다. 무소속 이영희 후보는 2,277표(1.73%), 한겨레민주당 정혜원 후보는 1,645표(1.25%), 무소속 최병순 후보는 1,431표(1.08%), 우리정의당 심덕원 후보는 741표(0.56%), 민주한국당 김봉철 후보는 321표(0.24%)를 얻는 데 그쳤다. 총 투표수는 131,306표였다.5. 1. 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관악구 갑 선거구에서 민주당 한광옥 후보가 42.51%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재선에 성공했다. 무소속 이상현 후보는 29.38%를 득표하여 2위를 차지했고, 민주자유당 김우연 후보는 26.12%를 득표했다. 무소속 정성일 후보는 1.97%를 득표했다.5. 1. 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wikitable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관악구 갑 (유권자: 190,207) |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이상현 | 신한국당 | 47,699 | 41.59% |
한광옥 | 새정치국민회의 | 43,197 | 37.67% |
함운경 | 무소속 | 10,123 | 8.82% |
이영춘 | 자유민주연합 | 8,360 | 7.29% |
김기정 | 통합민주당 | 5,289 | 4.61% |
합계 | 114,668 |
5. 1. 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wikitable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관악구 갑 | ||||
---|---|---|---|---|
유권자수: 186,729 | ||||
순위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1 | 이훈평 | 새천년민주당 | 44,400 | 43.91% |
2 | 김성식 | 한나라당 | 30,206 | 29.87% |
3 | 이상현 | 자유민주연합 | 17,289 | 17.09% |
4 | 김수복 | 무소속 | 3,850 | 3.80% |
5 | 박용덕 | 청년진보당 | 3,138 | 3.10% |
6 | 채상현 | 무소속 | 1,642 | 1.62% |
7 | 김휴열 | 민주국민당2000 | 581 | 0.57% |
총계 | 101,106 |
5. 1. 5.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wikitable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관악구 갑 | |||
---|---|---|---|
유권자수 | 217,552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유기홍 | 열린우리당 | 62,694 | 46.80 |
김성식 | 한나라당 | 47,701 | 35.61 |
한거희 | 새천년민주당 | 13,362 | 9.97 |
김웅 | 민주노동당 | 10,184 | 7.60 |
합계 | 133,941 | 무효표 |
5. 1. 6.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관악구 갑 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나라당 김성식 후보가 46.7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통합민주당 유기홍 후보는 44.03%를 득표하여 낙선하였는데, 이는 김성식 후보의 당선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결과였다. 진보신당 김웅 후보는 3.95%, 민주노동당 박명희 후보는 2.57%, 창조한국당 성정훈 후보는 1.97%, 평화통일가정당 송혜건 후보는 0.74%를 득표하였다.5. 1. 7.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관악구 갑 선거구에서는 민주통합당 유기홍 후보가 50.11%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재선에 성공했다. 무소속 김성식 후보는 41.60%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유기홍 | 민주통합당 | 63,611 | 50.11% |
김성식 | 무소속 | 52,808 | 41.60% |
한광옥 | 정통민주당 | 5,207 | 4.10% |
김용섭 | 자유선진당 | 3,795 | 2.99% |
한상삼 | 무소속 | 1,500 | 1.18% |
합계 | 126,921 | 100% |
5. 1. 8.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의 서울특별시 관악구 갑 선거구에서는 국민의당2016 김성식 후보가 38.4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 유기홍 후보는 37.55%, 새누리당 원영섭 후보는 20.08%를 득표했다. 정의당 이동영 후보와 민중연합당 연시영 후보도 출마했다.5. 1. 9.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관악구 갑 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유기홍 후보가 83,479표(55.92%)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성식 후보는 50,078표(33.55%), 정의당 이동영 후보는 6,306표(4.22%)를 얻었다. 우리공화당 권미성 후보는 3,477표(2.32%), 민생당 이승한 후보는 2,749표(1.84%), 민중당 송명숙 후보는 2,223표(1.48%), 국가혁명배당금당 김용태 후보는 947표(0.63%)를 기록했다. 미래통합당 김대호 후보는 등록무효 처리되었다. 총 유권자 수는 243,127명이었고, 총 149,259표가 투표되었다.5. 1. 10.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관악구 갑 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박민규 후보가 57.08%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국민의힘 유종필 후보는 42.91%의 득표율을 얻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