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은 평택시 포승읍에서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평창읍을 잇는 국가지원지방도이다. 1994년 국도 제82호선 신설 계획에서 시작되었으나, 재정 부족으로 일부 구간만 국도로 지정되고 나머지 구간이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으로 지정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연장 및 확장 공사를 거쳐 현재의 노선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경기도, 충청북도, 강원특별자치도를 경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 대소 나들목
    대소 나들목은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에 위치하며, 1988년 음성 나들목으로 개통되어 2013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과 연결된다.
  •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 남제천 나들목
    남제천 나들목은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월림리에 위치한 중앙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2001년 풍기-제천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지방도 제532호선인 청풍호로와 연결된다.
  • 영월군의 교통 - 영월역
    영월역은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며 영월 지역의 교통과 관광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영월화력발전소로 연결되는 지선을 보유한 지상역이다.
  • 영월군의 교통 - 쌍룡역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에 위치한 쌍룡역은 태백선 철도역으로,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며, 역명은 인근 쌍용굴에서 유래했고, 2013년 복선 전철화 공사로 제천 기점이 변경되었다.
  • 오산시의 교통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오산시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도로 정보
도로 종류국가지원지방도
노선명평택 ~ 평창선
노선 번호명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총연장250.3km
기점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주요 경유지경기도 평택시
경기도 화성시
경기도 오산시
경기도 용인시
경기도 안성시
충청북도 진천군
충청북도 음성군
충청북도 충주시
충청북도 제천시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종점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평창읍
주요 교차 도로서해안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평택시흥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5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8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지방도 제301호선
지방도 제302호선
지방도 제306호선
지방도 제309호선
지방도 제310호선
지방도 제311호선
지방도 제313호선
지방도 제314호선
지방도 제315호선
지방도 제317호선
지방도 제321호선
지방도 제325호선
지방도 제513호선
지방도 제522호선
지방도 제525호선
지방도 제532호선
지방도 제597호선
지방도 제599호선

2. 역사

1994년 '포승 ~ 생극선'이라는 이름으로 '''국도 제82호선'''을 신설하기로 계획되었던 도로가 시초이며, 당시 연장은 97km로 정해져 있었다.[1] 그러나 국가 재정 부족으로 평택시 포승읍 ~ 화성시 양감면 구간만 국도로 지정되었다.[1] 이 때 국도로 지정되지 않은 잔여 구간이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으로 지정된 것이다.[1]

1996년 7월 19일 : 경기도 화성군 향남면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구간을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 화성 ~ 음성선'''으로 지정[1]

2001년 8월 25일 : 음성 ~ 평창 구간이 연장되면서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화성 ~ 평창선'''이 됨[2]

2001년 12월 28일 :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 1.52km 구간과 음성군 금왕읍 오선리 ~ 무극리 2.38km 구간 확·포장 개통[3]

2003년 7월 18일 : 대소 ~ 금왕간 도로(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 ~ 금왕읍 오선리) 8.34km 구간 개통[4]

2004년 2월 13일 : 육령 ~ 오생간 도로(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육령리 ~ 생극면 오생리) 3.74km 구간 개통[5]

2006년 5월 15일 : 안성 ~ 양성간 도로(안성시 대덕면 모산리 ~ 양성면 난실리) 12.9km 구간 확장 개통[6]

2008년 6월 20일 :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양화리 ~ 구룡리 3.9km 구간 확장 개통[7]

2008년 11월 17일 : 기점이 경기도 화성시 향남면에서 평택시 포승읍으로 연장되면서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 평택 ~ 평창선'''으로 노선 변경[8]

2008년 12월 26일 : 충청북도 구간 도로구역 지정[9]

2011년 5월 20일 : 북충주IC ~ 가금간 도로 확포장공사로 인해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 ~ 가금면 용전리) 5.3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0]

2012년 4월 21일 :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 도화리 1.56km 구간 및 청풍대교 개통[11]

2013년 8월 10일 : 가금 ~ 칠금간 도로(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용전리 ~ 칠금동) 6.607km 구간 임시 개통(9월 10일 까지)[12]

2013년 8월 14일 : 북충주IC ~ 가금간 도로(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 ~ 가금면 용전리) 4.986km 구간 임시 개통(9월 10일 까지)[12]

2013년 9월 11일 : 가금 ~ 칠금간 도로, 북충주IC ~ 가금간 도로 임시 개통[13]

2014년 3월 28일 : 가금 ~ 칠금간 도로(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용전리 ~ 칠금동) 6.607km 구간 개통[14]

2014년 7월 22일 : 북충주IC ~ 가금간 도로(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 ~ 가금면 용전리) 4.986km 구간 개통[15]

2017년 9월 29일 : 연금리조트 ~ 청풍대교간 도로(제천시 청풍면 도화리 ~ 교리) 1.74km 구간 확장 개통[16]

2018년 8월 10일 : 북충주IC ~ 가금간 도로(충주시 노은면 수룡리 ~ 중앙탑면 용전리) 4.99km 구간과 가금 ~ 칠금간 도로(충주시 중앙탑면 용전리 ~ 칠금동) 5.8km 구간 개통, 기존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 ~ 중앙탑면 창동리 총 6.99km 구간 폐지[17]

2. 1. 개요

2. 2. 연혁

1994년 '포승 ~ 생극선'이라는 이름으로 국도 제82호선을 신설하기로 계획되었던 도로가 시초이며, 당시 연장은 97km로 정해져 있었다. 그러나 국가 재정 부족으로 평택시 포승읍 ~ 화성시 양감면 구간만 국도로 지정되었고, 국도로 지정되지 않은 잔여 구간이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으로 지정되었다.[1] 2001년 8월 25일 음성 ~ 평창 구간이 연장되었고,[2] 2008년 11월 17일 화성 ~ 평택 구간이 연장되었다.[8]

  • 1996년 7월 19일 : 경기도 화성군 향남면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구간을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 화성 ~ 음성선'''으로 지정[1]
  • 2001년 8월 25일 : 음성 ~ 평창 구간이 연장되면서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화성 ~ 평창선'''이 됨[2]
  • 2001년 12월 28일 :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 1.52km 구간과 음성군 금왕읍 오선리 ~ 무극리 2.38km 구간 확·포장 개통[3]
  • 2003년 7월 18일 : 대소 ~ 금왕간 도로(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 ~ 금왕읍 오선리) 8.34km 구간 개통[4]
  • 2004년 2월 13일 : 육령 ~ 오생간 도로(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육령리 ~ 생극면 오생리) 3.74km 구간 개통[5]
  • 2006년 5월 15일 : 안성 ~ 양성간 도로(안성시 대덕면 모산리 ~ 양성면 난실리) 12.9km 구간 확장 개통[6]
  • 2008년 6월 20일 :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양화리 ~ 구룡리 3.9km 구간 확장 개통[7]
  • 2008년 11월 17일 : 기점이 경기도 화성시 향남면에서 평택시 포승읍으로 연장되면서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 평택 ~ 평창선'''으로 노선 변경[8]
  • 2008년 12월 26일 : 충청북도 구간 도로구역 지정[9]
  • 2011년 5월 20일 : 북충주IC ~ 가금간 도로 확포장공사로 인해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 ~ 가금면 용전리) 5.3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0]
  • 2012년 4월 21일 :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 도화리 1.56km 구간 및 청풍대교 개통[11]
  • 2013년 8월 10일 : 가금 ~ 칠금간 도로(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용전리 ~ 칠금동) 6.607km 구간 임시 개통(9월 10일 까지)[12]
  • 2013년 8월 14일 : 북충주IC ~ 가금간 도로(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 ~ 가금면 용전리) 4.986km 구간 임시 개통(9월 10일 까지)[12]
  • 2013년 9월 11일 : 가금 ~ 칠금간 도로, 북충주IC ~ 가금간 도로 임시 개통[13]
  • 2014년 3월 28일 : 가금 ~ 칠금간 도로(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용전리 ~ 칠금동) 6.607km 구간 개통[14]
  • 2014년 7월 22일 : 북충주IC ~ 가금간 도로(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 ~ 가금면 용전리) 4.986km 구간 개통[15]
  • 2017년 9월 29일 : 연금리조트 ~ 청풍대교간 도로(제천시 청풍면 도화리 ~ 교리) 1.74km 구간 확장 개통[16]
  • 2018년 8월 10일 : 북충주IC ~ 가금간 도로(충주시 노은면 수룡리 ~ 중앙탑면 용전리) 4.99km 구간과 가금 ~ 칠금간 도로(충주시 중앙탑면 용전리 ~ 칠금동) 5.8km 구간 개통, 기존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 ~ 중앙탑면 창동리 총 6.99km 구간 폐지[17]

3. 주요 경유지

; 경기도



; 충청북도

; 강원특별자치도

3. 1. 경기도

내기삼거리에서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77호선과 만나며 '''시점'''이 시작된다.[18] 이후 서평택 나들목에서 서해안고속도로와 교차한다.[18] 남양대교를 건너 화성시 우정읍으로 진입하며, 노진1사거리에서 지방도 제302호선과 만난다. 봉화 교차로에서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82호선과 다시 만나고, 지방도 제301호선과 교차한다.[18]

장안면우정읍을 지나 조암삼거리에서 버들로와 교차하고, 조암터미널을 지난다. 어은 교차로에서 장안로와 만나고, ''어은리''에서는 ''지방도 제313호선''과 만나지만 미개통 구간이다. (장안산업단지)를 지나 독정입구삼거리에서 수정로와 교차한다.

팔탄면에서는 해창삼거리에서 버들로와 만나고, 발안 나들목에서 서해안고속도로와 다시 교차한다. 향남읍에 있는 발안 교차로에서 국도 제39호선과 교차하고, 제암사거리에서 발안만세길과 만난다. 발안사거리에서는 국도 제43호선과 교차한다.

화성소방서를 지나 동오사거리에서 지방도 제309호선과 교차하고, (갈천1교 남단)에서 지방도 제315호선과 만난다. 향남 나들목에서는 평택파주고속도로와 교차한다.

평택시 서탄면을 지나 화성시 정남면에서 지방도 제314호선과 중복된다. 오산시 초평동 벌음삼거리에서 남부대로와 교차하고, 초평동행정복지센터를 지나 신동아아파트앞삼거리에서 초평로와 만난다. 남촌오거리에서 지방도 제310호선과 중복되며, 남촌동다리앞 교차로에서 성호대로와 교차한다.

중앙동 운동장사거리에서 국도 제1호선, 지방도 제310호선, 지방도 제317호선과 중복 교차하고, 운암사거리에서 지방도 제311호선과 만난다. (오산장례식장)에서 지방도 제317호선과 다시 분기된다.

화성시 동탄동 장지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과 교차한다.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으로 진입하여 남곡사거리에서 지방도 제321호선과 교차한다. 이동읍 묘봉 교차로에서 국도 제45호선과 만난다.

안성시 양성면 난실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314호선과 교차하고, 고삼면 고삼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된다. 가유리에서 지방도 제306호선과 중복되며, (봉산1교 북단)에서 지방도 제306호선과 분기된다. 보개면 서삼삼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과 중복되었다가, 천주교공원묘지 교차로에서 다시 분기된다. 삼죽면에서 지방도 제306호선, 지방도 제325호선과 중복 교차하고, (삼죽)에서 지방도 제325호선과 분기된다. 죽산면에서 (두현육교)에서 국도 제38호선과 교차하며, 죽산삼거리에서 지방도 제306호선과 다시 분기된다. 두현 교차로에서 국도 제3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교차하며, 두교 교차로에서 국도 제17호선과 교차한다.

3. 2.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삼거리에서 국도 제17호선(생거진천로)과 교차하고, 상리사거리, 광혜원삼거리, 만승교사거리를 거쳐 만승교에 이른다. 음성군 대소면에서는 대풍삼거리, 대소공단삼거리, 대소 나들목(대소IC삼거리)에서 35호선 중부고속도로와 교차하고, 공단삼거리, 오류사거리, 오류교, 대소삼거리, 오산사거리, 태생교, 태생리, 성본리를 지난다.

금왕읍 오선 교차로에서 국도 제21호선(진성로, 무극로)과 교차하고, 오선사거리에서 지방도 제513호선(초금로)과 교차한다. 금왕산업단지, 용계사거리, 금왕대교, 금석사거리를 지나 무극 교차로에서 국도 제37호선(생음대로)과 교차하며, 육령8교를 거쳐 생극면으로 이어진다. 오생삼거리에서 오신로와 교차하고, 오생1 교차로에서 국도 제3호선, 지방도 제306호선(중원대로)과 중복된다.

충주시 신니면 새터1교, 새터교를 지나 서충주 나들목(대화 교차로)에서 40호선 평택제천고속도로,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지방도 제306호선(용광로)과 교차한다. 국도 제3호선과 중복 구간은 양지교를 지나 송암 교차로, 원평교, 용원2교, 용원교를 거쳐 용원 교차로에서 끝난다. 오포사거리, 요도천교, 내용천교, 수청사거리, 신청 교차로, 화심교, 화심 교차로, 한덕이삼거리, 도장 교차로를 지나 덕고개에 이른다.

노은면에서는 덕고개삼거리, 노은교를 지나 노은삼거리에서 지방도 제525호선(감노로)와 교차,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과 중복되어 연하1 교차로까지 이어진다. 연하2 교차로, 노은2교, 연하2교를 지나 신효1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525호선(솔고개로)와 교차하고, 효죽2교, 신효3 교차로, 북충주 나들목(북충주 교차로)에서 40호선 평택제천고속도로 및 45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와 교차한다. 이후 노은초등학교 수룡분교(폐교), 수룡교, 수룡 교차로, 노은고개 교차로를 지나 노은고개에 이른다.

중앙탑면에서는 상구 교차로, 중구1 교차로, 중구2 교차로, 가금 교차로(충주기업도시 분기점), 대흥교, 하구암천2교, 입석교를 지나 중원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599호선(반천길)과 중복된다. 하구암천3교, 법현천교를 지나 갈동사거리에서 지방도 제599호선(첨단산업로)과 교차하고, 두련천교, 두련 교차로, 루암 교차로, 소일육교, 소일 교차로, 창동교를 지나 창동 교차로에서 국도 제19호선(서부순환대로)과 교차한다.

탄금대교를 건너 칠금금릉동 탄금대삼거리, 충주시민운동장, 칠금교, 칠금사거리를 지난다. 한국전력공사 충주지사, 충주시설관리공단을 지나 봉방동 봉계사거리, 국원고등학교(국원고사거리), 봉계교, 삼원로터리에서 국원대로와 교차한다. 문화동 무학시장, 부민삼거리를 지나 제1로터리에서 예성로, 중앙로와 교차하고, 성내충인동 제2로터리에서 사직로와 교차한다.

용산동 씨씨에스 충북방송, 지곡, 용산교를 지나 지현동 지현삼거리에서 남산로와 교차한다. 충주고등학교를 지나 호암직동 호암사거리에서 중원대로, 호암대로와 교차하고, 충주문화방송을 거쳐 달천동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후문, 유주막삼거리, 삼초대입구를 지난다. 풍동 교차로에서 국도 제3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6호선(서부순환대로)과 중복, 교차하며, 노루목다리를 건넌다.

살미면 대향산교, 향산삼거리, 세경교, 호음실삼거리, 문산삼거리, 살미삼거리를 지나 세성 교차로에서 국도 제19호선(괴산IC~살미간 도로), 지방도 제531호선(세성로)과 교차한다. 용천삼거리에서 국도 제3호선(중원대로)과 중복되고, 내사리, 신당1교, 신당2교, 소용교, 신당교, 공이교, 공이삼거리를 지나 월악교에 이른다.

제천시 한수면 탄지삼거리에서 지방도 제597호선(미륵송계로)과 교차하고 탄지교를 건넌다. 덕산면 성천교, 수산3교를 지나 성암 회전교차로에서 약초로, 월악로17길, 월악로18길과 교차한다. 수산면 수산사거리에서 국도 제36호선(월악로)과 교차하고, 용곡입구에서 연론로와 교차한다.

청풍면 서곡입구에서 서곡로와 교차하고, 청풍초등학교, 청풍중학교, 청풍면 행정복지센터를 지나 청풍대교에 이른다. 도화 교차로에서 옥순봉로와 교차하고, 학현입구에서 지방도 제532호선(학현소야로)와 중복된다. 청풍랜드, 청풍리조트를 지나 금성면 높은다리, 구룡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532호선(호반로)와 교차한다. 금성면 행정복지센터, 금성보건지소, 월림3교, 월림2교, 월림2교를 지나 남제천 나들목에서 55호선 중앙고속도로와 교차한다. 양화2교, 양화1교, 양화사거리를 지나 명지 교차로에서 국도 제5호선, 국도 제38호선(북부로)과 교차한다.

화산동 명지초등학교입구 교차로, 강저택지, 사천교, 영서동 영천지하차도, 남당 교차로를 지나 역전 교차로(제천역)에서 의림대로, 내제로와 교차한다. 화산동 약초시장입구 교차로를 지나 남현동 동현 교차로, 월백교 서단에서 지방도 제522호선(의병대로)과 교차한다.

교동 교동, 제천운수, 장락삼거리, 장락주공3.4단지앞삼거리, 죽하마을입구 교차로, 제천교통을 지나 장락역에서 내토로, 신죽하로와 교차한다. 의암동 둔전골, 둔전골안길입구 교차로, 에콜리안제천을 거쳐 송학면 도화 교차로에서 국도 제38호선과 간접 연결된다. 도화리, 개화교, 송한교, 미고개를 지난다.

3. 3. 강원특별자치도

주천면 미고개에서 시작하여 인도미술박물관, 신일사거리를 거쳐 주천사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서강로)과 분기된다.[18] 주천버스정류장, 관운2교, 판운초등학교(폐교), 영월화석박물관을 지나 평창군 평창읍 마지삼거리에서 국도 제31호선 (원동재로, 평창강로)과 만나면서 끝난다.[18] 신일사거리부터 주천사거리까지 구간은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과 중복된다.[18]

```wikitable

이름접속 노선소재지비고
미고개영월군 주천면 |
인도미술박물관
(구 금마초등학교)
신일교
|
신일사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솔치로)
주천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과 중복
신일교
주천2교
|
주천사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서강로)
주천로84번길 |
주천버스정류장주천로 |
관운2교중선로 |
판운초등학교(폐교)
영월화석박물관
판운교
|
마지삼거리국도 제31호선
(원동재로)
(평창강로)
평창군 평창읍 | 종점


4. 노선

4. 1.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내기삼거리에서 국도 제38호선국도 제77호선(서동대로)이 분기된다. 내기삼거리는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의 '''시점'''이며,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82호선과 중복된다.[18] 서평택 나들목(서평택IC사거리)에서 서해안고속도로와 교차하며, 포승공단로와 접속한다. 도곡리에서는 지방도 제309호선(포승서로)이 분기되고, 원정 교차로에서 평택항로와 교차한다. 원정삼거리에서는 남양만로와 접속한다. 남양대교를 건너 화성시 우정읍으로 진입한다.

노진1사거리에서 지방도 제302호선(남양황라로)이 분기되고, 이화사거리에서 화곡로, 석천사거리에서 남양만로와 접속한다. 봉화 교차로에서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82호선 (포승향남로), 지방도 제301호선 (기아자동차로)과 교차한다. 화산입구삼거리에서 한말길과 접속한다.

장안면 사곡사거리에서 화곡로, 사랑길과 교차하고, 장안여자중학교를 지난다. 우정읍으로 다시 진입하여 조암삼거리에서 버들로와 만나고, 조암터미널에서 조암서로와 접속한다. 조암농협을 지나 조암초교앞삼거리에서 조암동로와 만난다.

장안면으로 돌아와 장안119안전센터에서 포승장안로, 어은삼거리에서 사랑길, 어은 교차로에서 장안로와 접속한다. 어은리에서는 미개통된 지방도 제313호선과 교차할 예정이다. 장안산업단지에서 금의솔안길, 독정입구삼거리에서 수정로와 만난다. 수촌초등학교(폐교)를 지난다.

팔탄면으로 진입하여 진고개를 넘고 해창교를 건넌다. 해창삼거리에서 버들로, 우리꽃식물원을 지나 발안 나들목(발안IC사거리)에서 서해안고속도로와 교차한다.

향남읍에 들어서 고주리입구에서 제암고주로와 접속한다. 발안 교차로에서 국도 제39호선(서해로)과 교차하며, 제암사거리에서 발안만세길, 화성시보건소에서 발안남로와 만난다. 발안1교를 지나 발안파출소에서 3.1만세로, 평6길과 접속한다. 발안사거리에서 국도 제43호선(삼천병마로)과 교차하고, 발안초등학교를 지난다. 이후 행정서로, 발안바이오과학고등학교, 발안중학교, 향남읍 행정복지센터, 화성소방서(향남로)를 차례로 지난다. 행정동로와 접속하고, 도이육교에서 푸른들판로와 교차하나 평창 방면 진출은 불가능하고 평택 방면 진입만 가능하다. 관리고개를 지나 동오사거리에서 지방도 제309호선(서봉로)과 교차한다. 화성시맑은물사업소를 지나 갈천1교 남단에서 지방도 제315호선(만년로)과 만난다. 향남 나들목(향남IC 교차로)에서 평택파주고속도로(초록로)와 교차한다.

양감면평택시 서탄면의 경계에 위치한 수직교를 건넌다. 서탄면 내천삼거리에서 서탄1로, 심포니앞삼거리에서 수월암4길과 접속한다.

화성시 정남면 덕절리에서 지방도 제314호선(정남동로)와 중복된다. 오산시 초평동 벌음삼거리에서 남부대로와 접속하고, 벌음동삼거리에서 서동로와 만난다. 초평동행정복지센터를 지나 신동아아파트앞삼거리에서 초평로와 접속한다. 벌음교를 건너 오산초등학교앞 교차로에서 가수로, 가수1로와 만난다. 남촌오거리에서 지방도 제310호선(가장로), 청학로, 황새로와 교차하며, 지방도 제310호선과 중복된다.

남촌동 남촌대교를 지나 남촌동다리앞 교차로에서 성호대로, 오산천로와 접속한다. 중앙동 오산대교 남단에서 오산로와 만나고, 오산근린공원, 오산시민회관을 지난다. 운동장사거리에서 국도 제1호선, 지방도 제310호선, 지방도 제317호선(경기대로)과 교차하며, 지방도 제310호선, 지방도 제317호선과 중복된다. 오산종합운동장, 오산스포츠센터, 오산문화예술회관을 지나 오산시보건소에서 운암로, 현충로와 접속한다. 운암사거리에서 지방도 제311호선(동부대로)과 교차한다. 오산장례식장에서 지방도 제317호선(동탄기흥로)과 분기되어 지방도 제317호선과 중복이 해제된다. 롯데인재개발원을 지난다.

화성시 동탄동 장지지하차도에서 동탄대로와 교차한다. 장지 교차로(장지교차로지하차도)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용구대로)과 만난다.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으로 진입하여 석고개를 넘는다. 컨트리주유소앞 교차로, 동막삼거리(서촌로), 진광이엔씨삼거리, 정지고개, 한화리조트입구삼거리(통삼로), 지펙스앞삼거리를 지난다. 남사교삼거리에서 봉무로와 접속하고, 남사교, 삼화전자삼거리, 당하교를 지난다. 에이텍삼거리에서 당하로, 아세아시멘트입구삼거리에서 형제로17번길, LG전자물류삼거리를 지난다. 남곡사거리에서 지방도 제321호선(처인성로)과 교차하고, 아곡교, 아곡교삼거리(완장천로), 대성주유소삼거리(월곡로), 삼성탈레스삼거리, 월곡교를 거친다. 창리입구삼거리에서 화곡로와 만난다.

처인구 이동읍 안어고개를 넘어 레이크힐스용인CC 교차로, 솔밭가든삼거리(백옥대로), 이동면사무소삼거리, 송전삼거리(경기동로687번길), 송전빌라삼거리(경기동로739번길, 경기동로742번길), 송전1교를 지난다. 묘봉 교차로에서 국도 제45호선(남북대로)과 교차하고, 묘봉1 교차로삼거리에서 묘봉로, 경기동로936번길과 접속한다. 묘봉교, 앵고개, 동일테크윈앞 교차로를 지나 어비2리사거리에서 평온의숲로와 만난다.

안성시 양성면 난실교를 건너 난실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314호선(양성로), 안성맞춤대로와 교차한다. 노곡 교차로에서 안성맞춤대로, 미리내성지로와 접속한다.

고삼면 방고개를 넘어 가유1가도교를 지나, 고삼 교차로(고삼2가도교)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안성대로), 신창길과 교차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된다. 가유리에서 지방도 제306호선(안성맞춤대로)과 교차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306호선과 중복된다. 고삼면사무소, 고삼초등학교를 지나 봉산1교 북단에서 지방도 제306호선(미륵로)과 분기되어 지방도 제306호선과 중복이 해제된다. 담배고개, 월랑교, 봉지교, 쌍지교(쌍지길)를 지나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계속 중복된다.

보개면 가현대교를 건너 서삼삼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보개원삼로)과 교차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된다. 천주교공원묘지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보개원삼로)과 분기되어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과 중복이 해제된다. 안성추모공원, 골프존카운티안성H를 지나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계속 중복된다.

삼죽면 가현치를 넘어 배태교를 건넌다. 삼죽면사무소에서 지방도 제306호선, 지방도 제325호선(삼죽로)과 교차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306호선, 지방도 제325호선과 중복된다. 삼죽에서 지방도 제325호선(삼백로)과 분기되어 지방도 제325호선과 중복이 해제된다.

죽산면 두현육교에서 국도 제38호선(서동대로)과 교차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306호선과 중복된다. 죽산교를 지나 죽산삼거리에서 지방도 제306호선(죽주로)과 분기되어 지방도 제306호선과 중복이 해제된다. 두현 교차로에서 국도 제3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서동대로)과 교차하여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이 해제된다. 점고개, 걸미고개, 안성CC, 칠장사입구(칠장로), 당진삼거리(용설로)를 지난다. 두교 교차로에서 국도 제17호선(송문주로), 용대길과 교차하고, 걸미삼거리에서 두메호수로와 만난다. 마지막으로 두계교를 지난다.

4. 1. 1. 세부 노선

평택시 포승읍 내기삼거리에서 국도 제38호선국도 제77호선(서동대로)이 분기된다. 내기삼거리는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의 '''시점'''이며,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82호선과 중복된다.[18] 서평택 나들목(서평택IC사거리)에서 서해안고속도로와 교차하며, 포승공단로와 접속한다. 도곡리에서는 지방도 제309호선(포승서로)이 분기되고, 원정 교차로에서 평택항로와 교차한다. 원정삼거리에서는 남양만로와 접속한다. 화성시 우정읍으로 진입하여 남양대교를 건넌다.

노진1사거리에서 지방도 제302호선(남양황라로)이 분기되고, 이화사거리에서 화곡로, 석천사거리에서 남양만로와 접속한다. 봉화 교차로에서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82호선 (포승향남로), 지방도 제301호선 (기아자동차로)과 교차한다. 화산입구삼거리에서 한말길과 접속한다.

장안면 사곡사거리에서 화곡로, 사랑길과 교차하고, 장안여자중학교를 지난다. 우정읍으로 다시 진입하여 조암삼거리에서 버들로와 만나고, 조암터미널에서 조암서로와 접속한다. 조암농협을 지나 조암초교앞삼거리에서 조암동로와 만난다.

장안면으로 돌아와 장안119안전센터에서 포승장안로, 어은삼거리에서 사랑길, 어은 교차로에서 장안로와 접속한다. 어은리에서는 미개통된 지방도 제313호선과 교차할 예정이다. 장안산업단지에서 금의솔안길, 독정입구삼거리에서 수정로와 만난다. 수촌초등학교(폐교)를 지난다.

팔탄면으로 진입하여 진고개를 넘고 해창교를 건넌다. 해창삼거리에서 버들로, 우리꽃식물원을 지나 발안 나들목(발안IC사거리)에서 서해안고속도로와 교차한다.

향남읍에 들어서 고주리입구에서 제암고주로와 접속한다. 발안 교차로에서 국도 제39호선(서해로)과 교차하며, 제암사거리에서 발안만세길, 화성시보건소에서 발안남로와 만난다. 발안1교를 지나 발안파출소에서 3.1만세로, 평6길과 접속한다. 발안사거리에서 국도 제43호선(삼천병마로)과 교차하고, 발안초등학교를 지난다. 이후 행정서로, 발안바이오과학고등학교, 발안중학교, 향남읍 행정복지센터, 화성소방서(향남로)를 차례로 지난다. 행정동로와 접속하고, 도이육교에서 푸른들판로와 교차하나 평창 방면 진출은 불가능하고 평택 방면 진입만 가능하다. 관리고개를 지나 동오사거리에서 지방도 제309호선(서봉로)과 교차한다. 화성시맑은물사업소를 지나 갈천1교 남단에서 지방도 제315호선(만년로)과 만난다. 향남 나들목(향남IC 교차로)에서 평택파주고속도로(초록로)와 교차한다.

양감면평택시 서탄면의 경계에 위치한 수직교를 건넌다. 서탄면 내천삼거리에서 서탄1로, 심포니앞삼거리에서 수월암4길과 접속한다.

화성시 정남면 덕절리에서 지방도 제314호선(정남동로)와 중복된다. 오산시 초평동 벌음삼거리에서 남부대로와 접속하고, 벌음동삼거리에서 서동로와 만난다. 초평동행정복지센터를 지나 신동아아파트앞삼거리에서 초평로와 접속한다. 벌음교를 건너 오산초등학교앞 교차로에서 가수로, 가수1로와 만난다. 남촌오거리에서 지방도 제310호선(가장로), 청학로, 황새로와 교차하며, 지방도 제310호선과 중복된다.

남촌동 남촌대교를 지나 남촌동다리앞 교차로에서 성호대로, 오산천로와 접속한다. 중앙동 오산대교 남단에서 오산로와 만나고, 오산근린공원, 오산시민회관을 지난다. 운동장사거리에서 국도 제1호선, 지방도 제310호선, 지방도 제317호선(경기대로)과 교차하며, 지방도 제310호선, 지방도 제317호선과 중복된다. 오산종합운동장, 오산스포츠센터, 오산문화예술회관을 지나 오산시보건소에서 운암로, 현충로와 접속한다. 운암사거리에서 지방도 제311호선(동부대로)과 교차한다. 오산장례식장에서 지방도 제317호선(동탄기흥로)과 분기되어 지방도 제317호선과 중복이 해제된다. 롯데인재개발원을 지난다.

화성시 동탄동 장지지하차도에서 동탄대로와 교차한다. 장지 교차로(장지교차로지하차도)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용구대로)과 만난다.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으로 진입하여 석고개를 넘는다. 컨트리주유소앞 교차로, 동막삼거리(서촌로), 진광이엔씨삼거리, 정지고개, 한화리조트입구삼거리(통삼로), 지펙스앞삼거리를 지난다. 남사교삼거리에서 봉무로와 접속하고, 남사교, 삼화전자삼거리, 당하교를 지난다. 에이텍삼거리에서 당하로, 아세아시멘트입구삼거리에서 형제로17번길, LG전자물류삼거리를 지난다. 남곡사거리에서 지방도 제321호선(처인성로)과 교차하고, 아곡교, 아곡교삼거리(완장천로), 대성주유소삼거리(월곡로), 삼성탈레스삼거리, 월곡교를 거친다. 창리입구삼거리에서 화곡로와 만난다.

처인구 이동읍 안어고개를 넘어 레이크힐스용인CC 교차로, 솔밭가든삼거리(백옥대로), 이동면사무소삼거리, 송전삼거리(경기동로687번길), 송전빌라삼거리(경기동로739번길, 경기동로742번길), 송전1교를 지난다. 묘봉 교차로에서 국도 제45호선(남북대로)과 교차하고, 묘봉1 교차로삼거리에서 묘봉로, 경기동로936번길과 접속한다. 묘봉교, 앵고개, 동일테크윈앞 교차로를 지나 어비2리사거리에서 평온의숲로와 만난다.

안성시 양성면 난실교를 건너 난실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314호선(양성로), 안성맞춤대로와 교차한다. 노곡 교차로에서 안성맞춤대로, 미리내성지로와 접속한다.

고삼면 방고개를 넘어 가유1가도교를 지나, 고삼 교차로(고삼2가도교)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안성대로), 신창길과 교차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된다. 가유리에서 지방도 제306호선(안성맞춤대로)과 교차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306호선과 중복된다. 고삼면사무소, 고삼초등학교를 지나 봉산1교 북단에서 지방도 제306호선(미륵로)과 분기되어 지방도 제306호선과 중복이 해제된다. 담배고개, 월랑교, 봉지교, 쌍지교(쌍지길)를 지나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계속 중복된다.

보개면 가현대교를 건너 서삼삼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보개원삼로)과 교차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된다. 천주교공원묘지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보개원삼로)과 분기되어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과 중복이 해제된다. 안성추모공원, 골프존카운티안성H를 지나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계속 중복된다.

삼죽면 가현치를 넘어 배태교를 건넌다. 삼죽면사무소에서 지방도 제306호선, 지방도 제325호선(삼죽로)과 교차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306호선, 지방도 제325호선과 중복된다. 삼죽에서 지방도 제325호선(삼백로)과 분기되어 지방도 제325호선과 중복이 해제된다.

죽산면 두현육교에서 국도 제38호선(서동대로)과 교차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306호선과 중복된다. 죽산교를 지나 죽산삼거리에서 지방도 제306호선(죽주로)과 분기되어 지방도 제306호선과 중복이 해제된다. 두현 교차로에서 국도 제3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서동대로)과 교차하여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이 해제된다. 점고개, 걸미고개, 안성CC, 칠장사입구(칠장로), 당진삼거리(용설로)를 지난다. 두교 교차로에서 국도 제17호선(송문주로), 용대길과 교차하고, 걸미삼거리에서 두메호수로와 만난다. 마지막으로 두계교를 지난다.

4. 2.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삼거리에서 국도 제17호선(생거진천로)과 교차하며, 상리사거리, 광혜원삼거리, 만승교사거리를 거쳐 만승교에 이른다.[18] 음성군 대소면에서는 대풍삼거리, 대소공단삼거리, 대소 나들목(대소IC삼거리)에서 중부고속도로와 교차하고, 공단삼거리, 오류사거리, 대소삼거리, 오산사거리를 거친다. 오산사거리에서는 지방도 제513호선과 교차한다.[18] 음성군 금왕읍 오선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21호선(진성로, 무극로)과 교차하고, 오선사거리에서 지방도 제513호선(초금로)과 다시 교차한다. 용계사거리, 금왕대교, 금석사거리를 지나 무극 교차로에서 국도 제37호선(생음대로)과 교차한다.[18] 음성군 생극면에서는 오생삼거리, 오생1 교차로를 지나며, 오생1 교차로에서 국도 제3호선, 지방도 제306호선(중원대로)과 교차한다.[18]

충주시 신니면 구간은 국도 제3호선과 중복되며, 서충주 나들목(대화 교차로)에서 평택제천고속도로와 교차하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지방도 제306호선(용광로)과도 중복된다.[18] 양지교, 송암 교차로를 지나 용원 교차로에서 국도 제3호선(중원대로)과 분기된다. 이후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과 중복되어 오포사거리, 요도천교, 내용천교, 수청사거리, 신청 교차로, 화심교, 화심 교차로, 한덕이삼거리, 도장 교차로를 거쳐 덕고개에 이른다.[18]

충주시 노은면에서는 덕고개삼거리, 노은교, 노은삼거리를 지나며, 노은삼거리에서 지방도 제525호선과 중복된다.[18] 연하1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감노로)과 분기되고, 연하2 교차로, 노은2교, 연하2교, 신효1 교차로를 거친다. 신효1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525호선(솔고개로)과 분기된다.[18] 신효3 교차로, 북충주 나들목(북충주 교차로)에서 평택제천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와 교차하고, 노은초등학교 수룡분교(폐교), 수룡교, 수룡 교차로, 노은고개 교차로를 지나 노은고개에 이른다.[18]

충주시 중앙탑면에서는 상구 교차로, 중구1 교차로, 중구2 교차로, 가금 교차로(충주기업도시 분기점), 대흥교, 하구암천2교, 입석교, 중원 교차로를 거친다. 중원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599호선(반천길)과 중복된다.[18] 하구암천3교, 법현천교, 갈동사거리에서 지방도 제599호선(첨단산업로)과 분기된다.[18] 두련천교, 두련 교차로, 루암 교차로, 소일육교, 소일 교차로, 창동교를 지나 창동 교차로에서 국도 제19호선(서부순환대로)과 교차한다.[18]

충주시 칠금금릉동에서는 탄금대교, 탄금대삼거리, 충주시민운동장, 칠금교, 칠금사거리를 거친다.[18] 충주시 봉방동에서는 한국전력공사 충주지사, 충주시설관리공단, 봉계사거리, 국원고등학교(국원고사거리), 봉계교를 지난다.[18] 삼원로터리에서 국원대로와 교차한다.[18]

충주시 문화동에서는 무학시장, 부민삼거리를 지나 제1로터리에서 예성로, 중앙로와 교차한다.[18] 충주시 성내충인동 제2로터리에서는 사직로와 교차한다.[18] 충주시 용산동에서는 씨씨에스 충북방송, (지곡), 용산교를 거친다.[18]

충주시 지현동에서는 지현삼거리에서 남산로와 교차한다.[18] 충주시 호암직동에서는 충주고등학교, 호암사거리(중원대로, 호암대로)를 지난다.[18] 충주시 달천동에서는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후문, 유주막삼거리, (삼초대입구)를 지나 풍동 교차로에서 국도 제3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6호선(서부순환대로)과 교차한다. 이 구간은 국도 제3, 19, 36호선과 중복된다.[18]

충주시 살미면에서는 노루목다리, 대향산교, 향산삼거리, 세경교, 호음실삼거리, 문산삼거리, 살미삼거리, 세성 교차로를 지나며, 세성 교차로에서 국도 제19호선(괴산IC~살미간 도로), 지방도 제531호선(세성로)과 교차한다. 용천삼거리에서 국도 제3호선(중원대로)과 다시 교차하며, 이 구간은 국도 제3, 36호선과 중복된다. 내사리, 신당1교, 신당2교, 소용교, 신당교, 공이교, 공이삼거리를 지나 월악교에 이른다. 이 구간은 국도 제36호선과 중복된다.[18]

제천시 한수면에서는 탄지삼거리에서 지방도 제597호선(미륵송계로)과 교차하고 탄지교를 지난다.[18] 제천시 덕산면에서는 성천교, 수산3교, 성암 회전교차로를 거친다.[18] 제천시 수산면에서는 수산사거리에서 국도 제36호선(월악로)과 분기되고, (용곡입구)를 지난다.[18]

제천시 청풍면에서는 (서곡입구), 청풍초등학교, 청풍중학교, 청풍면 행정복지센터, 청풍대교, 도화 교차로, (학현입구)를 지나며, (학현입구)에서 지방도 제532호선(학현소야로)과 중복된다.[18] 제천시 금성면에서는 청풍랜드, 청풍리조트, 높은다리, 구룡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532호선(호반로)과 분기된다.[18] 금성면 행정복지센터, 금성보건지소, 월림3교, 월림2교, 월림2교, 남제천 나들목(중앙고속도로) , 양화2교, 양화1교, 양화사거리를 지난다.[18]

제천시 화산동에서는 명지 교차로에서 국도 제5호선, 국도 제38호선(북부로)과 교차하고, 명지초등학교입구 교차로, (강저택지), 사천교를 지난다.[18] 제천시 영서동에서는 영천지하차도, 남당 교차로, 역전 교차로(제천역)에서 의림대로, 내제로와 교차한다.[18]

제천시 화산동 약초시장입구 교차로에서는 숭의로와 교차한다.[18] 제천시 남현동에서는 동현 교차로, 월백교 서단에서 지방도 제522호선(의병대로)과 교차한다.[18] 제천시 교동에서는 교동, 제천운수, 장락삼거리, 장락주공3.4단지앞삼거리, 죽하마을입구 교차로, 제천교통을 지난다.[18]

제천시 의암동에서는 장락역(내토로, 신죽하로), (둔전골), 둔전골안길입구 교차로(송학주천로), 에콜리안제천을 지난다.[18] 제천시 송학면 도화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38호선과 간접 연결되고, 도화리, 개화교, 송한교, 미고개를 지난다.[18]

4. 2. 1. 세부 노선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삼거리에서 국도 제17호선(생거진천로)과 교차하며, 상리사거리, 광혜원삼거리, 만승교사거리를 거쳐 만승교에 이른다.[18] 음성군 대소면에서는 대풍삼거리, 대소공단삼거리, 대소 나들목(대소IC삼거리)에서 중부고속도로와 교차하고, 공단삼거리, 오류사거리, 대소삼거리, 오산사거리를 거친다. 오산사거리에서는 지방도 제513호선과 교차한다.[18] 음성군 금왕읍 오선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21호선(진성로, 무극로)과 교차하고, 오선사거리에서 지방도 제513호선(초금로)과 다시 교차한다. 용계사거리, 금왕대교, 금석사거리를 지나 무극 교차로에서 국도 제37호선(생음대로)과 교차한다.[18] 음성군 생극면에서는 오생삼거리, 오생1 교차로를 지나며, 오생1 교차로에서 국도 제3호선, 지방도 제306호선(중원대로)과 교차한다.[18]

충주시 신니면 구간은 국도 제3호선과 중복되며, 서충주 나들목(대화 교차로)에서 평택제천고속도로와 교차하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지방도 제306호선(용광로)과도 중복된다.[18] 양지교, 송암 교차로를 지나 용원 교차로에서 국도 제3호선(중원대로)과 분기된다. 이후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과 중복되어 오포사거리, 요도천교, 내용천교, 수청사거리, 신청 교차로, 화심교, 화심 교차로, 한덕이삼거리, 도장 교차로를 거쳐 덕고개에 이른다.[18]

충주시 노은면에서는 덕고개삼거리, 노은교, 노은삼거리를 지나며, 노은삼거리에서 지방도 제525호선과 중복된다.[18] 연하1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감노로)과 분기되고, 연하2 교차로, 노은2교, 연하2교, 신효1 교차로를 거친다. 신효1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525호선(솔고개로)과 분기된다.[18] 신효3 교차로, 북충주 나들목(북충주 교차로)에서 평택제천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와 교차하고, 노은초등학교 수룡분교(폐교), 수룡교, 수룡 교차로, 노은고개 교차로를 지나 노은고개에 이른다.[18]

충주시 중앙탑면에서는 상구 교차로, 중구1 교차로, 중구2 교차로, 가금 교차로(충주기업도시 분기점), 대흥교, 하구암천2교, 입석교, 중원 교차로를 거친다. 중원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599호선(반천길)과 중복된다.[18] 하구암천3교, 법현천교, 갈동사거리에서 지방도 제599호선(첨단산업로)과 분기된다.[18] 두련천교, 두련 교차로, 루암 교차로, 소일육교, 소일 교차로, 창동교를 지나 창동 교차로에서 국도 제19호선(서부순환대로)과 교차한다.[18]

충주시 칠금금릉동에서는 탄금대교, 탄금대삼거리, 충주시민운동장, 칠금교, 칠금사거리를 거친다.[18] 충주시 봉방동에서는 한국전력공사 충주지사, 충주시설관리공단, 봉계사거리, 국원고등학교(국원고사거리), 봉계교를 지난다.[18] 삼원로터리에서 국원대로와 교차한다.[18]

충주시 문화동에서는 무학시장, 부민삼거리를 지나 제1로터리에서 예성로, 중앙로와 교차한다.[18] 충주시 성내충인동 제2로터리에서는 사직로와 교차한다.[18] 충주시 용산동에서는 씨씨에스 충북방송, (지곡), 용산교를 거친다.[18]

충주시 지현동에서는 지현삼거리에서 남산로와 교차한다.[18] 충주시 호암직동에서는 충주고등학교, 호암사거리(중원대로, 호암대로)를 지난다.[18] 충주시 달천동에서는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후문, 유주막삼거리, (삼초대입구)를 지나 풍동 교차로에서 국도 제3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6호선(서부순환대로)과 교차한다. 이 구간은 국도 제3, 19, 36호선과 중복된다.[18]

충주시 살미면에서는 노루목다리, 대향산교, 향산삼거리, 세경교, 호음실삼거리, 문산삼거리, 살미삼거리, 세성 교차로를 지나며, 세성 교차로에서 국도 제19호선(괴산IC~살미간 도로), 지방도 제531호선(세성로)과 교차한다. 용천삼거리에서 국도 제3호선(중원대로)과 다시 교차하며, 이 구간은 국도 제3, 36호선과 중복된다. 내사리, 신당1교, 신당2교, 소용교, 신당교, 공이교, 공이삼거리를 지나 월악교에 이른다. 이 구간은 국도 제36호선과 중복된다.[18]

제천시 한수면에서는 탄지삼거리에서 지방도 제597호선(미륵송계로)과 교차하고 탄지교를 지난다.[18] 제천시 덕산면에서는 성천교, 수산3교, 성암 회전교차로를 거친다.[18] 제천시 수산면에서는 수산사거리에서 국도 제36호선(월악로)과 분기되고, (용곡입구)를 지난다.[18]

제천시 청풍면에서는 (서곡입구), 청풍초등학교, 청풍중학교, 청풍면 행정복지센터, 청풍대교, 도화 교차로, (학현입구)를 지나며, (학현입구)에서 지방도 제532호선(학현소야로)과 중복된다.[18] 제천시 금성면에서는 청풍랜드, 청풍리조트, 높은다리, 구룡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532호선(호반로)과 분기된다.[18] 금성면 행정복지센터, 금성보건지소, 월림3교, 월림2교, 월림2교, 남제천 나들목(중앙고속도로) , 양화2교, 양화1교, 양화사거리를 지난다.[18]

제천시 화산동에서는 명지 교차로에서 국도 제5호선, 국도 제38호선(북부로)과 교차하고, 명지초등학교입구 교차로, (강저택지), 사천교를 지난다.[18] 제천시 영서동에서는 영천지하차도, 남당 교차로, 역전 교차로(제천역)에서 의림대로, 내제로와 교차한다.[18]

제천시 화산동 약초시장입구 교차로에서는 숭의로와 교차한다.[18] 제천시 남현동에서는 동현 교차로, 월백교 서단에서 지방도 제522호선(의병대로)과 교차한다.[18] 제천시 교동에서는 교동, 제천운수, 장락삼거리, 장락주공3.4단지앞삼거리, 죽하마을입구 교차로, 제천교통을 지난다.[18]

제천시 의암동에서는 장락역(내토로, 신죽하로), (둔전골), 둔전골안길입구 교차로(송학주천로), 에콜리안제천을 지난다.[18] 제천시 송학면 도화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38호선과 간접 연결되고, 도화리, 개화교, 송한교, 미고개를 지난다.[18]

4. 3. 강원특별자치도

강원특별자치도 구간은 영월군 주천면에서 시작하여 평창군 평창읍에서 끝난다.

이름[18]접속 노선소재지비고
미고개영월군주천면
인도미술박물관
(구 금마초등학교)
신일교
신일사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솔치로)
주천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과 중복
신일교
주천2교
주천사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서강로)
주천로84번길
주천버스정류장주천로
관운2교중선로
판운초등학교(폐교)
영월화석박물관
판운교
마지삼거리국도 제31호선
(원동재로)
(평창강로)
평창군평창읍종점


4. 3. 1. 세부 노선

이름[18]접속 노선소재지비고
미고개영월군주천면
인도미술박물관
(구 금마초등학교)
신일교
신일사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솔치로)
주천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과 중복
신일교
주천2교
주천사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서강로)
주천로84번길
주천버스정류장주천로
관운2교중선로
판운초등학교(폐교)
영월화석박물관
판운교
마지삼거리국도 제31호선
(원동재로)
(평창강로)
평창군평창읍종점


5. 도로명

평택시 포승읍 내기삼거리에서 화성시 우정읍 봉화 교차로까지 구간은 포승향남로이다. 화성시 우정읍 봉화 교차로에서 조암삼거리까지 구간은 기아자동차로이다. 화성시 우정읍 조암삼거리에서 향남읍 발안파출소까지 구간은 3.1만세로이다. 화성시 향남읍 발안파출소에서 발안사거리까지 구간은 평3길이다. 화성시 향남읍 발안사거리에서 오산시 초평동 오산초교삼거리까지 구간은 발안로이다.

오산시 초평동 오산초교삼거리에서 오산시 초평동 오산세교 12단지까지 구간은 초평중앙로이다. 오산시 초평동 오산세교12단지에서 남촌동 남촌오거리까지 구간은 감투로이다. 오산시 초평동 남촌오거리에서 초평동 남촌동다리앞 교차로까지 구간은 성호대로이다. 오산시 남촌동 남촌동다리앞 교차로에서 중앙동 운동장사거리까지 구간은 오산천로이다. 오산시 중앙동 운동장사거리에서 안성시 양성면 난실 교차로까지 구간은 경기동로이다.

안성시 양성면 난실 교차로에서 고삼면 고삼 교차로까지 구간은 안성대로이다. 안성시 고삼면 고삼 교차로에서 가유리까지 구간은 신창길이다. 안성시 고삼면 가유리에서 보개면 서삼삼거리까지 구간은 고삼호수로이다. 안성시 보개면 서삼삼거리에서 천주교공원묘지 교차로까지 구간은 보개원삼로이다. 안성시 보개면 천주교공원묘지 교차로에서 삼죽면 삼죽면사무소까지 구간은 보삼로이다. 안성시 삼죽면 삼죽면사무소에서 용월리까지 구간은 삼죽로이다. 안성시 죽산면 두현리에서 죽산삼거리까지 구간은 죽주로이다. 안성시 죽산면 죽산삼거리에서 두계교까지 구간은 걸미로이다.

5. 1.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내기삼거리에서 화성시 우정읍 봉화 교차로까지 구간은 포승향남로이다. 화성시 우정읍 봉화 교차로에서 조암삼거리까지 구간은 기아자동차로이다. 화성시 우정읍 조암삼거리에서 향남읍 발안파출소까지 구간은 3.1만세로이다. 화성시 향남읍 발안파출소에서 발안사거리까지 구간은 평3길이다. 화성시 향남읍 발안사거리에서 오산시 초평동 오산초교삼거리까지 구간은 발안로이다.

오산시 초평동 오산초교삼거리에서 오산시 초평동 오산세교 12단지까지 구간은 초평중앙로이다. 오산시 초평동 오산세교12단지에서 남촌동 남촌오거리까지 구간은 감투로이다. 오산시 초평동 남촌오거리에서 초평동 남촌동다리앞 교차로까지 구간은 성호대로이다. 오산시 남촌동 남촌동다리앞 교차로에서 중앙동 운동장사거리까지 구간은 오산천로이다. 오산시 중앙동 운동장사거리에서 안성시 양성면 난실 교차로까지 구간은 경기동로이다.

안성시 양성면 난실 교차로에서 고삼면 고삼 교차로까지 구간은 안성대로이다. 안성시 고삼면 고삼 교차로에서 가유리까지 구간은 신창길이다. 안성시 고삼면 가유리에서 보개면 서삼삼거리까지 구간은 고삼호수로이다. 안성시 보개면 서삼삼거리에서 천주교공원묘지 교차로까지 구간은 보개원삼로이다. 안성시 보개면 천주교공원묘지 교차로에서 삼죽면 삼죽면사무소까지 구간은 보삼로이다. 안성시 삼죽면 삼죽면사무소에서 용월리까지 구간은 삼죽로이다. 안성시 죽산면 두현리에서 죽산삼거리까지 구간은 죽주로이다. 안성시 죽산면 죽산삼거리에서 두계교까지 구간은 걸미로이다.

5. 2.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두계교에서 만승교사거리까지 구간은 진광로에 속한다. 진천군 광혜원면 만승교사거리에서 충주시 신니면 오생1 교차로까지 구간은 대금로에 속한다. 충주시 신니면 오생1 교차로에서 용원 교차로까지 구간은 중원대로에 속한다. 충주시 신니면 용원 교차로에서 노은면 노은삼거리까지 구간은 신니~노은간 도로에 속한다. 충주시 노은면 노은삼거리에서 중앙탑면 중구2 교차로까지 구간은 감노로에 속한다. 충주시 중앙탑면 중구2 교차로에서 문화동 부민삼거리까지 구간은 탄금대로에 속한다. 충주시 문화동 부민삼거리에서 성내충인동 제1로터리까지 구간은 중앙로에 속한다. 충주시 성내충인동 제1로터리에서 호암직동 호암사거리까지 구간은 예성로에 속한다. 충주시 호암직동 호암사거리에서 살미면 용천삼거리까지 구간은 중원대로에 속한다. 충주시 살미면 용천삼거리에서 제천시 수산면 수산사거리까지 구간은 월악로에 속한다. 제천시 수산면 수산사거리에서 영서동 남당 교차로까지 구간은 청풍호로에 속한다. 제천시 영서동 남당 교차로에서 의암동 장락역까지 구간은 내토로에 속한다. 제천시 의암동 장락역에서 둔전골안길입구 교차로까지 구간은 둔전로에 속한다. 제천시 의암동 둔전골안길입구 교차로에서 송학면 미고개까지 구간은 송학주천로에 속한다.

5. 3. 강원특별자치도

강원특별자치도 구간은 영월군 주천면 미고개에서 평창군 평창읍 마지삼거리를 잇는 구간으로, 송학주천로와 평창강로로 구성된다. 관운2교 동단에서 마지삼거리까지 구간은 평창강로에 해당한다.

참조

[1] 법령 대통령령 제15124호 국가지원지방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19
[2] 법령 대통령령 제17349호 공포, 국가지원지방도 노선 지정령
[3] 간행물 충청북도공고 제2001-426호 http://cblib.cb21.ne[...] 2001-12-28
[4] 간행물 충청북도공고 제2003-296호 http://cblib.cb21.ne[...] 2003-07-18
[5] 간행물 충청북도공고 제2004-50호 http://cblib.cb21.ne[...] 2004-02-13
[6] 간행물 경기도공고 제2006-369호 http://www.gg.go.kr/[...] 2006-05-15
[7] 간행물 충청북도공고 제2008-424호 http://cblib.cb21.ne[...] 2008-06-20
[8] 법령 대통령령 제21125호, 국가지원지방도 노선 지정령
[9] 간행물 충청북도고시 제2008-293호 http://cblib.cb21.ne[...] 2008-12-26
[10] 간행물 충청북도고시 제2011-118호 http://cblib.cb21.ne[...] 2011-05-20
[11] 간행물 충청북도공고 제2012-353호 http://cblib.cb21.ne[...] 2012-04-20
[12] 간행물 충청북도공고 제2013-744호 http://cblib.cb21.ne[...] 2013-08-09
[13] 간행물 충청북도공고 제2013-837호 http://cblib.cb21.ne[...] 2013-09-06
[14] 간행물 충청북도공고 제2014-318호 http://ebook.cb21.ne[...] 2014-03-28
[15] 간행물 충청북도 공고 제2014-712호 http://cblib.cb21.ne[...] 2014-07-18
[16] 간행물 충청북도 공고 제2017-1673호 http://cblib.chungbu[...] 2017-09-29
[17] 간행물 충청북도공고 제2018-941호 http://www.chungbuk.[...] 2018-08-10
[18]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