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경상북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경상북도 지역은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75.62%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승리했다. 박정희 후보는 경상북도 내 모든 지역에서 승리했으며, 특히 대구시와 고향인 선산군에서 높은 지지를 받았다. 신민당 김대중 후보는 23.32%의 득표율로 2위를 기록했으며, 대구시와 안동시에서 30% 이상의 득표율을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전라북도
    1971년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전라북도 유권자들은 높은 투표율을 보였으며, 김대중 후보가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1위를 차지했고, 이는 지역주의와 개발 격차에 대한 불만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전라남도
    1971년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대중 후보는 전라남도에서 87.4%의 압도적인 지지율로 승리했으며, 박정희 후보는 11.9%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경상북도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경상북도
    1967년 5월 3일, 경상북도에서 치러진 제6대 대통령 선거에서 박정희 후보는 64.01%의 득표율로 승리했으며, 윤보선 후보는 26.40%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경상북도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경상북도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경상북도 지역 개표 결과,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가 48.62%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고,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21.73%로 2위를 기록했다.
  •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민주공화당 후보 선출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민주공화당 후보 선출은 1971년 민주공화당 전당대회에서 박정희 대통령을 제7대 대통령 후보로 만장일치 추대하고, 통일과 경제 발전을 약속한 사건이다.
  •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전라북도
    1971년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전라북도 유권자들은 높은 투표율을 보였으며, 김대중 후보가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1위를 차지했고, 이는 지역주의와 개발 격차에 대한 불만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경상북도
선거 정보
선거명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경상북도
국가대한민국
유형대통령
정당명no
정당색yes
이전 선거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경상북도
이전 선거 연도1967년
선거일1971년 4월 27일
후보 1
후보박정희
정당민주공화당
득표수1,333,051
득표율75.62%
후보 2
후보김대중
정당신민당
득표수411,116
득표율23.32%
기타 정보
직책대통령
선거 전박정희
선거 전 정당민주공화당
선거 후박정희
선거 후 정당민주공화당

2. 경상북도 지역별 개표 결과

지역박정희김대중
대구시 중구35,527 (67.17%)17,100 (32.33%)
대구시 동구70,147 (66.72%)34,282 (32.60%)
대구시 남구57,783 (65.48%)29,975 (33.97%)
대구시 서구60,965 (66.40%)30,113 (32.79%)
대구시 북구34,588 (71.65%)13,402 (27.76%)
포항시23,434 (73.23%)8,366 (26.14%)
울릉군7,577 (81.06%)1,698 (18.16%)
영일군69,037 (78.37%)18,281 (20.75%)
김천시17,001 (69.65%)7,253 (29.71%)
금릉군45,995 (83.69%)8,510 (15.48%)
경주시28,730 (77.84%)7,841 (21.24%)
월성군60,122 (79.47%)14,390 (19.02%)
달성군41,578 (77.46%)11,460 (21.35%)
고령군24,020 (84.37%)4,254 (14.94%)
선산군40,777 (90.84%)3,832 (8.53%)
군위군21,705 (79.33%)5,329 (19.47%)
의성군58,547 (79.47%)14,204 (19.28%)
안동시20,116 (68.62%)8,910 (30.39%)
안동군48,557 (74.79%)14,950 (23.02%)
영덕군37,591 (79.60%)9,263 (19.61%)
청송군26,342 (82.21%)5,422 (16.92%)
울진군31,557 (71.80%)11,836 (26.93%)
영양군19,058 (77.11%)5,250 (21.24%)
영천군51,874 (71.03%)20,236 (27.71%)
경산군51,314 (78.15%)13,783 (20.99%)
청도군42,826 (88.25%)5,197 (10.71%)
성주군32,396 (77.43%)8,906 (21.28%)
칠곡군34,489 (77.17%)9,702 (21.71%)
상주군70,545 (78.03%)18,622 (20.59%)
문경군45,827 (76.06%)13,655 (22.66%)
예천군41,637 (75.60%)12,467 (22.63%)
영주군44,527 (73.68%)15,060 (24.92%)
봉화군36,862 (81.81%)7,567 (16.79%)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경상북도 내 전 지역에서 승리했다. 박정희 후보는 경상북도의 최대 도시인 대구시에서 전 지역 60%가 넘는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다른 지역들 역시 대부분 7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는 압도적인 모습을 보였다. 특히, 박정희 후보의 고향인 선산군에서는 90%가 넘는 득표율을 기록했다.

신민당 김대중 후보는 대구시, 안동시 지역에서만 3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을 뿐 다른 지역에서는 10~20%대의 득표율에 머물렀다.

2. 1. 대구시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당시 경상북도 대구시에서는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모든 구에서 60%가 넘는 득표율을 기록하며 압승하였다. 신민당 김대중 후보는 대구시 내 모든 구에서 3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지역박정희김대중
중구35,527 (67.17%)17,100 (32.33%)
동구70,147 (66.72%)34,282 (32.60%)
남구57,783 (65.48%)29,975 (33.97%)
서구60,965 (66.40%)30,113 (32.79%)
북구34,588 (71.65%)13,402 (27.76%)


2. 1. 1. 중구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당시 경상북도 대구시 중구에서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35,527표(67.17%)를 얻어 17,100표(32.33%)를 얻은 신민당 김대중 후보를 누르고 1위를 차지하였다.

다른 후보들의 경우 국민당 박기출 후보는 130표(0.24%), 정의당 진복기 후보는 94표(0.17%), 자민당 이종윤 후보는 34표(0.06%)를 얻는 데 그쳤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정희민주공화당35,52767.17%
김대중신민당17,10032.33%
박기출국민당1300.24%
진복기정의당940.17%
이종윤자민당340.06%
합계52,885


2. 1. 2. 동구

박정희김대중
70,147 (66.72%)34,282 (32.60%)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대구시 동구에서 66.72%의 득표율로 32.60%를 얻은 신민당 김대중 후보를 제치고 승리하였다. 박정희 후보는 경상북도 내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동구에서도 높은 지지를 받았다.

2. 1. 3. 남구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구시 남구에서는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65.48%(57,783표)를 득표하여, 33.97%(29,975표)를 얻은 신민당 김대중 후보를 제치고 승리하였다. 박정희 후보는 경상북도 내 다른 지역에서 더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지만, 김대중 후보는 대구시의 다른 구에 비해 남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선전하였다.

2. 1. 4. 서구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당시 대구시 서구 지역에서는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60,965표(66.40%)를 얻어 30,113표(32.79%)를 얻은 신민당 김대중 후보를 누르고 승리하였다.

2. 1. 5. 북구

박정희김대중
34,588 (71.65%)13,402 (27.76%)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대구시 북구에서 71.65%의 득표율로, 27.76%를 얻은 신민당 김대중 후보를 크게 앞섰다. 박정희 후보는 경상북도 내 다른 지역에서도 높은 득표율을 보이며 압승했다.

2. 2. 포항시, 울릉군, 영일군

(73.23%)8,366
(26.14%)울릉군7,577
(81.06%)1,698
(18.16%)영일군69,037
(78.37%)18,281
(20.75%)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세 지역 모두에서 신민당 김대중 후보를 큰 표차로 앞서며 승리했다.

2. 2. 1. 포항시

제7대 대통령 선거 포항시 득표 결과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정희민주공화당23,43473.23%
김대중신민당8,36626.14%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포항시에서 73.23%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26.14%를 얻은 신민당 김대중 후보를 크게 앞섰다.

2. 2. 2. 울릉군

후보득표수득표율
박정희7,57781.06%
김대중1,69818.16%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81.06%의 득표율로 울릉군에서 승리하였다. 신민당 김대중 후보는 18.16%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박정희 후보에게 크게 뒤졌다.

2. 2. 3. 영일군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영일군 지역은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78.37%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20.75%를 얻은 신민당 김대중 후보를 크게 앞섰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정희민주공화당69,037표78.37%
김대중신민당18,281표20.75%


2. 3. 김천시, 금릉군, 경주시, 월성군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경상북도 김천시, 금릉군, 경주시, 월성군에서 모두 승리했다. 특히 금릉군에서는 83.69%의 득표율로 압승을 거두었다. 신민당 김대중 후보는 네 지역 모두에서 박정희 후보에게 크게 뒤졌다.

지역박정희 후보김대중 후보
김천시17,001표 (69.65%)7,253표 (29.71%)
금릉군45,995표 (83.69%)8,510표 (15.48%)
경주시28,730표 (77.84%)7,841표 (21.24%)
월성군60,122표 (79.47%)14,390표 (19.02%)


2. 3. 1. 김천시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당시 김천시에서는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69.65%의 득표율로 승리하였다. 신민당 김대중 후보는 29.71%를 득표하여 박정희 후보에게 크게 뒤졌다.

후보득표수득표율
박정희17,00169.65%
김대중7,25329.71%


2. 3. 2. 금릉군

(83.69%)8,510
(15.48%)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83.69%의 득표율로 신민당 김대중 후보를 누르고 경상북도 금릉군에서 승리하였다.

2. 3. 3. 경주시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경상북도 경주시에서는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77.84%의 득표율로 승리하였다. 신민당 김대중 후보는 21.24%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정희민주공화당28,73077.84%
김대중신민당7,84121.24%


2. 3. 4. 월성군

후보득표수득표율
박정희60,122표79.47%
김대중14,390표19.02%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79.47%의 득표율로 신민당 김대중 후보를 누르고 월성군에서 승리하였다.

2. 4. 달성군, 고령군, 선산군, 군위군

지역박정희김대중
달성군41,578 (77.46%)11,460 (21.35%)
고령군24,020 (84.37%)4,254 (14.94%)
선산군40,777 (90.84%)3,832 (8.53%)
군위군21,705 (79.33%)5,329 (19.47%)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달성군, 고령군, 군위군에서 77~84%대의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압승했다. 특히 박정희 후보의 고향인 선산군에서는 90%가 넘는 득표율을 기록했다. 신민당 김대중 후보는 이들 지역에서 모두 22% 미만의 득표율에 그치며 고전했다.

2. 4. 1. 달성군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달성군 지역은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41,578표(77.46%)를 득표하여, 11,460표(21.35%)를 득표한 신민당 김대중 후보를 제치고 1위를 차지하였다.

2. 4. 2. 고령군

박정희김대중
24,020 (84.37%)4,254 (14.94%)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고령군에서 84.37%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14.94%에 그친 신민당 김대중 후보를 크게 앞섰다. 이는 박정희 후보가 경상북도 내 다른 지역에서 보여준 압도적인 지지세의 연장선으로 해석된다.

2. 4. 3. 선산군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박정희 후보는 고향인 선산군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박정희 후보는 90.84%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김대중 후보(8.53%)를 큰 차이로 앞섰다. 이러한 결과는 박정희 후보의 고향이라는 지역적 특성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선산군 결과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정희민주공화당40,77790.84%
김대중신민당3,8328.53%
진복기정의당--
박기출국민당--
이종윤자민당--


2. 4. 4. 군위군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정희민주공화당21,70579.33%
김대중신민당5,32919.47%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당시 군위군에서는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79.33%의 득표율로 신민당 김대중 후보를 누르고 승리하였다.

2. 5. 의성군, 안동시, 안동군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의성군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79.47%의 득표율로 신민당 김대중 후보(19.28%)를 크게 앞섰다. 안동시에서는 박정희 후보 68.62%, 김대중 후보 30.39%였으며, 안동군에서는 박정희 후보 74.79%, 김대중 후보 23.02%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2. 5. 1. 의성군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당시 의성군에서는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58,547표(79.47%)를 얻어, 14,204표(19.28%)를 얻은 신민당 김대중 후보를 제치고 승리하였다.

2. 5. 2. 안동시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당시 안동시에서는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68.62%의 득표율로 승리하였다. 신민당 김대중 후보는 30.39%를 득표하여, 경상북도 내 다른 지역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선전하였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정희민주공화당20,11668.62%
김대중신민당8,91030.39%


2. 5. 3. 안동군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당시 안동군에서는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74.79%의 득표율로 승리하였다. 신민당 김대중 후보는 23.02%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정희민주공화당48,557표74.79%
김대중신민당14,950표23.02%
진복기정의당--
박기출국민당--
이종윤자민당--


2. 6. 영덕군, 청송군, 울진군, 영양군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영덕군, 청송군, 울진군, 영양군에서 모두 승리했다.

지역박정희김대중
영덕군79.60%19.61%
청송군82.21%16.92%
울진군71.80%26.93%
영양군77.11%21.24%



신민당 김대중 후보는 울진군에서 26.93%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모두 20% 미만의 득표율에 그쳤다. 각 군별 득표수는 위의 표와 같다.

2. 6. 1. 영덕군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영덕군에서 37,591표(79.60%)를 얻어 9,263표(19.61%)를 얻은 신민당 김대중 후보를 제치고 승리하였다. 박정희 후보는 경상북도 내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영덕군에서도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2. 6. 2. 청송군

(82.21%)5,422
(16.92%)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82.21%의 득표율로 청송군에서 압승을 거두었다. 신민당 김대중 후보는 16.92%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크게 뒤졌다.

2. 6. 3. 울진군

박정희김대중
31,557 (71.80%)11,836 (26.93%)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71.80%의 득표율로 울진군에서 승리하였다. 신민당 김대중 후보는 26.93%의 득표율을 기록하였는데, 이는 경상북도 내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낮은 득표율이다.

2. 6. 4. 영양군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당시 영양군에서는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77.11%의 득표율로, 21.24%에 그친 신민당 김대중 후보를 제치고 승리하였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정희민주공화당19,058표77.11%
김대중신민당5,250표21.24%


2. 7. 영천군, 경산군, 청도군, 성주군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경상북도 영천군(현 영천시), 경산군, 청도군, 성주군에서 압도적인 득표율로 승리했다. 신민당 김대중 후보는 이들 지역에서 모두 10~20%대의 낮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고전했다.

지역박정희김대중
영천군51,874표 (71.03%)20,236표 (27.71%)
경산군51,314표 (78.15%)13,783표 (20.99%)
청도군42,826표 (88.25%)5,197표 (10.71%)
성주군32,396표 (77.43%)8,906표 (21.28%)


2. 7. 1. 영천군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영천군 지역에서는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71.03%의 득표율로 압승을 거두었다. 신민당 김대중 후보는 27.71%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상대적으로 저조한 성적을 기록하였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정희민주공화당51,87471.03%
김대중신민당20,23627.71%


2. 7. 2. 경산군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경상북도 경산군 지역에서는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51,314표(78.15%)를 얻어, 13,783표(20.99%)를 획득한 신민당 김대중 후보를 크게 이겼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정희민주공화당51,31478.15%
김대중신민당13,78320.99%


2. 7. 3. 청도군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경상북도에서 75.62%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압승을 거두었다. 이로써 박정희 후보는 경상북도에서 치른 세 번의 대선에서 모두 승리하였다. 반면, 신민당 김대중 후보는 23.32%의 득표율로 2위에 그치며 고전했다.

2. 7. 4. 성주군

박정희김대중
32,396 (77.43%)8,906 (21.28%)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77.43%의 득표율로 신민당 김대중 후보를 누르고 경상북도 성주군에서 승리하였다.

2. 8. 칠곡군, 상주군, 문경군, 예천군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칠곡군, 상주군, 문경군, 예천군에서 모두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박정희 후보는 이들 지역에서 75%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한 반면, 신민당 김대중 후보는 20%대의 득표율에 머물렀다.

2. 8. 1. 칠곡군

박정희김대중
34,489 (77.17%)9,702 (21.71%)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칠곡군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77.17%의 득표율로 신민당 김대중 후보(21.71%)를 크게 앞섰다.

2. 8. 2. 상주군

제7대 대통령 선거 당시 상주군에서는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78.03%의 득표율로, 20.59%를 얻은 신민당 김대중 후보를 크게 앞섰다. 박정희 후보는 70,545표, 김대중 후보는 18,622표를 얻었다. 이는 박정희 후보가 경상북도 전 지역에서 압승을 거둔 결과와 일치한다.

2. 8. 3. 문경군

박정희김대중
45,827표 (76.06%)13,655표 (22.66%)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문경군에서 76.06%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22.66%를 얻은 신민당 김대중 후보를 크게 앞섰다.

2. 8. 4. 예천군

제7대 대통령 선거 예천군 지역에서는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41,637표(75.60%)를 얻어, 12,467표(22.63%)를 획득한 신민당 김대중 후보를 크게 앞섰다. 박정희 후보는 경상북도 전 지역에서 승리했으며, 예천군에서도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2. 9. 영주군, 봉화군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영주군과 봉화군에서 신민당 김대중 후보를 크게 앞섰다.

지역박정희김대중
영주군44,527 (73.68%)15,060 (24.92%)
봉화군36,862 (81.81%)7,567 (16.79%)


2. 9. 1. 영주군

제7대 대통령 선거 당시 영주군에서는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73.68%의 득표율로, 24.92%를 얻은 신민당 김대중 후보를 크게 앞섰다. 박정희 후보는 44,527표, 김대중 후보는 15,060표를 얻었다.

2. 9. 2. 봉화군

제7대 대통령 선거 당시 봉화군에서는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81.81%의 득표율로 신민당 김대중 후보(16.79%)를 크게 앞섰다. 박정희 후보는 36,862표, 김대중 후보는 7,567표를 획득했다. 이는 박정희 후보가 경상북도 내 다른 지역에서 보여준 압도적인 지지세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3. 경상북도 지역별 결과 분석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는 경상북도 내 모든 지역에서 승리했다. 특히 대구시 모든 구에서 60% 이상, 대부분의 군 지역에서 7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박정희 후보의 고향인 선산군에서는 90%가 넘는 득표율을 기록했다.

신민당 김대중 후보는 대구시와 안동시에서 3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상대적으로 선전했지만, 나머지 지역에서는 10~20%대의 낮은 득표율에 그쳤다.

경상북도 지역별 박정희, 김대중 후보 득표율
지역박정희김대중
대구시 중구67.17%32.33%
대구시 동구66.72%32.60%
대구시 남구65.48%33.97%
대구시 서구66.40%32.79%
대구시 북구71.65%27.76%
포항시73.23%26.14%
울릉군81.06%18.16%
영일군78.37%20.75%
김천시69.65%29.71%
금릉군83.69%15.48%
경주시77.84%21.24%
월성군79.47%19.02%
달성군77.46%21.35%
고령군84.37%14.94%
선산군90.84%8.53%
군위군79.33%19.47%
의성군79.47%19.28%
안동시68.62%30.39%
안동군74.79%23.02%
영덕군79.60%19.61%
청송군82.21%16.92%
울진군71.80%26.93%
영양군77.11%21.24%
영천군71.03%27.71%
경산군78.15%20.99%
청도군88.25%10.71%
성주군77.43%21.28%
칠곡군77.17%21.71%
상주군78.03%20.59%
문경군76.06%22.66%
예천군75.60%22.63%
영주군73.68%24.92%
봉화군81.81%16.7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