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라우치 히사이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라우치 히사이치는 일본 제국의 군인으로, 육군 원수까지 진급했다. 도쿄부 출신으로 데라우치 마사타케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러일 전쟁에 참전했다. 육군 대신, 교육총감을 역임했으며,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서 주요 지휘관으로 활약했다. 동남아시아 정복을 이끌었으며, 1943년 원수로 진급했다. 1945년 뇌경색으로 쓰러진 후 루이 마운트배튼 제독에게 항복, 종전 후 포로 수용소에서 사망했다. 버마-시암 철도 노동자 학대 및 연합군 전쟁 포로 학살 명령 등 전쟁 범죄 혐의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내각총리대신의 자녀 - 오부치 유코
    오부치 유코는 자유민주당 소속 중의원 의원으로, 아버지 오부치 게이조의 딸이며, 와세다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경제산업대신을 역임했으나 정치자금 오용 의혹으로 사임했다.
  • 일본 내각총리대신의 자녀 - 고이즈미 신지로
    고이즈미 신지로는 전 총리 고이즈미 준이치로의 아들이자 일본 정치인으로, 중의원 의원, 자유민주당 주요 직책, 환경대신을 역임하며 활동했고 신자유주의적 경제관과 환경·젠더 문제에 대한 입장을 보였으며, 2024년 자민당 총재 선거에 출마했다.
  • 일본의 육군대신 - 도조 히데키
    도조 히데키는 일본 제국 육군의 군인으로 육군 대신, 참모총장,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진주만 공격을 명령하여 태평양 전쟁을 일으켰고, 전범으로 사형을 선고받았다.
  • 일본의 육군대신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 일본의 원수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 일본의 원수 - 야마가타 아리토모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조슈번 출신의 사무라이 아들로, 일본 육군의 창설과 근대화에 기여하고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을 지휘했으며, 군국주의적 가치 강조와 제국주의적 팽창 정책을 추진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이다.
데라우치 히사이치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데라우치 히사이치
본명데라우치 히사이치 (寺内 寿一)
로마자 표기Terauchi Hisaichi
출생1879년 8월 8일
출생지도쿄 부, 일본
사망1946년 6월 12일 (향년 66세)
사망 장소조호르바루, 렌감, 영국령 말라야
안장 장소싱가포르 일본인 묘지 공원
학력육군사관학교
모교육군대학교
작위백작
경력
소속일본 제국 육군
복무 기간1899년 ~ 1945년
최종 계급원수
주요 지휘제5사단
제4사단
타이완군
북지나 방면군
남방군
주요 참전러일 전쟁
중일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수상욱일대수장
금치훈장
정치 경력
직책육군대신
내각히로타 내각
임기 시작1936년 3월 9일
임기 종료1937년 2월 2일
이전가와시마 요시유키
이후나카무라 고타로
가족 관계
아버지데라우치 마사타케
형제자매데라우치 다케오

2. 생애

데라우치 히사이치는 도쿄부 출신으로 데라우치 마사타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15][16] 1926년 9월 히로시마현에서 일어난 호우 재해로 인해 산요 본선 특급열차 탈선 사고가 발생했지만, 데라우치는 부상을 입지 않았다.

1927년 조선군 참모장이 되었다. 1929년 8월 1일 중장으로 진급하였고, 1930년 8월 1일 제5사단장, 1932년 1월 9일 제4사단장이 되었다. 1933년 고스톱 사건을 겪었다.

1934년 8월 1일 타이완군 사령관이 되었다. 1935년 10월 30일 대장으로 진급하였고, 황도파와 연루되기도 하였다. 1936년 3월 9일 히로타 내각육군대신에 임명되었다. 2.26 사건 이후 일본 국회와 군 정치 세력 간 갈등이 심화되었다.[17] 도조 내각 와해 후 후계 내각총리대신으로 주목받기도 했으나, 남방군 총사령관 역할로 전선에서 벗어날 수 없어 조선 총독인 고이소 구니아키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1945년 9월 30일, 루이 마운트배튼 제독에게 항복하였고, 전쟁 후 British Malaya영어 조호르바루 Renggam영어 포로 수용소에서 뇌경색으로 사망하였다. 일본인 묘지 공원에 묻혔다.

연도내용
1879년8월 8일, 도쿄부에서 출생.
1882년부친프랑스 유학으로 야마구치현 요시키군 미야노촌(현 야마구치시)으로 이주. 3년 후 부친 귀국으로 도쿄로 돌아감. 고지마치 유치원을 거쳐, 1888년 고등사범학교 부속학교 소학과(현 쓰쿠바 대학 부속 소학교)에 입학.
1897년고등사범학교 부속 보통중학교(현 쓰쿠바대학 부속 중학교·고등학교) 졸업
1899년육군사관학교 (11기) 졸업
1900년육군 소위 임관
1902년육군 중위 임관
1903년근위보병 제2연대 부속
1904년러일 전쟁 참전, 육군 대위 임관
1909년육군대학교 (21기) 졸업
1911년육군 소령 임관
1912년오스트리아 대사관 부속 무관 보좌관
1914년일본 육군성군무국(독일 주재)
1916년육군 중령 임관
1917년보병 제2연대 부속
1918년참모본부 직원
1919년육군 대령 임관, 백작 습작
1920년근위보병 제3연대장
1923년근위사단참모장
1924년소장 임관
1926년제1사단 사령부 부속, 산요 본선 특급 열차 탈선 사고 발생
1927년조선군참모장
1929년중장 임관, 독립수비대 사령관
1930년제5사단장
1932년제4사단장
1933년고스톱 사건
1934년대만군사령관
1935년대장 임관
1936년육군대신(히로타 내각)
1937년정우회 하마다 구니마쓰와 할복 문답, 교육총감, 북지나 방면군 사령관
1941년남방군 총사령관
1943년원수
1945년2차 세계대전 종전. 항복 문서 조인식 불참(이타가키 세이시로 대리 참석).
1946년말레이시아 렝검에서 구류 중 뇌일혈로 사망.


2. 1. 초기 군 경력

1879년 8월 8일 도쿄부에서 데라우치 마사타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15][16] 1882년 부친이 프랑스 제3공화국으로 유학을 가게 되면서 야마구치현 요시키군 미야노촌(지금의 야마구치시)으로 이사하여 백모와 함께 살았다. 1885년 부친이 귀국하여 도쿄로 돌아가 고지마치에서 유치원을 다녔고, 1888년 고등사범학교 부속 학교 소학과(지금의 쓰쿠바 대학 부속 소학교)에 입학하였다. 1899년 11월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11기로 졸업하고, 1900년 6월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1902년 11월 육군 중위로 진급하고 1903년 7월 1일 근위보병 제2연대로 전근, 8개월 뒤 러일 전쟁에 참전하여 6개월 뒤인 9월 16일 육군 대위로 진급하였다. 전후 데라우치는 일본 육군대학교로 돌아와 1909년에 21기로 졸업하였다. 1911년 10월 18일 육군 소령으로 진급, 1912년 7월 1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대사관부무관보좌관이 되었으며 1914년 7월 1일 일본 육군성 군무국 소속 독일 제국 주재무관을 지냈다.

1916년 11월 15일 육군 중령으로 진급, 1917년 9월 1일 보병 제2연대로 전근, 1년 뒤 참모본부로 전근, 1918년 7월 25일 육군 대령으로 진급하였다. 부친 사후 1919년 12월 백작위를 습작하였고, 이듬해 9월 1일 근위보병 제3연대장에 임명되었다. 1923년 9월 1일 근위사단 참모장에 임명되었으며 1924년 2월 4일 소장으로 진급하였다.

2. 2. 장성 시절

데라우치 히사이치는 도쿄부 출신으로 데라우치 마사타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16] 1899년 11월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11기로 졸업하고, 이듬해인 1900년 6월 육군 소위에 임관했다. 1902년 11월 육군 중위로 진급하고 1903년 7월 1일 근위보병 제2연대로 전근, 8개월 뒤 러일 전쟁에 참전하여 6개월 뒤인 9월 16일 육군 대위로 진급했다. 전후 일본 육군대학교로 돌아와 1909년에 21기로 졸업했다. 2년 뒤 10월 18일 육군 소령으로 진급, 1912년 7월 1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대사관부무관보좌관이 되었으며 1914년 7월 1일 일본 육군성 군무국 소속 독일 제국 주재무관을 지냈다.

1916년 11월 15일 육군 중령으로 진급, 1917년 9월 1일 보병 제2연대로 전근, 1년 뒤 참모본부로 전근, 1918년 7월 25일 육군 대령으로 진급했다. 부친 사후 1919년 12월 백작위를 습작하였고, 이듬해 9월 1일 근위보병 제3연대장에 임명되었다. 1923년 9월 1일 근위사단 참모장에 임명되었으며 1924년 2월 4일 소장으로 진급하였다. 1926년 9월 히로시마현에서 일어난 호우 재해로 인해 산요 본선 특급열차 탈선 사고가 일어나 34명이 사망했지만, 데라우치는 부상을 입지 않았다.

1927년 당시 조선에 주둔 중이었던 조선군 참모장이 되었다. 1929년 8월 1일 중장으로 진급하였고 1930년 8월 1일 제5사단장, 1932년 1월 9일 제4사단장이 되어 지휘를 맡게 되었다. 1933년 고스톱 사건을 겪었다.

1934년 8월 1일 타이완군 사령관이 되었다. 1935년 10월 30일 대장으로 진급하였고, 군의 정치 파벌 황도파와 연루되기도 하였다. 1936년 3월 9일 히로타 내각육군대신에 임명되었다. 2.26 사건 후에 일본 국회의 민간 정치 세력과 군 정치 세력간에 갈등이 심화되었다.[17] 데라우치는 나중에 도조 내각 와해 후 후계 내각총리대신으로 주목받기도 했는데, 남방군 총사령관의 역할로 전선에서 벗어날 수 없는 바람에 조선 총독인 고이소 구니아키가 빈자리를 차지하였다.

1937년 2월 교육총감에 임명되었지만 중일 전쟁 발발 후인 동년 8월 북지나 방면군 사령관으로서의 지휘 임무를 위해 중국으로 돌아갔다. 그는 1938년에 일급 훈장인 욱일장을 수상했으며, 1941년 11월 6일에는 남방군 총사령관으로서의 지휘를 위해 이동하였다. 그리고 그 후에는 태평양 전쟁을 위하여 야마모토 이소로쿠와 함께 전쟁 계획을 고안하였다.

데라우치는 동남아시아 정복을 이끈 후, 싱가포르에 자신의 본부를 설치하였고 1943년 6월 6일, 육군 원수로 진급하였다. 1944년 5월, 그는 필리핀으로 이동하였으며, 이 지역이 위험에 처했을 때에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사이공으로 후퇴하였다. 그는 버마에서 일본의 패배를 전해 들었고, 1945년 5월 10일뇌경색을 겪었다.

2. 3.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

1937년 2월, 데라우치는 군에서 세 번째로 명예로운 직위인 군사 훈련 총감에 임명되었다. 중일 전쟁 발발과 함께 데라우치는 전투 임무를 맡아 1937년 8월에 중국 주둔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938년욱일대수장을 받았다.[17]

269x269px


1941년 11월, 데라우치는 남방군 사령관으로 전출되었고, 곧 태평양 전쟁을 위해 야마모토 이소로쿠 제독과 전쟁 계획을 조율하기 시작했다. 동남아시아 정복을 이끈 후 데라우치는 싱가포르에 본부를 설치했다. 그는 1942년 3월에 금계훈장 1등을 받았다. 1943년 6월 6일에 원수로 진급했고, 1944년 5월에 필리핀으로 옮겼다. 이 지역이 연합군의 공격 위협에 놓이자, 그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사이공으로 후퇴했다. 일본이 버마를 잃었다는 소식을 들은 직후인 1945년 5월 10일뇌졸중을 앓았다.[17]

260x260px


태평양 전쟁이 막바지에 이르자, 영국 정보 연락 장교인 리처드 홀브룩 맥그리거 소령이 버마의 마운트배튼 백작 루이 제독에 의해 사이공으로 파견되어 데라우치 백작이 실제로 병원에 입원해 있으며, 휴전 조건을 직접 논의하기 위해 RAF 밍갈라돈 비행장으로 갈 수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 대신, 동남아시아에 남아 있던 68만 명의 일본 군인들은 1945년 9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이타가키 세이시로 장군에 의해 그의 대리로서 항복했다. 데라우치는 1945년 11월 30일 사이공에서 마운트배튼에게 직접 항복했다. 1946년 6월 12일, 그는 포로 수용소로 이송되는 동안 영국령 말라야의 조호르 바루인 렝감에서 또 다른 뇌졸중을 앓고 사망했다. 그는 싱가포르의 일본인 묘지 공원에 묻혔다.[17]

320x320px

2. 4. 전쟁 범죄

데라우치 히사이치는 태평양 전쟁 개전 당시 남방군 사령관을 맡아 필리핀인들에게 관대했던 혼마 마사하루인도네시아 독립 운동에 관대했던 이마무라 히토시를 비판했다. 이러한 태도는 혼마의 해임과 퇴직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데라우치는 군대가 정치에 관여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지만, 이는 정치인들이 군대에 간섭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미였을 것이다. 그는 냉혹한 일본군 장교의 전형이었으며, 미국인과 동료들 모두 그를 높이 평가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참모들은 부유한 그가 검소하게 생활하는 모습에 감명을 받았다. 야마시타 도모유키는 그의 일기에 "… 그 빌어먹을 데라우치는 사이공에서 호화로운 생활을 하며, 편안한 침대에서 자고, 맛있는 음식을 먹고, 장기를 둔다"라고 썼다.

데라우치의 건강이 좋지 않아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항복식에 참석할 수 없다는 소식을 듣자, 마운트배튼은 자신의 의사를 보내 데라우치를 진찰하게 했다. 의사는 그의 허약한 건강 상태를 확인했고, 마운트배튼은 1946년 3월 그를 말라야의 방갈로로 이송했다. 1946년 6월 11일, 데라우치는 일본의 전쟁 범죄를 연합국에 폭로하겠다고 위협한 헌병대 중령의 보고에 분노하여 두 번째 뇌졸중을 겪고 다음 날 아침 일찍 사망했다. 그 결과, 그는 버마-시암 철도 노동자들에 대한 학대와 일본이 침공당할 경우 자신의 지휘 구역 내 모든 연합군 전쟁 포로를 학살하라는 명령에 대한 책임을 포함한 전쟁 범죄에 대해 재판을 받지 않았다.

3. 평가 및 논란

데라우치 히사이치는 주변 사람들을 잘 챙겨 육군 내에서 인기가 있었지만, 어린 시절 동급생을 폭행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나가이 가후와는 동창이었으나, 연애 지상주의를 추구했던 나가이를 폭행하기도 했다.[6]

도조 히데키와는 사이가 좋지 않았는데, 마쓰마에 시게요시가 징벌 소집되었을 때 데라우치가 그를 사실상 정장 차림으로 군정 고문으로 일하도록 배려했다는 일화가 있다. 하지만 마쓰마에가 남방으로 보내진 것은 도조 실각 이후였다는 점에서, 이 일화의 진위 여부는 불분명하다.

전시 중에는 분재 마을의 보호자 역할을 하기도 했으며, 호텔 매니저를 꿈꿨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구 일본군 마지막 군가인 『장행보』는 데라우치에게 증정된 곡이다.[7][8]

야마구치 주둔지에는 아버지의 것과 함께 그의 원수 패도가 전시되어 있다. 170cm가 넘는 키로 당시 기준으로는 장신이었으며, 유복한 환경에서 성장하여 청렴한 성격을 지녔다고 전해진다.[7][8]

3. 1. 긍정적 평가

데라우치 히사이치는 성장 환경이 좋았고, 주변과 부하에게 세심한 배려를 하여 육군에서 하사관이나 병사들에게 인기가 있었다. 마쓰마에 시게요시도조 히데키에 의해 징벌 소집되었을 때, 총사령관 명의로 된 사령을 연발하여 사실상 정장 차림으로 군정 고문으로 일하도록 배려했다.[6] 육군 최고참이자 원수였던 데라우치에게 도조 히데키도 반박하지 못했다. 전시 중에는 사이타마현에 있는 분재 마을의 보호자이기도 했으며, 호텔 매니저를 해보고 싶다고 말한 적도 있다. 구 일본군 마지막 군가인 『장행보』는 데라우치가 수감되었을 때 증정된 곡이다.[7][8]

육상자위대야마구치 주둔지 방장상무관에는 아버지 데라우치 마사타케의 것과 함께 히사이치의 원수 패도(원수도)가 전시되어 있다. 신장은 170cm 이상으로, 메이지 초기의 출생으로는 장신이었다. 육군 원수이자 화족의 자손으로 유복한 환경에서 성장했으며, 용모가 단정하고 청렴하며 담백함을 숭상하는 인물이었다고 한다.[7][8]

3. 2. 부정적 평가

데라우치 히사이치는 태평양 전쟁 개전 당시 남방군 사령관을 맡았다. 그는 필리핀인에게 "관대"했던 혼마 마사하루인도네시아 독립 운동에 관대했던 이마무라 히토시를 비판했는데,[1] 이러한 태도는 혼마의 해임과 퇴직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데라우치는 군대가 정치에 관여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지만, 이는 정치인들이 군대에 간섭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미였을 것이다. 그는 전형적인 냉혹한 일본군 장교로, 미국인과 그의 동료들 모두 그를 높이 평가하지 않았다. 야마시타 도모유키는 그의 일기에 "… 그 빌어먹을 데라우치는 사이공에서 호화로운 생활을 하며, 편안한 침대에서 자고, 맛있는 음식을 먹고, ''장기''를 둔다"라고 썼으며,[2][3] "만약 어떤 일을 하는 데 두 가지 방법이 있다면, 남방군이 틀린 방법을 선택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데라우치는 건강이 좋지 않아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항복식에 참석할 수 없었다. 1946년 6월 11일, 일본의 전쟁 범죄를 연합국에 폭로하겠다고 위협한 헌병대 중령의 보고에 분노하여 두 번째 뇌졸중을 겪고 다음 날 아침 사망했다. 그 결과, 버마-시암 철도 노동자들에 대한 학대와 일본이 침공당할 경우 자신의 지휘 구역 내 모든 연합군 전쟁 포로를 학살하라는 명령에 대한 책임을 포함한 전쟁 범죄 재판을 받지 않았다.[4]

한편, 나가이 가후와는 동창이었지만, 야마다 후타로의 회상에 따르면, 연애 지상주의 학생이었던 나가이를 간과할 수 없었던 데라우치는 나가이에게 폭행을 가하기도 했다.[6]

4. 가족

데라우치 마사타케의 장남으로 도쿄부에서 태어났다.[15][16] 슬하에 자식이 없었기 때문에, 아내의 조카를 4살 때부터 길렀으며, 하기 은행 은행장이자 대지주였던 기쿠야 고주로의 손자 기쿠야 가오를 사위로 맞이하여 후계자로 삼았다.[13][14]

5. 기타

성장 환경이 좋았고, 주변과 부하에게 세심한 배려를 하여 육군에서 하사관이나 병사들에게 인기가 있었다. 다만, 어린 시절에는 동급생을 폭행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작가나가이 가후와는 고등사범학교 부속 보통중학교 동창(나가이는 병으로 휴학했던 기간이 있어, 복학했을 때 동기가 되었다)이지만, 야마다 후타로의 회상에 따르면, 연애 지상주의 학생이었던 나가이를 간과할 수 없었던 데라우치는 나가이에게 폭행을 가하기도 했다고 한다.[6]

마쓰마에 시게요시도조 히데키에 의해 징벌 소집되어 칙임관인 체신성 국장임에도 불구하고 이등병으로 남방에 보내졌을 때, 총사령관 명의로 된 사령을 연발하여 사실상 정장 차림으로 군정 고문으로 일하도록 했다. 육군의 최고참이자 원수였던 데라우치에게는 도조도 반박하지 못하고 그대로 되었지만, 애초에 마쓰마에가 남방으로 보내진 것은 도조 실각 이후였다. 조슈벌에 적개심을 불태운 도조와 조슈벌의 보스였던 데라우치 마사타케를 아버지로 둔 데라우치 히사이치와의 관계는 미묘한 것이 있었다.

전시 중에는 사이타마현 분재 마을의 보호자이기도 했으며, 호텔 매니저를 해보고 싶다고 말한 적도 있다. 또한, 구 일본군 마지막 군가 『장행보』는 데라우치가 수감되었을 때 증정된 곡이다.

출신지 야마구치현에 있는 육상자위대야마구치 주둔지 방장상무관에는 아버지 마사타케의 것과 함께 히사이치의 원수 패도(원수도)가 수장 전시되어 있다.

신장은 170cm 이상으로, 메이지 초기의 출생으로는 장신이었다.

참조

[1] 서적 大将の少年時代 https://dl.ndl.go.jp[...] 実業之日本社 1938-08-01
[2] 서적 大将の少年時代 https://dl.ndl.go.jp[...] 実業之日本社 1938-08-01
[3] 서적 大将の少年時代 https://dl.ndl.go.jp[...] 実業之日本社 1938-08-01
[4] 서적 宇垣一成 中公新書 1993
[5] 뉴스 朝日新聞 朝日新聞 1946-06-14
[6] 서적 人間臨終図巻 徳間書店
[7] 웹사이트 陸軍元帥 寺内寿一 明治12年~昭和21年〔山口〕 https://www.nids.mod[...]
[8] 서적 元帥寺内寿一 芙蓉書房 1978
[9] 간행물 官報 官報 1915-12-29
[10] 간행물 官報 官報 1914-05-18
[11] 간행물 官報 官報 1929-09-05
[12] 간행물 官報 官報 1943-06-22
[13] 서적 元帥寺內寿一 芙容書房 1978
[14] 서적 持丸長者国家狂乱篇: 日本を動かした怪物たち ダイヤモンド社 2007
[15] 서적 데라우치 대장의 소년 시절 https://dl.ndl.go.jp[...]
[16] 서적 내일을 여는 역사 15호
[17] 서적 히로히토:신화의 뒤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