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큐 도요코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큐 도요코선은 일본 도쿄와 가나가와 현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1926년 개통되어 여러 차례의 연장과 개량을 거쳐 현재 시부야역과 요코하마역을 연결한다. 2013년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과의 직통 운행을 시작하며, 도부, 세이부 철도 등 여러 노선과 연결되어 운행된다. 특급, 통근특급, 급행, 각역정차 등 다양한 운행 형태가 있으며, 2023년에는 소테츠 신요코하마선과의 직통 운행도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큐 전철의 철도 노선 - 도큐 덴엔토시선
    도큐 덴엔토시선은 도쿄 시부야에서 가나가와 주오린칸을 잇는 도쿄 급행 전철 노선으로, 여러 확장을 거쳐 현재 모습이 되었으며, 도쿄 메트로 및 도부 철도 노선과 직결 운행하고, 출퇴근 시간대 혼잡 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도큐 전철의 철도 노선 - 도큐 이케가미선
    도큐 이케가미선은 도쿄도 시나가와구 고탄다역과 오타구 가마타역을 잇는 10.9km 길이의 도쿄 급행 전철 노선으로, 1922년 가마타역과 이케가미역 구간이 이케가미 전기 철도에 의해 개통되어 현재는 3량 편성의 열차가 전 구간 복선 및 전철화 구간을 운행하며 각 역에 정차한다.
  • 192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진해선
    진해선은 창원역과 진해역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 해군기지 지원 목적으로 건설되어 여객 운행이 중단된 후 현재는 화물 수송에 이용되며, 도시철도 건설 계획에 따라 노선 활용 방안이 추진 중이다.
  • 192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다다미선
    다다미선은 후쿠시마현 아이즈와카마쓰역과 니가타현 고이데역을 잇는 동일본여객철도의 총 연장 135.2km 단선 비전철화 철도 노선으로, 1928년 개통 후 2011년 호우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상하 분리 방식으로 2022년 전 구간 운행을 재개했으며, 현재 36개 역이 운영 중이고 적자 문제 해결과 지역 활성화 노력이 요구된다.
  • 철도 정보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철도 정보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도큐 도요코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2019년 도요코 선 도큐 5050계 전동차
2019년 도요코 선 5050계 전동차
노선 종류통근 열차
노선 상태운영 중
노선 위치간토 지방
기점시부야역
종점요코하마역
역 수21개 역
일일 승객 수1,239,968명 (2018년 회계연도)
개업일1926년 2월 14일
소유주도큐 전철
차량 기지모토스미요시
노선 길이24.2km
궤간1,067mm
열차 보호 장치CS-ATC
신호 방식차내 신호 방식
전철화 방식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최고 속도110km/h
노선도
노선도 제목노선도
노선 색상빨간색
노선도 상태collapsed
한국어 표기
로마자 표기Toyoko-sen
한자 표기東横線
운영 정보
사용 차량사용 차량 섹션 참조
복선 구간복복선 (덴엔초후 - 히요시 구간)
전력 방식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방식
보안 장치ATC-P
최고 속도110km/h
역사 (과거 노선 정보)
시부야역 (구) 위치JR 동일본:야마노테선,사이쿄선,쇼난 신주쿠 라인 / [[파일:BSicon exTRAM.svg|14px|도덴]]도덴:아오야마 선
시부야역 (구) 연혁-2013 시부야 역전 정류장 -1969
나미키바시 역 연혁-1946 나미키바시 정류장
다마가와 역 (구) 명칭신마루코 보선구
무사시코스기 역 (구) 명칭11.1 고교토시 역 -1953
히가시하쿠라쿠 역 (구) 노선시전:히가시하쿠라쿠 정류장
요코하마 역 (구) 노선[[파일:BSicon exTRAM.svg|14px|요코하마 시전]]요코하마 시전
기타 정보
비고quadruple_track

2. 역사

도큐 도요코선은 도쿄요코하마를 연결하는 도시 간 철도 노선(인터어번)으로, 1926년 2월 14일 첫 구간이 개통된 이후 여러 차례 확장과 변화를 겪었다.

1964년 8월 29일부터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과의 상호 운행을 시작하여 히요시역에서 나카메구로역을 경유, 기타센주역까지 운행했다.[18] 1988년에는 히요시역 지하 통로 재정비 기간 동안 기쿠나역까지 임시 연장 운행을 하기도 했다.

2004년 1월 31일에는 요코하마역에서 사쿠라기초역까지의 구간이 폐지되었고,[18] 다음 날인 2월 1일부터 미나토미라이선과의 직통 운행을 시작했다.[18]

2013년 3월 16일에는 시부야역에서 다이칸야마역 사이 구간이 지하화되면서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과의 상호 직통 운행을 시작했고, 동시에 히비야선과의 직통 운행은 중단되었다.[7]

덴엔초후역 - 히요시역 구간은 복복선으로, 메구로선이 병주하며 도요코선의 바이패스 기능을 수행한다.

2023년 3월 18일부터는 도큐 신요코하마선을 경유하여 사가미 철도와의 상호 직통 운전도 실시하고 있다. 또한, 같은 해 8월 10일부터는 평일 야간 일부 열차에 유료 좌석 지정 서비스인 "Q시트"를 도입했다.[109]

2020년에는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으며,[27] 현재는 20m 차량 8량 편성 및 10량 편성으로 원맨 운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2. 1. 개통과 확장

1926년 2월 14일, 도쿄요코하마 전철이 다마가와 - 가나가와 구간을 개통했다.[18]

1932년 3월 31일, 시부야 - 사쿠라기초역 구간이 완전 개통되었다.[18]

1964년 8월 29일, 나카메구로역을 경유하여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과 직통 운행을 시작했다.[18]

2004년 1월의 옛 사쿠라기초역 플랫폼


2004년 1월 31일, 요코하마역 - 사쿠라기초 구간이 폐지되었다.[18] 2월 1일부터 도큐 도요코선 열차는 요코하마에서 미나토미라이선으로 직통 운행을 시작했다.[18]

2013년 3월 16일, 시부야 - 다이칸야마 간 1.4km 구간이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과의 지하 연결선으로 대체되었다. 이날부터 도큐와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 철도 열차는 후쿠토신선과 그 너머로 직통 운행을 시작했다. 도부, 세이부도 도요코선과 미나토미라이선으로 열차 운행을 시작했다. 동시에 히비야선 직통 운행은 종료되었다.[7][19]

2022년, 도큐는 2023 회계 연도에 도요코선에서 "Q-Seat" 서비스 시작을 발표했다. 도요코선은 예약 좌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두 번째 도큐 노선(오이마치선에 이어)이 될 예정이었다.[22]

2023년 8월 10일 "Q-Seat" 서비스가 시작되었다.[25]

스크린도어2020년까지 노선의 모든 역에 설치가 완료되었다.[26][27]

2. 2. 전후 발전과 직결 운행

2013년 3월 16일 도쿄 지하철 후쿠토신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했다.[7] 이로 인해 도쿄 급행 전철, 요코하마 고속철도, 도쿄메트로, 세이부 철도, 도부 철도 등 5개 노선이 연결되었으며, 도쿄 지하철 히비야선과의 직통 운행은 종료되었다.[7]

1964년 8월 29일부터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과의 상호 운행이 시작되어, 히요시역에서 나카메구로역을 경유하여 기타센주역까지 운행했다.[18] 1988년에는 히요시역 지하 통로 재정비 기간 동안 기쿠나역까지 임시 연장되었으나, 인기로 인해 정식 서비스로 유지되었다.

2013년 3월 15일,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과의 상호 운행 시작으로 히비야선과의 직통 운행은 중단되었다.[7] 승객들은 나카메구로역에서 노선을 갈아타야 한다.

1980년의 도큐 도요코선 열차


1926년 2월 14일, 다마가와에서 가나가와(현재의 가나가와와는 별개)까지의 노선 첫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후 점진적으로 연장되어 1932년 3월 31일, 시부야에서 사쿠라기초역까지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1964년 8월 29일, 나카메구로역을 경유하여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으로 직통 운행이 시작되었다.[18]

2004년 1월 31일, 요코하마역에서 사쿠라기초까지의 구간이 폐지되었다.[18] 2월 1일부터 도큐 도요코선 열차는 요코하마에서 미나토미라이선까지 직통 운행을 시작했다.[18]

2013년 3월 16일, 시부야에서 다이칸야마까지의 구간이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과의 지하 연결선으로 대체되었다. 기존 지상 종착역 플랫폼은 그날 새벽 1시에 마지막 열차가 운행된 후 폐쇄되었고,[19] 4시간 후인 오전 5시, 열차는 새로운 지하 플랫폼에서 운행을 시작했다.[20] 이 기간 동안 1,200명의 작업자가 다이칸야마역에서 선로 정렬을 변경했다.[21]

이날부터 도큐와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 철도 열차는 후쿠토신선과 그 너머로 직통 운행을 시작했다. 도쿄 메트로, 도부, 세이부도 도요코선과 미나토미라이선으로 열차 운행을 시작했다. 동시에 히비야선 직통 운행은 종료되었다.[7]

2022년, 도큐는 2023년 회계 연도에 도요코선에서 "Q-Seat" 서비스 시작을 발표했다. 도요코선은 예약 좌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두 번째 도큐 노선이며, 첫 번째는 오이마치선이다.[22] 5050계 8량 편성 5166편성은 두 개의 "Q-Seat" 차량을 포함하여 10량 편성 4112편성으로 개조되었다. 이들은 오이마치선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도색을 특징으로 하지만, 주황색 대신 빨간색으로 칠해졌다.[23] 4112편성은 현재 테스트 중이며 나가쓰타 차량기지에 보관되어 있다.[23] 이 차량은 2022년 10월 24일에 운행을 시작했으며, "Q-Seat" 서비스는 원래 2023년 2월로 예정되었다.[24] 그러나 2023년 8월 현재, "Q-Seat" 서비스는 8월 10일에 시작될 예정이다.[25]

스크린도어2020년까지 노선의 모든 역에 설치될 예정이었다.[26] 이 작업은 2020년 4월 이전에 완료되었다.[27]

2. 3. 복복선화

동급 메구로선의 대규모 개량 공사도 함께 참조하면 좋다.

도요코선의 수송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 중 하나로 "도요코선 연선에서 도심 방면으로 향하는 제2루트 확보"가 검토되었다. 그 결과, "도요코선 다마가와엔역 - 히요시역 간 4.8km의 복복선화"와 "구 메구로선메구로역 - 다마가와엔역 간의 대규모 개량"을 실시하여 메구로선을 경유하는 지하철과의 직통 운전을 시행하였다[127]。이 공사의 완공으로 메구로선으로 개칭된 메구로선 경유 난보쿠선미타선과의 직통 운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사업 착수 당시, 덴엔초후역 - 다마가와엔역 (현・다마가와역) 구간은 서쪽 2선이 도요코선, 동쪽 2선이 메구로선의 선로별 복복선이었다. 사업 후에는 메구로선의 가마타 직통을 중단하고 히요시 방면으로 직통시키기 위해 방향별 복복선으로 배선을 변경, 덴엔초후역을 지하화, 다마가와엔역을 고가화하였다. 다마가와엔역에서는 가마타 방면으로의 회차 운전이 되는 메구로선 가마타 방면 (현・도큐 다마가와선)의 승강장을 새롭게 지하에 설치, 덴엔초후 방향으로 지상과의 연락선을 설치하는 공사가 진행되었다[127]

또한, 다마가와엔역 - 무사시코스기역 구간은 교량・고가선의 확폭・증설에 의해 복복선화되었다. 다마가와엔역히요시 방면에 있는 다마가와 교량은 복복선 형식으로 전면 교체되었다[127]。이 공사는 1999년 5월 15일에 완공되었다. 이듬해 2000년 8월 6일, 다마가와엔역을 "다마가와역"으로 개칭하고, 동시에 도요코선의 급행 정차역이 되었다. 다마가와역을 경계로 메구로선은 2개의 노선으로 분리되었다.

메구로선의 무사시코스기역까지의 개업에 이어, 메구로선을 히요시역까지 연장하는 형태로 복복선화 공사가 2000년 3월 30일부터 착공되었다[64]

2006년 9월 24일, 무사시코스기역 - 히요시역 구간이 새롭게 완성된 고가선으로 전환되었다. 이때 발생한 일은 다음과 같다.

  • 전날 23일 막차 후부터 다음날 24일 첫차 전까지 동역의 히요시역 쪽에 있는 도로(시리테쿠로카와 도로)의 육교와 도요코선의 선로 위치를 바꾸는, 이른바 "역입체화 공사"가 실시되었다. 이로 인해 도요코선이 위를 달리고 시리테쿠로카와 도로가 아래를 달리는 구조가 되었다.
  • 모토스미요시역에는 모토스미요시 검차구가 병설되어 있는데, 고가화 완성으로 인해 동역의 위치가 히요시 방면으로 이전되었고, 동 검차구 바로 위에 건설된 고가역으로 전환되었다. 이 때문에 모토스미요시역에서 지상에 있는 모토스미요시 검차구로 출입할 수 없는 구조가 되었다. 고가화 전까지 운행되었던 모토스미요시역 시발·종착 열차는 모두 무사시코스기역 또는 히요시역 발착으로 변경되었다. 무사시코스기역과 모토스미요시 검차구를 잇는 회송 열차는 고가화 전의 선로를 사용한다.
  • 단, 막차(상하선 각 1편)에 한해서는 종전대로 모토스미요시행이며, 이 경우 홈에 정차한 후 다음날 동역 시발 열차에 충당된다.
  • 2009년 6월 6일 시간표 개정부터, 상행 방면의 최종 키쿠나행(토요일·공휴일은 급행 히요시행)은 승객을 전원 하차시킨 후, 모토스미요시역 6번선(우등 열차용 통과선)에서 다음날 아침까지 정차한다.
  • 하행선에 한해, 모토스미요시 검차구에서 히요시역으로 직접 진입할 수 있는 "하행 출고선"이 설치되어, 모토마치·차이나타운 방면행의 많은 열차가 히요시역 시발 열차이다.


그 후, 공사의 진척에 따라 2007년 8월 23일 시간표 개정부터, 히요시역의 대피선과 인상선의 사용을 중지하고, 이를 메구로선용으로 교체하는 공사가 시작되었다.

  • 대피선 사용 중지에 따라, 지금까지 히요시역에서 행해지던 각역 정차와 통근 특급 또는 급행과의 완급 결합 및 특급의 통과 대기 등은 모두 옆의 모토스미요시역에서 통과 대기가 되었다.
  • 인상선 사용 중지에 따라, 지금까지의 히요시역 발착 열차는 폐지되어, 모두 무사시코스기역 또는 키쿠나역 발착이 되었다. 이로 인해,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 직통 전철은 종일 키쿠나역에 운행하게 되었다(그 전까지의 주간 운용에서는 히요시행이었다).


과거 도요코선이 사용했던 선로의 일부를 정비하여 메구로선용 선로로 하고, 동선을 2008년 6월 22일에 히요시역까지 연장했다.

  • 메구로선은 무사시코스기역 - 모토스미요시역 간의 북쪽 약 200m 위치(구 역사의 홈 부근)까지는, 도요코선이 고가화 전에 사용했던 지상의 선로를 사용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 구간은 무사시코스기와 모토스미요시 검차구를 잇는 회송 열차도 사용한다. 구 역사의 홈 부근에서 모토스미요시 검차구로의 입·출고선과 분기한 후, 그 분기점에서 도요코선 구 본선을 철거하여 건설된 상향 구배선을 사용하여, 고가에 있는 모토스미요시역 구내로 진입한다.
  • 모토스미요시역 - 히요시역 간은, 고가화 전의 도요코선의 부분(현재의 도요코선 안쪽)을 달리는 형태가 된다.
  • 당초에는 같은 해 3월에 연장될 예정이었지만(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그린라인과 거의 동시) 3개월 늦어지게 되었다.

2. 4. 기타



도큐 도요코선은 도쿄요코하마를 잇는 도시 간 철도 노선(인터어번)으로, 시부야, 다이칸야마, 나카메구로, 지유가오카, 덴엔초후, 무사시코스기 등 주요 도시를 경유한다.[33]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의 쇼난 신주쿠 라인과 경쟁 관계에 있으며, 2000년부터는 특별 요금이 필요 없는 특급(도요코 특급)을 운행하고 있다.[33]

1926년 2월 14일 다마가와에서 가나가와(현재의 가나가와와는 별개)까지의 노선 첫 구간이 개통되었고, 1932년 3월 31일 시부야에서 사쿠라기초역까지의 전체 구간이 개통되었다. 1964년 8월 29일에는 나카메구로역을 경유하여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으로 직통 운행이 시작되었다.[18]

2004년 1월 31일, 요코하마역에서 사쿠라기초까지의 구간이 폐지되었고,[18] 2월 1일부터 미나토미라이선과의 직통 운행을 시작했다.[18]

2013년 3월 16일, 시부야에서 다이칸야마까지의 구간이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과의 지하 연결선으로 대체되었다.[19] 이날부터 도큐와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 철도 열차는 후쿠토신선과 그 너머로 직통 운행을 시작했고, 도부, 세이부도 도요코선과 미나토미라이선으로 열차 운행을 시작했다. 동시에 히비야선 직통 운행은 종료되었다.[7]

2001년 쇼난 신주쿠 라인 개통에 대항하기 위해, 2000년부터 특별 요금이 필요 없는 특급 (도요코 특급)을 운행하여 속달화를 꾀하고 있다.

원래는 요코하마역에서 사쿠라기초역이 종점이었지만, 2004년 2월 1일요코하마 고속 철도 미나토미라이선 (요코하마역 - 모토마치·주카가이역 간)이 개통하여 이 노선과의 상호 직통 운전을 개시함에 따라, 요코하마역 - 사쿠라기초역 구간은 도중역인 다카시마초역과 함께 같은 해 1월 30일을 기점으로 폐지되었다.[34][35]

덴엔초후역 - 히요시역 구간은 복복선이며, 그 중 2개의 선로를 사용하여 도요코선의 바이패스 기능을 수행하는 메구로선 (메구로역 - 히요시역 간)이 병주한다. 2023년 3월 18일부터 일부 열차는 도큐 신요코하마선 (히요시역 - 신요코하마역 간)에 직통하며, 도카이도 신칸센 정차역인 신요코하마역을 경유하여 사가미 철도 (소테츠)의 각 노선 (소테츠 신요코하마선・소테츠 본선・소테츠 이즈미노선)과의 상호 직통 운전도 실시하고 있다.

시부야역에서는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을 경유하여 사이타마현도부 철도 도조선오가와마치역세이부 철도 이케부쿠로선한노역까지, 또한, 요코하마역에서는 요코하마 고속 철도 미나토미라이선 모토마치·주카가이역까지 상호 직통 운전을 하고 있다.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에 운행되는 유료 좌석 지정 열차인 S-TRAIN은 세이부 이케부쿠로선·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 및 이 노선을 경유하여 세이부 지치부선세이부 지치부역 - 미나토미라이선 모토마치·주카가이역 간을 직통 운전하고 있다. 또한, 오가와마치역 - 모토마치·주카가이역 (도부선 계통) 및 한노역 - 모토마치·주카가이역 (세이부선 계통)의 각각에 대해, 낮 시간대에 각 선 내를 특별 요금 없이 최속달로 운행되는 열차 (도요코선 내는 특급 운전)에 대해서는 "F라이너"라는 애칭이 붙는다.

2013년 3월 15일까지는 나카메구로역에서 히비야선기타센주역까지 직통 운전을 했지만, 3월 16일에 후쿠토신선 직통 개시와 함께 중단되었다.

2022년, 도큐는 2023 회계 연도에 도요코선에서 "Q-Seat" 서비스 시작을 발표했다. 도요코선은 예약 좌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두 번째 도큐 노선이 될 예정이며, 첫 번째는 오이마치선이다.[22] 5050계 8량 편성 5166편성은 두 개의 신규 제작된 "Q-Seat" 차량을 포함하여 10량 편성 4112편성으로 개조되었다. 이들은 오이마치선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도색을 특징으로 하지만, 주황색 대신 빨간색으로 칠해졌다.[23] 4112편성은 현재 테스트 중이며 나가쓰타 차량기지에 보관되어 있다.[23] 이 차량은 2022년 10월 24일에 운행을 시작했으며, "Q-Seat" 서비스는 원래 2023년 2월로 예정되었다.[24] 그러나 2023년 8월 현재, "Q-Seat" 서비스는 8월 10일에 시작될 예정이다.[25]

스크린도어는 2020년까지 노선의 모든 역에 설치될 예정이었으며,[26] 2020년 4월 이전에 완료되었다.[27]

영업 열차는 20m 차량 8량 편성 및 10량 편성이다.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운전사가 열차의 문과 역의 스크린도어의 개폐를 하는 원맨 운전이 실시되고 있다.

3. 운행 형태

2023년 3월 도큐 신요코하마선 개통 이후, 평일 피크 시간대 이외의 일반적인 운행 형태는 다음과 같다.[2] 운행 종별로는 특급, 통근특급, 급행, 각역정차가 있다.

방향운행 편수종별주요 경유 노선행선지
북행시간당 2편F 라이너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 도부 도조선사이타마현 신린코엔
시간당 2편F 라이너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 세이부 유라쿠초선, 세이부 이케부쿠로선고테사시
시간당 6편급행시부야 (일부는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 도부 도조선 경유, 와코시가와고에시까지 운행)
시간당 6편각역정차시부야 (일부는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 경유, 이케부쿠로와코시까지 운행)
시간당 2편각역정차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 세이부 유라쿠초선, 세이부 이케부쿠로선샤쿠지이코엔
* 시간당 18편 운행, 이 중 2편은 가나가와현 히요시에서 합류
남행시간당 4편F 라이너미나토미라이선모토마치·주카가이
시간당 4편급행미나토미라이선모토마치·주카가이
시간당 2편급행도큐 신요코하마선, 소테츠 신요코하마선, 소테츠 본선, 소테츠 이즈미노선쇼난다이
시간당 8편각역정차미나토미라이선모토마치·주카가이
* 시간당 18편 운행



대부분의 열차는 노선의 양쪽 끝에서 다른 철도 노선으로 직통 운행을 한다.

3. 1. 열차 등급

8000계로 운행된 특급 (2005년 9월)


특별 요금 없이 이용 가능한 도요코선·미나토미라이선의 최속달 등급 열차이다. 10량 편성으로 운행되며, 평일에는 낮 시간대에만, 토요일·공휴일에는 아침 일찍·심야 시간을 제외한 종일 운행된다. 상하행선 모두 지유가오카역기쿠나역에서 각역정차 열차와 연결되며, 일부 상행 특급은 무사시코스기역에서 모토스미요시역에서 추월한 각역정차 열차와 연결된다. 시부야역 - 요코하마역 구간을 최단 26분(모토마치·주카가이역까지는 35분)에 잇는다. 평일 첫차부터 아침 혼잡 시간대까지와 저녁부터 막차까지는 운행되지 않으며, 대신 통근 특급이 운행된다. 대부분의 열차가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으로 직통하며, 부도심선 내에서는 대부분 급행으로 운행된다. 일부 시간대에 와코시역 발착 열차가 있으며, 그 외에는 부도심선을 경유하여 세이부 이케부쿠로선 또는 도부 도조선으로 직통한다. 세이부 이케부쿠로선 직통 열차는 주로 고테사시역 발착 쾌속급행으로, 도부 도조선 직통 열차는 주로 신린코엔역 발착 쾌속급행으로 운행된다. 부도심선 고타케무코하라역에서는 이케부쿠로선 직통 열차가 유라쿠초선에서 온 도조선 직통 열차와, 도조선 직통 열차가 유라쿠초선에서 온 이케부쿠로선 직통 열차와 연결되는 경우가 많지만[129], 열차 운행 혼잡 시에는 변경될 수 있다.

  • 도요코선 내 정차역: 시부야역 - 나카메구로역 - 지유가오카역 - 무사시코스기역 - 기쿠나역 - 요코하마역


특급 운행 개시의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JR 동일본 쇼난 신주쿠 라인 운행 개시에 앞서 시부야역 - 요코하마역 - 사쿠라기초역(당시) 구간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함이었다.
  • 2000년 8월 6일 시간표 개정으로 무사시코스기역 - 덴엔초후역 구간 복복선 병용이 시작(메구로선 개업)되어 도요코선 시간표에 여유가 생겼다.
  • 같은 날부터 급행이 다마가와역에 정차하게 되면서, 급행 통과역(12개 역)과 정차역(11개 역) 비율이 역전되었다. 정차역 수가 통과역 수를 넘어섰고, 다마가와역·덴엔초후역·지유가오카역 3개 역 연속 정차로 도착 시간이 늘어나 이용객 불만이 많았다. (거의 1개 역마다 정차하여 각역정차를 비꼬는 '격역 정차'라는 조롱을 받았다.[130][131])
  • 이에 따라 새로운 상위 속달 열차 도입 요구가 있었다.


2016년 3월 26일 시간표 개정으로 도요코선·미나토미라이선 내 특급, 부도심선 내 급행, 도부 도조선 내 급행(2023년 3월 18일 시간표 개정 이후 쾌속급행), 세이부선 내 쾌속급행 열차는 'F 라이너'라는 애칭이 부여되었다.[95][132][96]

  • 2001년 3월 28일: 시간표 개정으로 시부야역 - 사쿠라기초역 구간 운행 시작.[68][69] 당시 평일 아침 혼잡 시간대에는 운행하지 않았으며, 도큐에서 특급 열차를 설정한 것은 이때가 처음이다.
  • * 당시 정차역: 시부야역 - 지유가오카역 - 무사시코스기역 - 기쿠나역 - 요코하마역 - 사쿠라기초역[68]
  • 특급 운행 시작 후 단기간 동안 캠페인을 위해 8000계 선두차 전면에 파란색 바탕에 벚꽃을 디자인한 "특급" 표기 그림 이모티콘 헤드 마크를 부착했다.[133][134][135] 운행 시작 당시 『사자에상』으로 PR을 진행했다.
  • 2003년 3월 19일: 시간표 개정으로 나카메구로역이 특급 정차역이 되었다.[75] 메구로구 종합 청사 이전, 역 주변 재개발 사업 진행으로 승하차 인원이 증가하고 히비야선 환승을 고려했기 때문이다.[136] 평일 시간표에서는 아침 혼잡 시간대가 한풀 꺾이는 9시부터 운행했지만, 이 개정부터 평일 이른 아침에도 운행했다.
  • 2004년 10월 11일: 이용 촉진을 위해 "'''도요코 특급'''"이라는 애칭이 부여되고 PR 작전이 시작되었다.[137] 이는 5일 후인 10월 16일 JR 동일본 시간표 개정으로 쇼난 신주쿠 라인을 대폭 증편하는 것에 대항하는 것이었다. 역이나 차내 포스터, 파스넷에서 "T⇔Y 도요코 특급 TOYOKO LIMITED EXPRESS" 도안이 사용되었다. PR 작전에서 캐치프레이즈도 부여되었는데, 2004년 10월 11일 시작 시점에는 "'''거리와 거리의, 한가운데로'''"였지만, 2006년 3월 18일 시간표 개정부터는 "'''거리의 한가운데, 동으로 옆으로'''"가 되었다. "도요코 특급"은 도큐의 등록 상표(등록 번호 제4857386호)이다.
  • 2008년 1월 13일: "안녕 8000계 임시 특급" 운행 시, 운행 시작 첫날 첫 열차에 투입된 8000계 8017F가 운행되었으며, 통상 정차하지 않는 모토스미요시역에도 정차했다.
  • 2008년 6월 22일: 시간표 개정으로 평일 아침과 저녁 이후는 모두 통근 특급으로 대체되어, 평일 특급 운행 시간대는 낮 시간대뿐이 되었다.
  • 2020년 3월 14일: 시간표 개정으로 평일 아침 상행 1편이 증편되어, 12년 만에 평일 낮 시간대 이외 운행이 부활했다.

3. 2. 직통 운행

2013년 3월 16일부터 도쿄 지하철 후쿠토신 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했다.[88][94] 이로써 도쿄 급행 전철, 요코하마 고속철도, 도쿄메트로, 세이부 철도, 도부 철도 5개 노선이 연결되었고, 동시에 도쿄 지하철 히비야 선과의 직통 운행은 종료되었다.[7]

2004년 2월 1일부터는 요코하마 고속철도 미나토미라이선과 요코하마역에서 상호 직통 운행을 실시하고 있다. 요코하마역에서는 회사 간 승무원 교대 없이 도큐의 승무원이 미나토미라이선 구간을 계속 승무하며, 요코하마 고속철도의 Y500계 차량이 도요코선의 모토스미요시 검차구 소속으로, 미나토미라이선 내 역 업무를 도큐의 자회사인 도큐 레일웨이 서비스가 담당하는 등, 도요코선과 미나토미라이선은 사실상 일체로 운행되고 있다.

2023년 3월 18일부터 도큐 신요코하마선이 개통되어 신요코하마역에서 소테츠 신요코하마선과의 상호 직통 운행을 시작했다.[103][105]

1964년 8월 29일부터 1988년까지는 히요시역 - 나카메구로역 -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 기타센주역 간에 상호 직통 운전을 시작했다. 1988년에는 히요시역 지하화 공사로 인해 잠정적으로 기쿠나역까지 연장되었는데, 이용객들의 호평으로 계속 운행하게 되었다. 2013년 3월 16일 부도심선과의 직통 운전을 시작하면서 히비야선과의 상호 직통 운전은 종료되었다.[88]

2023년 3월 도큐 신요코하마선 개통 이후, 평일 피크 시간대 이외의 일반적인 운행은 다음과 같다.[2]

방향운행 편수종별주요 경유 노선행선지
북행시간당 2편F 라이너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 도부 도조선사이타마현 신린코엔
시간당 2편F 라이너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 세이부 유라쿠초선, 세이부 이케부쿠로선고테사시
시간당 6편급행시부야 (일부는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 도부 도조선을 경유하여 와코시가와고에시까지 운행)
시간당 6편각역정차시부야 (일부는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을 경유하여 이케부쿠로와코시까지 운행)
시간당 2편각역정차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 세이부 유라쿠초선, 세이부 이케부쿠로선샤쿠지이코엔
* 시간당 18편 운행, 이 중 2편은 가나가와현 히요시에서 합류
남행시간당 4편F 라이너미나토미라이선모토마치·주카가이
시간당 4편급행미나토미라이선모토마치·주카가이
시간당 2편급행도큐 신요코하마선, 소테츠 신요코하마선, 소테츠 본선, 소테츠 이즈미노선쇼난다이
시간당 8편각역정차미나토미라이선모토마치·주카가이
* 시간당 18편 운행


3. 3. 운행 횟수 (2023년 3월 18일 기준)

2003년 3월 19일부터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 특급 대신 운행하는 열차가 운행을 시작했으며, 2017년 기준으로 아침 상행 10회, 하행 6회, 저녁 상행 27회, 하행 26회로 총 69회 운행한다. 상행 2회를 제외한 모든 열차는 도쿄 지하철 후쿠토신선에 직통하며, 후쿠토신선 내에서는 대부분 통근급행이나 급행으로 운행한다.[2]

2023년 3월 도큐 신요코하마선 개통 이후, 평일 피크 시간대 이외의 일반적인 운행은 다음과 같다.[2]

2023년 3월 18일 시간표 개정 시점의 도큐 도요코선(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 미나토미라이선을 포함)의 낮 시간대 1시간당 운행 횟수는 다음과 같다.

낮 시간대 운행 패턴
노선명운행 횟수도부 도조선
세이부선
방면
도쿄 메트로
부도심선
도큐 도요코선미나토
미라이선
비고
역명

종별
와코시고타케무카이하라이케부쿠로시부야히요시요코하마모토마치·주카가이
특급
(F-Liner)
2회신린코엔colspan="8" |colspan="8" |부도심선 내(F-Liner) 급행
세이부선·도부선 내(F-Liner) 쾌속급행
2회고테사시colspan="6" |colspan="8" |
급행
(본선 계통)
2회colspan="10" style="text-align:right" |colspan="8" |style="text-align:left;" |
2회colspan="2" style="text-align:right" |colspan="8" |colspan="8" |부도심선 내 각역 정차
급행
(도큐 신요코하마선·소테츠선 직통 계통)
1회가와고에시colspan="8" |colspan="3" |쇼난다이
1회colspan="2" style="text-align:right" |colspan="8" |colspan="3" |쇼난다이
각역 정차2회colspan="2" style="text-align:right" |colspan="16" |rowspan="4" style="text-align:left;" |
2회샤쿠지이코엔colspan="14" |
2회colspan="7" style="text-align:right" |colspan="11" |
2회colspan="10" style="text-align:right" |colspan="8" |


4. 차량

도큐 도요코선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10량 편성 열차는 특급 열차, 8량 편성 열차는 각역 정차 및 급행 열차로 운행된다. 운행되는 차량은 열차 번호로 판별할 수 있는데, 2023년 3월 18일 개정 시간표를 기준으로 열차 번호 마지막 알파벳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S'''": 도쿄 메트로 차량 (8량: 01S-19S, 10량: 21S-91S 홀수 번호)
  • "'''M'''": 세이부 차량 (02M-34M 짝수 번호 및 71M-75M)
  • "'''T'''": 도부 철도 차량 (01T-25T 홀수 번호)
  • "'''K'''": 도큐 차량 (8량: 요코하마 고속 철도 차량과 공통 운용, 01K-33K / 10량: 51K-65K / 운행 지연 시 41K-46K)
  • "'''G'''": 소테츠 차량 (91G-95G)


6자리 열차 번호의 첫 번째 자리로도 판별 가능한데(두 번째·세 번째 자리는 운용 번호), 다음과 같다.

  • "'''0'''": 도큐·요코하마 고속철도 차량
  • "'''1'''": 세이부 차량
  • "'''7'''": 도쿄 메트로 차량
  • "'''8'''": 도부 차량
  • "'''9'''": 소테츠 차량


(예: "01K"는 도요코선·미나토미라이선 내에서 "001") 열차 번호는 『MY LINE 도쿄 시간표』(교통 신문사)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3년 3월 18일 개정 시간표에서는 도큐 차량이 도쿄 메트로 와코 검차구에 8량 2편성 및 10량 1편성, 세이부 무사시가오카 차량기지에 10량 1편성, 도부 신린코엔 검수구에 10량 2편성, 소테츠 니시야역에 10량 1편성, 카시와다이 차량센터에 10량 2편성이 각각 야간 유치되는 "외박 운용"이 편성되어 있다. 반대로 모토스미요시 검차구에는 도쿄 메트로 8량 2편성·10량 2편성 및 세이부 1편성, 도부 2편성이 각각 야간 유치된다.

모든 차량은 모토스미요시 검차구 소속이다.

도쿄 메트로 13000계는 사기누마 공장 입출고 시 도요코선을 주행한다.

도쿄 메트로 13000계

4. 1. 현재 운행 차량


5050계 4000번대
(2021년 12월 18일 모토카지 역)


5050계
(2018년 12월 27일 다마가와 역)


5000계 (파란 개구리 랩핑)
(2019년 8월 13일 다마가와 역)

  • 요코하마 고속철도 (모토스미요시 검차구 소속)
  • * Y500계 (8량 편성으로 도큐 차량과 공통 운용. 한 번 F-Liner에서의 긴급 운행 실적이 있음)

요코하마 고속철도 Y500계
(2019년 8월 20일 묘렌지역 - 하쿠라쿠역 간)

  • 도쿄 지하철 (와코 검차구 소속)
  • * 17000계 (8·10량 편성)
  • * 10000계 (10량 편성, 8량 편성은 검사·긴급 시에만 운행)

도쿄 메트로 17000계
(2022년 5월 23일 다마가와역


도쿄 메트로 10000계
(2021년 3월 14일 다마가와역

  • 도부 철도 (신린코엔 검수구 소속·10량 편성)
  • * 50070형
  • * 9000계·9050계

도부 50070형
(2024년 2월 13일 사카도역


도부 9000계
(2018년 12월 27일 다마가와역


도부 9050계
(2019년 8월 13일 다마가와역

세이부 40000계 0번대
(2023년 10월 3일 히가시후시미역


세이부 40000계 50번대
(2021년 10월 20일 고테사시역 - 니시토코로자와역 간)


세이부 6000계 알루미늄 차량
(2019년 8월 13일 다마가와역

  • 소테츠(가시와다이 차량 센터 소속·10량 편성)
  • * 20000계 (통상 시에는 시부야역 - 히요시역 간에서만 운행, 열차 운행에 혼란이 발생했을 때 모토마치·주카가이역까지 입선한 운행 실적이 있음)

소테츠 20000계
(2023년 4월 28일 다마가와역

  • 도쿄 지하철
  • 13000계 (사기누마 공장으로의 입출고 시 도요코선을 주행한다.)


4. 2. 과거 운행 차량


  • 1000계 (1989년 12월 26일[58] - 2013년 3월 15일, 히비야선 직통용)
  • 8000계 (1969년 11월 30일[50] - 2008년 1월 13일)
  • 9000계 (1986년 3월 9일[56] - 2013년 3월 15일)
  • 도쿄 메트로 03계 (1988년 7월 1일 - 2013년 3월 15일, 히비야선 직통 운행 종료 후에도 사기누마 공장으로 입고할 때 도요코선 내를 운행하는 경우가 있었다.)
  • 3000계 (1999년 4월 16일 - 2000년 1월 15일)
  • 2000계 (1993년 2월 3일[60] - 1993년 11월 1일[61])
  • 8090계 (1980년 12월 - 선두차는 1988년 12월)
  • * 8590계 (1988년 9월 - 2006년 6월)
  • 7200계 (1969년 4월 - 1983년 9월)
  • 초대 5000계 (1954년 12월 16일 - 1980년 3월 하순)
  • 5200계 (1958년 12월 - 1964년 3월, 1979년 8월 - 1980년 3월)
  • 초대 6000계 (1960년 4월 1일 - 1981년 봄. 전속으로 빠진 기간이 있음)
  • 8500계 (1976년 봄 - 1991년 3월)
  • 초대 3000계 (- 1972년 8월)
  • * 데하 1350형 (데하 1366)
  • * 데하 1400형·쿠하 1550형 (데하 1401·쿠하 1553·1554)
  • 초대 7000계 (1962년 1월 27일[49] - 1991년 6월 상순)
  • 모하 1형 (도쿄 요코하마 전철 시대)
  • 키하 1형 (도쿄 요코하마 전철 시대), 전후 차량 부족 시 쿠하 1110형으로 단기간 운용
  • 데하 1050형, 전후 차량 부족 시 단기간 운용
  • 5080계 (메구로선에서 "미나토미라이호"로)
  • 제도고속도교통영단(현·도쿄 지하철)
  • 3000계 (히비야선. 1994년 6월 10일에 도요코선 직통 운전을 종료[62])
  • 7000계 (부도심선. 2012년 9월 28일(선행 영업 운전) - 2022년 4월 18일에 운용 종료)
  • 9000계 (도쿄만 대화화 축제 임시 열차로 무사시코스기역 - 히요시 간만)
  • 도쿄도 교통국
  • 6300형 (임시 열차 "미나토미라이호"만, 2000년 9월 22일부터 2007년 9월까지는 회송 열차로도 운행)
  • 사이타마 고속철도
  • 2000계 (임시 열차 "미나토미라이호"만)
  • 이즈 급행
  • 100계 - 1961년에 도큐 차량 제조에서 신조된 후, 이즈 급행선 개업까지 모토스미요시 검차구에 배치되어, 이즈 급행의 운전사 숙련 훈련과 개업 선전을 겸해 도요코선 내를 연일 주행했다.
  • 2100계 (리조트 21) - 1986년에 덴엔토시선 개업 20주년 기획과 차량 홍보를 겸해 2차차(R-2편성)가[165], 1988년에는 "리조트 익스프레스 이마이하마 '88"로 3차차(R-3편성)가[165] 도요코선, 메구로선, 오이마치선, 덴엔토시선을 주행한 경력이 있다.


9000계


도쿄 메트로 03계

5. 역 목록

(본선 계통)급행
(도큐 신요코하마선 직통 계통)통근
특급특급S-TRAIN접속 노선·비고지상/지하소재지직통 운전 구간

F
도쿄 메트로 부도심선 경유로 이하의 노선·역까지TY01시부야역-0.0●●●●●도큐 전철:
DT
덴엔토시선 (DT01)
동일본 여객철도:
JY
야마노테선 (JY 20)·
JA
사이쿄선 (JA 10)·
JS
쇼난 신주쿠 라인 (JS 19)
게이오 전철:
IN
이노카시라선 (IN01)
도쿄 지하철:
G
긴자선 (G-01)·
Z
한조몬선 (Z-01)·-- 부도심선 (F-16)(직통 운전: 상기 참조)지하도쿄도시부야구TY02다이칸야마역1.51.5|||||지상TY03나카메구로역0.72.2●●●●◇도쿄 지하철:
H
히비야선 (H-01)메구로구TY04유텐지역1.03.2|||||TY05가쿠게이다이가쿠역1.04.2●●|||TY06도리츠다이가쿠역1.45.6|||||TY07지유가오카역1.47.0●●●●●도큐 전철:
OM
오이마치선 (OM10)TY08덴엔초후역1.28.2●●|||도큐 전철:
MG
메구로선 (MG08) 〈메구로 방면〉지하오타구TY09다마가와역0.89.0●●|||도큐 전철: -- 메구로선 (MG09)·
TM
도큐 다마가와선 (TM01)지상TY10신마루코역1.310.3|||||도큐 전철: -- 메구로선 (MG10)가나가와현가와사키시
나카하라구TY11무사시코스기역0.510.8●●●●◇도큐 전철: -- 메구로선 (MG11)
동일본 여객철도:
JN
난부선 (JN 07)·
JO
요코스카선 (JO 15)· 쇼난 신주쿠 라인, 소테쓰·JR 직통선 (JS 15)TY12모토스미요시역1.312.1|||||도큐 전철: -- 메구로선 (MG12)
차량 기지 소재역. 구조상, 입고는 무사시코스기역에서, 출고는 하행 히요시역, 상행은 무사시코스기역에서 실시.TY13히요시1.513.6●●●||도큐 전철: -- 메구로선 (MG13)·
SH
도큐 신요코하마선 (SH03) (직통 운전: 아래 참조)
요코하마시 교통국:
G
그린 라인 (G10)style="width:1em; text-align:center;" |고호쿠구직통 운전 구간colspan="10" |TY14쓰나시마역2.215.8●도큐 신요코하마선으로 직통|||지상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고호쿠구TY15오쿠라야마1.717.5||||TY16기쿠나역1.318.8●●●◇동일본 여객철도:
JH
요코하마선 (JH 15)TY17묘렌지역1.420.2||||TY18하쿠라쿠역1.221.4||||가나가와구TY19히가시하쿠라쿠역0.722.1||||TY20탄마치역1.223.3||||지하TY21요코하마역0.924.2●●●●동일본 여객철도:
JT
도카이도선 (JT 05)· 요코스카선 (JO 13)· 쇼난 신주쿠 라인 (JS 13)·
JK
게이힌토호쿠선 (JK 12)· 네기시선 (JK 12)· 요코하마선
게이힌 급행 전철:
KK
본선 (KK37)
소테쓰:
SO
소테쓰 본선 (SO01)
요코하마시 교통국
B
블루 라인 (B20)
요코하마 고속 철도:
미나토미라이선 (MM01)(직통 운전: 아래 참조)니시구직통 운전 구간colspan="10" |

6. 기타

도큐 도요코선은 시부야역을 기점으로 하는 덴엔토시선과 함께 도큐 전철의 간선 노선이며, 도큐 전철의 전신 중 하나인 도쿄요코하마 전철이 개통하였다.[33] 통근 노선인 동시에, '''도'''쿄'''요'''코하마라는 두 도시를 잇는 도시 간 철도 노선 (인터어번)이기도 하다.

2001년 개통한 쇼난 신주쿠 라인에 대항하기 위해, 2000년부터 특별 요금이 필요 없는 특급 (도요코 특급)을 운행하여 속달화를 꾀하고 있다.

2004년 2월 1일 요코하마 고속 철도미나토미라이선 개통으로 요코하마역 - 사쿠라기초역 구간은 도중역인 다카시마초역과 함께 2004년 1월 30일에 폐지되었다.[34][35]

2023년 3월 18일부터 일부 열차는 도큐 신요코하마선에 직통하며, 도카이도 신칸센 정차역인 신요코하마역을 경유하여 사가미 철도 (소테츠)의 각 노선과의 상호 직통 운전도 실시하고 있다.

시부야역에서는 도쿄 지하철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을 경유하여 사이타마현도부 철도 (도부) 도조선오가와마치역세이부 철도 (세이부) 이케부쿠로선한노역까지, 또한, 요코하마역에서는 요코하마 고속 철도 미나토미라이선 모토마치·주카가이역까지 상호 직통 운전을 하고 있다.

2013년 3월 15일까지는 나카메구로역에서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기타센주역까지 직통 운전을 했지만, 3월 16일에 후쿠토신선 직통 개시와 함께 중단되었다.

도큐 도요코선에서는 대부분의 역에서 출발 부저를 사용하고 있지만, 일부 역에서는 발차 벨 멜로디가 사용되고 있다. 2023년 3월 6일부터는 원맨 운전을 위해 전 역에서 발차 멜로디를 차량에서 승강 촉진음을 울리는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변경하고 있다.[107][166]

역명시부야, 와코시 방면(상행)요코하마, 모토마치・중화가 방면(하행)
시부야역5: 오토기의 왈츠
6: 사랑 스테이션
3・4・5: Departing from New Shibuya Terminal[167][168]
신마루코역[169]4: FRONTALE RABBIT1: FRONTALE RABBIT
무사시코스기역[169]4: 울려 퍼져라, 푸른 영혼1: 울려 퍼져라, 푸른 영혼



도큐 신요코하마선의 개통 및 직통 운행 시작에 맞춰 도큐 도요코선 및 미나토미라이선 내에서 원맨 운전이 순차적으로 실시되었으며[108], 2023년 중에 원맨 운전으로 완전히 전환되었다.[172]

과거에는 3개 역에서 도어 컷이 시행되었으나, 현재는 모두 해소되었다.

이 노선과 관련된 주요 사건 사고는 다음과 같다.

이 노선과 관련된 기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Tokyu Corporation 2019-2020 https://www.tokyu.co[...] 2022-11-14
[2] 웹사이트 東急電鉄 各駅時刻表 東横線 https://www.tokyu.co[...] 2023-03-19
[3] 웹사이트 1200 Station Workers in Tokyo Shift Tracks From Above to Underground in Just One Night https://www.spoon-ta[...] Spoon and Tamago 2014-11-03
[4] 웹사이트 東急東横線渋谷駅地上ホームの営業終了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13-03-16
[5] 웹사이트 みなとみらい線との相互直通運転開始に伴い2004年2月1日(日)、東横線のダイヤを改正します https://www.tokyu.co[...] 2003-11-27
[6] 웹사이트 東横線跡地遊歩道活用実験 https://www.city.yok[...] 2022-08-06
[7] 웹사이트 東急東横線・東京メトロ日比谷線の相互直通運転が終了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13-03-16
[8] 웹사이트 「相鉄・東急直通線」2023年3月開業へ 連絡線と駅2つを新設 https://www.asahi.co[...] Asahi Shimbun 2022-01-28
[9] 웹사이트 相模鉄道,3月18日にダイヤ改正を実施 https://railf.jp/new[...] 2022-12-17
[10] 웹사이트 相鉄新横浜線・東急新横浜線、神奈川東部方面線の路線名称が決定 https://news.mynavi.[...] MyNavi Corporation 2018-12-13
[11] 웹사이트 Stations https://www.tokyu.co[...]
[12] 웹사이트 東京メトロ「兄弟車」有楽町線・副都心線17000系と半蔵門線18000系 https://news.mynavi.[...] 2021-09-25
[13] 웹사이트 東京メトロ10000系が東横線・みなとみらい線で営業運転を開始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2-09-08
[14] 서적 私鉄車両年鑑2012 Ikaros Publications Ltd. 2012-02
[15] 웹사이트 東横線から9000系が姿を消す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13-03-16
[16] 웹사이트 東京メトロ7000系が東横線・みなとみらい線で営業運転を開始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12-09-29
[17] 웹사이트 またも「サイレント引退」東京メトロ7000系の足跡 {{!}} 通勤電車 https://toyokeizai.n[...] 2022-07-13
[18] 서적 データブック日本の私鉄 Neko Publishing 2013-01-19
[19] 뉴스 さよなら東横線渋谷駅…大改造計画が始動 http://www.nikkei.co[...] 2013-03-15
[20] 뉴스 さよなら「ヒビチョク」 副都心線乗り入れの陰で、菊名~北千住が3月15日終幕 https://web.archive.[...] 2013-03-14
[21] 뉴스 1,200 Japanese workers convert above-ground train to subway line in a matter of hours http://en.rocketnews[...] Socio Corporation 2014-11-19
[22] 웹사이트 東急東横線「Q SEAT」導入、10両中2両をロング・クロス転換車両に https://news.mynavi.[...] 2022-07-29
[23] 웹사이트 東横線向け「Q SEAT」車両が登場 https://railf.jp/new[...] 2022-08-09
[24] 웹사이트 東急東横線の「Q SEAT」、23年のサービス開始に先立ち「一般車両」として運行へ https://trafficnews.[...] 2022-10-21
[25] 웹사이트 東急東横線で8月10日から有料座席指定サービス「Q SEAT」を開始 https://railf.jp/new[...] 2023-07-26
[26] 웹사이트 2020年を目標に東横線・田園都市線・大井町線の全64駅にホームドアを設置します https://web.archive.[...] Tokyu Corporation 2015-01-09
[27] 웹사이트 Tokyu Corp completes platform edge door programme https://www.railwayg[...] 2020-04-07
[28] 뉴스 後続電車が追突し脱線 東横線、乗客19人けが一部区間で運転見合わせ http://www.nikkei.co[...] 2014-02-15
[29] 뉴스 雪でブレーキ力低下か、ATCは作動 東横線事故 http://www.nikkei.co[...] 2014-02-15
[30] 웹사이트 「東急東横線 ワンマン運転」対応の車両改修はじまる 副都心線に続き「早期実現」へ https://trafficnews.[...] 2022-05-19
[31] 서적 ミリオン東京都区分道路地図帖 東京地図出版 1965-04-10
[32] 지도 2.5万地形図 川崎 大日本帝國陸地測量部 1932-10-30
[33] 서적 日本の私鉄 東京急行電鉄 毎日新聞社 2011-01-30
[34] 웹사이트 みなとみらい線が開業した日 東急の桜木町駅は前日に廃止 -2004.2.1 https://trafficnews.[...] メディア・ヴァーグ 2022-02-01
[35] 웹사이트 【今日は何の日?】東急東横線の横浜~桜木町間が営業終了 https://trafficnews.[...] メディア・ヴァーグ 2021-01-30
[36] 문서 東横線・目黒線の列車がそれぞれ別々の線路を使用する方向別複々線
[37] 웹사이트 KAJIMAダイジェスト:(13号相直)東横線渋谷〜代官山間地下化工事(土木工事第1工区) http://www.kajima.co[...] 鹿島建設
[38] 문서 区内を通る路線では唯一である。
[39] 웹사이트 東京の高級住宅街、住むならどこがベスト/日本一のブランド力を誇る「田園調布」 http://media.yucasee[...]
[40] 문서 1929年(昭和4年)に(旧)東京横浜電鉄が日吉台の土地(23万7600m2)を慶應義塾大学へ寄付。
[41] 문서 50年史、p.1023。
[42] 문서 50年史、p.1208。
[43] 뉴스 東急待望の急行を復活 澁谷-櫻木町間三四分で走破 交通協力会 1955-03-16
[44] 뉴스 近く全線30分運転か 東急 高島町-桜木町 複線あす開通 交通協力会 1956-09-09
[45] 문서 50年史、pp.458,998,1210。
[46] 문서 50年史、pp.668 - 669・1018 - 1020。
[47] 문서 50年史、p.1213。
[48] 문서 50年史、p.1214。
[49] 문서 50年史、p.1216。
[50] 문서 50年史、p.1225。
[51] 뉴스 東横線中目黒-都立大学間 立体化工事が完成 交通協力会 1970-02-24
[52] 문서 50年史、p.1228。
[53] 간행물 半世紀を走り続けた電車「東急3450形物語2」 交友社 1981-07
[54] 간행물 東急8000系増備と車両のうごき 交友社 1980-07
[55] 뉴스 東急の貨物運輸営業一部廃止を軽微認定 運輸審議会 交通協力会 1983-10-30
[56] 간행물 特集:東京急行電鉄 鉄道図書刊行会 1994-12
[57] 웹사이트 営団地下鉄南北線・都営三田線と相互直通運転を開始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00-02-07
[58] 간행물 読者短信 鉄道図書刊行会 1989-04
[59] 간행물 東急の話題 ネコ・パブリッシング 1991-09
[60] 간행물 東京急行電鉄における車両の配置転換 鉄道図書刊行会 1993-07
[61] 간행물 読者短信 鉄道図書刊行会 1994-03
[62] 간행물 1994年度東急総決算 鉄道友の会 1994
[63] 뉴스 渋谷-菊名間ATCが完成 東急東横線 20日から使用 交通新聞社 1997-03-17
[64] 웹사이트 東横線武蔵小杉~日吉間線増工事に着手(東京急行電鉄ニューリリース) https://web.archive.[...] 東京急行電鉄
[65] 보도자료 目蒲線の運行系統変更による線名変更などを実施 平成12年8月6日(日)から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00-03-28
[66] 보도자료 8月6日(日)から運行開始の目黒線と東急多摩川線のダイヤを決定 併せて東横線、池上線のダイヤも改正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00-07-14
[67] 문서 分離された旧目蒲線区間のうち、東急多摩川線となった区間の利用者の東横線への乗り換え利便性確保のため。
[68] 보도자료 東横線に「特急」を新設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株式会社 2001-02-02
[69] 뉴스 東急東横線に「特急」新設 交通新聞社 2001-02-06
[70] 보도자료 東急東横線と営団13号線の相互直通運転実施を決定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02-01-29
[71] 보도자료 より便利な地下鉄を目指して 営団13号線・東急東横線相互直通運転を行います http://www.tokyometr[...] 営団地下鉄 2002-01-29
[72] 보도자료 2002年度の鉄軌道事業設備投資計画は総額364億円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02-05-10
[73] 보도자료 東横線とみなとみらい21線との相互直通運転開始に伴う東横線横浜〜桜木町間の廃止について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03-01-30
[74] 보도자료 2003年3月19日(水)、東急線全線のダイヤを改正します。東横線の平日の朝・夕に通勤特急を新設するほか、特急停車駅に中目黒を追加します。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03-01-24
[75] 학술지 2002年度 東急総決算 鉄道友の会 2003-11-01
[76] 보도자료 みなとみらい21線の開業日・東急東横線との相互直通運転の開始日が決まりました https://www.tokyu.co[...] 横浜高速鉄道/東京急行電鉄道 2003-07-09
[77] PDF みなとみらい線の開業日の決定について https://web.archive.[...]
[78] 웹사이트 みなとみらい線との相互直通運転に伴う 東急東横線地下化事業(東急電鉄) https://web.archive.[...]
[79] 보도자료 みなとみらい線との相互直通運転開始に伴い2004年2月1日(日)、東横線のダイヤを改正します 渋谷〜横浜間の所要時間がさらに短縮、最短26分に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03-11-27
[80] 보도자료 特定都市鉄道整備事業計画の認定について https://www.tokyu.co[...] 東急急行電鉄 2005-02-10
[81] 보도자료 2005年7月25日(月)から東横線、みなとみらい線に女性専用車両を導入します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横浜高速鉄道 2005-07-13
[82] 보도자료 7月18日(火)から東横線・みなとみらい線の女性専用車両の実施内容を変更します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横浜高速鉄道 2006-06-28
[83] 문서 일반 문서
[84] 문서 일반 문서
[85] 웹사이트 平成23年3月11日横浜市内震度5強地震発生に伴う対応等について(第8報) http://www.city.yoko[...]
[86] 보도자료 東急線全駅で駅ナンバリングを導入します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2-01-26
[87] 보도자료 東急東横線の中目黒駅にホームドアを設置します~ホーム上の安全対策に積極的に取り組んでいます~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2-07-11
[88] 보도자료 東急東横線と東京メトロ副都心線 相互直通運転の開始日が2013年3月16日に決定!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2-07-24
[89] 보도자료 平成25年3月16日(土)から相互直通運転開始 副都心線と東急東横線・横浜高速みなとみらい線がつながり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2-07-24
[90] 보도자료 東武東上線がより便利に!自由が丘、横浜、元町・中華街方面とつながります! http://www.tobu.co.j[...] 東武鉄道 2012-07-24
[91] 보도자료 池袋線が東急東横線、横浜高速みなとみらい線との相互直通運転を開始します。 http://www.seibu-gro[...] 西武鉄道 2012-07-24
[92] 뉴스 東京メトロ10000系が東横線・みなとみらい線で営業運転を開始 http://railf.jp/news[...] 鉄道ファン・railf.jp 鉄道ニュース 2012-09-08
[93] 보도자료 3月15日(金)終電後に渋谷~代官山間地下化切替工事を実施するため、 東横線渋谷行き上り最終列車の一部区間を運休します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3-02-14
[94] 보도자료 東京メトロ副都心線との相互直通運転開始に伴い 3月16日(土)に東横線のダイヤを改正します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3-01-22
[95] 보도자료 東武東上線・西武池袋線~横浜高速みなとみらい線間を運転する速達性の高い直通列車の愛称名を『Fライナー』といたします。 https://www.tokyu.co[...] 東武鉄道/西武鉄道/東京地下鉄/東京急行電鉄/横浜高速鉄道 2015-12-18
[96] 보도자료 3月26日(土)、東急線全線でダイヤ改正を実施 列車の増発や運転区間・終電時刻の延長などにより、ますます便利に!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6-02-25
[97] 보도자료 2017年3月25日(土)から「S-TRAIN」運行開始! https://www.mm21rail[...] 西武鉄道/東京地下鉄/東京急行電鉄/横浜高速鉄道 2017-01-10
[98] 보도자료 3月25日(土)に東横線・目黒線でダイヤ改正を実施 列車の増発や座席指定列車の運転開始などにより、ますます便利に!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7-03-02
[99] 보도자료 東横線・田園都市線・大井町線全64駅 ホームドア設置完了 https://www.tokyu.co[...] 東急電鉄 2020-03-18
[100] 보도자료 2023年3月(予定)相鉄新横浜線・東急新横浜線開業!鉄道がもっと便利になります~神奈川県央地域及び横浜市西部から東京・埼玉に至る広域的な鉄道ネットワークの形成~ https://www.tokyu.co[...] 相模鉄道/東急電鉄/東京地下鉄/東京都交通局/埼玉高速鉄道/東武鉄道/西武鉄道 2022-01-27
[101] 보도자료 相鉄・東急直通線の工事等の状況及び開業予定時期について https://www.jrtt.go.[...] 独立行政法人鉄道建設・運輸施設整備支援機構/相模鉄道/東急電鉄 2022-01-27
[102] PDF 【再掲】東横線におけるロング・クロス転換車両の導入について~一般車両としての運転開始日について~ https://www.tokyu.co[...]
[103] 보도자료 相鉄・東急直通線 開業日に関するお知らせ https://www.tokyu.co[...] 相模鉄道/東急電鉄/鉄道建設・運輸施設整備支援機構 2022-12-16
[104] 보도자료 2023年3月18日(土)相鉄新横浜線・東急新横浜線開業に伴い形成される 広域鉄道ネットワークの直通運転形態および主な所要時間について https://www.tokyu.co[...] 相模鉄道/東急電鉄/東京地下鉄/東京都交通局/埼玉高速鉄道/東武鉄道/西武鉄道 2022-12-16
[105] 보도자료 2023年3月18日(土)東横線・目黒線・田園都市線など東急線6路線でダイヤ改正を実施~同日に東急新横浜線が開業します~ https://www.tokyu.co[...] 東急電鉄 2022-12-16
[106] 보도자료 2023年3月18日(土)開業 相鉄・東急直通線 運行計画(運行区間・列車本数)のお知らせ https://cdn.sotetsu.[...] 相模鉄道 2022-12-16
[107] 보도자료 2023年3月6日より順次、東横線の発車サイン音が変更になります。 https://www.tokyu.co[...] 東急電鉄 2023-02-24
[108] 보도자료 2023年3月開業(予定)東急新横浜線の運行計画の概要について https://www.tokyu.co[...] 東急電鉄 2022-11-24
[109] PDF 2023年8月10日(木)より、東横線で有料座席指定サービス「Q SEAT」を開始します https://www.tokyu.co[...] 東急電鉄 2023-07-26
[110] PDF 東横線自由が丘駅における平日朝ラッシュ時間帯、一部列車の発着番線変更について https://www.tokyu.co[...] 東急電鉄 2023-08-07
[111] 웹사이트 自由が丘駅で遅延解消の秘策「番線入れ替え」実施へ 「ホーム空いたら入れる」運行方式 東急東横線 https://trafficnews.[...] メディア・ヴァーグ 2023-08-10
[112] PDF 「クレジットカードのタッチ機能」「QRコード」を活用した乗車サービスの実証実験を2023年12月12日(火)から東横線・目黒線全駅でも開始し、2024年1月中に東急線の全駅で実施します https://www.tokyu.co[...] 東急電鉄 2023-12-06
[113] PDF 東横線 有料座席指定サービス「Q SEAT」 サービス内容の一部変更 https://www.tokyu.co[...] 東急電鉄 2024-04-24
[114] PDF 有料座席指定サービス「Q SEAT」座席指定券の車内販売を開始します ~2024年12月17日(火)から予約がなくてもその場で「Q SEAT」をご利用いただけます~ https://www.tokyu.co[...] 東急電鉄 2024-12-10
[115] 웹사이트 「平成23年度以降のホームドアの整備計画」の公表について https://www.mlit.go.[...]
[116] 보도자료 2020年を目標に東横線・田園都市線・大井町線の全64駅にホームドアを設置します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5-01-11
[117] PDF 2013年度の鉄軌道事業設備投資計画 駅・高架橋の耐震補強やホームドア設置など、総額488億円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3-05-15
[118] 보도자료 東急東横線武蔵小杉駅生活交通改善事業計画について https://musashikosug[...] 東京急行電鉄 2014-02-19
[119] PDF 2015年度の鉄軌道事業設備投資計画 ホームドア設置や駅機能の向上などに総額482億円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5-05-13
[120] PDF 2016年度の鉄軌道事業設備投資計画 車両新造のほかホームドア設置、駅改良工事に総額489億円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6-05-13
[121] PDF 2017年度の鉄軌道事業設備投資計画 田園都市線ホームドア整備本格着手など総額502億円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7-05-12
[122] PDF 2019年度の鉄軌道事業設備投資計画 さらに安全、安心、快適な鉄道の実現に向け、総額619億円を投資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9-05-13
[123] 보고서 最混雑区間における混雑率(令和5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8-02
[124] 간행물 都市交通年報
[125] 웹사이트 地域の復権―東京一極集中を越えて(昭和62年9月) http://www.pref.kana[...] 神奈川県 2015-05-10
[126] 문서 (旧)7000系の更新車両である1000系を除く。
[127] 웹사이트 目黒経由の「第2ルート」を開拓 東横線複々線化事業進む http://www.kajima.co[...] 鹿島建設 2017-01-02
[128] 웹사이트 東横線渋谷 - 横浜間改良工事(東急電鉄) https://web.archive.[...]
[129] 문서 なお、平常ダイヤの場合、有楽町線からの池袋線列車は、東新宿駅で追い抜いた和光市行列車が到着した後に小竹向原駅に到着する。
[130] 서적 新東京圏通勤電車事情大研究 草思社 1990
[131] 서적 ダイヤグラムで広がる鉄の世界: 運行を読み解く&スジを引く本 秀和システム 2009-10
[132] 웹사이트 新愛称「Fライナー」、メトロ副都心線系統に来春導入 http://trafficnews.j[...] 2015-12-18
[133] 웹사이트 東横線特急特集! vol.5 https://web.archive.[...]
[134] 웹사이트 東横線特急特集! vol.7 https://web.archive.[...]
[135] 웹사이트 東横線特急特集! vol.8 https://web.archive.[...]
[136] PDF 2003年3月19日(水)、東急線全線のダイヤを改正します。 http://www.tokyu.co.[...]
[137] 웹사이트 10月11日(月・祝)から「東横特急」の集中的なPRを開始! http://www.tokyu.co.[...]
[138] 문서 東急・横浜高速の2社の車両は共通運用。
[139] 보도자료 2022年3月12日(土) 東横線・目黒線・田園都市線など東急線5路線でダイヤ改正を実施 https://www.tokyu.co[...] 東急電鉄 2021-12-17
[140] PDF 2008年度鉄道整備事業設備投資計画(西武鉄道) https://web.archive.[...]
[141] 간행물 2011年度 東急総決算 鉄道友の会「RAIL FAN」
[142] 뉴스 東急5050系4000番台が小手指へ http://railf.jp/news[...] 鉄道ファン・railf.jp 鉄道ニュース 2011-09-06
[143] 뉴스 東急5050系4000番台が西武池袋線で試運転 http://railf.jp/news[...] 鉄道ファン・railf.jp 鉄道ニュース 2011-09-13
[144] 뉴스 東急5050系4000番台が東武東上線・地下鉄有楽町線で営業運転開始 http://railf.jp/news[...] 鉄道ファン・railf.jp 鉄道ニュース 2012-09-11
[145] 문서 田園都市線(開業時は新玉川線)・半蔵門線ホームは開業時は当時の営団が駅管理を行っていたが、2007年12月2日始発から駅管理者が東京地下鉄から東急に移管されている。
[146] 웹사이트 2010年度の鉄軌道事業設備投資計画 http://www.tokyu.co.[...]
[147] 문서 8両編成の5000系・5050系・Y500系とは運用が区別されている。
[148] 논문 新・渋谷駅と5社相直 2013-09-01
[149] 논문 東京地下鉄7000系の現状と今後 2007-09-01
[150] 보도자료 東急東横線との相互直通運転ダイヤが決定!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3-01-24
[151] 보도자료 相鉄・東急直通線運行計画概要のお知らせ https://cdn.sotetsu.[...] 相模鉄道 2022-11-24
[152] 서적 東急おもしろ運転徹底探見 JTBパブリッシング
[153] 간행물 MY LINE 東京時刻表 交通新聞社 2011-03
[154] 웹사이트 乗り換え・出口案内:日比谷線 http://www.tokyometr[...]
[155] 뉴스 東急1000系が元住吉で5本並んで留置される http://railf.jp/news[...] 鉄道ファン 2014-05-17
[156] 뉴스 東急1000系(1500番台)1503編成が営業運転を開始 http://railf.jp/news[...] 鉄道ファン 2014-05-17
[157] PDF 新空港線「蒲蒲線」整備促進事業のPRパンフレット「つながり はばたけ 新空港線(蒲蒲線)」 http://www.city.ota.[...] 大田区
[158] 보도자료 東京都の快適通勤ムーブメント「時差Biz」に連動し、田園都市線・東横線で朝6時台の臨時列車を運転、「グッチョイクーポン」第5弾を配信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8-06-24
[159] 문서 この時のダイヤのうち、元町・中華街 - 渋谷間のものについては2024年3月16日のダイヤ改正時点でも概ね同じ時刻で定期列車として残っている(東京メトロ車10両での運転)。
[160] 뉴스 ☆女性専用車両の位置を変更へ/東横線☆ https://web.archive.[...] 神奈川新聞 2006-01-05
[161] 웹사이트 東急線全駅で駅ナンバリングを導入します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2-01-26
[162] 서적 回想の東京急行2 大正出版
[163] 서적 回想の東京急行1 大正出版
[164] 서적 回想の東京急行2 大正出版
[165] 웹사이트 伊豆急行50周年-伊豆急行線のあゆみ http://www.izukyu.co[...]
[166] 문서 ただし、ワンマン運転開始以降も始発列車・待避列車・回送列車の発車で稀に駅から発車ブザー・発車メロディが鳴ることがある。
[167] 문서 5番線から発車する東横線列車も「Departing from New Shibuya Terminal」を使用。
[168] 웹사이트 東横線・東京メトロ副都心線 相互直通運転開始記念!東横線渋谷駅にオリジナルベルメロディを導入します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3-02-28
[169] 웹사이트 12月6日(木)から、川崎フロンターレの応援歌が東横線武蔵小杉駅・新丸子駅の発車ベルメロディに!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2-11-28
[170] 문서 2012年12月頃も使用されていた。
[171] 웹사이트 コカ・コーラと東急電鉄が、期間限定でスペシャルなコラボレーションを展開!世界で親しまれているコカ・コーラの5トーンが、渋谷駅の到着予告放送に 東急電鉄としては初の試み、半年間限定で到着予告放送を特別仕様に変更 ティーンをはじめ1日約45万人が行き交う日本有数のターミナル駅に、ハッピーをお届け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1-02-28
[172] 뉴스 相鉄・東急新横浜線の開業で「乗る電車に混乱」問題勃発、利用者困惑の実態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2023-03-28
[173] 뉴스 東急東横線で電車追突、18人けが 元住吉駅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4-0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