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유대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유대주의는 유대인에 대한 적대감, 편견, 차별을 의미하며, 다양한 형태와 원인을 가지고 있다.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종교적, 인종적,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났으며, 홀로코스트와 같은 극심한 박해로 이어지기도 했다. 반유대주의는 개인적인 증오에서부터 폭력적인 집단 학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가장 오래된 증오'로 불릴 만큼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반유대주의에 대한 대응으로는 교육을 통한 인식 개선, 다양성 존중, 그리고 유대인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증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형별 편견과 차별 - 성 차별
성차별은 성별에 기반한 차별, 편견, 고정관념으로, 여성과 소녀에게 주로 나타나지만 모든 성적 다양성을 가진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인권 문제이며, 여성주의는 이를 남성이 비남성을 억압하는 구조로 보고, 개인적, 제도적 수준에서 임금 격차, 정치적 불평등, 폭력 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 법률 및 제도 개선, 교육 및 사회 의식 개선 등 다양한 노력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 - 유형별 편견과 차별 - 장애인 차별
장애인 차별은 신체적, 정신적 능력을 이유로 개인을 차별하는 현상으로, 역사, 유형, 영향, 원인, 국가별 사례를 포함하며,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오리엔탈리즘 - 에드워드 사이드
팔레스타인 출신 미국인 학자 에드워드 사이드는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이자 문학 비평가, 음악가, 공공 지식인으로서, 오리엔탈리즘 연구를 통해 서구 중심주의와 제국주의를 비판하고 탈식민주의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팔레스타인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과 서구-동부 디반 오케스트라 설립 등 음악 분야에서도 기여했다. - 오리엔탈리즘 - 오리엔탈리즘 (책)
《오리엔탈리즘》은 에드워드 사이드가 1978년에 발표한 책으로, 서구의 동양에 대한 지배적인 시각인 오리엔탈리즘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탈식민주의 연구에 영향을 미쳤지만, 비판도 존재한다. - 반유대주의 - 보비 피셔
보비 피셔는 미국의 체스 그랜드마스터이자 1972년 세계 체스 챔피언이었으며, 최연소 그랜드마스터 기록, 챔피언십 우승 등 뛰어난 실력과 체스 시계 및 체스960 개발 등 체스 발전 기여에도 불구하고, 타이틀 반납 후 은둔, 유고슬라비아 제재 위반 혐의 기소, 반유대주의적 발언과 기행 등으로 논란이 된 인물이다. - 반유대주의 - 검은 백인대
검은 백인대는 1905년경 러시아에서 발생한 극우 반혁명 단체들의 총칭으로, 차르 정권의 지원 아래 반혁명 운동, 반유대주의 선동, 포그롬 등의 폭력 및 테러를 자행하며 "정교, 전제, 민족성"을 표방하고 러시아 정교회와 황제에 대한 충성을 강조했다.
반유대주의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유형 | 인종차별, 종교적 박해, 차별 |
대상 | 유대인 |
관련 주제 | 반유대주의 역사, 반유대주의 유언비어, 유대인 박해, 홀로코스트 |
역사 | |
기원 | 기원전 3세기 고대 이집트 |
주요 사건 | 홀로코스트 드레퓌스 사건 키시뇨프 포그롬 결정적 밤 |
역사적 배경 | 고대 로마 시대의 유대인 박해 기독교의 반유대주의적 요소 중세 유럽의 반유대주의적 박해 나치즘과 홀로코스트 |
발현 양상 | |
형태 | 차별 폭력 학살 미디어 조작 정치적 선동 증오 발언 경제적 박해 |
주요 원인 | 종교적 원인 경제적 원인 민족주의적 원인 인종적 원인 정치적 원인 |
지역별 발현 | 아랍 세계 유럽 이슬람 국가 세계 각지 |
현대의 반유대주의 | 신반유대주의 급진반유대주의 이차 반유대주의 인터넷 상의 반유대주의 대학 내 반유대주의 가자 전쟁 관련 반유대주의 |
반유대주의적 주장 | |
주요 주장 | 유대인 음모론 유대인 로비 주장 유대 볼셰비즘 배후중상설 시온 장로 의정서 문화 마르크스주의 음모론 유대살신설 우물에 독 타기 |
관련 주장 | 성체모독 피의 중상 프리메이슨 음모론 시온주의 괴뢰 음모론 |
대응 | |
반대 운동 | 명예훼손방지동맹 공동체안보신탁 유럽기본권기관 친유대주의 스티븐 로스 연구소 비에너 도서관 남부빈곤법률센터 시몬 비젠탈 센터 구 소련 유대인 평의조합 스웨덴 반유대주의 반대위원회 야드바솀 시온주의 UN 워치 |
관련 텍스트 | 유대인과 그 거짓말에 대하여 유대의 프랑스 시온 장로 의정서 국제유대인 나의 투쟁 제2의 서 흑인과 유대인 사이의 은밀한 관계 터너 일기장 사냥꾼 |
관련 자료 | |
웹사이트 | 쥬 워치 스톰프런트 |
관련 정보 | 반유대주의의 역사 반유대주의 연표 반유대주의 연구자 |
상징 | |
![]() |
2. 역사적 배경
많은 저자들은 현대 반유대주의의 뿌리를 이교 시대와 초기 기독교에서 찾는다. 제롬 체이네스는 반유대주의의 역사적 발전에서 여섯 단계를 제시한다.[298]
-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기독교 이전 반유대주의는 주로 민족적인 성격을 띠었다.
- 고대와 중세의 기독교 반유대주의는 종교적인 성격을 띠었으며 현대까지 이어져 왔다.
- 전통적인 무슬림 반유대주의는 적어도 고전적인 형태에서는 유대인이 보호받는 계층이었기에 미묘한 차이가 있었다.
- 계몽주의와 계몽주의 이후 유럽의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반유대주의는 인종적 반유대주의의 토대를 마련했다.
- 19세기에 발생하여 20세기 나치즘으로 절정에 달한 인종적 반유대주의
- 일부 학자들은 새로운 반유대주의로 규정하는 현대 반유대주의
체이네스는 이 여섯 단계를 세 가지 범주로 통합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주로 민족적인 성격을 띤 고대 반유대주의; 기독교 반유대주의와 같이 종교적인 반유대주의; 그리고 19세기와 20세기의 인종적 반유대주의."
반유대주의의 역사적 발전에 대해서는 제롬 체인즈(Jerome Chanes)의 다음과 같은 정리가 있다.[298]
- 기독교 이전의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에서의 반유대주의: 이는 민족 의식적인 성격이었다.
- 고대·중세의 기독교적 반유대주의: 이는 종교적·신학적인 성격을 지니며 근대까지 확대되었다.
- 이슬람에서의 반유대주의: 다만, 이슬람교에서는 기독교 문화권보다 유대인들이 더 우대받았다.
- 계몽시대의 정치·경제적 반유대주의: 이는 후대의 인종적인 반유대주의(반셈주의)의 기반을 이루었다.
- 19세기 이후의 인종적 반세미티즘: 이는 나치즘에서 절정에 달했다.
- 현대의 반유대주의: (새로운 반세미티즘이라고도 한다).
체인즈는 반유대주의를 크게 다음 세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고 한다.
- 민족적인 성격이 강했던 고대의 것
- 종교적인 이유에 의한 기독교적인 것
- 19세기 이후의 인종적인 것
실제로 고대 로마 이전의 민족 간 일반적인 학대와 혹사와 후세의 의미에서 반유대주의를 구분하는 것은 어렵다. 유럽 여러 국가가 기독교를 받아들인 이후로 명확하게 반유대주의라고 부를 만한 상황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이슬람 세계에서는 유대인들은 아웃사이더로 여겨져 왔다. 과학혁명과 산업혁명 이후의 근대 사회에서는 인종에 기반한 반유대주의(반셈주의)가 주장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의 유대인 대량 학살을 초래했다.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에는 중동에서도 반유대주의가 만연하게 되었다.
이하에서는 반유대주의의 역사뿐만 아니라, 반유대주의가 생겨난 배경으로서 유대인을 둘러싼 시대별 상황, 각국 각 사회에서의 유대인 처우, 유대인 측의 반응 등의 역사를 서술한다.
### 고대와 중세
유대인에 대한 적대감은 기원전 3세기 알렉산드리아에서 그 초기 사례를 찾을 수 있다. 당시 이집트 사제이자 역사가였던 마네토는 유대인을 비난하는 글을 썼으며, 그의 주장은 여러 저술에서 반복되었다. 크니도스의 아가타르키데스는 유대인의 관습과 토라의 부조리함을 조롱했고, 기원전 320년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가 안식일을 지키던 예루살렘을 침략할 수 있었다고 비꼬았다. 기원전 170~167년경 안티오쿠스 4세 에피파네스의 반유대인 칙령은 유대에서 마카비의 봉기를 촉발시켰다.
마네토의 저술을 고려할 때, 반유대주의는 이집트에서 시작되어 그리스인들에 의해 재해석되며 퍼져나갔을 가능성이 있다. 고대 유대인 철학자 알렉산드리아의 필로는 기원 38년 알렉산드리아에서 수천 명의 유대인이 사망한 공격에 대해 서술했다. 이 폭력은 유대인들이 인간혐오자로 묘사되었기 때문일 수 있다.
헬레니즘 통치자들은 성전을 더럽히고 유대인의 종교 관습을 금지하기도 했다. 로마 제국과의 관계에서도 적대적인 상황이 발생하여 여러 차례의 반란이 일어났다.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황제 티베리우스는 로마의 유대인들을 추방했다. 그러나 18세기 영국 역사가 에드워드 기번은 기원 160년경부터 로마-유대 관계가 더 관용적인 시기로 접어들었다고 보았다. 기독교가 로마 제국의 국교가 되면서 유대인에 대한 태도는 점차 악화되었다.
제임스 캐롤은 로마 제국 전체 인구의 10%를 유대인이 차지했으며, 다른 요소들이 없었다면 오늘날 세계에는 2억 명의 유대인이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6세기 후반, 서고트 왕국은 유대인과 기독교인의 결혼, 할례, 유대교 성일 준수를 금지하는 반유대인 칙령을 발표했다. 7세기에는 강제 개종, 노예화, 추방, 사형 등의 처벌을 통해 유대인에 대한 사회적 공격이 적극적으로 조장되었다.
9세기부터 중세 이슬람 세계는 유대인과 기독교인을 딤미로 분류하여 종교의 자유를 허용했다. 알 안달루스 이슬람 지배하에 스페인 유대 문화의 황금기가 있었으나, 1011년 코르도바와 1066년 그라나다에서 발생한 유대인에 대한 무슬림 포그롬으로 종말을 맞이했다. 11세기부터 이집트, 시리아, 이라크, 예멘에서 회당 파괴를 명령하는 칙령이 제정되었고, 12세기에서 18세기 사이에 예멘, 모로코, 바그다드의 일부 지역에서 유대인들은 이슬람으로 개종하거나 사형을 당해야 했다.
알모하드 칼리파는 딤미를 가혹하게 대했으며, 많은 유대인과 기독교인들이 이주했다. 일부는 더 관용적인 무슬림 지역으로, 다른 일부는 북쪽의 기독교 왕국으로 피난했다.
중세 유럽에서 유대인들은 유혈 사건, 추방, 강제 개종, 학살을 당했다. 이러한 박해는 종교적 이유로 정당화되었고, 십자군 전쟁 기간에 첫 번째 절정에 달했다. 1096년 제1차 십자군 전쟁 중 라인란트 학살에서 수백 또는 수천 명의 유대인이 살해당했다. 이는 기독교 유럽에서 최초의 주요 반유대인 폭력 사태였으며, 19세기 시오니스트들은 이스라엘 국가의 필요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언급했다.
제2차 십자군 전쟁 동안 여러 차례의 유대인 학살이 발생했다. 1251년과 1320년의 목자 십자군과 1298년의 린트플라이시 학살에서도 유대인 공격이 있었다. 1290년 영국, 1394년 프랑스, 1421년 오스트리아에서 유대인 추방이 뒤따랐다. 추방된 유대인들은 폴란드로 피난했다.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유럽에서 반유대주의 감정과 법적 조치가 심화된 데에는 프란체스코회와 도미니코회와 같은 종교 단체의 대중적인 설교가 큰 영향을 미쳤다.
14세기 중반 흑사병 전염병으로 인구의 상당 부분이 사망하자 유대인들은 희생양이 되었다. 그들이 우물에 독을 넣어 질병을 일으켰다는 소문이 퍼졌고, 수많은 유대인 공동체가 파괴되었다. 교황 클레멘스 6세는 유대인을 보호하려고 했지만, 스트라스부르에서는 900명의 유대인이 산 채로 불에 타 죽었다.
기원전 586년 신바빌로니아의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유다 왕국을 정복하고 유대인들을 바빌로니아로 강제 이주시켰다(바빌론 유수). 기원전 538년 페르시아 왕 키루스 2세가 신바빌로니아를 정복하고 유대인들을 해방시켰으나, 일부는 팔레스타인으로 귀환하지 않고 각지에 남아 디아스포라가 되었다.
기원전 4세기 그리스 철학자 아브달라의 헤카타이오스는 모세가 인간다움과 환대의 정신에 반하는 생활 방식을 세웠다고 기록했다.
기원전 2세기 셀레우코스 왕조 시리아의 왕 안티오쿠스 4세 에피파네스는 현지 유대인들을 지배했고, 기원전 167년 유대인의 반란(마카비 전쟁)이 일어나자 탄압 정책을 시작했다.

1세기 유대인 세례자 요한은 헤로데 안티파스의 간음을 비난하며 처형되었다. 나사렛 예수는 유대교를 개혁하여 보편 종교로 변화시키려 했다.
35년경 유대인 기독교인 스테파누스는 유대교를 비판했기 때문에 돌로 치는 형벌로 처형되어 기독교 최초의 순교자가 되었다. 바리새파 유대인 사울(바울)은 기독교로 회심하여 유대교를 비판했고, 이는 반유대주의의 근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철학자 세네카는 유대교와 기독교도에 대해 "극악한 민족의 습관은 점점 더 강력해져 전 세계에 뿌리를 내렸다"고 말했다.
66년 유대 전쟁이 시작되었고, 70년 예루살렘 포위전 당시 로마군은 예루살렘 성전을 파괴하고 반란을 진압했다.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로마군에 투항했고, 열심당, 사두개파, 에세네파는 소멸하고 바리새파만 남았다. 유대 전쟁 후 유대교는 존재를 허락받았지만, 예루살렘 성전 체제는 붕괴되었고, 바리새파는 야브네를 근거지로 삼았다.
70년대에 성립된 기독교 복음서에서는 바리새파를 위선자로 비판했고, 요한복음에서는 유대인을 "마귀에게서 나온 자"로 비난하여 기독교 반유대주의에 신학적 표현을 부여했다.
132년-135년 바르 코크바의 난이 발생했고,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진압 후 유대인의 할례를 금지했다.
3세기 로마 제국에서는 기독교가 박해받았지만, 기독교 신학자들의 반유대주의도 나타났다. 오리게네스는 유대인이 구세주에 대해 음모를 꾸몄고 그 죄 때문에 예루살렘이 멸망했다고 주장했다.
313년 밀라노 칙령으로 기독교를 포함한 모든 종교의 자유가 허용되었다.
380년 로마 제국이 기독교를 국교로 선포하고, 392년에는 기독교 이외의 종교가 금지되었으나, 유대교는 일신교였기 때문에 박해받지 않았다.
4세기부터 5세기에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고 동로마 제국에 로마 제국이 계승되었다.
뉴사의 그레고리우스는 유대교도를 마귀의 무리라고 욕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요한 크리소스토무스는 유대인은 야수이며 "하느님의 아들을 십자가에 못 박았다면, 시나고그는 마귀의 거처"라고 말했다. 그의 설교는 나치 독일에서 자주 인용되었다.
동로마 제국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는 유대인을 공직에서 추방했다.
5세기 초 아우구스티누스는 유대인은 결국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일 것이지만, 재림 때까지 비참한 상태로 살아남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589년 서고트 왕국은 아리우스파에서 가톨릭으로 개종했고, 유대인이 기독교도 노예나 아내를 가지는 것이 금지되었다. 612년 시세부트 왕은 유대인에게 기독교 세례를 강제했다. 694년 에기카 왕은 유대인을 모두 노예로 만들겠다고 결의했다.
636년 동로마 황제 헤라클리우스가 아랍인에게 패배하자, 점성술 예언에 따라 메로빙거 왕조 프랑크 왕 다고베르트 1세는 유대교도에게 개종 또는 추방을 명령했다.
카롤링거 왕조에서도 유대인 대상인이 활약했고, 샤를마뉴는 유대인에게 자유 통상 무역과 유대 공동체 내 사법권을 허가했다.
9세기 전반 리옹에서는 유대인이 궁정에 출입하거나 징세관이 되기도 했다. 황제 루트비히 1세는 유대교도에게 개종 운동을 허가했다.
843년 베르됭 조약 이후, 848년 바이킹의 덴마크인이 서프랑크 왕국의 보르도를 공격했을 때 유대인이 배신했다고 여겨졌다.
하자르 왕국에서는 8세기에 국왕과 고관이 유대교로 개종했다.
메디나에서 무함마드는 유대교도들이 하느님의 가르침을 잘못 해석했다고 선언하며, 유대교 부족을 추방하거나 학살했다. 이후 유대교도들은 딤미로 간주되어 지즈야세를 납부하고 이슬람에 복종하는 조건으로 신앙과 재산을 인정받았다.
꾸란에서는 유대교도를 경전의 백성으로 인정했지만, 많은 구절에서 유대교도들이 계시를 왜곡했다고 비판한다.
파티마 왕조 6대 칼리프 알하킴은 기독교와 유대교를 탄압했고, 1009년에는 성묘교회를 파괴했다.
1066년 안달루시아에서 그라나다 학살이 발생했다.
무와히드 왕조에서도 기독교도와 유대교도가 박해받았다.
카페 왕조 프랑스 왕국에서는 992년 유대인들이 기독교도에 대한 저주 의식을 행하고 있다고 고발당했다. 1007년경 로베르 2세는 유대교도에게 개종을 강요하고 따르지 않는 자는 처형하도록 명령했다.
서유럽 여러 나라에서 1009년 파티마 왕조에 의한 성묘교회 파괴에 대해 유대인이 부추겼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강제 개종이나 추방이 이루어졌다.
1066년 노르만 정복으로 루앙의 유대인이 경제 금융 정책을 담당하게 되었다.
1084년 독일 슈파이어 주교 뤼디거는 유대인에게 기독교도의 하인이나 농노, 밭이나 무기를 소유하는 것을 허락했다.
### 중세 유럽의 유대인 박해
1096년 가톨릭 교회는 십자군 전쟁을 시작했고, 교황 우르반 2세는 무슬림 침략자들로부터 성지를 회복하기 위해 그리스도의 군사들을 모집했다. 그런데 그들이 성지로 가는 도중에 만나는 유대인들을 무슬림처럼 취급하였다.[1302] 십자군의 유대인 학살에 대하여 유대 공동체는 금욕적이고 냉정한 태도를 보였다. 유대인들은 십자군이 칼을 대고 제시하는 세례를 거부하면서 세례 받기보다는 율법대로 죽음을 감수하거나 아니면 집단 자살을 택했다.[1302] 십자군의 유대인들에 대한 만행은 십자군이 회복하고자 했던 성지 예루살렘에서 자행되었다. 십자군들은 예루살렘에 도착했을 때, 그들의 칼은 무슬림들은 물론 유대인들을 죽인 피로 물들었다. 그들은 “그리스도여, 우리는 당신을 찬양합니다!” 라는 노래를 부르면서 회당에 불을 질러 안에 있던 유대인들이 산 채로 불에 타 죽게 하였다.[1302]
6세기 후반, 이베리아 반도(Hispania)의 새로 가톨릭화된 서고트 왕국은 유대인과 기독교인의 결혼, 할례, 유대교 성일의 준수를 금지하는 일련의 반유대인 칙령을 발표했다.[132] 7세기 내내 서고트 왕들과 교회는 "시민 및 교회 처벌"[133]을 통해 유대인에 대한 사회적 공격을 적극적으로 조장했으며, 강제 개종, 노예화, 추방, 사형 등의 처벌이 있었다.[134] 유대인에 대한 핍박과 추방은 스페인, 포르투갈, 프랑스 등 기독교 국가를 중심으로 끊이지 않았다.[1300]
9세기부터 중세 이슬람 세계는 유대인과 기독교인을 딤미(dhimmis)로 분류하고, 중세 기독교 유럽보다 더 자유롭게 종교를 실천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알 안달루스(Al-Andalus) 이슬람 지배하에 적어도 11세기까지 지속된 스페인 유대 문화의 황금기가 있었다.[135] 그러나 1011년 코르도바(Córdoba)와 1066년 그라나다에서 발생한 사건을 포함하여 이베리아 반도에서 유대인에 대한 여러 무슬림 포그롬(pogrom)이 발생하면서 종말을 맞이했다.[136] 11세기부터 이집트, 시리아, 이라크, 예멘에서 회당(synagogue) 파괴를 명령하는 여러 칙령도 제정되었다. 또한 12세기에서 18세기 사이에 예멘, 모로코, 바그다드의 일부 지역에서 유대인들은 이슬람으로 개종하거나 사형을 당해야 했다.[137]
알모라비드 왕조(Almoravid dynasty)의 마그레브(Maghreb)와 안달루시아 지역을 장악한 알모하드 칼리파(Almohad Caliphate)[138]는 그 이전의 통치자들보다 훨씬 더 근본주의적이었으며, 딤미(dhimmis)를 가혹하게 대했다. 사형 또는 개종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던 많은 유대인과 기독교인들이 이주했다.[139][140] 마이모니데스(Maimonides) 가족과 같이 일부는 더 관용적인 무슬림 지역으로 동쪽으로 피난했고, 다른 일부는 북쪽으로 가서 성장하는 기독교 왕국에 정착했다.
중세 유럽에서 유대인들은 유혈 중상(blood libel), 추방, 강제 개종, 학살을 당했다. 이러한 박해는 종종 종교적 이유로 정당화되었고, 십자군 전쟁(Crusades) 기간에 첫 번째 절정에 달했다. 1096년, 제1차 십자군 전쟁(First Crusade) 중 수백 또는 수천 명의 유대인이 라인란트 학살(Rhineland massacres)에서 살해당했다.[141] 이는 스페인을 제외한 기독교 유럽에서 최초의 주요 반유대인 폭력 사태였으며, 19세기 시오니스트들은 이스라엘 국가의 필요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언급했다.[142]
1147년 제2차 십자군 전쟁(Second Crusade) 동안 여러 차례의 유대인 학살이 발생했다. 1251년과 1320년의 목자 십자군(Shepherds' Crusades) 모두 공격을 포함했으며, 1298년의 린트플라이시 학살(Rintfleisch massacres)도 마찬가지였다. 1290년 영국에서 유대인 추방, 1394년 프랑스에서 10만 명의 유대인 추방,[143] 1421년 오스트리아에서 수천 명의 유대인 추방 등 추방이 뒤따랐다. 추방된 유대인들은 폴란드로 피난했다.[144]
프란체스코회(특히 베르나르디노 데 펠트레(Bernardino of Feltre))와 도미니코회(특히 빈센트 페레르(Vincent Ferrer))와 같은 열렬한 개혁 종교 단체의 대중적인 설교는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유럽에서 기독교 인구 사이의 반유대주의 감정과 법적 조치가 심화되는 데 크게 기여했다.[145] 그들은 유럽 전역을 돌아다니며 종종 열정적이고 감정적인 호소를 통해 반유대주의를 조장했다.
14세기 중반 유럽을 황폐화시킨 흑사병(Black Death) 전염병으로 인구의 상당 부분이 사망하자 유대인들은 희생양으로 사용되었다. 그들이 고의로 우물에 독을 넣어 질병을 일으켰다는 소문이 퍼졌다. 수많은 박해 속에서 수백 개의 유대인 공동체가 파괴되었다(흑사병 유대인 박해). 교황 클레멘스 6세(Pope Clement VI)는 1348년 7월 6일에 첫 번째 교황 칙서(papal bull)를, 몇 달 후에 추가 교황령을 발표하여 유대인을 보호하려고 했지만, 스트라스부르(Strasbourg)에서는 전염병이 아직 영향을 미치지 않은 도시에서 900명의 유대인이 산 채로 불에 타 죽었다(스트라스부르크 학살).[146] 이러한 박해로 인하여 자연히 기독교에 대한 유대인들의 적대감은 깊어만 갔다.
스페인은 유대인들에게 기독교로의 강제 개종 칙령을 내려 탄압하고 영구적으로 추방했고, 14세기 중엽부터 16세기까지 대부분의 독일 도시에서 유대인들은 공식적으로 추방되었다.[1300] 스페인의 유대인 박해는 전유럽에 유대인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서유럽에서조차 유대인들은 발붙일 곳을 얻지못했지만, 폴란드를 중심한 동유럽은 비교적 유대인들에게 관대하여 유대인들을 위한 새로운 보금자리 구실을 하였다. 18세기 중엽 전세계의 유대인 인구는 약 300만 가량이었고 이들 중 대부분은 동유럽에 편중되어 살게 되었다. 폴란드에는 주후 18세기 말 약 150만 명이나 되는 유대인들이 살았는데 폴란드가 붕괴되면서 이들은 러시아와 프로이센 그리고 오스트리아로 편입되었다.[1301]
기독교를 국가 종교로 표방한 서유럽의 유대인에 대한 대표적 박해 양상은 의식살인(de)유언비어[1300], 성찬모독 비난, 탈무드 소각, 종교적 논쟁의 네 가지 형태로 일어났다.
### 근대
빌헬름 마르(Wilhelm Marr)는 1880년에 출판한 저서 《유대교에 대한 게르만주의의 승리》의 표지에서 1880년 판본을 사용했다.[1304]
19세기 초, 반유대주의가 만연했던 독일에서는 기독사회당(Christlich-soziale Partei) 대표인 아돌프 슈퇴커(Adolf Stoecker 1835-1909)에 의해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의 반유대주의적 주장이 널리 퍼졌고, 이는 나치(Nazi)에게도 영향을 미쳤다.[1304]
종교개혁을 이끈 교회 개혁가 마르틴 루터는 1543년에 발표한 소책자 ''유대인과 그들의 거짓말''에서 유대인에 대해 적대적인 글을 썼다. 그는 유대인을 극도로 가혹한 용어로 묘사하고, 그들을 통렬하게 비난하며, 포그롬을 권고하며, 그들의 영구적인 억압과 추방을 촉구했다. 그는 "...우리가 그들을 죽이지 않은 것이 잘못이다..."라고 적었는데, 역사가 폴 존슨은 이 구절이 "현대 반유대주의의 첫 번째 작품이자 홀로코스트로 가는 길에 거대한 발걸음을 내딛은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고 평가했다.[147]
17세기 중후반,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 왕국은 여러 갈등으로 인해 황폐화되었으며, 인구의 3분의 1 이상(300만 명 이상)이 사망했고, 유대인 사망자는 수십만 명에 달했다. 흐멜니츠키 봉기에서 보흐단 흐멜니츠키의 지지자들은 그가 통제하는 동부와 남부 지역(오늘날의 우크라이나)에서 수만 명의 유대인을 학살했다. 정확한 사망자 수는 알 수 없지만, 당시 유대인 인구 감소는 10만 명에서 20만 명으로 추산된다.[148][149]
17세기 예멘의 자이드파 이맘 국가에서도 유대인들은 차별을 받았는데, 이는 예멘 여러 지역의 모든 유대인들을 티하마의 건조한 해안 평야로 추방하는 것으로 절정에 달했으며, 마우자 추방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51] 1744년, 오스트리아 대공녀 마리아 테레지아는 유대인들을 보헤미아에서 추방하라는 명령을 내렸
2. 1. 고대와 중세
유대인에 대한 적대감은 기원전 3세기 알렉산드리아에서 그 초기 사례를 찾을 수 있다. 당시 이집트 사제이자 역사가였던 마네토는 유대인을 비난하는 글을 썼으며, 그의 주장은 여러 저술에서 반복되었다. 크니도스의 아가타르키데스는 유대인의 관습과 토라의 부조리함을 조롱했고, 기원전 320년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가 안식일을 지키던 예루살렘을 침략할 수 있었다고 비꼬았다. 기원전 170~167년경 안티오쿠스 4세 에피파네스의 반유대인 칙령은 유대에서 마카비의 봉기를 촉발시켰다.마네토의 저술을 고려할 때, 반유대주의는 이집트에서 시작되어 그리스인들에 의해 재해석되며 퍼져나갔을 가능성이 있다. 고대 유대인 철학자 알렉산드리아의 필로는 기원 38년 알렉산드리아에서 수천 명의 유대인이 사망한 공격에 대해 서술했다. 이 폭력은 유대인들이 인간혐오자로 묘사되었기 때문일 수 있다.
헬레니즘 통치자들은 성전을 더럽히고 유대인의 종교 관습을 금지하기도 했다. 로마 제국과의 관계에서도 적대적인 상황이 발생하여 여러 차례의 반란이 일어났다.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황제 티베리우스는 로마의 유대인들을 추방했다. 그러나 18세기 영국 역사가 에드워드 기번은 기원 160년경부터 로마-유대 관계가 더 관용적인 시기로 접어들었다고 보았다. 기독교가 로마 제국의 국교가 되면서 유대인에 대한 태도는 점차 악화되었다.
제임스 캐롤은 로마 제국 전체 인구의 10%를 유대인이 차지했으며, 다른 요소들이 없었다면 오늘날 세계에는 2억 명의 유대인이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6세기 후반, 서고트 왕국은 유대인과 기독교인의 결혼, 할례, 유대교 성일 준수를 금지하는 반유대인 칙령을 발표했다. 7세기에는 강제 개종, 노예화, 추방, 사형 등의 처벌을 통해 유대인에 대한 사회적 공격이 적극적으로 조장되었다.
9세기부터 중세 이슬람 세계는 유대인과 기독교인을 딤미로 분류하여 종교의 자유를 허용했다. 알 안달루스 이슬람 지배하에 스페인 유대 문화의 황금기가 있었으나, 1011년 코르도바와 1066년 그라나다에서 발생한 유대인에 대한 무슬림 포그롬으로 종말을 맞이했다. 11세기부터 이집트, 시리아, 이라크, 예멘에서 회당 파괴를 명령하는 칙령이 제정되었고, 12세기에서 18세기 사이에 예멘, 모로코, 바그다드의 일부 지역에서 유대인들은 이슬람으로 개종하거나 사형을 당해야 했다.
알모하드 칼리파는 딤미를 가혹하게 대했으며, 많은 유대인과 기독교인들이 이주했다. 일부는 더 관용적인 무슬림 지역으로, 다른 일부는 북쪽의 기독교 왕국으로 피난했다.
중세 유럽에서 유대인들은 유혈 사건, 추방, 강제 개종, 학살을 당했다. 이러한 박해는 종교적 이유로 정당화되었고, 십자군 전쟁 기간에 첫 번째 절정에 달했다. 1096년 제1차 십자군 전쟁 중 라인란트 학살에서 수백 또는 수천 명의 유대인이 살해당했다. 이는 기독교 유럽에서 최초의 주요 반유대인 폭력 사태였으며, 19세기 시오니스트들은 이스라엘 국가의 필요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언급했다.
제2차 십자군 전쟁 동안 여러 차례의 유대인 학살이 발생했다. 1251년과 1320년의 목자 십자군과 1298년의 린트플라이시 학살에서도 유대인 공격이 있었다. 1290년 영국, 1394년 프랑스, 1421년 오스트리아에서 유대인 추방이 뒤따랐다. 추방된 유대인들은 폴란드로 피난했다.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유럽에서 반유대주의 감정과 법적 조치가 심화된 데에는 프란체스코회와 도미니코회와 같은 종교 단체의 대중적인 설교가 큰 영향을 미쳤다.
14세기 중반 흑사병 전염병으로 인구의 상당 부분이 사망하자 유대인들은 희생양이 되었다. 그들이 우물에 독을 넣어 질병을 일으켰다는 소문이 퍼졌고, 수많은 유대인 공동체가 파괴되었다. 교황 클레멘스 6세는 유대인을 보호하려고 했지만, 스트라스부르에서는 900명의 유대인이 산 채로 불에 타 죽었다.
기원전 586년 신바빌로니아의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유다 왕국을 정복하고 유대인들을 바빌로니아로 강제 이주시켰다(바빌론 유수). 기원전 538년 페르시아 왕 키루스 2세가 신바빌로니아를 정복하고 유대인들을 해방시켰으나, 일부는 팔레스타인으로 귀환하지 않고 각지에 남아 디아스포라가 되었다.
기원전 4세기 그리스 철학자 아브달라의 헤카타이오스는 모세가 인간다움과 환대의 정신에 반하는 생활 방식을 세웠다고 기록했다.
기원전 2세기 셀레우코스 왕조 시리아의 왕 안티오쿠스 4세 에피파네스는 현지 유대인들을 지배했고, 기원전 167년 유대인의 반란(마카비 전쟁)이 일어나자 탄압 정책을 시작했다.
1세기 유대인 세례자 요한은 헤로데 안티파스의 간음을 비난하며 처형되었다. 나사렛 예수는 유대교를 개혁하여 보편 종교로 변화시키려 했다.
35년경 유대인 기독교인 스테파누스는 유대교를 비판했기 때문에 돌로 치는 형벌로 처형되어 기독교 최초의 순교자가 되었다. 바리새파 유대인 사울(바울)은 기독교로 회심하여 유대교를 비판했고, 이는 반유대주의의 근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철학자 세네카는 유대교와 기독교도에 대해 "극악한 민족의 습관은 점점 더 강력해져 전 세계에 뿌리를 내렸다"고 말했다.
66년 유대 전쟁이 시작되었고, 70년 예루살렘 포위전 당시 로마군은 예루살렘 성전을 파괴하고 반란을 진압했다.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로마군에 투항했고, 열심당, 사두개파, 에세네파는 소멸하고 바리새파만 남았다. 유대 전쟁 후 유대교는 존재를 허락받았지만, 예루살렘 성전 체제는 붕괴되었고, 바리새파는 야브네를 근거지로 삼았다.
70년대에 성립된 기독교 복음서에서는 바리새파를 위선자로 비판했고, 요한복음에서는 유대인을 "마귀에게서 나온 자"로 비난하여 기독교 반유대주의에 신학적 표현을 부여했다.
132년-135년 바르 코크바의 난이 발생했고,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진압 후 유대인의 할례를 금지했다.
3세기 로마 제국에서는 기독교가 박해받았지만, 기독교 신학자들의 반유대주의도 나타났다. 오리게네스는 유대인이 구세주에 대해 음모를 꾸몄고 그 죄 때문에 예루살렘이 멸망했다고 주장했다.
313년 밀라노 칙령으로 기독교를 포함한 모든 종교의 자유가 허용되었다.
380년 로마 제국이 기독교를 국교로 선포하고, 392년에는 기독교 이외의 종교가 금지되었으나, 유대교는 일신교였기 때문에 박해받지 않았다.
4세기부터 5세기에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고 동로마 제국에 로마 제국이 계승되었다.
뉴사의 그레고리우스는 유대교도를 마귀의 무리라고 욕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요한 크리소스토무스는 유대인은 야수이며 "하느님의 아들을 십자가에 못 박았다면, 시나고그는 마귀의 거처"라고 말했다. 그의 설교는 나치 독일에서 자주 인용되었다.
동로마 제국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는 유대인을 공직에서 추방했다.
5세기 초 아우구스티누스는 유대인은 결국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일 것이지만, 재림 때까지 비참한 상태로 살아남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589년 서고트 왕국은 아리우스파에서 가톨릭으로 개종했고, 유대인이 기독교도 노예나 아내를 가지는 것이 금지되었다. 612년 시세부트 왕은 유대인에게 기독교 세례를 강제했다. 694년 에기카 왕은 유대인을 모두 노예로 만들겠다고 결의했다.
636년 동로마 황제 헤라클리우스가 아랍인에게 패배하자, 점성술 예언에 따라 메로빙거 왕조 프랑크 왕 다고베르트 1세는 유대교도에게 개종 또는 추방을 명령했다.
카롤링거 왕조에서도 유대인 대상인이 활약했고, 샤를마뉴는 유대인에게 자유 통상 무역과 유대 공동체 내 사법권을 허가했다.
9세기 전반 리옹에서는 유대인이 궁정에 출입하거나 징세관이 되기도 했다. 황제 루트비히 1세는 유대교도에게 개종 운동을 허가했다.
843년 베르됭 조약 이후, 848년 바이킹의 덴마크인이 서프랑크 왕국의 보르도를 공격했을 때 유대인이 배신했다고 여겨졌다.
하자르 왕국에서는 8세기에 국왕과 고관이 유대교로 개종했다.
메디나에서 무함마드는 유대교도들이 하느님의 가르침을 잘못 해석했다고 선언하며, 유대교 부족을 추방하거나 학살했다. 이후 유대교도들은 딤미로 간주되어 지즈야세를 납부하고 이슬람에 복종하는 조건으로 신앙과 재산을 인정받았다.
꾸란에서는 유대교도를 경전의 백성으로 인정했지만, 많은 구절에서 유대교도들이 계시를 왜곡했다고 비판한다.
파티마 왕조 6대 칼리프 알하킴은 기독교와 유대교를 탄압했고, 1009년에는 성묘교회를 파괴했다.
1066년 안달루시아에서 그라나다 학살이 발생했다.
무와히드 왕조에서도 기독교도와 유대교도가 박해받았다.
카페 왕조 프랑스 왕국에서는 992년 유대인들이 기독교도에 대한 저주 의식을 행하고 있다고 고발당했다. 1007년경 로베르 2세는 유대교도에게 개종을 강요하고 따르지 않는 자는 처형하도록 명령했다.
서유럽 여러 나라에서 1009년 파티마 왕조에 의한 성묘교회 파괴에 대해 유대인이 부추겼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강제 개종이나 추방이 이루어졌다.
1066년 노르만 정복으로 루앙의 유대인이 경제 금융 정책을 담당하게 되었다.
1084년 독일 슈파이어 주교 뤼디거는 유대인에게 기독교도의 하인이나 농노, 밭이나 무기를 소유하는 것을 허락했다.
2. 2. 중세 유럽의 유대인 박해
1096년 가톨릭 교회는 십자군 전쟁을 시작했고, 교황 우르반 2세는 무슬림 침략자들로부터 성지를 회복하기 위해 그리스도의 군사들을 모집했다. 그런데 그들이 성지로 가는 도중에 만나는 유대인들을 무슬림처럼 취급하였다.[1302] 십자군의 유대인 학살에 대하여 유대 공동체는 금욕적이고 냉정한 태도를 보였다. 유대인들은 십자군이 칼을 대고 제시하는 세례를 거부하면서 세례 받기보다는 율법대로 죽음을 감수하거나 아니면 집단 자살을 택했다.[1302] 십자군의 유대인들에 대한 만행은 십자군이 회복하고자 했던 성지 예루살렘에서 자행되었다. 십자군들은 예루살렘에 도착했을 때, 그들의 칼은 무슬림들은 물론 유대인들을 죽인 피로 물들었다. 그들은 “그리스도여, 우리는 당신을 찬양합니다!” 라는 노래를 부르면서 회당에 불을 질러 안에 있던 유대인들이 산 채로 불에 타 죽게 하였다.[1302]6세기 후반, 이베리아 반도(Hispania)의 새로 가톨릭화된 서고트 왕국은 유대인과 기독교인의 결혼, 할례, 유대교 성일의 준수를 금지하는 일련의 반유대인 칙령을 발표했다.[132] 7세기 내내 서고트 왕들과 교회는 "시민 및 교회 처벌"[133]을 통해 유대인에 대한 사회적 공격을 적극적으로 조장했으며, 강제 개종, 노예화, 추방, 사형 등의 처벌이 있었다.[134] 유대인에 대한 핍박과 추방은 스페인, 포르투갈, 프랑스 등 기독교 국가를 중심으로 끊이지 않았다.[1300]
9세기부터 중세 이슬람 세계는 유대인과 기독교인을 딤미(dhimmis)로 분류하고, 중세 기독교 유럽보다 더 자유롭게 종교를 실천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알 안달루스(Al-Andalus) 이슬람 지배하에 적어도 11세기까지 지속된 스페인 유대 문화의 황금기가 있었다.[135] 그러나 1011년 코르도바(Córdoba)와 1066년 그라나다에서 발생한 사건을 포함하여 이베리아 반도에서 유대인에 대한 여러 무슬림 포그롬(pogrom)이 발생하면서 종말을 맞이했다.[136] 11세기부터 이집트, 시리아, 이라크, 예멘에서 회당(synagogue) 파괴를 명령하는 여러 칙령도 제정되었다. 또한 12세기에서 18세기 사이에 예멘, 모로코, 바그다드의 일부 지역에서 유대인들은 이슬람으로 개종하거나 사형을 당해야 했다.[137]
알모라비드 왕조(Almoravid dynasty)의 마그레브(Maghreb)와 안달루시아 지역을 장악한 알모하드 칼리파(Almohad Caliphate)[138]는 그 이전의 통치자들보다 훨씬 더 근본주의적이었으며, 딤미(dhimmis)를 가혹하게 대했다. 사형 또는 개종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던 많은 유대인과 기독교인들이 이주했다.[139][140] 마이모니데스(Maimonides) 가족과 같이 일부는 더 관용적인 무슬림 지역으로 동쪽으로 피난했고, 다른 일부는 북쪽으로 가서 성장하는 기독교 왕국에 정착했다.
중세 유럽에서 유대인들은 유혈 중상(blood libel), 추방, 강제 개종, 학살을 당했다. 이러한 박해는 종종 종교적 이유로 정당화되었고, 십자군 전쟁(Crusades) 기간에 첫 번째 절정에 달했다. 1096년, 제1차 십자군 전쟁(First Crusade) 중 수백 또는 수천 명의 유대인이 라인란트 학살(Rhineland massacres)에서 살해당했다.[141] 이는 스페인을 제외한 기독교 유럽에서 최초의 주요 반유대인 폭력 사태였으며, 19세기 시오니스트들은 이스라엘 국가의 필요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언급했다.[142]
1147년 제2차 십자군 전쟁(Second Crusade) 동안 여러 차례의 유대인 학살이 발생했다. 1251년과 1320년의 목자 십자군(Shepherds' Crusades) 모두 공격을 포함했으며, 1298년의 린트플라이시 학살(Rintfleisch massacres)도 마찬가지였다. 1290년 영국에서 유대인 추방, 1394년 프랑스에서 10만 명의 유대인 추방,[143] 1421년 오스트리아에서 수천 명의 유대인 추방 등 추방이 뒤따랐다. 추방된 유대인들은 폴란드로 피난했다.[144]
프란체스코회(특히 베르나르디노 데 펠트레(Bernardino of Feltre))와 도미니코회(특히 빈센트 페레르(Vincent Ferrer))와 같은 열렬한 개혁 종교 단체의 대중적인 설교는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유럽에서 기독교 인구 사이의 반유대주의 감정과 법적 조치가 심화되는 데 크게 기여했다.[145] 그들은 유럽 전역을 돌아다니며 종종 열정적이고 감정적인 호소를 통해 반유대주의를 조장했다.
14세기 중반 유럽을 황폐화시킨 흑사병(Black Death) 전염병으로 인구의 상당 부분이 사망하자 유대인들은 희생양으로 사용되었다. 그들이 고의로 우물에 독을 넣어 질병을 일으켰다는 소문이 퍼졌다. 수많은 박해 속에서 수백 개의 유대인 공동체가 파괴되었다(흑사병 유대인 박해). 교황 클레멘스 6세(Pope Clement VI)는 1348년 7월 6일에 첫 번째 교황 칙서(papal bull)를, 몇 달 후에 추가 교황령을 발표하여 유대인을 보호하려고 했지만, 스트라스부르(Strasbourg)에서는 전염병이 아직 영향을 미치지 않은 도시에서 900명의 유대인이 산 채로 불에 타 죽었다(스트라스부르크 학살).[146] 이러한 박해로 인하여 자연히 기독교에 대한 유대인들의 적대감은 깊어만 갔다.
스페인은 유대인들에게 기독교로의 강제 개종 칙령을 내려 탄압하고 영구적으로 추방했고, 14세기 중엽부터 16세기까지 대부분의 독일 도시에서 유대인들은 공식적으로 추방되었다.[1300] 스페인의 유대인 박해는 전유럽에 유대인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서유럽에서조차 유대인들은 발붙일 곳을 얻지못했지만, 폴란드를 중심한 동유럽은 비교적 유대인들에게 관대하여 유대인들을 위한 새로운 보금자리 구실을 하였다. 18세기 중엽 전세계의 유대인 인구는 약 300만 가량이었고 이들 중 대부분은 동유럽에 편중되어 살게 되었다. 폴란드에는 주후 18세기 말 약 150만 명이나 되는 유대인들이 살았는데 폴란드가 붕괴되면서 이들은 러시아와 프로이센 그리고 오스트리아로 편입되었다.[1301]
기독교를 국가 종교로 표방한 서유럽의 유대인에 대한 대표적 박해 양상은 의식살인(de)유언비어[1300], 성찬모독 비난, 탈무드 소각, 종교적 논쟁의 네 가지 형태로 일어났다.
2. 3. 근대
빌헬름 마르(Wilhelm Marr)는 1880년에 출판한 저서 《유대교에 대한 게르만주의의 승리》의 표지에서 1880년 판본을 사용했다.[1304]19세기 초, 반유대주의가 만연했던 독일에서는 기독사회당(Christlich-soziale Partei) 대표인 아돌프 슈퇴커(Adolf Stoecker 1835-1909)에 의해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의 반유대주의적 주장이 널리 퍼졌고, 이는 나치(Nazi)에게도 영향을 미쳤다.[1304]
종교개혁을 이끈 교회 개혁가 마르틴 루터는 1543년에 발표한 소책자 ''유대인과 그들의 거짓말''에서 유대인에 대해 적대적인 글을 썼다. 그는 유대인을 극도로 가혹한 용어로 묘사하고, 그들을 통렬하게 비난하며, 포그롬을 권고하며, 그들의 영구적인 억압과 추방을 촉구했다. 그는 "...우리가 그들을 죽이지 않은 것이 잘못이다..."라고 적었는데, 역사가 폴 존슨은 이 구절이 "현대 반유대주의의 첫 번째 작품이자 홀로코스트로 가는 길에 거대한 발걸음을 내딛은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고 평가했다.[147]
17세기 중후반,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 왕국은 여러 갈등으로 인해 황폐화되었으며, 인구의 3분의 1 이상(300만 명 이상)이 사망했고, 유대인 사망자는 수십만 명에 달했다. 흐멜니츠키 봉기에서 보흐단 흐멜니츠키의 지지자들은 그가 통제하는 동부와 남부 지역(오늘날의 우크라이나)에서 수만 명의 유대인을 학살했다. 정확한 사망자 수는 알 수 없지만, 당시 유대인 인구 감소는 10만 명에서 20만 명으로 추산된다.[148][149]
17세기 예멘의 자이드파 이맘 국가에서도 유대인들은 차별을 받았는데, 이는 예멘 여러 지역의 모든 유대인들을 티하마의 건조한 해안 평야로 추방하는 것으로 절정에 달했으며, 마우자 추방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51] 1744년, 오스트리아 대공녀 마리아 테레지아는 유대인들을 보헤미아에서 추방하라는 명령을 내렸지만, 유대인들이 10년마다 재입국 비용을 지불한다는 조건으로 곧 입장을 바꿨다. 이러한 착취는 유대인들 사이에서 ''말케-겔트''(이디시어로 "여왕의 돈")로 알려졌다.[152] 1752년, 그녀는 각 유대인 가정의 아들을 한 명으로 제한하는 법을 도입했다.
1782년, 요제프 2세는 그의 ''관용칙령''에서 이러한 박해 관행 대부분을 폐지했지만,[153][154] 이디시어와 히브리어를 공문서에서 제거하고 사법 자치권을 무효화한다는 조건이 붙었다.[155]
프랑스 혁명 이후, 반혁명적인 가톨릭 왕당파였던 루이 드 보날(Louis de Bonald)은 유대인의 해방 철회를 명시적으로 촉구한 최초의 인물들 중 한 명이다.[159][160] 보날의 유대인에 대한 공격은 나폴레옹(Napoleon)이 알자스 유대인의 시민권을 제한하기로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다.[161][162][163][164] 보날의 논문 "유대인에 관하여"(Sur les juifs, 1806)는 반자유주의, 농촌 사회의 옹호, 전통적인 기독교 반유대주의, 그리고 유대인을 은행가와 금융 자본과 동일시하는 것을 결합한 전형적인 사례를 제시했다. 이는 이후 로제 구제노 드 무소(Roger Gougenot des Mousseaux), 샤를 모라스(Charles Maurras), 에두아르 드뤼몽(Édouard Drumont)과 같은 많은 우익 반동주의자들과 모리스 바레스(Maurice Barrès), 파올로 오라노(Paolo Orano)와 같은 민족주의자들, 그리고 알퐁스 투생넬(Alphonse Toussenel)과 같은 반유대주의 사회주의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159][165][166] 또한 보날은 유대인들이 "외부" 민족, "국가 내의 국가"이며, 더 쉽게 식별하고 차별하기 위해 구별되는 표식을 착용하도록 강요받아야 한다고 선언했다.[159]
프랑스 제2제정 시대에 인기 있는 반혁명적 가톨릭 언론인 루이 뷔유요(Louis Veuillot)는 유대인의 "금융 귀족"에 대한 보날의 주장과 탈무드에 대한 악의적인 공격, 그리고 기독교인을 "예속시키려는" 증오심에 사로잡힌 "살인자 민족"으로서 유대인에 대한 공격을 전파했다.[167] 1882년부터 1886년 사이에만 프랑스 사제들은 프랑스의 문제를 유대인 탓으로 돌리고 정부에 유대인들을 다시 게토로 보내거나 추방하거나 교수형에 처하라고 촉구하는 반유대주의 책 20권을 출판했다.[167] 구제노 드 무소의 "유대인, 유대교, 그리고 기독교인들의 유대화"(Le Juif, le judaïsme et la judaïsation des peuples chrétiens, 1869)는 "현대 반유대주의의 성경"이라고 불렸으며 나치 이데올로그 알프레드 로젠베르크(Alfred Rosenberg)에 의해 독일어로 번역되었다.[167]
1768년 폴란드 왕국(Crown of the Kingdom of Poland)에서 하이다마키(Haidamaka) 코사크들이 우만 대학살(massacre of Uman)에서 수천 명의 유대인들을 학살했다. 1772년 러시아 여제 예카테리나 2세(Catherine the Great)는 유대인들을 주로 현재의 폴란드,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에 위치한 정착지(Pale of Settlement)로 강제 이주시키고, 슈테틀(shtetls)에 머물도록 강요하며, 폴란드 분할(partition of Poland) 이전에 거주했던 도시로 돌아가는 것을 금지했다. 1804년부터 유대인들은 마을에서 추방당하기 시작하여 도시로 몰려들기 시작했다.[168]
알렉산더 2세(Czar Alexander II) (재위 1855년-1881년) 치하에서 유대인에 대한 정책은 다소 자유화되었다.[170] 그러나 1881년 그의 암살은 1882년 5월 법(May Laws)과 같은 추가적인 탄압의 구실이 되었다. "검은 차르"라는 별명을 가진 콘스탄틴 포베도노스트세프(Konstantin Pobedonostsev)는 차레비치(czarevitch)의 가정교사였으며, 후에 니콜라이 2세(Czar Nicholas II)로 즉위했는데, 그는 "유대인의 3분의 1은 죽어야 하고, 3분의 1은 이민을 가야 하며, 3분의 1은 기독교로 개종해야 한다"고 선언했다.[171]
19세기 중반, J. J. 벤자민(J. J. Benjamin)은 페르시아 유대인(Persian Jews)의 삶에 대해 기술하며 1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상황과 믿음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었다. "…그들은 도시의 특정 지역에 따로 살도록 강요받았다… 불결하다는 구실로 그들은 매우 가혹하게 대우받았고, 무슬림이 거주하는 거리에 들어서면 아이들과 폭도들에게 돌과 흙을 맞았다…."[173]
1850년, "현대 반유대주의의 창시자"[176]로 불리는 독일 작곡가 리하르트 바그너(Richard Wagner)는 『음악 속의 유대교』(Das Judenthum in der Musik)를 필명으로 발표했다. 이 글은 처음에는 유대인 작곡가들을 공격하는 것으로 시작되었지만, 점차 유대인들을 독일 문화(Culture of Germany)에 해롭고 이질적인 요소로 규정하고, 도덕을 타락시키며 진정한 "독일" 예술을 창조할 능력이 없는 기생충이라고 비난하는 내용으로 확대되었다. 핵심은 유대인들이 돈 경제를 조작하고 통제한다는 것이었다.[176]
처음에는 익명으로 출판되었지만, 19년 후인 1869년에 재출판되었을 때는 타락한 유대인이라는 개념이 널리 퍼져 바그너의 이름이 붙게 되었다.[176]
반유대주의는 1812년부터 1857년까지 출판된 그림 형제(Jacob Grimm과 Wilhelm Grimm)의 그림 동화(Grimms' Fairy Tales)에서도 많이 발견된다. 주로 "착한 거래"(Der gute Handel)와 "가시나무 속의 유대인"(Der Jude im Dorn)에서처럼 유대인이 이야기의 악당으로 묘사되는 것이 특징이다.
드레퓌스 사건(Dreyfus Affair)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의 악명 높은 반유대주의 사건이었다. 프랑스군의 유대인 출신 포병 대위(wikt:captain)인 알프레드 드레퓌스(Alfred Dreyfus)는 1894년 독일에게 비밀을 넘겼다는 혐의를 받았다. 이러한 혐의로 드레퓌스는 유죄 판결을 받고 악마의 섬(Devil's Island)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실제 스파이인 마리 샤를 에스테라지(Marie Charles Esterhazy)는 무죄 판결을 받았다. 이 사건은 프랑스 국민들 사이에 큰 소란을 일으켰고, 대중은 드레퓌스가 실제로 유죄인지 아닌지에 대한 문제에 대해 서로 다른 입장을 취했다. 에밀 졸라(Émile Zola)는 군이 프랑스 사법 제도를 타락시켰다고 비난했다. 그러나 대다수의 프랑스 국민들은 드레퓌스가 유죄라고 생각했다. 프랑스 언론의 80%가 그를 비난했다. 프랑스 국민 대다수의 이러한 태도는 당시의 근본적인 반유대주의를 보여준다.[179]
아돌프 슈토커(Adolf Stoecker)(1835-1909), 빌헬름 1세(Kaiser Wilhelm I)의 루터교(Lutheran) 궁정 사제는 1878년 반유대주의적이고 자유주의(Liberalism)에 반대하는 독일 기독교사회당(Christian Social Party)이라는 정당을 창당했다.[180][181] 이 정당은 항상 규모가 작았고, 슈토커 사후 지지율이 감소했으며, 대부분의 당원은 결국 독일 민족 인민당(German National People's Party)과 같은 더 큰 보수 정당에 합류했다.
일부 학자들은 칼 마르크스(Karl Marx)의 에세이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를 반유대주의적인 것으로 보고, 그가 출판물과 개인 서신에서 종종 반유대주의적인 표현을 사용했다고 주장한다.[182] 이들은 마르크스가 자신의 에세이에서 유대교를 자본주의와 동일시하여 그러한 생각을 퍼뜨리는 데 기여했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 에세이가 나치즘(National Socialist), 소비에트, 아랍 반유대주의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183][184] 마르크스 자신은 유대인 혈통이었고, 알베르트 린데만(Albert Lindemann)과 하얌 마코비(Hyam Maccoby)는 그가 그것을 자기 증오적 유대인(Self-hating Jew)으로 부끄러워했다고 제안했다.[185][186]
반면 다른 학자들은 마르크스가 프로이센 유대인 공동체의 정치적 평등권 쟁취 투쟁을 지속적으로 지지했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가 유대인이 해방되려면 기독교로 개종해야 한다는 브루노 바우어의 주장에 대한 비판이며, 더 일반적으로 자유주의 권리 담론과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이라고 주장한다.[187][188][189][190] 이언 햄프셔-몽크(Iain Hamphsher-Monk)는 "이 작품([유대인 문제에 관하여])은 마르크스의 소위 반유대주의에 대한 증거로 인용되었지만, 이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은 이 작품에 대한 가장 피상적인 해석뿐이다"라고 썼다.[191]
데이비드 맥클레런(David McLellan)과 프랜시스 윈(Francis Wheen)은 독일에서의 유대인 해방에 관한 브루노 바우어(Bruno Bauer)의 저서 『유대인 문제』와의 논쟁이라는 더 깊은 맥락에서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를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윈은 "이것을 '나의 투쟁'의 전조로 보는 비평가들은 한 가지 중요한 점을 간과하고 있다. 서투른 어휘와 조잡한 고정관념에도 불구하고, 이 에세이는 사실 유대인을 옹호하기 위해 쓰였다. 유대인에게 완전한 시민권과 자유를 부여해서는 안 되며, 기독교로 세례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한 브루노 바우어에 대한 반박이었다"라고 말한다.[192] 맥클레런에 따르면, 마르크스는 독일어로 "Judentum"(유대교)라는 단어를 구어적으로 "상업"이라는 의미로 사용하여 독일인들은 자본주의적 생산양식(마르크스주의 이론)(capitalist mode of production)이 아닌 특정 유대교나 유대인으로부터 해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맥클레런은 독자들이 이 에세이의 후반부를 "바우어를 조롱하는 장황한 말장난"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결론짓는다.[142]
3. 현대의 반유대주의
인종 학살극인 홀로코스트의 충격으로 유럽과 미국에서는 극소수의 극우를 제외하고는 반유대주의는 자취를 감추었다.[207][208] 그러나,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반유대주의가 강하게 남아있으며, 특히 이스라엘 국가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 많은 팔레스타인인들에게서 크게 나타난다. 또 아마디네자드 이란 전 대통령이 이스라엘에 핵 미사일을 날리겠다고 공언할 만큼 특히 이슬람 종파 중 시아파에서는 극심한 반유대주의가 나타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반유대주의 사건들은 계속 발생했으며, 그중 일부는 국가가 후원한 것이었다. 소비에트 연방에서는 조세프 스탈린과 레온 트로츠키 간의 갈등을 시작으로, 공식 선전에 의해 퍼진 수많은 음모론을 통해 반유대주의가 개인적인 갈등을 해결하는 도구로까지 사용되었다. 소련의 반유대주의는 1948년 이후 "뿌리 없는 세계주의자"(유대인을 위한 완곡어)에 대한 운동 중에 수많은 이디시어 작가, 화가, 조각가들이 살해되거나 체포되면서 새로운 고점에 도달했다.[209] 1952년 '의사들의 음모'라는 반유대주의적 음모론으로 절정에 달했다.
같은 해, 반유대주의적인 슬란스키 쇼 재판은 사회주의를 파괴하려는 '국제 시온주의 음모'의 존재를 주장했다. 스탈린 사후에도 국가가 승인한 반유대주의는 지속되고 강화되었다. 1953년 2월 소련은 이스라엘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국가 매체는 반시온주의 선전으로 가득 찼다.[211] 1963년 소련 중앙 정부의 지시에 따라 작성된 반유대주의 서적 ''꾸밈없는 유대교''의 출판은 나치 선전을 반복하여 소련을 전복하려는 세계적인 유대인 음모를 주장했다.[210]
1967년 6일 전쟁은 소련이 패배한 아랍 국가들을 지원했기 때문에 소련의 반시온주의 선전이 강화되는 결과를 가져왔다.[210] 이 선전은 종종 반유대주의와 경계가 모호해져 유대인에 대한 차별 정책으로 이어지고 이들의 이민을 제한했다. 소련 공공의 반시온주의 위원회는 회당과 예시바 및 유대인 시민 단체를 폐쇄하고 몰수했으며 히브리어 학습을 금지했다.[210]
폴란드의 유사한 반유대주의적 선전은 폴란드 유대인 생존자들의 탈출로 이어졌다.[208] 전쟁 후 공산주의 폴란드에서 키엘체 유대인 학살과 "1968년 3월 사건"은 유럽에서 일어난 추가적인 반유대주의 사건을 보여주었다. 전후 폴란드의 반유대인 폭력은 피의 궤변 소문이라는 공통된 주제를 가지고 있었다.[214][215]
1944년, 극렬 시오니스트에 의해 영국 중동 장관 월터 기네스 모인 경이 암살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6년 7월 22일에는 극렬 시오니스트 에첼에 의해 킹 데이비드 호텔 폭파 사건이 발생하여 91명의 사망자를 냈다. 1948년 9월 17일에는 극렬 단체 레히에 의해 UN 특사 폴케 베르나도테 백작이 암살되었다.
1947년 11월 국제연합에서 팔레스타인 분할 결의안이 채택되자 아랍 측은 반발하였고, 팔레스타인 내전이 시작되었다. 1948년 4월에는 데이르 야신 학살과 하다사 의료진 학살 사건이 발생하였다. 1948년 5월 14일 영국이 위임통치를 종료하자 동시에 이스라엘이 독립을 선언하였다. 다음 날, 중동 전쟁이 발발하였다.
1980년대에 이스라엘은 골란 고원 병합, 레바논 침공, 1987년의 제1차 인티파다 진압 등을 실시하였는데, 이러한 군사 행동에 대한 국제적인 비판에 대해 이스라엘은 "시오니즘 비판은 반유대주의이다"라고 반론하며 국내외 언론인들을 위협하였다.
이스라엘인과 팔레스타인인 간의 분쟁은 계속되어 2000년의 제2차 인티파다, 2006년의 가자 지구 공격, 2008년의 가자 전쟁, 2014년의 가자 지구 공격이 발생하였다.
2016년 12월 24일에는 UN이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자치구 내 정착 활동을 비난하는 결의안을 채택하였다.[1253] 이스라엘의 다논 UN 대표는 유대인의 심장인 예루살렘 수도에서의 주택 건설을 비난하는 행위이며, 프랑스인이 파리에, 미국인이 워싱턴에 주택을 건설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인가라고 반발하였다.[1254]
1946년,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율리우스 슈트라이허는 "만약 히틀러가 살아있었다면, 반드시 오늘 저의 대신 이 피고석에 앉아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1949년, 전 독일 국방군의 오토 에른스트 레머와 프리츠 도를스가 서독에서 독일 사회주의 제국당을 결성하여 플렌스부르크 정부를 정통 정부로 인정하고, 독일 연방 공화국을 미국의 꼭두각시 정권으로 간주했다. 1951년 니더작센주 선거에서 11%의 득표율을 기록했지만, 이듬해 "네오나치 조직"으로 규정되어 해산 명령을 받았다.[1255]
1964년, 전 나치당 친위대 발데마르 쉬츠가 독일 국가민주당을 창당했고, 이 당은 현재까지도 활동하고 있다.
기독교사회연합 당수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는 1969년 경제적으로 위업을 달성한 독일 국민은 더 이상 아우슈비츠 때문에 비난받을 권리가 없다고 발언했고, 1977년에는 독일의 과거를 끊임없이 거론하는 것을 중단해주길 바라며, 이스라엘을 포함한 주변국으로부터 비난받을 이유가 없다고 발언했다.
1983년, 전 나치당 친위대 프란츠 쇤후버 등이 뮌헨에서 독일 공화당을 창당했지만, 쇤후버는 "국가 사회주의 국가는 법치와 모순되며, 인종주의와 파시즘은 독일에게 끔찍한 파국을 가져왔다"며 나치를 비판했다.
2008년, 당시 메르켈 총리가 국내 논의 없이 이스라엘 국회에서 이스라엘의 안보를 국시로 연설함으로써 분위기가 바뀌었고, 이스라엘 출신 홀로코스트 연구가인 미국 브라운 대학교의 오메르 바르토프 교수에 따르면 이스라엘 측의 압력도 있었기에 이스라엘 정부 정책에 대한 비판이 전혀 불가능해졌다고 한다.[1258]
그리스 경제 위기(2010~ )와 유럽 국가 부채 위기를 배경으로 2013년 독일을 위한 대안이 창당되어 반EU, 반이슬람, 난민 정책 비판 등을 주장했다. AfD 당원 중에는 반유대주의적 발언을 하는 사람도 있다.
오스트리아 사회당 대표이자 최초의 유대인 오스트리아 총리인 브루노 크라이스키는 급진적으로 시오니즘을 비판하는 좌익일 뿐만 아니라 "유대인이 인간이라면, 메스꺼움을 유발하는 종류의 인간이다"라고 말하는 반유대주의자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전쟁 중 반유대주의적 발언을 반복했던 조르주 베르나노스는 바르샤바 게토 봉기를 칭찬했고, 악시옹 프랑세즈의 모니에도 전후 유대인의 명예에 대해 논했다.[1266][1267]
『장 크리스토프』와 『티보 가의 사람들』 등에서 유대인의 외모에 대한 상투적인 이미지는 사르트르의 반유대주의를 비판한 『유대인』(1946년)에서도 계승되어 "매부리코", "두꺼운 입술" 등으로 묘사되었다.
1979년 3월, 파리의 유대인 학생 기숙사 식당에서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30명이 부상을 입었다.[1269] 1980년 10월 3일에도 코페르니크 거리의 시나고그에서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사망자 4명, 부상자 20명의 희생자를 냈다.
1982년 8월 9일, 파리 유대인 거리 중심부의 로지에 거리의 유대인 음식점 조 골덴베르그에 수류탄이 투척되어 사망자 6명, 부상자 22명이 발생했다.
1983년 이후, 장마리 르펜의 국민전선이 급속히 성장했다. 르펜은 1987년 9월에 "가스실의 존재 여부는 사소한 문제다"라고 발언했다.
1990년 5월 10일, 카르팡트라의 유대인 묘지 훼손 사건에서는 유골이 파헤쳐지고 꿰뚫렸다.
1990년, 프랑스 공산당 의원 장클로드 게소에 의해 "인종차별·반유대주의·배타주의 행위 억제법(게소 법)"이 제정되었다.[1271]
2015년 1월 9일 파리에서 발생한 유대인 식료품점 인질극에서는 ISIL에 감화된 범인이 범행 당시 가게 손님들에게 "너희들은 유대인이니까 모두 죽인다"고 말했다.[1272]
작가 조지 오웰은 나치의 유대인 학살이 보도된 이후인 1945년 2월의 "영국에서의 반유대주의"에서 "반유대적인 감정을 자인할 바에는 차라리 죽는 편이 낫다고 말하고 싶어하는 많은 사람들은 반유대주의적인 경향을 마음속에 품고 있다"고 했다.
2018년 10월 27일, 펜실베이니아주 스크웨럴힐의 유대교회 시나고그에서 "모든 유대인은 죽어라"고 외치며 무차별 총격 사건이 발생하여 11명이 사망했다(피츠버그 시나고그 총격 사건)[1278].
유대계 신보수주의자인 노먼 포도레츠와 어빙 크리스톨 등이 대학의 흑인 우대 정책에 반대하면서 흑인들의 반발을 사, 유대인과 흑인 사이의 갈등이 발생했다.
흑인 작가 제임스 볼드윈은 할렘의 유대인 집주인과 유대인 상인을 비판하며 "유대인들은 할렘에서 예전에 기독교인들이 맡았던 역할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1279]
유대인과 대립한 미국의 흑인 운동에서는 이스라엘 비난과 아랍 지원 노선이 강화되었다. 블랙 내셔널리즘의 국가 이슬람을 이끄는 루이스 파라칸은 반유대적인 발언을 반복했고, 1985년에는 "유대인들을 오븐에 집어넣은 것은 신이다"라고 말해 명예훼손 방지 연맹으로부터 비난을 받았다.[1280]
유대인들은 혁명과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반유대주의가 격화된 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 초반 스탈린 정권 하에서는 책임 있는 요직에 유대인이 한 명도 임명되지 않았다.[1281]
1948년 1월, 유대인 자치주 비로비잔에서 유대인 반파시스트 위원회 의장 솔로몬 미호엘스가 암살되었고, 11월에는 위원회가 해체되었으며, 12월에는 유대인 지도자들이 미국의 스파이로 고발되었다.
1953년 1월 13일, 미국의 유대인 단체 조인트의 지시를 받고 정치가 지다노프와 슈체르바코프 장군을 암살했다는 혐의로 유대인 의사들이 체포되었고, 언론에서는 "시온주의자들의 범죄"로 규탄하는 캠페인이 벌어지는 의사단 음모 사건이 발생했다.
스탈린에 이어 니키타 흐루시초프 서기장 역시 반유대주의자였다. 흐루시초프는 유대인이 높은 지위에 오르면 주민들로부터 좋지 않게 보인다는 이유로 유대인의 승진을 막는 등 반유대주의적인 정책을 폈다.
1962년, 영국의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이 프랑수아 모리아크와 유대인 철학자 마르틴 부버의 지지를 얻어 흐루시초프 체제 하의 유대인 박해에 항의했다.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서기장(재임 기간 1964년 – 1982년) 시대에도 반유대주의는 계속되었다. 1966년, 유대계 작가 유리 다니엘은 굴락에 5년간 강제 수용되었고, 안드레이 시냐프스키는 “아브람 테르츠”라는 유대식 필명으로 에세이를 발표했기 때문에 7년의 굴락 수용이 선고되었다.[1283]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소련에서는 반시온주의 캠페인이 전개되었고, 유리 이바노프는 저서 『시온주의에 주의하라』에서 시온주의자와 나치의 연계에 대해 논했다.
1985년, 드미트리 바실리예프가 창설한 러시아 애국주의 단체 파먄치는 반유대주의를 공공연히 내걸고, 러시아가 시온주의의 공격, 탈무드의 무신론, 코스모폴리타니즘의 침략에 굴복하여 부를 빼앗겼다고 주장했다.
1991년 12월,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1993년 10월, 러시아 자유민주당의 블라디미르 지리놉스키는 이스라엘과 시온주의자들이 미국과 결탁하여 소련에 두 번째 유대인 국가를 건설하려 하고 있으며, 또한 유대인들이 러시아 신문을 지배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홀로코스트 부정도 등장했지만, 반유대주의로 비판받고 있다.
- 폴란드에서는 1968년에 반유대주의에 반대했던 아담 라파츠키가 해임되었다.
- 1979년에 요한 바오로 2세는 로마 교황으로서 처음으로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를 방문했고, 1983년 4월에는 교황으로서 처음으로 로마의 대시나고그를 방문했다.
- 일본에서는 일유동조론, 유대인 음모론 등이 자주 출판되었다.
3. 1. 홀로코스트
1939년, 당시 에두아르 달라디에 내각 정보국장이었던 극작가 장 지로두는 정치 논문 『전권』에서 유대인들이 프랑스 정신을 위협한다고 주장했다.[1047] 지로두는 "인종성(省)" 설치를 제안하며 "우리는 히틀러와 완전히 의견을 같이한다"고 주장했다.[1048]1940년 나치 독일의 프랑스 점령 이후, 피에르 드뤼 라 로셸과 같은 협력(대독 협력)자도 있었다.[1049] 벨기에의 폴 드 망은 친나치 신문 Le Soir에 유럽 문명에서 유대인의 영향력을 부정하며 마다가스카르 계획을 옹호하는 글을 발표했다.[1050] 1944년 조르주 베르나노스는 유대 민족의 이익이 오트뱅크(Haut Banque)의 이익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주장했다.[1051]
히틀러 이전 시대, 프랑스에서의 반유대주의는 일류 지식인들에게 받들어진 "격조 높은 세계관"이었다.[1052]
1932년 11월 독일 국회의원 선거에서 나치당은 제1당이 되었지만, 슐라이허는 히틀러에게 협력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1214] 히틀러의 오른팔이었던 그레고어 슈트라서는 부총리로 입각 제의를 받았으나, 히틀러 등의 비난으로 당의 모든 직책을 사임했다.[1214] 슈트라서는 1934년 긴 칼의 밤에 뢰름과 함께 살해되었다.[1214]
파펜은 슐라이허에게 정권을 빼앗겼기 때문에, 자신을 부총리로 하면 히틀러의 총리 취임에 협력하겠다고 제안하여 합의했다.[1215] 1933년 1월 28일 슐라이허 내각은 총사퇴를 했다.[1216] 1933년 1월 30일,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 독일 국가인민당, 철모단의 연립 내각 히틀러 내각이 탄생했다.[1217] 히틀러는 독일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을 계기로 공산당을 탄압하고, 1933년 3월 독일 국회의원 선거에서 288석을 획득했다.[1218] 1933년 3월 23일에는 권한법의 일종인 국민 및 국가의 곤경 제거를 위한 법(전권위임법)을 통과시켰다.[1218]
3. 2. 홀로코스트 이후
홀로코스트의 충격으로 유럽과 미국에서는 극소수의 극우를 제외하고는 반유대주의가 자취를 감추었다.[207][208] 그러나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반유대주의가 여전히 강하게 남아있으며, 특히 이스라엘 국가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 많은 팔레스타인인들에게서 크게 나타난다. 아마디네자드 이란 전 대통령은 이스라엘에 핵 미사일을 날리겠다고 공언할 만큼 이슬람 종파 중 시아파에서 극심한 반유대주의가 나타나고 있다.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반유대주의 사건들은 계속 발생했으며, 그중 일부는 국가가 후원한 것이었다. 소비에트 연방에서는 조세프 스탈린과 레온 트로츠키 간의 갈등을 시작으로, 공식 선전에 의해 퍼진 수많은 음모론을 통해 반유대주의가 개인적인 갈등을 해결하는 도구로까지 사용되었다. 소련의 반유대주의는 1948년 이후 "뿌리 없는 세계주의자"(유대인을 위한 완곡어)에 대한 운동 중에 수많은 이디시어 작가, 화가, 조각가들이 살해되거나 체포되면서 새로운 고점에 도달했다.[209] 1952년 '의사들의 음모'라는 반유대주의적 음모론으로 절정에 달했다.
같은 해, 반유대주의적인 슬란스키 쇼 재판은 사회주의를 파괴하려는 '국제 시온주의 음모'의 존재를 주장했다. 스탈린 사후에도 국가가 승인한 반유대주의는 지속되고 강화되었다. 1953년 2월 소련은 이스라엘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국가 매체는 반시온주의 선전으로 가득 찼다.[211] 1963년 소련 중앙 정부의 지시에 따라 작성된 반유대주의 서적 ''꾸밈없는 유대교''의 출판은 나치 선전을 반복하여 소련을 전복하려는 세계적인 유대인 음모를 주장했다.[210]
1967년 6일 전쟁은 소련이 패배한 아랍 국가들을 지원했기 때문에 소련의 반시온주의 선전이 강화되는 결과를 가져왔다.[210] 이 선전은 종종 반유대주의와 경계가 모호해져 유대인에 대한 차별 정책으로 이어지고 이들의 이민을 제한했다. 소련 공공의 반시온주의 위원회는 회당과 예시바 및 유대인 시민 단체를 폐쇄하고 몰수했으며 히브리어 학습을 금지했다.[210]
폴란드의 유사한 반유대주의적 선전은 폴란드 유대인 생존자들의 탈출로 이어졌다.[208] 전쟁 후 공산주의 폴란드에서 키엘체 유대인 학살과 "1968년 3월 사건"은 유럽에서 일어난 추가적인 반유대주의 사건을 보여주었다. 전후 폴란드의 반유대인 폭력은 피의 궤변 소문이라는 공통된 주제를 가지고 있었다.[214][215]
1944년, 극렬 시오니스트에 의해 영국 중동 장관 월터 기네스 모인 경이 암살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6년 7월 22일에는 극렬 시오니스트 에첼에 의해 킹 데이비드 호텔 폭파 사건이 발생하여 91명의 사망자를 냈다. 1948년 9월 17일에는 극렬 단체 레히에 의해 UN 특사 폴케 베르나도테 백작이 암살되었다.
1947년 11월 국제연합에서 팔레스타인 분할 결의안이 채택되자 아랍 측은 반발하였고, 팔레스타인 내전이 시작되었다. 1948년 4월에는 데이르 야신 학살과 하다사 의료진 학살 사건이 발생하였다. 1948년 5월 14일 영국이 위임통치를 종료하자 동시에 이스라엘이 독립을 선언하였다. 다음 날, 중동 전쟁이 발발하였다.
1980년대에 이스라엘은 골란 고원 병합, 레바논 침공, 1987년의 제1차 인티파다 진압 등을 실시하였는데, 이러한 군사 행동에 대한 국제적인 비판에 대해 이스라엘은 "시오니즘 비판은 반유대주의이다"라고 반론하며 국내외 언론인들을 위협하였다.
이스라엘인과 팔레스타인인 간의 분쟁은 계속되어 2000년의 제2차 인티파다, 2006년의 가자 지구 공격, 2008년의 가자 전쟁, 2014년의 가자 지구 공격이 발생하였다.
2016년 12월 24일에는 UN이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자치구 내 정착 활동을 비난하는 결의안을 채택하였다.[1253] 이스라엘의 다논 UN 대표는 유대인의 심장인 예루살렘 수도에서의 주택 건설을 비난하는 행위이며, 프랑스인이 파리에, 미국인이 워싱턴에 주택을 건설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인가라고 반발하였다.[1254]
1946년,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율리우스 슈트라이허는 "만약 히틀러가 살아있었다면, 반드시 오늘 저의 대신 이 피고석에 앉아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1949년, 전 독일 국방군의 오토 에른스트 레머와 프리츠 도를스가 서독에서 독일 사회주의 제국당을 결성하여 플렌스부르크 정부를 정통 정부로 인정하고, 독일 연방 공화국을 미국의 꼭두각시 정권으로 간주했다. 1951년 니더작센주 선거에서 11%의 득표율을 기록했지만, 이듬해 "네오나치 조직"으로 규정되어 해산 명령을 받았다.[1255]
1964년, 전 나치당 친위대 발데마르 쉬츠가 독일 국가민주당을 창당했고, 이 당은 현재까지도 활동하고 있다.
기독교사회연합 당수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는 1969년 경제적으로 위업을 달성한 독일 국민은 더 이상 아우슈비츠 때문에 비난받을 권리가 없다고 발언했고, 1977년에는 독일의 과거를 끊임없이 거론하는 것을 중단해주길 바라며, 이스라엘을 포함한 주변국으로부터 비난받을 이유가 없다고 발언했다.
1983년, 전 나치당 친위대 프란츠 쇤후버 등이 뮌헨에서 독일 공화당을 창당했지만, 쇤후버는 "국가 사회주의 국가는 법치와 모순되며, 인종주의와 파시즘은 독일에게 끔찍한 파국을 가져왔다"며 나치를 비판했다.
2008년, 당시 메르켈 총리가 국내 논의 없이 이스라엘 국회에서 이스라엘의 안보를 국시로 연설함으로써 분위기가 바뀌었고, 이스라엘 출신 홀로코스트 연구가인 미국 브라운 대학교의 오메르 바르토프 교수에 따르면 이스라엘 측의 압력도 있었기에 이스라엘 정부 정책에 대한 비판이 전혀 불가능해졌다고 한다.[1258]
그리스 경제 위기(2010~ )와 유럽 국가 부채 위기를 배경으로 2013년 독일을 위한 대안이 창당되어 반EU, 반이슬람, 난민 정책 비판 등을 주장했다. AfD 당원 중에는 반유대주의적 발언을 하는 사람도 있다.
오스트리아 사회당 대표이자 최초의 유대인 오스트리아 총리인 브루노 크라이스키는 급진적으로 시오니즘을 비판하는 좌익일 뿐만 아니라 "유대인이 인간이라면, 메스꺼움을 유발하는 종류의 인간이다"라고 말하는 반유대주의자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전쟁 중 반유대주의적 발언을 반복했던 조르주 베르나노스는 바르샤바 게토 봉기를 칭찬했고, 악시옹 프랑세즈의 모니에도 전후 유대인의 명예에 대해 논했다.[1266][1267]
『장 크리스토프』와 『티보 가의 사람들』 등에서 유대인의 외모에 대한 상투적인 이미지는 사르트르의 반유대주의를 비판한 『유대인』(1946년)에서도 계승되어 "매부리코", "두꺼운 입술" 등으로 묘사되었다.
1979년 3월, 파리의 유대인 학생 기숙사 식당에서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30명이 부상을 입었다.[1269] 1980년 10월 3일에도 코페르니크 거리의 시나고그에서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사망자 4명, 부상자 20명의 희생자를 냈다.
1982년 8월 9일, 파리 유대인 거리 중심부의 로지에 거리의 유대인 음식점 조 골덴베르그에 수류탄이 투척되어 사망자 6명, 부상자 22명이 발생했다.
1983년 이후, 장마리 르펜의 국민전선이 급속히 성장했다. 르펜은 1987년 9월에 "가스실의 존재 여부는 사소한 문제다"라고 발언했다.
1990년 5월 10일, 카르팡트라의 유대인 묘지 훼손 사건에서는 유골이 파헤쳐지고 꿰뚫렸다.
1990년, 프랑스 공산당 의원 장클로드 게소에 의해 "인종차별·반유대주의·배타주의 행위 억제법(게소 법)"이 제정되었다.[1271]
2015년 1월 9일 파리에서 발생한 유대인 식료품점 인질극에서는 ISIL에 감화된 범인이 범행 당시 가게 손님들에게 "너희들은 유대인이니까 모두 죽인다"고 말했다.[1272]
작가 조지 오웰은 나치의 유대인 학살이 보도된 이후인 1945년 2월의 "영국에서의 반유대주의"에서 "반유대적인 감정을 자인할 바에는 차라리 죽는 편이 낫다고 말하고 싶어하는 많은 사람들은 반유대주의적인 경향을 마음속에 품고 있다"고 했다.
2018년 10월 27일, 펜실베이니아주 스크웨럴힐의 유대교회 시나고그에서 "모든 유대인은 죽어라"고 외치며 무차별 총격 사건이 발생하여 11명이 사망했다(피츠버그 시나고그 총격 사건)[1278].
유대계 신보수주의자인 노먼 포도레츠와 어빙 크리스톨 등이 대학의 흑인 우대 정책에 반대하면서 흑인들의 반발을 사, 유대인과 흑인 사이의 갈등이 발생했다.
흑인 작가 제임스 볼드윈은 할렘의 유대인 집주인과 유대인 상인을 비판하며 "유대인들은 할렘에서 예전에 기독교인들이 맡았던 역할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1279]
유대인과 대립한 미국의 흑인 운동에서는 이스라엘 비난과 아랍 지원 노선이 강화되었다. 블랙 내셔널리즘의 국가 이슬람을 이끄는 루이스 파라칸은 반유대적인 발언을 반복했고, 1985년에는 "유대인들을 오븐에 집어넣은 것은 신이다"라고 말해 명예훼손 방지 연맹으로부터 비난을 받았다.[1280]
유대인들은 혁명과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반유대주의가 격화된 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 초반 스탈린 정권 하에서는 책임 있는 요직에 유대인이 한 명도 임명되지 않았다.[1281]
1948년 1월, 유대인 자치주 비로비잔에서 유대인 반파시스트 위원회 의장 솔로몬 미호엘스가 암살되었고, 11월에는 위원회가 해체되었으며, 12월에는 유대인 지도자들이 미국의 스파이로 고발되었다.
1953년 1월 13일, 미국의 유대인 단체 조인트의 지시를 받고 정치가 지다노프와 슈체르바코프 장군을 암살했다는 혐의로 유대인 의사들이 체포되었고, 언론에서는 "시온주의자들의 범죄"로 규탄하는 캠페인이 벌어지는 의사단 음모 사건이 발생했다.
스탈린에 이어 니키타 흐루시초프 서기장 역시 반유대주의자였다. 흐루시초프는 유대인이 높은 지위에 오르면 주민들로부터 좋지 않게 보인다는 이유로 유대인의 승진을 막는 등 반유대주의적인 정책을 폈다.
1962년, 영국의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이 프랑수아 모리아크와 유대인 철학자 마르틴 부버의 지지를 얻어 흐루시초프 체제 하의 유대인 박해에 항의했다.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서기장(재임 기간 1964년 – 1982년) 시대에도 반유대주의는 계속되었다. 1966년, 유대계 작가 유리 다니엘은 굴락에 5년간 강제 수용되었고, 안드레이 시냐프스키는 “아브람 테르츠”라는 유대식 필명으로 에세이를 발표했기 때문에 7년의 굴락 수용이 선고되었다.[1283]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소련에서는 반시온주의 캠페인이 전개되었고, 유리 이바노프는 저서 『시온주의에 주의하라』에서 시온주의자와 나치의 연계에 대해 논했다.
1985년, 드미트리 바실리예프가 창설한 러시아 애국주의 단체 파먄치는 반유대주의를 공공연히 내걸고, 러시아가 시온주의의 공격, 탈무드의 무신론, 코스모폴리타니즘의 침략에 굴복하여 부를 빼앗겼다고 주장했다.
1991년 12월,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1993년 10월, 러시아 자유민주당의 블라디미르 지리놉스키는 이스라엘과 시온주의자들이 미국과 결탁하여 소련에 두 번째 유대인 국가를 건설하려 하고 있으며, 또한 유대인들이 러시아 신문을 지배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홀로코스트 부정도 등장했지만, 반유대주의로 비판받고 있다.
- 폴란드에서는 1968년에 반유대주의에 반대했던 아담 라파츠키가 해임되었다.
- 1979년에 요한 바오로 2세는 로마 교황으로서 처음으로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를 방문했고, 1983년 4월에는 교황으로서 처음으로 로마의 대시나고그를 방문했다.
- 일본에서는 일유동조론, 유대인 음모론 등이 자주 출판되었다.
4. 반유대주의의 원인과 유형
반유대주의는 개인적인 증오에서 홀로코스트와 포그롬 등 폭력적인 박해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가장 오래된 증오'라고 불릴 만큼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1293]
유럽 기독교인들이 유대인을 예수를 죽인 민족으로 여기고, 고대교회 교부들은 유대인들을 위선자라고 부른 종교적 편견[1294][1295]이나, 유대인을 열등한 인종으로 보는 인종 차별이 반유대주의의 발단이 될 수 있다. 시온주의와 이스라엘을 반대하는 극우파, 근대 유럽의 사회주의[1296]와 이슬람 급진주의에서도 반유대주의를 찾을 수 있다.
반유대주의의 첫 발생은 확실하지 않다. 베를린 자유 대학교 페터 셰퍼(de) 교수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고대 이집트의 이야기를 다시 이야기 할 때 널리 퍼졌다고 주장했고 반유대주의는 이집트에서만 일어났다고 주장한다.[1297] 가장 오래된 반유대주의의 흔적은 Agatharchides의 책에서 찾아볼 수 있다. 기원전 2세기당시 고대그리스의 역사가였던 그는 유대인들의 풍습은 어리석다고 조롱했고 안식일을 지내서 예루살렘이 침략받았다고 비꼰적 있다.[1298] 독일의 프리드리히 니체의 주장에 의하면 유대인은 고대 시절부터 대부분 민족으로부터 노예로 태어난 민족이라 여겨졌으나 노력을 통하여 노예의 도덕이 승리하게 했다고 한다.
구약성서인 《마카베오기 제1권》에도 이스라엘의 예루살렘을 점령한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의 반유대주의정책이 언급되어 있다.[1299]
반유대주의는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르네 쾨니히는 사회적, 경제적, 종교적, 정치적 반유대주의를 예시로 언급하며, 이러한 형태들이 "반유대주의적 편견의 기원이 서로 다른 역사적 시대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한다. 쾨니히는 서로 다른 반유대주의적 편견의 연대기적 차이와 인구의 서로 다른 부분에 걸친 그러한 편견의 불규칙적인 분포가 "다양한 종류의 반유대주의를 정의하는 데 심각한 어려움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78]
이러한 어려움은 반유대주의의 형태를 분류하기 위해 개발된 서로 다른 분류 체계가 존재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확인된 형태는 상당히 동일하며, 주로 형태의 수와 정의가 다르다. 1890년대에 글을 쓴 베르나르 라자르는 기독교 반유대주의, 경제적 반유대주의, 민족학적 반유대주의의 세 가지 형태를 확인했다.[79] 윌리엄 브루스테인은 종교적, 인종적, 경제적, 정치적의 네 가지 범주를 제시한다.[80] 로마 가톨릭 역사가 에드워드 플래너리는 정치적 및 경제적 반유대주의, 신학적 또는 종교적 반유대주의(때때로 반유대주의라고도 함[81]), 국가주의적 반유대주의, 인종적 반유대주의의 네 가지 유형을 구분했다.
제프리 골드버그는 2015년에 "유럽은 온갖 죄에 대해 유대인을 비난해 왔다"고 언급하며, 교회는 유대인을 예수를 죽인 자로 비난했고, 볼테르는 유대인을 기독교를 발명한 자로 비난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반유대주의자들의 불안한 마음속에서 유대인은 고리대금업자이자 우물에 독을 탄 자이며 전염병을 퍼뜨린 자였다고 덧붙였다. 유대인은 공산주의와 자본주의 모두의 창시자였고, 배타적이면서도 세계 시민이었으며, 비겁하고 호전적이면서도 자기 의식이 강한 도덕가이자 문화를 더럽히는 자였다고 설명한다.[82]
1980년대에 글을 쓴 루이 하랍은 "경제적 반유대주의"를 분리하고 "정치적" 및 "국가주의적" 반유대주의를 "이데올로기적 반유대주의"로 통합했다. 하랍은 또한 "사회적 반유대주의" 범주를 추가했다.[83] 그는 종교적, 경제적, 사회적, 인종적, 이데올로기적, 문화적 반유대주의를 구분했다.
'''종교적 반유대주의'''는 '''반유대주의'''라고도 하며, 유대인들의 종교적 신념 때문에 유대인들에 대한 반감을 의미한다.[84] 15세기 후반과 16세기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마라노''(기독교로 개종한 유대인)의 경우처럼, 유대교 또는 유대인 관습을 은밀히 실천하고 있다는 의심을 받으면서 개종 후에도 차별이 지속되는 경우가 있다. 어니스트 주앙(Ernest Jouin)과 에두아르 드루몽(Édouard Drumont)과 같이, 일부 기독교인들은 종교적 반유대주의와 인종적 반유대주의를 결합했다.[86][87][88]
'''경제적 반유대주의'''의 근본적인 전제는 유대인들이 해로운 경제 활동을 하거나, 유대인이 경제 활동을 할 때 해롭게 된다는 것이다.[89] 돈과 유대인을 연결하는 것은 가장 파괴적이고 지속적인 반유대주의적 허위 주장의 기반이 된다.[90] 이러한 주장은 ''시온 장로 의정서''에서 제기되었고, 이후 헨리 포드와 그의 ''디어본 독립신문''에 의해 반복되었다.
'''인종적 반유대주의'''는 종교로서의 유대교가 아닌, 인종/민족 집단으로서의 유대인에 대한 편견이다.[98]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이는 비유럽인을 열등한 것으로 분류한 우생학 운동의 일부로서 주류의 수용을 얻었다.
'''정치적 반유대주의'''는 유대인들이 국가적 또는 세계적 권력을 추구한다는 믿음에 기반한 유대인에 대한 적대감으로 정의된다.
'''문화적 반유대주의'''는 유대인들이 특정 문화를 타락시키고, 선호되는 문화를 획일적이고 저급한 '유대인' 문화로 대체하려 하거나 실제로 대체했다고 비난한다.
홀로코스트 부정 및 유대인 음모론 또한 반유대주의의 형태로 간주된다.[56][113][114][115][116][117]
1990년대부터 일부 학자들은 좌파, 우파, 그리고 극단적 이슬람에서 동시에 나타나는 새로운 반유대주의 개념을 제시해 왔다.
4. 1. 원인
반유대주의는 개인적인 증오에서부터 홀로코스트와 포그롬 같은 폭력적인 박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는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어 가장 오래된 증오라고 불리기도 한다.[1293]유럽 기독교인들이 유대인을 예수를 죽인 민족으로 여기고, 고대교회 교부들은 유대인들을 위선자라고 부른 종교적 편견[1294][1295]이나, 유대인을 열등한 인종으로 보는 인종 차별이 반유대주의의 발단이 될 수 있다. 시온주의와 이스라엘을 반대하는 극우파, 근대 유럽의 사회주의[1296]와 이슬람 급진주의에서도 반유대주의를 찾을 수 있다.
반유대주의의 첫 발생은 확실하지 않다. 베를린 자유 대학교 페터 셰퍼(de) 교수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고대 이집트의 이야기를 다시 이야기 할 때 널리 퍼졌다고 주장했고, 반유대주의는 이집트에서만 일어났다고 주장한다.[1297] 가장 오래된 반유대주의의 흔적은 Agatharchides의 책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그는 기원전 2세기 당시 고대그리스의 역사가였으며, 유대인들의 풍습은 어리석다고 조롱했고 안식일을 지내서 예루살렘이 침략받았다고 비꼰 적이 있다.[1298] 독일의 프리드리히 니체의 주장에 의하면 유대인은 고대 시절부터 대부분 민족으로부터 노예로 태어난 민족이라 여겨졌으나 노력을 통하여 노예의 도덕이 승리하게 했다고 한다.
구약성서인 《마카베오기 제1권》에도 이스라엘의 예루살렘을 점령한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의 반유대주의 정책이 언급되어 있다.[1299] 반유대주의는 인종차별, 외국인 혐오, 투사된 죄책감, 전치 격분, 음모론, 그리고 속죄양 찾기라는 측면에서 설명되어 왔다.[263]
반유대주의 학자 라스 피셔(Lars Fischer)는 "학자들은 (일부) 유대인들이 하는 행동과 반유대주의적 인식 사이의 실제적 인과 관계(단순한 우연적 상관관계가 아닌)(대응 이론)를 가정하는 이론과, 그러한 인과 관계가 존재하지 않고 '유대인들'이 반유대주의적 가정의 투사를 위한 방패 역할을 한다는 개념을 전제로 하는 이론을 구분한다"고 썼다.[264] 후자의 입장은 테오도르 아도르노의 예시로 볼 수 있는데, 그는 "반유대주의는 유대인에 대한 소문"이라고 썼다. 다시 말해, "유대인들을 보이지 않으면서도 어디에나 존재하고, 배후에서 권력의 실을 쥐고 조종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보는 음모론적 사고방식"이다.[265][266]
대응 이론의 예로, 베르나르 라자르의 1894년 저서는 유대인 자신들이 일부 반유대주의적 고정관념에 대해 책임이 있는지 질문하면서, 예를 들어 유대인들이 전통적으로 자신들만의 공동체, 관습, 법률을 고수함으로써 반사회적인 유대인이라는 인식을 불러일으켰다는 주장을 펼쳤다. 그는 나중에 이 믿음을 버렸고, 그 책은 오늘날 반유대주의적인 것으로 여겨진다.[267][268][269] 또 다른 예로, 월터 라쿠르는 유대인이 탐욕스럽다는 반유대주의적 인식(유대인에 대한 고정관념)이 중세 시대 유럽에서 유대인들이 상당 부분의 돈을 빌려주는 일을 했기 때문에 생겨났을 가능성이 있다고 제안했다. 이러한 상황에 기여한 요인으로는 유대인들이 다른 직업에 종사하는 것이 제한되었다는 점, 그리고 그리스도교가 신자들에게 돈을 빌려주는 것은 부도덕한 "고리대금"이라고 선언했던 점이 포함된다.[270] 하지만 역사가 줄리 멜의 연구와 같은 최근 연구는 유대인들이 그 분야에서 과대표되지 않았고, 그러한 고정관념은 소수자에게 금기된 행동을 투사하는 그리스도교의 투사에 근거한 것이라고 보여준다.[264][271][272]
역사가 데이비드 니렌버그는 "반유대주의: 서구 전통"(2013)에서 반유대주의의 역사를 추적하면서, 반유대주의는 고립된 역사적 사건이나 문화적 편견의 산물이 아니라 서구 사상과 사회의 본질에 깊이 뿌리내린 것이라고 주장한다.[273] 그 기반은 초기의 유대인의 신살죄 주장과 유대인을 '그리스도 살해자'로 묘사한 데에 있다. 서구 역사를 통틀어 유대인들은 다양한 문화와 지적 전통의 가치와 경계를 정의하고 표현하기 위한 상징적인 '타자'로 사용되어 왔다. 철학, 문학, 정치에서 유대인됨은 종종 정상적이거나 이상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것에 대한 대조점으로 구성되어 왔다. 니렌버그의 연구에서 얻은 주요 통찰 중 하나는 반유대주의가 놀라울 정도로 적응력이 뛰어나다는 것이다. 중세 종교 논쟁, 계몽주의 비판, 현대 인종 이론 등 다양한 맥락과 시대에 따라 형태를 바꾸고 적응한다. 철학자와 지식인들은 종종 자신의 생각을 탐구하고 정의하기 위해 '유대인됨'을 이용해왔다. 예를 들어, 계몽주의 시대에 볼테르와 같은 인물들은 이성과 진보에 대한 자신의 비전을 홍보하기 위해 유대교를 낙후되고 미신적인 것으로 비판했다. 마찬가지로, 소련은 유대교를 자본주의와 상업주의와 연결된 것으로 자주 묘사하여 프롤레타리아 연대와 공산주의 이상에 반대되는 것으로 설정했다. 각 경우에서 유대교 또는 유대인은 만연한 도덕적 규범과 긴장 관계에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273]
영국의 양자 물리학자 데이비드 도이치는 반유대주의자들이 역사적으로 항상 유대인 박해에 대한 일종의 정당화를 시도해왔다고 주장했다. 그는 역사적 반유대주의의 기저에 있는 것으로 주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패턴'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유대인을 해치는 것이 정당하다는 생각을 유지하는 것"이다.[274]
그는 다음과 같은 예를 제시한다.
- 유대인들이 어떤 중요한 시험에 집단적으로 실패했다는 생각(예: 그들은 예수 또는 무함마드를 거부했거나, 아리아인의 '문화' 능력이 없거나, 스탈린의 '국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신비로운 '땅과의 연결'이 부족함 등).
- 유대인들이 오염을 일으킨다는 생각 – 예를 들어 그들이 수도를 오염시키거나, 성지와 유물을 훼손한다는 생각으로, 종종 반은 은유적으로 유대인들은 오염/해충/썩은 것/암 등이라는 생각으로 확대된다.
- 피의 죄설, 고전적인 예는 유대인들이 비유대인 어린이들을 납치하고 살해하여 종교 의식에서 그들의 피를 소비한다는 것이다.
- '유대인들'이라는 실체를 그 문화가 중시하는 것을 파괴하려는 영원한 적이라는 개념으로 많은 문화의 구조에 깊이 통합하는 것.
- 음모론, 특히 '유대인들'이 역사와 현재 사건의 배후에 은밀히 있다는 이론.
영국의 중세사학자 리처드 란데스는 다음과 같이 더 주장했다.
> 도이치는 이 패턴이 항상 존재하지만, 유대인을 해치는 것의 '정당성'에 심각한 위협이 있을 때 박해, 추방, 대량 학살을 일으킬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지적한다. 그러한 위협은 이전에 유대인의 신살죄를 믿는 것에 패턴을 준수했던 유럽인들이 '계몽'되었을 때 나타났으며, 더 이상 믿지 않는 신을 죽였다는 이유로 유대인을 비난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다.[275]
>
> 그는 이와 관련하여 사람들의 행동의 핵심은 유대인이기 때문에 유대인을 해치는 것의 정당성을 유지할 필요성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정당성은 실제로 유대인을 해치는 것보다 훨씬 중요하다. 그리고 그것은 오직 유대인만을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그것은 통상적인 의미에서 증오나 두려움, 인종차별이나 편견의 형태는 아니지만, 그러한 감정과 태도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사실 독특하다. 다른 어떤 집단도 유대인을 대신하여 해치는 것이 정당한 대상으로 대체될 수 없다.[276]
저술가이자 학자인 다라 혼은 대서양에 기고한 글에서 팔레스타인인들의 이스라엘 10월 7일 학살 여파로 인해 홀로코스트 교육 교수법의 효과에 대한 이전에 발표된 의구심과 증가하는 반유대주의에 대해 반추했다.[277] 이 글에서 혼은 반유대주의는 유대인들에게 일어난 일을 가로채어 그들의 경험을 더 넓은 보편적 투쟁의 일부로 재구성하여 항상 유대인 정체성을 이러한 이상과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재정의하는 방식으로 기능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유대인의 특수성은 더 계몽된 보편주의에 대한 공격으로 인식된다. 이 새로운 보편주의를 거부함으로써 유대인들은 중요한 도덕적 시험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유대인에 대한 증오는 도덕적 정의로움의 표시가 된다. 역사적으로 이 패턴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나타난다. 기독교와 이슬람은 각각 유대인들이 거부한 보편적 진리를 구현한다고 주장하며 박해를 정당화했다. 현대에는 독일의 의사과학적 인종주의와 사회 다윈주의가 유대인을 사회 발전을 위협하는 열등한 인종으로 규정한 반면, 소련은 나치즘의 피해자로 자처하며 홀로코스트 동안 유대인의 고통을 은폐하고 시온주의에 대한 선전을 통해 유대인을 억압자로 묘사했다. 혼은 종종 반시온주의라는 명목 하에 유대인에 대한 공격은 소외와 비난의 동일한 고대 패턴을 따른다고 결론짓는다.
> 반유대주의에 대한 허가 구조는 다음과 같다. 유대인들에게 일어난 모든 것을 자신의 경험으로 주장하고, 모든 선량한 사람들이 받아들여야 하는 "보편적" 이상을 선포한 다음, 유대인 집단 정체성을 그것을 넘어서는 것으로 재정의한다. 따라서 유대인을 미워하는 것은 의로움의 증거가 된다.[277]
유대인 박해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세파르딤의 엘리아스 카네티는 오스만 제국 영토였던 불가리아에서 독일어권으로 이주하여 처음으로 유럽의 유대인 차별 실태를 알고 "놀랐다"고 말하고 있다. 이슬람 국가에서도 유대인은 2등 시민으로서 엄격하게 차별받는 존재였지만, 유럽에 비하면 비교적 자유와 권리가 보장되었다.[1289][1290]
남프랑스에서는 역사적으로 유대교도 추방이 있었지만, 프랑스 혁명 전까지 남프랑스 문화의 일부로서 여러 아름다운 시나고그가 건설되었고, 많은 랍비가 탄생했다. 비시 정권 하에서는 마을 전체가 유대인을 숨겨준 역사도 알려져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남프랑스·랑그독은 어느 시기까지 일드프랑스 중앙 정부의 정치와 무관했고, 중세에 알비파·발도파가 탄압받은 지역이기도 하여 유대교도를 박해의 표적으로 삼을 필요가 없었다고 말해지지만, 중세에는 남프랑스에서도 유대인에 대한 박해가 있었다. 14세기 프랑스에서는 우물이나 샘에 독이 들어갔다는 소문이 퍼져 많은 한센병 환자와 유대인이 범인으로 지목되어 화형에 처해졌는데, 이는 카르카손에서도 발생한 사건이다.[1291]
4. 2. 유형
반유대주의는 개인적인 증오에서부터 홀로코스트와 포그롬 같은 폭력적인 박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는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어 가장 오래된 증오라고 불리기도 한다.[1293]유럽 기독교인들이 유대인을 예수를 죽인 민족으로 여기고, 고대 교회의 교부들이 유대인들을 위선자라고 부른 종교적 편견[1294][1295]이나, 유대인을 열등한 인종으로 보는 인종 차별이 반유대주의의 발단이 될 수 있다. 시온주의와 이스라엘을 반대하는 극우파, 근대 유럽의 사회주의[1296]와 이슬람 급진주의에서도 반유대주의를 찾을 수 있다.
반유대주의의 기원은 확실하지 않다. 베를린 자유 대학교 페터 셰퍼(de) 교수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고대 이집트의 이야기를 다시 이야기 할 때 널리 퍼졌다고 주장했고, 반유대주의는 이집트에서만 일어났다고 주장한다.[1297] 가장 오래된 반유대주의의 흔적은 Agatharchides의 책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그는 기원전 2세기 당시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로 유대인들의 풍습을 어리석다고 조롱하고 안식일을 지켜 예루살렘이 침략받았다고 비꼬았다.[1298] 프리드리히 니체는 유대인이 고대 시절부터 대부분 민족으로부터 노예로 태어난 민족이라 여겨졌으나 노력을 통하여 노예의 도덕이 승리하게 했다고 주장한다. 구약성서인 《마카베오기 제1권》에도 이스라엘의 예루살렘을 점령한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의 반유대주의 정책이 언급되어 있다.[1299]
반유대주의는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르네 쾨니히는 사회적, 경제적, 종교적, 정치적 반유대주의를 예시로 언급하며, 이러한 형태들이 "반유대주의적 편견의 기원이 서로 다른 역사적 시대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한다. 쾨니히는 서로 다른 반유대주의적 편견의 연대기적 차이와 인구의 서로 다른 부분에 걸친 그러한 편견의 불규칙적인 분포가 "다양한 종류의 반유대주의를 정의하는 데 심각한 어려움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78]
이러한 어려움은 반유대주의의 형태를 분류하기 위해 개발된 서로 다른 분류 체계가 존재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확인된 형태는 상당히 동일하며, 주로 형태의 수와 정의가 다르다. 1890년대에 글을 쓴 베르나르 라자르는 기독교 반유대주의, 경제적 반유대주의, 민족학적 반유대주의의 세 가지 형태를 확인했다.[79] 윌리엄 브루스테인은 종교적, 인종적, 경제적, 정치적의 네 가지 범주를 제시한다.[80] 로마 가톨릭 역사가 에드워드 플래너리는 정치적 및 경제적 반유대주의, 신학적 또는 종교적 반유대주의(때때로 반유대주의라고도 함[81]), 국가주의적 반유대주의, 인종적 반유대주의의 네 가지 유형을 구분했다.}}
제프리 골드버그는 2015년에 "유럽은 온갖 죄에 대해 유대인을 비난해 왔다"고 언급하며, 교회는 유대인을 예수를 죽인 자로 비난했고, 볼테르는 유대인을 기독교를 발명한 자로 비난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반유대주의자들의 불안한 마음속에서 유대인은 고리대금업자이자 우물에 독을 탄 자이며 전염병을 퍼뜨린 자였다고 덧붙였다. 유대인은 공산주의와 자본주의 모두의 창시자였고, 배타적이면서도 세계 시민이었으며, 비겁하고 호전적이면서도 자기 의식이 강한 도덕가이자 문화를 더럽히는 자였다고 설명한다.[82]
1980년대에 글을 쓴 루이 하랍은 "경제적 반유대주의"를 분리하고 "정치적" 및 "국가주의적" 반유대주의를 "이데올로기적 반유대주의"로 통합했다. 하랍은 또한 "사회적 반유대주의" 범주를 추가했다.[83] 그는 종교적, 경제적, 사회적, 인종적, 이데올로기적, 문화적 반유대주의를 구분했다.
종교적 반유대주의는 반유대주의라고도 하며, 유대인들의 종교적 신념 때문에 유대인들에 대한 반감을 의미한다.[84] 15세기 후반과 16세기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마라노''(기독교로 개종한 유대인)의 경우처럼, 유대교 또는 유대인 관습을 은밀히 실천하고 있다는 의심을 받으면서 개종 후에도 차별이 지속되는 경우가 있다.}} 어니스트 주앙(Ernest Jouin)과 에두아르 드루몽(Édouard Drumont)과 같이, 일부 기독교인들은 종교적 반유대주의와 인종적 반유대주의를 결합했다.[86][87][88]
경제적 반유대주의의 근본적인 전제는 유대인들이 해로운 경제 활동을 하거나, 유대인이 경제 활동을 할 때 해롭게 된다는 것이다.[89] 돈과 유대인을 연결하는 것은 가장 파괴적이고 지속적인 반유대주의적 허위 주장의 기반이 된다.[90] 이러한 주장은 ''시온 장로 의정서''에서 제기되었고, 이후 헨리 포드와 그의 ''디어본 독립신문''에 의해 반복되었다.
인종적 반유대주의는 종교로서의 유대교가 아닌, 인종/민족 집단으로서의 유대인에 대한 편견이다.[98]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이는 비유럽인을 열등한 것으로 분류한 우생학 운동의 일부로서 주류의 수용을 얻었다.
정치적 반유대주의는 유대인들이 국가적 또는 세계적 권력을 추구한다는 믿음에 기반한 유대인에 대한 적대감으로 정의된다.
문화적 반유대주의는 유대인들이 특정 문화를 타락시키고, 선호되는 문화를 획일적이고 저급한 '유대인' 문화로 대체하려 하거나 실제로 대체했다고 비난한다.
홀로코스트 부정 및 유대인 음모론 또한 반유대주의의 형태로 간주된다.[56][113][114][116][117]
1990년대부터 일부 학자들은 좌파, 우파, 그리고 극단적 이슬람에서 동시에 나타나는 새로운 반유대주의 개념을 제시해 왔다.
5. 한국 사회와 반유대주의
6. 반유대주의에 대한 대응
교육은 편견을 해결하고 극복하며 사회적 차별에 맞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78] 교육은 반유대주의가 나타나는 불관용과 무지의 조건에 도전할 뿐만 아니라, 세계 시민 의식과 연대 의식을 함양하고, 다양성을 존중하며, 적극적이고 민주적인 시민으로서 평화롭게 공존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은 반유대주의와 편향된 메시지를 식별하는 지식을 갖추고, 유대인과 유대인 공동체가 직면하는 반유대주의의 형태 및 영향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다.[278]
일부 유대인 작가들은 홀로코스트를 통한 반유대주의에 대한 공교육이 기껏해야 도움이 되지 않거나 최악의 경우 반유대주의를 적극적으로 심화시킨다고 주장한다. 다라 혼은 ''대서양''에서 "아우슈비츠는 은유가 아니다"라고 쓰면서, 홀로코스트 교육이 반유대주의를 예방한다는 생각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그녀는 홀로코스트가 사랑 부족 때문이 아니라, 전체 사회가 자신의 문제에 대한 책임을 포기하고 유대인에게 돌렸기 때문에 발생했다고 주장한다.[279]
다라 혼은 반유대주의를 해결하는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호기심을 키우는 것을 제안한다. 유대인이 이웃과 똑같아야 한다는 요구는 서구 정신에 반유대주의라는 정신적 바이러스를 심어 놓은 것이라고 비판하며, 인간 경험의 다양성에 대한 질문을 장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80]
7. 각주
참조
[1]
OED
2024-09-02
[2]
웹사이트
anti-Semitism
https://web.archive.[...]
2018-10-27
[3]
웹사이트
anti-Semitism
https://www.merriam-[...]
2018-10-27
[4]
백과사전
Anti-Semitism
[4]
서적
A History of the Jews
HarperPerennial
[4]
학술지
The New Anti-Semitism
https://web.archive.[...]
2006-01-01 # Winter 2006을 1월 1일로 변환
[5]
웹사이트
Measures to combat contemporary forms of racism, racial discrimination, xenophobia and related intolerance
https://documents-dd[...]
United Nations
1999-03-01
[6]
웹사이트
2014 Report on Antisemitism in Australia
https://web.archive.[...]
Executive Council of Australian Jewry
2014-11-09
[7]
웹사이트
Antisemitism in History: Racial Antisemitism, 1875–1945
https://encyclopedia[...]
[8]
웹사이트
Supersessionism hard and soft
https://www.firstthi[...]
2019-02-01 # February 2019을 2월 1일로 변환
[9]
서적
Nicholas of Cusa and Islam
Brill
[10]
웹사이트
From Religious Prejudice to Antisemitism
https://www.facinghi[...]
2017-08-01
[11]
뉴스
How anti-Semitic beliefs have taken hold among some evangelical Christians
https://www.washingt[...]
2019-08-22
[12]
웹사이트
How Christians Have Used Anti-Jewish and Anti-Muslim Rhetoric for Their Own Ends
https://www.ucpress.[...]
2022-11-18
[13]
논문
Nazi Germany's Propaganda Aimed at Arabs and Muslims During World War II and the Holocaust: Old Themes, New Archival Finding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12
[14]
논문
Parallels between Nazi and Islamist Anti-Semitism
https://jcpa.org/art[...]
Jerusalem Center for Public Affairs
2020-01
[15]
뉴스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anti-Semitism and anti-Zionism?
https://www.bbc.com/[...]
2016-04-28
[16]
뉴스
Antisemites use the language of anti-Zionism. The two are distinct
https://www.theguard[...]
2019-02-24
[17]
웹사이트
3D Test of Anti-Semitism: Demonization, Double Standards, Delegitimization
https://jcpa.org/art[...]
2012-11-11
[18]
웹사이트
Semites and Anti-Semites
http://middleeastinf[...]
[18]
논문
The New Anti-Semitism
https://historynewsn[...]
2006-12
[19]
서적
Before Boas: The Genesis of Ethnography and Ethnology in the German Enlightenmen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
간행물 # 추정. harvp 템플릿은 출처 유형을 명확히 하지 않음. 추가 정보가 필요합니다.
추가 정보 필요
[21]
서적
The History of Anti-Semitism, Vol. 3: From Voltaire to Wagner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2]
서적
Roots of Hate: Anti-Semitism in Europe before the Holocaus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10-27
[23]
학술지
Johann David Michaelis and the Colonial Imaginary: Orientalism and the Emergence of Racial Antisemitism in Eighteenth-Century Germany
2000-01-01 # Winter 2000을 2000-01-01로 변환
[24]
서적
Antisemitism and Anti-Zionism: Representation, Cognition and Everyday Talk
Ashgate Publishing
2018-10-27
[25]
간행물
Der Sieg des Judenthums über das Germanenthum. Vom nicht confessionellen Standpunkt aus betrachtet
https://archive.org/[...]
Rudolph Costenoble
[26]
웹사이트
The Victory of Judaism over Germanism: Viewed from a Nonreligious Point of View
http://www.kevinmacd[...]
2018-10-27
[27]
웹사이트
Wilhelm Marr
https://www.jewishvi[...]
2024-07-29
[28]
웹사이트
Wilhelm Marr's A Mirror to the Jews
https://keydocuments[...]
2024-07-29
[29]
웹사이트
Wilhelm Marr: The Patriarch of Anti-Semitism, by Moshe Zimmermann
https://www.commenta[...]
2024-07-29
[30]
서적
Was ist Antisemitismus?
https://books.google[...]
C.H.Beck
2004-01-01 # date 필드에 year 값을 넣어 처리
[31]
서적
Wilhelm Marr: The Patriarch of Antisemitism
New York and Oxford: Oxford University
[32]
서적
Wilhelm Marr: The Patriarch of Anti-Semitis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0-27
[33]
학술지
Anti-Semitism
https://archive.org/[...]
Funk & Wagnalls
2023-08-21
[34]
뉴스
Letter shows first dictionary editor thought 'anti-Semite' wouldn't be used
https://www.timesofi[...]
2019-05-04
[35]
간행물
The Jews in Germany
Leavitt, Trow & Company
1881-03-01
[36]
서적
The Invention of Racism in Classical Antiquit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8-10-27
[37]
서적
Aftershock: Anti-Zionism and Antisemitism
https://books.google[...]
Dundurn Press
2018-10-27
[38]
웹사이트
Memo on Spelling of Antisemitism
https://www.holocaus[...]
International Holocaust Remembrance Alliance
2015-04-01
[39]
웹사이트
Memo on Spelling of Antisemitism
https://www.holocaus[...]
International Holocaust Remembrance Alliance
2015-04-01
[40]
웹사이트
The Power of Myth
https://web.archive.[...]
2018-10-27
[41]
웹사이트
Problems of Contemporary Antisemitism
http://humwww.ucsc.e[...]
2018-10-27
[42]
서적
A History of the Holocaust
https://archive.org/[...]
Franklin Watts
[43]
웹사이트
What's in a Hyphen?
http://sicsa.huji.ac[...]
1989-06-01
[44]
서적
Constantine's Sword: The Church and the Jews
https://books.google[...]
Mariner
2018-10-27
[45]
뉴스
AP Changes Spelling of "Anti-Semitism" to "Antisemitism"
https://jewishjourna[...]
2023-07-18
[46]
뉴스
The New York Times updates style guide to 'antisemitism,' losing the hyphen
https://www.jta.org/[...]
Jewish Telegraphic Agency
2023-07-18
[47]
뉴스
Vol. 35, No. 11: Antisemitism
https://www.wsj.com/[...]
2023-07-19
[48]
뉴스
In a word, it's antisemitism
https://www.jewishpr[...]
2023-07-18
[49]
서적
Pogroms and Riots: German Press Responses to Anti-Jewish Violence in Germany and Russia (1881–1882)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18-10-27
[50]
서적
The persisting question: sociological perspectives and social contexts of modern antisemitism
de Gruyter
1987
[51]
논문
So what's new? Rethinking the 'new antisemitism' in a global age
https://umdrive.memp[...]
[52]
논문
Fighting Anti-Semitism in Contemporary Germany
2020-10-01
[53]
웹사이트
The Louis D. Brandeis Center FAQs About Defining Anti-Semitism
https://brandeiscent[...]
2022-03-14
[54]
간행물
The New Anti-Semitism
http://hnn.us/blogs/[...]
[55]
보고서
Report on Global Anti-Semitism
https://2009-2017.st[...]
U.S. State Department
2005-01-05
[56]
웹사이트
Working Definition of Antisemitism
http://fra.europa.eu[...]
European Union Agency for Fundamental Rights
[57]
웹사이트
EUMC Working Definition of Antisemitism
http://www.antisem.e[...]
[58]
웹사이트
Defining Anti-Semitism
https://www.state.go[...]
[59]
웹사이트
Hate crime
https://www.app.coll[...]
[60]
웹사이트
Definition of antisemitism
https://antisemitism[...]
2015-07-13
[61]
웹사이트
Working Definition of Antisemitism IHRA
https://www.holocaus[...]
2016-08-23
[62]
웹사이트
US House of Representatives votes to condemn antisemitism after Ilhan Omar's 'Israel loyalty' remarks
https://www.thejc.co[...]
2019-03-10
[63]
논문
The IHRA Definition of Antisemitism: Defining Antisemitism by Erasing Palestinians
[64]
뉴스
Two Jews, Three Definitions: New Documents Challenge Mainstream View of Antisemitism
https://www.haaretz.[...]
2023-01-20
[65]
웹사이트
War of the words: The conflict between definitions of antisemitism
https://www.jpost.co[...]
2023-01-19
[66]
웹사이트
A liberal definition of antisemitism that allows for Israel criticism
https://www.jpost.co[...]
2023-01-22
[67]
웹사이트
US Jewish scholars push anti-Semitism definition allowing more Israel criticism
https://www.timesofi[...]
2023-01-19
[68]
뉴스
UN urged to reject antisemitism definition over 'misuse' to shield Israel
https://www.theguard[...]
2024-02-05
[69]
뉴스
A new definition for antisemitism?
https://www.dw.com/e[...]
Deutsche Welle
2024-02-05
[70]
서적
Marr, Wilhelm (1819–1904)
Levy
[71]
서적
Karl Lueger, Mayor of Fin-de-Siècle Vienna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72]
뉴스
Dr. Karl Lueger Dead; Anti-Semitic Leader and Mayor of Vienna Was 66 Years Ol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10-03-11
[73]
서적
The Pathology of Man: A Study of Human Evil
https://books.google[...]
Charles C Thomas Publisher
[74]
서적
Auto-Emancipation
https://babel.hathit[...]
The Maccabaean Publishing Company
1906
[75]
뉴스
Kristallnacht: Prelude to Destruction
Daily Telegraph
1938-11-12
[76]
서적
United States Jewry, 1776–1985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77]
서적
The Most Ancient Group Prejudice
Nansen Committee
[78]
서적
Materialien zur Kriminalsoziologie
https://books.google[...]
VS Verlag
[79]
서적
Anti-Semitism: Its History and Causes
https://books.google[...]
Cosimo, Inc.
[80]
서적
Roots of hate: anti-semitism in Europe before the Holocaus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1]
뉴스
Traditional antisemitism is back, global study finds
https://www.theguard[...]
2018-04-11
[82]
잡지
Is It Time for the Jews to Leave Europe?
https://www.theatlan[...]
2015-04-01
[83]
서적
Creative awakening: the Jewish presence in twentieth-century American literature, 1900-1940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84]
서적
A concise history of American antisemitism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85]
서적
Christian Antisemitism: A History of Hate
https://books.google[...]
Jason Aronson / Rowman & Littlefield
1993
[86]
서적
Ambivalent Alliance: The Catholic Church and the Action Française, 1899–1939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1985
[87]
서적
Approaches to Auschwitz: The Holocaust and Its Legac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3
[88]
서적
Roots of Hate: Anti-Semitism in Europe Before the Holocau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89]
서적
German-Jewish History in Modern Times: Integration in dispute, 1871–1918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90]
웹사이트
Jews & Money – The story of a stereotype
http://www.adl.org/A[...]
[91]
서적
Penslar page 5
2022-07-01
[92]
서적
Krefetz page 45
2022-07-01
[93]
서적
Krefetz pages 6–7
2022-07-01
[94]
서적
Krefetz page 47
2022-07-01
[95]
서적
Penslar page 12
2022-07-01
[96]
논문
Distrust in Finance Lingers: Jewish Persecution and Households' Investments
http://faculty.haas.[...]
Haas School of Business
2014-09-01
[97]
서적
Perpetrators: The World of the Holocaust Killer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0-14
[98]
웹사이트
Anti-Semitism
http://jewishencyclo[...]
2011-09-21
[99]
웹사이트
Jesus – The Jewish religion in the 1st century
https://www.britanni[...]
2022-08-31
[100]
웹사이트
Antisemitism in History: Racial Antisemitism, 1875–1945
https://www.ushmm.or[...]
2017-09-15
[101]
서적
Petain's Crime
Pan Books
2022-07-00
[102]
서적
The Paradox of Anti-Semitism
Continuum
2022-07-00
[103]
서적
Antisemit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2022-07-00
[104]
서적
Antisemit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2022-07-00
[105]
서적
Nietzsche, der Philosoph und Politiker
Reclam
[106]
서적
Genocide, critical issues of the Holocaust: a companion to the film, Genocide
https://books.google[...]
Behrman House, Inc
2020-08-23
[107]
서적
Contemporary Antisemitism: Canada and the World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08]
서적
The Jews of Europe in the modern era: a socio-historical outline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20-08-23
[109]
서적
Creative awakening: the Jewish presence in twentieth-century Americ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20-08-23
[110]
서적
In search of memory: the emergence of a new science of mind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2020-08-23
[111]
서적
The Columbia Guide to the Holocaust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0-08-23
[112]
서적
In search of memory: the emergence of a new science of mind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2020-08-23
[113]
웹사이트
Holocaust Denial, a Definition
http://www.phdn.org/[...]
2016-08-15
[114]
서적
Denying History: who Says the Holocaust Never Happened and why Do They Say I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5]
웹사이트
Antisemitism and Racism Country Reports: United States
http://www.tau.ac.il[...]
2007-05-17
[116]
웹사이트
Introduction: Denial as Anti-Semitism
http://www.adl.org/h[...]
2007-06-12
[117]
서적
Troubled Memory: Anne Levy, the Holocaust, and David Duke's Louisiana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18]
뉴스
'Vulture spying for Israel' caught in Sudan
https://www.telegrap[...]
2012-12-10
[119]
혼합
The New Antisemitism; The New antisemitism; Jews predict record level of hate attacks; Antisemitism in Western Europe Today; Aftershock: Anti-Zionism and Antisemitism; From Ambivalence to Betrayal: The Left, the Jews, and Israel (Studies in Antisemitism)
[120]
서적
Antiglobalism's Jewish Problem
https://web.archive.[...]
Random House
[121]
웹사이트
The Myth of the New Anti-Semitism
http://www.thenation[...]
2004-02-02
[122]
백과사전
Hellenism and Persecution: Antiochus IV and the Jew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3]
서적
Judeophobia
Harvard University Press
[124]
서적
Jews in the Mediterranean Diaspora: From Alexander to Trajan (323 BCE–117 CE)
University of California
[125]
웹사이트
Flaccus
http://www.earlychri[...]
[126]
서적
Philo's Flaccus: The First Pogrom
Brill
[127]
서적
Hellenistic Civilization and the Jews
Atheneum
[128]
서적
The Ibis and the Jewish Question: Ancient 'Antisemitism' in Historical Context
Yad Ben-Zvi Press
[129]
학술지
Anti-Semitism in the Hellenistic-Roman Period
[130]
백과사전
Anti-Semitism
Brill
2008-04-28
[131]
서적
Constantine's Sword
Houghton Mifflin
2001
[132]
서적
A Vanished World: Muslims, Christians, and Jews in Medieval Spain
Brill
1999
[133]
서적
The Visigoths: Studies in Culture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34]
서적
Exiles in Sepharad: The Jewish Millennium in Spai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16-08-28
[135]
서적
The Ornament of the World: How Muslims, Jews and Christians Created a Culture of Tolerance in Medieval Spain
https://archive.org/[...]
Back Bay Books
2003-04
[136]
웹사이트
Granada
http://jewishencyclo[...]
1906
[137]
서적
The Dhimmi: Jews and Christians Under Islam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1985
[138]
웹사이트
Islamic world
https://www.britanni[...]
2007-09-02
[139]
웹사이트
The Almohads
http://www.myjewishl[...]
2012-06-02
[140]
웹사이트
Historical Timeline
https://web.archive.[...]
2018-10-27
[141]
서적
In the Year 1096: The First Crusade and the Jews
https://www.questia.[...]
2020-07-26
[14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5-08-13
[143]
간행물
Chronique de Religieux de Saint-Denys
L. Bellaguet
[144]
웹사이트
Why the Jews? – Black Death
http://www.holocaust[...]
2003-12-11
[145]
서적
The Preacher's Demons: Bernardino of Siena and the Social Underworld of Early Renaissance Ital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46]
간행물
La plus grande épidémie de l'histoire
L'Histoire
[147]
서적
A History of the Jews
HarperCollins
[148]
뉴스
Bogdan Chmelnitzki leads Cossack uprising against Polish rule; 100,000 Jews are killed and hundreds of Jewish communities are destroyed.
http://www.cbsnews.c[...]
CBS News
2012-10-20
[149]
서적
Holocaust Journey: Traveling in Search of the Past
Columbia University Press
[150]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United States histo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 Press
[151]
서적
Ketavim (Collected Papers)
1989
[152]
백과사전
The Jewish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Funk and Wagnalls Co.
1904
[153]
간행물
Ideas of Religious Toleration at the time of Joseph II
[154]
서적
The Habsburg Monarchy 1618-1815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155]
간행물
Ideas of Religious Toleration at the time of Joseph II
[156]
논문
Tainted Greatness: The Case of Voltaire's Anti-Semitism: The Testimony of the Correspondence
1994-09
[157]
논문
The Attitude of the Enlightenment Toward the Jew
1963
[158]
서적
The History of Anti-Semitism: From Voltaire to Wagner
Routledge & Kegan Paul, Ltd.
1975
[159]
서적
Socialism of Fools: Capitalism and Modern Anti-Semitism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
[160]
서적
From Prejudice to Destruction: Anti-Semitism, 1700–1933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980
[161]
서적
Socialism of Fools: Capitalism and Modern Anti-Semitism
Columbia University Press
[162]
서적
History of the Jews in Modern Time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63]
서적
The Modernity of Others: Jewish Anti-Catholicism in Germany and Franc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3
[164]
서적
Dictionary of Antisemitism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Scarecrow Press
2007
[165]
서적
The Aesthetics of Hate: Far-Right Intellectuals, Antisemitism, and Gender in 1930s Franc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2
[166]
서적
The Holocaust Encyclopedia
Yale University Press
2001
[167]
서적
The Jews in Nineteenth-century France: From the French Revolution to the Alliance Israélite Universel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6
[168]
서적
A History of the Jews
Harper Perennial
[169]
웹사이트
Military Service in Russia
http://www.yivoencyc[...]
2017-10-20
[170]
서적
A History of the Jews
Harper Perennial
[171]
서적
The Romanovs 1818–1959
Sutton
[172]
서적
Righteous Victims: A History of the Zionist-Arab Conflict, 1881–2001
Vintage Books
[173]
서적
The Jews of Isla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74]
서적
Jerusalem
Phoenix
[175]
서적
What Went Wrong?
Phoenix
[176]
서적
Bismarck: A Life
Oxford
[177]
간행물 #타입 추정이 어려워 간행물로 설정
The Despot of Russia...
1846-12-22
[178]
간행물 #타입 추정이 어려워 간행물로 설정
Anecdotes of Jews, and their peculiar traits
1847-01-08
[179]
서적
Nineteenth Century Europe
Palgrave MacMillan
[180]
학술지
Adolf Stoecker:Portrait of a Demagogue
[181]
논문
Adolf Stoecker: Anti-Semite with a Christian Mission
[182]
서적
Antisemitism: A Historical Encyclopedia of Prejudice and Persecution
ABC-CLIO
[183]
서적
Israel and the Post-Zionists: A Nation at Risk
Sussex Academic Press
[184]
서적
Heaven on Earth: The Rise and Fall of Socialism
Encounter Books
[185]
서적
Modern Anti-Semitism and the Rise of the Jew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6]
서적
Antisemitism and Modernity: Innovation and Continuity
Routledge
[187]
서적
Marx before Marxism
[188]
논문
From theology to sociology: Bruno Bauer and Karl Marx on the question of Jewish emancipation
https://telaviv.acad[...]
2017-11-02
[189]
서적
Identities, Politics, and Right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0]
논문
Karl Marx and the Radical Critique of Anti-Semitism
http://www.engageonl[...]
2006-05-01
[191]
서적
A History of Modern Political Thought
Blackwell Publishing
[192]
서적
Karl Marx
[193]
웹사이트
Russian Civil War
http://www.yivoencyc[...]
2019-02-06
[194]
서적
America, Its Jews, and the Rise of Nazism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195]
웹사이트
The Auschwitz Album
http://www1.yadvashe[...]
[196]
법률
Law for the Restoration of the Professional Civil Service
1933-04-07
[197]
서적
Fateful Choices
[198]
웹사이트
'America First,' a phrase with a loaded anti-Semitic and isolationist history
https://www.latimes.[...]
2017-01-20
[199]
뉴스
A Short History of 'America First'
https://www.theatlan[...]
2017-01-21
[200]
서적
1940: FDR, Willkie, Lindbergh, Hitler-the Election amid the Storm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3-06-04
[201]
서적
Charles Lindbergh and the Battle Against American Intervention in World War II
Harcourt Brace Jovanovich
[202]
논문
Lindbergh, Charles (1902–1974)
[203]
서적
The Third Reich: A Concise History
Tempus
[204]
서적
The Years of Extermination: Nazi Germany and the Jews
Phoenix
[205]
서적
Dimension des Volksmords: Die Zahl der Jüdischen Opfer des Nationalsozialismus
Deutscher Taschebuch Verlag
[206]
서적
The War Against The Jews, 1933–1945
Holt, Rinehart and Winston
[207]
학술지
From Anti-Westernism to Anti-Semitism
http://www.fas.harva[...]
2008-12-01
[208]
서적
The Myth of the Jewish Race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209]
웹사이트
More than a Century of Antisemitism: How Successive Occupants of the Kremlin Have Used Antisemitism
https://www.state.go[...]
2024-07-29
[210]
웹사이트
Soviet Anti-Zionism and Contemporary Left Antisemitism
https://fathomjourna[...]
2024-07-29
[211]
웹사이트
Red Terror: How the Soviet Union Shaped the Modern Anti-Zionist Discourse
https://www.internat[...]
2024-07-29
[212]
논문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Soviet Anti-Semitism: An Analysis
https://www.cambridg[...]
[213]
논문
Demonization Blueprints: Soviet Conspiracist Antizionism in Contemporary Left-Wing Discourse
2022-03-01
[214]
서적
Contested memories: Poles and Jews during the Holocaust and its aftermath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2020-08-23
[215]
서적
World without civilization: Mass murder and the Holocaust, history and analysi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20-08-23
[216]
논문
Anti-Semitism in Germany Today: Its Roots and Tendencies
http://www.jcpa.org/[...]
2008-12-01
[217]
뉴스
Anti-Semitism up 30% in Belgium
http://www.ynetnews.[...]
2013-02-27
[218]
뉴스
Washington: European anti-Israel sentiment crossed the line into anti-Semitism
http://www.jpost.com[...]
2015-10-15
[219]
뉴스
Special report: The rise of the right in Europe
https://www.sbs.com.[...]
2015-02-24
[220]
웹사이트
Attitudes Toward Jews In Ten European Countries
http://archive.adl.o[...]
Anti-Defamation League
2012-03
[221]
뉴스
The antisemitism animating Putin's claim to 'denazify' Ukraine
https://www.theguard[...]
2022-03-06
[222]
뉴스
Rabbi's son foils bombing attempt at Moscow shul – j. the Jewish news weekly of Northern California
http://www.jweekly.c[...]
2015-06-17
[223]
뉴스
World Briefing: Asia, Europe, Americas and Africa
https://www.nytimes.[...]
2006-01-12
[224]
웹사이트
Rise of Anti-Semitism in the Ukraine threatens Jewish pilgrimages to Uman
http://www.fighthatr[...]
2013-05-26
[225]
웹사이트
Video: Priest Attacks Menorah – Jewish World
http://www.israelnat[...]
Arutz Sheva
2015-06-17
[226]
웹사이트
The Anti-Semitic Disease
https://www.commenta[...]
2005-06-01
[227]
웹사이트
Europe's Jews Tied to a Declining Political Class
http://www.algemeine[...]
2015-01-26
[228]
웹사이트
Why do human rights groups ignore Palestinians' war of words?
https://www.washingt[...]
2011-09-26
[229]
웹사이트
Muslim-Western Tensions Persist
http://pewglobal.org[...]
2011-07-21
[230]
웹사이트
Nazis' 'Terrible Weapon,' Aimed at Minds and Hearts
https://www.nytimes.[...]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2009-02-23
[231]
뉴스
Anti-Semitism In Araby
http://www.newsweek.[...]
2009-02-28
[232]
서적
The Jews of Isla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4
[233]
웹사이트
Based on Koranic Verses, Interpretations, and Traditions, Muslim Clerics State: The Jews Are the Descendants of Apes, Pigs, And Other Animals
http://memri.org/bin[...]
2002-11-01
[234]
뉴스
The Urgent Need to Study Islamic Anti-Semitism
http://chronicle.com[...]
2004-03-12
[235]
웹사이트
Holocaust Remembrance Day — a somber anniversary
http://blogs.timesof[...]
[236]
뉴스
Israel-Hamas war unleashes wave of antisemitism in Europe
https://www.ft.com/c[...]
2023-10-15
[237]
뉴스
'A lot of pain': Europe's Jews fear rising antisemitism after Hamas attack
https://www.theguard[...]
2023-10-20
[238]
뉴스
Antisemitism surging worldwide since Oct. 7 attack: Report
https://thehill.com/[...]
2024-05-06
[239]
뉴스
Students sue Harvard, calling it a bastion of antisemitism
https://www.nytimes.[...]
2024-01-11
[240]
뉴스
Harvard president keeps her job after antisemitism backlash
https://www.cbc.ca/n[...]
2023-12-12
[241]
웹사이트
Stanford is the latest elite university to be slammed for its lack of 'moral resolve' in its response to Hamas' attack on Israel
https://fortune.com/[...]
2023-10-31
[242]
웹사이트
House passes bill to expand definition of antisemitism amid growing campus protests over Gaza war
https://apnews.com/a[...]
2024-07-17
[243]
웹사이트
Confronting Campus Antisemitism: An Action Plan for University Students
https://www.ajc.org/[...]
2024-07-17
[244]
웹사이트
Year in Review 2023: Jewish Unity Amid Challenges
https://www.worldjew[...]
2024-07-17
[245]
뉴스
1,200 Jewish professors call on Senate to reject controversial antisemitism definition
https://religionnews[...]
2024-05-14
[246]
뉴스
Black Hebrew Israelites chant 'we are the real Jews' at pro-Kyrie Irving NYC march
https://nypost.com/2[...]
2022-11-25
[247]
뉴스
Probe of Jersey City shooting leads FBI to arrest pawn shop owner on weapons charge
https://www.washingt[...]
2019-12-15
[248]
뉴스
Hanukkah stabbing suspect searched 'why did Hitler hate the Jews,' prosecutors say
https://www.washingt[...]
2019-12-30
[249]
웹사이트
Simon Wiesenthal Center Special Report: Extreme Black Hebrew Israelites
https://www.wiesenth[...]
The Simon Wiesenthal Center
2023-01-04
[250]
뉴스
How many Hebrew Israelites are there, and how worried should Jews be?
https://www.timesofi[...]
2022-11-26
[251]
논문
Health, religiosity and hatred: a study of the impacts of covid-19 on world jewry
[252]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semitism and covid-19 conspiracy on twitter
[253]
논문
Coronavirus misinformation: quantifying sources and themes in the covid-19 ‘infodemic’
[254]
논문
Antisemitic comments on Facebook pages of leading British, French, and German media outlets
[255]
논문
Antisemitism in the global populist international
[256]
논문
Synthetic cannabinoids in prisons: content analysis of tiktoks
[257]
논문
Tiktok’s spiral of antisemitism: a study case in indonesia
[258]
논문
From #selfie to #edgy. hashtag networks and images associated with the hashtag #jews on instagram
[259]
논문
Subtle hate speech and the recontextualisation of antisemitism online
[260]
논문
Wikipedia’s Intentional Distortion of the History of the Holocaust
[261]
논문
Antisemitism on twitter: collective efficacy and the role of community organisations in challenging online hate speech
[262]
논문
Inundated with online antisemitism
[263]
서적
Jews in the early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0-08-23
[264]
논문
"The word 'Jew' has several meanings in relation to commerce, but almost all negative": on the evolution of a projection
2020-04-27
[265]
웹사이트
Antisemitism and the (modern) critique of capitalism
https://libcom.org/l[...]
2023-12-05
[266]
웹사이트
The rumour about the Jews
https://aeon.co/essa[...]
2023-12-05
[267]
서적
Anti-Semitism: Its History and Causes
https://books.google[...]
Cosimo, Inc.
[268]
서적
The Scialism of Fools: Leftist Origins of Modern Anti-Semit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9]
논문
We Spring from that History: Bernard Lazare, between Universalism and Particularism
2018-10-21
[270]
논문
Hawthorne's secret: an un-told tale
[271]
논문
Jews and Money: Time for a New Story?
[272]
논문
Cultural Meanings of Money in Medieval Ashkenaz: On Gift, Profit, and Value in Medieval Judaism and Christianity
http://www.jstor.org[...]
Springer
2024-07-11
[273]
서적
Anti-Judaism: The Western Tradition
Norton
[274]
웹사이트
Antisemitism: The Sinister Pattern
https://quillette.co[...]
2023-11-01
[275]
웹사이트
Lethal Journalism and the Pattern: Why the World Fell for Hamas' Al Ahli Lie
https://fathomjourna[...]
2023-11-01
[276]
웹사이트
The Small Matter of Malice: Meditations on "the Pattern" of Antisemitism
https://isgap.org/fl[...]
2019-08-30
[277]
웹사이트
October 7 Created a Permission Structure for Anti-Semitism
https://www.theatlan[...]
2024-10-07
[278]
웹사이트
Addressing anti-semitism through education: guidelines for policymakers
https://unesdoc.unes[...]
UNESCO
[279]
웹사이트
Auschwitz Is Not a Metaphor
https://www.theatlan[...]
2019-06-06
[280]
뉴스
Is Holocaust Education Making Anti-Semitism Worse?
https://www.theatlan[...]
2023-04-03
[281]
뉴스
Report: Anti-Semitism on the rise globally
http://edition.cnn.c[...]
CNN
2010-11-24
[282]
웹사이트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for 2012
https://2009-2017.st[...]
2013-12-21
[283]
웹사이트
ADL Global 100: A Survey of Attitudes Toward Jews in Over 100 Countries Around the World
https://web.archive.[...]
2024-01-14
[284]
웹사이트
Hating the Jew you've never met
http://www.timesofis[...]
2018-08-26
[285]
뉴스
Can Diaspora Ministry's new monitoring system help better understand antisemitism?
https://www.jpost.co[...]
2024-08-20
[286]
뉴스
Diaspora Ministry unveils system for monitoring antisemitic discourse online
https://www.jpost.co[...]
2024-08-20
[287]
성경
출애굽기
[288]
백과사전
반유대주의
세계대백과사전 제2판
[289]
백과사전
(제목 없음)
평범사
[290]
서적
포리아코프 5권
[291]
서적
下村 1972
[292]
서적
下村 1972
[293]
웹사이트
Definition at the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294]
서적
Confronting antisemitism in Christianity, Islam, and Judaism
De Gruyter
2020
[295]
웹사이트
イスラエルは人権擁護団体を押さえつけることはできない
https://www.arabnews[...]
2023-10-22
[296]
웹사이트
イスラエル批判に署名した学生の氏名と写真、電光掲示板とネットでさらし行為 米
https://www.cnn.co.j[...]
2023-10-22
[297]
웹사이트
英仏独、反ユダヤ対策強化 親パレスチナのデモ禁止
https://www.tokyo-np[...]
2023-10-22
[298]
서적
Antisemitism: A Reference Handbook
https://books.google[...]
ABC-CLIO
[299]
서적
大澤1991
[300]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01]
성경
마태복음 14:1-13
[302]
서적
松本 2009
[303]
서적
河野 2001
[304]
서적
ポリアコフ 5巻
[305]
서적
松本 2009
[306]
서적
ポリアコフ 5巻
[307]
서적
上山安敏2005
[308]
백과사전
クムラン教団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309]
서적
松本 2009
[310]
성경
마가복음 12:38-40, 마태복음 23:15, 누가복음 11:37-54
[311]
성경
요한복음 8:42-47
[312]
서적
同時代史
筑摩書房
1996
[313]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14]
서적
松本 2009
[315]
서적
松本 2009
[316]
서적
ゴールドハーゲン
[317]
서적
Lessons and Legacies: The Meaning of the Holocaust in a Changing World
https://books.google[...]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2006
[318]
서적
신의 나라
[319]
서적
마니교에 대한 반박
[320]
서적
Antisemitism
1969
[321]
서적
世界歴史体系 スペイン史1
[322]
서적
フランク史
[323]
서적
菅野賢治 上巻
[324]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25]
서적
ポリアコフ1985
[326]
서적
イスラームの歴史1
[327]
간행물
初期イスラーム」の規範性をめぐる考察 一「共存の原理」の原型としての「マディーナ憲章」
1986-12-01
[328]
서적
イスラームの歴史1
[329]
논문
イスラームとユダヤ教 ―法的・神学的視点から―
2010-02
[330]
성경
クルアーン
[331]
서적
コーラン1
中央公論新社
[332]
서적
クルアーン
[333]
서적
世界歴史体系 フランス史1
[334]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35]
웹사이트
WORMS
http://www.jewishenc[...]
1906
[336]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37]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38]
서적
菅野賢治 上巻
[339]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40]
서적
大澤1991
[341]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42]
백과사전
異端審問
[343]
백과사전
アルビジョア十字軍
[344]
인물
Amaury VI de Montfort
1195–1241
[345]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46]
법전
カノン69条
[347]
서적
河野 2001
[348]
서적
河野 2001
[349]
백과사전
ラングドック
[350]
백과사전
ロンバルディア人
[351]
서적
De regimine Judaeorum
# 출판사 정보 부족
[352]
서적
Dictionary of Antisemitism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The Scarecrow Press
[353]
서적
De Legibus et Consuetudinibus Angliae
[354]
서적
Dictionary of Antisemitism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The Scarecrow Press
[355]
서적
[356]
서적
世界歴史体系 フランス史1
[357]
서적
[358]
서적
[359]
서적
[360]
서적
[361]
서적
上山安敏2005
[362]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63]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64]
서적
立川昭二1971
[365]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66]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67]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68]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69]
서적
丸山1988
[370]
백과사전
むち打ち苦行者(鞭打ち苦行者) Flagellant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371]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72]
백과사전
カトリック改革
世界大百科事典
1374
[373]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74]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75]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76]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77]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78]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79]
서적
フックス
[380]
서적
カンタベリー物語
岩波文庫
[381]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82]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83]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84]
인물
San Giovanni da Capestrano
1386-1456
[385]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86]
인물
Bernardino da Feltre
1439-1494
[387]
서적
ポチャシャー
[388]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89]
서적
世界歴史体系 スペイン史1
[390]
서적
世界歴史体系 スペイン史1
岩波新書
1979-08-20
[391]
서적
世界歴史体系 スペイン史1
[392]
서적
北原 2008
[393]
서적
ポリアコフ1985
[394]
서적
Les fanatiques de l'Apocalypse
1962
[395]
서적
ポリアコフ1985
[396]
서적
ポリアコフ 1巻
[397]
서적
Das Narrenschiff
[398]
웹사이트
PFEFFERKORN, JOHANN (JOSEPH)
http://www.jewishenc[...]
[399]
서적
Tutsch missive,warumb die Juden so lang im ellend sind
[400]
인물
Beatus Rhenanus
1485-1547
[401]
인물
[402]
인물
[403]
인물
[404]
논문
中世後期ドイツにおけるライン宮中伯の領邦支配とヘゲモニー(1)
北海道大学大学院法学研究科
2013-09-30
[405]
인물
[406]
서적
(서적 제목이 빠짐. "#下村 1972" 로 추정되는 참조 정보만 있음)
[407]
서적
(서적 제목이 빠짐. "#大澤1991" 로 추정되는 참조 정보만 있음)
[408]
서적
ドイツ国民のキリスト教貴族に与う
1520
[409]
서적
(서적 제목이 빠짐. "#ポリアコフ1985" 로 추정되는 참조 정보만 있음)
[410]
백과사전
宗教改革
平凡社
[411]
서적
ポリアコフ 1巻
[412]
서적
ポリアコフ 1巻
[413]
서적
北原 2008
[414]
서적
ポリアコフ 1巻
[415]
서적
聖なる花束と聖地への旅
http://gallica.bnf.f[...]
Nabu Press
[416]
서적
ポリアコフ 1巻
[417]
서적
Sigfrid 1973
[418]
백과사전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419]
서적 #추정
Dan & 竹田和子2016 #두 개의 출처가 함께 언급됨. 추가 정보 없이 구분 불가능
[420]
서적
池上俊一1997
[421]
백과사전
삼십년 전쟁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422]
서적
(제목 정보 없음. "#ドイツ史 2"는 책의 내부 참조로 추정됨)
1996
[423]
서적
(제목 정보 없음. "#ポリアコフ 1"는 책의 내부 참조로 추정됨)
[424]
서적
Œuvres
Hachette
1862
[425]
백과사전
프롱드의 난, 마자랭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426]
서적
(제목 정보 없음. "#ポリアコフ 1"는 책의 내부 참조로 추정됨)
[427]
서적
(제목 정보 없음. "#ポリアコフ 1"는 책의 내부 참조로 추정됨)
[428]
백과사전
장세니즘
大辞林 第三版、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429]
서적
(제목 정보 없음. "#有田 1998"는 책의 내부 참조로 추정됨)
1998
[430]
인물
Richard Simon
1638-1712
[431]
서적
Cérémonies et coutumes qui s'observent aujourd'hui parmi les juifs
1674
[432]
서적
ポリアコフ 1巻
[433]
서적
伊藤玄吾2012
[434]
서적
北原 2008
[435]
간행물
ルイ(14世)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436]
서적
Le bon partage des pauvres en la doctrine chrétienne et connaissance du salut
1671
[437]
인물
[438]
인물
[439]
서적
Catechisme Historique, contenant en abregé l'histoire sainte et la doctrine Cretienne
1683
[440]
서적
ポリアコフ 1巻
[441]
인물
[442]
서적
ゲットーに生きて―あるユダヤ婦人の手記
新樹社
1974
[443]
서적
ウィーン覚書
[444]
서적
幕屋II
[445]
서적
ポリアコフ 1巻
[446]
서적
河野 2001
[447]
서적
Hope of Israel
https://archive.org/[...]
1652
[448]
서적
A Brief Answer to some of the Objections and Demurs made against the coming in and inhabiting of the Jews in this Commonwealth
1656
[449]
서적
河野 2001
[450]
서적
世界歴史体系 イギリス史2
1990
[451]
백과사전
소츠치니, 유니테리안
브리태니커 국제대백과사전, 세계대백과사전
[452]
서적
De Veritate, prout distinguitur a revelatione, a verisimili, a possibili, et a falso (On Truth, as it is Distinguished from Revelation, the Probable, the Possible, and the False)
[453]
백과사전
하버트 오브 챠버리
브리태니커 국제대백과사전
[454]
서적
(リュカス 저서, p.99-100, p.108)
[455]
서적
(ポリアコフ 저서, p.6-7)
[456]
서적
(リュカス 저서, p.119)
[457]
서적
(リュカス 저서, p.128-135)
[458]
서적
(合田 저서, p.111-114)
[459]
서적
Discourse of the Grounds and Reasons of the Christian Religion, with An Apology for Free Debate and Liberty of Writing
1724
[460]
서적
Christianity as Old as the Creation; or, the Gospel a Republication of the Religion of Nature
1730
[461]
백과사전
ティンダル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462]
서적
The Moral Philosohy in a dialogue between Philalethes a Christian Deist, and Theophanes a Christian Jew
1737
[463]
서적
The Divine Legation of Moses
1737-1741
[464]
책의 일부
ポリアコフ III
[465]
책의 일부
ポリアコフ III
[466]
백과사전
理神論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467]
책의 일부
ポリアコフ1985
[468]
책의 일부
ポリアコフ1985
[469]
서적
Prae-Adamitae
1655
[470]
서적
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BOOK IV,CHAPTER VII,16
[471]
서적
ポリアコフ1985
[472]
서적
人間知性新論
(출판은 1765)
[473]
서적
A discourse on the Specific Differences of plants
[474]
서적
Systema naturae, sive regna tria naturae systematice proposita per classes, ordines, genera, & species
Leiden
[475]
서적
Essays, Moral, Political, and Literary
[476]
서적
ポリアコフ1985
[477]
서적
Dissertation physique à l'occasion du nègre blanc
[478]
인물
[479]
인물
[480]
서적
ポリアコフ1985
[481]
서적
カント
[482]
서적
様々な人種について
岩波書店
2001
[483]
서적
自然地理学
[484]
서적
ポリアコフ1985
[485]
서적
An Account of the Regular Gradation in Man, and in different Animals and Vegetables
C. Dilly
1799
[486]
인물
[487]
서적
ポリアコフ1985
[488]
서적
ポリアコフ 1巻
[489]
인물
[490]
서적
ポリアコフ 1巻
[491]
서적
ポリアコフ 4巻
[492]
서적
Entdecktes Judenthum
[493]
서적
ポリアコフ III
[494]
서적
下村 1972
[495]
서적
ポリアコフ III
[496]
서적
ポリアコフ III
[497]
서적
ポリアコフ III
[498]
서적
ポリアコフ III
[499]
서적
ポリアコフ III
[500]
서적
ポリアコフ III
[501]
서적
ポリアコフ1985
[502]
서적
Abhandlung von freier Untersuchung des Canon(正典自由研究)
(출판사 정보 없음)
[503]
서적
ポリアコフ III
[504]
서적
反マキャベッリ論
京都大学学術出版会
[505]
서적
反マキャベッリ論
京都大学学術出版会
[506]
서적
啓蒙の地下文書1
法政大学出版局
[507]
인물
渡部重美
[508]
인물
Christian Konrad Wilhelm Dohm
[509]
서적
Über die bürgerliche Verbesserung der Juden
[510]
서적
The Bloomsbury Dictionary of Eighteenth-Century German Philosophers
Bloomsbury Publishing
[511]
논문
Johann David Michaelis and the Colonial Imaginary: Orientalism and the Emergence of Racial Antisemitism in Eighteenth-Century Germany
2000
[512]
서적
ポリアコフ III
[513]
서적
有田 1998(上)
[514]
서적
ポリアコフ III
[515]
간행물
Essai sur la régénération physique, morale et politique des juifs
http://gallica.bnf.f[...]
1788
[516]
서적
有田 1998
[517]
논문
Apologie des Juifs
1789
[518]
서적
有田 1998
[519]
서적
ドイツ史 2
[520]
백과사전
革命戦争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521]
서적
世界歴史体系 フランス史2
山川出版社
1996
[522]
백과사전
「九月虐殺」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523]
서적
ポリアコフ III
[524]
백과사전
「カンポ・フォルミオ条約」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525]
서적
大澤2008
[526]
서적
カント全集18巻
岩波書店
[527]
서적
ポリアコフ3巻
[528]
서적
カント全集10巻
岩波書店
[529]
서적
カント全集15
[530]
서적
上山安敏2005
[531]
서적
上山安敏2005
[532]
서적
ケドゥーリー, 原百年
[533]
서적
ドイツ史 2
[534]
서적
フィヒテ全集2
1997
[535]
서적
シュライエルマッハー
[536]
서적
ポリアコフ III
[537]
서적
ヘーゲル全集16巻
岩波書店
[538]
서적
ヘーゲル全集4巻
岩波書店
[539]
서적
法の哲学
創元社
1961
[540]
서적
ヘーゲル初期神学論集Ⅱ
以文社
1974
[541]
서적
ポリアコフ1985
[542]
서적
余録と補遺
白水社
[543]
서적
白水社
[544]
서적
哲学史のための断章
白水社
[545]
서적
ドイツ史 2
[546]
서적
ポリアコフ III
[547]
백과사전
神聖ローマ帝国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548]
서적
ドイツ史 2
[549]
서적
Deutschland in seiner tiefsten Erniedrigung
[550]
서적
ドイツ史 2
[551]
reference
植村邦彦1999
[552]
reference
ポリアコフ III
[553]
reference
ポリアコフ III
[554]
서적
詩と真実
ゲーテ全集9
[555]
서적
ヴィルヘルム・マイステルの遍歴時代
岩波文庫
[556]
reference
モッセ1996
[557]
백과사전
ロマン主義
世界大百科事典
[558]
reference
八田1964
[559]
reference
ポリアコフ III
[560]
인물
Heinrich Friedrich Theodor Kohlrausch
[561]
서적
(제목 정보 없음)
[562]
서적
Über den Fall Teutschlands und die Bedingungen seiner Wiedergeburt
1810
[563]
서적
Deutsche Mythologie
1835
[564]
참고자료
[565]
서적
(제목 정보 없음)
[566]
웹사이트
Deutsches Volksthum
http://www.mdz-nbn-r[...]
1810
[567]
서적
(제목 정보 없음)
[568]
참고자료
[569]
서적
(제목 정보 없음)
[570]
서적
(제목 정보 없음)
[571]
서적
독일사 2
[572]
백과사전
일본대백과사전(니포니카)
小学館
[573]
서적
독일사 2
[574]
서적
포리아코프 III
[575]
서적
독일사 2
[576]
서적
스기우라 타다오 1993
[577]
백과사전
세계대백과사전 제2판
[578]
서적
포리아코프 III
[579]
서적
Judenspiegel – Ein Schand- und Sittengemälde alter und neuer Zeit
1819
[580]
서적
신다 준지 2012
[581]
서적
Der Judenspiegel
1883
[582]
서적
Der Judenspiegel
1921
[583]
참고자료
ポリアコフ III
[584]
참고자료
ポリアコフ III
[585]
백과사전
세계의 관광 지명이 알 수 있는 사전
講談社
[586]
참고자료
奥村淳
[587]
간행물
パリ便り
1831-03-17
[588]
서적
ベルネ論
1840
[589]
참고자료
독일사 2
[590]
참고자료
モッセ1996
[591]
서적
ポリアコフ III
[592]
서적
Zur Geschichte der Religion und Philosophie in Deutschland,Erstes Buch
1834
[593]
인물
Theodor Mundt
1808-1861
[594]
인물
Ludolf Wienbarg
1802-1872
[595]
서적
ポリアコフ III巻
[596]
인물
Wolfgang Menzel
1798-1873
[597]
서적
ポリアコフ III巻
[598]
서적
ポリアコフ III巻
[599]
서적
ポリアコフ III
[600]
서적
ポリアコフ III
[601]
인물
[602]
서적
(제목 정보 부족)
[603]
서적
敬虔なユダヤ人 (Der fromme Jude)
[604]
서적
(제목 정보 부족, ポリアコフ III巻 참조 필요)
[605]
용어
[606]
서적
(제목 정보 부족, ポリアコフ III 참조 필요)
[607]
서적
(제목 정보 부족, ポリアコフ III 참조 필요)
[608]
서적
(제목 정보 부족, ポリアコフ III 참조 필요)
[609]
인물
[610]
서적
(제목 정보 부족, ポリアコフ III 참조 필요)
[611]
백과사전
DAMASCUS AFFAIR
Jewish Encyclopedia
[612]
서적
ポリアコフ III
[613]
백과사전
三月革命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614]
인물
Friedrich Julius Stahl
1802-1861
[615]
서적
A・Julius 2010
[616]
서적
ケテラー2006
[617]
서적
ドイツ史 2巻
[618]
서적
ナショナリズム
平凡社
[619]
서적
河野 2001
[620]
서적
河野 2001
[621]
서적
ANGLO-ISRAELISM
http://jewishencyclo[...]
Jewish Encyclopedia
1906
[622]
서적
(정보 부족)
[623]
서적
BROTHERS, RICHARD
Jewish Encyclopedia
1906
[624]
서적
Die Germanen ein Semitischer Volksstamm
Berlin
1878
[625]
서적
(정보 부족)
[626]
서적
Coningsby
[627]
서적
(정보 부족)
[628]
서적
The Races of Men
https://www.bl.uk/co[...]
1850
[629]
서적
ジョージ・ベンティンク伝
1852
[630]
서적
(정보 부족)
[631]
서적
森田 イタリア史
[632]
서적
森田 イタリア史
[633]
서적
ポリアコフ III
[634]
서적
梅津2006
[635]
서적
フランス史第3巻
[636]
서적
ポリアコフ III
[637]
서적
フランス史 第5書第3章「金、租税、テンプル騎士団」
藤原書店
[638]
서적
ポリアコフ1985
[639]
서적
オランデール
[640]
서적
Ideen zur Philosophie der Geschichte der Menschheit
[641]
서적
ポリアコフ1985
[642]
인물
[643]
서적
ポリアコフ1985
[644]
서적
Le Règne Animal
[645]
서적
ギリシア人をはじめとした古代民族の象徴と神話 (Symbolik und Mythologie der alten Völker, besonders der Griechen)
Leipzig
[646]
서적
ポリアコフ1985
[647]
서적
Lehrbuch der Naturphilosophie. Dritter Theil.
[648]
서적
ポリアコフ1985
[649]
인물
[650]
인물
[651]
인물
[652]
인물
1810-1892
[653]
참고문헌
ポリアコフ1985
[654]
서적
Histoire Romaine
[655]
서적
Bible de l'Humanité
[656]
참고문헌
ポリアコフ1985
[657]
서적
『フランス史』序文
1833
[658]
참고문헌
ポリアコフ1985
[659]
인물
1802-1867
[660]
참고문헌
ポリアコフ1985
[661]
서적
ポリアコフ1985
[662]
인물
[663]
서적
ポリアコフ1985
[664]
서적
松尾剛
[665]
인물
[666]
서적
長谷川一年2000
[667]
서적
ポリアコフ1985
[668]
서적
モッセ1998
[669]
서적
オランデール
[670]
인물
[671]
서적
オランデール
[672]
서적
モッセ1998
[673]
서적
ポリアコフ 5巻
[674]
서적
多田,32号
[675]
서적
Traité de géographie et de statistique médicales et des maladies endémiques
1806-1867
[676]
서적
Vorlesungen über den Menschen, seine Stellung in der Schöpfung und in der Geschichte der Erde.
1863
[677]
서적
Zur Volkskunde der Juden
1881
[678]
서적
1799-1875
[679]
서적
オランデール
[680]
서적
ポリアコフ1985
[681]
인물
[682]
서적
La Bible dans l'Inde, Vie de Iezeus Christna
1869
[683]
인물
[684]
인물
[685]
참고문헌
[686]
인물
[687]
서적
Kulturgeschichte in ihrer natürlichen Entwicklung bis zur Gegenwart
1896-1898
[688]
인물
[689]
서적
The Variation of Animals and Plants under Domestication
1868
[690]
참고문헌
[691]
서적
科学と科学者の歴史
[692]
서적
L'hérédité. Étude psychologique
1873
[693]
서적
国家
[694]
웹사이트
Darwin,Deutschland und die Juden oder Juda-Jesuitismus
http://www.mdz-nbn-r[...]
[695]
서적
第三帝国の歴史
現代書館
2014
[696]
인물
[697]
서적
人間における自然淘汰
1893
[698]
서적
社会学的・政治的意義における遺伝と淘汰
1903
[699]
서적
[700]
서적
Racial Hygiene: Medicine Under the Nazi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701]
참고자료
今野元
[702]
서적
Heredity in Relation to Eugenics.『人種改良学』
大日本文明協会事務所
1914
[703]
참고자료
吉田 2009
[704]
참고자료
吉田 2009
[705]
참고자료
ポリアコフ III
[706]
참고자료
吉田 2009
[707]
참고자료
吉田 2009
[708]
참고자료
吉田 2009
[709]
참고자료
吉田 2009
[710]
참고자료
吉田 2009
[711]
서적
吉田 2009
[712]
서적
吉田 2009
[713]
서적
伊藤嘉啓1981
[714]
서적
有田亘
[715]
서적
ポリアコフ III
[716]
서적
マルティン・ゲック上
[717]
서적
吉田 2009
[718]
서적
上山安敏2005
[719]
서적
吉田 2009
1865-09-11
[720]
서적
吉田 2009
[721]
서적
吉田 2009
[722]
서적
吉田 2009
[723]
서적
吉田 2009
[724]
서적
Der Talmudjude. Zur Beherzigung für Juden und Christen aller Stände
1871
[725]
서적
ポリアコフ III
[726]
서적
吉田 2009
[727]
서적
吉田 2009
[728]
서적
ポリアコフ III
[729]
서적
吉田 2009
[730]
서적
ポリアコフ III
[731]
서적
ポリアコフ 3巻
[732]
서적
高辻1986
[733]
서적
マルティン・ゲック下
[734]
서적
マルティン・ゲック上
[735]
인물
Baron Hans Paul von Wolzogen
1848-1938
[736]
인물
Édouard Dujardin
[737]
서적
ポリアコフ 4巻
[738]
서적
ポリアコフ 3巻
[739]
서적
Le Juifs, rois de l’époque
[740]
서적
ポリアコフ 3巻
[741]
서적
ポリアコフ III巻
[742]
서적
ポリアコフ III巻
[743]
서적
Die Geheimnisse des christlichen Altertums
Hamburg
1847
[744]
서적
ポリアコフ III巻
[745]
서적
マルクス=エンゲルス全集
大月書店
[746]
서적
ポリアコフ III
[747]
서적
告白
1854
[748]
서적
ポリアコフ III
[749]
간행물
デュッセルドルフの絵画教室
[750]
서적
共観福音史家とヨハネの福音史批判
[751]
서적
Das entdeckte und das unentdeckte Christenthum in Zürich und ein Traum. Eine Bagatelle. Auszüge aus der in Zürich confiscierten Bauer’schen Schrift enthaltend und dem christlichen Dr. Bluntschli gewidmet vom Antichrist
Jenni, Sohn
1843
[752]
서적
篠原敏昭1992
[753]
서적
Die Judenfrage
1843
[754]
서적
神田順司2012
[755]
서적
ポリアコフ III
[756]
서적
村上俊介1992
[757]
기타
[758]
간행물
Schmeitzner's Internationale Monatsschrift
1882
[759]
서적
ポリアコフ III
[760]
서적
古田1972
[761]
서적
Karl Marx. Eine Psychographie
Wien/Frankfurt am Main/Zürich
1966
[762]
논문
Eduard von Mueller-Tellering, Verfasser des ersten antisemitischen Pamphlets gegen Marx
Bulletin of the International Institute of Social History
1951
[763]
참고자료
[764]
참고자료
[765]
참고자료
[766]
참고자료
[767]
서적
Die Industrialisierung in Deutschland 1800 bis 1914
Paderborn
1993
[768]
인물
1803-1878
[769]
참고자료
[770]
인물
1811-1877
[771]
서적
ケテラー2006
[772]
서적
ケテラー2006
[773]
서적
ケテラー2006
[774]
백과사전
エルフルト綱領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百科事典マイペディア
[775]
서적
Die Juden und der deutsche Staat
Berlin and Posen
1861
[776]
서적
モッセ1998
[777]
서적
ポリアコフ 4巻
[778]
서적
上山安敏2005
[779]
서적
上山安敏2005
[780]
서적
上山安敏2005
[781]
서적
上山安敏2005
[782]
서적
Ein Kampf um Rom
[783]
서적
モッセ1998
[784]
서적
下村 1972
[785]
서적
Le Juif, le judaïsme et la judaïsation des peuples chrétiens
H. Plon
[786]
서적
鈴木 2014
[787]
서적
ポリアコフ 4巻
[788]
간행물
ヴァイマル期における民族主義神学の形成 ドイツ優生学とプロテスタント社会福祉(2)
2011
[789]
서적
ポリアコフ 4巻
[790]
서적
ウィーンのユダヤ人
御茶の水書房
1999
[791]
서적
ポリアコフ 5巻
[792]
서적
竹田和子2017
[793]
서적
コーン(1991)
[794]
간행물
「19世紀末大不況」期における景気循環の跛行性について
旭川大学紀要
2007-12-01
[795]
간행물
世界三大不況の性格と特徴
中京大学経済学論叢
2013-03-00
[796]
서적
大澤2008
[797]
서적
大澤1991
[798]
인물
Constantin Frantz
1817-1891
[799]
서적
ポリアコフ 5巻
[800]
서적
ケテラー2006
[801]
서적
モッセ1996
[802]
서적
ポリアコフ 4巻
[803]
간행물
Deutsche Reform
1882-09-10
[804]
백과사전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805]
서적
ポリアコフ 4巻
[806]
서적
Der Sieg des Judenthums über das Germanenthum – Vom nichtconfessionellen Standpunkt aus betrachtet
http://www.gehove.de[...]
Rudolph Costenoble
1879
[807]
서적
Die Judenfrage als Racen-, Sitten- und Culturfrage. Mit einer weltgeschichtlichen Antwort.
[808]
서적
Der Ersatz der Religion durch Vollkommeneres und die Ausscheidung alles Judenthums durch den modernen Völkergeist
Reuther
[809]
서적
ヒムラーとヒトラー
講談社
2000
[810]
서적
上山安敏2005
[811]
백과사전
モッセ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812]
서적
Wilhelm Freiherr von Hammerstein-Gesmold(Wilhelm Joachim von Hammerstein)1838-1904
[813]
서적
レッシング2
[814]
참고문헌
原田2006
[815]
서적
帰依する世紀末
ミネルヴァ書房
[816]
참고문헌
上山安敏2005
[817]
참고문헌
上山安敏2005
[818]
서적
善悪の彼岸
[819]
서적
善悪の彼岸
[820]
서적
道徳の系譜
[821]
서적
ドイツ史 3
[822]
백과사전
全ドイツ連盟
小学館
[823]
서적
ドイツ史 3
[824]
서적
ドイツ史 3
[825]
백과사전
ティルピッツ
小学館
[826]
서적
ドイツ史 3
[827]
서적
カーショー上巻
[828]
서적
モッセ1998
[829]
서적
Der Büttnerbauer
[830]
논문
19世紀転換期ドイツに見られる聖杯のモティーフ- 郷土芸術の逸脱から青年運動という帰結まで-
1992-03-31
[831]
간행물
L'Anti-Juif, organe de défense nationale
[832]
서적
The Dreyfus Affair: A Chronological History
Palgrave Macmillan UK
2008
[833]
인물
Paul Eugène Bontoux
[834]
간행물
Les juifs nos maîtres
1882
[835]
서적
Les Semites Et Le Semitisme
Kessinger Publishing
2010
[836]
서적
Les Rois de la République, histoire des juiveries
P. Arnould
1883
[837]
서적
ポリアコフ 4巻
[838]
간행물
L'Anti-Sémitisme: Le Juif,voilà l'ennemi !
[839]
인물
Gustave Tridon
1841-1871
[840]
서적
Du Molochisme Juif: Études Critiques et Philosophiques
http://gallica.bnf.f[...]
Nabu Press
2012
[841]
성경
레위기 18:21, 20:2-5
[842]
서적
Les Francs-Maçons et les Juifs. Sixième Age de l'Église d'après l'Apocalypse
(publisher 정보 없음)
[843]
서적
La Franc-maçonnerie et la Révolution
Seguin frères
[844]
서적
Le Capital, la spéculation et la finance au xixe siècle
E. Plon, Nourrit et Cie.
[845]
서적
ポリアコフ 4巻
[846]
서적
La France juive
Flammarion
[847]
서적
鈴木 2014
[848]
서적
鈴木 2014
[849]
신문
フィガロ
1886-04-19
[850]
서적
鈴木 2014
[851]
서적
鈴木 2014
[852]
간행물
Du rôle des Juifs dans la civilisation
1886-11-20
[853]
서적
La prépondérance juive
1889
[854]
인물
Marquis de Morès
[855]
서적
ポリアコフ 4巻
[856]
서적
ポリアコフ 4巻
[857]
서적
Le Salut par les Juifs
https://archive.org/[...]
A. Demay
1892
[858]
서적
メールマン1987
[859]
서적
メールマン1987
[860]
인물
マクシミリアン・フォン・シュヴァルツコッペン
[861]
서적
ポリアコフ 4巻
[862]
서적
Le Roman de l'énergie nationale (trilogie romanesque):Les déracinés, L'Appel au soldat, Leurs figures
1897-1902
[863]
서적
ヴィノック2007
[864]
서적
ヴィノック2007
[865]
저자
Henri Vaugeois
[866]
서적
ヴィノック2007
[867]
서적
ヴィノック2007
[868]
저자
George Montandon
[869]
서적
ポリアコフ 4巻
[870]
서적
Au pied du Sinaï
1898
[871]
서적
ヴィノック2007
[872]
서적
ドイツ史 3
[873]
서적
モッセ1996
Central-Verein deutscher Staatsbürger jüdischen Glaubens
[874]
서적
上山安敏2005
[875]
서적
カーショー上巻
[876]
서적
ポリアコフ 5巻
[877]
인물
Georg Ritter von Schönerer
1842-1921
[878]
서적
ポリアコフ 4巻
[879]
서적
Der Rassenkampf
1883
[880]
서적
Die Juden - die Könige unserer Zeit
1887
[881]
저자
[882]
서적
ポリアコフ 4巻
[883]
서적
ポリアコフ 4巻
[884]
서적
ポリアコフ 5巻
[885]
서적
ポリアコフ 4巻
[886]
서적
ポリアコフ 4巻
[887]
서적
『カハルの書』『地域的ならびに世界的なユダヤ人同胞組織』
[888]
서적
中村 2004
[889]
서적
「空想と夢想」作家の日記1
新潮社全集
1873-11
[890]
서적
「作家の日記2」
新潮社全集
[891]
서적
작가의 일기 2
[892]
서적
작가의 일기 2
[893]
서적
작가의 일기 2
[894]
서적
작가의 일기 2
[895]
서적
작가의 일기 2
[896]
서적
작가의 일기 (4)
1959
[897]
서적
작가의 일기 2
[898]
서적
작가의 일기 2
[899]
서적
작가의 일기 3
[900]
서적
작가의 일기 3
[901]
서적
ドストエフスキー全集 17巻
筑摩書房
1879-08-21
[902]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03]
서적
カラマーゾフの兄弟1
光文社
[904]
서적
カラマーゾフの兄弟
新潮文庫
[905]
서적
作家の日記(六)
(미상)
[906]
서적
作家の日記3
[907]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08]
참고문헌
赤尾 2007
[909]
서적
アンナ・カレーニナ(下)
岩波文庫
1989
[910]
서적
ギテルマン
[911]
논문
2012
[912]
논문
中村 2004
[913]
논문
大澤2008
[914]
논문
河野 2001
[915]
서적
The American Society for Meliorating the Condition of the Jews
[916]
논문
河野 2001
[917]
서적
The Jewish Cemetery at Newport
[918]
서적
The Quaker City, or The Monks of Monk Hall
[919]
논문
河野 2001
[920]
논문
ポリアコフ 4巻
[921]
서적
The Awful disclosures of Maria Monk,The Hidden Secrets of a Nun’s Life in a Convent Exposed
1836
[922]
서적
Letters from an American Farmer
1782
[923]
논문
민주주의 대 멜팅 포트 (Democracy Versus the Melting-Pot)
1915-02-18, 1915-02-25
[924]
서적
(제목 정보 없음)
[925]
논문
반유대주의의 뿌리 (The roots of Anti-semitism)
1928-02-28
[926]
기타
(제목 정보 없음)
[927]
서적
(제목 정보 없음)
[928]
서적
(제목 정보 없음)
[929]
서적
우생학의 이름으로 ― 「인류 개량」의 악몽의 백 년 (優生学の名のもとに―「人類改良」の悪夢の百年)
朝日新聞
1993-09
[930]
서적
(제목 정보 없음)
[931]
뉴스
Times
Times
1917-11-23
[932]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33]
서적
Bolshevism in Russia, A collection of Reports presented to the Parliament of Great Britain by command of his Majesty
https://archive.org/[...]
HIS MAJESTY'S STATIONERY OFFICE
1919
[934]
서적
England under the Heel of the jew, A tale of two books
1918
[935]
뉴스
タイムズ紙ヴェラックス署名社説
タイムズ紙
1919-11-27
[936]
서적
The Cause of the World unrest
https://archive.org/[...]
G.P.PUTNAM'S SONS
1920
[937]
뉴스
ZIONISM versus BOLSHEVISM. A STRUGGLE FOR THE SOUL OF THE JEWISH PEOPLE
Illustrated Sunday Herald (London)
1920-02-08
[938]
서적
The Cause of the World unrest
https://archive.org/[...]
G.P.PUTNAM'S SONS
1920
[939]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40]
기타
Gehazi, Judge in Israel, A leper white as snow
[941]
서적
Loyalties
1922
[942]
서적
The Jews
https://archive.org/[...]
Constable
[943]
서적
河野 2001
[944]
백과사전
サイクス・ピコ協定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百科事典マイペディア(平凡社)、時事用語事典imidas
[945]
백과사전
シリア
世界大百科事典
[946]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47]
뉴스
枢機卿会議
1919-03-10
[948]
서적
Revue internationale des sociétés secrètes
[949]
뉴스
1919-03-29
[950]
뉴스
1920-01-31
[951]
간행물
Les Juifs sont les principaux fauteurs du bolchevisme universel
La Documentation catholique
1920-03-06
[952]
웹사이트
What Hitler and the Grand Mufti Really Said
http://time.com/4084[...]
2015-10-22
[953]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54]
서적
The Passing of the Great Race: Or, The Racial Basis of European History
1916
[955]
논문
「戦争と知識人」(ランドルフ・ボーン) : 翻訳と解題
京都大学大学院人間・環境学研究科英語部会
2010-02
[956]
간행물
The German-Bolshevik conspiracy
https://archive.org/[...]
United States.Committee on public Information
[957]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58]
저자
[959]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60]
저자
[961]
서적
Wall Street and the Bolshevik Revolution
1974
[962]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63]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64]
서적
The Rising Tide of Color Against White World-Supremacy
政教社
1920
[965]
서적
Why Europe leaves home. A True Account of the Reasons Which Cause Central Europeans to Overrun America.
1922
[966]
인물
Rosika Schwimmer
[967]
뉴스
뉴욕 타임즈
1921-12-05
[968]
뉴스
Will Jewish Zionism Bring Armageddon?
The Dearborn Independent
1921-05-29
[969]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70]
뉴스
Jews, Flivers and Catholics
America
1921-05-07
[971]
인물
[972]
논문
Antisemitism, the Harvard Plan, and the Roots of Reverse Discrimination
1983
[973]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74]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75]
서적
河野 2001
[976]
인물
[977]
서적
河野 2001
[978]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79]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80]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81]
서적
聖別された肉体
書誌風の薔薇
[982]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83]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84]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85]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86]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87]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88]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89]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90]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91]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92]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93]
백과사전
ベイリス事件
平凡社
[994]
서적
ポリアコフ 4巻
[995]
서적
ユダヤ人の歴史
[996]
간행물
シベリアで危険にさらされるユダヤ人の境遇
Israel's Messenger
1919-06
[997]
논문
1984
[998]
서적
コーン(1991)
[999]
서적
ポリアコフ 4巻
[1000]
서적
ポリアコフ 5巻
[1001]
서적
堀邦維
[1002]
서적
全体主義の起源3
みすず書房
[1003]
서적
マンデリシュターム
小学館
[1004]
서적
赤いツァーリ
日本放送出版協会
[1005]
저자
[1006]
서적
ジャン・クリストフ(三)
https://www.aozora.g[...]
岩波文庫
[1007]
서적
[1008]
서적
L'Avant-guerre, études et documents sur l'espionnage juif-allemand en France depuis l'affaire Dreyfus
[1009]
서적
[1010]
서적
Les Juifs et la guerre
Payot
[1011]
서적
Les Temps incertains
[1012]
서적
非政治的人間の考察
筑摩書房
[1013]
서적
Mes cahiers, tome X :1913-1914
(출판사 정보 없음)
1938
[1014]
서적
ポリアコフ 4巻
[1015]
서적
ポリアコフ 4巻
[1016]
서적
ポリアコフ 4巻
[1017]
인물
Joséphin Péladan
1858-1918
[1018]
서적
ポリアコフ 5巻
[1019]
서적
ポリアコフ 4巻
[1020]
간행물
Journal des débats
[1021]
서적
Mes Mémoires
Plon
1942
[1022]
신문
L'intransigeant
[1023]
저자
[1024]
뉴스
ボルシェビキ・ロシアの17日間
1920-05-20
[1025]
저자
[1026]
서적
ポリアコフ 4巻
[1027]
서적
Silbermann
新潮社
1922
[1028]
서적
メールマン1987
[1029]
서적
メールマン1987
[1030]
서적
La Mystification des peuples alliés
1922
[1031]
서적
ヴァシェ・ド・ラプージュ Georges Vacher du Lapouge
[1032]
서적
ポリアコフ 4巻
[1033]
서적
L'Europe Galante
1925
[1034]
서적
Le Puits de Jacob
1925
[1035]
서적
La Grande Peur des bien-pensants
Grasset
1931
[1036]
서적
La Jument errante
1933
[1037]
서적
メールマン1987
[1038]
웹사이트
Stavisky affair
https://www.britanni[...]
小学館
2009
[1039]
서적
Chaminadour,Le Péril juif
1937
[1040]
간행물
Après le coup de force germanique
1936-04
[1041]
서적
メールマン1987
[1042]
서적
チボー家の人々
[1043]
서적
ジョゼフ・パスキエの受難
[1044]
서적
評論 死体派
国書刊行会
[1045]
인물
Georges Mandel
[1046]
인물
Georges Bonnet
[1047]
서적
Pleins pouvoirs
[1048]
서적
メールマン1987
[1049]
서적
メールマン1987
[1050]
서적
ポール・ド・マン
岩波書店
[1051]
서적
le Chemin de la Croix-des-Annes
1948
[1052]
서적
メールマン1987
[1053]
서적
レッシング
[1054]
서적
Geschlecht und Charakter
村松書館, 河出書房
1980-01, 1958
[1055]
서적
ユダヤ小百科
水声社
2012
[1056]
서적
[1057]
서적
ポリアコフ 5巻
[1058]
서적
Ein Pangermanisches Deutschland
1905
[1059]
서적
[1060]
서적
木村2014
[1061]
서적
대澤2008
[1062]
서적
A・Julius 2010
[1063]
서적
上山安敏2005
[1064]
성경
요하네복음
일본성서협회
1954
[1065]
성경
레위기, 열왕기상, 열왕기하, 역대하
[1066]
서적
幻想の未来, 文化への不満
1927, 1930
[1067]
서적
上山安敏2005
[1068]
서적
上山安敏2005
[1069]
서적
ポリアコフ1985
[1070]
서적
Zur gegenwärtigen Lage der Psychotherapie
1934
[1071]
서적
オランデール
[1072]
인물
Moritz von Egidy
1847-1898
[1073]
서적
モッセ1998
[1074]
논문
ヴィルヘルム期ドイツにおける民族至上主義と改革運動との関係について -モーリッツ・フォン・エギィディを中心にして-
2007-02-28
[1075]
인물
Ludwig Woltmann
1871-1907
[1076]
서적
モッセ1998
[1077]
서적
Die Germanen und die Renaissance in Italien(1905),Die Germanen in Frankreich(1907)
[1078]
서적
ポリアコフ1985
[1079]
논문
Der deutsch-jüdische Parnass
1912
[1080]
간행물
Die Juden in Deutschland
Institut zum Studium der Judenfrage
[1081]
서적
ドイツ史 3
[1082]
서적
Wenn ich der Kaiser wär.『もし私が皇帝ならば』
1912
[1083]
인물
Auguste Forel
1848-1931
[1084]
서적
[1085]
서적
Die Sünde wider das Blut
1876-1948
[1086]
서적
[1087]
서적
古代ユダヤ教
岩波文庫
1996
[1088]
서적
[1089]
서적
古代ユダヤ教
岩波文庫, みすず書房
[1090]
서적
[1091]
서적
사회철학의 복권
강담사학술문고
[1092]
간행물
상산안민 2005
[1093]
간행물
하프 2010
[1094]
웹사이트
Die Zukunft der Juden
https://archive.org/[...]
[1095]
웹사이트
Die Zukunft der Juden
https://archive.org/[...]
[1096]
간행물
하프 2010
[1097]
간행물
Völkischer Beobachter
1934-08-19/20
[1098]
간행물
모세 1998
[1099]
간행물
모세 1998
[1100]
간행물
모세 1998
[1101]
서적
モッセ1998
[1102]
서적
ポリアコフ 4巻
[1103]
간행물
Ostara, Briefbücherei der Blonden und Mannesrechtler
[1104]
인물
Julius Langbehn
1851-1907
[1105]
서적
モッセ1998
[1106]
단체
Heimatkunstbewegung
[1107]
서적
モッセ1998
[1108]
인물
Theodor Fritsch
1852-1993
[1109]
간행물
Der Hammer – Blätter für deutschen Sinn
[1110]
서적
モッセ1998
[1111]
서적
Bund Artam,Artamanen
[1112]
서적
Krieg: eine politisch-entwickelungsgeschichtliche untersuchung
1906
[1113]
참고자료 # 또는 내부 참조. 더 자세한 정보 없이는 정확한 type을 지정할 수 없습니다.
ポリアコフ1985
[1114]
참고자료 # 또는 내부 참조
上山安敏2005
[1115]
참고자료 # 또는 내부 참조
上山安敏2005
[1116]
서적
フェルキッシュ革命―ドイツ民族主義から反ユダヤ主義へ
柏書房
1998
[1117]
참고자료 # 또는 내부 참조
ポリアコフ 4巻
[1118]
참고자료 # 또는 내부 참조
モッセ1998
[1119]
백과사전
トゥーレ協会 Thule Gesellschaft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1120]
참고자료 # 또는 내부 참조
小岸 2000
[1121]
서적
Dietrich Eckart and the Genesis of Nazism
UMI Press
1971
[1122]
성경
요한계시록
[1123]
간행물
(소제목 추정 필요)
[1124]
간행물
(소제목 추정 필요)
[1125]
간행물
(소제목 추정 필요)
[1126]
논문
青年ドイツ騎士団団長A・マーラウンの政治思想
1990-01
[1127]
간행물
(소제목 추정 필요)
[1128]
간행물
(소제목 추정 필요)
[1129]
간행물
(소제목 추정 필요)
[1130]
간행물
(소제목 추정 필요)
[1131]
서적
ポリアコフ 4巻
[1132]
서적
大澤2008
[1133]
서적
下村1974
[1134]
서적
ポリアコフ 4巻
[1135]
저자
Hans von Liebig
[1136]
저자
Sigmund Feist
1865 - 1943
[1137]
서적
ポリアコフ 4巻
[1138]
서적
ポリアコフ 4巻
[1139]
백과사전
封印列車
小学館
[1140]
서적
木村2014
[1141]
서적
ポリアコフ 4巻
[1142]
서적
ドイツ史 3
[1143]
서적
ポリアコフ 4巻
[1144]
서적
大澤2008
[1145]
백과사전
ドイツ革命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1146]
서적
大澤2008
[1147]
서적
大澤2008
[1148]
서적
ポリアコフ 4巻
[1149]
서적
Der Antisemitismus im deutschen akademischen Leben in der Zeit nach dem I. Weltkrieg
[1150]
서적
カーショー上巻
[1151]
서적
ポリアコフ 4巻
[1152]
서적
Judas Schuldbuch: Eine Deutsche Abrechnung
1919
[1153]
서적
ポリアコフ 4巻
[1154]
서적
ポリアコフ 4巻
[1155]
서적
カーショー上巻
[1156]
서적
カーショー上巻
[1157]
서적
カーショー上巻
[1158]
서적
カーショー上巻
[1159]
간행물
Das Manifest zur Brechung der Zinsknechtschaft des Geldes
1919
[1160]
서적
ハーフ2010
[1161]
서적
国民の精神的空間としての著作
1927
[1162]
서적
[1163]
서적
[1164]
서적
[1165]
서적
[1166]
서적
[1167]
서적
[1168]
서적
[1169]
서적
[1170]
서적
我が闘争
[1171]
서적
(제목 정보 없음, 추가 정보 필요)
[1172]
인물
[1173]
서적
Geheimnisse der Weisen von Zion
Auf Vorposten
[1174]
서적
(제목 정보 없음, 추가 정보 필요)
[1175]
인물
[1176]
서적
(제목 정보 없음, 추가 정보 필요)
[1177]
서적
(제목 정보 없음, 추가 정보 필요)
[1178]
서적
The Book Thieves: The Nazi Looting of Europe's Libraries and the Race to Return a Literary Inheritance
Penguin
[1179]
웹사이트
Philipp Lenard - Biographical
http://www.nobelpriz[...]
2018-02-19
[1180]
서적
(제목 정보 없음, 추가 정보 필요)
[1181]
서적
ドイツ人・ユダヤ人としての私の道
1921
[1182]
서적
[1183]
백과사전
ベルサイユ条約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1184]
서적
[1185]
서적
[1186]
서적
[1187]
서적
つまはじき
1929
[1188]
서적
[1189]
서적
[1190]
서적
[1191]
서적
カーショー上巻
[1192]
서적
ドイツ史 3
[1193]
서적
カーショー上巻
[1194]
서적
Die Protokolle der Weisen von Zion und die jüdische Weltpolitik
Deutscher Volksverlag
[1195]
서적
Großdeutsche Volksgemeinschaft
[1196]
서적
この時代の遺産
[1197]
서적
[1198]
서적
Das dritte Reich
Ring Verlag
[1199]
서적
[1200]
서적
[1201]
서적
Mein Kampf, la traduction français intégrale
Nouvelles Editions Latines
[1202]
서적
[1203]
서적
[1204]
서적
[1205]
서적
[1206]
서적
心情の敵対者としての精神
うぶすな書院
2008
[1207]
서적
[1208]
서적
[1209]
서적
[1210]
백과사전
ドイツ=オーストリア関税同盟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1211]
서적
Die Sendung des Nordens
[1212]
서적
カーショー上巻
[1213]
서적
カーショー上巻
[1214]
서적
カーショー上巻
[1215]
서적
カーショー上巻
[1216]
서적
カーショー上巻
[1217]
서적
カーショー上巻
[1218]
서적
カーショー上巻
[1219]
서적
カーショー上巻
[1220]
서적
ポリアコフ1985
[1221]
서적
カーショー上巻
[1222]
서적
山口和人
[1223]
서적
ポリアコフ 4巻
[1224]
서적
大澤2008
[1225]
서적
原田2006
[1226]
서적
ポリアコフ 5巻
[1227]
서적
カーショー上巻
[1228]
서적
カーショー上巻
[1229]
서적
ポリアコフ 4巻
[1230]
서적
大澤1991
[1231]
논문
小岸 2000
[1232]
논문
山本達夫
[1233]
논문
泉彪之助
日本精神神経学会
[1234]
논문
ポリアコフ 4巻
[1235]
논문
ポリアコフ 4巻
[1236]
웹사이트
Nuremberg Trial Proceedings
https://avalon.law.y[...]
[1237]
웹사이트
GENERAL INFORMATION
https://www.majdanek[...]
[1238]
논문
ゴールドハーゲン
[1239]
논문
北原 2008
[1240]
인물
Sebald Rudolf Steinmetz
1862-1940
[1241]
서적
コーン(1991)
[1242]
간행물
所謂世界的秘密結社の正体
1921-06
[1243]
서적
ユダヤ禍の迷妄
1929
[1244]
서적
宮澤2015
[1245]
서적
松浦1999
[1246]
서적
松浦1999
[1247]
서적
Zen War Stories
Routledge
2003
[1248]
뉴스
イスラエルのガザ学校攻撃、米政府が非難
https://jp.reuters.c[...]
2014-08-31
[1249]
뉴스
2014-08-04
[1250]
뉴스
【イスラエル・ガザ侵攻】欧米で反イスラエルデモ拡大 「反ユダヤ」的言動を警戒する仏独
https://web.archive.[...]
2014-08-31
[1251]
칼럼
""
ハリウッド・リポーター
[1252]
뉴스
ジョン・ヴォイト、ガザ空爆を非難したペネロペ・クルスとハビエル・バルデムを批判!
http://dramanavi.net[...]
2014-08-31
[1253]
뉴스
Israel settlements: Netanyahu rejects 'shameful' UN vote
BBC
2016-12-24
[1254]
뉴스
U.S. Abstains From U.N. Vote Condemning Israeli Settlements
Foreignpolicy
2016-12-23
[1255]
백과사전
Neofascism(Germany)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18-02-22
[1256]
서적
ポリアコフ 5巻
[1257]
서적
ドイツ人とユダヤ人との対話という神話に反対して
2005
[1258]
학술지
「ダブスタ」が招くイスラエルの孤立
CCCメディアハウス
2024-10-11
[1259]
뉴스
相次ぐユダヤ人差別発言でドイツの極右政党AfDも終わった?
https://www.newsweek[...]
2017-04-07
[1260]
뉴스
極右AfDが初議席、第3党に躍進 ドイツ議会選
2017-09-25
[1261]
뉴스
Berlin far-right supporters outnumbered by counter-protest
https://www.bbc.com/[...]
BBC
2018-05-27
[1262]
웹사이트
ドイツをむしばむ「新たな反ユダヤ主義」
https://jp.wsj.com/a[...]
2018-08-25
[1263]
웹사이트
イスラーム系移民のユダヤ人憎悪
https://vpoint.jp/wo[...]
2018-08-25
[1264]
뉴스
ドイツのユダヤ人団体、教徒の帽子をかぶらないよう呼びかけ 暴行事件受け
BBC
2018-04-25
[1265]
서적
ポリアコフ 5巻
[1266]
서적
L'Honneur d'être Juif
Laffont
1971
[1267]
서적
メールマン1987
[1268]
서적
ポリアコフ 4巻
[1269]
서적
ポリアコフ 5巻
[1270]
서적
ポリアコフ 5巻
[1271]
법률
LOI no 90-615 du 13 juillet 1990 tendant à réprimer tout acte raciste, antisémite ou xénophobe
[1272]
블로그
4人はユダヤ人ゆえに殺された
http://blog.livedoor[...]
2015-01-16
[1273]
뉴스
労働党と「反ユダヤ主義」
http://www.news-dige[...]
英国ニュースダイジェスト
2018-06-07
[1274]
뉴스
What’s Behind Recent Eruptions Of Anti-Semitism?
https://forward.com/[...]
Forward
2017-04-18
[1275]
뉴스
Corbyn apologises for 'hurt' caused by anti-Semitism in Labour
https://www.bbc.com/[...]
BBC
2018-03-26
[1276]
서적
イスラエル・ロビーとアメリカの外交政策
講談社
2007
[1277]
서적
ユダヤとアメリカ - 揺れ動くイスラエル・ロビー
中公新書
2016
[1278]
뉴스
Pittsburgh synagogue gunman said he wanted all Jews to die, criminal complaint says
https://edition.cnn.[...]
CNN
2018-10-31
[1279]
학술자료
(추가 정보 필요)
[1280]
서적
God Is Not Great
Atlantic Books
2007
[1281]
서적
ポリアコフ 5巻
[1282]
서적
ポリアコフ 5巻
[1283]
서적
ポリアコフ 5巻
[1284]
서적
ポリアコフ 5巻
[1285]
인물
Robert Faurisson
[1286]
인물
Samuel T. Cohen
[1287]
서적
ポリアコフ 5巻
[1288]
서적
A・Julius 2010
[1289]
서적
オスマン帝国
[1290]
웹사이트
イスラム世界におけるユダヤ人の恐怖
http://www.lang.nago[...]
2018-01-05
[1291]
서적
ギンズブルク1992
[1292]
서적
Semites and Antisemites
http://middleeastinf[...]
The Library Press
1973
[1293]
웹사이트
Our common inhumanity: anti-semitism and history
http://www.richardwe[...]
[1294]
서적
세계종교사입문
청년사
[1295]
서적
이야기 교회사
살림
[1296]
서적
유대인
살림
[1297]
서적
Judeophobi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1298]
서적
The Anguish of the Jews: Twenty-Three Centuries of Antisemitism
Paulist Press
2004
[1299]
성경
마카베오상 1:44-50
[1300]
웹사이트
https://jewishcurren[...]
[1301]
논문
기독교적 반유대주의 연구와 반성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1302]
논문
기독교적 반유대주의 연구와 반성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1303]
서적
루터, 칼뱅, 웨슬리
솔로몬
2004-00-00
[1304]
논문
기독교적 반유대주의 연구와 반성
총신대 신학대학원
[1305]
서적
전진하는 진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