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세만은 일본 미에현과 아이치현에 걸쳐 있는 만으로, 이세 신궁과 이세시 주변 지역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고대부터 풍부한 천연 자원과 편리한 운송 수단을 제공하여 어업, 진주 양식, 쌀 작물, 제조업이 번성했으며, 현재는 나고야항과 주부 센트레아 국제공항이 위치한다. 1959년 이세만 태풍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며, 지진과 쓰나미의 위험도 안고 있다. 수질 오염과 해양 생태계 변화 등의 문제도 존재하지만,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관광, 산업, 교통의 중심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치현의 지리 - 고조지 뉴타운
아이치현 가스가이시에 위치한 고조지 뉴타운은 1960년대 후반부터 개발된 대규모 주택 단지로 주택 공급과 지역 사회 형성에 기여했으나, 현재는 고령화와 노후화 문제로 리뉴얼 계획이 추진 중이며 쇼나이강, 코자강, 고자 산, 고모리 산 등으로 둘러싸여 고조지역을 통해 철도 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긴키 지방의 만 - 오사카만
오사카만은 일본 혼슈 서부에 위치하며 고대부터 교통과 무역의 요충지였고, 현재는 여러 항만과 공항이 위치한 교통의 요지이자 공업 지대가 발달해 있지만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 긴키 지방의 만 - 마이즈루만
마이즈루만은 교토부에 있는 토시마로 둘러싸여 잔잔하고 간만의 차가 적은 리아스식 해안으로, 군사적 요충지이자 대륙 귀환 거점이었으며 현재는 아름다운 경관으로 유명한 관광지이고, 토성의 위성 타이탄에 있는 만의 이름이기도 하다. - 미에현의 지리 - 구마노나다
구마노나다는 와카야마현과 미에현에 걸쳐 리아스식 해안과 기암괴석이 특징이며, 쿠로시오 해류의 영향으로 수산자원이 풍부하고 참치 어업이 활발했던 간사이와 에도를 잇는 해상 교통로였으나, 지진, 쓰나미, 해난 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해양 환경 모니터링과 재해 대비가 필요한 곳이다. - 미에현의 지리 - 난키
난키는 일본 난카이도의 기이국에 해당하며 현재 기이반도 남부, 특히 와카야마현 남부 지역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기난이라고도 불리며 고대부터 기이국 전체를 가리키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이세만 | |
---|---|
개요 | |
![]() | |
위치 | 일본 |
면적 | 1,738km² |
평균 깊이 | 19.5m |
최대 깊이 | 30m |
부피 | 33.9km³ |
주요 유입 하천 | 기소 삼천 닛코 강 쇼나이 강 덴파쿠 강 |
주요 도시 | 나고야시 욧카이치시 쓰시 마쓰사카시 이세시 |
해양 | 태평양 |
인공 섬 | 센트레아 공항 |
지리 | |
위치 설명 | 지타 반도와 아쓰미 반도로 둘러싸여 있다. |
수심 | 만 입구는 약 50~100m 정도이다. |
관련 정보 | |
관련 연구 | 이세 만의 빈산소증 발달에 있어서의 순환의 역할 |
기타 명칭 |
2. 역사와 환경
이세만은 이세 신궁과 이세시 주변 지역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미에현 북부의 구와나시에서 이세까지 뻗어 있는 평평한 해안 평야를 이세 평야라고 하며, 이세만의 서쪽 해안에 위치해 있다. 메이지 시대 이전에는 이세국이 현재의 미에현 대부분을 차지했다.
고대부터 이세만은 주변 지역 사람들에게 풍부한 천연 자원과 편리한 운송 수단을 제공했다. 그 결과, 만 주변에 독특한 공동체가 형성되었고, 새우잡이를 비롯한 어업, 진주 양식, 쌀농사, 제조업이 번성했다. 이세만 북쪽 해안에 위치한 나고야항은 일본 최대의 무역항이다. 2005년에는 만에 인공섬으로 건설된 주부 센트레아 국제공항이 개항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세만은 일본 경제의 빠른 회복에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수질과 토양 오염, 갯벌 및 김 양식장 감소 등 식물군과 동물군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발생했다.
2. 1. 이세만 태풍 (1959년)
1959년 9월 26일, 이세만 태풍(태풍 베라)이 이세만 지역을 강타했다.[2] 해수면 상승과 거센 파도가 제방을 무너뜨리고 해안 저지대를 침수시켜, 5,041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되었고 38,921명이 부상당했으며 149,187채의 가옥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파괴되었다.[2] 피해액은 5000억엔에서 6000억엔 사이로 추산된다.[2] 이세만 태풍으로 인한 피해와 인명 손실은 일본에서 태풍으로 기록된 최악의 피해로 남아있다.[2] 이 태풍 이후, 인간 거주지를 보호하기 위해 건설된 방파제는 점점 더 많은 지역을 바다와 사실상 차단시켰다.[2]2. 2. 지진
이세만에는 이세만 단층, 스즈카오키 단층, 시로코노마 단층 등 3개의 활성 단층이 있다.[2] 만 인근의 단층은 1586년 덴쇼 지진의 원인으로 여겨진다.[3] 쓰루가만-이세만 구조선이라는 대규모 단층이 지나가고 있어, 직하형의 대규모 지진도 예상되고 있다. 또한, 장래 발생이 예상되는 난카이 해구 거대 지진에서는 만 내에 6m 전후의 쓰나미가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41]3. 지리
이세만과 미카와만은 모두 수심이 얕은 편이다. 이세만의 평균 수심은 19.5m이고, 가장 깊은 곳도 35-49m 정도이다. 미카와만 역시 평균 수심이 약 9m로 얕다.[5][6]
3. 1. 범위
일반적으로 이라고곶, 가미시마, 도바시마, 시마반도의 도바시 니시자키까지를 잇는 선보다 북쪽의 해역을 가리키지만, 그 정의는 일정하지 않다.[4] 이세만과 태평양의 경계는 법령 등에서도 다르게 정의된다.
3. 1. 1. 해상 교통 안전법 시행령
해상 교통 안전법 시행령은 법 적용 해역의 범위로서 "오야마 삼각점에서 이시키도 등대까지 그은 선"으로 하고 있다(단, 동법에서는 이세만에 "만 입구에 접하는 해역 및 미카와만 중 이세만에 접하는 해역을 포함한다"고 하고 있다)[4]。3. 1. 2. 환경 기준에 관한 수역 및 지역의 지정 사무에 관한 정령
환경기본법에 의거하여 제정된 환경 기준에 관한 수역 및 지역의 지정 사무에 관한 정령에서는 이세만을 "하즈곶에서 시노지마 북단까지 그은 선, 시노지마 남단에서 이라고곶까지 그은 선, 이 지점에서 다이오자키까지 그은 선 및 육지에 의해 둘러싸인 해역"으로 규정하고 있다.[4]3. 1. 3. 해안 보전 구역 등에 관한 해안의 보전에 관한 기본적인 방침
해안법 및 해안 시행령에 따라 책정된 해안 보전 구역 등에 관한 해안의 보전에 관한 기본적인 방침에서는, 미카와만・이세만의 연안은 "이라고곶을 기점으로 가미마에곶을 종점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4]。 다만, 이 범위는 해안선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이라고곶과 가미마에곶의 직선상에는 도바시 등도 위치하지만, 이들 섬들은 해안 보전 계획상으로는 구마노나다에 구분되어 있다[4]。3. 1. 4. 어업 조정 규칙
어업법 및 수산자원보호법에 의거하여 규정된 아이치현 어업 조정 규칙에서는 이세만을 "미에현 도바시 오하마초 니시자키, 모모토리초 시마가사키, 도바시 초 나가사키, 가미시마초 고리코, 가미시마초 오카바 및 다하라시 이라코초 후루야마 정상에 순차적으로 연결된 직선과 육안에 의해 둘러싸인 해역에서 미카와만을 제외한 해역"으로 정의하고 있다[4]。 마찬가지로 미에현 어업 조정 규칙에서도 이세만은 정의되어 있지만, 위의 아이치현 어업 조정 규칙의 정의에서 "에서 미카와만을 제외한 해역"이라는 문구를 뺀 정의가 되어 있다[4]。4. 수질
이세만은 깊이에 비해 만 입구가 좁은 폐쇄성 수역으로[6], 주변 육지에서 생활 하수, 공업 폐수, 하천수 등이 유입된다. 해저가 분지 형태를 띠고 있어 필리핀해와의 해수 교환이 적어 수질이 악화되기 쉽다.[9] 특히 여름철에는 빈산소 수괴 형성이 문제시되고 있다.[10]
4. 1. 주요 유입 하천
이세만은 주변 육지에서 생활 하수, 공업 폐수, 하천수 등이 유입된다.[6] 주요 유입 하천은 다음과 같다.4. 2. 빈산소 수괴 발생
이세만은 깊이에 비해 만 입구가 좁은 폐쇄성 수역이며[6], 주변 육지에서 생활 하수, 공업 폐수, 하천수 등이 유입된다. 게다가 해저가 분지 형태를 띠고 있어 필리핀해와의 해수 교환이 적어 수질이 악화되기 쉽다.[9]이세만 수질에 관해서는, 특히 하절기에 빈산소 수괴의 형성이 문제시되고 있다.[10]
빈산소 수괴나 적조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유기 오니로부터의 영양염 유출 억제[10], 하계에 해수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5. 생물상
이세만과 미카와만은 일본 열도에서도 최대의 내만으로, 생물에게 다양한 서식 환경을 제공한다.[36] 과거에는 대규모 간석지와 아이치현 현명의 유래가 된 토시오카타[11]를 가질 정도로 풍부한 생물상을 자랑했다.
현재도 이세시마 국립공원, 미카와만 국정공원, 이세노우미 현립 자연공원, 아츠미반도 현립 자연공원, 미나미치타 현립 자연공원, 후지마에 간석지 등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이 남아있다.
그러나 인위적인 요인으로 인해 본래의 자연 환경이 크게 변하면서 만과 주변 해양 생태계가 피해를 입었다.[36]
5. 1. 어류 및 패류
적조나 빈산소 수괴 및 서식 환경 악화로 인해 막대한 영향을 받고 있지만[36], 현재도 만 내에서 자망 등의 어업이 가능한 정도로는 어류와 조개의 서식이 관찰된다. 멸치, 정어리, 붕장어, 재첩, 대합, 맛조개 등의 어업이 활발하며[12], 특히 뱅어포, 참복, 꽃게, 갯가재, 바지락 등에 관해서는, 어획량이 전국에서도 유수하다고 여겨진다.[4]나시키(다이오자키)는 국내에서도 유수의 상어 서식지였지만, 현재는 멸종 위기종이며, 최근에는 거의 기록이 없다.[13]
5. 2. 포유류
이라코곶이나 시노지마 등에는 과거 일본강치(멸종종)의 서식지가 존재했고[14], 일본수달(멸종종)도 분포했다[15]。이세만 및 미카와만은 상괭이의 서식지이며[15], 때로는 후지마에 갯벌 주변에도 서식하는 사례가 있었다[16]。 2006년부터는 참돌고래 무리가 정착하기 시작하여, 세계에서 가장 고위도에 서식하는 개체군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세만 페리에서도 목격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17]。
이세와 오와리의 양 국가는 일본 열도에서 상업 포경이 발상한 곳이며, 지타 반도의 모로자키[18]나 시노지마[19] 등이 포경 기지로 알려졌다. 과거 이세·미카와만에는 연안성이 강한 수염고래류[20]가 주기적으로 회유했던 것으로 보이며[30][21][22], 현재에도 드물게 혹등고래나 밍크고래 등이 모습을 드러내는 경우가 있다[23]。 멸종 위기종인 회색고래가 체류한 기록도 여러 건 있다[24]。
향유고래, 범고래, 흑범고래[25], 꽃돌고래, 큰돌고래[26] 등 이빨고래류도 근년에 만내에서 기록이 있다. 미나미치타정에서 발굴된 "지타 고래"는 미오피세테르속의 신종으로 인정되었으며, 학명 "''Miophyseter chitaensis''"도 지타군에 기인한다[27]。
5. 3. 파충류
붉은바다거북의 서식이 알려져 있으며[28], 히데・호리키리 해안, 아카바네 해안, 도요하시 해안, 이다 해안, 히로노하마, 히요리하마, 구로노하마, 오모테하마 해안 등에 산란 장소가 존재한다. 바다거북 보호를 위해 이세시마 국립공원과 미카와만 국정공원에서는 일정 기간 동안 특정 해변의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의 진입을 규제하고 있다.[29][30]
5. 4. 조류
이세만 주변은 약 420종의 야생 조류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31] 만 안쪽의 쇼나이강, 신카와, 닛코가와 하구에 위치한 후지마에 간석지는 일본 열도에서 최대 철새 도래지로 알려져 있다. 연안에는 특히 물떼새나 갯벌도요 등 중요한 서식지가 산재해 있다.[30][28] 그러나 간석지 등 서식 환경이 대폭 감소하여 조류도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다.[36]알바트로스 등 멸종 위기종도 과거에 관찰되었고,[32] 최근에도 기록이 있다.[33] 토모에가모나 검둥오리 등 멸종 위기종은 현재에도 이 일대에 찾아온다.[30]
5. 5. 해조류
이세만에는 다양한 해조류가 생육하고 있다. 어업으로는 검둥이김과 청태를 중심으로 한 김류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다.[6][12] 중부 국제공항의 방파제에 생육하는 (해조류)이 화제가 된 적도 있었다.[35]그러나 포세이도니아의 잘피밭 감소는 현저하며, 마찬가지로 잘피밭의 은혜를 받는 다양한 생물에게 생식 환경도 악화되었다.[36]
6. 산업
이세만 연안에는 다수의 어항이 존재하며[37], 천연 및 양식 해산물이 풍부하다. 아이치현과 미에현에서는 공통적으로 새우, 문어, 멸치 등이 잡히며, 아이치현 지타반도 주변에서는 새우 센베이가 명산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아이치현 타하라시 이라코 주변에서는 바지락이, 미에현 쿠와나시에서는 대합이, 미에현 토바시와 시마시 주변에서는 닭새우, 굴, 도미 등이 잡히며, 각 지역의 대표적인 특산물이다.
6. 1. 관광
수려한 자연 경관에서 신사 등의 전통적인 건조물, 등대 등의 근대적인 건조물, 어트랙션(놀이공원), 공업 지대의 경관에 이르기까지, 관광 면에서는 아이치현, 미에현 모두 풍부한 자원을 가지고 있다. 주요 관광지는 다음과 같다.주요 관광지 |
---|
7. 교통
예로부터 이세만은 주변 사람들에게 풍부한 천연자원을 제공하고 교통의 요지 역할을 하였다. 그 결과, 만 주변에 특별한 공동체가 발전하고, 이세 새우를 비롯한 낚시, 진주 양식, 쌀농사와 제조업이 번성하였다. 이세만 북쪽 해안에 위치한 나고야항은 일본 최대의 무역항이고, 만의 인공섬에 설립된 주부 국제공항은 2005년부터 이 지역 공항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이세만은 일본 경제의 빠른 회복에 지대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이 빠른 공업 성장은 수질과 땅의 오염, 갯벌과 김 양식장 감소 등 식물군과 동물군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끼쳤다. 1959년 이세만 태풍 이후 주거지 보호를 목적으로 건설된 해양벽은 이 지역을 더욱 바다로부터 격리시켰다.
이세만에는 이세만 단층, 스즈카오키 단층, 시로코노마 단층 등 3가지 지진단층이 존재한다.[2] 만 인근의 단층은 1586년 덴쇼 지진의 원인으로 여겨진다.[3]
7. 1. 수운
이세만 연안에는 중세 시대에 구와나 (통칭 "주라쿠노쓰"), 오미나토 등의 항구가 상업, 해운의 중심지로 번성했다. 이들 항구는 기나이에서 이세만을 거쳐 도카이 · 간토를 잇는 교역로를 형성했다. 과거의 가도였던 도카이도에는 시치리의 와타시라고 불리는 해로도 존재했다. 이것은 미야주쿠(아이치현 나고야시아쓰타구)에서 구와나주쿠(미에현 구와나시)까지 이세만 북부를 배로 건너는 경로였다.[38]메이지 초기에 이세만은 도쿄만, 오사카만에 이어 수운의 중심지였다.[38]
1877년(메이지 10년)경까지 요카이치 - 도쿄 간 항로, 1882년(메이지 15년)경까지 한다 - 도쿄 간 항로가 개설되었다.[38] 만내에서는 메이지 10년대부터 메이지 20년대에 걸쳐 아쓰타를 중심으로 하는 만내 항로가 개설되었다.[38]
7. 2. 항만
이세만 연안에는 대규모 무역항이 여러 곳 정비되어 있다.[39] 주요 항만은 다음과 같다.- 나고야항
- 요카이치항
- 쓰마쓰사카항
- 토바항
- 이라코항
이 중 나고야항은 일본 최대의 무역항이다.
7. 3. 공항
2005년 2월 아이치 만박 개최에 맞춰 이세만 내 인공섬에 중부 국제공항이 개항했다.[40] 이후 주부 지방의 하늘의 현관으로서 많은 국제선과 국내선이 운항되고 있으며, 여객기뿐만 아니라 화물기도 운항되고 있다.8. 문화
이세만은 문학 작품에도 등장한다.
- 미시마 유키오의 소설 「조수」에서는 "이세만"으로 표기되어 있다. 사카테 섬(토바시 사카테초)은 에도가와 란포의 「파노라마 섬 기담」의 무대로 알려져 있지만, 가미시마를 동 작품의 무대로 보는 설도 있다. 카지이 모토지로의 소설 「성 있는 마을에서」에서는 마쓰사카 성터에서 바라보는 "I만"으로 등장한다.
- 기타다 히로히코의 단가 연작 "영원함"에도 "I만은 푸르고 아득하여 눈부심, 란포의 가지이의 미시마의 I만"이라는 한 수가 있다.[1]
- 토바 이치로는 지바현 출신의 엔카 가수이다. 『이세만』은 토바 이치로의 가요곡이다.
- 가오스는 가메라 시리즈를 대표하는 악역 괴수이다. 대괴수 공중전 가메라 대 가오스에서 가메라와 가오스가 이세만에서 싸웠다.[42][43] 가메라 대괴수 공중결전 초기 원고에서는 시마 반도 상공에서 가메라와 여러 슈퍼 가오스가 싸우는 구도가 예정되었고, 가메라 3: 사신 각성 초기 원고에서도 가메라가 여러 가오스 하이퍼와 이라고미사키 부근에서 전투를 벌이는 장면이 검토되었다.[42][43] 작은 용자들~가메라~는 다이오초와 나고야를 중심으로 스토리가 전개되며, 1973년에 다이오자키에서 아반가메라와 오리지널 가오스 무리가 전투를 벌였고, 후에 가오스의 영향을 받은 괴수 지다스가 태평양(이세만)에서 나타나 다이오초와 나고야를 습격하여 토토(가메라)와 전투를 벌였다.[42][43]
8. 1. 소설
미시마 유키오의 소설 「조수」에서는 "이세만"으로 표기되어 있다. 만 입구에 위치한 사카테 섬(토바시 사카테초)은 에도가와 란포의 「파노라마 섬 기담」의 무대로 알려져 있지만, 가미시마를 동 작품의 무대로 보는 설도 있다. 카지이 모토지로의 소설 「성 있는 마을에서」에서는 마쓰사카 성터에서 바라보는 "I만"으로 등장한다.8. 2. 단가
기타다 히로히코의 단가 연작 "영원함"에도 "I만은 푸르고 아득하여 눈부심, 란포의 가지이의 미시마의 I만"이라는 한 수가 있다.[1]8. 3. 가요
토바 이치로는 지바현 출신의 엔카 가수이다. 『이세만』은 토바 이치로의 가요곡이다.8. 4. 기타
가오스는 가메라 시리즈를 대표하는 악역 괴수이다. 대괴수 공중전 가메라 대 가오스에서 가메라와 가오스가 이세만에서 싸웠다.[42][43] 가메라 대괴수 공중결전 초기 원고에서는 시마 반도 상공에서 가메라와 여러 슈퍼 가오스가 싸우는 구도가 예정되었고, 가메라 3: 사신 각성 초기 원고에서도 가메라가 여러 가오스 하이퍼와 이라고미사키 부근에서 전투를 벌이는 장면이 검토되었다.[42][43] 작은 용자들~가메라~는 다이오초와 나고야를 중심으로 스토리가 전개되며, 1973년에 다이오자키에서 아반가메라와 오리지널 가오스 무리가 전투를 벌였고, 후에 가오스의 영향을 받은 괴수 지다스가 태평양(이세만)에서 나타나 다이오초와 나고야를 습격하여 토토(가메라)와 전투를 벌였다.[42][43]참조
[1]
논문
The Role of Circulation in the Development of Hypoxia in Ise Bay, Japan
[2]
웹사이트
Science Links Japan: Active Faults Surveys in the Ise Bay
https://web.archive.[...]
2007-12-26
[3]
논문
Activity of the Yoro Fault System Determined from Coseismic Subsidence Events Recorded in the Holocene Delta Sequence of the Nobi Plain, Central Japan
https://web.archive.[...]
2012
[4]
간행물
愛知県沿岸にある湾の範囲はどこか? -太平洋,伊勢湾,三河湾,知多湾と渥美湾のそれぞれの境界についての考察-
https://www.pref.aic[...]
2024-03-21
[5]
웹사이트
伊勢湾の環境:地形
https://www.isewan-d[...]
[6]
웹사이트
40. 伊勢湾
https://www.env.go.j[...]
환경성
[7]
문서
사진의 좌상에 찍혀있는 수역은 비와호이며, 이세만이 아니다.
[8]
문서
대왕자키부터 이라고미사키까지로 한 경우의 범위.
[9]
웹사이트
伊勢湾総合対策協議会 e-フォーラム「伊勢湾を語る」
http://www.pref.mie.[...]
[10]
웹사이트
伊勢湾の環境:水環境
https://www.isewan-d[...]
[11]
웹사이트
あいちのおいたち
https://www.pref.aic[...]
愛知県政策企画局広報広聴課
2020-03-24
[12]
웹사이트
《水産室のページ》伊勢湾の漁業と環境
https://www.pref.mie[...]
三重県津農林水産事務所
[13]
서적
ドキュメント謎の海底サメ王国
光文社
[14]
웹사이트
ニホンアシカ Zalophus japonicus (Peter)
https://kankyojoho.p[...]
2023-11-15
[15]
웹사이트
5.掲載種の解説 - (1) 哺乳類
https://kankyojoho.p[...]
2023-11-15
[16]
웹사이트
藤前干潟の現状
https://www.jawan.jp[...]
2023-11-15
[17]
논문
伊勢湾湾口域におけるハセイルカがスナメリの出現に及ぼす影響
https://www.mammalog[...]
2023-11-15
[18]
웹사이트
今川了俊の紀行文『道ゆきぶり』にみる鯨島
https://www.ritsumei[...]
[19]
웹사이트
鯨浜(くじはま)・鯨浜遺跡
http://www.shinojima[...]
2023-11-15
[20]
문서
특히, 고식포경의 주대상으로 해왔던 혹등고래나 대왕고래나 밍크고래나, 참고래(낫돌고래)나 밍크고래 등 현재도 구마노나다에서 볼 수 있는 일이 있는 연안성 종류 등.
[21]
논문
市川の鯨
1982-07
[22]
웹사이트
道徳になぜクジラ? 疑問きっかけに200年の歴史調べる 名古屋
https://www.asahi.co[...]
2023-11-15
[23]
웹사이트
養殖ロープに絡まったクジラ、漁協職員らが救助
https://isetown.com/[...]
2023-11-15
[24]
논문
愛知県三河湾において目撃されたコククジラ
[25]
간행물
伊勢湾,三河湾周辺海域の主要魚類の食性
https://www.pref.aic[...]
愛知県水産試験場
[26]
간행물
海の生きものたちに出会いたくて - [1] クジラとイルカ
https://aquarium.co.[...]
鳥羽水族館
[27]
뉴스
「知多クジラ」マッコウの新種と判明 38年前に発掘の化石
https://www.chunichi[...]
[28]
웹사이트
伊勢湾の環境:生物
https://www.isewan-d[...]
[29]
간행물
エコミュージアムを活用した持続可能な地域創出のための調査 報告書
https://www.mlit.go.[...]
環境省中部地方環境事務所
[30]
웹사이트
エコミュージアムを活用した持続可能な地域創出のための調査 - 報 告 書
https://www.mlit.go.[...]
2023-12-11
[31]
간행물
愛知県鳥類生息調査査(1967-2016)50年の記録
https://www.pref.aic[...]
日本野鳥の会愛知県支部, 愛知県環境部自然環境課, 愛知県環境調査センター
[32]
잡지
特集:清潔社会の落とし穴
https://www.nikkei-s[...]
[33]
간행물
平成27年度 漁況海況予報関係事業結果報告書(漁海況データ集)
https://www.pref.mie[...]
三重県水産研究所
[34]
웹사이트
三重県の鳥「シロチドリ」
http://econet-tsu.ne[...]
えこねっと津
2019-05-25
[35]
웹사이트
海の嫌われものが人気名物に!アカモクとは!?
https://aichi.uminoh[...]
[36]
웹사이트
伊勢湾の環境:生息地の環境
https://www.isewan-d[...]
[37]
웹사이트
伊勢湾の環境:漁港
https://www.isewan-d[...]
[38]
웹사이트
近代都市における水運利用について
http://hist-geo.jp/i[...]
歴史地理学 154号
2024-03-10
[39]
웹사이트
伊勢湾の環境:港湾
https://www.isewan-d[...]
[40]
웹사이트
セントレアの開港
https://history.nago[...]
名古屋商工会議所
2022-08-21
[41]
웹사이트
資料1-3 市町村別平均津波高一覧表<満潮位>
https://www.bousai.g[...]
内閣府防災情報のページ
2012-08-29
[42]
간행물
平成ガメラパーフェクション
KADOKAWA/アスキー・メディアワークス
2014
[43]
간행물
小さき勇者たち~ガメラ~ 公式ガイドブック
KADOKAWA(アスキー・メディアワ)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