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재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재각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정치인, 외교관으로, 1874년에 태어나 1935년에 사망했다. 그는 1891년 증광시 진사에 급제하고, 1892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섰으며, 1902년 영국 특명대사로 에드워드 7세의 대관식에 참석했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궁내부 특진관, 육군 참장 등을 역임했고, 대한적십자사 초대 총재를 지냈다. 한일 병합 후 후작 작위를 받았으며, 친일 행적으로 인해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귀족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귀족 - 이준용 (1870년)
    이준용은 조선 말기 왕족으로 흥친왕의 아들이자 고종의 조카였으며 왕위 계승 후보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고, 갑오경장 이후 친일 행보를 보였으며 한일 병합 후 일본으로부터 후작의 예우를 받았으나 사후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지정되었다.
  • 대한적십자사 관련자 - 정원식
    정원식은 대한민국의 교육학자, 대학교수, 정무직공무원, 정치인으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 문교부 장관, 국무총리 서리 및 국무총리를 역임하며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관련 논란과 대학생 계란 투척 사건을 겪었고 서울특별시장 후보로 낙선하기도 했다.
  • 대한적십자사 관련자 - 김규식
    김규식은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교육자, 학자로서, 미국 유학 후 독립운동과 교육에 헌신하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좌우합작운동과 남북협상에 참여하여 조국의 통일과 독립을 위해 노력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했다.
  • 조선후작 - 이해창 (조선귀족)
    이해창은 조선 후기 왕족이자 대한제국 관료, 조선귀족으로, 창산군에 봉해졌으며 한일 병합 후 후작 작위를 받았으나 친일 행적으로 비판받고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 조선후작 - 이달용
    이달용은 대한제국 시기 관료를 지내고 한일 병합 후 조선총독부 관료로 근무하며 남작 작위를 받았고, 조선생명보험 부사장, 한성은행 대주주 등으로 재산을 축적하여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에 포함된 인물이다.
이재각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재각 (1910년, 《조선귀족열전》에서)
이름이재각
한글이재각
한자李載覺
로마자 표기I Jae-gak
출생 및 사망
출생1874년 4월 4일
출생지조선 한성부
사망1935년 5월 11일
사망지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
신분 및 작위
본관전주 이씨
작위의양군
작위 (일본)후작
재위기간1899년 11월 19일 ~ 1910년 8월 29일 (의양군)
봉작기간1910년 ~ 1935년 (후작)
계승자이덕용
가족 관계
아버지이승응
배우자정부인 류씨
자녀이덕용
군사 경력
소속대한제국군
계급육군 정장
복무 기간1907년 ~ 1910년

2. 생애

서울에서 전주 이씨 왕족으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완평군(完平君) 이승응으로, 사도세자의 손자이자 고종과는 4촌뻘이 되는 가까운 종친이었다.[12] 1891년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1] 관직 생활을 시작했으며, 승정원 가주서 등을 지냈다.[2]

대한제국 수립 후 의양군(義陽君)에 봉해지고[4][5] 궁내부 특진관 등을 역임했다.[6] 1902년 영국 특명전권공사로 파견되어 에드워드 7세 대관식에 참석했고,[12][7] 1905년에는 러일 전쟁 일본 승리 축하 특파대사로 일본에 다녀와 훈1등 욱일대수장을 받았다.[9][10] 이 시기 대한적십자사 초대 총재를 지냈으며,[12] 육군 부장으로 진급하고[14] 금척대훈장, 서성대훈장, 금강대훈장 등 대한제국 최고 훈장들을 받았다.[13][17]

한일 병합 이후인 1910년 10월, 일본 정부로부터 조선귀족으로서 후작 작위를 받았다.[18] 1911년에는 병합에 대한 공로로 일본 정부로부터 은사금 16.8만을 받았으며,[12] 1912년 8월 1일에는 한국병합기념장을 받았다.[12] 1919년 고종의 국장에 참여했으며, 1935년 5월 11일 경성에서 사망했다.[12]

1909년 순종의 서북 순행 당시 인정전 앞에서 기념 촬영. 군복 차림의 이재각은 순종 옆에 서 있다.

2. 1. 초기 활동 (조선 후기)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본관은 전주이며, 휘는 재각(載覺), 자는 윤명(允明)이다. 장조의 3남 은전군의 증손이며, 고종과 같은 항렬의 왕족이다. 아버지는 완평군 이승응(完平君 李昇應)이다. 할아버지 풍계군은언군의 둘째 아들이자 전계대원군의 이복 형이었으나, 후사 없이 사망한 이복 작은아버지 은전군의 양자로 입양되었다. 아버지 이승응 역시 본래 선조의 서자 경창군의 7대손으로 왕위 계승권과는 거리가 있었으나, 풍계군의 양자가 되면서 고종의 가까운 친척(4촌 뻘)이 되었다.[12]

이재각은 완평군의 셋째 아들로 1874년(고종 11년) 음력 2월 18일 서울(당시 한성부)에서 태어났다. (일부 기록에는 1873년생이라는 설도 있다.) 1891년(고종 28년) 증광시(增廣試) 진사(進士)과에 합격하였고,[1] 이듬해인 1892년(고종 29년)에는 문과별시(文科別試) 병과(丙科)에 급제하였다. 이후 비서원랑(祕書院郞)과 승정원 가주서, 시강원 시독관 등을 지냈으며,[2] 1895년(고종 32년) 10월 15일에는 종척 집사(宗戚執事)로 임명되었다.

대한제국 수립 후인 1897년(광무 원년) 11월 16일에는 중추원 3등 의관으로 임명되었고,[3] 1898년(광무 2년) 4월 12일에는 경효전(景孝殿)의 전작례(奠酌禮)와 작헌례(酌獻禮) 때 대축(大祝)으로 봉무하였다. 1899년(광무 3년)에는 영친왕 시강원 부첨사, 홍문관 부학사가 되었고, 같은 해 9월 21일 의양도정(義陽都正)으로 봉해졌으며,[4] 11월 19일 의양군(義陽君)으로 진봉되었다.[5] 이후 궁내부 특진관에 보임되었다.[6]

2. 2. 대한제국기 활동

1897년 11월 16일 중추원 3등 의관으로 임명되었으며,[3] 1899년 9월 21일 의양도정(義陽都正)으로 봉해졌고,[4] 같은 해 11월 19일 의양군(義陽君)에 봉해졌다.[5] 이후 궁내부 특진관과 시종관으로 임명되었다.[6]

1902년에는 영국 특명전권공사로 임명되어 에드워드 7세의 대관식에 참석하였다.[12] 귀국 후 군부 포병국장으로 임명되어 군대 근대화에 기여했다.[12] 1905년 러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자, 이를 축하하기 위해 일본에 특명전권공사로 파견되었고,[9] 일본 정부로부터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을 받았다.[10]

같은 해 1905년 3월에는 외교적 공로를 인정받아 금척대훈장을 수여받았으며, 4월 24일에는 대한적십자사 초대 총재로 임명되었다.[12] 이후 1906년 7월 총재직에서 해임되었으나[11] 1907년 4월 다시 총재로 임명되었다.[15]

1907년 1월 궁내부 특진관으로 임명되었고,[12] 같은 달 21일 서성대훈장을 받았다.[13] 4월 22일에는 육군 부장(현재의 소장에 해당)으로 진급하였다.[14] 순종의 남부 순행 시 그를 호종하였으며,[16] 1910년 8월 27일에는 금강대훈장을 받았다.[17]

한일 병합 직후인 1910년 10월 16일, 조선귀족으로서 후작 작위를 받았다.[18]

2. 2. 1. 외교 활동

1902년 (광무 6년) 1월 30일, 고종은 이재각을 특명영국대사로 임명하여 영국 국왕 에드워드 7세의 즉위를 축하하고 대관식에 참석하도록 하였다.[12][27] 이재각은 특명부영대사 수원 정삼품 이종응, 예식원 번역과장 고희경, 참리관 김조현 등으로 구성된 사절단을 이끌고 영국 런던으로 향했다.[27]

사절단은 1902년 4월 17일 한양을 출발하여,[28] 5월 14일 캐나다 벤쿠버에 도착했다.[28] 벤쿠버에서 열차를 이용하여 5월 20일 토론토에 도착했으며, 영국 왕실의 배려로 나이아가라 폭포를 관광하는 기회를 가졌다.[28][7] 당시 일행이었던 이종응은 나이아가라 폭포의 장관에 감탄하여 기념 시를 남기기도 했다.[28] 이들은 1902년 6월 22일부터 7월 2일까지 영국에 머물며[7] 에드워드 7세의 대관식에 참석했다.[12] 귀국 후 이재각은 고종에게 영국 방문 결과를 보고하며 나이아가라 폭포, 홍해, 스리랑카 등 여정에 대해 설명했다.[7] 이 영국 사절단 파견 사실은 한일 병합 이후 오랫동안 잊혔다가, 1994년 4월 11일 이종응의 후손들이 보관해 온 수행 기록을 언론에 공개하면서 다시 알려지게 되었다.[28]

1905년 (광무 9년) 3월 16일, 이재각은 러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에 축하 사절단을 이끌고 갈 특파대사로 임명되었다.[9][27] 그는 일본에서 한 달간 머물렀으며,[12] 일본 정부로부터 욱일대수장을 받았다.[10] 같은 해 5월 25일에는 경부 철도 개통식에 고종의 명으로 일본의 히즈야스왕과 함께 참석하였다.[27]

2. 2. 2. 대한적십자사 활동

1905년 4월 24일 대한적십자사 초대 총재로 임명되었으며,[12] 같은 해 7월에 정식으로 취임하였다. 그러나 1906년 7월 12일 총재직에서 해임되었고, 후임으로는 의친왕 이강이 임명되었다.[11]

1907년 1월 18일 잠시 대한적십자사 총재 사무를 임시로 서리하였고, 같은 해 4월 24일 다시 대한적십자사 총재로 임명되었다.[15] 1910년 대한적십자회가 해체됨에 따라 총재직에서 물러났다.

2. 2. 3. 기타 활동

1899년 8월 4일, 일본 친왕 방문 시 동궁 시강원 부첨사로서 문안을 위해 파견되었다. 같은 해 9월 21일 의양도정(義陽都正)에 봉해졌고,[27][4] 11월 17일에는 특별히 품계가 올라 의양군(義陽君)에 봉해졌으며,[5] 곧이어 11월 28일 궁내부 특진관(宮內府特進官)에 임명되었다.[6]

1901년 3월 29일 명헌태후궁 대부에 임명되어 칙임관 4등에 서임되었고, 같은 해 6월 6일에는 다시 궁내부 특진관에 임명되어 칙임관(勅任官) 4등에 서임되었다.

1902년 1월 30일, 영국 특명대사로 임명되어 에드워드 7세의 대관식에 참석하기 위해 파견되었다.[12] 이때 부영대사 이종응(李鍾應), 예식원 번역과장 고희경(高羲敬), 참리관 김조현(金祚鉉) 등과 사절단을 이끌고 4월 17일 한양을 출발, 캐나다 벤쿠버를 거쳐 6월 22일부터 7월 2일까지 영국에 체류했다.[7] 방문 중 영국 왕실의 배려로 나이아가라 폭포를 관광하기도 했으며,[7] 귀국 후 고종에게 방문 결과를 보고했다.[7] 이 방문은 오랫동안 잊혔다가 1994년 이종응의 후손에 의해 관련 기록이 공개되면서 알려졌다.[28]

1903년 1월 30일에는 전선사 제조(典膳司提調)를 겸임하였다. 1904년 1월 2일 종척집사(宗戚執事)에 임명되었고, 4월 12일에는 공로를 인정받아 훈1등(勳一等) 태극장(太極章)을 받았다. 같은 해 9월 22일에는 군부 포공 국장(軍部砲工局長)에 임용되어 군대 근대화에 관여했으며,[12] 11월 5일 다시 종척 집사(宗戚執事)에 임명되었다.

1905년 2월 13일 종정원경(宗正院卿)에 임명(칙임관 3등)되었고, 3월 16일에는 러일 전쟁 일본 승리 축하 특파 대사로 임명되어 일본을 방문했다.[9] 일본에 약 한 달간 머무르며[12] 욱일대수장을 받았다.[10] 같은 해 3월 19일, 종실로서의 명망을 이유로 대훈(大勳) 이화대수장(李花大綏章)을 받았고, 4월 24일에는 대한적십자사 초대 총재로 임명되었다.[12] 5월 25일에는 고종의 명으로 경부선 개통식에 일본 히로야스 왕과 함께 참석하였다.

1906년 7월 21일 대한적십자사 총재직에서 해임되었으나,[11] 1907년 1월 다시 궁내부 특진관으로 임명되었다.[12] 1월 21일에는 서성대훈장을 받았고,[13] 4월 22일에는 윤택영, 이기홍과 함께 육군 부장(현재의 소장에 해당) 계급을 받았다.[14] 4월 24일 다시 대한적십자사 총재로 임명되었으며,[15] 순종의 남부 순행 시 호종했다.[16] 1910년 8월 27일에는 금척대훈장을 받았다.[17]

한일 병합 이후 1910년 10월 16일, 일본 정부로부터 조선귀족으로서 후작 작위를 받았다.[18] 1911년에는 병합에 대한 공로로 일본 정부로부터 은사금 16.8만을 받았으며, 1912년 8월 1일에는 한국병합기념장을 받았다. 1919년 고종의 국장에 참여했으며, 1935년 5월 11일 경성에서 사망했다.[12]

2. 3. 일제강점기 활동

1910년 9월 4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이후, 일본 정부는 조선귀족령에 따라 이재각에게 후작 작위를 수여하고 은사공채 16.8만을 지급했다.[12][18] 또한 일본은 그에게 특별히 일본군 육군 소장 대우를 하며 제복과 호위무관을 보내주기도 했다.

1911년 7월 20일 종척 집사(宗戚執事)에 임명되었고, 같은 해 8월 10일 덕안궁(德安宮)의 향관(享官)으로 임명되었다. 10월 22일에는 선원전(璿源殿)에 별도로 봉심(奉審)하였다. 1912년 8월 1일에는 일본 정부로부터 한국 병합 기념장을 받았다.[12]

이후에도 왕실 관련 의례에 꾸준히 참여했다. 1914년에는 9월 7일 헌종(憲宗)의 탄신일과 11월 16일 영조(英祖)의 탄신일에 선원전을 봉심했고, 1915년 10월 30일에는 정조(正祖)의 탄신일에, 1916년 9월 6일에는 문조(文祖)의 탄신일에 각각 선원전을 봉심하였다.

1917년 9월 15일, 고종의 명으로 순조의 비인 순원숙황후(純元肅皇后)의 기신(忌辰) 구갑(舊甲)을 맞아 인릉(仁陵)에서 작헌례(酌獻禮)를 대신 거행하였다. 1919년 1월 22일에는 수릉 향원(守陵享員)과 종척 집사에 임명되었으며, 고종의 국장에도 참여했다.[12]

1924년에는 종3위에 서위되었다. 1926년 순종이 승하하자 4월 26일 다시 종척 집사로 임명되어 이재곤, 이달용 등과 함께 산릉도감과 빈전도감의 제반 업무에 참여했다.[29] 같은 해 5월 10일에는 천릉(옮겨 장사지냄) 시 종척 집사로 임명되었다.

1935년 5월 11일 경성에서 사망했다.[12]

2. 4. 최후

1924년 종3위에 서위되었다. 1926년 순종이 붕어하자 4월 26일 종척 집사(宗戚執事)에 임명되었고, 이재곤, 이달용 등과 함께 산릉도감과 빈전도감에 참여하였다.[29] 같은 해 5월 10일 천릉시 종척 집사(宗戚執事)에도 임명되었다.

1935년 5월 11일 향년 62세로 경성에서 사망하였다.[12]

3. 사후 평가

1960년의 한 보도에 따르면, 일제강점기 동안 이재각 일가는 경성부에서 부유하게 생활했으나 광복 후에는 후손이 끊겼다고 한다.[30] 서울 삼청동 130번지에 있던 이재각의 별장은 6.25 전쟁 중에 파괴되었다.

이재각은 그의 친일 행적으로 인해 여러 친일 관련 명단에 포함되었다.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에 이름이 올랐으며, 2007년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또한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친일인명사전 편찬을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도 선정되었는데, 이 명단에는 그의 후작 작위를 물려받은 아들 이덕용도 함께 포함되었다.

4. 가족 관계

wikitext

관계이름생몰년 및 비고
조부풍계군 이당(李瑭)장조의 서장남 은언군(恩彦君)의 차남. 후사 없이 사망한 이복 작은 아버지 은전군의 양자로 입양됨.
생조부이도식(李道植)선조의 9남 경창군의 8대손.
아버지완평군 이승응(完平君 李昇應)1836년 ~ 1909년. 생조부 이도식의 아들이자 풍계군의 양자.
인양군 이재근(仁陽君 李載覲)1857년 ~ 1896년
이재현(李載現)1870년 ~ ?년. 생가의 숙부인 이낙응(李洛應)에게 출계.
동생예양정 이재규(禮陽正 李載規)1877년 ~ ?년
부인정부인 유씨(貞夫人 柳氏)1871년 9월 29일 ~ ?년. 도사 유덕수(柳德秀)의 딸.
부인이름 미상
아들이덕용(李德鎔)1923년 4월 4일 ~ 1952년 9월 16일


5. 서훈

'''대한제국'''


  • 자두꽃 훈장 (1905년 3월 25일)[19]
  • 서성 훈장 (1907년 1월 21일)[13]
  • 금척 훈장 (1910년 8월 27일)[17]


'''일본 제국'''

참조

[1] 웹사이트 이재각 ( 李載覺 ) http://db.history.go[...] 2022-04-30
[2] 웹사이트 가주서 민병성을 개차하고 후임에 이재각을 제수하였다 https://db.itkc.or.k[...]
[3] 웹사이트 중추원 일등의관에 조경호 등을 임용하였다 https://db.itkc.or.k[...] 2022-05-01
[4] 웹사이트 議政府贊政 宮內府大臣臨時署理學部大臣臣李乾夏謹奏 https://db.history.g[...]
[5] 웹사이트 이재각에게 톡별히 가자하여 의양군에 습봉하라고 명하다 http://sillok.histor[...] 2022-04-30
[6] 웹사이트 한성근, 이재각을 궁내부 특진관에, 송헌빈을 중추원 의관에 임명하다 https://sillok.histo[...]
[7] 웹사이트 고종, 귀국한 부영 대사 이재각을 소견하여 영국의 정세에 대해 논함 http://db.history.go[...] 2022-04-30
[8] 웹사이트 군부 포공국장에 의양군 이재각을 임용하였다 https://db.itkc.or.k[...]
[9] 뉴스 일본에 승전을 축하하기 위해 특파대사로 이재각을 임명하여 보냄 https://nl.go.kr/new[...] 1905-03-18
[10] 웹사이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 2022-05-02
[11] 웹사이트 적십자사 총재에서 의양군 이재각을 해임하였다 https://db.itkc.or.k[...] 2022-05-02
[12] 웹사이트 이재각(李載覺) https://encykorea.ak[...] 2022-04-30
[13] 웹사이트 통감부의 총무 장관 학원정길 등에게 훈장을 주다 http://sillok.histor[...] 2022-05-02
[14] 웹사이트 詔曰待制金容悳馳詣健陵奉審摘奸仍留監祭隆陵華寧殿一體奉審以來 http://db.history.go[...] 2022-05-02
[15] 웹사이트 적십자사 총재에 의양군 이재각을 임명하였다 https://db.itkc.or.k[...] 2022-05-02
[16] 웹사이트 이재각 등에게 남쪽으로 순행할 때 호종할 것을 명하였다 https://db.itkc.or.k[...] 2022-05-02
[17] 웹사이트 이재각, 이준용, 이해창 등에게 훈장을 수여하다 http://sillok.histor[...] 2022-05-02
[18] 웹사이트 이재완, 이재각, 이해창 등에게 귀족의 칭호를 주다 http://sillok.histor[...] 2022-05-02
[19] 웹사이트 詔曰義陽君李載覺以宗室懿親聲譽方蔚特敍大勳賜李花大綬章 https://db.history.g[...] 2022-07-19
[20] 서적 明治時代の勲章外交儀礼 http://meijiseitoku.[...]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2020-08-17
[21] 간행물 官報 第1225号「叙任及辞令」 1931-01-31
[22] 웹사이트 통감부의 총무장관 쯔루하라 사다키치 등에게 훈장을 주다 http://sillok.histor[...] 고종실록 2015-04-10
[23] 웹사이트 이재각, 이하영, 박제순 등에게 훈장을 수여하다 http://sillok.histor[...] 고종실록 2015-04-10
[24] 간행물 官報 第7771号「叙任及辞令」 1909-05-24
[25] 웹사이트 이재각, 이준용, 이해창 등에게 훈장을 수여하다 http://sillok.histor[...] 순종실록 2015-04-05
[26] 간행물 官報 第1310号・付録「辞令」 1916-12-13
[27]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의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http://sillok.histor[...]
[28] 뉴스 英 여왕 증조부 대관식에 대한제국 사절단 보냈다 동아일보 1999-04-12
[29] 뉴스 各部都監選定 동아일보 1926-04-27
[30] 저널 日帝韓人貴族의 近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