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G. 블레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G. 블레인은 1830년 펜실베이니아에서 태어나 메인 주에서 언론인,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메인 주 하원의장, 연방 하원의원, 연방 상원의원, 국무장관 등을 역임했다. 그는 공화당 내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로 부상하여 1876년, 1880년, 1884년 대통령 후보로 거론되었으며, 1884년 대선에서 민주당의 그로버 클리블랜드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배했다. 블레인은 국무장관으로서 범미주 회의 소집, 통화 정책, 외교 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그의 외교 정책은 후대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는 1893년 사망했으며, 여러 지명 및 기념물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스터 A. 아서 행정부의 각료 - 윌리엄 윈덤
윌리엄 윈덤은 미국의 정치인으로서 하원의원과 상원의원을 지냈고, 가필드 및 해리슨 정부에서 재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철도 규제 옹호와 상무국 설립 권고 등 경제 정책에 기여했다. - 체스터 A. 아서 행정부의 각료 - 로버트 토드 링컨
로버트 토드 링컨은 에이브러햄 링컨의 아들이자 변호사, 정치가, 기업가로, 하버드 대학교를 졸업하고 남북 전쟁에 참전했으며, 대통령 암살 사건과 연관되어 불운하다는 평을 받았고 링컨 기념관 개관식에 참석했으며 1926년에 사망했다. - 1892년 미국 대통령 후보 - 그로버 클리블랜드
그로버 클리블랜드는 미국의 22대, 24대 대통령으로, 민주당 소속이며 연속되지 않은 두 번의 임기를 수행한 유일한 인물로서, 정직성과 청렴성을 강조하며 부패에 맞서 싸웠고 관세 인하와 재정 개혁을 추진했으며, 대통령 재임 중 백악관에서 결혼한 유일한 대통령이다. - 1892년 미국 대통령 후보 - 윌리엄 매킨리
윌리엄 매킨리는 미국의 제25대 대통령으로서, 보호 관세 옹호, 금본위제 확립, 미국-스페인 전쟁 승리, 하와이 합병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무정부주의자에게 암살당한 공화당 정치인이다. - 벤저민 해리슨 행정부의 각료 - 리바이 P. 모턴
리바이 P. 모턴은 미국의 정치인, 은행가, 사업가로, 프랑스 주재 미국 공사, 부통령, 뉴욕 주지사를 역임했으며 96세로 사망했다. - 벤저민 해리슨 행정부의 각료 - 윌리엄 윈덤
윌리엄 윈덤은 미국의 정치인으로서 하원의원과 상원의원을 지냈고, 가필드 및 해리슨 정부에서 재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철도 규제 옹호와 상무국 설립 권고 등 경제 정책에 기여했다.
제임스 G. 블레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제임스 길레스피 블레인 |
출생일 | 1830년 1월 31일 |
출생지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웨스트브라운스빌 |
사망일 | 1893년 1월 27일 |
사망지 | 미국 워싱턴 D.C. |
배우자 | 해리엇 스탠우드 |
자녀 | 7명 (워커 블레인 포함) |
교육 | 워싱턴 & 제퍼슨 칼리지 (BA) |
서명 | Appletons' Blaine James Gillespie signature.jpg |
안장 장소 | 블레인 기념 공원, 메인주 오거스타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공화당 |
미국 국무장관 | 28대 31대 |
대통령 (국무장관 재임 당시) | 제임스 A. 가필드 체스터 A. 아서 벤저민 해리슨 |
미국 상원 의원 | 메인주 |
미국 하원 의원 | 메인주 제3선거구 |
미국 하원 의장 | 27대 |
하원 공화당 컨퍼런스 의장 | 역임 |
관직 | |
제28대 미국 국무장관 | 대통령: 제임스 A. 가필드, 체스터 A. 아서 |
임기 시작 | 1881년 3월 7일 |
임기 종료 | 1881년 12월 19일 |
전임 | 윌리엄 M. 에바츠 |
후임 | 프레더릭 T. 프렐링하이센 |
제31대 미국 국무장관 | 대통령: 벤저민 해리슨 |
임기 시작 | 1889년 3월 9일 |
임기 종료 | 1892년 6월 4일 |
전임 | 토머스 F. 베이어드 |
후임 | 존 W. 포스터 |
미국 상원 의원 (메인주) | 역임 |
임기 시작 | 1876년 7월 10일 |
임기 종료 | 1881년 3월 5일 |
전임 | 롯 M. 모릴 |
후임 | 윌리엄 P. 프라이 |
제27대 미국 하원 의장 | 역임 |
임기 시작 | 1869년 3월 4일 |
임기 종료 | 1875년 3월 3일 |
전임 | 시어도어 M. 포메로이 |
후임 | 마이클 C. 커 |
하원 공화당 컨퍼런스 의장 | 역임 |
임기 시작 | 1869년 3월 4일 |
임기 종료 | 1875년 3월 3일 |
전임 | 시어도어 M. 포메로이 |
후임 | 토머스 브래킷 리드 |
미국 하원 의원 (메인주 제3선거구) | 역임 |
임기 시작 | 1863년 3월 4일 |
임기 종료 | 1876년 7월 10일 |
전임 | 새뮤얼 C. 페슨던 |
후임 | 에드윈 플라이 |
2. 어린 시절
스코틀랜드-아일랜드계 혈통으로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근처 웨스트브라운스빌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에프라임 라이언 블레인은 지방의 저명한 공무원이자 휘그당 지지자였고, 이 덕분에 블레인은 어린 시절부터 정치적인 환경에 노출되었다. 13세에 펜실베이니아 주 서부의 워싱턴 칼리지(현 워싱턴 & 제퍼슨 칼리지)를 졸업하고, 켄터키주 조지타운의 웨스턴 군사 전문 학교에서 교사 생활을 했다. 이후 법률 공부를 위해 필라델피아의 맹인 학교에서 교사직을 맡았다. 블레인은 훗날 남부 사회에 대한 혐오감 때문에 교사직을 그만두었다고 주장했으나, 이는 정치적으로 유리하게 포장된 회고로 보인다.
2. 1. 가족 및 유년기
제임스 길레스피 블레인은 1830년 1월 31일 펜실베이니아주 웨스트 브라운즈빌에서 에프라임 라이언 블레인과 마리아 길레스피 블레인 사이의 셋째 자녀로 태어났다. 블레인의 가문은 스코틀랜드-아일랜드계 및 아일랜드계 혈통을 가졌다. 그의 증조부 에프라임 블레인은 미국 독립 전쟁 당시 조지 워싱턴 휘하에서 군수장으로 복무했다.[1] 블레인의 부모는 1820년 가톨릭식 결혼을 했으나, 블레인의 아버지는 장로교 신앙을 유지했다. 당시 관습에 따라 블레인은 아버지를 따라 장로교 신앙으로 자랐고, 누이들은 어머니를 따라 가톨릭 신앙으로 자랐다. 블레인의 사촌인 안젤라 길레스피는 수녀였으며 성십자가 수녀회 미국 지부를 설립했다. 블레인의 아버지는 휘그당을 지지하는 등 정치에 관심이 많았으며, 블레인은 어린 시절부터 정치적인 환경에 노출되었다.2. 2. 교육
블레인은 어릴 때부터 역사와 문학에 관심을 보였다. 13세에 펜실베이니아주 서부에 있는 워싱턴 칼리지(현 워싱턴 & 제퍼슨 칼리지)에 입학하여 델타 카파 엡실론 친목회에서 활동했다. 1847년 워싱턴 칼리지를 수석으로 졸업했다. 졸업 후, 켄터키주 블루릭 스프링의 웨스턴 사관학교와 필라델피아의 펜실베이니아 맹인학교에서 교사로 일하며 법률 공부를 병행했다.3. 초기 경력
1850년 메인주 오거스타의 해리엇 스탠우드와 결혼한 블레인은 메인 주에서 주간 신문 편집자로 일하다가, 휘그당의 유력 신문 "포틀랜드 애드버타이저"의 관리인이 되었다. 이후 공화당으로 당적을 옮겨 주 최초의 공화당원 중 한 명이 되었고, 1856년 첫 공화당 전당 대회 대표로 참여했다. 1858년 주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1859년에는 공화당 주 위원회 의장을 맡아 메인 주를 공화당의 든든한 기반으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
3. 1. 교사 및 언론인 활동
1847년 펜실베이니아주 워싱턴 근처에 있던 워싱턴 대학교(현재의 워싱턴 & 제퍼슨 대학교)를 졸업했다. 그는 델타 카파 엡실론(Delta Kappa Epsilon) 친목회 회원이었다. 그 후 켄터키주 블루릭 스프링(Blue Lick Spring)의 웨스턴 사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고, 1852년부터 1854년까지 필라델피아의 펜실베이니아 맹인학교(현 오버브룩 맹인학교)에서 가르쳤다. 이 기간 동안 법률 공부도 했다. 1850년 6월 30일에는 해리엇 스탠우드(Harriet Stanwood)와 결혼했다.[4]1854년, 메인주 오거스타로 거처를 옮겨 『케네벡 저널(Kennebec Journal)』, 그리고 나중에는 『포틀랜드 애드버타이저(Portland Advertiser)』의 편집자가 되었다.[4] 블레인은 공화당 창당에 적극 참여했으며, 1856년 첫 공화당 전당 대회에서 대표로 활동했다.
3. 2. 메인주 정치 활동
1858년 메인주 하원의원에 당선되었고, 1859년, 1860년, 1861년 재선에 성공했다. 1859년 공화당 주위원회 위원장이 되어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했다. 1860년 미국 하원 메인주 제4선거구 출마를 고려했으나, 전 주지사인 앤슨 P. 모릴이 출마 의사를 밝히자 물러났다.[1] 이후 재선거구 획정으로 제3선거구에 속하게 되자, 1862년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1] 남북 전쟁 발발 후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의 전쟁 수행 노력을 지지하며, 메인주 의회가 북군에 합류할 부대를 조직하도록 이끌었다.[2]4. 미국 연방 하원의원 (1863–1876)
블레인은 1861년과 1862년에 메인주 연방 하원의 의장을 지냈다. 이후 미국 의회로 선출되었으며, 1869년부터 1875년까지 미국 하원 의장을 역임했다. 1876년에는 메인주에서 연방 상원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대통령 후보로도 거론되었다. 블레인은 정력적인 야망과 높은 명성을 가진 인물이었으며, 소속 정당에서 확고한 지지를 받았다. 그는 개인적인 매력이 뛰어났고, "도금 시대"의 정치 환경에 잘 적응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국회의사당 회의장에서 그의 재치는 흡연실에서만큼 날카로웠고, 이름과 얼굴을 기억하는 능력이 뛰어났다.[14]
블레인은 재건 의회에서 공정하게 토론을 주재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신의 당원들뿐만 아니라 많은 민주당원들로부터도 존경을 받았다. 하원은 블레인의 정치적, 의회 운영 능력에 적합한 활동 무대였다. 그는 숙련되고 강력한 논객이었으며, 책략이 풍부하고 논쟁에 능했다. 남북 전쟁과 재건 시대의 격변하는 정계에서 그의 적극적인 성격과 건설적인 재능은 빛을 발했다.
탈퇴한 주들의 복구 방안이 수년간 연방 의회의 중심 의제가 되었고, 블레인은 이러한 안건들을 형성하고 논의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미국 남부 여러 주의 정치 체제에 대한 완전한 복귀를 위해 대의원 수 산정 기준이 큰 문제가 되었다. 블레인은 산정 기준을 유권자 수가 아닌 인구에 기반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유권자 비율이 다양한 미국 북부 주들에게 공평한 것이었다. 또한 공정한 참정권 부여를 통해 보호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생각은 결국 주류가 되어 미국 헌법 수정조항 제14조에는 기본적으로 블레인의 제안이 채택되었다.
블레인은 급진 공화당원들의 남부 주에 대한 군정 계획에 반대하며, 군정에서 해방되어 민정을 재개하기 위한 명확한 방안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귀화한 미국 시민이 모국으로 돌아갈 때 반역죄로 기소되는 문제에 대해 귀화 시민을 지지했다. 그의 활동은 1870년 미국과 영국 간의 조약으로 이어져, 귀화 시민이 미국 태생 시민과 동등한 입장에 서게 되었다.
앤드루 존슨 대통령이 1866년 휴 B. 유잉 장군을 네덜란드 대사로 지명했을 때, 블레인은 유잉 지명을 철회하고 자신의 동생 찰스 블레인을 임명하도록 운동했다. 블레인은 대통령에게 유잉이 "부정 행위"를 하고 있다고 말했지만, 이는 블레인과 존슨 대통령의 개인적인 불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14] 블레인은 존 셔먼 상원 의원을 포함한 오하이오 주의 저명한 정치인들에게 블레인의 절친이자 오하이오 출신인 로리프 브링카호프 장군을 그 자리에 앉히기 위해 모든 가능성을 시도하겠다고 선언한 사실이 드러났다.[15] 그럼에도 불구하고, 블레인의 유잉 장군 지명 철회 요구는 성공하지 못했고, 유잉은 1870년까지 그 직책에 있었다.
187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 지명을 얻으려 했지만 실패했다. 리틀록 앤드 포트스미스 철도와 노던 퍼시픽 철도와의 관계에서 하원 의원으로서의 부정 행위를 집요하게 고발당하여 타격을 입었다. 공화당원 대다수는 블레인이 결백하다고 생각했지만,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불과 28표 차이로 대통령 후보 지명을 놓쳤다. 결국 다른 후보 지지자들의 지지가 다크호스인 러더퍼드 헤이스에게 집중된 결과였다. 블레인은 정적들에 의해 "블레인, 블레인, 제임스 G. 블레인, 메인 주 출신의 대륙 최고의 거짓말쟁이"라고 조롱당했다.
블레인은 공화당 공천으로 미국 상원 의원에 지명된 후 선출되었다. 블레인이 제안한 법안 중 통화법은 특히 뛰어난 것이었다. 이전에는 지폐 유통량 확대에 반대했지만, 이때는 은화 평가 절하에 저항했다. 미국의 해운업 발전을 추진하고, 보호 정책은 육상과 마찬가지로 해상에도 적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관대한 보조금을 제안했다.
4. 1. 하원의원 당선
1862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에서 메인주 제3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는 전쟁 노력에 대한 확고한 지지를 공약으로 내세웠다. 블레인은 공화당원으로 1863년 3월 4일부터 1876년 7월 10일까지 제38대 미국 의회 하원 의원으로 7선 연임한 후 사퇴했다.[14][15]4. 2. 재건과 탄핵
1863년부터 1876년까지 7선 미국 하원 의원을 지낸 블레인은 재건 문제에 대해 온건한 입장을 취했다. 그는 탈퇴한 주들의 복귀와 관련하여, 미국 헌법 수정조항 제14조 비준에 대해 탈퇴하지 않은 주의 4분의 3이 비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앤드루 존슨 대통령 탄핵에는 찬성표를 던졌다.[14][15]4. 3. 통화 정책
블레인은 의회에서 강력한 달러를 위한 싸움을 이끌었다. 1억 5천만 달러(비금본위 화폐) 발행 이후 달러 가치는 최저 수준에 머물렀다. 공화당의 벤자민 F. 버틀러와 민주당의 조지 H. 펜들턴이 이끄는 초당적 인플레이션 지지자들은 현상 유지를 원했고, 재무부가 지폐를 계속 발행하고 심지어 전쟁 전 채권에 대한 이자 지급에도 사용하도록 허용하고자 했다. 블레인은 이러한 생각을 투자자들에 대한 국가의 약속을 저버리는 것이라고 비난하며, 당시 유일한 통화였던 금화(Gold dollar)를 기준으로 이루어진 약속이었다고 주장했다. 이 문제에 대해 여러 차례 연설한 블레인은 지폐가 전쟁 중 파산을 피하기 위한 긴급 조치였을 뿐이라고 말했다. 블레인과 그의 금본위제 지지자들은 성공했지만, 1875년의 금본위제 재개 법에 의해 남은 지폐가 모두 금으로 상환 가능하게 된 1879년까지 이 문제는 계속 남아 있었다.[1]4. 4. 하원의장 (1869-1875)
1869년 슈일러 콜팩스 부통령의 사임으로 공석이 된 하원의장직에 선출되었다. 제41회, 42회, 43회 의회에서 하원의장을 역임했다. 효율적이고 매력적인 의장으로 평가받았으며, 율리시스 S. 그랜트 대통령으로부터 능력을 인정받았다. 재건 의회에서 비범한 토론들을 공정하게 주재하여 자신의 당파는 물론 많은 민주당원들로부터 존경을 얻었다. 남부연합 출신자들에 대한 전반적인 사면을 지지했지만, 제퍼슨 데이비스를 포함하는 것에는 반대했다.[14][15]4. 5. 블레인 수정안
1875년, 블레인은 종교 학교에 공적 자금을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헌법 수정 조항을 제안했다.[14] 이 수정 제안은 상원에서 필요한 3분의 2 득표에 4표가 모자라 의회에서 통과되지 못했지만, 각 주의 과반수가 유사한 법률을 채택했고, 일반적으로 블레인 수정 조항으로 불린다.[14] 이 수정 조항은 특정 종파의 지배를 받지 않는 한 공립학교에서 포괄적인 종교 교육을 하는 것을 금지하지 않았다 (실제로 공립학교는 각 주가 블레인 수정 조항을 채택한 후에도 수년 동안 성경 교육과 종교적 교리를 계속 가르쳤다).[14]가톨릭 교회는 블레인의 수정 조항을 반가톨릭적인 것으로 비난했지만, 개신교 신자들, 특히 감리교, 침례교, 합동교회주의자들에게는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14]
5. 1876년 미국 대통령 선거
블레인은 1876년 7월 상원 의원으로 임명되었지만, 그해 12월까지는 의정 활동을 시작하지 않았다. 상원에서 그는 예산위원회에서 활동하고 공무원 및 감축 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지만, 하원 의원 시절만큼의 지도력을 발휘하지는 못했다. 제45대 의회 상원은 공화당이 근소한 차이로 다수당이었지만, 종종 헤이즈 행정부와 대립했다. 블레인은 헤이즈 행정부 옹호자(이후 반혈통파로 불림) 중 한 명으로 자처하지 않았지만, 블레인과 콘클링 사이의 깊은 개인적 적대감 때문에 헤이즈를 반대했던 콘클링이 이끄는 공화당원(이후 강경파로 불림)에 합류할 수도 없었다.
그는 남부 주에서 연방군을 철수시킨 헤이즈의 결정에 반대했는데, 이는 사실상 남부의 재건을 종식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블레인은 계속해서 남부 민주당원들을 적대시하며, 군대 예산을 줄이고 그가 통과를 도왔던 전후 강제법을 폐지하려는 민주당이 장악한 하원의 법안에 반대표를 던졌다. 이러한 법안들은 여러 차례 의회를 통과했고 헤이즈는 여러 차례 거부했으며, 궁극적으로 강제법은 유지되었지만 집행에 필요한 자금은 줄어들었다. 1879년까지 전 남부 연합에 1,155명의 군인만 주둔하고 있었고, 블레인은 이 소규모 부대가 흑인 남부 주민들의 시민적, 정치적 권리를 보장할 수 없다고 믿었으며, 이는 남부에서 공화당의 종말을 의미했다.
통화 문제에 있어서 블레인은 하원 의원 시절부터 강력한 달러를 지지하는 입장을 유지했다. 이러한 입장은 상원 공화당 지도부, 특히 대체로 그린백 운동을 지지했던 상원 의장 토머스 W. 페리와 대립했다. 이 문제는 그린백에 대한 논쟁에서 달러를 뒷받침해야 할 금속에 대한 논쟁으로 바뀌었는데, 금과 은 또는 금만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1873년 주화법은 1달러 이상의 모든 주화에 대한 은화 주조를 중단하여 달러를 금의 가치에 효과적으로 연동시켰다. 결과적으로 화폐 공급이 감소했고 1873년 공황의 영향이 악화되어 채무자가 통화 가치가 낮았을 때 체결한 채무를 상환하는 것이 더 비싸졌다. 특히 농민과 노동자들은 화폐 공급 증가가 임금과 자산 가치를 회복시킬 것이라고 믿고 두 금속 모두로 주조를 복귀시키라고 요구했다. 미주리 출신의 민주당 하원 의원 리처드 P. 블랜드는 미국이 광부들이 정부에 판매할 수 있는 만큼의 은을 주조하여 화폐 공급을 늘리고 채무자를 돕도록 요구하는 법안을 제안했고, 이 법안은 하원을 통과했다. 상원에서 아이오와 출신의 공화당원 윌리엄 B. 앨리슨은 매월 200만 달러에서 400만 달러로 은화 주조를 제한하는 수정안을 제안했다. 이것은 블레인에게는 여전히 너무 많았고, 그는 법안과 제안된 수정안을 비난했지만, 수정된 블랜드-앨리슨 법은 48대 21로 상원을 통과했다. 헤이즈는 이 법안을 거부했지만, 의회는 거부권을 무효화하기 위해 3분의 2의 득표를 얻었다. 블랜드-앨리슨 법이 통과된 후에도 블레인은 계속해서 반대했으며, 1878년 의회 선거 운동 기간 동안 일련의 연설을 통해 이 법에 반대했다.
상원에서의 시간은 블레인이 외교 정책 아이디어를 개발할 수 있게 해주었다. 그는 남북 전쟁 이후 쇠퇴해 온 미국 해군과 상선의 확장을 주장했다. 블레인은 또한 캐나다 해역에서 미국 어부의 어업권에 대한 영국과의 중재 결과에 대해 강력하게 반대했는데, 이는 영국에 5500000USD의 배상금을 지급하게 했다. 블레인의 영국 혐오증은 그의 높은 관세 지지와 결합되었다. 그는 처음에는 두 국가 간의 관세를 줄일 캐나다와의 상호 호혜 조약에 반대했지만, 상원에서의 임기 말까지는 마음을 바꿔 미국이 수출 증가로 얻는 이익이 저렴한 수입의 위험으로 인해 손실되는 것보다 더 크다고 믿게 되었다.
5. 1. 멀리건 편지 사건
1869년 미국 하원 의장 시절, 블레인은 리틀록과 포트스미스 철도가 토지 보조금을 유지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하고, 이후 철도 채권 판매 대리인으로 활동하며 메인주 친구들에게 관대한 수수료를 챙겼다는 의혹을 받았다.[14] 이러한 의혹은 블레인과 그를 고발한 정치적 எதிரियों 사이에 오간, "멀리건 편지"로 알려진 다수의 편지들에 기록되어 있었다.[14]블레인은 의회 앞에서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는 연설을 했고, "멀리건 편지"에서 선별된 부분을 인용하며 자신은 죄가 없고, 오히려 이 일로 돈을 잃었다고 주장했다.[14]
대부분의 공화당원들은 블레인의 주장을 믿었지만, 이 사건은 블레인을 반대하는 공화당 개혁파에게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민주당에게는 선거 운동에 활용할 소재를 제공했다.[14] 당시 정치적 부패가 만연했던 시대에 블레인의 행동은 그의 직위에 있는 사람에게는 예외적인 일은 아니었고, 의원들과 다른 정치 지도자들은 자신들이 제공한 서비스나 영향력에 대한 "대가"를 받는 것이 일반적이었다.[14] 그러나 블레인은 평범한 의원 이상이었고, 훨씬 더 큰 야망을 가지고 있었기에, 리틀록 철도와의 관계는 그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큰 대가를 치르게 했다.[14]
5. 2. '깃털 달린 기사'
1876년 블레인은 대통령이 되는 것을 희망하였고, 미국의 전당 대회 역사상 가장 유창한 지명 연설 중 하나에서 로버트 잉거솔에 의해 "깃털이 달린 기사"로 칭송되었다. 그러나 그해 공화당원들은 정치적 부패 혐의에 민감하였고, 당내 블레인의 정적들은 그의 전체 경력에 그림자를 드리우는 사건을 다시 부각시켰다.이 사건은 1869년 블레인이 미국 하원 의장으로서 리틀록과 포트스미스 철도가 잃을 위험에 있던 토지 보조금을 보존하는 데 자신의 영향력을 이용했을 때 시작되었다. 얼마 후 블레인은 철도 채권의 판매 대리인으로 활동하며 메인주 친구들에게 판매에 대한 관대한 수수료를 받았다. 이 거래는 블레인이 확보할 수 있었으나, 부패 혐의와 그를 기소한 정치적 원수들에게 알려진 다수의 편지들에 기록되었다. 블레인은 의회 앞에서 설득력 있고 감정적인 연설을 통해 이 "멀리건 편지"들에서 선별적으로 인용하여 자신이 죄를 범하지 않았으며, 사실상 이 사건에서 돈을 잃었다고 주장했다.
대부분의 공화당원들은 확신했으나, 이 사건은 블레인의 경력 내내 그를 반대했던 공화당 개혁파를 격분시켰고, 민주당에게는 정기적으로 되살아나는 선거 운동 자료를 제공했다. 당시 만연한 정치적 부패의 시대에 블레인의 활동은 그의 직위에 있는 사람에게 예외적인 것은 아니었고, 의원과 다른 정치 지도자들은 제공된 서비스나 그들이 발휘할 수 있었던 영향력에 대한 "호의"를 정기적으로 받았다. 그러나 블레인은 평범한 의원 이상이었고, 훨씬 더 큰 야망을 가지고 있었다. 리틀록 철도와의 관계는 그가 당시 깨달았던 것보다 훨씬 더 큰 대가를 치르게 했다.
6. 미국 연방 상원의원 (1876–1881)
블레인은 1876년 메인주에서 연방 상원의원으로 선출되었다.[15] 상원에서는 예산위원회에서 활동하고, 공무원 및 감축 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그는 러더퍼드 B. 헤이스 대통령의 정책에 대해 때로는 협력하고 때로는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 그는 남부에 주둔하고 있던 연방군을 철수하는 것에 반대하며, 남부 흑인들의 시민권과 정치적 권리가 보호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4]
블레인은 금본위제를 지지했으며, 은화 주조를 제한하는 블랜드-앨리슨 법에 반대했다. 그는 미국의 해군과 상선을 확장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캐나다 해역에서 어업을 하는 미국 어부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영국과의 중재를 추진했다.[15]
7. 1880년 미국 대통령 선거
1881년 7월 2일, 블레인과 제임스 A. 가필드는 워싱턴의 볼티모어 앤 포토맥 철도 6번가 역을 걸어가던 중 가필드가 찰스 J. 귀토에게 총격을 받았다. 귀토는 영사직을 원했지만 자격이 부족하여 거절당했고, 이에 앙심을 품고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알려졌다.
자칭 스톨워트(Stalwart)였던 귀토는 대통령을 암살함으로써 공화당의 두 파벌을 통합하고, 부통령이었던 체스터 A. 아서에게 환심을 사서 원하는 직위를 얻을 수 있다고 믿었다. 귀토는 현장에서 즉시 체포되었고, 가필드는 총격 후 2개월 반 동안 고통받다가 1881년 9월 19일에 사망했다. 귀토는 가필드 살해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1882년 6월 30일에 교수형에 처해졌다.
가필드의 죽음은 블레인에게 개인적인 비극일 뿐만 아니라, 그의 정치 경력에도 큰 타격을 주었다. 이 사건으로 블레인의 내각 장관으로서의 영향력은 끝났고, 그가 추진하던 외교 정책 구상도 중단되었다. 체스터 A. 아서가 대통령직을 승계하면서 스톨워트(Stalwart)파가 권력을 잡았고, 블레인의 국무장관직은 위태로워졌다. 아서는 모든 내각 구성원들에게 12월 의회 휴회 때까지 사임을 연기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블레인은 1881년 10월 19일에 사임 의사를 표명했고, 후임자가 취임하는 12월 19일까지 직무를 수행하기로 합의했다.
블레인의 후임 국무장관은 뉴저지주 출신의 스톨워트(Stalwart)였던 프레더릭 T. 프렐링후이젠이었다. 아서와 프렐링후이젠은 팬아메리카 회의 소집을 취소하고 태평양 전쟁 종식 노력을 중단하는 등 블레인이 추진하던 많은 정책을 뒤집었지만, 관세 인하 노력은 계속하여 1882년 멕시코와 상호호혜조약을 체결했다.
8. 국무장관 (1881)
제임스 A. 가필드 대통령의 국무장관으로 임명된 블레인은 1881년 7월 2일, 가필드와 함께 워싱턴의 볼티모어 앤 포토맥 철도 6번가 역을 걷던 중 찰스 J. 귀토에게 총격을 받았다.[1] 영사직을 원했지만 자격 미달로 거절당한 귀토는 이에 불만을 품고 블레인 등 국무부 관리들에게 여러 차례 임명을 요구해왔다.
스스로 스톨워트(Stalwart)라 칭한 귀토는 대통령 암살로 공화당의 두 파벌을 통합하고, 체스터 A. 아서 부통령에게 환심을 사 원하는 직위를 얻을 수 있다고 믿었다.[2] 체포된 귀토는 가필드 살해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1882년 6월 30일에 교수형에 처해졌다.[3] 가필드는 총격 후 두 달여 간 투병하다 1881년 9월 19일에 사망했다.
가필드의 죽음은 블레인에게 개인적 비극이자, 외교 정책 구상의 종식을 의미했다.[4] 체스터 A. 아서 대통령 취임으로 스톨워트파가 권력을 잡으면서 블레인의 국무장관직은 위태로워졌다.[5] 아서는 내각 구성원들에게 12월 의회 휴회 때까지 사임을 연기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블레인은 1881년 10월 19일에 사임 의사를 밝혔고, 12월 19일 프레더릭 T. 프렐링후이젠이 후임으로 취임할 때까지 직무를 수행했다.[6][7]
8. 1. 외교 정책
블레인은 외교 정책 경험이 거의 없었지만, 국무장관으로서 자신의 임무에 헌신했다. 그는 보호무역주의 성향을 버리고 서반구 내에서 자유 무역을 증진하고자 했다. 블레인은 라틴 아메리카와의 무역 증대가 영국의 영향력을 막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생각했으며, 수출 장려를 통해 미국의 번영을 증대시킬 수 있다고 믿었다.가필드 대통령은 블레인의 비전에 동의했고, 블레인은 1882년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 간의 분쟁을 중재하고 무역 증진을 논의하기 위한 팬아메리카 회의를 소집했다. 동시에 블레인은 볼리비아, 칠레, 페루가 벌이고 있던 태평양 전쟁의 평화 협상을 추진했다. 블레인은 페루가 영토를 할양하지 않는 해결책을 선호했지만, 칠레는 이를 거부했다.
블레인은 영국의 개입 없이 미국이 파나마 운하를 건설할 수 있도록 클레이턴-불워 조약 재협상을 촉구하고, 하와이 왕국에서 영국의 개입을 줄이려 했다. 또한 조선과 마다가스카르와의 통상 조약을 추구하는 등 미국의 외교적 영향력을 전 세계로 확장하려 했다.
8. 2. 가필드 암살
1881년 7월 2일, 블레인은 제임스 A. 가필드 대통령과 함께 워싱턴의 볼티모어 앤 포토맥 철도 6번가 역을 걸어가던 중 찰스 J. 귀토에게 총격을 받았다.[1] 귀토는 영사직을 원했지만 자격이 부족하여 거절당했고, 이에 불만을 품고 블레인 등 국무부 관리들에게 여러 차례 임명을 요구해왔다.
자신을 스톨워트(Stalwart)라고 칭한 귀토는 대통령 암살을 통해 공화당의 두 파벌을 통합하고, 체스터 A. 아서 부통령에게 환심을 사서 원하는 직위를 얻을 수 있다고 믿었다.[2] 귀토는 즉시 체포되었고, 가필드는 두 달여 간의 투병 끝에 1881년 9월 19일에 사망했다. 귀토는 가필드 살해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1882년 6월 30일에 교수형에 처해졌다.[3]
가필드의 죽음은 블레인에게 개인적인 비극일 뿐만 아니라, 내각 장관으로서의 지배력과 외교 정책 구상의 종식을 의미했다.[4] 체스터 A. 아서가 대통령직을 승계하면서 스톨워트파가 권력을 잡았고, 블레인의 국무장관직은 위태로워졌다.[5] 아서는 모든 내각 구성원들에게 12월 의회 휴회 때까지 사임을 연기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블레인은 1881년 10월 19일에 사임 의사를 밝혔고, 12월 19일 후임자가 취임할 때까지 직무를 수행하기로 합의했다.[6]
블레인의 후임은 뉴저지주 출신의 스톨워트였던 프레더릭 T. 프렐링후이젠이었다.[7] 아서와 프렐링후이젠은 팬아메리카 회의 소집을 취소하고 태평양 전쟁 종식 노력을 중단하는 등 블레인의 많은 정책을 번복했지만, 관세 인하 노력은 계속하여 1882년 멕시코와 상호호혜조약을 체결했다.[8]
9. 사생활 (1881-1884)
1882년, 블레인은 1859년 이후 처음으로 공직 없이 한 해를 보냈다.[1] 건강이 좋지 않았지만,[2] 회고록인 ''의회 20년''(Twenty Years of Congress) 집필에 전념했다.[3] 메인 주의 친구들이 1882년 선거 출마를 권유했지만, 그는 글쓰기와 새 집으로 이사하는 일에 시간을 보내는 것을 선호하며 거절했다.[4] 광산 및 철도 투자 수입으로 가족의 생활비를 충당하고, 프랭크 퍼니스가 설계한 메인 주 마운트 데저트 섬에 "스탠우드"라는 별장을 지었다.[5]
10. 1884년 미국 대통령 선거
188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 대통령 후보로 지명된 블레인은 민주당의 그로버 클리블랜드와 맞붙었다. "매그와프스(Mugwumps)"라고 불리는 공화당 개혁파는 블레인의 부정부패 평판 때문에 클리블랜드를 지지했다.[8]
열띤 선거전 끝에 블레인은 뉴욕주에서 근소한 차이로 패배하며 낙선했다. 많은 사람들은 그 패배의 원인을 1884년 10월 29일, 블레인 앞에서 프로테스탄트 목사 새뮤얼 D. 버처드가 사용한 "럼주, 로마니즘 그리고 반역자(Rum, Romanism, and Rebellion)"라는 말에 돌리고 있다.[13] 버처드는 이 표현으로 민주당의 입장을 묘사했는데, 럼주는 알코올 관련 이익, 로마니즘은 가톨릭교회, 반역자는 1861년 미합중국 남부 연합을 의미했다.
이 말은 블레인의 것이 아니었지만, 그의 반대 세력은 블레인의 가톨릭교회에 대한 적대감을 보여주기 위해 이용했고, 이는 가톨릭 신자들의 표심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블레인의 어머니는 아일랜드인 가톨릭 신자였고, 그의 누이는 수녀였기에, 블레인이 민주당 지지자들의 표를 얻으려 했다는 추측도 있었다. 그러나 가톨릭 신자들은 이미 블레인의 수정 조항 지지로 인해 그를 의심하고 있었고, 이 사건으로 의혹은 더욱 커졌다.[12][13]
10. 1. 공화당 후보 지명
1884년 전당대회를 앞두고 블레인은 대통령 후보 지명의 유력한 후보로 꼽혔다. 블레인은 세 번째로 후보 지명을 얻기 위해 노력하고 싶은지 확신하지 못했지만, 결국 다시 후보가 되기로 결정했다.오하이오주의 윌리엄 H. 웨스트는 열정적인 연설로 블레인을 지명했고, 첫 번째 투표에서 블레인은 334.5표로 선두를 달렸다. 네 번째 투표에서 블레인은 541표를 얻어 마침내 후보 지명을 받았다. 존 A. 로건은 첫 번째 투표에서 부통령 후보로 지명되었다.
10. 2. 클리블랜드와의 대결
민주당은 전당대회를 열고 그로버 클리블랜드를 대선 후보로 지명했다. 클리블랜드는 개혁가이자 부패 반대자로서의 명성을 바탕으로 블레인과 그의 스캔들에 불만을 품은 공화당원들을 끌어들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되었다. 칼 슐츠, 헨리 워드 비처와 같은 인물들을 포함한 개혁 성향의 공화당원들(무그왝프)은 블레인을 부패한 인물로 규탄하고 클리블랜드에게로 몰려들었다. 이들은 당보다 도덕성을 더 중시했고, 클리블랜드가 행정 개혁을 추진할 동류의 인물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민주당이 무그왝프들의 지지를 얻는 동시에 블루칼라 노동자 일부는 그린백당(벤자민 F. 버틀러가 이끌었다.)으로 돌아섰다.
선거 운동은 후보들의 인격에 초점을 맞췄고, 각 후보 지지자들은 상대 후보에 대해 비난을 퍼부었다. 클리블랜드 지지자들은 블레인이 철도 회사에 유리하도록 입법에 부패하게 영향을 미쳤고, 이후 두 회사 주식을 매각하여 이익을 챙겼다는 멀리건 편지의 오래된 주장을 다시 꺼내들었다.[8] 블레인이 철도 회사에 특혜를 베풀었다는 이야기는 8년 전에도 돌았지만, 이번에는 그의 서신이 더 많이 발견되어 이전의 부인이 설득력을 잃었다.[8] 블레인은 편지가 진짜임을 인정했지만, 그 내용이 자신의 정직성을 훼손하거나 이전의 설명과 모순된다고 부인했다.[8] 그럼에도 불구하고 블레인이 "낡은 중상모략"이라고 묘사한 것은 대중의 관심을 그의 인격에 부정적으로 집중시키는 역할을 했다.[8] 가장 파괴적인 내용의 서신 중 일부에는 블레인이 "이 편지를 태워라"라고 적어 놓았는데, 이것이 민주당의 선거 구호 "블레인, 블레인, 제임스 G. 블레인, 메인 주 출신의 대륙적인 거짓말쟁이, '이 편지를 태워라!'"의 마지막 구절이 되었다.[9]
클리블랜드의 도덕적 우월성 이미지에 맞서기 위해, 공화당은 클리블랜드가 뉴욕주 버펄로에서 변호사로 일하던 시절 사생아를 낳았다는 보고서를 발견하여 "엄마, 엄마, 아빠 어디 있어요?"라고 외쳤다. 클리블랜드가 당선된 후 민주당은 여기에 "백악관에 갔어요, 하하하!"를 덧붙였다.[10] 클리블랜드는 1874년에 자신의 아이라고 주장하는 오스카 폴섬 클리블랜드라는 아이의 양육비를 마리아 크로프츠 할핀에게 지불한 것을 인정했다.[10] 할핀은 당시 클리블랜드의 친구이자 법률 파트너인 오스카 폴섬을 포함하여 여러 남자와 관계를 맺고 있었는데, 아이의 이름도 오스카 폴섬을 따서 지었다.[10] 클리블랜드는 누가 아이의 아버지인지 몰랐고, 그들 중 유일한 독신이었기 때문에 책임을 맡았다고 여겨진다.[10]
두 후보 모두 뉴욕, 뉴저지, 인디애나, 코네티컷 주가 선거 결과를 결정할 것이라고 믿었다.[11] 블레인은 공화당이 일반적으로 얻는 것보다 더 많은 아일랜드계 미국인들의 지지를 얻을 수 있기를 기대했다. 19세기 아일랜드계 미국인들은 주로 민주당 지지자였지만, 블레인의 어머니는 아일랜드계 가톨릭 신자였고 그는 자신이 오랫동안 영국 정부에 반대해 온 것이 아일랜드계 미국인들에게 호소할 것이라고 믿었다.[12] 그러나 선거 운동 후반기에 그의 지지자 중 한 명인 새뮤얼 D. 버차드가 민주당을 "술, 로마 가톨릭교, 그리고 반란의 당"이라고 규탄하는 연설을 하면서 블레인의 아일랜드계 미국인 표 확보 계획은 물거품이 되었다.[13] 민주당은 선거 몇 일 전에 이러한 모욕적인 발언을 퍼뜨렸고, 클리블랜드는 뉴욕주에서 1,000표 차이로 승리하는 등 4개의 경합 주에서 모두 근소하게 승리했다. 득표율은 클리블랜드가 0.25% 차이로 승리할 정도로 박빙이었지만, 선거인단 득표수는 클리블랜드가 219대 182로 과반수를 차지했다.[14]
11. 야인 시절 (1884-1889)
블레인은 근소한 차이로 패배를 인정하고 『의회 20년』 제2권을 집필하며 시간을 보냈다.[1] 이 책은 그에게 충분한 수입을 가져다주었다.[1] 그는 친구들에게 정계 은퇴를 언급하기도 했지만, 클리블랜드 행정부의 정책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유지했다.[2]
1886년 의회 선거에서 블레인은 고향인 메인 주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공화당 후보들을 지원하며 정치 활동을 재개했다.[3] 공화당은 메인 주에서 승리했고, 블레인은 펜실베이니아에서 테네시까지 연설을 하며 공화당 후보들의 지지를 호소했다.[4] 전국적으로 공화당은 하원 의석을 얻었지만 상원 의석은 잃었다. 그럼에도 블레인의 연설은 그와 그의 의견을 다시 주목받게 했다.[5]
1887년, 블레인은 가족과 함께 유럽을 여행하며 영국, 아일랜드, 독일, 프랑스, 오스트리아-헝가리, 스코틀랜드 등을 방문했다.[6] 프랑스에 있는 동안 블레인은 『뉴욕 트리뷴』에 편지를 써서 클리블랜드의 관세 인하 계획을 비판하며, 유럽과의 자유 무역이 미국 노동자와 농민을 빈곤하게 만들 것이라고 주장했다.[7] 1887년 8월 미국으로 돌아온 후, 그의 편지는 그의 정치적 위상을 더욱 높였다.[8] 시어도어 루즈벨트와 헨리 캐벗 로지 등은 블레인에게 다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할 것을 촉구했다.[9]
1888년 공화당 전당대회가 다가오자 블레인은 출마하지 않겠다고 발표했지만, 그의 지지자들은 계속 출마를 독려했다.[10] 블레인은 앤드루 카네기와 함께 스코틀랜드에 머물면서 자신의 의도를 분명히 했다.[11] 카네기는 블레인이 지명되면 수락할 것을 격려했지만, 대의원들은 결국 블레인의 거절을 받아들였다.[12] 존 셔먼이 가장 유력한 후보였으나, 블레인이 벤저민 해리슨을 지지한다는 전보가 온 후 해리슨에게 지지가 몰렸다.[13] 블레인은 1888년 8월 미국으로 돌아와 해리슨을 지지했고, 해리슨은 접전 끝에 클리블랜드를 물리치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14]
12. 국무장관 (1889–1892)
1889년 벤저민 해리슨 대통령은 블레인을 국무장관으로 임명했다. 블레인은 제임스 A. 가필드 대통령 시절에도 국무장관을 잠시 역임한 적이 있었다. 블레인은 유능한 외교관으로서 영국에 대해 강경한 태도를 취했으며, 범미주의(Pan-Americanism)와 라틴아메리카에 대한 미국의 경제적 침투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이는 훗날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 시절 그의 숭배자인 엘리후 루트에 의해 결실을 맺게 된다.[1] 블레인은 다시 한번 대통령 후보 지명을 받고자 1892년 공화당 전당 대회 3일 전 해리슨 내각에서 사임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다.[1]
해리슨 대통령은 블레인의 외교 정책 구상을 상당 부분 수용했으며, 임기 초 두 사람은 미국이 세계에서 차지하는 위상에 대해 매우 비슷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1]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개인적인 갈등으로 인해 두 사람의 관계는 불편해졌다.[2] 해리슨은 블레인의 높은 인기와 잦은 병가에 불만을 품었으며, 블레인이 1892년 대통령 후보 지명을 노리고 있다고 의심했다.[1]
1891년에는 칠레에서 발생한 외교적 위기가 해리슨과 블레인 사이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블레인의 친구인 패트릭 이건 칠레 주재 미국 공사가 칠레 내전 피난민들에게 망명을 허용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 발티모어호 선원들이 발파라이소에서 휴가 중 싸움에 휘말려 미국 선원 2명이 사망하고 30명 이상이 체포되었다.
해리슨은 칠레 정부에 배상을 요구하는 초안을 직접 작성했고, 칠레 외무장관은 해리슨의 메시지가 "잘못되었거나 고의적으로 부정확하다"고 답변했다. 해리슨은 적절한 사과를 받지 못하면 외교 관계를 단절하겠다고 위협했다. 블레인은 칠레 정부에 화해를 제안하고 중재를 통해 분쟁을 해결하려 했으나, 해리슨은 사과를 계속 요구하며 전쟁 위협에 대한 특별 메시지를 의회에 제출했다. 결국 칠레는 사과했고, 전쟁 위협은 사라졌다.
블레인은 서반구 국가들의 국제 회의라는 자신의 오랜 구상을 되살려 1890년 워싱턴에서 제1차범미국회의를 개최했다. 블레인과 해리슨은 이 회의를 통해 관세 동맹, 범미주 철도, 회원국 간 분쟁 해결을 위한 중재 절차 등을 마련하고자 했다. 그러나 의회는 관세 동맹에 소극적이었고, 맥킨리 관세법에 일부 미주 간 무역에 대한 관세 상호주의 조항을 포함시키는 데 그쳤다. 비록 단기적인 목표는 달성하지 못했지만, 이 회의는 더 많은 소통을 이끌어냈고 결국 미주기구로 발전하게 되었다.
12. 1. 외교 정책
벤저민 해리슨 대통령은 제임스 G. 블레인의 외교 정책 구상에 크게 의존했으며, 임기 초 두 사람은 미국이 세계에서 차지하는 위상에 대해 매우 비슷한 견해를 공유했다.[1] 그러나 개인적인 갈등으로 인해 관계가 악화되기도 했다.[2]블레인과 해리슨은 태평양 전역으로 미국의 영향력과 무역을 확장하고자 했으며, 특히 하와이의 진주만, 사모아의 파고파고 항구 확보에 큰 관심을 가졌다.[3] 블레인이 국무장관으로 취임했을 당시, 미국, 영국, 독일 제국은 사모아에서 각자의 권리를 주장하며 분쟁 중이었다.[4] 블레인은 전임자 토머스 F. 베이어드가 수락한 베를린 3자 회담에 미국 대표를 임명하여 참여시켰다.[5] 그 결과 베를린 조약이 체결되어 세 강대국 간의 공동 통치가 이루어졌고, 모든 국가가 항구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6]

블레인은 하와이 왕국을 미국과 더욱 긴밀하게 연결하고 영국의 보호령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노력했다.[7] 1890년 맥킨리 관세법으로 설탕 관세가 철폐되자, 하와이 설탕 재배자들은 미국 시장에 대한 독점적 접근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했다.[8] 헨리 A. P. 카터 하와이 주미 공사는 완전한 무역 상호주의를 추진했으나, 블레인은 하와이를 미국의 보호령으로 만들 것을 제안했다.[9] 칼라카우아 하와이 국왕은 주권 침해를 이유로 거부했다.[10] 블레인은 존 L. 스티븐스를 하와이 공사로 임명했고, 스티븐스는 하와이 주재 미국인들과 협력하여 합병을 추진했다.[11] 이들의 노력은 1893년 릴리우칼라니 여왕에 대한 쿠데타로 이어졌다.[12] 블레인의 개입 여부는 명확하지 않지만, 스티븐스의 외교적 결과는 미국의 영향력 확대라는 블레인의 목표와 일치했다.[13] 새 정부는 미국에 합병을 요청했지만, 블레인은 이미 사임한 후였다.[14]
블레인의 초기 외교 정책은 반영국적이고 보수적인 견해를 보였으나, 후기에는 영국과의 관계가 보다 온건해졌다.[15] 해리슨 행정부에서 블레인은 알래스카 해역 물개 사냥 분쟁으로 영국과 처음 접촉했다. 1889년 제정된 법률에 따라 해리슨은 알래스카 해역에서의 물개 사냥을 금지했지만, 캐나다 어부들은 어업권을 주장했다. 미국 해군이 프리빌로프 제도 근처에서 캐나다 선박 여러 척을 나포하자, 블레인은 영국과 협상하여 분쟁을 중립적인 재판소에 제출하기로 합의했다. 재판 결과, 어느 정도의 규제를 거쳐 사냥이 허용되었고, 미국은 473151USD의 손해배상금을 지불했다. 이후 양국은 공해상 물개 사냥을 금지하는 1911년 북태평양 물개 보호 조약에 서명했다.
프리빌로프 제도 분쟁과 동시에 뉴올리언스에서 발생한 폭력 사태가 국제 문제로 비화되었다. 데이비드 헤네시(David Hennessy) 뉴올리언스 경찰서장이 1890년 10월 14일 암살당한 후, 1891년 3월 14일 피의자들이 무죄 판결을 받자 폭도들이 감옥을 습격하여 11명을 린치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사망자 중 다수가 이탈리아 시민이었기에 사베리오 파바(Saverio Fava) 이탈리아 공사가 블레인에게 항의했다. 블레인은 연방 정부가 주 정부의 형사 사건 처리 방식을 통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고, 파바는 이탈리아로 공사관을 철수하겠다고 발표했다. 블레인과 해리슨은 이탈리아의 반응이 과잉 반응이라고 판단하여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긴장이 완화된 후, 거의 1년 뒤 이탈리아 공사가 배상금 협상을 위해 미국으로 돌아왔다. 내부 갈등을 거친 끝에 미국은 25000USD의 배상금을 지불하기로 합의했고, 정상적인 외교 관계가 회복되었다.
12. 2. 해리슨과의 갈등
벤저민 해리슨 대통령과 블레인은 외교 정책에 대한 견해가 대체로 일치했지만, 개인적으로는 불편한 관계를 유지했다. 해리슨은 블레인의 높은 인기와 잦은 병가에 불만을 품었으며, 블레인이 1892년 대통령 후보 지명을 노리고 있다고 의심했다.[1] 해리슨은 국무부 하급직에 "블레인의 사람들"이 채워지는 것을 제한하려고 노력했고, 블레인이 그의 아들 워커를 국무차관보로 임명해달라는 요청을 거부하고 그를 국무부 법률고문으로 임명했다.[1]이러한 개인적인 감정 악화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은 당시의 대외 정책 문제에 대해 대체로 동의했다.[1] 블레인의 초기 외교 정책은 반영국적이고 보수적인 견해를 보였으나, 그의 경력 말년에는 영국과의 관계가 더욱 온건해졌다.[2]
해리슨 행정부에서 블레인은 국무장관으로서 영국과 처음으로 알래스카 해역의 물개 사냥 분쟁에 관여했다. 미국 해군은 프리빌로프 제도 근처에서 여러 척의 캐나다 선박을 나포했고, 블레인은 영국과 협상에 들어갔다. 두 국가는 중립적인 재판소에 분쟁을 제출하기로 합의했다.[3] 재판소는 어느 정도 규제를 거쳐 사냥을 허용하고 미국이 473151USD의 손해배상금을 지불하도록 하였다.[4]
프리빌로프 제도 분쟁과 동시에 뉴올리언스에서 발생한 폭력 사태가 국제적인 사건으로 비화되었다. 뉴올리언스 경찰서장 데이비드 헤네시(David Hennessy)가 암살당한 후, 피의자들이 무죄 판결을 받자 폭도들이 감옥을 습격하여 그들 중 11명을 린치했다.[5] 사망자 중 다수가 이탈리아 시민이었기 때문에 이탈리아 장관은 블레인에게 항의했다. 블레인은 연방 당국이 주 당국의 형사 사건 처리 방식을 통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고, 이탈리아는 공사관을 철수하겠다고 발표했다. 긴장은 서서히 완화되었고, 거의 1년 후 이탈리아 장관은 배상금 협상을 위해 미국으로 돌아왔다.[6] 내부 분쟁을 거친 후, 미국은 25000USD의 배상금을 지불하기로 합의했고, 정상적인 외교 관계가 재개되었다.[7]
13. 은퇴와 죽음
블레인은 건강이 좋지 않았으며, 해리슨 내각에 합류했을 무렵에는 더욱 악화되었다.[1] 1890년에는 두 자녀 월커와 앨리스가, 1892년에는 아들 에먼스가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2] 이러한 가족의 상실과 건강 악화로 1892년 6월 4일, 블레인은 국무장관직에서 사임했다.[3] 1892년 공화당 전당대회 직전 사임으로 해리슨은 블레인이 대통령 후보 지명을 노린다고 의심했다.[3]
해리슨의 인기는 낮았고, 블레인의 지지자들은 그에게 후보 지명을 권유했다.[4] 블레인은 이를 부인했지만, 일부 지지자들은 그의 지명을 위해 노력했다.[5] 블레인의 사임 후, 지지자들은 그를 후보로 확신했지만, 당 대다수는 해리슨을 지지했다.[6] 해리슨은 1차 투표에서 재지명되었으나, 블레인 지지자들은 182와 1/6 표를 던졌다.[6]
1892년 여름, 블레인은 바 하버의 별장에서 보냈고, 10월 뉴욕 연설 외에는 대선 운동에 참여하지 않았다.[7] 해리슨은 클리블랜드와의 재대결에서 패배했고, 블레인이 워싱턴으로 돌아왔을 때 둘은 수년 만에 가장 친밀한 사이가 되었다.[8] 1892년에서 1893년 겨울, 블레인의 건강은 급격히 악화되어 1893년 1월 27일, 63세 생일 4일 전 워싱턴 자택에서 사망했다.[9] 장례식은 성약 교회에서 치러졌고, 오크힐 묘지에 안장되었다가 1920년 오거스타의 블레인 기념공원으로 이장되었다.[9]
14. 유산
블레인은 당대 공화당의 거장이었지만, 사후 곧 잊혀진 인물이 되었다.[10] 1934년 데이비드 새빌 머지가 출판한 블레인 전기 부제는 "지나간 시대의 정치적 우상"이었는데, 이는 아마도 1860년부터 1912년까지 공화당이 대통령 후보로 지명한 9명 중 블레인만이 대통령이 되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여러 저자들이 블레인의 외교 정책 경력을 연구했지만, 머지의 책이 닐 롤드의 2006년 책이 나올 때까지 블레인에 대한 마지막 대규모 전기였다. 역사학자 R. 핼 윌리엄스는 2016년 사망할 때까지 ''제임스 G. 블레인: 정치적 삶''이라는 가제의 블레인 전기를 집필 중이었다.[10]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당시, 도널드 트럼프와 힐러리 클린턴 모두 논란에 휩싸이며 블레인과 비교되었다. 개인적인 부패 증거를 지우려 했던 전 국무장관이었던 블레인의 지위는 클린턴과 유사점을 보였고,[11] 반중 정서에 호소했던 그의 행보는 트럼프의 반이슬람 정서와 비교되었다.[12] 마찬가지로 1884년 블레인에 반대했던 무그웜(Mugwumps)은 네버 트럼프 운동과 비교되어 왔다.[13]
블레인의 이름을 딴 지명은 다음과 같다.
15.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선거인단) | 결과 | 당락 |
---|---|---|---|---|---|---|---|
1862년 선거 | 하원의원 (메인 제3선거구) | 38대 | 공화당 | 58.13% | 9,971표 | 1위 | |
1864년 선거 | 하원의원 (메인 제3선거구) | 39대 | 입헌통일당 | 59.10% | 14,055표 | 1위 | |
1866년 선거 | 하원의원 (메인 제3선거구) | 40대 | 공화당 | 64.13% | 14,909표 | 1위 | |
1868년 선거 | 하원의원 (메인 제3선거구) | 41대 | 공화당 | 57.38% | 16,127표 | 1위 | |
1870년 선거 | 하원의원 (메인 제3선거구) | 42대 | 공화당 | 55.56% | 11,590표 | 1위 | |
1872년 선거 | 하원의원 (메인 제3선거구) | 43대 | 공화당 | 56.60% | 15,084표 | 1위 | |
1874년 선거 | 하원의원 (메인 제3선거구) | 44대 | 공화당 | 57.00% | 11,524표 | 1위 | |
1876년 선거 | 상원의원 (메인 제2부) | 44대 | 공화당 | 100.00% | 1표 | 1위 | |
1877년 선거 | 상원의원 (메인 제2부) | 45대 | 공화당 | 62.61% | 139표 | 1위 | |
1884년 선거 | 미국의 대통령 | 22대 | 공화당 | 48.28% | 4,856,903표 (182명) | 2위 | 낙선 |
참조
[1]
서적
Notable American Women, 1607–1950: A Biograph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Representative Schuyler Colfax of Indiana
https://history.hous[...]
Office of the Historian, U.S. House of Representatives
2019-08-23
[3]
서적
The speaker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e, and Company
2019-08-23
[4]
서적
Perley's Reminiscences of Sixty Years in the National Metropolis
https://archive.org/[...]
[5]
판례
Everson v. Board of Education
[6]
판례
Cantwell v. Connecticut
[7]
서적 #추정. harvnb 템플릿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정확한 유형을 특정할 수 없습니다.
# Muzzey 저서에서 인용
[8]
서적
A Secret Life
Skyhorse Publishing
[9]
웹사이트
The Life and Presidency of Grover Cleveland
https://www.whitehou[...]
2007
[10]
웹사이트
SMU mourns loss of former dean and professor R. Hal Williams
https://www.smu.edu/[...]
Smu.edu
2016-02-18
[11]
뉴스
2016 contest could be like 1884 all over again
https://www.orlandos[...]
Orlando Sentinel
2016-05-19
[12]
뉴스
Don't think Trump will ever pass a Muslim Exclusion Act? Just ask Sen. James G. Blaine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5-12-08
[13]
뉴스
In #NeverTrump Movement, Echoes of 1884's 'Mugwumps'
https://www.nbcnews.[...]
NBC News
2016-05-09
[14]
간행물 #추정.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http://publications.[...]
[15]
간행물 #추정.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http://publica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