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밥은 튀르키예어 '케바프'에서 유래한 음식으로, 굽거나 튀긴 고기를 의미한다. 다양한 언어와 지역에서 다양한 발음으로 불리며, 메소포타미아, 아랍, 페르시아 요리에서 유래되었다. 케밥은 꼬치에 고기를 꿰어 굽는 방식과 기타 형태로 나뉘며, 도네르 케밥, 시시 케밥, 샤슬릭 등이 대표적이다. 지역에 따라 닭고기, 양고기, 쇠고기 등 다양한 고기를 사용하며, 빵이나 쌀과 함께 제공된다. 케밥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동아시아, 유럽, 서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 다양한 지역에서 현지화된 형태로 즐겨 먹는 음식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세티야 요리 - 오세트 파이
오세트 파이는 오세티야 전통 요리인 즌의 여러 종류를 아우르는 이름으로, 주요 재료에 따라 강낭콩, 호박, 빅토리아산마늘, 감자와 치즈, 비트 뿌리, 감자, 고기, 양배추와 치즈 등으로 나뉘며 오세티야 요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지역별로 레시피가 조금씩 다르다. - 케밥 - 체바피
체바피는 발칸반도 지역에서 기원한 케밥의 일종으로, 다진 고기를 소시지 모양으로 구워 빵, 양파, 요구르트 등과 함께 먹는 음식이다. - 케밥 - 케밥체
케밥체는 불가리아와 북마케도니아에서 쇠고기, 돼지고기 등을 다져 향신료와 함께 구워 만든 작은 크기의 구운 고기 요리이다. - 파슈툰 요리 - 볼라니
볼라니는 아프가니스탄의 전통 음식으로, 반죽에 속을 채워 튀기거나 구워 바삭한 식감과 고소한 맛 또는 독특한 풍미를 내는 음식이다. - 파슈툰 요리 - 파라타
파라타는 인도 아대륙에서 인기 있는 무발효 플랫브레드의 일종으로, 통곡물 반죽을 구워 만들며, 속을 채워 다양한 종류로 즐겨 먹는다.
케밥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어원 | 페르시아어 كباب (kabāb) |
기원 | 페르시아, 튀르키예 |
지역 | 중동 |
종류 | 구이 |
주요리 | 주요리 |
제공 온도 | 뜨겁게 |
주재료 | 고기 |
언어별 명칭 | |
페르시아어 | (kabāb) |
아랍어 | (kabāb) |
튀르키예어 | (kebap) |
관련 요리 | |
국가별 요리 | 아르메니아 요리 아제르바이잔 요리 아프가니스탄 요리 우즈베키스탄 요리 이라크 요리 이란 요리 인도 요리 조지아 요리 중국 요리 카자흐스탄 요리 키르기스스탄 요리 키프로스 요리 타지키스탄 요리 투르크메니스탄 요리 튀르키예 요리 파키스탄 요리 |
2. 어원
한국어 "케밥"은 튀르키예어 "케바프(kebaptr)"가 영어 "키바브(kebab영어)"를 거쳐 들어온 말일 것으로 추정된다.[78]
"케밥"이라는 단어는 "굽다", "태우다"라는 뜻을 가진 고대 아카드어 "카바부(kababu)"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72] 아메리칸 헤리티지 사전은 아람어와 아카드어에서 유래된 '태우다', '숯으로 만들다', 또는 '굽다'라는 의미를 가진 동셈어족 어원을 제시한다.[5]
여러 언어권에서 다양한 발음으로 불리고 있다.
언어 | 표기 |
---|---|
러시아 | 캐바브(кәбабtt), 케바브(кебабba), 케바프(кебабru) |
방글라데시 | 카바브(কাবাবbn) |
아르메니아 | 카바브(քաբաբhy), 캬바브(քյաբաբhy) |
아제르바이잔 | 카바브(kababaz) |
아프가니스탄 | 카바브(l2=ps|کبابprs) |
우즈베키스탄 | 카보브(kabobuz) |
이라크 | 카밥(كبابar) |
이란 | 카바브(کبابfa, کابابaz) |
인도 | 카바브(कबाबhi, कबाबmr, കബാബ്ml, কাবাবbn, کبابur, ಕಬಾಬ್kn, ਕਬਾਬpa) |
조지아 | 카바비(ქაბაბიka) |
중국 | 카와프(كاۋاپug), 카와푸(카와푸), 카오촨(카오촨) |
카자흐스탄 | 캐와프(кәуапkk) |
키르기스스탄 | 케베프(кебепky) |
키프로스 | 케바프(kebaptr) |
타지키스탄 | 카보브(кабобtg) |
투르크메니스탄 | 케보브(kebobtk) |
튀르키예 | 케바프(kebaptr), 케바브(kebabku) |
파키스탄 | 카바브(l2=pa|کبابur) |
아랍 에미리트 | 케바프(كيبافar) |
"케밥"이라는 단어는 고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서양에는 튀르키예인들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 꼬치에 구운 고기, 스튜, 미트볼 등 다양한 구운 고기 요리를 포함한다.[9][12]
케밥은 크게 꼬치 케밥과 기타 케밥으로 나눌 수 있다. 꼬치 케밥은 꼬치에 재료를 꿰어 굽는 방식이며, 되네르 케밥, 시시 케밥 등이 대표적이다. 기타 케밥에는 꼬치를 사용하지 않는 다양한 형태의 케밥이 포함된다.
3. 역사
kebab영어이라는 단어는 17세기 후반 페르시아어 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크며, 힌두스탄어와 튀르키예어를 거쳐 영어로 들어왔다.[10][2] 튀르키예어 단어 kebaptr 역시 페르시아어 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구운 고기를 의미한다. 14세기 초 터키어 텍스트인 Kyssa-i Yusuftr(요셉 이야기)에도 등장한다.[4] 아카드어의 와 아람어의 כבבאarc에서 '튀기다, 태우다'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는 설도 있다.[4] 길 마크스는 중세 아랍어와 터키어 용어가 페르시아어 ''kabab''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아마도 아람어에서 파생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2]
아메리칸 헤리티지 사전은 아람어와 아카드어에서 유래된 '태우다', '숯으로 만들다', 또는 '굽다'라는 의미를 가진 동셈어족 어원을 제시한다.[5] 바빌로니아 탈무드는 성전 제물이 (태워지는 것)가 되지 않도록 지시한다.[12] 이는 선사 시대 원아프리카아시아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태우다' 또는 '굽다'를 의미하는 ''*kab-''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6]
이븐 사이야르 알-와라크의 10세기 바그다드 요리책 ()에는 메소포타미아 요리, 페르시아 요리, 아랍 요리의 유산이 집대성되어 있으며, 는 팬에 튀기거나 불에 구운 잘게 썬 고기로 묘사되어 있다.[7]
이 요리는 이슬람의 영향과 함께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9] 이븐 바투타에 따르면, 델리 술탄국(1206–1526) 시대에는 왕족의 식탁에 케밥이 올랐으며, 평민들도 난과 함께 아침 식사로 즐겼다고 한다.[8] 케밥 요리는 현재 도너 케밥(doner kebab)과 같은 패스트 푸드에서부터 동남아시아의 사테와 같은 다양한 시시 케밥에 이르기까지 지역 요리 스타일과 혁신에 맞춰 채택되고 통합되었다.[9]
4. 종류
대부분의 영어권 국가에서 '케밥'은 시시 케밥이나 수블라키처럼 꼬치에 구운 작은 고기 조각, 또는 되네르 케밥처럼 다진 고기로 만든 것을 의미한다.[9][10][11][12] 반면, 인도 영어, 방글라데시 영어, 파키스탄 영어[13][14] 및 중동, 아시아, 이슬람 세계의 언어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그릴에 구운 고기 요리를 의미한다.
터키에서는 굽는 방식 외에도 끓이거나, 튀기거나, 찌는 고기 요리도 케밥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이라크에서는 코프타를 꼬치에 감아 구운 것을 카바브라고 부르고, 사각형으로 자른 고기를 꼬치에 꽂아 구운 것을 티카 (تكة|tikkahar)라고 부른다.
터키 등 이슬람교 국가에서는 주로 양고기, 쇠고기, 닭고기를 케밥에 사용하며, 생선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힌두교도가 많은 인도에서는 무슬림 전용 식당 등 일부를 제외하고 시크 커밥에 쇠고기가 사용되는 일은 없고, 주로 양고기나 염소고기가 사용된다.
도네르 케밥(, Döner Kabaptr)은 수직 꼬치에 양념한 고기를 위에서부터 꽂아 쌓고, 수평으로 회전시키면서 세로형 그릴의 열로 바깥쪽부터 구워, 구워진 부분부터 차례대로 고기를 깎아낸 것이다. 그리스 요리의 기로, 아랍 요리의 샤와르마와 기원이 같고 조리 과정도 거의 같다.
터키에서는 양고기, 닭고기가 주로 사용되며, 레스토랑에서는 접시에 담아 제공되지만, 노점에서는 빵에 샐러드와 함께 끼워 먹는 방식으로 테이크 아웃 메뉴가 되고 있다.
구미 및 일본에서는, 터키에서의 도네르 케밥의 먹는 방법의 한 예인, 빵에 야채 샐러드와 함께 끼워 먹는 방법이 널리 퍼져 있으며, 그리스식으로 기로라고 불리는 경우도 많다. 터키에서는 프랑스 빵과 같은 막대 모양의 빵을 사용하지만, 해외에서는 둥근 빵을 둘로 쪼개 샌드위치처럼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며, 도네르 샌드 등으로 불린다. 양고기 대신 쇠고기가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대만에서는 샤와르마를 음역한 ""(샤웨이마, )라는 이름으로 닭고기 도네르 케밥과 양배추 등을 길쭉한 빵에 끼운 것을 판매하는 노점이 늘고 있다. 중국에서는 "터키식 구이 고기"라는 이름으로 도네르 케밥과 양배추 등을 중국식 구운 빵에 끼운 것을 판매하는 노점이 있다.
케밥과 샐러드를 빵에 끼운 뒤, 칠리 소스나 하리사 등의 소스를 뿌리는 경우가 있다.
4. 1. 꼬치 케밥
꼬치 케밥은 꼬치에 꿰어 굽는 케밥으로, 다양한 종류가 있다.
터키에서는 꼬치구이 케밥 외에도, 요구르트를 곁들여 먹는 이스켄데르 케밥이나, 양념한 잘게 썬 고기를 겹쳐 덩어리로 만들어 회전시키면서 구워 익은 표면부터 조금씩 깎아 제공하는 되네르 케밥 등 다양한 종류의 구이 요리를 케밥이라고 총칭한다.[73]
이란의 국민 음식은 깍둑썰기한 안심 또는 등심을 꼬치에 꽂아 구운 케밥-에-바르그(کباب برک|kabāb-e bargfa) 또는 양념한 다진 고기를 꼬치에 감아 구운 쿠비데 케밥(کباب کوبیده|kabāb kūbīdefa)을 체로우(جلو|chelowfa)라는 흰색 필라프 위에 올려 먹는 '체로우 케밥'이다.
꼬치구이 케밥의 표준적인 크기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어, 일본의 야키토리 정도인 20cm 정도의 꼬치를 사용하는 지역부터, 40cm 정도의 칼과 같은 꼬치를 사용하는 지역도 있으며, 쿠차 현의 1m에 가까운 거대한 꼬치를 사용하는 예까지 있다.
4. 2. 기타 케밥
샤미 케밥은 다진 고기를 둥글납작하게 빚어 구운 인도, 파키스탄식 케밥이다. 차플리 케밥은 샌들 모양의 파키스탄식 케밥이다. 체바피는 껍질 없는 소시지 형태의 발칸반도 케밥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세르비아의 대표 음식으로 여겨진다.[59][60][61][62] 카잔 케밥은 냄비에 끓이는 터키식 케밥이며, 테스티 케밥은 항아리에 넣어 굽는 터키식 케밥이다.
5. 지역별 케밥
케밥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터키에서는 꼬치구이 케밥 외에도 요구르트를 곁들여 먹는 이스켄데르 케밥이나, 회전시키면서 구워 익은 표면부터 깎아 제공하는 도네르 케밥 등 다양한 종류의 구이 요리를 케밥이라고 총칭한다. 굽는 대신 끓이거나, 튀기거나, 찌는 고기 요리도 케밥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동 지역에서는 다진 고기를 뭉쳐 만든 햄버그 스테이크나 미트볼에 해당하는 고기 요리는 터키에서는 쾨프테(köftetr) 등으로 불리지만, 터키나 이란, 아프가니스탄에서는 다진 고기를 경단 모양으로 만들어 평평한 금속 꼬치에 감아 구운 것은 케밥 요리에 포함되며, 코프타 카바브라고 불린다. 이라크에서는 코프타를 꼬치에 감아 구운 것을 카바브라고 부르고, 사각형으로 자른 고기를 꼬치에 꽂아 구운 것을 티카()라고 부른다.
터키 등 이슬람교 국가의 경우 케밥에는 주로 양고기, 쇠고기, 닭고기가 사용되며, 생선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힌두교도가 많은 인도에서는 무슬림 전용 식당 등 일부를 제외하고 시크 커밥에 쇠고기가 사용되는 일은 없고, 주로 양고기나 염소고기가 사용된다.
이란의 국민 음식은 깍둑썰기한 안심 또는 등심을 꼬치에 꽂아 구운 캐밥-에-바르그(کباب برک|kabāb-e bargfa) 또는 양념한 다진 고기를 꼬치에 감아 구운 케밥 쿠비데(کباب کوبیده|kabāb kūbīdefa)를 체로우 (جلو|chelowfa)라는 흰색 필라프 위에 올려 먹는 '체로우 케밥'이다.
꼬치구이 케밥의 표준적인 크기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어, 일본의 야키토리 정도인 20cm 정도의 꼬치를 사용하는 지역부터, 40cm 정도의 칼과 같은 꼬치를 사용하는 지역도 있으며, 쿠차 현의 1m에 가까운 거대한 꼬치를 사용하는 예까지 있다.
러시아에서는 1870년에 모스크바에서 처음으로 시시 케밥 스타일의 "샤슬릭"을 판매하는 레스토랑이 문을 열었다. 초기 샤슬릭은 주로 코카서스 지방 스타일의 케밥이었으며, 이후에는 중앙 아시아 스타일의 케밥도 샤슬릭으로 알려지면서, 소련 시대에 전역으로 퍼졌다.
미국에서는 카바브(종종 "kabob"로 표기)라고 하면 오히려 꼬치 구이 요리로 인식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비프 카바브, 치킨 카바브 외에도 베지터블 카바브라고 불리는 것까지 있으며, 피망, 양파, 주키니, 두부나 버섯 등이 주로 사용된다.
캐나다에서는 1970년대 초 무렵, 도네르 케밥에 에바 밀크, 설탕, 식초 등을 재료로 한 달콤하고 시큼한 소스를 뿌리고, 잘게 썬 토마토와 양파를 함께 피타와 같은 얇은 구운 빵에 말아 만든 "도네어 (donair)"가 노바스코샤주핼리팩스에서 등장한 이후, 전국으로 보급되었다.
브라질에서도 제1차 세계 대전 전후에 시리아 등에서 이주한 터키인들이 들여온 것이 보급되었다. 역시 핫도그 빵 모양의 긴 빵에 칼집을 내어 모료(Molhopt)라고 불리는 잘게 썬 야채 샐러드와 함께 고기를 끼워 넣어 오렌지주스와 함께 제공한다.
아래는 지역별 케밥의 종류를 나타낸 표이다.
지역 | 케밥 종류 |
---|---|
러시아 | 캐바브(кәбабtt), 케바브(кебабba), 케바프(кебабru) |
방글라데시 | 카바브(কাবাবbn) |
아르메니아 | 카바브(քաբաբhy), 캬바브(քյաբաբhy) |
아제르바이잔 | 카바브(kababaz) |
아프가니스탄 | 카바브(l2=ps|کبابprs) |
우즈베키스탄 | 카보브(kabobuz) |
이라크 | 카밥(كبابar) |
이란 | 카바브(کبابfa, کابابaz) |
인도 | 카바브(कबाबhi), कबाबmr, കബാബ്ml, কাবাবbn, کبابur, ಕಬಾಬ್kn, ਕਬਾਬpa) |
조지아 | 카바비(ქაბაბიka) |
중국 | 카와프(كاۋاپug), 카와푸, 카오촨 |
카자흐스탄 | 캐와프(кәуапkk) |
키르기스스탄 | 케베프(кебепky) |
키프로스 | 케바프(kebaptr) |
타지키스탄 | 카보브(кабобtg) |
투르크메니스탄 | 케보브(kebobtk) |
튀르키예 | 케바프(kebaptr), 케바브(kebabku) |
파키스탄 | 카바브(l2=pa|کبابur) |
아랍 에미리트 | 케바프(كيبافar) |
5. 1. 동아시아
중국에서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위구르족에게서 유래한 촨(카와프)이 대표적이다. 촨은 중국 이슬람 요리에서 인기 있는 음식이었으나, 이후 전국으로 퍼져나가 인기 있는 길거리 음식이 되었다.[13][14]가장 전통적인 촨은 양고기를 사용하지만, 닭고기, 쇠고기, 돼지고기, 해산물 등 다른 종류의 고기도 사용될 수 있다. 작은 고기 조각을 꼬치에 꿰어 굽거나 튀기며, "쯔란"이라고 불리는 커민, 고추, 참깨, 참기름 등을 향신료와 조미료로 사용한다.
5. 2. 유럽
그리스의 길거리 음식 역사는 고대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오늘날 알려진 상징적인 기로스와 수블라키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생겨났다. 1950년대에 터키와 중동에서 온 그리스 난민들에 의해 아테네에 소개된 기로스는 원래 단순히 '되네르 케밥'으로 알려졌다.[15] 피타 빵에 롤로 싸서 샌드위치로 제공되거나, 감자튀김, 다양한 샐러드, 차지키와 같은 소스와 함께 접시에 담겨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1960년대 후반에는 상인들이 터키의 시시 케밥과 유사하지만 보통 돼지고기로 만든 수블라키로 같은 스타일의 요리를 판매하기 시작했다.[15]동시에 그리스어 단어 '기로스'가 '되네르 케밥'을 대체했고, 이 요리의 그리스식 스타일이 퍼져 특히 북미와 세계 여러 지역에서 인기를 얻게 되었다.[16]
그리스의 다른 지역과는 달리, 아테네에서는 두 종류의 샌드위치를 모두 '수블라키'라고 부르며, 꼬치에 꿴 고기는 '칼라마키'라고 부른다.
기로스가 의심할 여지 없이 중동에서 유래되었지만, 현대 수블라키가 터키 요리를 통해 그리스에 전해져 시시 케밥의 그리스 스타일로 간주해야 하는지, 아니면 기원전 17세기 미노아 문명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그리스 전통의 현대적 부활인지에 대한 문제는[17] 적어도 그리스인과 터키인 사이에서는 때때로 격렬한 논쟁의 주제가 된다.[18] 영어 사용자는 수블라키 꼬치를 케밥이라고 부를 수 있지만,[19] 그리스에서는 실제로 그렇게 부르지 않는다.

되네르 케밥은 19세기 터키에서 유래했지만, 20세기 후반에 들어서야 서양에서 널리 인기를 얻었다. 여러 겹의 고기를 큰 수직 회전 꼬챙이에 쌓아 올린 후, 표면을 점차 익혀서 썰어낸다. 피타나 다른 플랫 브레드로 만든 샌드위치에 채소와 소스를 섞거나 토핑하여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정 지역 변종에는 치즈도 포함된다. 같은 방식으로 제공되지만 다른 고기나 치즈가 들어간 샌드위치도 때때로 "케밥"이라고 불릴 수 있다. 도네르 케밥은 유럽 대부분의 지역과 다른 많은 국가에서 판매되지만, 때로는 다른 이름이나 제공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독일에서는 터키 이민자들이 들여온 매우 인기 있는 샌드위치를 '도네르'라고 부르지만, 아랍 상점에서는 '샤와르마'를 판매한다.[71]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던 발칸 반도에서는 체바피 등으로 불리는 소형 햄버그 스테이크 형태의 케밥이 전통 요리로 자리 잡고 있다.
유럽의 기타 지역에서는 독일에 터키계 이민자들이 들여온 도네르 케밥이 일반화되어, 패스트푸드의 대표 메뉴가 될 정도로 널리 퍼졌다. 독일은 터키 이민자가 많아 케밥·케밥 피자·도네르 케밥을 레스토랑, 패스트푸드, 노점 등 다양한 형태로 판매하고 있으며, 맛도 좋고 가격도 저렴하여 인기가 있다.[74] 이는 맥도날드나 버거킹과 같은 외자 산업과 같은 로열티나 최저 임금의 제약 규정이 케밥 판매에는 전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프랑스에서는 도네르 케밥에 프렌치 프라이가 곁들여지며, 튀니지에서 유래한 고추 소스 하리사를 뿌려 먹는다. 가격은 대략 5EUR 전후이다.
헝가리는 14세기에 터키의 지배를 받은 관계가 있어, 거주 터키인에 의한 도네르 케밥 가게가 많다. 특히 "이스탄불 케밥"과 "스타 케밥"이라는 체인점이 유명하다. 헝가리어로는 gyros|기로슈hu라고 불린다. 빵에 끼워 넣는 것이 아니라 시리아나 레바논의 샤와르마처럼 랩으로 싸서 먹는다.
5. 3. 서아시아 및 북아프리카
이란의 케밥(کباب|카바브fa)은 여러 종류가 있으며, 찐 바스마티 또는 사프란을 넣은 페르시아 쌀과 함께 제공될 수 있는데, 이를 ''체로우 케밥''(چلوک밥|첼로 카바브fa)이라 부르며 이란의 국민 음식으로 여겨진다.[22] 이란에서 가장 흔하게 먹는 빵 종류인 라바시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구운 토마토와 쌀 옆에 버터를 얹는 것을 포함하여 기본적인 이란 식사 부속품과 함께 제공된다. 날달걀 노른자를 쌀 위에 올려 먹는 것은 오래된 북부 지방(아마도 테헤란에서 유래)의 전통이지만, 이는 선택 사항이며, 대부분의 식당에서는 특별히 요청하지 않는 한 이렇게 제공하지 않는다. 분말 수맥("소마그")도 제공되며, 쌀 위에 조금 뿌리거나 쌀과 고기 모두에 듬뿍 뿌려 취향에 따라 사용하며, 특히 붉은색(소고기/송아지/양고기) 고기와 함께 사용된다.
페르시아 식당에서는 케밥 바르그 1개와 케밥 쿠비데 1개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술타니''라고 부르며, 이는 "술탄의 향연"을 의미한다. 케밥 바르그 1개, 주제 케밥 1개, 케밥 쿠비데를 함께 제공하는 것은 ''샤 아바시''라고 부르며, 이는 "샤 아바스의 식사"를 의미한다. 페르시아 케밥과 함께 즐겨 마시는 전통 음료는 두그로, 민트와 소금을 넣은 시큼한 요구르트 음료이다.
오래된 바자르 전통에서는 쌀(주석 뚜껑으로 덮여 있음)과 반찬이 먼저 제공되고, 이어서 케밥이 즉시 제공된다. 케밥은 웨이터가 테이블로 가져오는데, 웨이터는 왼손에는 꼬챙이 여러 개를, 오른손에는 납작한 빵 한 조각(일반적으로 난-에 라바시)을 들고 있다. 꼬챙이는 쌀 위에 직접 올려놓고, 빵으로 케밥을 쌀에 대고 누른 채 꼬챙이를 재빨리 빼낸다. 가장 흔한 두 가지 케밥인 바르그와 쿠비데에는 항상 꼬챙이 두 개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바자르 케밥 식당에서는 이 두 가지 종류만 제공하지만, 예외도 있다.
이란 아제르바이잔에서는 "비나브(또는 보나브) 케밥"이 큰 크기로 인해 이란 아제르바이잔 현지 요리에서 매우 유명하다.[23] 동아제르바이잔주 비나브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케밥과 다른 종류(예: 쉬시릭, 쿠비데, 베르게, 겔린 등)는 단독으로 제공되거나 쌀과 신선한 샐러드를 곁들여 제공될 수 있다. 이 지역의 케밥은 일반적으로 요구르트, 뜨거운 빵, 토마토, 양파, 파슬리, 파프리카-소금, 타라곤과 함께 제공된다.

'''케밥 쿠비데''' (کباب کوبیده|카바브 코비데fa)는 '''''쿠비데'''''(کوبیده|코비데fa)로, 양고기, 소고기 또는 닭고기를 갈아 만든 이란 다진 고기 케밥이며, 종종 파슬리와 다진 양파를 섞어서 만든다. 케밥 쿠비데에는 다진 고기, 양파, 소금, 후추, 강황, 양념이 들어간다. 이 재료들을 섞어 혼합물이 부드럽고 끈적해질 때까지 섞는다. 혼합물이 서로 달라붙도록 돕기 위해 계란 1개를 넣는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꼬챙이에 두른다.
'''케밥-에 바르그''' (کباب برگ|카바브 바르그fa)는 페르시아 스타일의 바비큐 양고기, 닭고기 또는 소고기 케밥 요리이다. ''케밥 바르그''의 주요 재료는 소고기 안심, 양고기 정강이 또는 닭가슴살, 양파, 올리브 오일이다. 마리네이드는 올리브 오일 반 컵, 양파 3개, 마늘, 반 티스푼의 사프란, 소금, 후추를 섞어 준비한다. 양고기 1kg을 두께 1cm, 길이 4~5cm로 썰어 준비한다. 냉장고에서 하룻밤 재워두어야 하며, 용기를 덮어두어야 한다. 다음 날, 양고기를 길고 얇은 금속 꼬챙이에 꿴다. 마리네이드를 묻히고 각 면에서 5~10분 동안 바비큐한다.
'''주제 케밥''' (جوجهکباب|주제 카바브fa)은 다진 양파와 레몬 주스에 사프란을 넣어 마리네이드한 닭고기 조각을 불에 구운 것이다. 때로는 구운 토마토와 고추와 함께 제공된다. 주제 케밥은 가장 인기 있는 페르시아 요리 중 하나이다.
'''케밥 바크티아리'''는 같은 꼬챙이에 주제 케밥(닭고기 케밥)과 케밥 바르그(소고기 또는 양고기)를 함께 꽂은 것이다. 그 이름은 이란의 바크티아리 지역에서 유래되었다.
'''케밥 겐제'''는 첸제(کنجهک밥|칸제 카바브fa, چنجه|첸제fa)라고도 하며, 전통적으로 양념한 양고기 덩어리로 만든 케밥이다. 일반적으로 구운 토마토, 쌀 또는 빵과 함께 제공된다.[24]
케밥 토르시는 길란주와 마잔다란주의 북부 지역에서 유래한 이란 케밥으로, 석류를 기본으로 한 양념으로 유명하다.[25]
케밥 라리, 케밥 타베이(팬 케밥), 단데 케밥, 케밥 샨디즈, 쉬시릭 케밥, 케밥 가프가지, 케밥 술타니, 케밥 바지리, 케밥 로그메, 타스 케밥, 마히 케밥(생선 케밥) 및 케밥 제가르(양 간 케밥)는 이란에서 인기 있는 다른 종류의 페르시아 케밥들이다.
튀르키예의 케밥은 매우 다양하다.




- '''''아다나 케밥'''''(또는 키마 케밥)은 넓은 철제 꼬챙이에 얹어 숯불에 구운 긴 손으로 다진 고기 케밥이다. 아다나라는 튀르키예 도시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이 케밥은 일반적으로 "매운" 맛이 난다. 전통적인 아다나 케밥은 양고기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며, 뜨거운 숯불 위에서 조리되는 지방 함량이 높다. 제대로 된 아다나 케밥에는 다진 양고기, 붉은 피망(고추) 및 소금의 세 가지 재료만 사용된다.
- ''알리 파샤 케밥''(Ali Pasha kebab) – 토마토, 양파, 파슬리를 넣고 필로 반죽으로 감싼 깍둑썰기 양고기.[27]
- '''''알리나지크''''' – 다진 고기 케밥을 냄비에서 볶은 후 마늘, 요구르트, 가지를 넣는다.
- '''''베이티 케밥''''' – 다진 양고기 또는 쇠고기를 양념하여 꼬챙이에 구운 것으로, 종종 라바시에 싸서 토마토 소스와 요구르트를 얹어 제공되며, 이스탄불의 유명한 케밥 가게 [https://web.archive.org/web/20071009160857/http://www.beyti.com/homepage.htm 베이티]에서 유래되었으며 튀르키예의 대도시에서 특히 인기가 있다.
- ''보스탄 케밥'' – 양고기와 가지 캐서롤.[27]
- '''''부구 케밥''''' – 증기 케밥은 튀르키예 스튜로, 프라이팬이나 옹기 냄비에 요리한다. 냄비 뚜껑을 밀봉하여 고기를 자체 육즙으로 요리한다. 이 요리는 진주 양파, 마늘, 백리향 및 기타 향신료로 준비된다. 테키르다에서는 커민과 함께 제공되며, 이즈미르에서는 유향나무와 함께 제공된다.[28]
- '''''차으 케밥''''', '말뚝 케밥' – 양고기 큐브를 먼저 ''차으''(수평 회전 꼬치)에 굽고, 그 다음 꼬챙이에 굽는 요리로, 최근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에르주룸 지역의 특선 요리이다.
- '''''치에르 케밥''''', '간 케밥' - 일반적으로 얇게 썬 양파, 샐러드, 빵과 함께 먹는다.
- '''쵸케르트메 케밥''' – 요구르트와 감자를 곁들인 등심 쇠고기 케밥.
- '''쵸프 시쉬''', "작은 꼬치 케밥" – 에페소스 근처 셀추크와 게르메치크의 특선 요리로, 토마토와 마늘을 곁들인 뼈 없는 고기를 검은 후추, 백리향, 기름에 절여 나무 꼬챙이에 꽂아 만든다.[29]
- '''''되네르 케밥''''', 튀르키예어로 문자 그대로 "회전하는 케밥"은 양고기, 쇠고기 또는 닭고기를 얇게 썰어 수직으로 회전하는 꼬치에 천천히 구운 것이다. 중동의 샤와르마, 멕시코의 타코 알 파스토르, 그리스의 기로스는 모두 19세기에 부르사에서 발명된 튀르키예 되네르 케밥에서 파생되었다.[30] 독일식 되네르 케밥 샌드위치는 영어로 간단히 "케밥"이라고도 불리며, 1970년대에 베를린의 튀르키예 이민자들에 의해 소개되었으며, 독일 및 유럽 대부분 지역에서 가장 인기 있는 테이크 아웃 음식 중 하나가 되었다. 일반적으로 터키인들이 판매하며 독일에서 튀르키예-독일 특선 요리로 여겨진다.[31]
- ''훈카리 케밥'', '술탄 케밥' – 얇게 썬 양고기를 ''파틀란잔 베엔디''(가지 퓌레), 바질, 백리향 및 월계수 잎과 섞어 만든다.[27]
- '''''이스켄데르 케밥''''' – 요구르트, 토마토 소스, 버터를 곁들인 되네르 케밥으로, 부르사에서 유래되었다. 이 케밥은 1867년 이스켄데르 에펜디가 발명했다. 그는 차으 케밥에서 영감을 얻어 수평에서 수직으로 바꾸었다.
- ''이스림 케밥'', '찐 케밥' – 해바라기 오일에 절인 가지 케밥의 또 다른 버전으로 껍질이 없다.[27][29]
- '''''카으트 케밥''''' – 종이에 싸서 요리한 양고기.[29]
- '''''쿠주 시쉬''''' – 양념한 젖먹이 양고기로 준비한 시시.
- '''''마니사 케밥''''' – 이 마니사 지역의 케밥은 잘게 썬 피데 빵 위에 작고 평평한 크기의 시쉬 고기로, 버터로 맛을 내고 토마토, 마늘, 녹색 고추를 채운다.
- '''''파틀란잔 케밥''''', '가지 케밥' – 향신료로 양념한 특선 케밥 고기를 가지, 뜨거운 피데 빵, 요구르트 소스와 함께 제공한다.[29]
- '''''시쉬 케밥''''' – 고기 또는 생선 작은 큐브를 꼬챙이에 꿰어 구운 요리이다. ''시쉬''는 라고 발음하며, 튀르키예어로 "칼" 또는 "꼬챙이"를 의미한다.[32][33] 전통에 따르면, 이 요리는 중세 시대 군인들이 칼을 사용하여 야전 화재에서 고기를 구운 데서 유래되었다.[34][35] 튀르키예에서는 시쉬 케밥에 일반적으로 채소를 넣지 않지만, 별도의 꼬챙이에 구울 수 있다.[36] 양고기, 쇠고기, 닭고기 또는 생선으로 준비할 수 있지만 돼지고기는 사용하지 않는다. 폰토스 그리스인은 시쉬 케밥과 유사한 요리를 만들었지만 냄비에 조리했다.[37][38]
- ''타부크 시쉬'' – 요구르트에 절인 닭고기를 막대기에 구운 것.[29]
- '''''테스티 케밥''''', '토기 항아리 케밥' – 중앙 아나톨리아와 서부-중부 흑해 지역의 요리로, 불 위에서 점토 냄비나 항아리에 고기와 채소를 섞어 요리한다(''테스티''는 튀르키예어로 ''항아리''를 의미한다). 냄비는 빵 반죽이나 호일로 밀봉하고 제공할 때 깨뜨린다.[39]
5. 4. 남아시아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는 무굴 제국 시대의 영향을 받은 다양한 케밥 요리가 발달했다. 인도 요리, 파키스탄 요리, 방글라데시 요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케밥은 다음과 같다.[13][14]케밥 종류 | 설명 |
---|---|
탄두리 케밥 | |
나가 도너 케밥 | |
티카 케밥 | |
카티 케밥 (포로타 케밥, 케밥 랩 포함) | |
샤미 케밥(شامی کباب|샤미 카밥ur) | 다진 쇠고기 또는 닭고기, 간 병아리콩과 향신료를 섞어 만든 작은 패티이다. |
시크 케밥(سيخ کباب|시크 카밥ur) | 허브와 조미료를 섞은 쇠고기를 긴 꼬치에 꿰어 만든 것으로, 꼬치에서 이름을 따왔다.[9] |
툰데 케 카밥(ٹنڈے کے کباب|툰데 케 카밥ur) | |
번 케밥(بن کباب|번 카밥ur) | 쇠고기, 양고기, 생선 또는 닭고기를 넣은 독특한 케밥 샌드위치. |
샤토코라 도너 케밥 | |
차플리 케밥(چپلی کباب|차플리 카밥ur) | 향신료를 넣은 톡 쏘는 맛의 둥근 케밥으로 다진 쇠고기로 만들며 동물성 지방으로 조리한다. 카이베르 파크툰크와의 페샤와르 특산품. |
비하리 케밥(بہاری کباب|비하리 카밥ur) | 허브와 조미료를 섞은 쇠고기를 꼬치에 꿰어 만든 것이다. |
칼미 케밥(کلمی کباب|칼미 카밥ur) | |
쉬쉬 케밥(شیش کباب|쉬쉬 카밥ur) | |
부라 케밥 | 염소 또는 양고기 찹으로 만들며, 향신료로 넉넉하게 절임하고 숯불에 구운 요리이다. |
방글라데시에서는 케밥(벵골어: কাবাব, "Kabab")의 다양한 변형을 만드는데, 옛 무굴 제국의 벵골 수바 수도였던 다카에서는 다양한 파키스탄 및 인도식 요리가 만들어지기 시작했고, 그중에는 케밥도 있었다. 방글라데시 요리에서 대부분의 케밥은 생선이나 소고기를 사용하여 만든다.
오늘날 인도 케밥은 대부분 무굴 요리의 영향을 받아 유래되었다.[9]
파키스탄에서 케밥은 무굴 요리의 영향을 받아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며, 현대 파키스탄 요리에 영향을 미쳤다. 시크, 차플리, 샤미 등 다양한 종류의 케밥과 구운 및 숯불에 구운 고기가 있다. 파키스탄은 주로 무슬림 국가이므로 돼지고기는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소고기, 닭고기, 양고기, 생선, 때로는 물소와 같은 고기가 케밥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5. 5. 동남아시아
''사테''는 양념된 꼬챙이에 꿰어 구운 고기 케밥으로, 소스와 함께 제공된다.[41]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등 동남아시아의 음식이다.[42]사테는 깍둑썰기하거나 얇게 썬 닭고기, 염소고기, 양고기, 쇠고기, 돼지고기, 생선, 기타 고기 또는 두부로 구성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코코넛 야자 잎의 중앙 갈비에서 나온 꼬챙이를 사용하지만, 대나무 꼬챙이도 흔히 사용된다. 매운 양념을 곁들여 나무나 숯불 위에서 굽거나 바비큐를 한다. 다양한 소스와 함께 제공될 수 있지만, 대부분 간장과 땅콩 소스를 혼합한 것이다.[43] 따라서 땅콩 소스는 종종 사테 소스라고 불린다.[44]
사테는 자바의 노점상들이 인도 케밥을 독특하게 변형하여 개발했다.[42][45] 사테의 도입과 더불어 염소고기나 양고기를 사용한 ''통솅''과 ''굴라이 캄빙''과 같은 현재 상징적인 요리들은 18세기부터 시작된 인도네시아계 인도인과 인도네시아계 아랍인 상인과 이민자들의 유입과 일치했다.[46] 이 요리는 인도네시아 거의 모든 곳에서 구할 수 있으며, 이곳에서 국민 음식이 되었다.[47][48][49] 스리랑카에서는 스리랑카 말레이인의 영향으로 현지 식단의 주식이 되었다.[50]
5. 6. 아프리카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소사티는 꼬치에 구운 고기(보통 양고기나 면양고기)로 만든 전통 음식이다.[51] 사테(꼬치에 꿴 고기)와 매운 소스를 의미하는 '소스'에서 유래되었으며, 케이프 말레이에서 기원했다. 소사티 조리법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양고기, 쇠고기, 닭고기, 말린 살구, 적양파, 혼합 고추 등을 사용한다.서아프리카의 수야는 나이지리아에서 유래한 매운 케밥으로, 나이지리아, 카메룬, 니제르, 가나, 수단 일부 지역(아가셰라고 불림)의 하우사족이 전통적으로 준비한다.[52][53]
킨킨가는 서아프리카에서 흔하고 인기 있는 음식이다.[54][55] 가나 요리로 하우사 수야 케밥과 매우 유사하거나 동일하며, '소야, 칭가, 치칭가, 치레 아가시, 차창가' 또는 '탱코라'라고도 불린다.[56][57][58]
6. 서구 문화 속 케밥
영어권 국가에서는 시시 케밥과 되네르 케밥이 주류를 이룬다.[12] 미국에서는 시시 케밥을 주로 카밥(Kabob)이라고 부르며, 야채를 함께 꽂는 경우가 많다. 캐나다에서는 도네어라는 변형된 케밥이 인기 있는데, 이는 무당연유, 설탕, 식초 등을 재료로 한 달콤하고 시큼한 소스를 뿌리고, 잘게 썬 토마토와 양파를 함께 피타와 같은 얇은 빵에 말아 만든 것이다. 이탈리아에서는 케밥 가게 금지 논란이 일기도 했는데, 이는 이탈리아 요리 문화를 보존하기 위한 조치였다.[66][67]
7. 일본에서의 케밥
일본에서는 인도 요리의 시크 케밥이 "시시 카바부"라는 이름으로 먼저 소개되었다. 이후 터키 요리의 되네르 케밥이 패스트 푸드로 인기를 얻으면서, 재일 터키인이 많은 수도권, 게이한신, 주쿄권 등의 도시를 중심으로 케밥 가게, 포장마차, 이동 판매 차량이 늘어나고 있다. 축제[76] 포장마차에서도 케밥을 판매한다.
일본에서는 양고기를 먹는 습관이 없고 구하기도 어려워, 대부분 닭고기나 쇠고기를 사용한다.[77] 돼지고기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쇠고기나 닭고기라도 이슬람교도가 가공한 것을 사용한다. 일본인의 입맛에 맞춰 향신료를 적게 사용하고, 마요네즈 베이스의 소스를 뿌리는 경우가 많다.[77]
케밥 샌드는 피타를 반으로 잘라 만든 주머니 모양에 쇠고기와 양파, 토마토 등의 채소를 넣고 소스를 뿌린 후 종이 봉투에 담아 제공한다. 규동처럼 밥 위에 케밥을 올린 '케밥 덮밥'도 등장했다.[77]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Jewish Food
https://books.google[...]
HMH
2010-11-17
[2]
웹사이트
kebab – definition of kebab in English
https://en.oxforddic[...]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8-03
[3]
서적
Essential Turkish Cuisine
https://books.google[...]
Abrams
2015-10-06
[4]
웹사이트
Nişanyan Sevan, Sözlerin Soyağacı, Çağdaş Türkçenin Etimolojik Sözlüğü
http://www.nisanyans[...]
2013-07-06
[5]
웹사이트
Appendix II – Semitic Roots
https://www.ahdictio[...]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6-06-05
[6]
서적
Hamito-Semitic Etymological Dictionary: Materials for a Reconstruction
https://archive.org/[...]
E. J. Brill
[7]
서적
Annals of the caliphs' kitchens: Ibn Sayyār al-Warrāq's tenth-century Baghdadi cookbook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8]
서적
A Historical Dictionary of Indian Food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0]
간행물
Vocabularies of Middle Eastern Food
https://books.google[...]
Prospect Books
2010
[11]
웹사이트
World's Second-Largest Döner Kebap Chain Headed to Houston
https://www.houstoni[...]
2020-06-19
[12]
서적
Encyclopedia of Jewish Food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13]
문서
cabob
[14]
웹사이트
Kebab
http://dictionary.re[...]
2016-02-23
[15]
서적
Street Foods
Karger Medical and Scientific Publishers
[16]
뉴스
The Gyro, a Greek Sandwich, Selling Like Hot Dogs
http://www.foodtimel[...]
2016-02-22
[17]
웹사이트
Prehistoric Gastronomy
http://www.greece-is[...]
2016-02-21
[18]
서적
Studies in Etymology and Etiology With Emphasis on Germanic, Jewish, Romance and Slav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Universidad de Alicante
[19]
웹사이트
Souvlaki (Wicked kebabs)
http://www.jamieoliv[...]
2016-02-22
[20]
서적
Food Cultures of the World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
[21]
서적
Armenian Food: Fact, Fiction & Folklore
https://books.google[...]
Yerkir Publishing
2006
[22]
간행물
Chellow Kabab – The National Dish of Iran
https://books.google[...]
Prospect Books
2018-04-21
[23]
웹사이트
5,000 Bonab Kebabs per Day
http://financialtrib[...]
2016-06-13
[24]
서적
From a Persian kitchen : fresh discoveries in Iranian cooking
https://books.google[...]
I.B.Tauris
[25]
웹사이트
Kabab Torsh
https://thecaspianch[...]
2019-05-21
[26]
서적
Aleppo: The Rise and Fall of Syria's Great Merchant Cit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6-02-28
[27]
서적
Turkish Cookery
[28]
웹사이트
Kebab aux petits oignons
http://www.kultur.go[...]
Turkish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2015-01-14
[29]
서적
The Complete Book of Turkish Cooking
[30]
서적
Cambridge World History of Food
Cambridge
[31]
뉴스
Doner kebab 'inventor' Kadir Nurman dies in Berlin
https://www.bbc.co.u[...]
BBC
2013-11-01
[32]
서적
Food culture in Russia and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33]
웹사이트
Internet dictionary
http://www.tdk.gov.t[...]
Turkish Language Association
2013-01-14
[34]
서적
Food Around the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11-01
[35]
서적
Middle Eastern Kitchen
https://books.google[...]
Hippocrene Books
[36]
서적
The Barbecue! Bible 10th Anniversary Edition
https://books.google[...]
Workman Publishing Company
2008-05-28
[37]
웹사이트
Pontian pork skewers with atzika and tsatsibeli
https://www.pontosne[...]
Pontos News
2020-04-17
[38]
서적
The Rough Guide to Europe on a Budget
Rough Guides
2017
[39]
웹사이트
Testi kebab: a specialty of Cappadocia
http://zelvehotel-re[...]
[40]
서적
Jiggs Kalra's Classic Cooking Of Avadh
https://books.google[...]
Allied Publishers
[41]
웹사이트
Grilled Beef Satay
http://www.foodrefer[...]
Food Reference.com
2010-07-06
[42]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OUP Oxford
2006
[43]
서적
The Travel-the-world Cookbook
https://archive.org/[...]
Good Year Books
[44]
웹사이트
Peanut butter and satay sauce – recipe
https://www.theguard[...]
2014-05-02
[45]
서적
Street Food Around the World: An Encyclopedia of Food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ABC-CLIO
[46]
뉴스
Sepotong Sejarah Autentik Indonesia dalam Semangkuk Tongseng
http://www.cnnindone[...]
2016-08-30
[47]
뉴스
40 Indonesian foods we can't live without
http://edition.cnn.c[...]
2016-02-25
[48]
서적
Indonesian Regional Food and Cookery By Sri Owen
https://books.google[...]
Frances Lincoln
2010-07-07
[49]
웹사이트
40 of Indonesia's best dishes
http://travel.cnn.co[...]
CNN Travel
2014-07-06
[50]
서적
Food of Sri Lanka
https://books.google[...]
Tuttle
2001-04-01
[51]
서적
Planet Barbecue!: 309 Recipes, 60 Countries
https://books.google[...]
Workman Publishing Company
2017-05-26
[52]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Suya, West Africa's Answer to Shish Kebab
https://theculturetr[...]
Culture Trip
2021-08-24
[53]
웹사이트
THE MICROBIAL STATUS OF COMMERCIAL 'SUYA' MEAT PRODUCTS IN EKPOMA, EDO, NIGERIA
http://www.arpjourna[...]
2014-04-05
[54]
서적
Planet Barbecue!: 309 Recipes, 60 Countries
https://books.google[...]
Workman Publishing Company
2016-05-23
[55]
서적
The Barbecue! Bible
https://books.google[...]
Workman Pub.
2016-05-23
[56]
서적
Food culture in sub-Saharan Africa
Greenwood Press
2005
[57]
서적
Ghanaianisms : a glossary
Ghana Universities Press
2003
[58]
서적
Zoe's Ghana Kitchen
Hachette
[59]
웹사이트
Bosnia and Herzegovina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09-07-27
[60]
서적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s://books.google[...]
Encyclopædia Britannica
[61]
서적
Countries and Their Cultures: Saint Kitts and Nevis to Zimbabwe
https://books.google[...]
Macmillan Reference USA
[62]
웹사이트
Serbian cuisine
http://www.travelser[...]
TravelSerbia
2010-08-09
[63]
웹사이트
Reteta originala de mititei de la Caru cu Bere
http://www.cevabun.r[...]
2018-01-14
[64]
웹사이트
kebab Definition in the Cambridge English Dictionary
https://dictionary.c[...]
2016-02-23
[65]
서적
Larousse Gastronomique
Clarkson Potter
[6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European Islam
[67]
뉴스
Italian town's kebab ban enrages migrant community
https://www.dw.com/e[...]
2011-08-07
[68]
OED2
shish kebab
[69]
웹사이트
Kabob - Dehkhoda
https://vajehyab.com[...]
2023-08-04
[70]
웹사이트
Shashlik – definition of shashlik by The Free Dictionary
http://www.thefreedi[...]
2016-02-23
[71]
뉴스
Doner kebab becomes Germany's favorite fast food
http://usatoday30.us[...]
USAToday
2010-04-11
[72]
서적
Delights from the Garden of Eden
First Books Library
[73]
웹사이트
タンドリーチキンの発祥とインド料理
https://www.nipponha[...]
日本ハム
2017-02-26
[74]
웹사이트
ドイツで圧倒的な存在感!人気のトルコ料理ケバブとは {{!}} ドイツドットウェブ
http://infodich.com/[...]
2016-06-24
[75]
서적
The Art of Russian Cuisine
Collier Books
[76]
웹사이트
11-ケバブ1112.JPG (217x162 pixels)
http://www.keiyousen[...]
2016-06-24
[77]
웹사이트
ケバブ丼を食べました
https://tabelog.com/[...]
tabelog.com
2021-03-09
[78]
웹인용
케밥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23-01-08
[79]
서적
Annals of the Caliphs' Kitchens: Ibn Sayyār al-Warrāq's Tenth-Century Baghdadi Cookbook
https://books.google[...]
Bri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