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냉전 시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탈냉전 시대는 냉전의 종식 이후 국제 질서와 사회 전반에 걸쳐 나타난 변화를 의미한다. 냉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의 이념 대립으로 시작되어, 냉전 종식 이후 민주주의와 자본주의가 확산되고 국제 협력이 증진되는 등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새로운 갈등과 함께 기술 발전, 사회문화적 영향 등 다양한 유산을 남겼으며, 특히 한반도는 냉전의 영향을 받아 분단과 한국 전쟁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현대사 - 후기 근대성
후기 근대성은 사회학자들에 의해 논의되는 개념으로, 현대 사회가 근대성이 심화된 단계이며 유동성, 불확실성, 개인화, 성찰적 성찰성 증대, 위험 인식 등의 특징을 보이며 개인의 정체성, 자아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 현대사 - 역사의 종언
프랜시스 후쿠야마는 자유 민주주의가 이데올로기 투쟁에서 윤리적, 정치적, 경제적 우위를 점하며 모든 국가의 최종 정부 형태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며, 민주 국가의 유연성과 방어력을 근거로 소련 붕괴 후 "역사의 종언"을 선언했으나 다양한 비판을 받았다. - 근대사 - 근대성
근대성은 'modernus'에서 유래한 복합적인 개념으로, 계몽주의 시대의 결과인 사회적 조건과 과정을 지칭하며 산업화, 세속화, 합리화 등의 특징을 보이고 확실성의 상실과 이데올로기의 시대로 특징지어지며 종교적 헤게모니로부터의 해방과 과학 기술의 발전을 포함한다. - 근대사 - 기계시대
기계 시대는 188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자동화 기술 발달과 기계주의가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쳐 대량 생산, 소비주의, 노동 문제, 민주주의 발전, 환경 문제, 국제 갈등, 모더니즘 예술 등을 특징으로 하는 시기이다. - 냉전의 여파 - 유고슬라비아 전쟁
유고슬라비아 전쟁은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의 해체 과정에서 발발한 일련의 무력 분쟁으로, 민족주의, 세르비아의 지배 시도, 국제 사회의 개입과 무관심 속에서 대규모 인명 피해, 전쟁 범죄, 유고슬라비아 분열, 유럽 역사상 가장 큰 난민 위기를 초래했다. - 냉전의 여파 - 구소련 국가
구소련 국가는 1991년 소련 해체 후 독립한 15개 국가를 지칭하며, 정치·경제·사회·문화적 다양성과 함께 민주주의 정착, 시장경제 전환, 러시아 영향력, 지역 분쟁 등 다양한 과제와 지정학적 요소에 직면해 있다.
탈냉전 시대 | |
---|---|
개요 | |
시기 | 냉전 종식 이후 ~ 현재 |
특징 | 미국의 헤게모니 부상 탈냉전 시대 세계화 심화 지역 분쟁 및 테러 증가 다극 체제로의 전환 모색 포스트모더니즘 확산 |
주요 사건 및 변화 | |
소련 붕괴 | 소련 해체 및 동유럽 공산 정권 붕괴 (1991년) |
미국의 역할 변화 | 유일 초강대국으로 부상 국제 질서 주도 테러와의 전쟁 선포 |
지역 분쟁 증가 | 걸프 전쟁 (1990년~1991년) 보스니아 전쟁 (1992년~1995년) 코소보 전쟁 (1998년~1999년) 9.11 테러 (2001년)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 이라크 전쟁 (2003년~2011년) 아랍의 봄 (2010년~2012년) 시리아 내전 (2011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014년~) |
경제적 변화 | 세계화 심화 자유 무역 확대 정보 기술 발전 금융 위기 발생 (2008년) |
새로운 위협 | 국제 테러 증가 사이버 공격 증가 기후 변화 심각화 대량살상무기 확산 우려 |
국제 관계 변화 | 유럽 연합 확대 중국의 부상 다극 체제로의 전환 모색 |
주요 특징 상세 설명 | |
미국의 헤게모니 | 냉전 종식 후 미국은 정치, 경제, 군사적으로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가 되었으며, 국제 질서를 주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탈냉전 시대 | 냉전 시대의 이념 대립이 사라지고, 새로운 국제 질서가 형성되는 시기이다. |
세계화 심화 | 국가 간의 교류와 의존이 심화되고,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더욱 긴밀하게 연결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
지역 분쟁 및 테러 증가 | 냉전 시대에 억눌렸던 민족, 종교, 이념 간의 갈등이 표출되면서 지역 분쟁이 증가하고, 국제 테러가 확산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다극 체제로의 전환 모색 | 미국의 헤게모니에 대한 견제와 균형을 위해 유럽 연합, 중국, 러시아, 인도 등 새로운 강대국들이 부상하면서 다극 체제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
포스트모더니즘 확산 | 철학, 예술,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이 확산되면서 기존의 가치관과 질서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나타나고 있다. |
참고 자료 | |
스탠포드 대학교 CDDRL | A Tale of Two Worlds: Core and Periphery in the Post-Cold War Era - CDDRL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postmodernism (philosophy) - Encyclopedia Britannica |
2. 냉전의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 이탈리아 파시즘, 쇼와 국가주의의 위협에 맞서 서방 연합국과 소련은 필요에 의해 동맹을 맺었다.[1] 추축국이 패망한 후, 소련과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두 국가, 즉 초강대국으로 부상했다.[1] 그러나 최근 동맹이었던 두 국가 간에는 지정학적 및 이념적 차이가 근본적으로 존재했고, 이는 상호 불신으로 이어졌다.
2. 1.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
제2차 세계 대전은 유럽과 아시아의 많은 지역을 황폐화시켰고, 전통적인 강대국들의 세력을 약화시켰다. 소련과 미국은 전쟁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전후 세계 질서 재편을 주도하게 되었다.[1] 특히, 한국은 일본 제국의 패망 이후 독립을 되찾았지만, 미국과 소련의 영향력 아래 남과 북으로 분단되는 아픔을 겪었다.2. 2. 이념 대립
미국은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대표하는 국가로, 개인의 자유와 시장 경제를 중시했다. 반면, 소련은 공산주의를 표방하며, 국가 주도의 계획 경제와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추구했다. 이러한 이념적 차이는 양측의 대외 정책과 국제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1]3. 냉전의 전개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미국과 소련은 세계의 양대 초강대국으로 떠올랐다. 두 국가는 이념과 지정학적 차이로 인해 상호 불신했고, 이는 1947년부터 1991년까지 냉전으로 이어졌다.[1] 냉전은 유럽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지만, 아시아, 아프리카, 중동 등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냉전은 소련 붕괴로 종식되었으나, 1989년 혁명이나 1987년 최초의 핵 군축 조약 서명을 냉전 종식의 기점으로 보기도 한다.
3. 1. 유럽에서의 냉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추축국이 패배하면서 소련과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두 국가, 즉 초강대국으로 불렸다.[1] 그러나 두 연방은 지정학적 및 이념적 차이로 인해 상호 의심을 품게 되었고, 이는 1947년부터 1991년까지 지속된 냉전으로 이어졌다. 냉전은 소련 붕괴로 끝났지만, 일부 역사가들은 1989년 혁명이나 1987년 세계 최초의 핵 군축 조약 서명을 냉전의 종말로 보기도 한다.3. 2. 아시아에서의 냉전
냉전의 영향은 아시아 지역에도 광범위하게 미쳤다. 특히 한국 전쟁은 냉전 시기 아시아에서 벌어진 가장 큰 규모의 전쟁으로, 미국과 소련의 대리전 양상을 띠었다. 이 전쟁은 한반도를 둘러싼 긴장을 고조시켰을 뿐만 아니라, 아시아 지역에서 냉전의 전선을 명확히 하는 결과를 가져왔다.중국의 공산화 역시 냉전의 중요한 사건 중 하나였다. 마오쩌둥이 이끄는 공산당이 국민당과의 내전에서 승리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하면서, 아시아의 세력 균형은 크게 변화하였다. 이는 미국에게 큰 위협으로 인식되었으며,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반공 정책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베트남 전쟁 또한 냉전의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사건이다.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사이의 전쟁은 단순한 내전을 넘어, 미국과 소련의 이념 대결의 장으로 확대되었다. 이 전쟁은 장기간 지속되면서 수많은 인명 피해를 낳았고, 국제 사회의 큰 주목을 받았다.
이 외에도 레이건 독트린으로 대표되는 미국의 적극적인 반공 정책은 아시아 각국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미국은 아시아 지역의 동맹국들을 지원하며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해 노력했고, 이는 아시아 국가들의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깊은 흔적을 남겼다.
3. 3. 기타 지역에서의 냉전
쿠바 미사일 위기는 핵전쟁의 위협을 고조시킨 사건으로, 냉전의 긴장감을 극대화했다. 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에서도 미국과 소련의 지원을 받는 국가들 간의 분쟁이 발생했다.[1]4. 냉전의 종식
1980년대 후반, 소련의 개혁, 개방 정책과 동구권 국가들의 민주화 운동은 냉전 종식의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3] 로널드 레이건은 미국의 재건에 초점을 맞춘 정책을 펼쳤고, 경제 회복과 새로운 외교 정책을 통해 미국은 소련과의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했다. 반면 소련 경제는 쇠퇴하고 군사력은 약화되어, 소비에트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는 경제 문제 해결을 위해 미국과의 긴장 완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2]
냉전 시대 동안, 서방 진영과 동구권의 정책과 기반 시설은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이념, 그리고 핵전쟁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냉전의 종식과 소련 붕괴는 전 세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냉전 시대에 무시되었던 문제에 대한 새로운 관심, 더 큰 국제 협력, 국제기구의 발전,[4] 그리고 민족주의 운동이 활발해졌다.[2] 유럽 연합은 확장 및 통합을 더욱 강화했으며, 권력은 G7에서 더 큰 G20 경제권으로 이동했다.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승리는 국제적인 지지를 얻고자 하는 국가들에게 중요한 가치로 여겨졌고, 많은 국가들이 민주화를 통해 이러한 가치를 채택하기 시작했다.[2] 몽골, 콩고, 알바니아, 유고슬라비아, 아프가니스탄, 앙골라 등 여러 국가에서 공산주의가 종식되었다. 2023년 현재, 전 세계에서 공산주의 국가로 통치되는 국가는 중국, 쿠바, 북한, 라오스, 베트남 5개국뿐이다.
4. 1. 소련의 변화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를 통해 소련의 경제, 정치 체제를 개혁하고자 했다. 이러한 개혁은 소련 내부의 민주화 요구를 증폭시켰고, 결국 소련 붕괴로 이어졌다.[3]4. 2. 동구권의 민주화
1980년대 후반, 소련의 경제는 쇠퇴하고 군사력은 약화되었으며, 이는 미국과의 협상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했다. 소비에트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는 경제 문제 해결을 위해 미국과의 긴장 완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2] 이러한 배경 속에서 동구권에서는 민주화 운동이 일어났다.냉전 역사가 존 루이스 개디스는 탈냉전 시대가 냉전 시대와는 매우 다른 특징을 가질 것이며, 이는 세계사적 중요성의 전환점이 일어났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3]
5. 냉전 이후의 세계
냉전 종식은 소련의 붕괴와 함께 찾아왔으며, 이는 국제 질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냉전 시기에는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진영 간의 이념 대립과 핵전쟁의 위협이 주요 관심사였지만, 냉전 종식 이후에는 이전에는 주목받지 못했던 다양한 문제들이 새롭게 떠올랐다.
냉전 이후, 미국은 유일한 초강대국으로 부상하였고, 자유 민주주의와 자본주의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많은 국가들이 민주화를 통해 이러한 가치를 받아들였다.[2] 몽골, 콩고, 알바니아, 유고슬라비아, 아프가니스탄, 앙골라 등 여러 국가에서 공산주의 체제가 종식되었다. 2023년 현재, 전 세계에서 공산주의 국가로 통치되는 국가는 중국, 쿠바, 북한, 라오스, 베트남 단 다섯 곳뿐이다.
냉전 종식은 국제 협력과 국제기구의 역할 증대를 가져왔으며,[4] 민족주의 운동 또한 활발해졌다.[2]
5. 1. 국제 질서의 변화
냉전 시대 동안, 서방 세계와 동구권의 정책과 기반 시설은 각각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이념, 그리고 핵전쟁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냉전의 종식과 소련의 몰락은 세계 거의 모든 사회에 심오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는 냉전 시대에 무시되었던 문제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가능하게 했고, 더 큰 국제 협력, 국제기구,[4] 그리고 민족주의 운동의 길을 열었다.[2] 유럽 연합은 확장 및 통합을 더욱 강화했으며, 권력은 G7에서 더 큰 G20 경제권으로 이동했다.그 결과는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승리를 상징했으며, 이는 국제적 존경을 얻고자 하는 국가들에게 집단적 자기 검증의 방식으로 여겨졌다. 민주주의가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면서, 더 많은 국가들이 그 가치를 채택하기 시작했다.[2] 공산주의는 또한 몽골, 콩고, 알바니아, 유고슬라비아, 아프가니스탄, 앙골라에서도 종식되었다.
미국은 유일한 초강대국이 되면서 이념적 승리를 활용하여 새로운 세계 질서에서 주도적인 위치를 강화했다. 미국은 "미국과 동맹국들이 역사의 올바른 편에 서 있다"고 주장했다.[5] 이러한 새로운 세계 질서는 국제 관계 이론에서 "자유주의적 패권"으로 불린다. 평화 배당금을 사용하여 미국 군대는 지출을 대폭 삭감할 수 있었지만, 9.11 테러와 2001년 테러와의 전쟁 발발 이후 그 수준이 다시 비슷한 수준으로 상승했다.[6] NATO 확장에 따라 탄도 미사일 방어 (BMD) 시스템이 동유럽에 설치되었다.[7] 그러나 비교적 약소한 개발 도상국인 중국이 잠재 초강대국으로 부상했다. 이는 전 세계적인 분쟁의 새로운 잠재력을 창출했다.[7] 중국의 부상에 대응하여 미국은 전략적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으로 "재균형"을 이루었지만, 동시에 국제적인 약속에서 물러서기 시작했다.[8]
5. 2.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확산
냉전 시대가 끝나고 소련이 붕괴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민주주의와 자본주의가 확산되었다. 이는 국제적인 존경을 얻고자 하는 국가들에게 중요한 가치로 여겨졌고, 많은 국가들이 민주화를 통해 이러한 가치를 채택하기 시작했다.[2] 몽골, 콩고, 알바니아, 유고슬라비아, 아프가니스탄, 앙골라 등 많은 국가에서 공산주의 체제가 종식되었다. 2023년 현재, 전 세계에서 공산주의 국가로 통치되는 국가는 중국, 쿠바, 북한, 라오스, 베트남 뿐이다.[4]
냉전 종식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철폐와도 맞물렸다. 1990년 넬슨 만델라가 석방되고, 1994년 최초의 민주 선거를 통해 만델라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전 세계의 사회주의 및 공산주의 정당들은 회원 수가 감소했고, 자유 시장 경제가 승리했다는 인식이 퍼졌다.[9] 반면, 자유지상주의, 신자유주의,[10] 민족주의,[10] 이슬람주의[10] 정당들은 이익을 얻었다. 스칸디나비아의 사회 민주주의 국가들은 1990년대에 많은 기관을 민영화했다.[11]
1970년대 후반부터 자본주의로 전환하기 시작한 중국은 중국 경제 개혁을 통해, 1989년 톈안먼 광장 시위 이후 1990년대에 자유 시장 경제로 더 빠르게 움직였다. 맥도날드와 피자헛이 1990년 하반기에 중국에 진출했고, 선전과 상하이에 증권 시장이 설립되었다. 1990년대 초 차량 소유 제한 완화로 2000년까지 자전거가 주요 교통 수단에서 쇠퇴했다. 그러나 이러한 자본주의로의 전환에도 불구하고, 많은 중국인들은 여전히 열악한 환경에서 낮은 임금을 받으며 일하고 있다.[12]
많은 제3세계 국가들은 냉전 시기 미국 및 소련의 개입을 경험했지만, 냉전 종식 이후 이러한 초강대국의 이념적 갈등이 해소되면서 정치적 안정을 찾았다.[13] 더 많은 국가들이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체제를 채택하면서 국제 무역이 활성화되었고, 경제력이 군사력보다 더 중요해졌다.[13] 그러나 엘살바도르와 아르헨티나와 같이 냉전 동안 미국의 정권 교체 개입으로 인해 인권 침해가 발생한 경우도 있었다.[14]
5. 3. 새로운 갈등의 발생
냉전 종식과 소련의 붕괴는 전 세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냉전 시대에는 주로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이념 대립, 그리고 핵전쟁 가능성에 관심이 집중되었지만, 냉전이 끝나면서 그동안 무시되었던 문제들이 주목받기 시작했다.[4][2] 민족주의 운동이 활발해지고, 국제기구를 통한 국제 협력이 강화되었다.[2] 유럽 연합은 통합을 확대했고, G7에서 G20으로 경제 권력이 이동했다.이러한 변화는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승리로 여겨졌고, 많은 국가들이 민주화를 추진하게 되었다.[2] 몽골, 콩고, 알바니아, 유고슬라비아, 아프가니스탄, 앙골라 등 여러 국가에서 공산주의 체제가 종식되었다. 2023년 현재, 전 세계에서 공산주의 국가로 통치되는 국가는 중국, 쿠바, 북한, 라오스, 베트남 뿐이다.
그러나 21세기에 들어서면서 강대국 간의 지정학적 긴장이 다시 고조되면서, 제2차 냉전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다.[20]
6. 냉전과 한반도
주어진 원본 소스에 '탈냉전 시대'의 '냉전과 한반도'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으므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7. 냉전의 유산
냉전은 국제 관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 유산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냉전 역사가 존 루이스 개디스는 냉전 시대가 끝나고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지만, 그 특징은 아직 확실하지 않다고 말했다. 하지만 냉전 시대와는 매우 다를 것이며, 세계사적으로 중요한 전환점이 일어났음을 강조했다.[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과 미국은 세계의 초강대국으로 부상했다.[1] 두 국가는 이념적 차이로 인해 냉전이라 불리는 대립 관계에 돌입했다. 냉전은 1947년경부터 1991년 소련 붕괴까지 지속되었으며, 1989년 혁명이나 1987년 세계 최초의 핵 군축 조약 서명을 냉전 종식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은 미국의 재건을 추진했고, 경제 회복과 새로운 외교 정책을 시행했다. 반면 소련 경제는 쇠퇴했고, 군사력도 약화되었다.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소련 소비에트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은 경제 문제 해결을 위해 미국과의 긴장 완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2]
냉전은 기술, 사회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 영향을 끼쳤다.
7. 1. 기술 발전
냉전 시기 군비 경쟁은 여러 기술 발전을 가져왔다. 특히 인터넷은 국방부가 핵전쟁 이후에도 통신을 유지하기 위해 개발한 ARPANET에서 시작되었다.[15] 1995년 인터넷 상업 활동에 대한 규제가 해제되면서, 인터넷은 대중에게 널리 보급되었다.[15] 1995년에는 전 세계 인구의 0.5% 미만인 약 2천만 명이 인터넷을 사용했지만, 2010년대 중반에는 세계 인구의 3분의 1 이상이 온라인 상태가 되었다.[16]로널드 레이건의 전략 방위 구상은 이지스 탄도 미사일 방어 시스템(BMDS)으로 재탄생하여 냉전 이후에도 연구가 계속되었다.[17] 그러나 이러한 방어 시스템은 완전한 핵 공격을 막을 수 없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17]
냉전은 무선 기술과 핵무기 연구를 가속화시켰다. 스푸트니크 1호 발사 성공은 전파 망원경 개발을 촉진했고, 조드럴 뱅크 천문대와 같은 시설은 우주 탐사선 추적, 퀘이사, 펄서 연구에 활용되었다.[19] 부분 핵실험 금지 조약 이후 핵 폭발 감지를 위해 발사된 벨라 (위성)은 감마선 폭발 연구에 기여했다.
한편, 냉전 이후에도 핵 확산은 계속되었다. 파키스탄은 1980년대 농축 우라늄 원심분리기를 획득하고 1998년 지하 핵실험을 실시했다.[18]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은 핵확산 금지 조약에 서명했지만, 파키스탄, 인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서명하지 않았다.[18]
7. 2. 사회문화적 영향
냉전은 사회적으로 반공주의, 매카시즘과 같은 억압과 통제를 강화하는 결과를 낳았다.[1] 한편, 냉전 시기 문화 교류는 동서 양 진영 간의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기여하기도 했다.참조
[1]
웹사이트
Cold War Revision
http://www.johndclar[...]
Johndclare.net
2008-11-21
[2]
서적
Nationalism and Internationalism in the post–Cold War Era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0
[3]
간행물
The Cold War, the Long Peace, and the Future
1992
[4]
논문
The Post–Cold War Period: New Configurations.
1998
[5]
간행물
Promoting the National Interest
2000
[6]
웹사이트
World Military Spending — Global Issues
http://www.globaliss[...]
Globalissues.org
2013-06-30
[7]
논문
The Cold War, the Long Peace, and the Future
1992-04
[8]
간행물
America's Strategic Surrender
2006
[9]
뉴스
Left and radical :: SWP
http://www.socialist[...]
2013-01-14
[10]
웹사이트
The Lost American – Post–Cold War | FRONTLINE
https://www.pbs.org/[...]
PBS
[11]
서적
The Age of Social Democracy: Norway and Sweden in the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1
[12]
뉴스
Apple's Chinese suppliers still exploiting workers, says report
https://www.cbsnews.[...]
CBS News
2013-02-27
[13]
서적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Third World: A Post–Cold War Assessment
2016-07-22
[14]
뉴스
Time for a US Apology to El Salvador
https://www.thenatio[...]
[15]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Internet in a Nutshell
http://sixrevisions.[...]
Sixrevisions.com
[16]
웹사이트
One third of the world's population is online : 45% of Internet users below the age of 25
http://www.itu.int/e[...]
Itu.int
[17]
논문
Missile Defense Roles in the Post-Cold War U.S. Strategy
2021-06-23
[18]
웹사이트
UNTC
https://treaties.un.[...]
2024-05-12
[19]
논문
Science, Technology, and the Cold War: The Military Uses of the Jodrell Bank Radio Telescope
http://dx.doi.org/10[...]
2006-08
[20]
뉴스
Rubio: U.S. 'barreling toward a second Cold War'
https://www.usatoday[...]
2015-10-03
[21]
웹인용
A Tale of Two Worlds: Core and Periphery in the Post-Cold War Era - CDDRL
http://cddrl.stanfor[...]
Cddrl.stanford.edu
[22]
웹인용
postmodernism (philosophy) - Encyclopedia Britannica
http://www.britannic[...]
Britannica.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