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표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흑표당은 1966년 바비 실과 휴이 뉴턴에 의해 결성된 흑인 민족주의 단체이다.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남부의 인종차별을 피해 이주한 흑인들이 겪는 차별에 맞서 흑인 권력 운동을 펼쳤다.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마오쩌둥 사상을 이념적 기반으로 삼았으며, 사회주의, 공산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 흑표당은 무장 순찰, 지역 사회 봉사, 무료 아침 식사 프로그램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1960년대 후반 FBI의 탄압과 내부 분열로 세력이 약화되었고, 1970년대 중반 이후 급격히 쇠퇴하여 1982년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흑표당은 흑인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흑인 인권 운동과 사회 운동에 중요한 유산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흑표당 - 유다 그리고 블랙 메시아
유다 그리고 블랙 메시아는 1960년대 후반 흑표범당 지도자 프레드 햄프턴과 FBI 정보원 윌리엄 오닐의 이야기를 통해 흑인 인권 운동과 국가 권력의 남용을 그린 영화이다. - 흑표당 - 진 시버그
진 시버그는 미국의 배우로, 영화 《성녀 잔 다르크》로 데뷔하여 《네 멋대로 해라》 등에 출연했으며, 시민권 운동을 지원하다 FBI의 감시를 받았고, 1979년 파리에서 자살한 채 발견되었다. - 미국의 좌익 무장 단체 - 웨더 지하기구
웨더 지하기구는 1969년 미국에서 결성된 급진 좌파 단체로, 베트남 전쟁 반대와 시민권 운동을 배경으로 미국 정부에 대한 폭력 투쟁을 전개하다가 1977년 해산되었다. - 미국의 좌익 무장 단체 - 사회주의총기협회
사회주의총기협회는 2013년 페이스북 페이지로 시작하여 2018년 캔자스에서 설립된 단체로, 노동 계급의 총기 권리와 자기 방어를 옹호하며 총기 커뮤니티의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미국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 - 미국 공산당
미국 공산당은 1919년 결성되어 노동 운동과 흑인 민권 운동에 참여하며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냉전 시대 탄압으로 위축되었고, 소련 붕괴 후 어려움을 겪었지만 최근 젊은 세대의 지지를 받으며 진보적인 의제를 지지하고 있다. - 미국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 - 사회주의해방당
사회주의해방당은 2004년 미국에서 창당된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으로, 자본주의 타도와 사회주의 건설을 목표로 하며, ANSWER 연합 등 여러 단체와 연관되어 미국 내 선거에 후보를 출마시키고, 미국 군사 예산 삭감 등을 주장하며 조선로동당과 중국 공산당을 지지한다.
흑표당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흑표당 |
영어 이름 | Black Panther Party |
약칭 | BPP |
설립일 | 1966년 |
해산일 | 1982년 |
본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 |
국가 | 미국 |
이념 | 흑인 민족주의 (초기) 블랙 파워 마르크스-레닌주의 마오쩌둥주의 총기 소유 권리 위머니즘 반제국주의 간공동체주의 (후기) |
정치 성향 | 극좌 |
색상 | 검은색 |
회원 수 | 약 5,000명 (1969년) |
신문 | 검은 표범 |
조직 | |
종류 | 흑인 해방 무장 조직 흑인 민족주의 조직 사회주의 조직 |
지위 | 비합법 |
목표 | 혁명을 통한 흑인 해방 |
봉사 지역 | 흑인을 비롯한 빈곤층 |
간부 | 휴이 뉴튼 보비 실 랩 브라운 |
기관 | 인민 병원 |
설립자 | 휴이 뉴튼 보비 실 |
관련 조직 | 영 로즈 홍위병 영 패트리어트 청년 국제당 민주 사회를 위한 학생 동맹 |
지도자 | |
지도자 | 휴이 뉴튼 |
창립자 | 휴이 뉴튼, 보비 실 |
연관된 단체 | |
지원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알바니아 인민공화국 쿠바 |
지원 정당 | 미국 진보노동당 |
기타 정보 | |
이미지 | |
![]() | |
![]() |
2. 역사
흑표당(Black Panther Party, BPP)은 1966년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서 휴이 뉴튼과 바비 실이 공동 창립한 흑인 민족주의 조직이다.[213][214][215] 1965년 말콤 X 암살과 1968년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암살 이후, 기존 민권 운동의 한계를 느끼고 보다 급진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흐름 속에서 흑표당은 세력을 확장했다.
창립 초기, 흑표당은 당의 목표를 담은 10개항 강령을 발표했으며, 아프로 헤어와 검은 가죽 재킷, 검은 베레모, 그리고 총기 무장은 이들을 상징하는 모습이 되었다. 이들은 말콤 X의 사상적 영향을 받아 자기 방어를 강조했으며, 마틴 루터 킹의 비폭력주의와는 다른 노선을 추구했지만 킹 목사 개인에 대해서는 존경심을 표하기도 했다.
흑표당 지도부는 사회주의·공산주의 이념, 특히 말콤 X, 프란츠 파농[217], 체 게바라[218], 마오쩌둥 등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마오쩌둥 어록을 학습 교재로 삼았고, 휴이 뉴턴은 1971년 중국을 방문하기도 했다. 이들은 미국 내 흑인 사회를 제3세계 식민지로 규정하고, 베트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쿠바 등 미국과 대립하던 국가들과의 연대를 표명했다. 이러한 국제 연대 사상을 "인터코뮤널리즘(Intercommunalism)"으로 명명하고, 전 세계 피억압 민족과의 연대 및 제국주의 반대를 목표로 하는 "혁명적 민족주의"를 주장했다.
흑표당은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단체와 연대했다. 스웨덴 스톡홀름에 해외 지부를 두었고 일부 당원은 알제리, 쿠바 등지로 망명했으며, 1970년에는 북베트남에 의용군 파병을 제안하기도 했다. 미국 내에서는 아메리카 인디언 운동, 푸에르토리코인 조직 영로즈, 중국계 미국인 단체 홍위당, 치카노의 브라운 베레, 백인 빈민층 조직 영 패트리어트, 청년 국제당(이피), 민주 사회를 위한 학생 동맹 등 여러 좌익 및 소수자 권리 단체와 함께 인종차별 반대 및 반전 투쟁을 전개했다. 또한 여성 해방 운동 및 동성애자 권리 운동 단체와도 연대했다.
1968년경부터 당 지도부는 "인민에게 봉사하라"는 구호 아래 지역사회 기반의 '생존 프로그램(Survival Programs)'을 적극적으로 운영했다. 대표적으로 빈곤 아동을 위한 무료 아침 식사 제공 프로그램은 큰 호응을 얻었으며, 무료 진료소 운영과 낫 모양 적혈구 빈혈증 검사 및 치료 지원 등 흑인 공동체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자 노력했다.
2. 1. 기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남부에서 북부와 서부 도시로 이주한 흑인들은 새로운 환경에서 빈곤과 차별 문제에 직면했으며, 기존 민권 운동의 한계 속에서 새로운 정치적 대응을 모색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66년 10월,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서 휴이 뉴튼과 바비 실이 흑표당(Black Panther Party, BPP)을 창설했다.[213][214][215] 이들은 스토클리 카마이클 등이 주장한 분리주의적 흑인 정치 조직의 필요성에 공감했으며,[216] 로버트 F. 윌리엄스가 이끈 혁명적 행동 운동(Revolutionary Action Movement, RAM)과 같은 급진적인 그룹의 영향도 받았다.[211] 뉴튼과 실은 오클랜드 북부 빈곤 반대 센터 등에서 활동하며 경찰 폭력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흑인의 강인함과 존엄성을 상징하는 검은 표범(Black Panther)을 당명으로 채택했다.
흑표당의 초기 주요 활동 중 하나는 당시 총기 공개 휴대법을 활용하여 합법적으로 무장하고 경찰의 활동을 감시하는 것이었다. 당원들은 경찰차를 따라다니며 경찰 폭력 사건을 기록하고, 경찰관에게 제지당했을 때는 자신들의 법적 권리를 주장하며 대응했다.[53][54] 이러한 무장 순찰 활동은 오클랜드 흑인 공동체 내에서 일부 지지를 얻기 시작했다.[55] 1967년 2월에는 암살된 말콤 X의 미망인 베티 샤바즈를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무장 호위하면서 당의 인지도를 높였다.[56]
또한 흑표당은 지역 사회 문제에도 적극 개입했다. 1967년 4월, 캘리포니아주 리치몬드에서 비무장 흑인 청년 덴질 도웰(Denzil Dowell)이 경찰 총격으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자,[62] 유족의 요청으로 흑표당이 개입하여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집회를 열고 무장 자위의 필요성을 알렸다.[63][64] 합법적인 범위 내에서 무장한 채 진행된 이 집회에 경찰은 쉽게 개입하지 못했고,[65] 이는 지역 주민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66]
흑표당의 무장 활동이 주목받자, 캘리포니아 주 의회는 공공장소에서 장전된 총기 휴대를 금지하는 멀포드 법안을 추진했다. 이에 항의하기 위해 1967년 5월 2일, 흑표당은 새크라멘토의 캘리포니아 주 의사당 건물에 무장한 채 진입하여 시위를 벌였다.[67] 이 사건은 전국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흑표당의 이름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비록 시위를 주도한 실 등 일부 당원이 체포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지만,[67] 이 사건 이후 흑표당에 대한 지지 여론이 형성되기도 했다.[69] 그러나 결국 멀포드 법안은 당시 주지사였던 로널드 레이건의 서명으로 통과되어 흑표당의 무장 순찰 활동은 제약을 받게 되었다.
흑표당은 말콤 X의 사상과 SNCC의 스토클리 카마이클[216] 등 흑인 권력 운동의 영향을 받았으며, 마르크스주의, 레닌주의, 마오쩌둥 사상 등 사회주의·공산주의 이념과 프란츠 파농[217], 체 게바라[218] 등의 제3세계 혁명 사상에도 공감했다. 이들은 자신들의 민족주의를 "혁명적 민족주의"로 규정하며 전 세계 피억압 민족과의 연대를 강조했고, 베트남, 북한, 쿠바 등 미국과 적대적인 국가들과의 연대 의사를 표명하기도 했다. 이러한 이념적 지향은 이후 흑표당의 다양한 국내외 활동으로 이어졌다.
2. 1. 1. 제2차 세계 대전과 흑인 대이동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수만 명의 흑인들이 남부를 떠나 제2차 대이동을 통해 오클랜드와 베이 지역의 다른 도시들로 이주했다. 이들은 남부의 인종 차별 체제를 피하고 카이저 조선소와 같은 전쟁 산업체에서 일자리를 찾기 위해 이동했다. 이러한 대규모 이주는 베이 지역뿐만 아니라 서부와 북부 전역의 도시들을 변화시켰고, 한때 백인이 지배하던 인구 구성을 크게 바꿔놓았다.[31]그러나 이 도시들에서 성장한 젊은 흑인 세대는 그들의 부모 세대가 남부에서 겪었던 것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빈곤과 인종차별에 직면했다.[32] 흑표당의 초기 구성원들은 주로 "남부의 인종 차별 체제를 피해 북쪽과 서쪽으로 이주한 가족 출신의 최근 이주민들"이었으며, 이들은 새로운 환경에서 또 다른 형태의 차별과 억압에 부딪혔다.[33] 전쟁 시기와 전후 시기에 흑인 이주를 이끌었던 일자리들은 점차 백인 주민들과 함께 교외로 이전했고, 흑인 인구는 높은 실업률과 열악한 주택 환경을 가진 가난한 "도시 빈민가"에 집중되었다. 또한 흑인들은 정치적 대표성을 갖기 어려웠고, 명문 대학 진학이나 중산층 편입에서도 대부분 배제되었다.[35] 북부와 서부 도시들의 경찰서는 거의 모두 백인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36] 예를 들어 1966년 오클랜드에서는 경찰관 661명 중 흑인 경찰은 단 16명(2.5% 미만)에 불과했다.[37]
1960년대 초, 민권 운동은 짐 크로 체제로 대표되는 남부의 인종 차별을 비폭력 시민 불복종 전술과 흑인의 완전한 시민권 요구를 통해 해체하는 데 기여했다.[34] 하지만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북부와 서부 도시들에서 흑인들이 겪는 차별과 경제적 어려움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기존 민권 운동의 비폭력 전술은 이러한 상황을 바꾸는 데 한계를 보였고, SNCC나 CORE와 같은 단체들은 점차 영향력을 잃어갔다.[34]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66년경, 젊은 도시 흑인들을 중심으로 흑인 권력 운동이 등장했다. 이 운동은 민권 운동이 해결하지 못한 근본적인 질문, 즉 "미국의 흑인들이 어떻게 형식적인 시민권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경제적, 정치적 권력을 얻을 수 있을까?"라는 문제를 제기했다.[36] 오클랜드와 다른 도시들의 젊은 흑인들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연구 모임과 정치 조직을 만들기 시작했고, 이러한 흐름 속에서 흑표당이 탄생하게 되었다.[38]
2. 1. 2. 민권 운동의 한계와 흑인 권력 운동의 등장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많은 흑인들이 남부의 인종차별을 피해 제2차 대이동을 통해 오클랜드와 같은 북부, 서부 도시로 이주했다.[31] 이들은 카이저 조선소와 같은 전쟁 관련 산업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으려 했으나, 이주한 도시에서 그들의 자녀 세대는 부모 세대와는 다른 종류의 가난과 인종차별에 직면해야 했다.[32] 흑표당의 구성원들은 주로 "남부의 인종 차별 체제를 피해 북쪽과 서쪽으로 이주한 가족 출신의 최근 이주민들"이었으며, 이들은 새로운 환경에서 또 다른 형태의 차별과 억압에 부딪혔다.[33]1960년대 초 민권 운동은 짐 크로 법으로 대표되는 남부의 노골적인 인종 차별을 비폭력 시민 불복종 전술을 통해 해체하는 데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34] 그러나 이러한 성공에도 불구하고 북부와 서부 도시 흑인들의 상황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과거 흑인들의 이주를 이끌었던 전시 및 전후 산업 일자리는 점차 백인 주민들과 함께 교외 지역으로 이전했고, 도시에 남겨진 흑인 인구는 높은 실업률과 열악한 주택 환경에 시달리는 가난한 "도시 빈민가"에 집중되었다.[35] 이들은 정치적 대표성에서도 소외되었으며, 좋은 대학 진학이나 중산층 편입에서도 대부분 배제되었다. 북부와 서부의 경찰 조직은 거의 전적으로 백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36] 예를 들어 1966년 오클랜드의 경우 경찰관 661명 중 흑인은 단 16명(2.5% 미만)에 불과했다.[37]

민권 운동의 전통적인 비폭력 전술은 이러한 북부와 서부 도시의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뚜렷한 한계를 보였다. SNCC나 CORE와 같은 주요 민권 운동 단체들은 점차 영향력을 잃어갔다.[34] 이러한 상황 속에서 1966년경, 젊은 도시 흑인들을 중심으로 기존 민권 운동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흑인 권력(Black Power)" 운동이 부상했다. 이 운동은 단순히 법적인 평등이나 시민권을 넘어, "미국의 흑인들이 어떻게 실질적인 경제적, 정치적 권력을 획득할 수 있을까?"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했다.[36] 오클랜드와 다른 도시들의 젊은 흑인들은 현실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학습 모임과 정치 조직들을 만들기 시작했고,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흑표당이 등장하게 되었다.[38]
1966년 10월, 메릿 칼리지 학생이었던 휴이 뉴튼과 그의 친구 바비 실은 스토클리 카마이클 등이 주장한 분리주의적 흑인 정치 조직의 필요성에 공감하고[216] 로버트 F. 윌리엄스가 이끈 혁명적 행동 운동(Revolutionary Action Movement, RAM)과 같은 급진적인 그룹의 영향[211]을 받아 흑표당(Black Panther Party)을 공동으로 창설했다.[213][214][215] 이들은 오클랜드 북부 빈곤 반대 센터 등에서 활동하며 경찰 폭력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고, 시의회에 경찰 감시 위원회 설치를 요구하는 5,000명의 서명을 받기도 했다. 뉴튼은 법학 공부를 통해 얻은 지식을 당 활동에 활용했다. 흑표당은 당의 목표와 요구사항을 명확히 제시하는 10개항 강령을 발표했다. 또한, 휴이 뉴튼의 동생 멜빈 뉴튼의 제안에 따라 아프로 헤어 스타일과 함께 검은 가죽 재킷, 검은 바지, 검은 베레모를 당의 유니폼으로 채택했으며, 총기로 무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당명인 '흑표당'은 흑인의 강인함과 존엄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상징으로 검은 표범(Black Panther)이 적합하다는 판단하에 결정되었다.
2. 2. 설립 (196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의 인종 차별을 피해 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대이동을 통해 오클랜드와 같은 북부 및 서부 도시로 이주했다.[31] 그러나 이들은 새로운 환경에서 높은 실업률, 열악한 주거 환경 등 또 다른 형태의 빈곤과 인종차별에 직면해야 했다.[35] 특히 경찰과 정부 조직 내 흑인의 대표성은 매우 낮았다.[37]시민권 운동의 비폭력 저항 방식은 남부의 짐 크로 법 해체에는 기여했지만,[34] 북부와 서부 도시들이 겪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한계를 보였다. 이에 SNCC나 CORE와 같은 기존 단체들의 영향력이 약화되면서,[34] 젊은 흑인 세대는 새로운 정치적 해법을 모색하기 시작했다.[32][38]
1960년대 중반, 젊은 도시 흑인들을 중심으로 "흑인 권력 운동"이 등장하여 형식적 시민권을 넘어 실질적인 경제적, 정치적 권력 획득을 요구했다.[36]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66년 10월,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서 메리트 칼리지(Merritt College) 동창이었던 휴이 뉴턴과 바비 실이 흑표당(Black Panther Party, BPP)을 창설했다.[213][214][215] 두 사람은 이전에 '혁명적 행동 운동(Revolutionary Action Movement, RAM)'[211]에 참여하고 오클랜드 북부 빈곤 반대 센터에서 활동하며 경찰 폭력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했다.
스토클리 카마이클의 분리주의적 흑인 정치 조직 요구에 영감을 받아,[36] 그들은 당의 목표를 제시하는 10개항 프로그램의 초안을 작성했다. 흑인의 강인함과 존엄을 상징하는 검은 표범을 당의 이름과 상징으로 채택했으며, 휴이 뉴턴의 동생 멜빈 뉴턴의 제안으로 파란 셔츠, 검은 바지, 검은 가죽 재킷, 검은 베레모 착용과 총으로 무장하는 것을 당의 유니폼으로 정했다.
흑표당은 창립 초기부터 경찰 폭력에 맞서 흑인 공동체를 보호하기 위한 자위권 행사를 강조했으며, 이는 이후 무장 순찰 활동 등 구체적인 행동으로 이어졌다.
2. 2. 1. 휴이 뉴턴과 바비 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남부의 짐 크로 법과 같은 인종 차별을 피해 많은 흑인들이 제2차 대이동을 통해 오클랜드를 포함한 북부와 서부 도시들로 이주했다.[31] 그러나 이들은 새로운 환경에서 또 다른 형태의 빈곤과 차별에 직면했으며, 1966년 오클랜드 경찰 661명 중 흑인은 16명(2.5% 미만)에 불과할 정도로 경찰력 내 흑인 비율이 극히 낮아 정치적 영향력이 미미했다.[37][33][35][36] 시민권 운동의 비폭력 저항 방식은 이러한 북부와 서부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를 보였고,[34] 이는 젊은 흑인 세대가 새로운 정치적 방식을 모색하는 배경이 되었다.[32][38]
이러한 상황 속에서 1966년 10월, 메리트 칼리지 동창이었던 휴이 뉴턴과 바비 실은 흑표당(Black Panther Party, BPP)을 창설했다.[213][214][215] 두 사람은 이전에 '혁명적 행동 운동(Revolutionary Action Movement, RAM)'[211]이라는 단체에 가입했으며, 오클랜드 북부 빈곤 반대 센터에서 함께 일하며 경찰 폭력에 맞서기 위한 활동을 벌인 경험이 있었다. 뉴턴은 시 당국에 경찰 폭력 조사 위원회 설치를 요구하며 500명의 서명을 모으기도 했다. 또한 뉴턴은 대학과 로스쿨에서 법학을 공부하며 얻은 법률 지식을 당 활동에 활용했다.
스토클리 카마이클의 흑인 정치 조직 요구에 영감을 받은 뉴턴과 실은[36] 흑표당의 목표를 담은 10개항 프로그램의 초안을 작성했다. 휴이 뉴턴의 동생 멜빈 뉴턴의 제안으로 당원들은 아프로 헤어를 하고 파란 셔츠, 검은 바지, 검은 가죽 재킷, 검은 베레모를 착용하고 샷건과 같은 총으로 무장하는 것을 유니폼으로 정했다. 당명은 흑인의 강인함과 존엄을 상징하는 검은 표범에서 따와 "흑표당"으로 결정되었다.
흑표당의 이론가이자 실질적인 리더였던 휴이 뉴턴은 행동이 따르지 않는 이론이나 이론 없는 행동을 믿지 않았으며, 현실 문제 해결에 나서지 않는 탁상 혁명가들을 경멸했다. 그는 마오쩌둥 어록에서 영감을 받아 당원들에게 "인민에게 봉사할 것"을 요구하며 지역사회 기반의 "생존 프로그램"을 만들었다.[230] 뉴턴은 지역사회가 기본적인 서비스를 누릴 여력이 없다는 현실을 인지하고 "우리의 모든 생존 프로그램은 무료이다. 우리는 우리 프로그램들 중에서 필요한 것을 지역사회들이 제공 받는 것에 대해 동전 한푼도 청구하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그러지 않을 것이다"라고 선언했다.[231] 1966년부터 1982년까지 흑표당은 무료 아침 식사 제공, 의류 분배, 정치 및 경제 교육, 무료 진료소(인민 병원) 운영, 낫 모양 적혈구 빈혈증 검사 및 치료 지원, 자기 방어 및 응급 처치 교육, 수감자 가족 지원 등 총 65개의 생존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역사회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했다.[232]
흑표당의 초기 주요 전술 중 하나는 당시 캘리포니아주 법이 허용하는 공개 총기 휴대 권리를 이용하여 경찰의 활동을 감시하고 폭력을 기록하는 것이었다.[53] 당원들은 경찰에게 제지당할 경우 관련 법률을 인용하며 자신들의 합법성을 주장하고, 권리를 침해한 경찰관을 고소하겠다고 대응했다.[54] 이러한 무장 순찰 활동은 오클랜드 흑인 거주 지역에서 점차 지지를 얻었으며,[55] 1967년 2월 말콤 X의 미망인 베티 샤바즈를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무장 호위한 사건 이후 당원 수가 증가했다.[56] 1967년 4월, 캘리포니아주 리치몬드에서 비무장 흑인 청년 덴질 도웰이 경찰 총격으로 사망하자, 그의 가족은 흑표당에 도움을 요청했다.[62][63] 흑표당은 리치몬드에서 무장 집회를 열어 사건의 진상을 알리고 무장 자위의 필요성을 교육했으며, 법을 준수하는 이들의 활동에 경찰은 쉽게 개입하지 못했다.[64][65]
흑표당의 인지도는 1967년 5월 2일 캘리포니아 주 의사당 시위 이후 급증했다. 당시 주 의회에서 공공장소 총기 소지를 금지하는 멀포드 법안 논의가 시작되자, 휴이 뉴턴과 정보부 장관 엘드리지 클리버는 바비 실이 이끄는 26명의 무장 당원들을 새크라멘토 의사당으로 보내 시위를 벌이도록 계획했다. 이들은 무장한 채 의회에 진입했고, 이 사건은 전국적으로 보도되었다. 바비 실을 포함한 6명이 의회 회의 방해 혐의로 체포되어 경범죄 유죄 판결을 받았다.[67] 이 사건은 흑표당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폭발시켰지만, 동시에 보수 진영에게는 큰 위협으로 받아들여졌다. 결국 캘리포니아 의회는 멀포드 법안을 통과시켰고, 당시 주지사였던 로널드 레이건이 이에 서명하여 흑표당의 무장 순찰 활동을 제약하는 결과를 낳았다.
새크라멘토 시위 직후인 1967년 5월 15일, 흑표당은 흑표당 신문 두 번째 호를 통해 공식적인 10개항 프로그램을 발표했다.[56] 이 프로그램은 흑인 공동체의 자결권, 완전 고용, 착취 종식, 양질의 주택, 올바른 역사 교육, 군 복무 면제, 경찰 폭력 종식, 부당하게 수감된 흑인 석방, 공정한 재판, 그리고 기본적인 삶의 요소(땅, 빵, 주택, 교육, 의복, 정의, 평화) 보장을 요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흑표당 지도부인 뉴턴과 실은 말콤 X의 사상을 계승하면서도[216] 마틴 루터 킹 목사에 대해서는 비판적 존경심을 가졌다. 그들은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으며, 프란츠 파농[217], 체 게바라[218], 마르크스, 레닌, 마오쩌둥 등의 사상에 공감했다. 뉴턴과 실은 자신들의 민족주의를 전 세계 억압받는 민족과의 연대 및 제국주의 투쟁을 지향하는 "혁명적 민족주의"로 규정하고, 착취적인 "반동적 민족주의"와 구분했다. 흑표당은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및 미국 내 소수 민족과의 연대를 표방하며 "인터코뮤널리즘(Intercommunalism)"이라는 사상을 내세웠다.
이들은 미국 내 흑인 사회를 제3세계 식민지로 간주하고, 베트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쿠바 등 당시 미국과 적대 관계에 있던 국가들과의 연대를 표명했으며, 1970년에는 북베트남에 의용군 파병을 제안하기도 했다. 스웨덴 스톡홀름에 해외 지국을 설치하고 일부 당원은 알제리나 쿠바로 망명했다. 국내적으로는 아메리카 인디언 운동, 푸에르토리코인 자치 조직 영 로즈(Young Lords), 중국계 미국인 정치 단체 홍위당(Red Guard Party), 치카노의 브라운 베레, 백인 빈곤층 정치 단체 영 패트리어트, 청년 국제당(이피), 민주 사회를 위한 학생 동맹(SDS) 등 다양한 좌익 및 소수자 권리 단체와 연대하여 반차별, 반전 투쟁을 벌였다. 또한 여성 해방 운동 및 동성애자 권리 운동(게이 해방 전선)과도 연대했다.
2. 2. 2. 10개항 프로그램
흑표당(Black Panther Party, BPP)은 1966년 바비 실과 휴이 뉴턴에 의해 결성될 당시, 당의 목표를 제시하는 10개항 강령(10 Point Program)을 만들었다.[213][214][215] 마오쩌둥 어록에 나온 마오쩌둥의 혁명 조언에 영감을 받은 휴이 뉴턴은 당원들에게 인민에게 봉사할 것을 요구하며,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생존 프로그램(Survival Programs)을 만들었다. 그는 행동이 따르지 않는 이론이나 이론이 없는 행동을 경계했으며, 지역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행동을 강조했다.[230] 10개항 강령은 이러한 배경 속에서 탄생했으며, 흑표당 활동의 이론적 기반이자 실천적 목표가 되었다.흑표당의 10개항 강령은 다음과 같다.
# 우리는 우리 흑인과 억압받는 공동체의 운명을 결정할 힘, 즉 자유를 원한다.
# 우리는 우리 인민의 완전 고용을 원한다.
# 우리는 자본가들에 의한 우리 공동체에 대한 착취의 종식을 원한다.
# 우리는 인간이 거주할 만한 최소한의 주택을 원한다.
# 우리는 우리에게 우리의 진실한 역사와 현재 사회에서 우리의 역할을 가르치는 교육, 그리고 미국 사회의 진실을 폭로하는 교육을 원한다.
# 우리는 모든 흑인과 억압받는 인민을 위한 완전한 무상 의료를 원한다.
# 우리는 미국 내 흑인과 다른 억압받는 인종에 대한 경찰의 폭력과 살인의 즉각적인 중단을 원한다.
# 우리는 모든 침략 전쟁의 즉각적인 중지를 원한다.
# 우리는 연방, 주, 카운티, 시 교도소와 감옥에 부당하게 수감된 모든 흑인과 억압받는 인민의 자유를 원한다. 우리는 이 나라 법률에 따라 소위 범죄로 기소된 수감자들이 동료 배심원에 의해 재판받을 권리를 원한다.
# 우리는 토지, 식량, 주택, 교육, 의복, 정의, 평화 그리고 인민에 의한 현대 기술의 공동체 통제를 원한다.
이 강령은 흑인 공동체가 직면한 사회경제적 문제 해결과 정치적 자결권 확보를 목표로 했으며, 단순한 구호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생존 프로그램'으로 구체화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빈곤 아동에게 아침 식사를 무료로 제공하는 '무료 아침 식사 프로그램(Free Breakfast for Children Program)'과 무료 진료소를 운영하는 등의 활동이 있다.[231][232][233]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흑인 공동체의 생존에 필수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혁명적 투쟁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했다.[230]
2. 2. 3. 초기 활동: 무장 순찰과 지역 사회 조직
왼쪽 위에서 오른쪽으로: 엘버트 "빅 맨" 하워드, 휴이 뉴턴 (국방장관), 셔윈 포르테, 보비 실 (의장);아래: 레지 포르테와 리틀 보비 허튼 (재무).]]
제2차 세계 대전 중 수만 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남부를 떠나 제2차 대이동을 통해 오클랜드와 베이 지역 등지로 이주하여 전쟁 산업체에서 일자리를 구했다. 이 대규모 이주는 서부와 북부 도시들의 인구 구성을 변화시켰다.[31] 이 도시들에서 자란 젊은 흑인 세대는 부모 세대와는 다른 형태의 빈곤과 인종차별에 직면하며 새로운 정치적 해법을 모색했다.[32] 흑표당원들은 남부의 인종 차별을 피해 북쪽과 서쪽으로 이주했지만, 새로운 형태의 차별과 억압에 직면한 이들이 많았다.[33] 1960년대 초 민권 운동은 짐 크로 체제를 해체하는 성과를 거두었지만,[34] 북부와 서부 도시의 상황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일자리는 백인들과 함께 교외로 이전했고, 흑인들은 높은 실업률과 열악한 주거 환경 속에서 가난한 도시 빈민가에 집중되었으며, 정치적 대표성이나 양질의 교육 기회에서 소외되었다.[35] 당시 북부와 서부 경찰 조직은 거의 백인으로만 구성되어 있었다.[36] 1966년 오클랜드 경찰 661명 중 흑인은 16명(약 2.4%)에 불과했다.[37]
기존 민권 운동의 비폭력 전술은 이러한 상황을 바꾸는 데 한계를 보였고, SNCC나 CORE 같은 단체들은 영향력을 잃어갔다.[34] 1966년경, 젊은 도시 흑인들을 중심으로 "흑인 권력 운동"이 부상하며, 단순한 시민권을 넘어 실질적인 경제적, 정치적 권력을 어떻게 획득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다.[36] 오클랜드 등지의 젊은 흑인들은 연구 모임과 정치 조직을 만들었고, 이러한 흐름 속에서 흑표당이 탄생했다.[38]
흑표당(Black Panther Party, BPP)은 1966년 오클랜드에서 휴이 뉴턴과 보비 실에 의해 창립되었다.[213][214][215] 이들은 당의 목표를 제시한 10개항 강령을 만들고, 아프로 헤어 스타일과 검은 가죽 재킷, 검은 바지, 검은 베레모를 유니폼으로 정했으며, 샷건 등으로 무장하기로 결정했다. 뉴턴은 시립 메리트 컬리지와 샌프란시스코 로스쿨에서 법학을 공부하며 얻은 법률 지식을 당 활동에 활용했다.
초기 흑표당은 당시 캘리포니아 법이 허용하는 공개 총기 휴대 권리를 활용하여 경찰의 활동을 감시하는 당원들을 보호하는 전술을 사용했다. 이들은 경찰차를 따라다니며 경찰 폭력 사건을 기록했다.[53] 경찰관에게 제지당할 경우, 당원들은 자신들의 행동이 합법임을 명시한 법률을 인용하고, 헌법적 권리를 침해한 경찰관을 고소하겠다고 대응했다.[54] 1966년 말부터 1967년 초까지 '자위적 흑표당(Black Panther Party for Self-Defense)'의 무장 경찰 순찰 활동은 오클랜드 흑인 거주 지역에서 소수의 지지자를 확보했다.[55] 1967년 2월, 말콤 X의 미망인 베티 샤바즈가 샌프란시스코 공항에 도착했을 때 흑표당이 무장 호위를 제공하면서 당원 수가 다소 증가했다.[56]
흑표당의 활동은 종종 과격하고 적대적인 것으로 비춰졌으며,[57][58] 초기 활동이 사회 문제 개선과 합법적인 무기 휴대 권리 행사에 초점을 맞추었음에도 불구하고 폭력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었다. 흑표당은 총기를 공개적으로 휴대하되 누구에게도 겨누지 않는 한 장전된 소총이나 산탄총 휴대를 허용하는 캘리포니아 법을 적극 활용했다.[49] 이들은 경찰의 행동을 감시하면서 이러한 공개적인 무기 휴대가 경찰 폭력으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혁명이 왔다, 총을 들 시간이다. 돼지들을 몰아내자!"와 같은 구호는[59] 흑표당의 폭력적 이미지를 강화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캘리포니아주 리치몬드의 흑인 공동체 역시 경찰 폭력 문제에 직면해 있었다.[60] 동네로 통하는 주요 도로가 세 개뿐이어서 경찰의 통제와 억압이 용이한 구조였다.[61] 1967년 4월 1일, 비무장 상태였던 22세 흑인 건설 노동자 덴질 도웰(Denzil Dowell)이 노스 리치몬드에서 경찰의 총에 맞아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62] 카운티 당국이 사건 조사를 거부하자 도웰의 가족은 흑표당에 도움을 요청했다.[63] 흑표당은 노스 리치몬드에서 집회를 열어 무장 자위의 필요성과 덴질 도웰 사건의 진상을 알렸다.[64] 집회 참가 당원들은 합법적으로 무장했기 때문에 경찰은 거의 개입하지 못했다.[65] 흑표당의 주장은 많은 지역 주민들의 공감을 얻었고, 다음 집회에는 더 많은 주민들이 자신의 총을 가지고 참여했다.[66]
흑표당에 대한 대중적 인지도는 1967년 5월 2일 캘리포니아 주 의사당 시위 이후 급증했다. 이날 캘리포니아 주 의회 형사절차위원회는 공공장소에서 장전된 총기 소지를 금지하는 이른바 "멀포드 법안" 논의를 시작할 예정이었다. 휴이 뉴턴과 정보부 장관 엘드리지 클리버는 이에 항의하기 위해 26명의 무장한 흑표당 당원들을 새크라멘토 의사당으로 보내는 시위를 계획했다. 보비 실이 이끄는 시위대는 오클랜드에서 새크라멘토로 이동하여 무기를 소지한 채 의회 건물 안으로 들어갔다. 이 사건은 전국적인 언론의 주목을 받았고, 경찰은 실과 다른 5명을 체포했다. 이들은 의회 회의 방해 혐의로 경범죄 유죄 판결을 받았다.[67] 당시 흑표당의 전체 당원 수는 100명이 채 되지 않았다.[68]
이 시위는 흑표당의 이름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지만, 동시에 많은 기성 정치인들에게 위협으로 인식되었다. 1967년, 캘리포니아 의회는 결국 멀포드 법안을 통과시켰고, 당시 주지사였던 로널드 레이건이 이에 서명했다. 이 법안은 흑표당의 무장 순찰 활동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으로, 공공장소에서 장전된 총기 휴대를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로써 흑표당의 초기 주요 활동 방식이었던 합법적 무장 순찰은 큰 제약을 받게 되었다.
2. 3. 확장과 발전 (1967-1970)
1967년 1월, 흑표당은 오클랜드 시내에 첫 공식 본부를 마련하고 기관지 "흑표 신문"을 창간하며 조직의 기틀을 다졌다. 같은 해 2월 맬컴 X의 미망인 베티 샤바즈의 경호를 맡고, 4월 리치몬드에서 경찰 총격으로 사망한 덴질 다월(Denzil Dowell) 사건[62] 관련 집회를 열며[63][64] 점차 인지도를 높였다. 특히 5월 2일 캘리포니아주 의사당 앞에서 총기 규제 법안에 반대하며 벌인 무장 시위는 전국적인 언론의 주목을 받으며 흑표당의 존재를 각인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236] 그러나 이러한 활동은 곧바로 정부의 견제를 불러왔다. 8월 미국 연방수사국(FBI)은 비밀 방첩 프로그램인 COINTELPRO를 통해 흑표당을 와해시키라는 지시를 내렸고, 10월 28일에는 창립자 휴이 뉴턴이 경찰관 존 프레이(John Frey) 살해 혐의로 체포되었다.[76] 당시 흑표당원은 100명 미만이었다.1968년은 흑표당에게 급격한 성장과 동시에 격렬한 탄압이 시작된 해였다. 4월 4일 마틴 루터 킹 목사의 암살 이후 흑인 사회의 분노가 확산되면서 흑표당의 급진 노선은 더 많은 지지를 얻었다. 2월 오클랜드에서 열린 뉴튼 석방 요구 집회를 기점으로 당원 수가 급증했으며, 정보부 장관 엘드리지 클리버의 저서 《차가운 영혼》(Soul on Ice) 출간도 지식인 사회의 관심을 끌었다. 그러나 4월 6일, 클리버가 이끈 시위대가 오클랜드 경찰과 총격전을 벌이는 과정에서 당원 바비 허튼이 사망하고 클리버 자신도 체포되는[236] 등 희생이 따랐다. 클리버는 이후 9월 말 쿠바를 거쳐 알제리로 망명했다. 7월 뉴튼의 재판이 시작되면서 "휴이를 석방하라(Free Huey)" 운동이 전국적으로 퍼져나갔고, 이는 흑표당의 중요한 구심점이 되었다. 하지만 8월 5일 로스앤젤레스(LA)에서 경찰과의 총격전으로 당원 3명이 사망하고, 9월 초 뉴튼이 자발적 과실치사 유죄 판결을 받는 등 시련은 계속되었다. 연말에는 지지자가 급증하여 평화와 자유당, SNCC와 협력 관계를 맺기도 했으나, 조직 규모가 커지면서 내부적인 횡령 문제 등 혼란도 발생했다. 이 시기부터 흑표당은 무장 투쟁 노선과 더불어 지역 사회 봉사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1969년 흑표당은 전국적인 조직으로 발돋움했지만, FBI의 COINTELPRO 공작이 본격화되면서 극심한 탄압과 내부 분열에 시달렸다. 1월 오클랜드에서 시작된 무료 아침 식사 프로그램은 큰 호응을 얻으며 흑표당의 긍정적 이미지를 높였지만, FBI는 이를 체제 전복을 위한 선전 활동으로 규정하고 집요하게 방해했다. 같은 달 LA에서는 FBI의 이간질 공작이 개입된 것으로 의심되는[83] 경쟁 조직 'US Organization'과의 총격전으로 당원 2명이 사망했다. 4월에는 뉴욕 지부 당원 21명이 폭탄 테러 음모 혐의로 기소되는 '뉴욕 21' 사건이 터졌고, 5월에는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에서 당원 알렉스 래클리가 내부 정보원으로 의심받아 고문 끝에 살해되는 비극이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의장 바비 실이 기소되어 투옥되었다. 7월 이후 시카고와 LA 등지에서 경찰과의 총격전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양측 모두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흑표당은 7월 말 개인 수양과 반인종주의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이념적 변화를 모색하기도 했다. 그러나 12월 4일, FBI의 정보 제공과 협력 하에 시카고 경찰이 일리노이주 흑표당 의장 프레드 햄프턴과 당원 마크 클라크의 아파트를 급습하여 잠자고 있던 두 사람을 사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COINTELPRO의 잔혹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흑표당에 대한 정부의 탄압이 극에 달했음을 보여주었다. 연말에는 참모장 데이비드 힐리아드(David Hilliard)가 공개적으로 폭력 혁명을 지지하는 등, 당내 노선 갈등의 조짐도 나타났다.
1970년에도 흑표당은 사회적 논쟁의 중심에 있었다. 1월 세계적인 지휘자 레너드 번스타인이 흑표당을 위한 모금 행사를 열었으나, 작가 톰 울프는 이를 "급진적 시크함"(Radical chic)이라며 풍자하는 등 사회적 시선은 엇갈렸다. 봄에는 오클랜드 흑표당이 총기와 폭탄으로 경찰관들을 공격하여 2명에게 부상을 입히는 등 무력 충돌은 계속되었다. 5월, 휴이 뉴턴의 유죄 판결이 항소심에서 무효화되었으나 그는 즉시 석방되지 못했다. 7월 뉴턴은 뉴욕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폭력을 지지한 적 없다"고 밝히며 이전의 강경 노선에서 변화를 시사했고, 마침내 8월 감옥에서 풀려났다. 뉴턴의 석방은 흑표당에게 새로운 국면을 예고하는 사건이었지만, 동시에 이후 심화될 내부 갈등의 씨앗이 되기도 했다. 이 시기 흑표당은 전국적인 조직망과 사회 프로그램을 통해 영향력을 확장하는 동시에, 정부의 강력한 탄압과 끊임없는 폭력 사건, 그리고 내부 갈등이라는 복합적인 위기에 직면해 있었다.
2. 3. 1. 캘리포니아 주 의사당 시위 (1967)
캘리포니아주 리치몬드의 흑인 공동체는 경찰 폭력으로부터 보호받기를 원했다.[60] 1967년 4월 1일, 비무장 상태였던 22세 흑인 건설 노동자 덴질 다월(Denzil Dowell)이 경찰 총격으로 사망했다.[62] 다월의 가족이 도움을 요청하자 흑표당은 리치몬드 북부에서 집회를 열고, 무장 자기 방어의 필요성을 알렸다.[63][64] 경찰은 흑표당원들이 합법적으로 무장하고 있었기 때문에 집회에 개입하기 어려웠다.[65] 이러한 활동은 흑표당의 무장 자기 방어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흑표당의 무장 활동에 대한 대응으로 캘리포니아 주의회는 공공장소에서 장전된 총기 휴대를 금지하는 이른바 "멀포드 법안"(Mulford Act)을 심의하기 시작했다.[236] 이에 항의하기 위해 엘드리지 클리버(Eldridge Cleaver)와 휴이 뉴턴(Huey Newton)은 1967년 5월 2일, 바비 실(Bobby Seale)이 이끄는 26명(다른 자료에서는 30명[236])의 무장한 흑표당원들을 오클랜드에서 새크라멘토의 주의회 의사당으로 보냈다.[236] 당원들은 총기를 소지한 채 의사당 건물 안으로 들어갔다.[236]
이 과정에서 경찰은 실과 다른 5명의 당원을 체포했다.[236] 체포된 당원들은 이후 입법 회의를 방해한 경범죄 혐의를 인정했다.[236] 이 사건은 미국 전역 언론의 집중적인 조명을 받으며 흑표당의 존재를 처음으로 대중에게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236] 비록 당시 흑표당을 지지하는 여론은 거의 없었고 많은 이들에게 공포감을 주었지만,[236] 이 시위는 흑표당의 급진적인 이미지와 자기 방어 주장을 각인시키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2. 3. 2. 전국적 확장
왼쪽 위에서 오른쪽으로: 엘버트 "빅 맨" 하워드, 휴이 뉴턴 (국방장관), 셔윈 포르테, 보비 실 (의장);아래: 레지 포르테와 리틀 보비 허튼 (재무).]]
흑표당의 성장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에서 제2차 대이동을 통해 오클랜드를 비롯한 서부와 북부 도시로 이주한 흑인 인구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31] 이주민 2세대는 부모 세대와 다른 형태의 빈곤과 인종차별에 직면하며 새로운 정치적 해결책을 모색했다.[32][33] 민권 운동이 짐 크로 체제를 해체했지만, 북부와 서부 도시의 흑인들은 여전히 높은 실업률, 열악한 주거 환경, 정치적 소외 등에 시달렸다.[34][35] 특히 경찰 조직 내 흑인 비율은 극히 낮았고(1966년 오클랜드 경찰 661명 중 흑인은 16명에 불과했다[37]), 경찰 폭력 문제도 심각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블랙 파워 운동이 부상했고, 흑표당은 오클랜드 등지의 젊은 흑인들이 조직한 정치 그룹 중 하나로 등장했다.[36][38]
흑표당은 공개 휴대 총기법을 활용하여 경찰 활동을 감시하는 당원들을 보호하는 전술을 사용했다.[53] 이들은 경찰차를 따라다니며 경찰 폭력 사건을 기록하고, 경찰관에게 제지당하면 법률 지식을 이용해 자신들의 권리를 주장했다.[54] 1967년 2월, 말콤 X의 미망인 베티 샤바즈를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무장 호위한 사건 이후 당원 수가 증가했다.[56] 또한 캘리포니아주 리치몬드에서는 1967년 4월 비무장 흑인 청년 덴질 도웰이 경찰 총격으로 사망한 사건을 계기로[62], 흑표당이 지역 사회의 요청을 받아 무장 집회를 열고 경찰 폭력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며 지지를 넓혀갔다.[63][64][65][66]
1968년에는 알프렌티스 "번치" 카터(번치 카터)가 로스앤젤레스에 남부 캘리포니아 지부를 설립하며 조직은 다른 지역으로 확장되었다. 카터는 슬로슨 스트리트 갱단의 두목이었으며, 초기 LA 지부 회원 다수가 이 갱단 출신이었다.[83]
흑표당의 슬로건과 상징은 전국적으로 퍼져나갔다.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메달 시상식에서 토미 스미스와 존 칼로스가 블랙 파워 경례를 한 사건은 흑표당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 되었다. 비록 이 행위로 국제 올림픽 위원회로부터 추방당했지만, 흑표당의 메시지는 널리 알려졌다. 제인 폰다와 같은 헐리우드 유명 인사들도 공개적으로 흑표당을 지지하며 좌익 성향의 프로그램에 동참했다. 흑표당은 점차 다양한 좌익 혁명가들과 정치 활동가들의 관심을 끌었다.
1968년 말에는 지지자들이 급증하며 평화와 자유당, SNCC와 협력 관계를 맺기도 했다. 그러나 늘어난 지원금과 함께 당내에서는 횡령과 같은 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대학생들의 가입이 늘면서, 일부는 흑표당의 사회 프로그램 지원에 중점을 둔 반면, 다른 일부는 기존의 거리 투쟁 방식을 유지하려 하면서 내부적인 긴장도 존재했다.
흑표당은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았으며, 말콤 X, 프란츠 파농[217], 체 게바라[218], 마르크스, 레닌, 마오쩌둥 등의 사상에 공감했다. 이들은 미국 내 흑인 사회를 제3세계 식민지로 규정하고, 베트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쿠바 등 미국과 적대 관계에 있던 국가들과의 연대를 표명했다. 심지어 오키나와에 주둔한 주일미군 내부에도 당원이 있었고, 일본 본토에는 "흑표당 지원 일본 위원회"라는 단체까지 존재했다.[219] 흑표당은 자신들의 민족주의를 전 세계 억압받는 민족과의 연대 및 제국주의 투쟁을 목표로 하는 "혁명적 민족주의"로 정의하며,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및 미국 내 소수 민족과의 연대를 추구했다. 이러한 사상을 "인터코뮤널리즘(Intercommunalism)"이라 명명하고 기관지를 통해 해외 투쟁 소식을 전했다.
국내적으로는 아메리카 인디언 운동, 푸에르토리코인 자치 조직 영로즈, 중국계 미국인 정치 단체 홍위당, 치카노의 브라운 베레, 백인 빈곤층 정치 단체 영 패트리어트, 이피로 불린 청년 국제당, 민주 사회를 위한 학생 동맹 등 다양한 좌파 조직과 연대하여 인종 차별 반대 및 반전 투쟁을 벌였다. 또한 우먼 리브 운동과 동성애자 권리 운동 단체인 게이 해방 전선(Gay Liberation Front)과도 연대했다.
1968년경부터 당 지도부는 "인민에게 봉사하라"는 지침 아래 지역 사회 봉사 활동을 강화했다. 대표적인 예로 빈곤층 아동에게 아침 식사를 무료로 제공하는 "무료 아침 식사 프로그램(Free Breakfast for Children Program)"을 시작하여 1만 명 이상의 아동에게 식사를 제공했다. 또한 무료 진료소인 "인민 병원(People's Free Medical Clinics)"을 설립하고, 낫 모양 적혈구 빈혈증 검사를 실시하여 많은 환자를 발견하고 치료를 지원하는 등 지역 사회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노력했다.
2. 3. 3. COINTELPRO
1967년 8월 미국 연방수사국(FBI)은 흑인 민족주의 단체들과 다른 반체제 그룹들을 무력화시키기 위한 비밀 방첩 프로그램인 "대 파괴자 정보 활동과의 분쟁", 즉 COINTELPRO를 지시했다. 1968년 9월 FBI 국장 에드거 후버는 흑표당을 "국가의 내부 안보에 가장 큰 위협"이라고 공개적으로 비난하며 적대감을 드러냈다. 1969년에 이르러 흑표당은 COINTELPRO의 최우선 목표물이 되었으며, FBI가 수행한 흑인 민족주의 관련 방첩 활동 295건 중 233건이 흑표당을 겨냥한 것이었다.COINTELPRO의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았다.
- 여러 급진적인 흑인 민족주의 단체들이 연합하는 것을 방해한다.
- 단체와 지도자들에 대한 불신을 조장하여 대중적 지지와 재정적 후원을 약화시킨다.
- 지도자들의 영향력을 축소시킨다.
초기에 COINTELPRO는 남부 기독교 연합 회의(SCLC),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SNCC), 인종 차별 반대의 혁명적 행동 운동(RAM), 네이션 오브 이슬람과 같은 단체들과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스토클리 카마이클, 맥스웰 스탠포드, 일라이저 무하마드 같은 지도자들을 목표로 삼았다.
FBI는 흑표당을 와해시키기 위해 다양한 공작 활동을 펼쳤다. 주요 전술 중 하나는 흑인 민족주의 그룹들 사이에 이미 존재하거나 잠재적인 경쟁 관계를 이용하고 증폭시키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FBI는 시카고의 길거리 조직인 블랙스톤 레인저스(Blackstone Rangers, 블랙스톤 경비대로도 불림)와 흑표당 사이의 "적대감을 심화"시키려 시도했다. FBI 요원들은 블랙스톤 레인저스 지도자에게 흑표당이 자신을 암살하려 한다는 내용의 익명 편지를 보내 보복을 유도했다. 남부 캘리포니아에서도 흑표당과 'US Organization'이라는 다른 흑인 민족주의 단체 사이에 유사한 분열 공작이 시도되었으며, FBI가 'US Organization' 측에 도발적인 편지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COINTELPRO는 또한 흑표당의 가장 성공적인 지역사회 봉사 프로그램 중 하나인 무료 아침 식사 프로그램(The Free Breakfast for School Children Program)을 집중적으로 공격했다. 이 프로그램은 정부가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는 빈곤 아동의 기아 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루면서 흑표당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었다. FBI는 이 프로그램이 아이들을 급진 사상에 노출시키기 위한 선전 활동이라고 주장하며, 프로그램의 성공을 폄하하고 방해하려 했다. 이를 위해 경찰과 FBI 요원들은 프로그램 운영자, 자원봉사자, 참여 아동 및 부모들을 지속적으로 괴롭히고 위협했으며, 식료품 기부자나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교회 및 지역 센터에 압력을 가해 후원을 끊도록 유도했다.
표면적으로는 폭력 행위를 방지한다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COINTELPRO는 실제로는 폭력을 조장하고 유발하는 전술을 사용했다. 1969년 1월 12일,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UCLA) 캠퍼스에서 흑표당원들과 US Organization 조직원들 사이에 총격전이 벌어져 흑표당원 2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FBI는 내부 문서를 통해 이 두 단체 간의 폭력적인 충돌을 선동하는 데 자신들이 기여했음을 인정했다.
가장 악명 높은 사건 중 하나는 1969년 12월 4일 시카고에서 발생했다. FBI의 정보 제공과 협력 하에 시카고 경찰은 새벽에 일리노이주 흑표당 지부장 프레드 햄프턴과 당원 마크 클라크의 아파트를 급습하여 잠자고 있던 두 사람을 사살했다. 현장에 있던 다른 당원들은 심하게 구타당하고 체포되었다. 이 사건은 COINTELPRO의 폭력적인 탄압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이 외에도 1969년 5월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에서는 흑표당 내부의 갈등으로 당원 알렉스 래클리(Alex Rackley)가 다른 당원들에게 고문당하고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는 FBI의 분열 공작과 무관하지 않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한다. COINTELPRO 활동은 1969년 중후반에 특히 강화되었으며, 흑표당의 활동을 위축시키고 내부 분열을 심화시키는 데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2. 3. 4. 주요 사건 및 갈등
흑표당의 초기 활동 중 하나는 당시 캘리포니아주 법이 허용한 공개 총기 휴대 권리를 활용하여 경찰의 활동을 감시하는 것이었다. 당원들은 경찰차를 따라다니며 경찰 폭력 사건을 기록했고, 경찰관에게 제지당하면 관련 법 조항을 인용하며 자신들의 행동이 합법임을 주장하고, 자신들의 헌법적 권리를 침해한 경찰관을 고소하겠다고 대응했다.[54] 이러한 무장 경찰 순찰 활동은 1966년 말부터 1967년 초 오클랜드 흑인 거주 지역에서 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소수의 당원만이 참여했다.[55] 1967년 2월, 맬컴 X의 미망인 베티 샤바즈를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무장 호위하면서 당의 인지도가 높아지고 당원 수가 증가하기 시작했다.[56]흑표당은 총기가 공개적으로 노출되고 특정인을 향하지 않는 한 장전된 소총이나 산탄총 휴대를 허용하는 캘리포니아 법을 이용했다.[49] 이는 주로 지역 사회에서 경찰의 행동을 감시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으며, 흑표당은 이러한 활동과 무장 강조가 경찰 폭력으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혁명이 왔다, 총을 들 시간이다. 돼지들을 몰아내자!"[59] 와 같은 구호는 흑표당에 폭력적인 이미지를 부여하기도 했다.[57][58]
1967년 4월 1일, 캘리포니아주 리치몬드에서 비무장 상태였던 22세 흑인 건설 노동자 덴질 다월(Denzil Dowell)이 경찰 총격으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62] 다월의 가족은 당국이 사건 조사를 거부하자 흑표당에 도움을 요청했다.[63] 흑표당은 리치몬드 북부에서 집회를 열어 무장 자위의 필요성과 다월 사건의 진상을 알렸고,[64] 무장한 당원들이 법을 준수했기 때문에 경찰은 쉽게 개입하지 못했다.[65] 이 사건은 지역 사회의 경각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236]
1967년 5월 2일, 흑표당은 캘리포니아주 의회가 공공장소에서 장전된 총기 소지를 금지하는 "멀포드 법안"을 논의하는 것에 항의하기 위해 새크라멘토의 주의사당에서 무장 시위를 벌였다.[236] 바비 실과 휴이 뉴튼이 기획하여 26명(다른 자료에서는 30명[234])의 무장 당원들이 의사당 건물 안까지 진입했다.[236] 이 사건은 언론의 집중 조명을 받았고, 흑표당의 이름을 전국적으로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236] 바비 실을 포함한 시위대 일부는 경범죄 혐의로 체포되었다.[236][234] 이 사건은 미국 내 저항 운동에 영향을 미쳤고, 다른 주에서도 흑표당 지부가 설립되는 계기가 되었다.[234]
1967년 8월, 미국 연방수사국(FBI)은 COINTELPRO(대정보 프로그램)를 통해 흑표당을 "분열시키고 무력화"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1967년 10월 28일, 오클랜드에서 휴이 뉴튼이 교통 단속 중이던 경찰관 존 프레이(John Frey)와의 다툼 끝에 총격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프레이 경관이 사망하고 뉴튼과 다른 경찰관 허버트 히니스(Herbert Heanes)도 총상을 입었다. 뉴튼은 자발적 과실치사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이 판결은 후에 항소심에서 뒤집혔다. (휴 퍼슨(Hugh Pearson)은 그의 저서 『팬서의 그림자』(Shadow of the Panther)에서 뉴튼이 고의로 프레이를 살해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76]) 뉴튼의 체포와 재판은 "휴이를 석방하라(Free Huey)" 운동을 촉발하며 흑표당의 주요 동력이 되었다.[236]
1968년 4월 4일, 마틴 루터 킹 목사가 암살되자 전국적으로 폭동이 발생했다. 이틀 뒤인 4월 6일, 엘드리지 클리버가 이끄는 흑표당 무장 그룹이 오클랜드 경찰과 총격전을 벌였고, 이 과정에서 당원 바비 허튼이 사망했다. 클리버는 체포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236], 1968년 9월 말 쿠바로 탈출했고 이후 알제리로 망명했다.
1968년 7월 중순 뉴튼의 살인 재판이 시작되었고, 법원 앞에서 그의 석방을 요구하는 시위가 계속되었다. 9월 초 뉴튼은 자발적 과실치사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이 판결은 1970년 5월 항소심에서 무효화되었지만, 그는 즉시 석방되지 못하고 1970년 8월에야 풀려났다.)
1968년 8월 5일, 로스앤젤레스(LA)의 한 주유소 앞에서 경찰과의 총격전으로 흑표당원 3명이 사망했다.
1968년 말, 흑표당 지지자는 급증하여 평화와 자유당, SNCC와 협력 관계를 맺기도 했으나, 조직 내부에 횡령 등 혼란도 발생했다. 1969년 초부터 당 내부 규율 강화와 정보원 색출 등을 이유로 당원 축출이 시작되었다.
1969년 1월 14일, UCLA 캠퍼스에서 흑표당원과 경쟁 관계에 있던 흑인 민족주의 단체 US Organization 간의 총격으로 흑표당원 2명이 사망했다. 5월에도 캘리포니아 남부에서 두 단체 간의 분쟁으로 흑표당원 2명이 추가로 사망했다.
1969년 1월, 오클랜드에서 빈곤 아동을 위한 무료 아침 식사 프로그램(The Free Breakfast Program)이 시작되었다. 이는 이후 흑표당의 중요한 사회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았다.
1969년 4월, 뉴욕 지부 흑표당원 21명이 폭탄 테러 음모 혐의로 기소되어 투옥되었다 (이들은 '뉴욕 21'로 불렸다).
1969년 5월, 코네티컷주 뉴헤이븐 지부에서 당원 알렉스 래클리(Alex Rackley)가 정보원으로 의심받아 다른 당원들에게 고문당한 뒤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바비 실이 8월에 기소되어 투옥되었다. (실은 1971년 5월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고 풀려났다.)
1969년 7월, 시카고에서 경찰과의 총격전으로 경찰관 2명과 흑표당원 1명이 사망했다. 10월 18일에는 LA의 한 식당 앞에서 경찰과의 총격전으로 흑표당원 1명이 사망했으며, 11월 13일에는 시카고에서 또 다른 총격전으로 흑표당원 1명이 사망했다.
1969년 중후반, FBI의 COINTELPRO 활동이 강화되었다. 12월 4일, 시카고 경찰이 흑표당 아파트를 급습하여 일리노이주 흑표당 의장이었던 프레드 햄프턴과 당원 마크 클라크를 사살했다. 이 사건은 경찰의 과잉 진압과 계획적 살해라는 비판을 받았다. 당시 급습 작전에는 흑인 경찰 제임스 데이비스 경사가 참여하기도 했다.
1970년 봄, 오클랜드 흑표당은 총기와 폭탄을 이용해 경찰관들을 공격하여 2명에게 부상을 입혔다.
1971년 1월, 감옥에서 풀려난 뉴튼은 제로니모 프랫(Geronimo Pratt), 뉴욕 21 사건 관련자 2명, 그리고 자신의 개인 비서를 당에서 축출했다. 2월에는 생방송 토론 중 엘드리지 클리버와 격렬하게 다툰 후, 클리버와 흑표당 국제 지부 당원들을 모두 축출했다. 이로 인해 뉴튼파와 클리버파 간의 갈등이 격화되어 1971년 봄에는 보복성 암살 시도로 양측에서 4명이 사망하는 등 심각한 내분이 발생했다.
이러한 내분과 지속적인 탄압 속에 1971년 중후반에는 전국적으로 수백 명의 당원들이 흑표당을 떠났다. 1972년 초, 뉴튼은 전국의 지부들을 폐쇄하고 주요 당원들을 오클랜드로 집중시키는 결정을 내렸다.
1972년 중반부터 흑표당은 오클랜드 시 정부 진출을 시도했다. 1973년 바비 실이 시장 후보로, 엘라인 브라운(Elaine Brown)이 시의회 의원 후보로 출마했으나 모두 낙선했다. 선거 패배 후 더 많은 당원들이 탈퇴했다.
1974년 초, 뉴튼은 바비 실, 존 실, 데이비드 힐리아드 부부, 로버트 베이 등 핵심 창립 멤버 및 간부들을 축출했다. 실(Seale)파로 분류되던 많은 당원들도 연이어 탈퇴하거나 축출되었다.
1974년 8월, 뉴튼은 10대 매춘부 캐슬린 스미스(Kathleen Smith) 살해 혐의로 기소되자 쿠바로 도피했다. (뉴튼은 이후 미국으로 돌아와 재판을 받았고, 증언 번복 등으로 무죄 판결을 받았다.[144][145] 그는 또한 재단사 프레스턴 콜린스(Preston Callins) 폭행 혐의도 받았으나 콜린스가 고소를 취하하여 무죄 판결을 받았다.[146]) 뉴튼이 망명한 동안 엘라인 브라운이 당의 지도부를 맡았다. 1974년 12월, 당의 재정 비리를 조사하던 회계사 베티 밴 패터(Betty Van Patter)가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2. 4. 분열과 쇠퇴 (1971-1982)
1970년대 초반, 외부의 공세와 법적 문제, 그리고 당 내부의 분열로 인해 흑표당은 정치적 영향력을 급격히 쇠퇴하기 시작했다.[246] 1970년 감옥에서 석방된 휴이 뉴턴은 엘드리지 클리버 등이 주장하던 즉각적인 무장투쟁 노선을 비판하며 당의 재건을 시도했다.[246] 뉴턴은 경찰과의 직접적인 대립 대신, 아동을 위한 무료 급식과 같은 지역사회 봉사 활동을 강화하고 1970년대 중반부터는 선거 정치 참여를 통해 활로를 모색하고자 했다.[246]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뉴턴 자신을 포함한 일부 당원들이 다른 흑인들을 대상으로 한 강탈, 착취, 폭행 등에 연루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대중적 지지를 회복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246] 결국 1970년대 중반에는 공동 창립자 바비 실과 엘드리지 클리버를 비롯한 다수의 핵심 당원들이 당을 떠나거나 추방당하는 상황에 이르렀다.[246] 또한 여러 범죄 혐의를 받게 된 뉴턴은 1974년 쿠바로 망명하기도 했다.[246]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흑표당의 조직력은 크게 약화되었고 점차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2. 4. 1. 이념적 갈등과 분열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SNCC)의 스토클리 카마이클을 한때 당의장으로 영입하기도 했으나, 말콤 X의 폭력주의 계승 등 노선 차이와 사상적 이견으로 인해 그는 결국 탈당하였다.[216]1970년대 초반에 이르러 외부 공세와 법적 문제, 그리고 내부 노선 갈등이 겹치면서 흑표당의 정치적 영향력은 급격히 약화되었다.[246] 1970년 감옥에서 석방된 휴이 뉴턴은 엘드리지 클리버가 주장하던 즉각적인 무장 투쟁 노선과 선동적인 수사를 비판하며 당의 재건을 시도했다.[246] 뉴턴은 경찰과의 직접적인 대립 대신 아동을 위한 무료 급식과 같은 지역사회 봉사 활동을 강화하고, 1970년대 중반부터는 선거 정치 참여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노선을 전환하고자 했다.[246]
그러나 대중적 지지를 회복하려던 뉴턴의 시도는, 뉴턴 자신을 포함한 일부 당원들이 다른 흑인들을 대상으로 한 강탈, 착취, 폭행 등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큰 타격을 입었다.[246] 이러한 내부 갈등과 노선 차이로 인해 1970년대 중반에는 바비 실과 클리버를 비롯한 다수의 초기 핵심 당원들이 당을 떠나거나 추방당하는 상황에 이르렀다.[246] 이 시기 범죄 혐의를 받던 뉴턴은 쿠바로 망명하기도 했다.[246]
2. 4. 2. 오클랜드로의 집중
1970년대 초반, 흑표당은 정부의 지속적인 탄압[11], 끊이지 않는 법적 문제, 그리고 당 내부의 노선 갈등으로 인해 정치적 영향력이 급격히 약화되었다. 1970년 감옥에서 석방된 휴이 뉴턴은 당의 재건을 위해 새로운 방향을 모색했다. 그는 엘드리지 클리버 등이 주장하던 즉각적인 무장 투쟁 노선을 비판하며, 경찰과의 직접적인 충돌보다는 지역사회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활동에 집중하고자 했다.[246]이에 따라 흑표당의 활동 중심은 점차 오클랜드 지역으로 옮겨갔다. 뉴턴은 1969년 오클랜드에서 처음 시작했던 어린이 무료 아침 식사 제공과 같은 지역사회 봉사 프로그램을 더욱 확대하는 데 주력했다.[235] 또한, 1970년대 중반부터는 선거에 참여하여 지역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시도도 병행했다.[246] 이는 흑표당이 전국적인 혁명 조직에서 오클랜드 지역 공동체의 문제 해결에 집중하는 조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전환점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흑표당의 쇠퇴를 막기는 어려웠다. 뉴턴 자신을 포함한 일부 당원들이 지역 주민들을 상대로 강탈, 착취, 폭행 등 범죄 행위에 연루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대중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 실패했기 때문이다.[246] 결국 1970년대 중반에는 공동 창립자 바비 실과 엘드리지 클리버 등 핵심 인물들이 당을 떠나거나 추방당했다. 여러 범죄 혐의로 기소된 뉴턴마저 1974년 쿠바로 도주하면서[246] 흑표당의 조직력은 크게 약화되었다.
이후 뉴턴은 미국으로 돌아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지역 사회 운동에 다시 참여하기도 했지만, 마약 거래 연루 의혹 등 끊임없는 논란에 시달렸다. 그는 결국 1989년 여름, 오클랜드의 거리에서 마약 관련 총격 사건으로 사망했다.[246] 이처럼 흑표당의 후기 활동은 창립자 휴이 뉴턴 개인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오클랜드라는 지역에 집중되었으나, 과거의 영향력을 회복하지 못한 채 점차 역사 속으로 사라져 갔다.
2. 4. 3. 엘라인 브라운의 지도력 (1974-1977)
1974년, 휴이 뉴턴과 다른 8명의 흑표당 당원들이 경찰관 폭행 혐의로 체포되어 기소되었다. 같은 해 8월, 뉴턴은 18세 여성 캐슬린 스미스(Kathleen Smith) 살인 혐의와 재단사 프레스턴 콜린스(Preston Callins) 폭행 혐의로 기소되자 재판을 피해 쿠바로 망명했다.[144][145][146] 뉴턴은 이후 증언 번복과 고소 취하 등으로 스미스 살해 및 콜린스 폭행 혐의에 대해 무죄 판결을 받았다.[144][145][146]뉴턴이 망명하면서 엘라인 브라운(Elaine Brown)이 흑표당의 지도자 자리를 이어받았다. 이는 흑표당 역사상 여성이 최고 지도자가 된 첫 사례였다. 그러나 브라운의 지도력 아래에서도 당 내부의 문제는 계속되었다. 1974년 12월, 당의 회계사였던 베티 밴 패터(Betty van Patter)가 흑표당의 재정 비리를 조사하려다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당시 흑표당 내부의 혼란과 폭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지적된다. 엘라인 브라운은 1977년까지 당을 이끌었다.
2. 4. 4. 휴이 뉴턴의 귀환과 당의 해체
1970년대 초반 외부 공세와 법적 문제, 내부 분열로 인해 흑표당은 정치적 세력으로서 급격히 쇠퇴하였다. 1970년 휴이 뉴턴은 감옥에서 풀려나온 후 엘드리지 클리버의 즉각적인 무장투쟁을 강조하는 선동적인 수사를 거부하며 당을 되살리려 하였다. 뉴턴은 경찰과의 대립 대신 아이들을 위한 무료 급식과 같은 지역사회 봉사, 그리고 1970년대 중반에는 선거 정치 참여를 강조하였다. 그러나 대중적 지지를 되찾기 위한 뉴턴의 이러한 노력들은, 뉴턴과 다른 흑표당원들이 다른 흑인들을 대상으로 한 강탈, 착취와 폭행에 연루되었다는 고발이 제기되면서 무력화되었다.1970년대 중반까지 보비 실과 클리버를 포함한 대부분의 전 흑표당원들은 당을 떠나거나 당으로부터 추방당하였다. 1974년, 휴이 뉴턴과 다른 8명의 흑표당 당원들은 경찰관 폭행 혐의로 체포되어 기소되었다. 같은 해 8월, 뉴턴은 18세 매춘부 캐슬린 스미스(Kathleen Smith) 살인 혐의 재판을 피하기 위해 쿠바로 망명했다. 뉴턴은 또한 자신의 재단사 프레스턴 콜린스(Preston Callins)를 권총으로 때린 혐의로 기소되었다.[144][145]
뉴턴은 친구들에게 캐슬린 스미스 살해가 자신의 "첫 번째 비정치적 살인"이라고 털어놓았다고 전해지나, 한 증인의 증언이 살인 당일 대마초를 피웠다는 자백으로 신빙성을 잃고 다른 매춘부 증인이 증언을 번복하면서 결국 무죄 판결을 받았다.[144][145] 콜린스가 고소를 취하하면서 뉴턴은 프레스턴 콜린스 폭행 혐의에 대해서도 무죄 판결을 받았다.[146]
나중에 미국으로 돌아온 그는 논란적인 인물로 남게 되었다. 그는 박사학위를 마치고 정치적으로 활발하게 활동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마약 거래에도 연루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는 1989년 여름 오클랜드에서 마약 관련 사건으로 총에 맞아 사망하였다.[246] 이러한 지도부의 문제와 내부 분열, 외부 압력 속에서 흑표당은 점차 해체되었다.
3.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남부의 인종 차별을 피해 북부와 서부 도시로 이주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새로운 환경에서도 여전히 빈곤, 차별, 경찰 폭력에 시달렸다. 기존 비폭력 민권 운동의 한계를 느낀 젊은 흑인들을 중심으로 보다 적극적인 저항이 요구되었고,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66년 10월,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서 휴이 뉴턴과 바비 실은 경찰 폭력으로부터 흑인 공동체를 보호하고 자위권을 행사하기 위해 흑표당(Black Panther Party)을 창립했다.[213][214][215] 흑표당의 활동은 크게 지역 사회를 위한 봉사 활동과 정치적 저항 활동으로 나눌 수 있다.
흑표당은 흑인 공동체의 기본적인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생존 프로그램'(Survival Programs)이라는 다양한 사회 봉사 활동을 펼쳤다.[106] 마오쩌둥 어록에서 영감을 받아 "인민에게 봉사하라"는 구호 아래 시작된 이 활동들은[106] 전적으로 무료로 제공되었다.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빈곤 아동들에게 아침 식사를 제공한 무료 아침 식사 프로그램이었으며[105], 이는 FBI 국장 J. 에드거 후버가 "당국이 BPP를 무력화하려는 노력에 대한 가장 큰 위협"이라고 언급할 정도로 사회적 파급력이 컸다. 이 외에도 무료 의료 클리닉 운영[108], 의류 배포, 겸상 적혈구 빈혈 검사[107],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지역 사회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했다.
정치적으로 흑표당은 경찰 폭력에 대한 적극적인 저항과 흑인의 정치적 권리 확보를 추구했다. 창립 초기에는 당시 합법이었던 총기 공개 휴대 권리를 활용하여 경찰 활동을 감시하는 '경찰 순찰'을 벌였는데, 이는 흑인 사회의 지지를 얻는 동시에 당국과의 긴장을 고조시켰다. 1967년 캘리포니아 주 의사당 무장 진입 시위[234], 같은 해 휴이 뉴턴의 경찰관 살해 혐의 체포[76] 등은 흑표당의 이름을 전국적으로 알리는 동시에 정부의 강력한 탄압을 불러왔다. 특히 FBI는 COINTELPRO 작전을 통해 흑표당을 주요 표적으로 삼아 조직 와해 공작을 벌였으며[70], 1969년 프레드 햄프턴과 마크 클라크 사살 사건[117][118] 등 경찰과의 유혈 충돌이 끊이지 않았다.
흑표당은 사회주의, 공산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아 말콤 X, 프란츠 파농[217], 체 게바라[218] 등의 사상에 공감했으며, 미국 내 흑인 사회를 제3세계 식민지로 규정하고 베트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쿠바 등 반제국주의 국가들과의 연대를 표명했다. 스웨덴에 해외 지국을 설치하고[219] 국내적으로는 아메리카 원주민, 푸에르토리코인, 중국계 미국인, 치카노, 백인 빈곤층 등 다양한 소수 인종 및 좌파 단체들과 연대하여 반인종주의, 반전 투쟁을 벌였다.
그러나 정부의 지속적인 탄압과 1971년 휴이 뉴턴과 엘드리지 클리버의 노선 갈등으로 인한 심각한 내부 분열을 겪으며 흑표당은 급격히 쇠퇴했다. 1972년 이후 오클랜드 중심의 지역 정치 활동에 집중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사실상 와해되었다. 짧은 활동 기간에도 불구하고 흑표당은 경찰 폭력 문제 공론화, 흑인 사회 자긍심 고취, 풀뿌리 사회 운동의 중요성 제시, 반인종주의 연대 확장 등 미국 사회와 흑인 권력 운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3. 1. 사회적 활동: 생존 프로그램
마오쩌둥 어록에 담긴 마오쩌둥의 혁명 조언에 영감을 받은 휴이 뉴턴은 흑표당원들에게 국민을 섬길 것을 요구하며 생존 프로그램을 창설했다.흑표당의 주요 이론가였던 뉴튼은 매우 실용적인 인물이기도 했다. 그는 행동이 따르지 않는 생각이나, 생각이 없는 행동을 모두 경계했다. 특히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 없이 체제의 부당함만 외치는 탁상공론식 혁명가들을 비판했다. 1966년 오랜 동료 바비 실과 함께 흑표당의 강령인 흑표당 10개항 계획을 작성한 후, 뉴튼은 이론을 넘어 현장에서 직접 혁명을 실천하고자 했다. 뉴튼에게 행동이란 곧 "생존 프로그램"이라 이름 붙인 지역사회 프로그램들을 시작하는 것이었다. 그는 생존이야말로 모든 종류의 혁명적 투쟁의 기본 전제라고 보았다. 뉴튼은 지역사회가 이러한 서비스 비용을 스스로 감당하기 어렵다는 현실을 잘 알고 있었다. 만약 그럴 능력이 있었다면 애초에 서비스 부족 문제가 생기지도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230]
이에 뉴튼은 "우리의 모든 생존 프로그램은 무료이다. 우리는 우리 프로그램들 중에서 필요한 것을 지역사회들이 제공 받는 것에 대해 동전 한푼도 청구하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그러지 않을 것이다."라고 선언하며 프로그램의 무료 운영 원칙을 분명히 했다.[231]
생존 프로그램은 지역 사회의 기본적인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었다. 여기에는 의류 분배, 정치 및 경제 교육, 무료 의료 서비스 제공, 자기 방어 및 응급 치료 교육, 그리고 수감자 가족들을 위한 교도소 방문 지원 등이 포함되었다. 흑표당은 1966년부터 1982년까지 총 65개의 다양한 생존 프로그램을 운영하며[232] 흑인 공동체와 소외된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자 노력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단순히 물질적 지원을 넘어, 공동체의 자립과 연대를 강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무료 아침 식사 프로그램, 건강 진료소, 청년 기관 등이 있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운영되었다.
3. 1. 1. 아침 식사 프로그램
흑표당의 이론가이자 실천가였던 휴이 뉴튼은 마오쩌둥 어록에서 영감을 받아 당원들에게 국민을 섬길 것을 요구하며 '생존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뉴튼은 행동이 따르지 않는 이론이나 이론 없는 행동을 경계했으며, 특히 구체적인 실천 없이 체제의 부당함만 비판하는 탁상공론식 혁명을 비판했다. 그는 1966년 오랜 동료 바비 실과 함께 흑표당의 강령을 만든 후, 이론을 넘어 실제 행동으로 혁명을 시작하고자 했다.뉴튼에게 있어 행동은 곧 지역사회 프로그램의 시작이었으며, 그는 이를 "생존 프로그램"이라 명명했다. 생존 자체가 모든 혁명 투쟁의 기본 전제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는 지역사회가 이러한 서비스 비용을 감당할 능력이 없다는 현실을 인지하고 있었다. 만약 비용을 감당할 수 있었다면 애초에 서비스 부족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230] 이에 대해 뉴튼은 "우리의 모든 생존 프로그램은 무료이다. 우리는 우리 프로그램들 중에서 필요한 것을 지역사회들이 제공 받는 것에 대해 동전 한푼도 청구하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그러지 않을 것이다."라고 강조했다.[231]
생존 프로그램은 단순히 식사 제공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의류 분배, 정치와 경제 교육, 무료 의료 서비스 제공, 자기 방어 및 응급 치료 교육, 수감자 가족들을 위한 교도소 방문 지원 등이 있었다. 흑표당은 1966년부터 1982년까지 총 65개의 다양한 생존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역 사회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자 노력했다.[232]
3. 1. 2. 건강 진료소
마오쩌둥 어록에 나온 마오쩌둥의 혁명 조언에 영감을 받은 휴이 뉴튼은 흑표당원들에게 국민을 섬길 것을 요구하며 '생존 프로그램'을 만들었다.흑표당의 이론가로 알려진 휴이 뉴튼은 매우 실용적인 인물이기도 했다. 그는 행동이 따르지 않는 생각, 또는 생각이 선행하지 않은 행동을 믿지 않았다.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하지 않으면서 체제의 부당함만 외치는 탁상공론식 혁명가들을 경멸했다. 1966년 오랜 친구 바비 실과 함께 10개 조항 강령과 프로그램(Ten-Point Program)을 작성한 후, 뉴튼은 이론에만 머무르지 않고 현장에서 직접 혁명을 시작했다. 뉴튼에게 행동은 "생존 프로그램"이라고 이름 붙인 지역사회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생존이 모든 종류의 혁명적 투쟁의 전제 조건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뉴튼은 지역사회가 이러한 서비스 비용을 부담할 능력이 없다는 것을 알았고, 만약 그럴 능력이 있었다면 애초에 서비스가 부족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했다.[230]
뉴튼은 "우리의 모든 생존 프로그램은 무료이다. 우리는 우리 프로그램들 중에서 필요한 것을 지역사회들이 제공 받는 것에 대해 동전 한푼도 청구하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그러지 않을 것이다."라고 선언했다.[231] 생존 프로그램에는 의류 분배, 정치와 경제 교육, 무료 의료, 자기 방어와 응급 치료 교육, 수감자 가족들을 위한 지원 등이 포함되었다. 흑표당은 1966년부터 1982년 사이에 총 65개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했다.[232]
이 프로그램들 중 하나인 건강 진료소는 '주민 무료 의료 센터'(People’s Free Medical Centers, PFMC)라고 불렸다. 이 진료소들은 클리블랜드, 코네티컷주의 뉴 헤이븐, 노스캐롤라이나주의 윈스턴 살렘, 로스앤젤레스 등 미국 전역의 13개 도시에 설립되었다. 사회학자 알론드라 넬슨에 따르면, 흑표당 당원의 약 60%를 차지했던 여성들이 이 운동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진료소들 중 일부는 상점 앞 공간에 자리 잡거나 트레일러, 임시 건물 등에서 운영되었으며, 대부분 오래 지속되지는 못했다. 그러나 이 진료소들은 고혈압 측정, 납중독 검사, 결핵 검진, 당뇨병 검진, 암 검진, 신체검사, 감기 치료 등을 제공했으며, 소아마비, 홍역, 풍진, 디프테리아와 같은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예방접종도 실시했다.[233]
3. 1. 3. 청년 기관
흑표당의 이론가이자 실용적인 인물이었던 휴이 뉴튼은 마오쩌둥 어록에서 영감을 받아 당원들에게 국민을 섬길 것을 요구하며 "생존 프로그램"을 만들었다.[230] 뉴튼은 이러한 생존 프로그램이 지역 사회에 필수적이며, 혁명적 투쟁의 전제 조건이라고 보았다. 그는 "우리의 모든 생존 프로그램은 무료이다. 우리는 우리 프로그램들 중에서 필요한 것을 지역사회들이 제공 받는 것에 대해 동전 한푼도 청구하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그러지 않을 것이다."라고 강조했다.[231] 생존 프로그램에는 의류 분배, 정치/경제 교육, 무료 의료, 자기 방어 및 응급 치료 교육 등이 포함되었으며, 흑표당은 1966년부터 1982년까지 총 65개의 프로그램을 운영했다.[232]이러한 생존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흑표당은 1971년 1월 지역사회간 청년 기관(Intercommunal Youth Institute영어)을 설립했다.[233][131] 이 기관은 흑인 청소년들에게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목적도 가지고 있었다.[131] 설립 목표는 아이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정신을 단련하여 성공적인 삶을 살도록 돕는 것이었다.[233] 에리카 허긴스가 학교장을 맡았고, 레지나 데이비스가 관리자였다.[132]
학교 운영 방식은 독특했는데, 정해진 학년 없이 다양한 기술 수준에 따라 수업을 진행했다. 예를 들어, 11세 어린이가 2단계 영어 수업과 5단계 과학 수업을 동시에 들을 수 있었다.[132] 일레인 브라운과 같은 교사들은 기존 교육 시스템에서 "교육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아이들에게 읽고 쓰는 법을 가르쳤다.[133] 학생들에게는 무료 통학버스, 아침, 점심, 저녁 식사, 책과 학용품이 제공되었고, 정기적인 의료 검진과 필요한 경우 무료 의류도 지원되었다.[134]
1974년, 이 기관은 오클랜드 지역사회 학교(Oakland Community School영어)로 이름을 바꾸었고,[233] 같은 해 7월 첫 졸업생을 배출했다.[233] 1977년 9월에는 캘리포니아주 주지사 에드먼드 "제리" 브라운 주니어와 캘리포니아 의회로부터 "주 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초등 교육 기준을 세웠다"는 평가와 함께 특별상을 받았다.[233]
3. 1. 4. 기타 프로그램
마오쩌둥 어록에 담긴 마오쩌둥의 혁명 관련 조언에서 영감을 받은 휴이 뉴튼은 흑표당원들에게 국민을 섬길 것을 강조하며 생존 프로그램(Survival Programs)을 만들었다.이론가로 잘 알려진 휴이 뉴튼은 매우 실용적인 인물이기도 했다. 그는 행동이 따르지 않는 생각이나 생각이 선행되지 않은 행동을 신뢰하지 않았으며, 체제의 부당함을 비판하면서도 실제 문제 해결에는 나서지 않는 소위 '탁상 혁명가'들을 경멸했다. 1966년 오랜 동료 바비 실과 함께 10개 강령(10 Point Platform and Program)을 작성한 후, 뉴튼은 이론에 머무르지 않고 현장에서 혁명을 시작했다. 뉴튼에게 행동은 곧 지역사회 프로그램, 즉 "생존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것이었다. 그는 생존이야말로 모든 혁명적 투쟁의 전제 조건이라고 보았다. 뉴튼은 지역사회가 이러한 서비스 비용을 감당할 능력이 없다는 것을 알았으며, 만약 감당할 수 있었다면 애초에 이런 서비스가 부족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했다.[230]
뉴튼은 "우리의 모든 생존 프로그램은 무료이다. 우리는 우리 프로그램들 중에서 필요한 것을 지역사회들이 제공받는 것에 대해 동전 한 푼도 청구하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그러지 않을 것이다."라고 밝혔다.[231] 생존 프로그램에는 의류 분배, 정치 및 경제 교육, 무료 의료 서비스, 자기 방어 및 응급 치료 강좌, 수감자 가족 지원 등이 포함되었다. 흑표당은 1966년부터 1982년까지 총 65개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했다.[232]
- SAFE (Seniors Against Fearful Environments):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폭력과 강도 행위를 예방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특히 노인들이 퇴직금이나 사회보장 수표를 현금화하러 갈 때 그들을 보호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흑표당 참모장 데이비드 힐리아드에 따르면, 노인들은 흑표당에 연락하기 전에 오클랜드 경찰국에 보호를 요청했으나 "길가에 가까이 걸으라"는 답변만 들었다고 한다. SAFE는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의 노인 거주지구인 새틀라이트 시니어 홈즈(Satellite Senior Homes) 거주자들에게 무료 수송 및 호위 서비스를 제공했다.[233]
- 무료 앰뷸런스 서비스 (People's Free Ambulance Service): 재정 상태나 수입 확인 절차 없이 아프거나 다친 사람들에게 신속하고 무료인 운송 서비스를 제공했다. 힐리아드에 따르면, 이 서비스는 최소 1대의 24시간 운영되는 긴급 앰뷸런스와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되는 비긴급 및 회복용 앰뷸런스를 제공했다. 주민들은 친절하고 효율적이며 전문적인 인력이 동승한 현대적이고 편안한 앰뷸런스를 이용해 집과 병원 사이를 오갈 수 있었다.[233]
- 무료 식료품 프로그램 (Free Food Program): 흑인 및 다른 억압받는 사람들에게 무료 식품을 제공했다. 이 프로그램의 목표는 경제 상황이 개선되어 흑인과 빈곤층이 합리적인 가격으로 좋은 식료품을 구매할 수 있을 때까지 그들의 식료품을 보충해주는 것이었다. 주요 서비스는 두 가지였다.
1. 일상적인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식품 공급
2. 더 넓은 지역 사회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주기적인 식료품 대량 분배
지역사회 주민들은 계란, 통조림 과일 및 채소, 닭고기, 우유, 감자, 쌀, 빵, 시리얼 등 신선한 식료품이 담긴 봉투를 받았으며, 각 봉투에는 최소 1주일 분량의 식료품이 들어있었다.[233]
- 흑인 학생 연합 프로그램: 1972년 5월, 베이 에어리어 지역의 여러 흑인 학생회가 연합하여 설립했다. 이 프로그램은 흑인 학생회와 학생들을 흑인 지역사회와 통합시키고, 대학이 주변의 억압받는 빈곤 지역사회에 더 책임감을 갖고 봉사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를 위해 무료 도서 및 학용품 제공, 무료 운송 수단 제공, 보육 서비스, 학자금 지원 프로그램, 합리적인 가격에 영양가 있는 음식을 제공하는 식품 프로그램 등을 운영했으며, 더 나은 자질의 교사와 적절한 교육 과정 도입을 요구했다.[233]
3. 2. 정치적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이동으로 북부와 서부 도시로 이주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새로운 형태의 인종 차별과 빈곤, 경찰 폭력에 직면했다.[31][32][33] 기존 민권 운동의 비폭력 노선은 이러한 도시 문제 해결에 한계를 보였고,[34][35] 이에 젊은 흑인들을 중심으로 실질적인 경제적, 정치적 권력을 추구하는 흑인 권력 운동이 부상했다.[36]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66년 10월,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서 휴이 뉴턴과 보비 실은 경찰의 폭력으로부터 흑인 공동체를 보호하고 헌법에 보장된 자위권을 행사하기 위해 흑표당(Black Panther Party for Self-Defense, BPP)을 창립했다.[235]흑표당은 창립 직후부터 오클랜드 흑인 거주 지역에서 '경찰 순찰'(patrolling the police) 활동을 시작했다. 이들은 공개 총기 휴대가 합법이었던 당시 캘리포니아 법을 활용하여[49], 총기를 소지한 채 경찰의 활동을 감시하고 경찰 폭력 발생 시 개입했다.[53] 당원들은 법률 지식을 갖추고 경찰의 부당한 제지에 맞섰으며,[54][235] 이러한 활동은 흑인 공동체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235] 1967년 1월에는 오클랜드에 첫 공식 본부를 열고 당 기관지인 "흑표 신문"(The Black Panther)을 창간했다. 같은 해 2월에는 맬컴 엑스의 미망인 베티 샤바즈의 무장 경호를 맡아 인지도를 높였고[56], 4월에는 리치몬드에서 경찰 총격으로 사망한 덴질 다월(Denzil Dowell) 사건과 관련하여 집회를 열고 무장 자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63][64]
1967년 5월 2일, 흑표당은 캘리포니아 주 정부의 총기 규제 강화 시도에 항의하며 새크라멘토의 주 의사당 건물에 무장 진입하는 시위를 벌였고, 이 사건으로 전국적인 주목을 받게 되었다.[234] 이는 정부의 본격적인 탄압을 불러오는 계기가 되어, 같은 해 8월 미국 연방수사국(FBI)은 COINTELPRO 작전을 통해 흑표당 와해 공작을 시작했다. 10월 28일에는 휴이 뉴턴이 경찰관 존 프레이(John Frey)와의 총격전 끝에 프레이를 살해한 혐의로 체포되었다.[76]
1968년 4월 4일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암살 이후 사회적 혼란 속에서, 4월 6일 오클랜드에서는 경찰과의 충돌 중 당원 보비 허튼이 사망했다. 한편, 살인죄 혐의로 기소된 휴이 뉴턴의 재판(1968년 7월 시작)을 계기로 그를 석방시키기 위한 대규모 캠페인이 벌어져 당의 지지 기반이 확대되었다. 정보부 장관 엘드리지 클리버는 저서 출간 및 대선 출마 등으로 활동했으나, 1968년 말 해외로 망명했다.
1968년 말부터 당원 수가 급증하고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SNCC) 등과의 연대도 모색되었으나, 조직 확대에 따른 내부 기강 해이와 재정 문제도 발생했다. 1969년 초부터는 잠입 요원 색출과 노선 차이를 이유로 두 차례의 대규모 당원 숙청이 있었다. 1969년 1월, 흑표당은 오클랜드에서 빈곤 아동들에게 무료 아침 식사를 제공하는 '무료 아침 식사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큰 호응을 얻었으며, 이는 이후 다양한 사회 프로그램으로 확대되었다.
하지만 FBI의 COINTELPRO 공작 강화와 경찰과의 물리적 충돌 격화로 흑표당은 큰 타격을 입었다. 1969년 한 해 동안 여러 도시에서 경찰 및 다른 흑인 민족주의 단체(US Organization)와의 총격전으로 다수의 당원이 사망하거나 체포되었다. 특히 1969년 12월 4일 시카고에서는 경찰의 급습으로 프레드 햄프턴과 마크 클라크가 사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117] 내부적으로는 정보원 혐의를 받은 당원 알렉스 래클리가 살해되는 등[123] 폭력성과 갈등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흑표당은 1969년 7월 말, 개인 수양과 반인종주의에 초점을 맞추는 방향으로 이념적 변화를 모색하기도 했다.
1970년 8월, 휴이 뉴턴은 항소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고 석방되었다. 그는 "우리는 폭력을 지지한 적 없다"고 선언하며 당의 노선을 지역 사회 봉사 및 정치 참여 중심으로 전환하려 했다. 1971년 1월에는 오클랜드에 대안 학교인 "인터커뮤널 청소년 연구소"(Intercommunal Youth Institute)를 설립하는 등[131] 사회 프로그램에 집중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선 변화는 해외 망명 중이던 엘드리지 클리버와의 심각한 갈등을 초래했다. 1971년 2월, 뉴턴과 클리버의 공개적인 다툼 이후 흑표당은 뉴턴파와 클리버파로 분열되었고, 양 파벌 간의 보복성 폭력으로 최소 4명이 사망하는 등 극심한 내분을 겪으며 수백 명의 당원이 조직을 떠났다.
1972년 초, 뉴턴은 오클랜드를 제외한 전국의 지부를 폐쇄하고 핵심 당원들을 오클랜드로 집결시켜 조직을 재편했다. 이후 흑표당은 오클랜드 시 정부 장악을 목표로 정치 활동에 집중했다. 1973년, 보비 실이 오클랜드 시장 선거에, 엘라인 브라운이 시의회 선거에 출마했으나 모두 낙선했다. 선거 패배 이후 더 많은 당원들이 조직을 이탈했으며, 1974년 초 뉴턴은 보비 실, 데이비드 힐리아드 등 창립 초기 멤버들마저 축출했다.
1974년 8월, 뉴턴은 살해 혐의로 기소되자 쿠바로 도피했고, 엘라인 브라운이 당 의장직을 대행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당의 재정 비리를 조사하던 회계사가 살해되는 사건까지 발생하면서 흑표당은 사실상 와해 상태에 이르렀다.
흑표당은 비록 짧은 기간 활동했지만, 미국 사회와 흑인 권력 운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경찰 폭력에 대한 저항과 자위권 주장은 흑인 사회의 자긍심을 높이고 경찰의 인종 차별 문제를 공론화하는 데 기여했다. 무료 아침 식사 프로그램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 프로그램은 지역 사회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며 풀뿌리 운동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흑표당의 활동은 경찰 조직 내 인종 차별 문제 개선을 촉구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의 블랙 파워 경례와 같이 반인종주의 운동의 상징적인 이미지를 남겼다. 흑표당은 맬컴 엑스의 사상을 계승하여 국제적인 노동 계급 연대를 추구했으며[234], 백표당 등 다른 좌익 단체 및 소수 인종 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반인종주의 운동의 지평을 넓히는 데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폭력적인 이미지와 내부 분열, 정부의 강력한 탄압으로 인해 급격히 쇠퇴하였다.
3. 2. 1. 협력 단체
흑표당은 여러 단체와 협력 관계를 맺었다.흑인 학생 연합회1972년 5월, 베이 에어리어(Bay Area) 지역의 여러 흑인 학생회가 연합하여 흑인 학생 연합회를 설립했다.[233] 이는 흑인 학생과 흑인 지역 사회를 연결하고 통합하기 위한 실질적인 학교 내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함이었다.[233] 흑인 학생 연합회는 지역 대학들이 주변의 억압받고 가난한 지역 사회에 더 많은 책임감을 가지고 봉사하도록 촉구했다. 이를 위해 무료 도서와 학용품 제공, 무료 운송 수단 제공 프로그램, 보육 서비스, 학자금 지원 프로그램, 합리적인 가격에 영양가 있는 음식을 제공하는 식품 프로그램 등을 운영했다. 또한 더 나은 자질의 교사를 요구하고 적절한 교과 과정 도입을 추진했다.[233]
백표당백표당(The White Panthers)은 1968년 펀 플라몬돈, 레니 신클레, 존 신클레어가 설립한 극좌 성향의 반인종차별주의 백인 정치 단체이다.[250] 백표당의 설립은 흑표당의 창립자 휴이 뉴턴이 한 인터뷰에서 백인들이 흑표당을 지지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냐는 질문에 "백표당을 세울 수 있지 않겠냐"고 답한 것에서 시작되었다.[250] 반문화 시대의 조직으로서 백표당은 문화 혁명에 힘썼으며, 백인 우월주의 단체로 오해받지 않도록 노력했다.[250] 백표당은 무지개 연합(Rainbow Coalition)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소수 민족 인권 단체와 협력했다.[250]
3. 2. 2. 법률 집행 기관과의 분쟁
흑표당은 창립 초기부터 경찰 폭력에 맞서기 위해 공개 총기 휴대 법을 활용한 '경찰 순찰' 활동을 벌였다. 이는 필연적으로 법 집행 기관과의 긴장과 충돌을 야기했다. 흑표당원들은 법률 서적과 총기를 함께 들고 다니며, 경찰의 위법 행위를 감시하고 미국 헌법적 권리를 주장했다.[235] 이러한 활동은 흑인 공동체에 큰 반향을 일으켰지만, 동시에 당국과의 마찰을 심화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1967년 8월, 미국 연방수사국(FBI)은 "COINTELPRO" 프로그램을 통해 흑표당을 포함한 "흑인 민족주의 혐오 집단"을 무력화하려 했다.[70] 1968년 9월, FBI 국장 J. 에드거 후버는 흑표당을 "국가 내부 안보에 대한 가장 큰 위협"으로 규정하며 탄압을 강화했다.[70] 1969년까지 흑표당은 COINTELPRO의 주요 표적이 되었으며, FBI는 승인된 흑인 민족주의 관련 COINTELPRO 활동 295건 중 233건을 흑표당에 집중했다.[71]
FBI는 흑표당과 다른 흑인 단체들(예: 시카고의 블랙스톤 레인저스, 캘리포니아의 US Organization) 사이에 폭력적인 분쟁을 유도하기 위해 익명의 편지를 보내는 등 이간질 전술을 사용했다.[73] 또한, 흑표당의 무료 아침 식사 프로그램과 같은 지역 사회 봉사 활동을 "세뇌 수단"으로 비난하며, 프로그램 참여자와 후원자들을 괴롭히고 위협하여 활동을 방해했다.[104][74] FBI는 폭력을 막는다는 명분과 달리, 실제로는 폭력을 조장하는 전술을 사용했다.

흑표당과 법 집행 기관 사이의 긴장은 여러 차례 폭력적인 충돌로 이어졌다.
- '''1967년 5월 2일''': 캘리포니아주가 공공장소에서의 장전된 총기 소지를 금지하려는 시도에 항의하며, 보비 실을 포함한 무장한 흑표당원 30명이 새크라멘토의 주 의사당 건물에 진입했다가 체포되었다. 이 사건은 흑표당을 전국적으로 알리는 계기가 되었지만, 동시에 공권력의 본격적인 탄압을 불러왔다.[234][220]
- '''1967년 10월 28일''': 오클랜드에서 휴이 뉴턴이 교통 단속 중이던 경찰관 존 프레이(John Frey)와의 총격전으로 프레이 경관이 사망하고 뉴턴과 다른 경찰관 허버트 히니스(Herbert Heanes)도 부상을 입었다. 뉴턴은 살인죄로 기소되어 자발적 과실치사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이후 항소심에서 판결이 뒤집혔다.[76]
- '''1968년 4월 6일''':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박사 암살 이틀 후, 오클랜드에서 엘드리지 클리버 등이 연루된 경찰과의 90분간의 총격전 끝에, 당시 17세였던 당원 보비 허튼이 경찰의 총격으로 사망했다. 허튼은 비무장 상태로 투항하는 과정에서 사살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경찰에 의해 살해된 첫 흑표당원이었다.[84][85][86][87][88][89][90][91] 경찰관 두 명도 이 총격전에서 부상을 입었다.
- '''1968년 8월 5일''': LA의 한 주유소 앞에서 경찰과의 총격전으로 흑표당원 3명이 사망했다.
- '''1969년 1월 14일''': UCLA 캠퍼스에서 흑표당원과 US Organization 단원들 간의 총격전이 발생하여 흑표당원 2명이 사망했다. FBI는 이 두 단체 간의 폭력적 충돌을 조장했다고 주장했다.
- '''1969년 5월''': 뉴헤이븐 지부에서 뉴욕 흑표당원 알렉스 래클리(Alex Rackley)가 정보원 혐의로 다른 당원들에게 고문을 당한 뒤 살해되었다. 이 사건으로 보비 실 등이 기소되었으나, 실은 무죄 판결을 받았다.[220]
- '''1969년 7월''': 시카고에서 경찰과의 총격전으로 경찰관 2명과 흑표당원 1명이 사망했다.
- '''1969년 10월 18일''': LA의 한 식당 앞에서 경찰과의 총격전으로 흑표당원 1명이 사망했다.
- '''1969년 11월 13일''': 시카고에서 경찰과의 총격전으로 흑표당원 1명이 사망했다.
- '''1969년 12월 4일''': 시카고 경찰이 FBI와의 공모 하에 흑표당 일리노이 지부장 프레드 햄프턴의 아파트를 급습했다. 이 과정에서 잠자고 있던 햄프턴과 경호원 마크 클라크가 사살되었다. 연방 조사 결과, 경찰은 최소 80발 이상을 발포한 반면, 흑표당 측에서는 클라크가 사망 직전 반사적으로 쏜 단 한 발만 발사된 것으로 밝혀졌다.[117] 햄프턴은 FBI 정보원 윌리엄 오닐이 제공한 바르비투르산염 계 약물에 의해 의식을 잃은 상태에서 살해된 것으로 드러났다.[118] 이 사건은 FBI와 경찰의 불법적인 탄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생존한 흑표당원들은 중상해 및 살인 미수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혐의는 기각되었다. 1979년, 햄프턴의 유족은 시카고 시를 상대로 한 부당사망 소송에서 승소하여 185만달러의 합의금을 받았다.[122]
- '''1970년 봄''': 오클랜드 흑표당은 총과 파편 폭탄을 이용해 경찰관들을 공격하여 2명에게 부상을 입혔다.
- '''1970년 4월 2일''': 뉴욕에서 21명의 당원이 경찰관 살해 및 폭파 음모 혐의로 체포되었으나, 이후 무죄 판결을 받았다.
- '''1970년 8월''': 뉴욕에서 흑표당의 분파인 흑인 해방군(Black Liberation Army) 소속원들이 순찰 중이던 경찰관 2명을 저격하여 총격전이 벌어졌고, 흑인 1명이 사망했다.
흑표당과 법 집행 기관 간의 지속적인 충돌과 FBI의 COINTELPRO 작전은 당에 큰 타격을 입혔다. 1970년까지 경찰과의 총격전 등으로 최소 34명의 흑표당원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다양한 경찰 조직들은 흑표당이 15명 이하의 경찰관 사망 및 부상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수많은 당원들이 체포되고 투옥되었으며, 내부 분열까지 겹치면서 흑표당의 세력은 급격히 약화되었다. 1971년 엘드리지 클리버와의 노선 차이로 인한 분열과 1972년 휴이 뉴턴의 지부 폐쇄 결정 이후, 흑표당은 전국적인 조직력을 상실하고 오클랜드 중심의 지역 사회 활동에 집중하게 되었다.
흑표당의 활동은 미국 사회, 특히 경찰 조직에 변화를 가져오기도 했다. 흑표당의 문제 제기와 저항은 경찰 내 인종 차별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높였고, 1966년부터 1972년 사이 많은 경찰서에서 흑인 경찰관 채용이 증가하는 결과를 낳았다. 하지만 일부 흑인 경찰관들은 흑표당 탄압에 동원되기도 했다. 프레드 햄프턴 급습 사건 당시 흑인 경사였던 제임스 데이비스나, 뉴욕에서 흑표당 회의에 잠입했던 흑인 경찰관들이 그 예이다. 1972년 이후 흑표당이 사실상 해체되면서 미국 전역의 경찰 조직 내 인종 차별 문제는 점차 개선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3. 2. 3. 국제 연대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있는 정보가 원본 소스에 없습니다.)4. 이념
흑표당의 이념은 다양한 사상과 운동의 영향을 받았다. 로버트 F. 윌리엄스가 이끌던 혁명적 행동 운동(RAM)은 휴이 뉴턴에게 영향을 주었으며,[211] 흑표당은 전투적인 면에서 말콤 X의 노선을 계승했다. 반면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비폭력주의는 비판적으로 보았으나, 킹 목사 개인에 대해서는 존경심을 표했다.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SNCC)의 스토클리 카마이클을 잠시 의장으로 영입하기도 했으나, 이념 차이로 인해 그는 탈당했다.[216]
당 지도부는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사상에 깊은 영향을 받았으며, 말콤 X, 프란츠 파농[217], 체 게바라[218], 마르크스, 레프 트로츠키, 레닌 등의 사상에 공감했다. 특히 마오쩌둥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모택동어록을 학습하고 배포했으며, 휴이 뉴턴은 1971년 중국을 방문하기도 했다.
흑표당은 미국 내 흑인 사회를 제3세계의 식민지와 동일시하며, 베트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쿠바 등 당시 미국과 대립하던 국가들과의 연대를 표명했다. 이러한 국제 연대 사상은 뉴턴과 실이 정의한 "혁명적 민족주의"에 기반한다. 그들은 이를 착취적인 "반동적 민족주의"와 구별하며, 전 세계 억압받는 민족과의 연대 및 제국주의 투쟁을 목표로 삼았다. 흑표당은 자신들의 사상을 "인터코뮤널리즘(Intercommunalism)"이라 명명하고,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및 미국 내 소수 민족과의 연대를 추구했다. 이를 위해 스웨덴 스톡홀름에 해외 지국을 설치하고, 일부 당원은 알제리와 쿠바로 망명했으며, 1970년에는 북베트남에 의용군 파병을 제안하기도 했다.
국내적으로도 다양한 소수자 및 좌파 단체들과 연대했다. 아메리카 원주민 권리 단체인 아메리카 인디언 운동, 푸에르토리코계 자위 조직 영 로즈(Young Lords), 중국계 미국인 정치 단체 홍위당(Red Guard Party), 치카노의 브라운 베레(Brown Berets), 백인 빈민층 정치 단체 영 패트리어트(Young Patriots Organization), 이피로 불린 청년 국제당(Youth International Party), 민주 사회를 위한 학생 동맹(SDS) 등과 함께 반인종차별, 반전 투쟁을 벌였다. 또한 여성 해방 운동과 게이 해방 전선(Gay Liberation Front)과도 연대했다.
흑표당은 "인민에게 봉사하라"는 마오쩌둥의 지침에 따라 흑인을 포함한 빈곤층을 위한 사회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운영했다. 대표적으로 영양 부족 아동에게 아침 식사를 무료로 제공하는 "무료 아침 식사 프로그램"을 통해 1만 명 이상의 아동을 지원했으며, 무료 진료소인 "인민 병원"을 설립하여 낫 모양 적혈구 빈혈증 검사와 치료 등 의료 서비스를 제공했다.
4. 0. 1. 혁명적 민족주의와 인터코뮤널리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남부의 인종차별을 피해 수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제2차 대이동을 통해 오클랜드를 포함한 미국 서부와 미국 북부 도시들로 이주했다.[31] 그러나 이들 및 그 후손들은 새로운 환경에서 또 다른 형태의 빈곤과 인종 차별에 직면해야 했다. 높은 실업률, 열악한 주거 환경, 정치적 소외 등이 문제였으며, 특히 경찰 조직 내 흑인 비율은 극히 낮아(1966년 오클랜드 경찰 661명 중 흑인 16명[37]) 경찰 폭력 문제에 취약했다.[32][33][35][36]민권 운동이 남부의 법적 차별 해소에는 기여했지만, 북부와 서부 도시 흑인들의 실질적인 경제적, 정치적 권력 확보 문제에는 한계를 보였다.[34][36] SNCC나 CORE와 같은 기존 비폭력 단체들의 영향력이 약화되면서, 젊은 도시 흑인들을 중심으로 흑인 권력 운동이 부상했다.[34][36]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66년 10월, 메릿 칼리지 학생이었던 휴이 뉴턴과 바비 실은 오클랜드에서 흑표당(Black Panther Party for Self-Defense)을 창립했다.[38] 그들은 스토클리 카마이클의 분리주의적 흑인 정치 노선에 영향을 받아, 흑인 공동체의 요구를 담은 10개항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는 완전 고용, 적절한 주택과 교육 보장, 경찰 폭력 종식, 흑인의 병역 면제 등이 포함되었다.
흑표당은 초기 활동으로 공개 총기 휴대법을 활용하여 경찰의 활동을 감시하는 '무장 순찰'을 실시했다. 이는 경찰차를 따라다니며 경찰 폭력 사건을 기록하고, 경찰관이 법적 절차를 위반할 경우 헌법적 권리를 주장하며 법적 대응을 예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53][54] 이러한 활동은 오클랜드 흑인 사회의 일부 지지를 얻었으며, 1967년 2월 맬컴 X의 미망인 베티 샤바즈를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무장 호위한 사건 이후 당원 수가 증가하기도 했다.[55][56]
흑표당은 합법적인 무기 휴대 권리를 행사하며 경찰 폭력으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하는 '자위'를 강조했다.[49] 이는 캘리포니아 주법상 총기를 공개적으로 휴대하는 것이 합법이었기에 가능했다. 그러나 "혁명이 왔다, 총을 들 시간이다. 돼지들을 몰아내자!"[59] 와 같은 구호와 무장한 모습은 흑표당에 폭력적인 이미지를 부여하기도 했다.[57][58]
1967년 4월 1일, 리치몬드에서 비무장 상태의 22세 흑인 건설 노동자 덴질 도웰이 경찰 총격으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62] 지역 당국이 조사를 거부하자 도웰의 가족은 흑표당에 도움을 요청했고,[63] 흑표당은 리치몬드에서 무장 자위의 필요성과 사건의 진상을 알리는 집회를 열었다.[64] 합법적으로 무장한 흑표당의 집회에 경찰은 쉽게 개입하지 못했으며,[65] 이는 지역 사회 일부 구성원들의 호응을 얻어 다음 집회에 스스로 총기를 가져오는 이들도 생겨났다.[66]
1967년 10월 28일, 창립자 휴이 뉴턴은 오클랜드 경찰 존 프레이와의 교통 단속 중 총격 사건에 연루되어 프레이 경관이 사망하고 뉴턴 자신과 다른 경찰관 허버트 히니스도 부상을 입었다. 뉴턴은 이 사건으로 자발적 과실치사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항소심에서 판결이 뒤집혔다. 한편, 작가 휴 퍼슨은 뉴턴이 사건 당시 음주 상태였으며 고의로 프레이를 살해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76]
4. 0. 2.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마오쩌둥 사상
4. 0. 3. 여성주의 (Womanism)

초창기 흑표당은 흑인 남성성과 전통적인 성역할을 강조했다.[164] 당의 기관지인 '흑표당(The Black Panther)' 창간호는 당을 "흑인 남성의 정수... 흑인 공동체의 보호와 방어를 위해 존재한다"고 선언했다.[165] 일부 학자들은 당의 무장 저항 노선을 남성성을 증명하는 행위로 해석하기도 한다.[166] 1968년에는 여성 당원들에게 "흑인 남성을 지지하고" 도울 것을 촉구하는 기사가 실리기도 했다.[164] 1967년 조안 타리카 루이스가 첫 여성 당원으로 가입했다.[167]
하지만 여성들은 초기부터 당에 참여했으며 점차 역할을 확대했다.[168] 많은 여성들이 불평등한 성 규범에 맞서기 위해 가입했다.[169] 1969년, 당 신문은 남성 당원들에게 여성 당원을 동등하게 대우하라고 공식적으로 지시했으며,[164][164] 이는 여성을 종속적으로 보던 이전 관점에서 큰 변화였다. 같은 해, 일리노이 지부 부의장 프레드 햄프턴은 성차별주의를 비판하는 회의를 열었다.[164] 1969년 이후 당은 성차별주의를 반혁명적인 것으로 규정했다.[164]
흑표당은 아프리카계 미국 여성의 독특한 경험에 주목하여 '우먼니즘(womanist)' 이데올로기를 채택했고,[170] 성차별보다 인종차별이 더 주요한 억압 기제임을 강조했다.[171] 우먼니즘은 흑인 민족주의와 여성 옹호가 결합된 형태로,[170] 성 문제보다는 인종과 공동체 투쟁을 우선시했다.[170] 우먼니즘은 기존 페미니즘이 인종과 계급 투쟁을 충분히 다루지 않아 백인 중심주의의 일부가 되었다고 보았다.[170][170] 일부 페미니즘 관점과 달리, 우먼니즘은 남성이 여성보다 우월하지 않지만 가정과 공동체 내에서 다른 역할을 가지며,[170] 남성과 여성이 아프리카계 미국인 문화와 공동체 보존을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70]
1960년대 초 피임약 규제와 맞물려, 출산자로서 여성의 역할이 아프리카계 미국 여성들에게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피임약 도입은 성혁명의 계기가 되기도 했지만, 흑표당 일부에서는 이를 흑인 해방의 잠재적 방해물이자 미국의 우생학 및 강제 불임 수술 역사와 연결지어 흑인 신체 통제의 연장선으로 보기도 했다. 활동가 토니 케이드 밤바라는 피임약을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출산율을 제한하려는 시도이자 인종 자멸의 한 형태로 비판한다.[172]
이후 당 신문은 캐슬린 클리버, 앤절라 데이비스, 에리카 허긴스 등을 지적이고 정치적인 혁명가로 묘사했다.[164] 또한 여성을 무장 자위 운동의 적극적인 참여자로, 아이들과 총을 들고 가정과 공동체를 지키는 존재로 그리기도 했다.[164]
경찰이 많은 남성 지도자들을 탄압하면서[168] 1968년경에는 여성 당원이 전체의 3분의 2를 차지하게 되었고, 남성 지도부의 공백 속에서 여성들은 조직의 모든 영역으로 진출했다.[168][173] 이들은 지도직을 맡고, 지역 사회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흑인 공동체를 조직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여성들은 당내 성차별 문제에 주목하고 내부 개혁을 위해 노력했다.[174] 1968년부터 1982년 폐간까지 흑표당 신문의 편집장은 모두 여성이었으며, 마지막 편집장은 조니나 아브론-어빈이었다.[164] 1970년에는 당원의 약 40%에서 70%가 여성이었고,[164] 아이오와주 디모인과 코네티컷주 뉴헤이븐 지부와 같은 여러 지부는 여성이 이끌었다.[166]
1970년대에 당은 가난한 여성들의 낙태 접근권 제한 문제를 인식하고 생식권을 공식적으로 지지했다.[164] 같은 해 미국의 매춘을 비판하고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164]
많은 여성 당원들이 조직 활동에 전념하기 위해 보육 지원을 요구하자, 당은 여러 지부에 아동 발달 센터를 설립하여 이에 대응했다. 보육은 집단 활동으로 이루어졌으며, 흑표당의 집산주의와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확대 가족 전통에 따라 아이들을 공동으로 양육했다. 이는 여성 당원들이 어머니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당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도왔다.[175]
그러나 당은 성차별과 성적 억압 문제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특히 오클랜드 지부에서는 성희롱과 갈등이 잦았다.[176] 팬서 21 사건으로 뉴욕 지도부가 투옥된 후 오클랜드 당원들이 지원을 갔을 때, 그들의 남성 중심적 태도 때문에 뉴욕 여성 당원들이 총으로 저지해야 할 정도였다.[177] 일부 지도자들은 성평등 추구가 남성에게 위협이 되고 인종 평등 투쟁의 초점을 흐린다고 생각했다.[164] 이에 시카고와 뉴욕 지부 등은 성평등을 우선 과제로 삼고 성차별적 태도를 없애려 노력했다.[166] 흑표당 해체 시점에는 성평등 규범을 위반한 남성을 징계하는 것이 공식 정책이었다.[166]
5. 유산과 영향
흑표당은 비록 짧은 기간 활동했지만, 미국 사회와 전 세계 여러 운동에 깊고 복합적인 유산을 남겼다. 이들은 말콤 X의 사상과 블랙 파워 운동의 영향을 받아 1966년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서 창설되었으며[213][214][215], 경찰의 폭력에 맞서 흑인 공동체의 자위권과 존엄성을 급진적인 방식으로 주장했다. 샷건 등으로 무장하고 경찰 활동을 감시하는 모습이나, 검은 베레모와 가죽 재킷으로 상징되는 이들의 이미지는 흑인 사회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저항 정신을 확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46]
흑표당의 영향력은 흑인 사회를 넘어 미국 내 다양한 소수자 운동과 좌익 정치 세력, 그리고 국제적인 연대 운동으로까지 확장되었다. 이들은 스스로를 제3세계, 식민지와 동일시하며 베트남, 북한, 쿠바 등과의 연대를 표명했고[219], 아메리카 인디언 운동, 푸에르토리코인 단체, 중국계 미국인 단체, 치카노 단체, 백인 빈곤층 및 신좌파 학생 운동, 여성 해방 운동, 동성애자 해방 운동 등 다양한 그룹과 연대하여 반차별 및 반전 운동을 전개했다. 이는 당시 미국 사회의 억압받는 집단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연대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FBI의 강력한 탄압과 감시[247],[248],[249], 지도부의 범죄 연루 및 살해 혐의[144][145][146][246], 그리고 엘드리지 클리버와의 노선 갈등과 같은 내부 분열[246] 등으로 인해 1970년대 들어 급격히 쇠퇴했다. 창립자 휴이 뉴턴은 아이들을 위한 무료 급식 제공과 같은 지역 사회 봉사 프로그램과 선거 정치 참여를 통해 재기를 모색했으나[246], 당의 과격한 이미지와 내부 문제는 극복하기 어려웠다. 결국 1980년대 초반 사실상 해체되었지만[148][160][147], 흑표당의 급진적인 저항 정신, 사회 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개입 시도, 그리고 문화적 상징들은 이후의 민권 운동, 힙합 문화, 그리고 다양한 사회 운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247],[248],[249]
5. 0. 1. 흑인 사회에 대한 영향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의 인종차별을 피해 대규모 이주를 통해 오클랜드를 비롯한 서부와 북부 도시로 이주한 흑인들은 새로운 환경에서 또 다른 차원의 빈곤과 차별에 직면했다.[31][32][33] 기존의 민권 운동이 남부의 법적 차별 해체에는 성과를 거두었지만, 북부와 서부 도시의 흑인들이 겪는 실업, 열악한 주거 환경, 정치적 소외 문제는 해결하지 못했다.[34][35] 특히 경찰 조직 내 흑인 비율은 극히 낮았고(1966년 오클랜드 경찰 661명 중 흑인은 16명[37]), 이는 경찰 폭력 문제로 이어졌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젊은 도시 흑인들을 중심으로 블랙 파워 운동이 등장했고, 흑표당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탄생하여 흑인 사회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쳤다.[36][38]흑표당은 흑인 사회의 자긍심을 높이고 경찰 폭력에 대한 저항을 조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들은 '흑표당'이라는 이름과 검은 베레모, 가죽 재킷 등의 독특한 유니폼을 통해 흑인의 강인함과 존엄성을 시각적으로 드러냈다.[246] 특히 캘리포니아주의 공개 총기 휴대법을 활용하여, 무장한 상태로 경찰의 활동을 감시하는 '무장 순찰' 활동을 벌였다.[53] 이는 경찰의 위법 행위를 견제하고, 흑인들에게 스스로를 방어할 권리가 있음을 일깨워주는 상징적인 행동이었다.[54] 경찰에게 제지당할 경우 관련 법 조항을 제시하며 대응했고, 부당한 공권력 행사에 대해서는 법적 대응도 불사했다.[54] 1967년 리치몬드에서 비무장 흑인 청년 덴질 도웰이 경찰 총격으로 사망한 사건[62]에 개입하여 집회를 열고 무장 자위의 필요성을 알리는 등[63][64], 경찰 폭력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지역 사회의 지지를 얻기도 했다.[66]
흑표당의 영향력은 미국 사회 전반으로 퍼져나갔다.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메달리스트 토미 스미스와 존 칼로스가 시상대에서 검은 장갑을 끼고 주먹을 들어 올린 블랙 파워 경례는 흑표당의 정신을 전 세계에 알린 상징적인 사건이었다.[246] 제인 폰다와 같은 헐리우드 유명 인사들이 공개적으로 지지를 표명했으며, 백색 표범당(White Panther Party)과 같은 다른 좌익 단체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246][109] 또한, 흑표당은 단순히 무장 투쟁만을 내세운 것이 아니라, 10개 항 계획을 통해 완전 고용, 적절한 주택과 교육, 경찰 폭력 종식 등을 요구하며 흑인 사회의 구체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1970년대 들어 휴이 뉴턴은 노선을 변경하여 아이들을 위한 무료 급식 제공과 같은 지역사회 봉사 프로그램을 강조하고 선거 정치 참여를 모색하기도 했다.[246]
하지만 흑표당은 과격한 이미지와 내부 문제로 인해 많은 비판과 논란에 휩싸였고, 결국 쇠퇴의 길을 걸었다. "돼지들을 몰아내자!"[59]와 같은 선동적인 구호와 공공장소에서의 무기 휴대는 흑표당을 폭력적인 조직으로 보이게 만들었으며[57][58], 이는 정부의 탄압 빌미를 제공하기도 했다. 창립자 휴이 뉴턴은 1967년 경찰관 살해 혐의로 유죄 판결(이후 번복)을 받았고[76], 1974년에는 다른 살인 및 폭행 혐의로 기소되어 쿠바로 망명하는 등[144][145][146] 지도부의 범죄 연루는 당의 도덕성에 큰 타격을 입혔다. 뉴튼은 1989년 마약 관련 사건으로 총격 사망했다.[246]
내부적으로도 노선 갈등과 분열이 심각했다. 뉴튼이 지역사회 프로그램과 선거 참여를 강조하자, 즉각적인 무장 투쟁을 주장한 엘드리지 클리버와 같은 강경파와의 갈등이 불거졌다.[246] 또한, 1977년 뉴튼이 여성 간부 레지나 데이비스 폭행을 승인한 사건[155]은 당내 여성 차별 문제를 드러냈고, 당시 여성 지도자였던 일레인 브라운의 사퇴로 이어졌다.[159] 이러한 외부의 탄압과 내부의 문제들이 겹치면서 흑표당은 급격히 세력을 잃었다. 1980년 당원 수는 27명으로 급감했고, 뉴튼의 자금 횡령 의혹 속에서 흑표당이 운영하던 오클랜드 지역 사회 학교가 1982년 문을 닫으면서 당은 사실상 해체되었다.[148][160][147]
결론적으로 흑표당은 흑인 사회의 자존감을 높이고 인종차별과 경찰 폭력에 대한 저항 의식을 확산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지만, 동시에 폭력적인 이미지와 심각한 내부 문제로 인해 한계를 드러내며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5. 0. 2. 다른 운동에 대한 영향
흑표당의 슬로건과 도상은 널리 퍼져나갔다.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메달 시상식에서 토미 스미스와 존 칼로스가 블랙 파워 슬로건을 내보인 것은 대표적인 사례이며, 이 일로 그들은 국제 올림픽 위원회로부터 추방당했다. 제인 폰다와 같은 헐리우드 유명 인사들이 흑표당의 좌익 프로그램에 연루되기도 했으며, 제인 폰다는 1970년대 초반 공개적으로 휴이 뉴턴과 흑표당을 후원했다. 이처럼 흑표당은 좌익 혁명가들과 정치 활동가들에게 넓은 영향을 미쳤다. 1960년대 후반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과 함께 활동하며 백인 급진주의자들인 신좌파 세력과 연대하기도 했으나, 지도부 구속과 FBI의 탄압 등으로 세력이 약화되었다.[247],[248],[249]흑표당은 '방어적' 폭력을 내세웠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여성 운동 측면에서도 주목받았다. 당을 이끌었던 여성 활동가들의 역할이 컸기 때문이다. 안젤라 데이비스는 현재 캘리포니아 산타크루즈 대학의 종신교수로, 과거 산 퀘튼 죄수 탈취 계획 및 살인 사건 연루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18개월의 투옥 끝에 무죄를 선고받았다. 이 사건은 그녀에 대한 광범위한 지지를 불러일으켰으며, 이후 여성 인권에 큰 영향을 미치는 활동을 이어갔다. 그녀의 대표작으로는 [여성과 문화와 정치]가 있다.
투팍의 친모로도 알려진 아사타 샤커는 흑표당의 무료 아침 식사 프로그램을 담당했으며, 당내의 마초적인 분위기를 비판할 만큼 당당한 여성이었다. 이후 흑표당 군대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FBI의 주요 감시 대상이 되었다. 힙합 팬들에게 의식 있는 MC로 인정받는 커먼은 그의 앨범 [Like Water For Chocolate]의 수록곡 "Song for Assata"를 통해 그녀를 기리기도 했다.
음악계에서도 흑표당의 정신과 영향력을 찾아볼 수 있다. 펑카델릭(Funkadelic)의 1979년 앨범 [Uncle Jam Wants You]의 표지는 휴이 뉴튼이 중앙에 앉아 있는 유명한 흑표당 포스터를 오마주하여 조지 클린턴이 그 자리에 앉아 있는 디자인이다. 앨범 제목 역시 미국 징병 포스터 'Uncle Sam Wants You'를 패러디한 것이다. 수록곡 "Uncle Jam"은 혁명 동참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Funk'라는 단어의 의미를 재해석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흑표당의 대변인이자 재즈 뮤지션이었던 엘라인 브라운은 1969년 앨범 [Seize the Time]을 발표했고, 수록곡 "The Meeting"은 흑표당의 당가로 사용되었다. 흑표당과 엘라인 브라운의 음악은 질 스콧 헤론이나 라스트 포잇츠 같은 급진적인 흑인 뮤지션들에게도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된다.[247],[248],[249]
5. 0. 3. 신 흑표당
1989년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신 흑표당(New Black Panther Party)이 결성되었다. 10년 후, 신 흑표당은 칼리드 압둘 무함마드가 의장을 맡으면서 네이션 오브 이슬람 전 단원들의 본부가 되었다.반명예훼손연맹(Anti-Defamation League)과 남부빈곤법률센터(Southern Poverty Law Center)는 신 흑표당을 선동적인 단체로 간주하였다. 원래 흑표당의 당원들은 이 신 흑표당이 적법하지 않으며 '새로운 흑표당은 없다'고 주장하며 강력히 반대했다.
6. 논쟁
흑표당 초기에는 휴이 뉴튼과 바비 실에게 여성 당원 모집은 우선순위가 낮았다.[178] 시일은 뉴턴이 "매춘을 알선했던 형제들, 마약을 팔았던 형제들, 아무에게도 굴복하지 않는 형제들, 경찰과 싸웠던 형제들"을 주로 영입 대상으로 삼았다고 회고했다. 그는 한 여성이 모임에 와서 "여성 지도력"에 대해 질문하기 전까지는 여성들이 투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지 못했다고 밝혔다.[179]
당시 흑표당 내에는 성차별 문제가 존재했다는 증언도 있다. 여성 당원이었던 레지나 제닝스(Regina Jennings)는 많은 남성 지도자들이 "억제되지 않은" 성차별적 태도를 보였으며, 자신의 임무 중 하나는 "그들의 마음에서 잠자리를 없애는 것"이었다고 회상했다. 그녀는 오클랜드에서 십대 시절 삶과 공동체에 목적을 더하기 위해 무언가를 찾던 중 흑표당에 가입했다. 경찰의 폭력 속에서 자랐던 그녀에게 이는 새로운 문제가 아니었으며, 가입 목표는 "인종차별을 부수는 것"이었다. 그녀는 여성이기 전에 흑인으로서 자신을 보았고, 그녀의 공동체에서는 그 정체성이 자신을 가장 크게 억누르는 것이라고 느꼈기 때문이다.[179] 제닝스는 일부 당원들이 자신을 FBI 정보원으로 의심했지만, 한 지도자가 유머를 섞어 "그녀는 FBI 출신이 되기엔 너무 어리석다"고 말하며 그들을 안심시켰던 일화를 전했다. 그는 제닝스의 변장과 말이 너무 정직하고, 너무 시끄럽고, 너무 우스꽝스러워서 진지하게 받아들일 수 없다고 생각했다.[179]
6. 1. 폭력성 논란
흑표당은 창립 초기부터 무기 소지 권리를 활용하여 경찰의 폭력에 맞서는 자기방어 전략을 채택했다. 당시 오클랜드를 비롯한 미국 내 흑인 거주 지역에서는 경찰의 과도한 폭력과 인종차별적 행태가 만연했으며, 흑표당은 이러한 현실에 대응하기 위해 말콤 X의 자기방어 철학을 따라 무장 순찰 활동을 시작했다.[235]흑표당원들은 총기를 공개적으로 휴대하고 경찰의 활동을 감시했으며, 경찰과 대치할 경우 법률 지식을 동원하여 자신들의 권리를 주장했다. 휴이 뉴튼은 법률 서적과 총을 함께 들고 경찰에게 무기 소지 및 경찰 활동 감시의 합법성을 설명하기도 했다. 이러한 활동은 흑인 공동체에게 경찰의 위협에 맞서는 강력한 상징으로 받아들여졌지만[235], 동시에 흑표당에게 공격적인 집단이라는 이미지를 부여하는 계기가 되었다. 1967년 5월 2일, 총기로 무장한 흑표당원 30명이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의 주 의사당에 진입하여 총기 규제 법안에 항의한 사건은 이러한 이미지를 더욱 굳혔다. 이 사건으로 바비 실을 포함한 일부 당원들이 체포되었다.
흑표당의 무장 활동은 경찰 및 다른 단체와의 잦은 유혈 충돌로 이어졌다.
- 1967년 10월 28일, 당의 지도자 휴이 뉴튼은 오클랜드에서 경찰관 존 페이(John Frey)를 사살한 혐의로 체포되었다. 이 총격전에서 뉴튼 자신과 다른 경찰관 허버트 힌즈(Herbert Heanes)도 부상을 입었다. 뉴튼은 살인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1970년 항소심에서 판결이 뒤집혀 석방되었다.
- 1968년 4월 6일, 마틴 루터 킹 암살 직후 오클랜드에서 경찰과 흑표당 간의 총격전이 벌어져 당원 바비 허튼(Bobby Hutton)이 사망하고 엘드리지 클리버가 부상을 입었다.
- 1968년 8월 5일, 로스앤젤레스에서 경찰과의 총격전으로 흑표당원 3명이 사망했다.
- 1969년에는 시카고, 로스앤젤레스 등지에서 경찰 및 다른 흑인 민족주의 단체(US Organization)와의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다수의 흑표당원이 사망했다. 특히 1969년 12월 4일, 시카고 지부의 리더 프레드 햄프턴과 마크 클라크(Mark Clark)가 경찰의 급습 과정에서 사살된 사건은 미국 연방수사국(FBI)의 COINTELPRO 프로그램과 연계된 계획적인 암살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 1970년 봄에는 오클랜드 흑표당원들이 총과 폭발물을 사용하여 경찰관 2명에게 부상을 입히기도 했다.
통계에 따르면 1967년 가을부터 1970년 말기까지 경찰관 9명이 사망하고 56명이 부상했으며, 흑표당원 최소 10명이 경찰과의 충돌로 사망했다. 1969년 한 해에만 348명의 흑표당원이 다양한 혐의로 체포되었다. 이러한 폭력 사태는 FBI가 흑표당을 급진적이고 위험한 조직으로 규정하고 COINTELPRO를 통해 와해 공작을 벌이는 빌미를 제공하기도 했다.
흑표당의 폭력성은 외부와의 충돌뿐 아니라 내부에서도 심각한 문제로 나타났다.
- 1969년 초부터 당 내부 규율 강화와 정보원 색출 등을 명목으로 여러 차례 당원 숙청이 이루어졌다.
- 1969년 5월, 뉴헤이븐 지부에서는 정보원으로 의심받던 당원 알렉스 래클리(Alex Rackley)가 다른 당원들에게 고문을 당한 뒤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에는 바비 실도 연루되어 기소되었으나 무죄 판결을 받았다.
- 1971년에는 휴이 뉴튼과 알제리로 망명해 있던 엘드리지 클리버 사이의 노선 갈등이 폭력적으로 비화되어, 양 파벌 간의 보복 살해 시도로 최소 4명이 사망했다. 뉴튼은 클리버를 포함한 국제 지부 당원들을 제명했다.
- 1974년에는 뉴튼이 바비 실을 포함한 핵심 창립 멤버들을 축출했으며, 같은 해 8월에는 10대 성매매 여성이었던 캐슬린 스미스(Kathleen Smith)를 살해한 혐의로 기소되자 쿠바로 도피했다. 엘라인 브라운(Elaine Brown)이 당의 지도부를 맡게 되었다.
- 1974년 12월에는 당의 재정 비리를 조사하던 회계사 베티 밴 패터(Betty Van Patter)가 살해되는 사건까지 발생했다.
흑표당의 폭력성에 대해서는 상반된 평가가 존재한다. 흑표당의 무장 투쟁은 당시 만연했던 인종차별과 경찰 폭력에 대한 정당방위이자 억압받는 흑인 공동체를 보호하기 위한 불가피한 수단이었다는 옹호론이 있다. 흑표당의 등장은 흑인들에게 심리적 해방감을 주었고, 스스로를 지킬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주었다는 평가도 있다.[235] 반면, 흑표당이 과도한 폭력과 범죄 행위에 연루되었으며, 특히 내부의 잔혹한 폭력과 숙청은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흑표당의 공격적인 이미지는 대중적 지지를 넓히는 데 장애가 되었고, 결국 조직의 쇠퇴를 가져온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 1970년 7월, 휴이 뉴튼은 뉴욕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폭력을 지지한 적 없다"고 선언하며 노선 변화를 시도하기도 했으나, 이미 굳어진 폭력적 이미지를 벗어나기는 어려웠다.
6. 2. 평가
흑표당이 미국 사회와 지역 공동체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다양한 평가가 존재한다.작가 자마 라즈로우(Jama Lazerow)는 흑표당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흑표당원들이 맬컴 X(Malcom X)가 강조했던 질서, 자부심, 침착한 자신감을 계승했으며, 추상적인 민족주의에 용기를 불어넣었다고 보았다. 또한, 젊은 흑인 노동 계층이 인종 문제와 베이 에리어 신좌익(New Left) 정치에 참여하도록 이끌어 흑인 사회 내에서 영웅적인 존재가 되었다고 평가했다. 라즈로우에 따르면, 1966년 흑표당은 오클랜드의 빈민가를 자신들의 영역으로, 경찰을 외부 침입자로 규정하며 지역 사회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특히 '경찰을 감시하자'라는 슬로건은 당시 대부분 백인으로 구성된 경찰의 폭력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키는 역할을 했다.[237] 퍼듀 대학교의 쥬드슨 제퍼리스(Judson L. Jefferies) 교수는 흑표당을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흑인 개혁 집단'으로 평가하기도 했다.[238] 로스앤젤레스 타임즈(The Los Angeles Times)는 한 서평에서 흑표당을 '대단한 정치적, 문화적 세력'이자 '똑똑하고 폭발적인 몽상가들의 운동'이라고 묘사했다.[239]
반면, 흑표당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기자 휴 피어슨(Hugh Pearson)은 저서 『흑표범의 이면 : 휴 뉴튼과 흑인 권력의 대가』에서 흑표당의 범죄 행위와 잔인함이 오히려 미국 내 흑인 빈민가의 상황을 악화시켰다고 주장했다. 일부 비평가들은 흑표당이 '총기를 미화'하고 '폭력배 근성'을 조장한 것이 이후 수십 년간 흑인과 백인 간의 갈등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한다.[240] 전 정보부 장관이었던 엘드리지 클리버(Eldridge Cleaver)는 흑표당을 떠난 후 가진 인터뷰에서, 흑표당의 유산 중 일부는 법에 대한 무시와 무분별한 폭력을 포함한다고 인정하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그는 자신이 과거에 폭력적인 흑인 군국주의를 선전했던 것이 성공했다면 '완전한 피바다'로 이어졌을 것이라고 술회했다. 또한, 클리버는 흑인 부르주아 계층이 흑인 빈곤층 문제에 무관심했던 점과, 바람직한 역할 모델의 부재로 인해 젊은 흑인들의 투쟁 정신과 정의감을 제대로 이끌지 못했다는 점에 대해 아쉬움을 나타냈다.[241][242][243][244][245]
7. 관련 인물
흑표당의 창립과 활동에는 여러 인물이 영향을 주거나 직접 참여했다. 휴이 뉴턴, 바비 실, 엘드리지 클리버, 안젤라 데이비스, 말콤 엑스 등 핵심적인 인물들 외에도 다음과 같은 관련 인물들이 있다.
- 로버트 F. 윌리엄스(Robert F. Williams영어): 흑인 시민권 운동 단체인 “혁명적 행동 운동(Revolutionary Action Movement, RAM)”의 지도자로, 휴이 뉴턴에게 영향을 주었다.[211]
- 스토클리 카마이클(Stokely Carmichael):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SNCC) 출신으로, 한때 흑표당의 명예 의장을 맡았으나 사상 등의 차이로 탈당했다.[216]
- 샘 네이피어(Sam Napier영어): 흑표당 신문 배포부장이었으며, 사무실에서 경찰에 의해 총격으로 사망했다.
- 데이비드 힐리어드(David Hilliard영어): 참모총장으로, 바비 실과 휴이 뉴턴이 체포된 후 당을 지휘했다.
- 조지 잭슨(George Jackson): 야전 사령관으로, 감옥 안에서 수감자들을 조직하는 데 힘썼다.
- 조나단 잭슨(Jonathan Jackson영어): 조지 잭슨의 동생으로, 형의 석방을 요구하며 지방 법원에 난입했다가 경찰관에게 총격으로 사망했다.
- 캐슬린 클리버(Kathleen Cleaver): 엘드리지 클리버의 아내이자 흑표당의 주요 여성 활동가 중 한 명이었다.
- 에몰리 더글러스(Emory Douglas영어): 당 문화장관으로, 기관지 The Black Panther영어 등에 혁명 투쟁을 묘사한 그림과 풍자화를 다수 기고했다.
- 보비 허튼(Bobby Hutton): 1951년생으로, 1966년 15세의 나이로 입당하여 바비 실, 휴이 뉴턴에 이은 세 번째 당원이 되었다. 1968년 4월 7일,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서 경찰의 공격을 받아 총격으로 사망했다.
- 프레드 햄프턴(Fred Hampton): 일리노이주 지부 의장이었으며, 1948년 8월 30일생이다. 1969년 12월 4일, 일리노이주 쿡군의 자택 아파트에서 일리노이주 경찰과 연방수사국(FBI)에 의해 살해되었다.
- 리처드 아오키(Richard Aoki영어): 당 창립 당시 멤버 중 한 명인 일본계 미국인이다. 1938년 캘리포니아주 산 레안드로 출신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계 미국인 강제 수용 정책에 따라 1942년부터 1945년까지 토파스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그의 사후, 아오키가 실제로는 흑표당 내부의 FBI 정보원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7. 1. 말콤 엑스
말콤 엑스는 미국 흑인을 대표하는 인권 운동가였다. 그는 당시 주류였던 비폭력주의 인권 운동의 한계를 지적하며 그 무력함을 강조했다. 말콤 엑스의 이러한 이론은 흑표당 창립 당시 젊은 흑인들에게 새로운 흑인 애국주의 전통을 일깨워 주었다. 특히 마틴 루터 킹과는 다른 관점에서, 비폭력주의적 협상 과정에서 좌절을 겪던 흑인들에게 새로운 동기를 부여했으며, 거듭된 어려움에 직면했던 북서부 지역 흑인들에게 새로운 탈출구를 제시했다.1965년, 말콤 엑스가 암살된 이후 흑표당의 활동이 시작되었고,[213][214][215] 당은 전투적인 측면에서 그의 폭력주의를 계승했다. 이는 마틴 루터 킹의 비폭력주의를 부정했던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SNCC)의 스토클리 카마이클[216]과도 일시적으로 연결되었으나, 이후 사상적 차이로 그는 당을 떠났다. 흑표당 지도부는 말콤 엑스를 비롯해 프란츠 파농[217], 체 게바라[218] 등의 사상에서도 영향을 받았다.
7. 2. 휴이 뉴턴
휴이 뉴턴(Huey P. Newton, 1942년 2월 17일 ~ 1989년 8월 22일)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정치 운동가이자 혁명가로, 1966년 바비 실과 함께 흑표당(Black Panther Party, BPP)을 공동 창립했다. 그는 흑표당의 핵심 이념가이자 지도자였다.뉴턴은 1942년 루이지애나주 몽로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족은 대이동 시기에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로 이주했다. 오클랜드에서 성장하며 인종 차별과 경찰 폭력을 겪었고, 이는 그의 정치 사상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메리트 칼리지와 샌프란시스코 로스쿨에서 법학을 공부했으며, 여기서 얻은 법률 지식은 이후 흑표당 활동의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211] 그는 로버트 F. 윌리엄스가 이끄는 혁명적 행동 운동(Revolutionary Action Movement, RAM)과 같은 급진적인 흑인 민권 운동 단체로부터 영향을 받았다.[211] 오클랜드 북부 빈곤 대책 센터에서 일할 당시, 뉴턴은 경찰 폭력에 대한 조사 위원회 설치를 요구하며 500명의 서명을 모으기도 했다.
1966년 10월, 뉴턴은 메리트 칼리지 친구였던 바비 실과 함께 오클랜드에서 흑표당을 창립했다.[213][214][215] 초기 흑표당은 맬컴 X의 사상과 자기 방어 원칙에 영향을 받아, 캘리포니아주 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총기를 휴대하고 경찰의 활동을 감시하는 '경찰 감시(police patrol)' 활동을 벌였다.[53][54] 뉴턴은 흑표당의 '국방부 장관(Minister of Defense)'을 맡았으며, 당의 이념과 전략 수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그들은 흑표당 10개항 프로그램을 통해 흑인 공동체의 자결권, 완전 고용, 양질의 주거, 교육 개혁, 경찰 폭력 종식 등을 요구했다.[56] 뉴턴과 실은 당의 상징적인 복장으로 검은 가죽 재킷, 검은 바지, 검은 베레모를 채택했다.
뉴턴의 사상은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이론, 특히 칼 마르크스, 레닌, 마오쩌둥의 저작과 프란츠 파농, 체 게바라 등 제3세계 혁명가들의 사상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217][218] 그는 마오 주석 어록을 당원들에게 배포했으며, 1971년에는 중국을 방문하기도 했다. 뉴턴은 흑표당의 민족주의를 '혁명적 민족주의'로 정의하며, 이는 인종적 정체성을 넘어 전 세계 피억압 민족과의 연대와 제국주의에 맞선 투쟁을 지향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 내 흑인 공동체를 일종의 내부 식민지로 보고,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의 해방 운동과 연대하고자 했다. 이러한 사상을 바탕으로 '인터커뮤널리즘(Intercommunalism)'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1967년 10월 28일, 뉴턴은 오클랜드 경찰관 존 프레이(John Frey)와의 총격전 끝에 프레이를 살해한 혐의로 체포되었다. 이 사건은 '휴이를 석방하라(Free Huey)' 운동을 촉발하며 흑표당에 대한 전국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1968년 뉴턴은 자발적 살인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항소심에서 절차상 하자를 이유로 1970년 판결이 파기되었고, 이후 두 차례의 재심에서 배심원 평결 불일치로 유죄가 확정되지 않아 결국 풀려났다.
감옥에서 풀려난 후 뉴턴은 흑표당의 방향 전환을 시도했다. 그는 당의 활동 초점을 무장 투쟁보다는 무료 아침 식사 제공, 무료 진료소 운영, 겸형 적혈구 빈혈증 검사 등 지역 사회를 위한 생존 프로그램(survival programs)에 집중하려 했다. 또한 1970년 7월 뉴욕 타임스 기고를 통해 "우리는 폭력 지지를 한 적 없다"고 선언하며 당의 이미지를 쇄신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 시기 흑표당 내부에서는 심각한 갈등이 발생했다. 특히 알제리로 망명 중이던 엘드리지 클리버와의 이념과 노선을 둘러싼 갈등이 격화되었다. 뉴턴은 1971년 클리버와 그의 지지자들을 당에서 축출했고, 이는 당의 분열과 폭력 사태로 이어져 양측 모두에서 사망자가 나오기도 했다. 뉴턴은 당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며 1972년 전국의 지부들을 대부분 폐쇄하고 활동 중심을 오클랜드로 집중시켰다. 1974년에는 공동 창립자인 바비 실을 포함한 핵심 간부들을 추가로 축출했다.
1974년 뉴턴은 17세 매춘부 캐슬린 스미스(Kathleen Smith) 살해 혐의와 자신의 재단사를 폭행한 혐의로 다시 기소되었다. 그는 재판을 피해 쿠바로 망명했다가 1977년 미국으로 돌아와 재판에 임했다. 증인의 증언 번복과 고소 취하 등으로 두 혐의 모두 무죄 판결을 받았다.[144][145][146]
말년의 뉴턴은 마약 중독과 법적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 1989년 8월 22일, 그는 오클랜드 거리에서 마약 거래와 관련된 총격으로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흑표당 시대의 종언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여겨진다.
휴이 뉴턴은 미국 흑인 민권 운동사에서 가장 중요하면서도 논쟁적인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흑인의 자결권과 존엄성을 강력히 주장했으며, 흑표당을 통해 흑인 공동체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사회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그러나 그의 급진적인 사상과 방법론, 그리고 말년의 개인적인 문제들은 여전히 많은 논란을 낳고 있다.
7. 3. 바비 실
왼쪽 위에서 오른쪽으로: 엘버트 "빅 맨" 하워드, 휴이 뉴턴 (국방장관), 셔윈 포르테, '''보비 실''' (의장);아래: 레지 포르테와 리틀 보비 허튼 (재무).||||261x261px]]
'''바비 실'''(Bobby Seale영어, 1936년 10월 22일 ~ )은 미국의 정치 활동가이자 흑표당의 공동 창립자이다.
1966년 10월, 그는 메리트 칼리지 동창인 휴이 뉴턴과 함께 오클랜드에서 흑표당을 결성하고 초대 의장을 맡았다.[213][214][215] 흑표당 결성 이전, 실과 뉴튼은 오클랜드 북부의 빈곤 반대 센터에서 함께 일했으며, 로버트 F. 윌리엄스가 이끄는 혁명적 행동 운동(RAM)에 가입하기도 했다. 그들은 흑표당의 강령인 10개항 계획을 작성하고, 검은 가죽 재킷, 검은 바지, 검은 베레모, 그리고 총기로 구성된 당의 상징적인 유니폼을 결정하는 데 참여했다.
흑표당 의장으로서 실은 당의 초기 활동을 이끌었다. 그는 경찰 폭력에 맞서기 위한 무장 순찰 활동과 지역 사회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그의 활동은 FBI의 집중적인 감시와 탄압 대상이 되었다. 특히 FBI는 COINTELPRO 프로그램을 통해 흑표당을 와해시키려 했다.
1969년 8월, 실은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에서 발생한 흑표당원 알렉스 래클리(Alex Rackley) 살해 사건과 관련하여 기소되어 투옥되었다. 이는 시카고 세븐 재판과 맞물려 그에게 큰 시련을 안겼다. 그는 재판 과정에서 자신의 권리를 강력히 주장하며 판사와 충돌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1971년 5월, 증거 불충분으로 래클리 살인 혐의에 대해 무죄 판결을 받고 석방되어 오클랜드로 돌아왔다.
석방 후 실은 당내 노선 갈등에 휘말렸다. 1973년에는 오클랜드 시장 선거에 출마했으나 엘라인 브라운과 함께 낙선했다. 선거 패배 이후 당내 영향력은 약화되었고, 1974년 초 휴이 뉴턴에 의해 다른 핵심 당원들과 함께 흑표당에서 퇴출되었다.
흑표당 활동 이후, 실은 주로 강연과 저술 활동에 집중하며 자신의 경험과 사상을 전파했다. 그는 여러 대학에서 강단에 서기도 했다.
7. 4. 엘드리지 클리버
엘드리지 클리버(Eldridge Cleaver, 1935년 8월 31일 ~ 1998년 5월 1일)는 흑표당의 초기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당의 정보장관(Minister of Information)을 역임했다. 그는 1935년 아칸소주에서 태어났다.1968년 초봄, 그의 자전적 에세이 모음집인 «차가운 영혼»(Soul on Iceeng)이 출간되어 큰 반향을 일으켰다. 같은 해 4월 6일, 클리버가 이끄는 흑표당 무장대가 오클랜드 경찰과 총격전을 벌이는 사건이 있었고, 이 총격전으로 당시 17세였던 당원 바비 허튼(Bobby Hutton)이 사망했다. 클리버 본인도 이 사건으로 체포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다.
1968년 9월 말, 클리버는 보석 상태에서 쿠바로 탈출했으며, 이후 알제리로 망명했다. 망명지에서도 활동을 이어갔으나, 1971년 2월, 당시 지도자였던 휴이 뉴턴과 생방송 인터뷰 중 공개적으로 격렬한 논쟁을 벌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뉴턴은 클리버와 흑표당 국제 지부 회원들을 당에서 축출했다. 이 분열은 뉴턴파와 클리버파 사이의 폭력적인 충돌로 이어졌고, 1971년 봄에는 양측 간 보복 살해가 벌어져 4명이 사망하는 비극이 발생하기도 했다.
클리버는 쿠바와 프랑스 등지에서 망명 생활을 하다가 1975년 미국으로 귀국했다. 귀국 후 그는 이전의 급진적인 사회주의 성향에서 벗어나 보수주의자로 전향하는 극적인 사상 변화를 보였다. 그는 기독교 복음주의자가 되었고, 통일교 신자가 되기도 했다. 정치적으로는 우파 성향을 보이며 로널드 레이건의 공화당 정권을 지지했다.
엘드리지 클리버는 1998년 5월 1일 사망했다. 그의 삶은 흑인 해방 운동의 급진적인 투사에서 보수주의자로 전향하기까지 극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7. 5. 안젤라 데이비스
안젤라 데이비스는 1960년대에 활동한 흑인 인권 운동가이자 급진적 여성주의자로 알려져 있다. 그녀는 흑표당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공식 당원은 아니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재학 중 흑표당 창당 소식을 듣고 미국으로 돌아올 만큼 흑인 인권 운동에 깊이 관여했다. 시민 평등권 운동에 적극 참여했으며, 미국 공산당의 당원이기도 했다. 이후 대학에서 조교수 및 교수로 활동했으며, 후에 레즈비언임을 공개적으로 밝혔다.8. 규칙
흑표당은 당원들에게 다음과 같은 26개 규칙을 규정했다.
# 당원은 활동 중에 마약을 사용할 수 없다.
# 마약이 발견된 당원은 추방된다.
# 당원은 활동 중에 술에 취할 수 없다.
# 당원은 사무실 업무, 당 회의 등 당 활동과 관련된 규칙을 어기거나 폭력을 행사할 수 없다.
# 당원은 누구에게도 불필요하게 또는 실수로 총을 겨누거나 발사하지 않는다.
# 당원은 흑인 해방 군대 외에 다른 군대에는 입대할 수 없다.
# 당원은 술이나 마약에 취했을 때 총을 소지할 수 없다.
# 당원은 다른 당원이나 흑인에게 범죄를 저지르지 않으며, 다른 사람의 물건을 훔치지 않는다.
# 흑표당원이 체포될 경우, 이름과 주소만 밝히고 어떤 서류에도 서명하지 않는다. 법률 지원의 중요성을 당원들에게 교육해야 한다.
# 흑표당의 10가지 강령과 연설 내용을 모든 당원이 알고 이해해야 한다.
# 당의 소식지는 전국 및 지역 단위로 발행되어야 한다.
# 10-10-10 프로그램은 모든 당원이 알고 이해해야 한다.
# 모든 재무 담당자는 재무부의 지휘 하에 활동해야 한다.
# 모든 당원은 하루 활동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한다.
# 각 부서의 지도자, 소대장, 대대장급 간부는 하루 활동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한다.
# 모든 흑표당원은 무기를 다루고 사용하는 방법을 확실히 배워야 한다.
# 당원을 추방시킨 모든 지도자는 해당 정보를 신문 편집자에게 전달하여, 각 지부와 지점에 알려지도록 해야 한다.
# 정치 교육 수업은 모든 당원의 의무이다.
# 사무 담당자만이 매일 지정된 사무실에 근무하며, 다른 당원들은 지역사회에서 신문을 판매하고 정치 활동을 해야 한다.
# 보고서 - 모든 지부는 매주 국립 본부에 서면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 모든 지점은 응급 치료를 시행할 수 있어야 한다.
# 모든 지부, 지점 및 흑표당의 모든 구성 조직은 매달 재정 보고서를 재무부와 중앙 위원회에 제출해야 한다.
# 지도자급 위치에 있는 모든 당원은 변화하는 정치 상황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매일 최소 두 시간 이상 독서해야 한다.
# 모든 지부는 국립 본부와의 연락 없이 어떤 정부 기관으로부터도 지원금이나 빈곤 구제 기금을 받지 않는다.
# 모든 지부는 흑표당 중앙 위원회가 결정한 정책과 이념을 따라야 한다.
# 모든 지점은 매주 해당 지부에 서면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9. 흑인 아동의 맹세
흑인 아동의 맹세는 1968년 셜리 윌리엄스(Shirly Williams)가 작성하여 흑표당 뉴스레터(The Black Panther Newsletter)에 기고한 글이다. 이 맹세는 흑표당의 호전성과 흑인 국민주의적 경향을 보여주는 동시에, 흑인 아동을 위한 신체적 건강, 교육, 마약으로부터의 절제, 협동과 지역 사회 결속의 중요성을 강조한다.[228]
# 나는 나의 흑인 민족에 대한 충성을 맹세한다.
# 나는 내 몸과 마음을 최고로 가능한 만큼 성장시킬 것을 맹세한다.
# 나는 자유를 위한 나의 민족의 투쟁에 내 최선을 제공하기 위하여 내가 배울 수 있는 모든 것을 배울 것을 맹세한다.
# 나는 나의 신체를 건강하게 유지할 것이며 육체를 강하게 단련시키고, 마약이나 그 외의 내 자신, 가족과 나의 흑인 형제와 자매들을 보호할 능력을 떨어뜨리는 모든 물질을 멀리할 것이다.
# 나는 변화를 더 빨리 불러오기 위하여 내 지식과 주변 상황에 대한 이해를 사심 없이 공유할 것이다.
# 나는 나태한 증오에 힘을 낭비하기보다는 생산적이고 생각이 깊게 에너지를 사용하는 방향으로 내 자신을 단련할 것이다.
# 우리는 모든 흑인 남성, 여성, 아이가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으로 강할 것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나는 자신을 단련시킴으로써 내 흑인 형제들과 자매들을 절대로 해치지 않을 것이며, 또한 다른 사람들이 그들을 해칠 수 없도록 할 것이다. 이러한 원칙들을 매일 실행하고 또 우리 민족을 단합시키기 위해 이 원칙들을 다른 사람들에게 가르칠 것을 맹세한다.[229]
참조
[1]
웹사이트
Black Panther Party: 1966–1982
https://repository.u[...]
2019-06-11
[2]
웹사이트
Black Panthers
https://www.history.[...]
2020-06-10
[3]
서적
On The Ideology of the Black Panther Party (Part 1)
http://www.freedomar[...]
Black Panther Party Ministry of Information
2021-02-02
[4]
harvard
[5]
웹사이트
"Concrete Analysis of Concrete Conditions":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lack Panther Party and Maoism Relationship between the Black Panther Party and Maoism
https://digitalcommo[...]
2021-02-22
[6]
웹사이트
Intercommunalism (1974)
https://www.viewpoin[...]
2020-06-08
[7]
웹사이트
Intercommunalism: The Late Theorizations of Huey P. Newton
https://www.viewpoin[...]
2020-06-08
[8]
harvard
[9]
서적
New Day in Babylon: The Black Power Movement and American Culture, 1965–1975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0]
뉴스
October 15, 1966: The Black Panther Party Is Founded
http://www.thenation[...]
2015-12-15
[11]
웹사이트
Mapping the Black Panther Party in Key Cities
http://depts.washing[...]
2017-01-01
[12]
뉴스
Britain's black power movement is at risk of being forgotten, say historians
https://www.theguard[...]
2017-01-02
[13]
서적
Black Routes to Islam
Palgrave Macmillan
[14]
harvard
[15]
harvard
[16]
서적
Body and Soul: The Black Panther Party and the Fight against Medical Discrimin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7]
harvard
[18]
웹사이트
Hoover and the F.B.I.
https://www.pbs.org/[...]
PBS
2013-01-24
[19]
뉴스
Hoover Calls Panthers Top Threat to Security
WP Company LLC d/b/a The Washington Post
1969-07-16
[20]
뉴스
Panthers 'threaten' U.S., Hoover says
Afro – American Company of Baltimore City
1969-07-26
[21]
서적
Ethics Along the Color Line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8
[22]
서적
From the Bullet to the Ballot: The Illinois Chapter of the Black Panther Party and Racial Coalition Politics in Chicago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13
[23]
간행물
Final Report of the Select Committee to Study Governmental Operations with Respect to Intelligence Activities
https://archive.org/[...]
United States Senate
[24]
서적
Racial Matters: The FBI's Secret File on Black America, 1960–1972
https://archive.org/[...]
Free Press
[25]
서적
The COINTELPRO Papers: Documents from the FBI's Secret Wars Against Dissent in the United States
South End Press
[26]
서적
The Assassination of Fred Hampton: How the FBI and the Chicago Police Murdered a Black Panther
Chicago Review Press
[27]
harvard
[28]
서적
The Black Panthers Speak
Da Capo Press
[29]
harvard
[30]
harvard
[31]
harvard
[32]
harvard
[33]
harvard
[34]
harvard
[35]
harvard
[36]
논문
[37]
웹사이트
The Black Panthers
https://web.archive.[...]
2016-06-25
[38]
논문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간행물
Black Like Mao: Red China and Black Revolution
https://web.archiv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9
[43]
논문
[44]
논문
[45]
웹사이트
Negroes With Guns-Description
http://wsupress.wayn[...]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2014-10-06
[46]
논문
[47]
서적
Seize the Time: The Story of The Black Panther Party and Huey P. Newton
Black Classic Press
[48]
논문
[49]
논문
[50]
서적
The Fear of Chinese Power: an International History
Bloomsbury Academic
2024
[51]
백과사전
Black Panther Party
https://www.britanni[...]
2008-03-27
[52]
논문
[53]
논문
[54]
논문
[55]
논문
[56]
신문
Black Panther Newspaper
1967-05-15
[57]
논문
[58]
논문
[59]
서적
The Age of Great Dreams: America in the 1960s
[60]
논문
[61]
논문
[62]
논문
[63]
논문
[64]
논문
[65]
논문
[66]
논문
[67]
논문
[68]
논문
[69]
뉴스
Black Panthers: A Taut, Violent Drama
1968-07-21
[70]
논문
[71]
웹사이트
COINTELPRO A Huey P. Newton Story
https://www.pbs.org/[...]
2011-05-15
[72]
웹사이트
UC Berkeley Library acquires FBI records of surveillance of Black leaders
https://www.berkeley[...]
2021-02-27
[73]
웹사이트
Black Panther Party Pieces of History: 1966–1969
http://www.itsaboutt[...]
Itsabouttimebpp.com
2010-08-27
[7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Black Panther Party, Part Two
http://www.civilrigh[...]
2014-10-31
[75]
서적
Essays from the Minister of Defense
https://archive.lib.[...]
2020-03-03
[76]
harvnb
[77]
harvnb
[78]
뉴스
Case Against Newton Dropped
The Dispatch
1971-12-15
[79]
harvnb
[80]
harvnb
[81]
harvnb
[82]
harvnb
[83]
서적
Fire this Time: The Watts Uprising and the 1960s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84]
간행물
Souled Out: Eldridge Cleaver Admits He Ambushed Those Cops
https://web.archive.[...]
[85]
harvnb
[86]
서적
This Side of Glory
[87]
웹사이트
Interview With Eldridge Cleaver; The Two Nations Of Black America
https://www.pbs.org/[...]
PBS
2014-03-30
[88]
뉴스
The Black Panthers and the Police: A Pattern of Genocide?
http://www.edwardjay[...]
The New Yorker
1971-02-13
[89]
뉴스
1500 at Rites of Panther Member
http://www.newspaper[...]
1968-04-13
[90]
harvnb
[91]
웹사이트
Bobby Hutton (1950–1968) • BlackPast
https://www.blackpas[...]
2018-04-24
[92]
뉴스
The Black Panthers and the Police: A Pattern of Genocide?
https://www.newyorke[...]
The New Yorker
1971-02-13
[93]
harvnb
[94]
뉴스
William Lee Brent – former Black Panther hijacked jet to Cuba
http://m.sfgate.com/[...]
San Francisco Chronicle
2006-11-20
[95]
harvnb
[96]
서적
Encyclopedia of Black Studies
https://archive.org/[...]
Sage Publications
[97]
웹사이트
The Ten-Point Program
http://www.marxists.[...]
Marxists.org
1966-10-15
[98]
harvnb
[99]
harvnb
[100]
뉴스
27 Important Facts Everyone Should Know About The Black Panthers
https://www.huffingt[...]
HuffPost
2016-02-18
[101]
harvnb
[102]
harvnb
[103]
서적
Power to the people : the world of the Black Panthers
Abrams
[104]
harvnb
[105]
harvnb
[106]
웹사이트
Black Panther Party Community Programs 1966–1982
https://web.stanford[...]
2016-04-18
[107]
뉴스
Reunion of Black Panthers stirs memories of aggression, activism
https://web.archive.[...]
2005-05-11
[108]
논문
Beyond Berets: The Black Panthers as Health Activists
[109]
뉴스
Former Black Panther Eldridge Cleaver Dies at 62
https://www.latimes.[...]
1998-05-02
[110]
웹사이트
The Black Panther Party and Black Anti-fascism in the United States
https://dukeupress.w[...]
Duke University Press
2017-01-26
[111]
웹사이트
The Black Panther Party's 1968 Recommended Reading List
https://radicalreads[...]
2022-06-10
[112]
서적
Still Black, Still Strong: Survivors of the U.S. War Against Black Revolutionaries
Semiotexte
[113]
서적
Living for the City: Migration, Education, and the Rise of the Black Panther Party in Oakland, California
[114]
서적
Want to Start a Revolution?: Radical Women in the Black Freedom Strug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115]
웹사이트
Programs
http://nhdblackpanth[...]
[116]
웹사이트
Liberation Schools
http://scalar.usc.ed[...]
[117]
뉴스
Black Panther Raid and the Death of Fred Hampton
https://www.chicagot[...]
[118]
서적
BPP, Chicago Branch
https://books.google[...]
ABC-CLIO
[119]
뉴스
State's Attorney in Chicago Makes Photographs of Black Panther Apartment Available
1969-12-12
[120]
웹사이트
Wes Swearigen on FBI Assassination of Fred Hampton
https://web.archive.[...]
[121]
서적
The Encyclopedia of American Law Enforcement
[122]
웹사이트
William Kunstler: Disturbing the Universe
https://www.pbs.org/[...]
[123]
뉴스
The Black Panthers and the Police: A Pattern of Genocide?
http://www.edwardjay[...]
1971-02-13
[124]
참고문헌
[125]
참고문헌
[126]
서적
People's Diplomacy: How Americans and Chinese Transformed US-China Relations during the Cold War
Cornell University Press
2024
[127]
웹사이트
North Korea and the American Radical Left
http://www.wilsoncen[...]
Woodrow Wilson Center
2013-02-06
[128]
참고문헌
[129]
서적
Transnational Blackness: Navigating the Global Color Line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130]
참고문헌
[131]
참고문헌
[132]
참고문헌
[133]
참고문헌
[134]
참고문헌
[135]
웹사이트
Black Panther Party
http://www.marxists.[...]
[136]
논문
Split in the Party
[137]
참고문헌
[138]
참고문헌
[139]
참고문헌
[140]
참고문헌
[141]
논문
Harvnb
1998
[142]
논문
harvnb
2006
[143]
뉴스
The Gangs of Los Angeles: Roots, Branches and Blood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7-02-06
[144]
논문
harvnb
1994
[145]
뉴스
Huey Newton: I'll Never Forget
https://archive.org/[...]
East Bay Express
1989-09-15
[146]
논문
harvnb
1994
[147]
논문
Harvnb
1998
[148]
서적
Autobiography As Activism: Three Black Women of the Sixties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2000
[149]
웹사이트
Who killed Betty Van Patter?
http://www.salon.com[...]
1999-12-13
[150]
논문
harvnb
1993
[151]
간행물
The Strange Journey of David Horowitz
https://books.google[...]
Mother Jones
1987-05
[152]
뉴스
Left-leaving, left-leaning
Los Angeles Times
2003-11-16
[153]
논문
harvnb
1994
[154]
웹사이트
Betty Louise Van Patter
http://fbidocs.com/b[...]
2017-04-26
[155]
논문
"As Shelters Against the Cold": Women Poets of the Black Arts and Chicano Movements, 1965–1978
https://books.google[...]
2008-12
[156]
서적
Notable Black American Women, Book 2
VNR AG
1996
[157]
논문
harvnb
1993
[158]
웹사이트
Women of the revolution: More than 50% of the Black Panther Party were women and carried guns
http://www.ibtimes.c[...]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2015-10-24
[159]
논문
harvnb
1993
[160]
논문
harvnb
1994
[161]
저널
Gunmen Try To Kill Witness Against Black Panther Leader
Regina Leader-Post
1977-10-25
[162]
저널
Coast Inquiries Pick Panthers As Target; Murder, Attempted Murders and Financing of Poverty Programs Under Oakland Investigatio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77-12-14
[163]
잡지
The Odyssey of Huey Newton
http://www.time.com/[...]
Time
1978-11-13
[164]
저널
Good Mothers With Guns: Framing Black Womanhood in the ''Black Panther'', 1968–1980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2009
[165]
저널
Engendering the Black Freedom Struggle: Revolutionary Black Womanhood and the Black Panther Party in the Bay Area, California
Journal of Women's History
2008
[166]
저널
'Don't no woman have to do nothing she don't want to do': Gender, Activism, and the Illinois Black Panther Party
Black Women, Gender & Families
2012
[167]
논문
Harvnb
1998
[168]
서적
Seize the time : the story of the Black Panther party and Huey P. Newton
Black Classic Press
1991
[169]
저널
Women, power, and revolution
New Political Science
1999-06-01
[170]
논문
harvnb
2008
[171]
논문
harvnb
2008
[172]
서적
The Black Woman: An Anthology
1970
[173]
웹사이트
Whose Revolution is This – Gender's Divisive Role in the Black Panther Party Ninth Symposium Issue of Gender and Sexuality Law: Note 9 Georgetown Journal of Gender and the Law 2008
http://heinonline.or[...]
2016-10-06
[174]
뉴스
Say It Loud: 9 Black Women in the Black Power Movement Everyone Should Know
http://www.forharrie[...]
For Harriet
2016-10-06
[175]
웹사이트
No Revolution Without Us: Feminists of the Black Panther Party, with Lynn C. French and Salamishah Tillet
http://urbandemos.ny[...]
Urban Democracy Lab
2016-02-22
[176]
간행물
Africana Womanism in the Black Panthers Party: a Personal story
[177]
harvnb
[178]
웹사이트
The Woman Question: Gender Dynamics within the Black Panther Party
2016-09-01 #추정 날짜. Fall 2016을 9월 1일로 변환
[179]
웹사이트
Africana Womanism in The Black Panther Party: A Personal Story
[180]
서적
Liberation, Imagination and the Black Panther Party: A new look at the Panthers and their legacy
Routledge
[181]
뉴스
'I have all the guns and money': When a woman led the Black Panther Party
https://www.washingt[...]
2018-01-10
[182]
웹사이트
Conversing with Gwen Robinson
https://muse.jhu.edu[...]
2016-09-01 #추정 날짜. Fall 2016을 9월 1일로 변환
[183]
웹사이트
Conversing with Gwen Robinson
2016-09-01 #추정 날짜. Fall 2016을 9월 1일로 변환
[184]
서적
Black, Brown, Yellow, and Left
https://www.degruyt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85]
웹사이트
A Rainbow in Black: The Gay Politics of the Black Panther Party
http://www.jstor.org[...]
[186]
서적
The New Huey P. Newton Reader
https://www.worldcat[...]
[187]
웹사이트
'All of Us Are Unapprehended Felons': Gay Liberation, the Black Panther Party, and Intercommunal Efforts Against Police Brutality in the Bay Area
https://caccl-glenda[...]
[188]
서적
https://books.google[...]
[189]
뉴스
The strange history of the Black Panthers in the Triad
http://yesweekly.com[...]
2006-04-11
[190]
뉴스
'Black Against Empire' tells the history of Black Panthers
https://articles.lat[...]
2013-01-24
[191]
웹사이트
What Do We Want? Black Power
http://civilrightsmu[...]
National Civil Rights Museum
[192]
웹사이트
National Civil Rights Museum Curriculum Guide
http://civilrightsmu[...]
National Civil Rights Museum
[193]
웹사이트
Black Power-Questions to Consider
http://civilrightsmu[...]
National Civil Rights Museum
[194]
뉴스
Black Panther Legacy Honored with Marker
http://wschronicle.c[...]
2012-10-18
[195]
웹사이트
Photos of the Black Panther Party
http://www.jetcityor[...]
2006-01-01 #추정 날짜. Oakland 2006을 2006년 1월 1일로 변환
[196]
뉴스
Ex-militants charged in S.F. police officer's '71 slaying at station
http://www.sfgate.co[...]
[197]
뉴스
Black Liberation Army tied to 1971 slaying and Suspects arrested in police officer's 1971 shooting had settled into quiet lives
https://web.archive.[...]
[198]
뉴스
8 arrested in 1971 cop-killing tied to Black Panthers
http://legacy.sandie[...]
2007-01-23
[199]
뉴스
2nd guilty plea in 1971 killing of S.F. officer
http://www.sfgate.co[...]
[200]
뉴스
Tour of Black Panther Sites: Former member shows how party grew in Oakland
http://www.sfgate.co[...]
1997-10-25
[201]
웹사이트
We're Assata's Daughters
https://www.zedbooks[...]
Zed Collective
2016-10-19
[202]
뉴스
Power struggle: A new exhibition looks back at the rise of the British Black Panthers
https://www.independ[...]
2013-10-13
[203]
뉴스
Reliving The British Black Panther Movement
http://www.voice-onl[...]
2012-01-09
[204]
웹사이트
Lomax's Matrix The Black Power of 504
http://www.dsq-sds.o[...]
[205]
웹사이트
Active U.S. Hate Groups: Black Separatist
http://www.splcenter[...]
Splcenter.org
[206]
웹사이트
There Is No New Black Panther Party: An Open Letter From the Dr. Huey P. Newton Foundation
http://www.blackpant[...]
[207]
서적
In Search of the Black Panther Party: New Perspectives on a Revolutionary Movement
Duke University Press
[208]
뉴스
Can a Comic Book Contain the Drama and Heat of Activism?
https://www.nytimes.[...]
2021-02-02
[209]
웹사이트
Black Power in Print: ''The Black Panther'' Newspapers at MoMA
https://www.moma.org[...]
2021-10-12
[210]
웹사이트
Abolition for the People
https://www.haymarke[...]
[211]
뉴스
Exile Robert Williams' Wife Returns to US from Africa
https://news.google.[...]
The Afro American
1969-09-06
[212]
웹사이트
RAM
https://library.buff[...]
2024-12-17
[213]
서적
History of black power in America
2006
[214]
서적
New Day in Babylon: The Black Power Movement and American Culture, 1965–1975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215]
뉴스
October 15, 1966: The Black Panther Party Is Founded
https://web.archive.[...]
The Nation
2015-12-15
[216]
기타
[217]
기타
[218]
기타
[219]
뉴스
毎日新聞
1969-09-10
[220]
기타
[221]
간행물
ブラック・ミュージック・レビュー
[222]
웹사이트
The day Philadelphia bombed its own people
https://www.vox.com/[...]
2019-08-15
[223]
웹사이트
Philadelphia city council apologizes for approving the police bombing of one of its Black neighborhood's killing 11 people, including 5 children
https://www.business[...]
2020-11-14
[224]
웹사이트
RESOLUTION APOLOGIZING FOR THE 1985 MOVE BOMBING
http://phlcouncil.co[...]
[225]
웹사이트
Black Panther Party: 1966-1982
https://repository.u[...]
2000
[226]
서적
On The Ideology of the Black Panther Party (Part 1)
http://www.freedomar[...]
Black Panther Party Ministry of Information
1967
[227]
웹사이트
"Concrete Analysis of Concrete Conditions":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lack Panther Party and Maoism Relationship between the Black Panther Party and Maoism
https://digitalcommo[...]
[228]
웹인용
The Black Child's Pledge
http://herb.ashp.cun[...]
[229]
웹인용
The Black Child's Pledge
http://herb.ashp.cun[...]
HERB: Resources for Teachers
2015-06-11
[230]
웹인용
BLACK PANTHER PARTY :: COMMUNITY PROGRAMS
http://socialjustice[...]
2015-06-09
[231]
서적
Black Capitalism reanalyzed
[232]
웹인용
Black Panther Party Community Programs 1966 - 1982
http://web.stanford.[...]
2015-06-09
[233]
웹인용
8 Black Panther Party Programs That Were More Empowering Than Federal Government Programs
http://atlantablacks[...]
2015-03-26
[234]
웹인용
MIA: History: USA: The Black Panther Party
https://www.marxists[...]
[235]
웹인용
Self Defense
http://www.socialist[...]
2015-06-11
[236]
웹인용
Black Panther Party
http://global.britan[...]
2015-06-09
[237]
기타
[238]
뉴스
The strange history of the Black Panthers in the Triad
Yes! Weekly
2006-04-11
[239]
뉴스
'Black Against Empire' tells the history of Black Panthers
The Los Angeles Times
2013-01-24
[240]
뉴스
Black Panther Legacy Includes Crime and Terror
Nytimes.com
New York Times
1997-11-14
[241]
기타
[242]
Youtube
Republican Eldridge Cleaver-Charlie Rose Interview Part 1
[243]
Youtube
Republican Eldridge Cleaver Interview with Charlie Rose Part 2
[244]
기타
[245]
기타
[246]
웹인용
Black Panther Party
http://web.stanford.[...]
2015-06-11
[247]
서적
미국흑인사
백산서당
2002
[248]
서적
Funk
St. Martin's Press
1996
[249]
서적
I Want To Take You Higher
Backbeat Books
2009
[250]
뉴스
Obama's inauguration hailed by White Panther founder John Sinclair
http://www.timesonli[...]
2009-0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