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乙은 십간의 두 번째 글자로, "둘째"를 의미하며, 다양한 합성어에 사용된다. 갑골문, 금문, 소전, 대전 등에서 乙 자형의 변화를 보여주며, 부수로는 '굽다' 또는 '새'의 의미를 지닌다. 한국, 중국, 일본에서 모두 사용되며, 특히 한국에서는 사회적 약자를 지칭하는 용어로 쓰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수 -
    '靑'은 푸른색을 의미하는 한자이며,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에서 자형이 다르게 사용되고, 시대와 지역에 따라 변형되어 왔으며, 다양한 의미를 가진 한자들의 구성 요소로도 쓰인다.
  • 부수 -
    金은 한자 부수 중 하나로 쇠, 금속, 성씨 등을 나타내며, 針, 銅, 銀, 鐵 등 다양한 한자에 사용된다.
기본 정보
강희자전 부수5번째
유니코드U+4E59
의미둘째, 낚싯바늘
병음
보포모포一ˇ
웨이드-자일스
월병jyut3
예일yut
포자이it
새 sae
한자 (음독)을 eul
일본어 음독오츠 otsu
일본어 훈독키노토 kinoto / 오토 oto
일본어 (명칭)을 otsu, 을돌이부/오츠뇨우 otsunyoū, 낚싯바늘/쓰리바리 tsuribari
문자 형태
간체자乙, 乚, 乛
부수 명칭 (중국어)乙部 (Yǐ bù), 乚 (Yǐ), 乛 (Yǐ), 乛部 (Yǐ bù)
관련 문자CJK 통합 한자 확장 A, CJK 통합 한자 확장 B
부수 정보
부수
이전 부수丿
다음 부수
명칭새을
순서다섯
획수1
변형

2. 역사

(내용 없음)

2. 1. 갑골문과 금문

갑골문 문자


금문 문자

2. 2. 소전과 대전



대전에서의 乙 자형


소전에서의 乙 자형


갑골문과 금문을 거쳐 대전과 소전으로 이어지면서 乙 자의 형태는 변화하였다. 대전은 이전 서체의 특징을 일부 유지하며 비교적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를 보였으나, 진나라 시기 문자 통일 과정에서 표준화된 서체인 소전에서는 자형이 더욱 정돈되고 규격화된 모습을 띤다. 위의 이미지들은 각 시대별 乙 자의 형태 변화를 보여준다.

2. 3. 해서



3. 의미와 상징

'乙'은 십간의 두 번째 글자라는 의미 외에도 "물고기 아가미 뼈", "구부러지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 자형의 유래에 대해서는 물의 흐름을 본뜬 상형문자라는 설, 초목이 구부러지며 싹을 내는 모습을 본뜬 상형문자라는 설, 굽어져 있는 추상적인 물체를 형상화했다는 설 등 여러 설이 있다.

한자의 부수로 쓰일 때, 예서해서에서는 글자의 방(오른쪽) 위치에 놓이면 乚|을중국어과 같은 형태로 변형된다.

3. 1. 십간 (十干)

십간의 두 번째 글자이다. 독립된 한자로도 쓰이며, 일본어상용한자 표기 등에 사용되고 중국어에서도 쓰인다.[2] 한국에서는 중학교 과정에서 배우는 한자이다.[2] '둘째'라는 의미를 가지며, 주로 합성어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3. 2. 순서와 등급

'乙'은 순서상 "둘째"를 의미하며, 주로 합성어에서 이러한 의미로 쓰인다.

3. 3. 한국 고유 지명 및 인명

'둘째'를 의미하며, 주로 합성어에 사용된다.

4. 부수 (部首)

Unihan 데이터베이스에서는 亀일본어(龜일본어신자체)를 부수 5 + 10획으로 분류하는 반면, 龜일본어의 다른 변형(중국어 간체자 포함)은 부수 213(龜일본어, 거북)에 속하는 것으로 처리하여 불일치가 발생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일본어 사전에서는 亀일본어를 부수 213(龜일본어)의 변형으로 취급하여 부수 213 + 0획으로 색인하고 있다.

4. 1. 乙 부수의 의미

해서에서의 모양 '乙'이나 '乚'을 포함하는 글자들이 을부에 속한다. 그러나 실제로 이 부수에 속하는 글자들을 살펴보면, 九(구), 乞(걸), 也(야)와 같은 글자는 상형 문자이다. 이러한 글자들에서 '乙'이나 '乚' 모양은 글자의 의미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보다는, 해서의 필획 모양에 따라 편의상 분류된 경우가 많다.

다른 글자들에서도 '乙'이나 '乚'이 글자의 자원(字源)과 연결되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부수로서 '乙'이나 '乚'이 공통적으로 나타내는 명확한 의미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부수자인 '乙' 자체의 자원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현대 중국 대륙간체자 부수 분류법에서는 '乛' 모양을 주요 부수로 삼고, '乙', '乚', '⺄', '𠃊', '𠃋', '𠃍', '𠃌' 등 다양한 형태를 그 변형 부수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사해와 같은 일부 자전에서는 을부와 乛부를 별개의 부수로 다루기도 한다.

한국의 국자에서는 '乙'이 독특하게 사용되는 예를 찾아볼 수 있다. 글자의 아래쪽에 '乙'을 붙여 그 글자의 종성이 ㄹ한국어임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활용된다. 예를 들어, 乭|돌한국어고유어 '돌'과 같은 발음인 [dol]을 나타내며, 乫|갈한국어은 '가'(가한국어, ga)라는 소리에 종성 ㄹ한국어(l)을 더한 [gal] 발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국자들은 주로 사람 이름과 같은 고유 명사에 사용된다.

4. 2. 乙 부수 한자의 예시

wikitext

획수문자
+0乙 乚 乛구성 요소 전용
+1乜 九
+2乞 也 习SC (= 習 -> 羽)
+3乢 乣 乤KOKO
+4KO
+5乨 乩 乪 乫KOKOKOKOKO
+6乱 (SC/JP, =亂) 乲KO
+7乳 乴KOKOKOKO
+8乹 乺KOKOKOKO
+10乾 乿 亀JP (= 龜일본어 -> 龜일본어)
+11亁 (=乾)
+12亂 亃 亄



한국의 국자 중 일부는 하부에 '乙'을 사용하여 종성 'ㄹ'(l) 발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乭|돌한국어(dol)은 고유어 '돌'과 발음이 같고, 乫|갈한국어(gal)은 '가'(ga) 발음에 종성 'ㄹ'(l)을 더한 것이다. 이러한 글자는 주로 인명 등 고유 명사에 사용된다.

4. 3. 한국 국자(國字)

한국의 국자 중에는 乙 부수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글자들은 대개 하부에 '乙' 자를 두어 읽을 때의 종성이 ㄹ|리을kor임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乭|돌kor고유어 '돌'과 같은 발음이며, 乫|갈kor은 '가'라는 소리에 종성 ㄹ|리을kor을 더한 소리를 나타낸다. 이러한 국자들은 주로 인명 등 고유 명사에 사용된다.

아래는 乙|을kor 부수를 포함하는 한국 국자 목록이다.

추가 획수글자
3획乤, 乥
4획
5획乫, 乬, 乭, 乮, 乯
6획
7획乴, 乵, 乶, 乷
8획乺, 乻, 乼, 乽


5. 현대적 용법

현대 사회에서 '乙'은 전통적인 의미 외에도 순서나 관계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된다.

5. 1. 컴퓨터와 유니코드

(작성할 내용 없음 - 주어진 소스에는 '컴퓨터와 유니코드' 섹션에 해당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5. 2. 기타 용법

"둘째"를 의미하며, 주로 합성어에 사용된다.

6. 乙과 관련된 문화

'乙'은 한국, 중국, 일본동아시아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한자이다. 주로 순서상 "둘째"를 의미하며, 특히 천간의 두 번째 글자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의미 때문에 다양한 합성어나 순서를 나타내는 표현에 사용된다. 각 나라별 구체적인 사용 양상과 교육 과정 등은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

6. 1. 한국

한국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중 중학교 과정에서 배우는 한자이며[2], "둘째"를 의미하고 주로 합성어에 사용된다.

6. 2. 중국

`乙`은 중국어에서도 사용된다. 주로 "둘째"를 의미하며, 합성어에 쓰인다.

6. 3. 일본

독립된 한자로서, '乙'은 상용한자이며 일본어 표기에 사용된다. 일본의 중학교 과정에서 배우는 한자이다.[2]

'乙'은 "둘째"라는 의미를 가지며, 주로 합성어에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乙|오츠일본어, 乙女|오츠뇨일본어와 같은 단어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부수로서 '乙'을 가리킬 때 つりばり|츠리바리일본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참조

[1] 간행물 GF 0011–2009 汉字部首表
[2] 웹사이트 KANJI-Link http://www.kanji-lin[...] 2023-0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