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日'은 해를 의미하는 한자로, 갑골문에서 유래되어 금문, 대전, 소전을 거쳐 현재의 형태로 변화했다. 명칭은 한국에서 '날 일 부', 중국에서 '일자방/일자두', 영미권에서 'Radical sun' 등으로 불린다. 이 한자는 부수로 사용되어 시간, 날씨, 천문 현상 등과 관련된 다양한 한자를 구성하며, 한국어에서는 '날', '해', '일'로, 일본어에서는 '니치', '지츠', '히' 등으로 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수 -
    '靑'은 푸른색을 의미하는 한자이며,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에서 자형이 다르게 사용되고, 시대와 지역에 따라 변형되어 왔으며, 다양한 의미를 가진 한자들의 구성 요소로도 쓰인다.
  • 부수 -
    金은 한자 부수 중 하나로 쇠, 금속, 성씨 등을 나타내며, 針, 銅, 銀, 鐵 등 다양한 한자에 사용된다.
日부
유니코드U+65E5
강희자전72번째 부수
의미해, 날
병음
보포모포ㄖˋ
국어 로마자 표기ri
웨이드-자일스jih⁴
광둥어 (예일)yat6
광둥어 (월병)jat6
민난어 (POJ)ji̍t
한어 병음 (중국)(왼쪽) 日字旁 rìzìpáng (위쪽) 日字頭/日字头 rìzìtóu
음독 (일본)ニチ nichi / ジツ jitsu
훈독 (일본)ひ hi
일본어 명칭日/にち nichi (왼쪽) 日偏/ひへん hihen (왼쪽) 日偏/にちへん nichihen
한글날 nal
한자 (한국)일 il

2. 기원

'日'자는 태양 모양을 본떠 만들었으며, 갑골문에서부터 그 형태를 찾아볼 수 있다. 금문, 대전, 소전을 거쳐 현재의 자형으로 변화했다. 부수로서는 태양, 시간, 천후, 기상, 천문, 명암 등과 관련된 의미를 나타낸다.

2. 1. 字源

갑골문 글자


금문 글자


대전 글자


소전 글자

  • 日|날 일중국어
  • 광운 - 입질, 질운
  • 시운 - 질운, 입성
  • 36자모 - 일모
  • 일본어 - 音|음일본어:지츠(한음)・니치(오음), 訓|훈일본어:히
  • 중국어 - rì|르중국어 ㄖˋ|주음중국어, jih 4 (웨이드-자일스)
  • 베트남어 - 냣, 늬엇
  • 한국어 - 訓音|훈음한국어:날한국어(nal, 1일)・해한국어(hae, 태양) 일한국어(il)

3. '日'자가 부수로 사용된 한자

'日'자는 태양이나 1을 의미하며, 태양의 모양을 본떠 만들었다. '日'자는 부수로서 시간, 날씨, 천문 현상 등과 관련된 의미를 가진 다양한 한자를 구성한다.

부수로서 '日'자는 태양, 시간, 천후, 기상, 천문, 명암 등과 관련된 의미를 나타낸다. 일부 한자는 이러한 의미를 구성 요소로 포함한다.

현대 중국의 간체자 부수 분류법에서는 일부와 왈부가 통합되어 있으며, 일본의 한자 사전에서도 일부는 이러한 경우가 있다.

오스텐더의 새벽 구름

3. 1. 획수별 분류

日의 획순


획수별 분류
획수글자
0
1旦, 旧
2旨, 早, 旪, 旫, 旬, 旭, 旮, 旯
3旰, 旱, 旲, 旳, 旴, 旵, , 曠, 旸
4旹, 旺, 旻, 旼, 旽, 旾, 旿, 昀, 昁, 昂, 昃, 昄, 昅, 昆, 昇, 昈, 昉, 昊, 昋, 昌, 昍, , 昏, 昐, 昑, 昒, 易, 昔, 昕, 昖, 昗, 昘, , 昛
5昚, 昛, 昜, 昝, 昞, , 映, 昡, 昢, 昣, 昤, , 昦, 昧, 昨, 昩, 昪, 昫, 昬, , 昮, 是, 昰, 昱, 昲, 昳, 昴, 昵, 昶, 昷, 昸, 昹, 昺, 昻, , 昽, , 昿
6晀, , , 晃, 晄, 晅, 晆, 晇, 晈, , 晊, 晋, 晌, 晍, 晎, 晏, 晐, 晑, 晒, , 晔, ,
7晗, 晘, 晙, , 晛, 晜, , 晞, 晟, 晠, 晡, 晢, 晣, 晤, 晥, 晦, 晧, 晨
8晩, 晪, 晫, 晬, 晭, 普, , 晰, 晱, 晲, 晳, 晴, 晵, 晶, 晷, 晸, 晹, , 晻, 晼, 晽, 晾, 晿, 暀, , , 暃, , 暎
9暄, 暅, 暆, 暇, , , 暊, 暋, 暌, 暍, 暎, 暏, 暐, 暒, 暓, 暔, 暕, 暖, 暗, 暘, 暙, 暛
10暚, 暛, 暜, 暝, 暞, 暟, 暠, 暡, 暢, 暣, 暤, 暥, 暦, , 暨, 暮, 暯, 暱, 曅
11暩, 暪, , 暬, 暭, 暮, 暯, 暰, 暱, 暲, 暳, 暴, 暵, 暶, 暷, 暹, 曃, 曂
12暸, 暹, 暺, 暻, 暼, 暽, 暾, 暿, 曀, 曁, 曂, 曃, 曄, 曅, 曆, , 曈, , 曊, 曋, 曌, 曍, 曔
13曎, 曏, 曐, 曑, 曒, 曓, 曔, 曕, , 曗, 曚,
14曘, , 曚, 曛, 曜, 曞, 曠
15, 曞, 曟, 曠, 曡, 曢, 曤, 曥, , 曧, 曨
16
17
19曪, 曫, 曬, 曮
20曭, 曮
21


3. 2. 예시

'''日''' 한자의 획수별 글자 목록
획수글자
0
1旦, 旧
2㫐, 㫑, 旨, 早, 旪, 旫, 旬, 旭, 旮, 旯
3㫒, 㫓, 㫔, 㫕, 㫖, 㫗, 旰, 旱, 旲, 旳, 旴, 旵, 时, 旷, 旸
4㫘, 㫙, 㫚, 旹, 旺, 旻, 旼, 旽, 旾, 旿, 昊, 昋, 昌, 昍, 明, 昏, 昀, 昁, 昂, 昃, 昄, 昅, 昆, 昇, 昈, 昉, 昐, 昑, 昒, 易, 昔, 昕, 昖, 昗, 昘, 昙, 昛
5㫛, 㫜, 㫝, 㫞, 㫟, 㫠, 㫡, 㫢, 㫣, 㫤, 昚, 昛, 昜, 昝, 昞, 星, 映, 昡, 昢, 昣, 昤, 春, 昦, 昧, 昨, 昩, 昪, 昫, 昬, 昭, 昮, 是, 昰, 昱, 昲, 昳, 昴, 昵, 昶, 昷, 昸, 昹, 昺, 昻, 昼, 昽, 显, 昿
6㫥, 㫦, 㫧, 㫨, 㫩, 㫪, 㫫, 㫬, 㫭, 㫮, 晀, 晁, 時, 晃, 晄, 晅, 晆, 晇, 晈, 晉, 晊, 晋, 晌, 晍, 晎, 晏, 晐, 晑, 晒, 晓, 晔, 晕, 晖
7㫯, 㫰, 㫱, 㫲, 㫳, 㫴, 勗, 曽, 晗, 晘, 晙, 晚, 晛, 晜, 晝, 晞, 晟, 晠, 晡, 晢, 晣, 晤, 晥, 晦, 晧, 晨
8暑, 㫵, 㫶, 㫷, 㫸, 㫹, 㫺, 㫻, 㫼, 㫽, 㫾, 㫿, 㬀, 晩, 晪, 晫, 晬, 晭, 普, 景, 晰, 晱, 晲, 晳, 晴, 晵, 晶, 晷, 晸, 晹, 智, 晻, 晼, 晽, 晾, 晿, 暀, 暁, 暂, 暃, 暎
9㬊, 㬋, 㬌, 㬁, 㬂, 㬃, 㬄, 㬅, 㬆, 㬇, 㬈, 㬉, 暊, 暋, 暌, 暍, 暎, 暏, 暄, 暅, 暆, 暇, 暈, 暉, 暐, 暒, 暓, 暔, 暕, 暖, 暗, 暘, 暙
10暜, 㬍, 㬎, 㬏, 㬐, 暠, 暡, 暢, 暣, 暤, 暥, 暦, 暧, 暨, 暚, 暛, 暝, 暞, 暟
11㬑, 㬒, 㬓, 㬔, 㬕, 㬖, 暩, 暪, 暫, 暬, 暭, 暮, 暯, 暰, 暱, 暲, 暳, 暴, 暵, 暶, 暷, 暹, 曃, 曂
12㬙, 㬚, 㬛, 㬜, 㬝, 㬞, 㬟, 㬗, 㬘, 㬙, 龧, 暸, 暹, 暺, 暻, 暼, 暽, 暾, 暿, 曀, 曁, 曂, 曃, 曄, 曅, 曆, 曇, 曈, 曉, 曊, 曋, 曌, 曍, 曔
13㬠, 㬡, 㬢, 曎, 曏, 曐, 曑, 曒, 曓, 曔, 曕, 曖, 曗, 曙, 曚
14㬣, 㬤, 㬥, 㬦, 㬧, 㬨, 曘, 曙, 曚, 曛, 曜, 曞
15㬪, 㬩, 曝, 曟, 曠, 曡, 曢, 曤, 曥, 曦, 曧, 曨
16㬫, 曣
17
19㬮, 曪, 曫, 曬, 曮
20曭, 曮
21㬯, 曯


4.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에서의 사용

'''한국어'''에서 '日'자는 '날 일 부'라는 명칭으로 불리며, 날(하루) 또는 해(태양)를 뜻한다.[1]

'''일본어'''에서 '日'자는 초등학교 1학년 때 배우는 교육 한자 중 하나이다.[1] 음독은 '지츠'(한음)・'니치'(오음)이며, 훈독은 '히'이다.

'''중국어'''에서 '日'의 병음은 'rì', 주음 부호는 'ㄖˋ',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jih 4'이다. 간체자 부수 분류법에서는 '日'부와 '曰'부를 통합하여 사용한다.

5. 참고 문헌


  • 에도아르도 파치올리(Edoardo Fazzioli), ''Chinese calligraphy : from pictograph to ideogram : the history of 214 essential Chinese/Japanese characters'' (1987), Abbeville Press, 뉴욕. ISBN 0-89659-774-1.
  • 켄 룬데(Ken Lunde), ''CJKV Information Processing: Chinese, Japanese, Korean & Vietnamese Computing'' (2009년 1월 5일), O'Reilly Media, 캘리포니아주 세바스토폴. ISBN 978-0-596-51447-1.

6. 관련 성씨 및 지명

'''일부'''(카베, 쿠사베, 히베)라는 일본인의 성씨나, '''(쿠사베진자)'''라는 신사가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