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능세계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능세계론은 현실 세계 외에 무수히 많은 다른 가능한 세계들이 존재한다는 개념을 다루는 철학 이론이다. 이 개념은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에 의해 처음 제시되었으며, 솔 크립키에 의해 현대 철학에서 의미론적 분석 도구로 발전했다. 가능세계는 명제의 참/거짓, 가능성, 필연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양상 논리, 반사실 조건문 분석, 심리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데이비드 루이스는 가능세계가 실제로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양상실재론을 제시했지만, 로버트 아담스, 윌리엄 라이칸 등은 이에 반대하며 논쟁을 벌였다. 또한, 과학에서는 다중우주 가설과 관련되어 문학, 특히 공상 과학 소설의 소재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능성 - 가능태와 현실태
    가능태는 아리스토텔레스가 현실태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한 철학 용어로 잠재력, 능력, 변화의 가능성을 의미하며 사물의 변화와 운동을 설명하고 기독교 신학, 근대 철학, 현대 물리학에 영향을 주었다.
  • 가능성 - 우연
    우연은 논리학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능 세계에서 참인 것으로, 철학적으로 결정론과 대립되며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논의되는 개념이다.
  • 양상 - 솔 크립키
    솔 크립키는 양상 논리, 언어 철학, 수학기초론에 기여한 미국의 철학자이자 논리학자로, 크립키 의미론 창시, 《이름과 필연》에서의 고유명사 이론 전개, '크립켄슈타인' 해석, 진리 이론 연구 등으로 알려져 있다.
  • 양상 - 양상 논리
    양상 논리는 필연성, 가능성, 의무 등과 같은 양상을 다루는 논리 체계로, 솔 크립키의 크립키 의미론은 가능세계 개념을 도입하여 다양한 양상 논리 체계를 설명하는 데 기여했으며 철학적 분석과 컴퓨터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개념 모델링 - 유추
    유추는 두 사물이나 현상의 관계에서 유사성을 찾아 추론하는 인지 과정으로, 철학, 법학, 신학을 넘어 문제 해결, 의사 결정, 학습, 창의성에 기여하며, 젠트너의 구조 매핑 이론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 개념 모델링 - 세계관
    세계관은 개인이 세계를 바라보는 방식이자, 철학, 신화,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는 기본적인 신념과 가치관의 체계이다.
가능세계론
개요
학문 분야형이상학, 논리학
철학적 의미현실과는 다른 방식으로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상태 또는 시나리오
관련 개념필연성, 가능성, 우연성, 필연적 진리, 가능적 진리
이론적 배경
주요 제안자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데이비드 루이스, 앨빈 플랜팅가
이론적 기반양상 논리
핵심 개념
가능세계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논리적으로 모순이 없는 완전하고 자족적인 세계
현실 세계우리가 실제로 살고 있는 세계
접근 가능 관계한 세계에서 다른 세계로의 논리적 이동 가능성을 정의하는 관계
양상필연성, 가능성, 불가능성, 우연성과 같은 개념
철학적 함의
형이상학적 실재론가능세계는 현실 세계와 동등한 존재론적 지위를 가짐
반사실적 조건문"만약 ~라면"과 같은 가정적 상황에 대한 진리값을 평가하는 데 사용
양상적 주장가능세계 개념을 통해 필연성, 가능성 등의 양상적 주장을 분석
비판
존재론적 팽창무한히 많은 가능세계의 존재를 가정하는 것은 불필요한 존재론적 부담을 초래
인식론적 문제우리가 다른 가능세계에 대해 어떻게 알 수 있는지에 대한 어려움
모호성가능세계의 정확한 정의와 범위에 대한 논쟁
응용
양상 논리명제의 필연성, 가능성 등을 다루는 논리 체계
철학적 분석자유 의지, 신의 존재, 도덕적 의무 등 다양한 철학적 문제에 대한 분석 도구
인공지능지능형 시스템의 추론 및 문제 해결 능력 향상
게임 이론게임의 다양한 시나리오와 전략 분석

2. 가능세계 개념의 역사

가능세계 개념은 라이프니츠가 처음 고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루크레티우스, 이븐 루시드, 요하네스 둔스 스코투스와 같은 초기 철학자들의 저작에서도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는 연구도 있다.[17] 라이프니츠는 현실 세계가 "모든 가능세계 속에서 최선의 것"이라고 주장했다.

현대에 들어서 가능세계론은 솔 크립키 등이 1950년대에 가능성이나 필연성의 의미를 다루기 위해 도입하였다. 이들은 현실 세계를 무수한 가능세계 중 하나로 보았으며, 우리가 실제로 살고 있는 세계를 "현실세계"라고 불렀다. 아서 쇼펜하우어는 이와 반대로 우리 세계가 모든 가능한 세계 중에서 최악의 세계임에 틀림없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조금이라도 더 나빴다면 존재를 유지할 수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15]

"크립키 의미론"은 가능세계 의미론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크립키 의미론은 필연성, 우연성 등의 진리론적 양상에만 한정된 이론이 아니며, 양상실재론적인 의미를 내포하는 것도 아니다.

2. 1. 초기 사상

라이프니츠는 가능세계 개념을 처음 고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현실 세계가 "모든 가능세계 속에서 최선의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일부 연구자들은 루크레티우스, 이븐 루시드, 요하네스 둔스 스코투스와 같은 초기 철학자들의 저작에서도 가능세계 개념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17]

2. 2. 라이프니츠의 가능세계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가능세계를 의 마음속에 있는 아이디어로 보았으며, 이를 통해 현실 세계가 "모든 가능세계 중에서 최선의 것"이라고 주장하였다.[15] 그는 가능세계 개념을 신의 마음과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몇몇 연구자들은 가능세계 개념의 기원을 루크레티우스, 이븐 루시드, 요하네스 둔스 스코투스의 저작에서 찾기도 한다.[17]

2. 3. 현대 철학에서의 발전

현대의 가능세계론은 솔 크립키 등이 1950년대에 도입하였으며, 가능성이나 필연성의 의미론을 다루기 위한 것이었다. 가능세계론에서는 현실 세계를 무수한 가능세계 중 하나로 간주한다. 세계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다른 "방식"마다 다른 가능세계가 존재하며, 그중에서 우리가 실제로 살고 있는 곳이 "현실세계"이다.

이를 바탕으로 가능성, 필연성 등을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 있다.

명제설명
참인 명제현실세계에서 참인 명제
가능한 명제적어도 하나의 가능세계에서 참인 명제
우연적인 명제참인 가능세계와 거짓인 가능세계가 모두 존재하는 명제
필연적인 명제모든 가능세계에서 참인 명제
불가능한 명제 (필연적으로 거짓인 명제)모든 가능세계에서 거짓인 명제



데이비드 루이스는 양상실재론을 주장하며, 우리가 사는 세계 밖에 가능세계가 '실제로 존재한다'고 보았다. 그는 우리가 양화(量化)하고 있는 가능세계는 현실세계와 마찬가지로 실재하는 구체적인 세계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가능세계는 현실세계와 공간적, 시간적, 인과적 관계를 갖지 않을 뿐이라는 것이다. 루이스에 따르면 '현실'은 '나', '지금'처럼 지표적인 것에 불과하다.

반면 로버트 아담스나 윌리엄 라이칸은 루이스의 주장에 반대하며, 가능세계를 세계에 대한 무모순적이고 최대한 상세한 기술, 즉 명제의 집합으로 간주했다. 이들은 가능세계를 '어떤 모습이었던 세계'가 아니라 '세계가 그럴 수도 있는 모습의 기술'로 보았다. 앨빈 플랜팅가 등의 유사한 주장도 있었으나, 루이스는 이를 '대체양상실재론'이라 칭하며 비판했다.

솔 크립키는 저서 『이름과 필연』에서 가능세계를 순수히 형식적, 논리적 존재로 보는 규약적 견해를 옹호하며, 루이스의 양상실재론과 아담스 등의 견해를 모두 비판했다.

3. 양상 논리와 가능세계

가능세계 개념은 양상 논리에서 명제의 참, 거짓, 가능성, 필연성 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라이프니츠는 가능세계를 "모든 가능세계 속에서 최선의 것"이라고 보았으며, 이는 루크레티우스, 이븐 루시드, 요하네스 둔스 스코투스에게서도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1950년대 솔 크립키 등은 현실세계를 무수한 가능세계 중 하나로 보는 현대 가능세계론을 도입했다. 명제는 가능세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참인 명제: 현실세계에서 참인 명제
  • 가능한 명제: 적어도 하나의 가능세계에서 참인 명제
  • 우연적인 명제: 참인 가능세계와 거짓인 가능세계가 모두 존재하는 명제
  • 필연적인 명제: 모든 가능세계에서 참인 명제
  • 불가능한 명제: 모든 가능세계에서 거짓인 명제


이러한 가능세계 개념은 양상 논리뿐만 아니라 내포 논리, 형식 의미론, 데이터베이스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3. 1. 크립키 의미론

솔 크립키 등이 1950년대에 도입한 크립키 의미론은 가능성이나 필연성의 의미론을 다룬다.[1] 가능세계론에서는 현실세계를 무수한 가능세계의 하나로 간주한다. 우리가 실제로 살고 있는 세계가 '현실세계'이며, 다르게 존재할 수 있는 '가능세계'들이 존재한다고 본다.

크립키 의미론은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 있다.

  • 참인 명제는 현실세계에서 참이다.
  • 가능한 명제는 적어도 하나의 가능세계에서 참이다.
  • 우연적인 명제는 참인 가능세계와 거짓인 가능세계가 모두 존재한다.
  • 필연적인 명제는 모든 가능세계에서 참이다.
  • 불가능한 명제는 모든 가능세계에서 거짓이다.


'크립키 의미론'은 가능세계 의미론과 같은 뜻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꼭 필연성, 우연성 같은 진리론적 양상에만 한정된 이론은 아니며, '가능세계'라는 표현에서 흔히 전제되는 양상실재론적 의미도 아니다.[1]

3. 2. 가능세계 의미론

가능세계 의미론은 명제의 의미를 가능세계의 집합으로 이해하는 방식이다.

솔 크립키 등은 1950년대에 가능성이나 필연성의 의미론을 다루기 위해 현재의 가능세계론을 도입했다. 가능세계론에서는 현실세계를 무수한 가능세계 중 하나로 본다. 우리가 실제로 살고 있는 곳이 "현실세계"이며, 세계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다른 "방식"마다 다른 가능세계가 존재한다고 본다. 이를 바탕으로 가능성이나 필연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 있다.[1]

  • 참인 명제: 현실세계에서 참인 명제이다.
  • 가능한 명제: 적어도 하나의 가능세계에서 참인 명제이다.
  • 우연적 명제: 참인 가능세계와 거짓인 가능세계가 모두 존재하는 명제이다.
  • 필연적 명제: 모든 가능세계에서 참인 명제이다.
  • 불가능한 명제(필연적으로 거짓인 명제): 모든 가능세계에서 거짓인 명제이다.


"크립키 의미론"은 종종 가능세계 의미론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지만, 크립키 의미론은 필연성·우연성이라는 진리론적 양상에만 국한된 이론은 아니며, "가능세계"라는 표현에서 전제되기 쉬운 양상실재론적인 의미도 아니다.

가능 세계는 양상 논리와 내포 논리의 기본적인 개념 중 하나이다. 이러한 논리의 공식은 ''사실일 수 있는'' 것, ''사실이어야 하는'' 것, ''사실이라고 믿는'' 것 등에 대한 진술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고전적인 명제 양상 논리에 대한 관계 의미론에서, 공식 \Diamond P ("아마도 P"로 읽음)는 실제 세계에서 ''접근 가능한'' 어떤 세계에서 P가 참일 경우에만 참이다.

가능 세계는 형식 의미론 분야에서 활동하는 언어학자 및/또는 철학자들의 연구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현대 형식 의미론은 리처드 몽테규의 내포 논리를 기반으로 하는 몽테규 문법에 뿌리를 두고 있다.[1] 의미론에 대한 현대 연구는 일반적으로 가능한 세계에 대한 형이상학적 지위에 대한 특정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형식적인 도구로 사용한다. ''가능 세계''라는 용어는 그것에 형이상학적인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유지된다.

데이터베이스 이론 분야에서, 가능 세계는 불확실성 데이터베이스 및 확률 데이터베이스 설정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대량의 가능한 세계를 간결한 자료 구조로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2]

3. 3. 명제의 종류


  • '''참인 명제'''는 실제 세계에서 참인 명제이다. (예: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은 1914년에 암살되었다.")[14]
  • '''거짓인 명제'''는 실제 세계에서 거짓인 명제이다. (예: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은 2014년에 암살되었다.")
  • '''가능한 명제'''는 적어도 하나의 가능 세계에서 참인 명제이다. (예: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은 1914년에 자신을 향한 암살 시도에서 살아남았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의미에서 필연적으로 참인 명제를 포함한다.[14]
  • '''우연적 명제'''는 어떤 가능 세계에서는 참이고 다른 가능 세계에서는 거짓인 명제이다. (예: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은 1914년에 암살되었다"는 "우연적으로 참"이며,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은 1914년에 자신을 향한 암살 시도에서 살아남았다"는 "우연적으로 거짓"이다.)[14]
  • '''필연적으로 참인 명제''' (종종 단순히 "필연적 명제"라고 불림)는 모든 가능 세계에서 참인 명제이다. (예: "2 + 2 = 4"; "모든 독신자는 미혼이다.")[14]
  • '''불가능한 명제''' (또는 "필연적으로 거짓인 명제")는 어떤 가능 세계에서도 참이 아닌 명제이다. (예: "멜리사와 토비는 동시에 서로보다 키가 크다.")

4. 철학적 논쟁과 응용

가능세계는 철학의 여러 분야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특히 반사실 조건문 분석과 양상실재론 논쟁이 대표적이다.

데이비드 루이스와 로버트 스탈네이커는 근접 가능 세계를 이용해 반사실 조건문을 분석했다. "만약 ...였다면, ...였을 것이다"라는 주장의 참/거짓은 전건을 만족하는, 현실 세계와 가장 가까운 세계에서 후건이 참인지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았다.

데이비드 루이스는 양상 실재론을 주장하며 가능세계가 실제로 존재한다고 보았다. 반면 로버트 아담스나 윌리엄 라이칸은 가능 세계를 세계에 대한 무모순적이고 최대한 상세한 기술 또는 명제의 집합으로 간주했다. 솔 크립키는 저서 『명명과 필연성』에서 가능 세계를 형식적 · 논리적인 존재로 보는 규약적인 견해를 옹호했다.

가능세계는 마음의 철학에서 기능주의와 물리주의를 둘러싼 논의를 비롯하여, 좀비 논증, 수반 등 철학의 여러 논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2]

4. 1. 반사실 조건문 분석

데이비드 루이스와 로버트 스톨네이커는 가능세계를 사용하여 "만약 ~였다면, ~였을 것이다"와 같은 반사실 조건문의 진리 조건을 분석했다.[3] 이 분석에 따르면, 반사실 조건문의 참, 거짓은 현실 세계와 가장 가까운 가능세계에서 전건(만약 ~였다면)이 만족될 때 후건(~였을 것이다)도 만족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서 '가까운 세계'란 가능한 한 많은 사실을 공유하는 세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200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부시가 대통령이 되지 않았다면, 고어가 대통령이 되었을 것이다"라는 문장은 "부시가 대통령이 되지 않은 가능 세계 중, 우리의 현실 세계에 가장 가까운 모든 세계에서 고어가 대통령이 되었다"라는 주장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만약 부시가 대통령이 되지 않았지만 고어도 대통령이 되지 않은, 현실 세계와 가장 가까운 가능 세계가 존재한다면, 이 반사실 조건문은 거짓이 된다.

4. 2. 양상실재론 논쟁

데이비드 루이스는 양상실재론을 옹호하며 가능세계의 존재론적 지위에 대한 논쟁을 격화시켰다.[3] 루이스는 우리가 양상 표현을 해석할 때 양화하는 가능세계는 현실세계와 마찬가지로 실재하며 구체적인 세계라고 주장했다. 다만, 이러한 가능세계들은 현실세계와 공간적, 시간적, 인과적 관계를 갖지 않는다는 점에서 구별된다고 보았다. 루이스에게 '현실세계'가 갖는 특별한 성질은 "우리가 그곳에 살고 있다"는 관계적 속성뿐이며, '현실'은 '나', '지금'처럼 지표적인 것에 불과하다.[9][10]

윌러드 밴 오먼 콰인은 루이스의 입장이 "형이상학적으로 사치스럽다"고 비판했다.[11] 로버트 스탈네이커는 사물이 존재할 수 있었던 방식은 세계 자체가 아니라 세계가 가질 수 있는 속성이며, 속성은 어떤 객체에도 적용되지 않고 존재할 수 있으므로 다른 세계가 존재한다고 결론 내릴 이유가 없다고 반박했다. 또한 스탈네이커는 루이스의 "현실성의 지시성 이론"에 대해서도 비판했는데, 'actual'이 지시적 표현이라 하더라도 다른 세계의 존재를 함축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나'라는 지시적 표현은 다른 사람들이 실제로 존재한다고 믿지 않더라도 사용될 수 있다.[12]

로버트 아담스와 윌리엄 라이칸은 루이스의 주장에 형이상학적으로 공감할 수 없다며, 가능세계를 세계에 대한 무모순적이고 최대한 자세한 기술 또는 명제의 집합으로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가능세계는 '어떻게 존재하는 세계'가 아니라 '세계가 어떠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술'이 된다. 앨빈 플랜팅가와 피터 포레스트도 유사한 주장을 펼쳤는데, 루이스는 이를 '대체양상실재론'이라 칭하며 가능세계 의미론의 이점을 "싸게 사들이려 한다"고 비판했다.[9][10]

반면 솔 크립키는 저서 『이름과 필연』에서 가능세계를 순수히 형식적, 논리적인 존재로 보는 규약적 견해를 옹호하며, 루이스의 입장과 명제 집합으로 보는 견해를 모두 비판했다.[13]

4. 3. 심리철학에서의 응용

가능세계는 기능주의, 물리주의, 철학적 좀비 논증 등 심리철학의 논쟁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1] 이러한 논쟁은 마음의 철학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2]

4. 4. 기타 응용

가능세계는 좀비 논증, 물리주의, 정신 철학에서의 수반에 대한 논쟁 등 철학의 여러 논쟁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종교 철학의 많은 논쟁이 가능세계 개념을 통해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5. 문학과 과학에서의 가능세계

가능세계는 현실 세계와 대비되는 가능성의 세계이다. 사물들이 현실에서 존재하는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논리적 또는 과학적으로 가능하다고 전제된 설정하에, 그렇게 다른 방식으로 유추된 세계를 가리킨다. 다중우주(멀티버스)는 이러한 가능세계의 한 예시이다.[1]

5. 1. 문학에서의 가능세계

문학, 특히 공상 과학 소설에서는 상상력을 통해 현실과는 다른 가능세계를 묘사한다.[1] 이러한 가능세계는 지구가 포함된 우주 이외에 다른 우주가 무한하게 존재한다는 가설로 알려진 다중우주와 관련지어지기도 한다.[1]

5. 2. 다중우주 가설

다중우주(멀티버스) 가설은 과학에서 제시되는 가능세계의 한 예시로, 우리 우주 외에 무수히 많은 다른 우주가 존재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멀티버스는 수많은 여러 개의 우주들이 맞닿아 이루어진 총체에 대한 가설이다.[20] 지구가 속한 우주와 유사한 여러 우주들이 마치 작은 거품들이 맞닿아 있는 것과 같은 형태로 존재한다고 보는 우주 형태에 대한 가설 중 하나이다.[20]

참조

[1] 컨퍼런스 Formal Semantics: Origins, Issues, Early Impact https://newprairiepr[...]
[2] 서적 Probabilistic Databases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2-05-31
[3] 서적 Counterfactuals https://philpapers.o[...] Blackwell 1973
[4] 학술지 The Ontology of Impossible Worlds https://philpapers.o[...] 1997
[5] 백과사전 Impossible World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0-11-14
[6] 백과사전 Possible World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0-11-14
[7] 학술지 On What There Is https://philpapers.o[...] 1948
[8] 서적 Ontology Made Easy https://philpapers.o[...] Oup Usa 2014
[9] 서적 Counterfactuals John Wiley & Sons 1973
[10] 서적 On the plurality of worlds. Wiley-Blackwell 1986
[11] 문서 W. V. O. Quine
[12] 학술지 Possible worlds 1976
[13] 서적 Naming and necessity. Harvard University Press 1972
[14] 웹사이트 A Priori and A Posteriori http://www.iep.utm.e[...] 2012-07-07
[15] 문서 Die Welt als Wille und Vorstellung
[16] 문서 The World, Chapter VII
[17] 간행물 Possible Worlds in the Tahâfut al-Falâsifa: Al-Ghazâlî on Creation and Contingency
[18] 간행물 Fakhr Al-Din Al-Razi on Physics and the Nature of the Physical World: A Preliminary Survey http://findarticles.[...] 2010-03-02
[19] 학술지 The Best of all possible worlds https://summa.upsa.e[...] 1948
[20] 문서 우리말샘 - 다중우주론 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