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군의 농어촌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평군의 농어촌버스는 가평교통에서 주로 운행하며, 가평군과 인접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이다. 2021년 기준, 가평교통은 58개 노선(직행좌석 8개, 시내일반 50개)과 44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가평군 농어촌버스는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하며, 가평군 관내, 서울 방면, 타 지역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구성된다. 서울 방면 노선은 경기고속, 경기여객, 가평교통, 대원운수 등 여러 운송 업체가 운행하며, 타 지역 방면 노선은 금강고속, 선진시내버스, 대원운수 등이 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교통 - 서울시티투어버스
서울시티투어버스는 서울의 주요 관광지를 순환하며 도심 순환, 청계·고궁, 서울파노라마 등 다양한 테마 코스와 야간 코스를 제공하는 시티투어 버스 서비스로, 2층 버스와 트롤리 버스를 포함한 다양한 버스들이 운행된다. - 대한민국의 교통 - 대한민국의 자동차 운전면허
대한민국의 자동차 운전면허는 차량 종류와 조건에 따라 1종, 2종, 연습면허, 한정면허 등으로 나뉘며, 각 면허는 운전 가능 차량, 취득 가능 연령, 조건 등에서 차이가 있고, 취득을 위해 시험을 거쳐야 하며, 한정면허가 존재하고, 국제운전면허증을 인정하며,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버스 교통 - 서울시티투어버스
서울시티투어버스는 서울의 주요 관광지를 순환하며 도심 순환, 청계·고궁, 서울파노라마 등 다양한 테마 코스와 야간 코스를 제공하는 시티투어 버스 서비스로, 2층 버스와 트롤리 버스를 포함한 다양한 버스들이 운행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교통 - KTX 리무진
KTX 리무진은 KTX 역과 주요 지역을 연결하여 대중교통 접근성을 높이는 리무진 버스로, 2010년 울산역에서 처음 운행을 시작한 후 김천구미역, 광명역 등으로 노선이 확대되어 현재 울산, 구미, 광명 등에서 다양한 노선이 운행 중이다. - 대한민국의 관광 - 서울시티투어버스
서울시티투어버스는 서울의 주요 관광지를 순환하며 도심 순환, 청계·고궁, 서울파노라마 등 다양한 테마 코스와 야간 코스를 제공하는 시티투어 버스 서비스로, 2층 버스와 트롤리 버스를 포함한 다양한 버스들이 운행된다. - 대한민국의 관광 - 한국방문의해위원회
한국방문의해위원회는 외국인 관광객 유치와 만족도 향상을 목표로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비영리 재단법인으로, 한국 방문의 해 캠페인, K스마일 캠페인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관광객 유치 및 한국 관광 브랜드 인지도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가평군의 농어촌버스 | |
---|---|
버스 교통 정보 | |
지역 | 가평군 |
구분 | 농어촌버스 |
![]() | |
관리 기관 | 가평군청 건설교통과 |
차적지 | 경기도 가평군 |
운행 지역 | 서울특별시, 경기도 포천시, 구리시, 남양주시, 양평군,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홍천군 |
노선 수 | 72 |
인가 대수 | 44 |
지불 수단 | 현금, 교통카드 |
선불 카드 | 마이비, 레일플러스, 캐시비, 탑패스, 티머니, 한페이, 하나로 |
후불 카드 | 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수협, 신한, 씨티, 제주, 하나카드, 현대 |
웹사이트 | "가평군 버스 운행 시간표" "경기도 버스정보 시스템 홈페이지" |
2. 운수 업체
가평군 관내에는 가평교통이 농어촌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타 지역 업체로는 경기고속(광주), 경기여객(구리), 선진시내버스(포천), 대원운수(남양주), 금강고속(양평) 등이 있다.
2. 1. 농어촌버스
가평교통은 2021년 1월 기준으로 58개의 노선과 44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1]운행업체 | 보유 노선 수 | 등록 대수 |
---|---|---|
가평교통 | 58 | 44 |
가평교통의 노선은 직행좌석 8개, 시내일반 50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량은 직행좌석 20대, 시내일반 32대를 보유하고 있다. 광역급행 및 일반좌석 노선과 차량은 없다.
구분 | 노선 수 | 차량 대수 |
---|---|---|
직행좌석 | 8 | 20 |
시내일반 | 50 | 32 |
광역급행 | 0 | 0 |
일반좌석 | 0 | 0 |
2. 2. 타 지역 업체
가평군의 농어촌버스는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르며, 경기도의 다른 시내버스와 마찬가지로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
3. 요금
3. 1. 요금 체계
종류 | 나이 | 현금 (원) | 카드 (원) | 조조요금 (원) |
---|---|---|---|---|
일반시내 (DRT) | 어른 (만 19세 이상) | 1,500 | 1,450 | 1,2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100 | 1,010 | 87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800 | 730 | 630 | |
일반좌석 | 어른 (만 19세 이상) | 2,500 | 2,450 | 2,0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900 | 1,820 | 1,5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700 | 1,640 | 1,370 | |
직행좌석 (간선급행) | 어른 (만 19세 이상) | 2,900 | 2,800 | 2,4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000 | 1,960 | 1,68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000 | 1,960 | 1,680 | |
경기순환 | 어른 (만 19세 이상) | 3,100 | 3,050 | 2,6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200 | 2,140 | 1,8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200 | 2,140 | 1,820 | |
광역급행(M버스) | 어른 (만 18세 이상) | 2,900 | 2,800 | 2,300 |
청소년 (만 12세 ~ 17세) | 2,100 | 2,000 | 1,60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600 | 1,600 | 1,300 |
3. 2. 환승 할인
가평군의 농어촌버스는 경기도의 다른 지역 시내버스와 같이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른다.4. 버스 노선
가평군의 농어촌버스는 가평군 관내를 운행하는 노선, 서울특별시 방면으로 운행하는 노선, 그리고 타 지역으로 운행하는 노선으로 구분된다.
4. 1. 가평군 내 버스 노선
노선 | 운행 구간 | 경유지 | 배차 | 비고 | ||
---|---|---|---|---|---|---|
12 | 가평TR | ↔ | 설악TR | 가평역, 이화리, 산유리, 복장리, 고재입구 | 10회 | |
15 | 가평역 | ↔ | 목동TR | 가평TR, 보건소, 마장리, 이곡리 | 35회 | |
10-1 | 가평역 | ↔ | 경반리·용추 | 가평TR, 가평군청, 승안리입구 | 9회 | |
10-3 | 가평TR | ↔ | 새밀·두밀리 | 가평역, 하색리, 두밀삼거리 | 7회 | |
10-4 | 가평TR | ↔ | 남이섬 | 가평역, 달전리 | 24회 | |
10-5 | 가평TR | ↔ | 금대리 | 가평역, 이화삼거리, 금대리, 하금대, 산유리, 이화리, 가평역 | 8회 | |
10-6 | 가평TR | ↔ | 경강역·방하리 | 5회 | ||
10-7 | 가평TR | ↔ | 가평역 | 24회 | ||
60-10 | 가평TR | → | 가평TR | 레일바이크, 가평군청, 읍내10리, 가평역, 자라섬 | 15회 | |
60-19 | 가평TR | → | 가평TR | 자라섬, 가평역, 읍내10리, 가평군청, 레일바이크 | 14회 | |
71-1 | 가평역 | ↔ | 개곡리 | 가평TR, 아랫마장, 마장초교 | 7회 | |
23 | 설악TR | ↔ | 청평TR | 솔고개, 신청평대교 | 22회 | |
20-1 | 설악TR | ↔ | 영천리 | 솔고개, 배치고개, 이천리 | 5회 | |
20-2 | 설악TR | ↔ | 유명산종점(대리) | 신천리, 방일리, 가일리 | 10회 | |
20-3 | 설악TR | ↔ | 묵안리 | 신천리, 엄소리, 설곡리 | 8회 | |
20-4 | 설악TR | ↔ | 모곡 | 위곡3리, 널미재, 동막 | 6회 | |
20-5 | 설악TR | ↔ | 미사2리·송산2리 | 청심국제병원, 송산리 | 10회 | |
30-1 | 청평TR | ↔ | 송천리 | 대성리역 | 3회 | |
30-2 | 청평TR | ↔ | 삼회리(야밀) | 신청평대교, 삼회리 | 6회 | |
30-3 | 청평TR | ↔ | 수리재 | 청평역, 하천리 | 6회 | |
30-4 | 상천역 | ↔ | 호명호수 | 호명호수주차장 | 10회 | |
60-39 | 상천역 | ↔ | 호명호수 | 호명호수주차장 | 10회 | |
30-5 | 청평TR | ↔ | 고성리 | 청평역, 호명리, 쁘띠프랑스, 고재 | 11회 | |
30-6 | 청평TR | ↔ | 아침고요수목원 | 청평역, 다원리, 상면초교, 행현리 | 13회 | |
30-7 | 청평TR | ↔ | 아침고요수목원 | 청평역, 다원리, 상면초교, 임초리 | 4회 | |
30-8 | 청평TR | ↔ | 독박골·임초리 | 청평역, 다원리, 상면초교, 행현리 | 2회 | |
30-9 | 청평TR | → | 청평TR | 청평고, 청평역, 청평면행정복지센터 | 19회 | |
60-30 | 청평TR | → | 청평TR | 청평고, 청평역, 청평면행정복지센터 | 19회 | |
73-1 | 청평TR | ↔ | 가평TR | 상천리입구, 상색리, 가평역 | 10회 | |
41 | 현리TR | ↔ | 가평TR | 상면초교, 다원리, 상천리입구, 가평역 | 7회 | |
43 | 현리TR | ↔ | 청평TR | 상면초교, 다원리, 청평역 | 9회 | |
40-2 | 현리TR | ↔ | 봉수리 | 원흥리, 물골, 율길리(현리출발) | 6회 | |
40-3 | 현리TR | ↔ | 봉수리 | 원흥리, 물골, 율길리(현리행) | 6회 | |
40-4 | 현리TR | ↔ | 마일2리·대보리 | 5회 | ||
40-5 | 현리TR | ↔ | 상판리 | 하판리 | 6회 | |
40-6 | 현리TR | ↔ | 독박골·임초리 | 상면초교 | 5회 | |
40-8 | 현리TR | ↔ | 상판리 | 신상3리, 산월랑, 하판리, 꽃동네(현리출발) | 3회 | |
40-11 | 현리TR | ↔ | 불기 | 태봉리(태봉골) | 3회 | |
74-1 | 현리TR | ↔ | 불기 | 태봉리 | 8회 | |
74-2 | 현리TR | ↔ | 마일리 | 간촌 | 4회 | |
50-2 | 목동TR | ↔ | 싸리재·작은멱골·큰멱골 | 소법리 | 5회 | |
50-3 | 목동TR | ↔ | 꽃넘이 | 소법리 | 5회 | |
50-4 | 목동TR | ↔ | 홍적리·화악리 | 6회 | ||
50-5 | 목동TR | ↔ | 논남·용수동 | 제령리, 백둔리입구 | 9회 | |
50-6 | 목동TR | ↔ | 백둔리·논남·용수동 | 제령리 | 1회 | |
75-1 | 목동TR | ↔ | 백둔리 | 제령리 | 11회 | |
80 | 현리TR | ↔ | 광릉내 | 4회 |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 |
4. 2. 서울 방면 노선
직행좌석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간선급행
간선급행
간선급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