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원운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원운수는 1999년 2월 KD운송그룹 계열사로 설립되어 경기도 남양주시를 중심으로 시내버스,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회사이다. 1999년 3월 운행을 시작하여, 2008년 경기여객 분사, 2014년 본사 이전, 2010년대 이후 노선 확장 및 변경을 거쳤다. 현재 도시형버스, 일반좌석버스,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 등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며, 2024년 1월부터 76번 버스에 경기도형 준공영제를 시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9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인천국제공항공사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인천국제공항의 건설, 관리, 운영을 주 사업으로 대한민국 항공 운송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공기업으로, 공항 주변 지역 개발 및 국가 위탁 사업도 수행한다. - 1999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남양여객
남양여객은 1998년 삼성여객 노선을 용남고속이 인수하여 설립되었고, 수원여객 자회사로 운영되다가, 현재는 화성시에 본점을 두고 여러 노선을 운행하며 다양한 차종을 보유하고 있다. - KD운송그룹 - 세명고등학교 (충북)
1987년 충현고등학교로 개교하여 1994년 세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한 세명고등학교는 대원교육재단이 운영하는 충청북도의 사립 고등학교로, 꾸준한 시설 확장을 통해 다양한 학습 및 편의 시설을 갖추고 2023년 2월 기준 11,207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 KD운송그룹 - 고양종합터미널
고양종합터미널은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종합버스터미널로, 2012년 개장 후 화재 사고를 겪었으나 재개장하여 현재 전국 각지로 시외·고속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 경기도의 시내버스 기업 - 과천여객
과천여객은 2016년 설립되어 과천운수로부터 양도받은 6번 노선을 포함, 총 4개의 도시형/따복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자일대우 레스타, 현대 그린시티 등 11대의 버스를 보유한 과천시 시내버스 운송 회사이다. - 경기도의 시내버스 기업 - 연천교통
연천교통은 2002년 설립되어 경기도 연천군에서 농어촌버스, 맞춤형 버스, 직행좌석버스 등 26개 노선을 운영하는 버스 운송 업체이다.
| 대원운수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주식회사 대원운수 |
| 원어 | Daewon Transport Corp. |
| 종류 | 주식회사 |
| 창립 | 1999년 2월 26일 |
| 시장 정보 | 비상장 |
| 장소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로 320 |
| 국가 | 대한민국 |
| 인물 | 허상준 (대표이사) |
| 산업 | 운수업 |
| 자본금 | 500,000,000원 (2020.12) |
| 매출액 | 66,389,813,731원 (2020) |
| 영업이익 | -2,705,134,980원 (2020) |
| 순이익 | -1,239,694,901원 (2020) |
| 자산총액 | 44,579,744,234원 (2020.12) |
| 모기업 | KD운송그룹 |
| 주주 | 권동현 외 3인: 49.67% 허상준: 25.23% 주식회사 대원여객: 24.30% 기타: 0.80% |
| 종업원 | 892명 (2015.12) |
| 웹사이트 | KD운송그룹 |
2. 역사
1999년 2월 26일 : 명진운수의 인수 노선을 중심으로 KD운송그룹 계열사인 '''대원운수'''가 설립되었다. 1999년 3월 20일 운수사업면허를 취득하였고, 3월 25일 운행을 시작하였다.
2008년 4월 1일 : 방계회사로 구리시의 시내버스 면허 업체인 경기여객이 분사되어 6개 노선을 양도하였다.
2009년 8월 10일 : 광역급행버스 M2104번으로 개통하였다.
2010년 11월 15일 : 광역급행버스 M2104번에서 직행좌석버스 766번으로 변경되었다.
2014년 3월 28일 : 본사를 현 위치인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로 320으로 이전하였다.
2015년 2월 7일 : 시내버스 55-1번 호평동 ~ 진접지구 구간 신설노선 개통했다.
2015년 10월 11일 : 시내버스 10번이 덕송터널 경유한다.
2017년 1월 16일 : 시내버스 97번이 강변역에서 서울아산병원으로 연장되었다.
2018년 1월 15일 : 2층버스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1000-2번에서 1000-1번으로 변경 및 전세버스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1003번을 신설했다.
2019년 2월 11일 : 직행좌석버스 105번 신설
2019년 3월 4일 : 광역급행버스 M2341번 및 직행좌석버스 8002-1번 신설
2019년 12월 24일 : 시내버스 땡큐10번 신설
2020년 3월 30일 : 시내버스 땡큐50번 신설
2020년 4월 29일 : 시내버스 땡큐30번 신설
2020년 5월 22일 : 시내버스 땡큐11번 신설
2024년 1월 1일 : 76번버스가 경기도형 준공영제인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시행
2. 1. 설립 초기 (1999년 ~ 2000년대)
1999년 2월 26일 : 명진운수의 인수 노선을 중심으로 KD운송그룹 계열사인 '''대원운수'''가 설립되었다. 1999년 3월 20일 운수사업면허를 취득하였고, 3월 25일 운행을 시작하였다.2008년 4월 1일 : 방계회사로 구리시의 시내버스 면허 업체인 경기여객이 분사되어 6개 노선을 양도하였다.
2009년 8월 10일 : 광역급행버스 M2104번으로 개통하였다.
2010년 11월 15일 : 광역급행버스 M2104번에서 직행좌석버스 766번으로 변경되었다.
2. 2. 노선 확장 및 변화 (2010년대 ~ 현재)
2010년대 이후 대원운수는 다양한 노선 변화를 겪었다. 2010년 11월 15일 광역급행버스 M2104번이 직행좌석버스 766번으로 변경되었다. 2014년 3월 28일 본사를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로 320으로 이전하였다.2015년에는 시내버스 노선 확장이 이루어졌다. 2015년 2월 7일 호평동과 진접지구를 잇는 55-1번 노선이 신설되었고, 2015년 10월 11일 10번 노선이 덕송터널을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2017년 1월 16일에는 97번 노선이 강변역에서 서울아산병원까지 연장되었다.
2018년 1월 15일에는 2층 버스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1000-1번(기존 1000-2번)과 전세버스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1003번이 신설되었다. 2019년에는 2월 11일 직행좌석버스 105번, 3월 4일 광역급행버스 M2341번 및 직행좌석버스 8002-1번이 신설되는 등 노선 확장이 계속되었다.
2019년 12월 24일에는 시내버스 땡큐10번이 신설되었고, 2020년에도 땡큐 시리즈 노선 신설이 이어져 3월 30일 땡큐50번, 4월 29일 땡큐30번, 5월 22일 땡큐11번이 차례로 개통되었다.
2024년 1월 1일에는 76번 버스가 경기도형 준공영제인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시행하게 되었다.
3. 운행 노선
3. 1. 도시형버스
대원운수는 다양한 도시형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1번: 진벌리차고지에서 출발하여 광릉내, 퇴계원, 광나루역을 거쳐 강변역(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까지 운행한다. 이 노선은 경기운수에서 이관받았으며, 진접읍사무소 앞을 경유한다.
- 1-4번: 차산리차고지에서 출발, 마석역, 평내호평역, 금곡역, 도농역, 구리역을 지나 광나루역, 천호역, 강동역을 거쳐 미사리(조정경기장)까지 운행한다. 구 1119번으로, 경기운수에서 이관받았으며, 전기버스가 운행 중이다.
- 6번: 차산리차고지에서 마석역, 평내호평역, 금곡역을 거쳐 군장리까지 운행하며, 30-16번에서 분리되었다.
- 7번: 원차산리(훈련장입구)에서 마석역을 거쳐 삼익아파트까지 운행하며, 30-16번에서 분리되었다.
- 8-8번: 에코랜드수영장에서 청학주공, 용암교를 거쳐 비루개마을까지 운행한다. (2019년 7월 2일 신설)
- 8-9번: 마석역에서 산성마을입구, 장천고개, 송천마을회관을 거쳐 송천리종점까지 운행한다.
- 10번: 진벌리차고지에서 경복대학, 진접역, 오남역, 별내별가람역을 거쳐 당고개역까지 운행한다. (덕릉고개 미경유)
- 30-15번: 마석에서 차산리, 월문리, 덕소삼거리를 거쳐 도곡리까지 운행한다. (구 34번)
- 33-2번: 마석역에서 가곡리, 송천리, 입석1리를 거쳐 대성리까지 운행한다. (2020년 10월 6일 신설)
- 34번: 다산차고지에서 롯데캐슬.아이파크, 대림e편한세상, 미금중학교, 다산행정복지센터를 거쳐 도농역.동화중고교까지 운행한다.
- 38번: 반도유보라1차정문에서 남양주체육문화센터, 남양주제2청사.남양주남부경찰서, 도농역을 지나 가운지구까지 운행한다.
- 38번(수석동): 미음나루에서 수석동.풍속마을, 남양주체육문화센터, 남양주제2청사.남양주남부경찰서, 도농역을 지나 가운지구까지 운행한다.
- 55번: 사릉에서 금곡역, 평내호평역을 거쳐 마석택지지구까지 운행한다.
- 58번: 차산리차고지에서 마석역, 북한강체육공원, 남양주종합촬영소, 운길산역, 양수리를 거쳐 다산정약용유적지.실학박물관까지 운행한다.
- 65번: 차산리차고지에서 천마산역, 평내호평역, 금곡역, 도농역, 구리역을 지나 상봉역(상봉시외버스터미널), 회기역(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청량리역까지 운행한다. (대원교통 9201번 대체 노선, 전기버스 운행중)
- 65-1번: 차산리차고지에서 평내동, 도농역, 구리역을 지나 북부간선도로를 경유하여 화랑대역, 태릉입구역, 석계역까지 운행한다.
- 76번: 수택동차고지에서 다산지금지구, 도농역, 화랑대역, 태릉입구역을 거쳐 석계역까지 운행한다. (2019년 5월 7일 신설, 2024년 1월 1일부터 경기도형 준공영제 실시)
- 91번: 진벌리차고지에서 경복대학, 진접역, 오남역, 사릉역, 도농역을 지나 광나루역, 강변역(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까지 운행한다. (구 9-1번, 현 경기운수 9-1번과 무관)
- 97번: 호평동차고지에서 도농역, 구리역을 지나 광나루역, 강변역(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 서울아산병원까지 운행한다.
- 98번: 차산리에서 마석역, 오남읍사무소를 거쳐 오남역까지 운행한다. (2024년 3월 11일 신설)
- 98-1번: 차산리에서 마석역, 축령산입구를 거쳐 오남역까지 운행한다. (2024년 3월 11일 신설)
- 99번: 다산차고지에서 롯데캐슬.아이파크, 미금중학교를 거쳐 구리역까지 운행한다.
- 99-1번: 자연앤e편한세상.힐스테이트에서 미금중학교를 거쳐 구리역까지 운행한다.
- 112-1번: 연대농장입구.도곡리종점에서 도심역, 팔당대교, 길동역, 천호역, 강동구청역을 거쳐 강변역(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까지 운행한다.
- 165번: 호평동차고지에서 도농역, 구리역, 망우역, 회기역(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을 거쳐 청량리역까지 운행한다. (대원교통 2231번 대체노선, 전기버스 운행중)
- 166번: 도곡리차고지에서 도심역, 덕소역, 도농역, 구리역을 지나 상봉역, 회기역(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청량리역까지 운행한다.
- 166-1번: 연대농장입구.도곡리종점에서 도심역, 덕소역, 구리역을 지나 망우역, 회기역(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청량리역까지 운행한다.
- 167-1번: 구리농수산물도매시장에서 구리역, 도농역, 양정역을 거쳐 율석리까지 운행한다.
- 168번: 차산리차고지에서 마석역, 천마산역, 양정역을 거쳐 도곡리까지 운행한다.
- 땡큐10번: 다산차고지에서 도농역, 금곡종점까지 운행한다. (2019년 12월 24일 신설)
- 땡큐11번: 수택동차고지에서 도농역을 거쳐 자연앤롯데캐슬.반도유보라까지 운행한다.
- 땡큐12번: 수택동차고지에서 도농역을 거쳐 반도유보라후문까지 운행한다.
- 땡큐21번: 산성마을입구에서 중흥아파트를 거쳐 가곡리종점까지 운행한다. (2024년 6월 1일부터 땡큐버스 전환)
- 땡큐22번: 차산리에서 마석역을 거쳐 답내초교까지 운행한다. (2024년 6월 1일부터 땡큐버스 전환)
- 땡큐23번: 마석역에서 창현2리 마을회관을 거쳐 창현리종점까지 운행한다. (2024년 6월 1일부터 땡큐버스 전환)
- 땡큐24번: 맹골에서 마석역을 거쳐 라온프라이빗까지 운행한다. (2024년 6월 1일부터 땡큐버스 전환)
- 땡큐30번: 청학리종점에서 별내역, 퇴계원역, 사릉역, 금곡역까지 운행한다. (2020년 4월 29일 신설)
- 땡큐33번: 비금리에서 마석역을 거쳐 외구운마을까지 운행한다. (2024년 6월 1일부터 땡큐버스 전환)
- 땡큐34번: 차산리에서 마석역을 거쳐 축령산자연휴양림까지 운행한다. (2024년 6월 1일부터 땡큐버스 전환)
- 땡큐35번: 화도정수장에서 마석역을 거쳐 수산1리마을회관까지 운행한다. (2024년 6월 1일부터 땡큐버스 전환)
- 땡큐36번: 마석역에서 수동면사무소를 거쳐 지둔리마을회관까지 운행한다. (2024년 6월 1일부터 땡큐버스 전환)
- 땡큐37번: 차산리에서 마석역을 거쳐 만취대까지 운행한다. (2024년 6월 1일부터 땡큐버스 전환)
- 땡큐50번: 청학리에서 별내별가람역, 별내역, 도농역을 거쳐 금곡종점까지 운행한다. (2024년 4월 1일부로 노선변경)
- 땡큐58-3번: 대성리에서 운길산역, 팔당역, 도심역, 덕소역, 도농역까지 운행한다.
3. 2. 일반좌석버스
- ● 330-1번: 비금리차고지 ↔ 수동 ↔ 가곡리 ↔ 마석역 ↔ 평내동 ↔ 금곡동 ↔ 도농역 ↔ 구리역(롯데백화점 구리점)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망우리고개 ↔ 망우역 ↔ 상봉역(상봉시외버스터미널) ↔ 중랑역 ↔ 회기역(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 동대문경찰서 ↔ 현대코아 ↔ 청량리역 (경기고속에서 이관 받은 노선이다.)
- ● 330-2번: 차산리차고지 ↔ 창현택지지구 ↔ 가곡초교 ↔ 수동농협 ↔ 방동 ↔ 비금리 (330-1번 차량으로 운행)
- ● 330-3번: 비금리 ↔ 수동 ↔ 가곡리 ↔ 마석역 ↔ 창현택지지구 ↔ 차산리차고지 (공차노선이므로 승하차 불가 및 330-1번 차량으로 운행)
3. 3. 직행좌석버스
대원운수는 경기도 남양주시의 시내버스 회사로, 다양한 직행좌석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100번: 경복대학을 출발하여 진접역, 오남역, 사능, 퇴계원 나들목을 경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구리요금소), 토평 나들목을 지나 광나루역과 강변역(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 B승강장)까지 운행한다. 구 시내버스 100번이었으며, 경기고속에서 이관받았다.
- 105번: 진벌리차고지에서 출발, 경복대학교, 진접역, 양지리, 오남역을 거쳐 덕송내각고속화도로를 통해 당고개역까지 운행한다. 2019년 2월 11일에 신설되었다.
- 105-1번: 광릉내차고지에서 출발하여 서희스타힐스, 현대.금강아파트, 진접농협, 봉현마을, 내각리를 경유하고 덕송내각고속화도로를 통해 당고개역까지 운행한다. 2019년 11월 4일에 105번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 1000-1번: 호평동차고지에서 출발, 호평상업지구, 평내호평역, 평내동 행정복지센터, 장내마을.평내파출소, 장내중.평내고.남양주소방서를 지나 수석호평도시고속도로, 수석동.풍속마을, 토평IC, 강변북로, 잠실대교를 거쳐 잠실광역환승센터까지 운행한다. 2018년 1월 15일에 노선이 변경되었으며, 2층 버스는 운행하지 않는다.
- 1001번: 청학리에서 출발하여 별내신도시, 별내역, 퇴계원 나들목을 경유하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구리요금소), 토평 나들목, 강변북로, 잠실대교를 지나 잠실광역환승센터까지 운행한다. 2013년 4월에 신설되었다.
- 1003번: 다산차고지에서 출발하여 반도.롯데.현대아파트, 한양아파트, 유승한내들, 대림아파트, 남양주제2청사.남양주남부경찰서, 남양주체육문화센터, 수석동.풍속마을을 경유하고 강변북로, 잠실대교를 지나 잠실광역환승센터까지 운행한다. 2018년 3월 26일에 전세버스에서 직행좌석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
- 1006번: 다산차고지에서 출발, 반도.롯데.현대아파트, e편한세상, 금교초등학교, 남양주제2청사.남양주남부경찰서, 남양주체육문화센터, 수석동.풍속마을, 토평나들목을 지나 광나루역과 강변역(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 A승강장)까지 운행한다. 2019년 12월 30일에 신설되었다.
- 1100번: 차산리차고지를 출발, 창현택지지구, 호평동, 평내택지지구, 금곡동, 도농역, 가운택지지구를 거쳐 강변북로, 잠실대교, 잠실역, 잠실새내역, 종합운동장역, 삼성역, 선릉역, 역삼역, 강남역, 신논현역, 논현역, 신사역까지 운행한다.
- 1200번: 차산리차고지에서 출발하여 창현지구, 마석택지지구, 평내호평역, 금곡동, 금곡역, 도농역을 경유하고 남양주 나들목,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구리요금소), 토평 나들목, 강변북로, 잠실대교(잠실역 방향) 또는 강일 나들목, 올림픽대로, 강동대교(차산리 방향)를 통해 잠실광역환승센터까지 운행한다. 대원교통 9202번을 대체하는 노선이다.
- 1200-1번: 차산리차고지에서 출발, 창현댁지지구, 마석택지지구, 평내호평역, 남양주시청, 금곡동 행정복지센터, 양정동주민센터, 도농역을 거쳐 남양주 나들목,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구리요금소), 토평 나들목, 강변북로, 잠실대교 (잠실역 방향) / 강일 나들목, 올림픽대로, 강동대교 (차산리 방향)를 경유하여 잠실광역환승센터까지 운행한다. 출근형 급행버스이다.
- 1640번: 도곡리차고지에서 도심역, 덕소삼거리, 동부센트리빌을 거쳐 미사역까지 운행했었다. (2020년 8월 18일 신설)[폐선]
- 1660번: 도곡리차고지에서 출발, 동부센트레빌 · 현대아이파크 · 대성 · 코오롱아파트, 덕소삼거리, 덕소역, 도심역을 지나 광나루역과 강변역(테크노마트 D승강장)까지 운행한다. 대원교통 9204번을 대체하는 노선이다.
- 1670번: 도곡리차고지에서 출발하여 도심역, 덕소삼거리, 덕소역을 경유하고 강변북로, 잠실대교를 지나 잠실역까지 운행한다. 대원교통 9203번을 대체하는 노선이다.
- 1700번: 도곡리차고지에서 출발하여 도심역, 덕소삼거리, 덕소역을 경유하고 강변북로, 잠실대교를 지나 잠실역, 잠실새내역, 종합운동장역, 삼성역, 선릉역, 역삼역, 강남역, 신논현역까지 운행한다.
- 8001번: 대성리에서 출발하여 마석역, 마석택지지구, 창현택지지구, 화도 나들목, 서울양양고속도로, 미사대교, 올림픽대로를 거쳐 잠실역, 잠실새내역, 종합운동장역, 삼성역, 선릉역, 역삼역, 강남역, 신논현역, 논현역, 신사역까지 운행하는 간선급행버스이다.
- 8002번: 대성리에서 출발하여 마석역, 마석택지지구, 창현택지지구, 화도 나들목, 서울양양고속도로, 미사대교, 강일 나들목, 올림픽대로를 거쳐 잠실광역환승센터까지 운행하는 간선급행버스이다. 구 8012번(대원운수) 통합 노선이다.
- 8002-1번: 대성리에서 출발, 두산.신명아파트, 서울양양고속도로, 미사대교, 올림픽대로를 거쳐 잠실광역환승센터까지 운행한다. 2019년 3월 4일에 신설된 간선급행버스이며, 출근형 급행버스이다.
3. 4. 광역급행버스 (M버스)
- M2341번: 월산지구에서 출발하여 화광중학교, 마석역, 청소년도움센터, 마석주공, 창현택지지구를 거쳐 화도 나들목으로 진입한다. 이후 서울춘천고속도로, 미사대교, 강일 나들목, 올림픽대로를 경유하여 잠실광역환승센터에 도착한다. 2019년 3월 4일에 신설되었다.
- M2352번: 평내초등학교에서 출발하여 평내 문화촌 마을, 평내고등학교, 평내 화성·유진 아파트, 평내 신명·대주·금호 아파트, 평내 중흥·삼창·상록 아파트를 거쳐 수석호평도시고속도로와 강변북로를 이용한다. 그 후 테크노마트·강변역을 지나 잠실광역환승센터에 도착한다. 2021년 5월 10일에 신설되었으며, 전기버스로 운행한다.
- M2353번: 다산동(다산차고지)에서 출발하여 자연앤자이.반도유보라, 다산자이.롯데캐슬, 자연앤e편한3차정문, 센트럴.한화아파트, 금강2차.반도.신안인스빌을 거쳐 잠실역에 도착한다. 2022년 3월 2일에 신설되었다.
4. 보유 차량
대원운수는 자일대우 레스타, 자일대우 BS090 뉴 로얄미디, 자일대우 BS106 뉴 로얄시티, 자일대우 BS110 뉴 로얄논스텝, 자일대우 FX II 116 크루징 애로우, 자일대우 FX116 하모니, 현대 E-카운티,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일렉시티/일렉시티 더블데커,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 CHTC 에픽타운, CHTC 에픽시티, 볼보 B8RLE 등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5. 본점 및 지점
대원운수의 본점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로 320에 위치해 있다. 그 외 차산리영업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수레로1092번길 5-4, 진벌리영업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경복대로 497, 내촌영업소는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음고개길 9-28, 호평동영업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호평로67번길 2 (호평동)에 있다.
6. 폐지, 면허 이관, 통폐합, 형간 전환, 노선번호 변경 노선
- 1-8번: 양지리차고지에서 출발하여 오남리, 사능, 뱅이삼거리를 거쳐 퇴계원, 배탈고개, 교문사거리, 구리시청, 광나루역을 지나 강변역(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까지 운행하였다. 이 노선은 경기운수에서 이관받았다.
- 3번: 미금중학교에서 출발하여 빙그레, 구리역, 돌다리, 교문사거리, 망우리고개, 망우역, 상봉역(상봉시외버스터미널), 중랑역을 거쳐 회기역(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과 청량리역까지 운행하였다. 이후 경기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5번: 진접지구에서 사릉역을 경유하는 노선이었으나, 경기운수로 이관되었다.
- 6-3번: 산성마을입구에서 출발하여 마석역, 마석지구대, 중흥아파트를 지나 대림아파트, 장미건영아파트, 너구내고개, 천마산입구, 대영그린빌까지 운행하였다. 6-5번과 통폐합되었다.
- 8번: 호평동차고지에서 평내동을 운행하는 노선이었다.(현재 8번 노선과는 무관)
- 8번: 미금중학교에서 출발하여 빙그레/부영6단지를 지나 도농역을 거쳐 가운지구까지 운행하였다.
- 8-1번: 미금중학교에서 부영7단지를 거쳐 도농역을 지나 가운지구까지 운행하였다.
- 8-2번: 미금중학교에서 부영7단지를 거쳐 도농역을 지나 가운지구와 수석동종점까지 운행하였다.
- 10-1번: 구리농수산물도매시장에서 출발하여 배탈고개, 교문사거리, 돌다리, 구리역, 도농역, 남양주시 체육문화센터를 거쳐 가운택지지구와 수석동까지 운행하였다.
- 10-3번: 미금중학교에서 막자골, 부영아파트를 지나 도농역, 빙그레를 거쳐 다시 미금중학교로 순환하는 노선이었다.
- 10-6번: 사능에서 뱅이삼거리를 지나 퇴계원, 배탈고개, 교문사거리, 돌다리, 구리역, 도농역, 남양주시 체육문화센터를 거쳐 덕소삼거리와 도곡리까지 운행하였다.
- 12-3번: 버스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여 용현동, 신곡동, 장암역, 수락산역, 상계동, 마들역을 지나 노원역까지 운행하였다. 경기고속으로 이관된 후 평안운수로 다시 이관되었으며, 경민대학을 미경유하고 12-5번으로 노선번호가 변경되었으나 폐선되었다.
- 13번 / 2015번 / 2017번: 남양주체육문화센터에서 도농역까지 운행하였으며, 2013년, 2015년, 2017년 10월 슬로푸드 국제대회 기간 동안 임시 운행하였다.
- 25번/26번: 남광하우스토리에서 별내커뮤니티센터와 아이파크를 경유하는 노선으로, 2018년 6월 12일부터 7월 31일까지 운행하였다.
- 30-1번 ~ 30-14번, 30-16번: 마석순환지선으로 마석에서 화도읍과 수동면을 운행하였다. 2024년 6월 1일부터 땡큐버스로 전환되었다.
- 30-16번: 차산리차고지에서 출발하여 창현택지지구, 마석택지지구, 평내호평역, 금곡동, 금곡역을 지나 군장리까지 운행하였다. 2010년 12월 21일 경춘선 전철역 경유를 위해 6번(차산리-군장리), 7번(원차산-삼익아파트)으로 분리되었다.
- 30-17번: 맞춤통학버스로 가곡리에서 출발하여 마석택지지구, 마석을 거쳐 화광중학교까지 운행하였다. 2024년 6월 1일부터 땡큐버스로 전환되었다.
- 30-18번: 맞춤통학버스로 원차산에서 출발하여 차산리, 창현택지지구, 마석을 거쳐 화광중학교까지 운행하였다. 2024년 6월 1일부터 땡큐버스로 전환되었다.
- 51번: 수택고등학교에서 출발하여 구리여고, 벌말삼거리, 이문안길, 구리시청, 교문사거리, 망우리고개, 망우역, 상봉역(상봉시외버스터미널), 중랑역을 지나 회기역(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과 청량리역까지 운행하였다. 이후 경기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55-1번: 호평동차고지에서 출발하여 평내호평역, 금곡역, 오남리를 지나 진접지구까지 운행하였으나, 2017년 3~4월경 수요 부족으로 폐선되었다.
- 56번: 대성리에서 출발하여 금남리, 백월리, 남양주종합촬영소, 운길산역, 양수리, 능내리를 지나 다산유적지까지 운행하였으며, 2022년 6월 폐선되었다.
- 땡큐61번: 덕소중학교에서 덕소역, 와부고.예봉중학교를 지나 금곡역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2021년 3월 9일 개통되었다.
- 66번: 미금중학교에서 출발하여 빙그레, 도농역, 금곡동, 평내택지지구를 지나 호평동까지 운행하였다.
- 91-1번: 진벌리차고지에서 출발하여 경복대학, 진접택지지구, 오남읍, 사릉역, 먹골, 양정마을(한국 수자원 공사), 남양주 제2청사, 남양주 경찰서를 지나 도농역, 가운택지지구, 구리여자고등학교, 벌말 삼거리(장자대로 경유), 구리 경찰서, 광나루역을 거쳐 강변역(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까지 운행하였다. 대체 노선으로 경기운수 9-1번이 신설되었다.
- 93번: 대성리역에서 출발하여 마석, 호평지구, 평내동, 금곡동, 양정동, 도농역, 구리역, 구리여자고등학교, 장자대로를 지나 광나루역과 강변역(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까지 운행하였다. 구 9-3번 노선이며, 경기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95번: 미금중학교에서 출발하여 빙그레, 구리역, 구리여자고등학교, 이문안길, 한마음길을 지나 광나루역과 강변역(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까지 운행하였다. 경기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96번: 미금중학교에서 출발하여 구리농수산물도매시장, 인창지구, 구리여자고등학교, 이문안길, 장수길을 지나 광나루역과 강변역(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까지 운행하였다. 경기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165-3번: 진벌리차고지(경복대학)에서 출발하여 진접택지지구, 오남읍, 사능, 금곡동, 양정동, 도농역, 구리역, 돌다리, 교문사거리, 망우리고개, 망우역, 상봉역(상봉시외버스터미널), 중랑역을 지나 회기역(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과 청량리역까지 운행하였다. 2011년 5월 15일 최종 폐선되었으며, 구 2230번 노선이다.
- 166번: 도곡리차고지에서 출발하여 도심역, 덕소역, 도농역, GS스퀘어, 돌다리, 구리역, 교문사거리, 망우리고개, 망우역, 상봉역(상봉시외버스터미널), 중랑역을 지나 회기역(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과 청량리역까지 운행하였다. 경기여객으로 이관되었으며, 2009년 9월 8일 최종 폐선되었다. 구 2229번 노선이다.
- 167번: 남양주유기농박물관에서 출발하여 남양주종합촬영소, 부대앞, 연세중학교, 수종사입구, 운길산역, 양수리, 조안리, 팔당역, 도곡리, 덕소삼거리, 도농역, 구리역(롯데백화점 구리점), 돌다리, 교문사거리, 망우리고개, 망우역, 상봉역(상봉시외버스터미널), 중랑역을 지나 회기역(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과 청량리역을 거쳐 경동시장까지 운행하였다. 대원교통 2228번 대체 노선이었으며, 2022년 9월 4일 폐선되었다.
- 167-2번: 구암리에서 출발하여 월문리, 덕소역, 도농역, GS스퀘어, 교문사거리, 망우역, 상봉역, 회기역을 지나 청량리까지 운행하였다.
- 169번: 차산리차고지에서 출발하여 창현지구, 보미 · 청광아파트, 호평지구, 평내지구, 금곡동, 양정동, 양정역, 덕소삼거리를 지나 도곡리까지 운행하였다.
- 1115-2번: 차산리차고지에서 출발하여 창현택지지구, 마석역, 심석중학교, 고등학교, 중흥S클래스, 너구내고개, 평내호평역, 금곡동, 도농역, 구리시장, 남양시장을 지나 구리여자중학교, 교문아파트, 아천동, 워커힐을 거쳐 광나루역과 강변역(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까지 운행하였다. 2014년 3월 24일 폐선되었으며, 경기고속에서 이관받은 노선이다.
- 765-1번: 차산리차고지에서 출발하여 창현택지지구, 마석택지지구, 평내동, 평내호평역, 금곡동, 금곡역, 도농역, 돌다리, 구리역, 교문사거리, 망우리고개, 망우역, 상봉역(상봉시외버스터미널), 중랑역을 지나 회기역(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과 청량리역을 거쳐 경동시장까지 운행하였다. 2011년 3월 2일 폐선되었으며, 구 9201번, 9205번 노선이다.
- 766번: 호평동차고지에서 출발하여 평내동, 평내호평역, 금곡동, 금곡역, 도농역, 돌다리, 구리역, 교문사거리, 망우리고개, 망우역, 상봉역(상봉시외버스터미널), 중랑역을 지나 회기역(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과 청량리역을 거쳐 경동시장, 제기동역, 신설동역, 동묘앞역, 동대문역까지 운행하였다. 2011년 3월 2일 폐선되었으며, 구 M2104번 노선이다.
- 1000-2번: 호평상업지구에서 출발하여 평내택지지구, 금곡동, 도농역, 가운택지지구, 토평IC, 강변북로, 잠실대교를 지나 잠실광역환승센터까지 운행하였다. 2015년 11월 29일 운행을 개시하였으며, 2층 버스 노선이었다. 2018년 1월 15일 1000-1번으로 변경되었다.
- 1000-3번: 평내호평역에서 출발하여 평내택지지구, 금곡동, 도농역, 가운택지지구, 토평IC, 강변북로, 잠실대교를 지나 잠실광역환승센터까지 운행하였다. 2015년 11월 29일 운행을 개시하였으며, 2층 버스 노선이었다. 2018년 1월 15일 1000-1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0번: 진벌리차고지(경복대학)에서 출발하여 진접택지지구, 오남읍, 사능, 뱅이삼거리, 퇴계원,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구리요금소), 강변북로, 잠실대교를 지나 잠실역, 잠실새내역, 종합운동장역, 삼성역, 선릉역, 역삼역, 강남역, 신논현역까지 운행하였다. 2013년 5월 1일부터 경기운수로 이관되었다.
- 8012번: 구암리 진벌마을에서 출발하여 마석역, 마석택지지구, 창현택지지구, 화도 나들목, 서울춘천고속도로, 미사대교, 강일 나들목, 올림픽대로를 지나 잠실역까지 운행하는 간선급행버스였다. 2009년 12월 경기고속의 8002번과 흡수 통합되면서 기점이 대성리역으로 연장되었다. 현재 선진상운 (현.경기버스) 8012번과는 무관하다.
- M2104번: 호평동에서 출발하여 평내동, 금곡동을 지나 청량리역, 제기동역, 신설동역, 동대문역까지 운행하는 국토해양부의 광역급행버스였다. 2010년 11월 15일 직행좌석버스 766번으로 형간 전환되었으나 2011년 3월 2일 최종 폐선되었다.
- M2344번: 별내신도시에서 출발하여 남광하우스토리, 별가람고, KCC스위첸, 별내고, 쌍용예가를 지나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강변북로를 거쳐 잠실광역환승센터까지 운행하였다. 2019년 10월 7일 신설되었으나, 2024년 9월 1일 운휴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