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평교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평교통은 1965년 경기여객운수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운수업체로, 2020년 진흥고속에서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가평군 일대의 농어촌버스 및 직행좌석버스, 간선급행버스, 맞춤형 버스, 가평시티투어 등을 운행하며, 선진네트웍스 그룹의 계열사로 편입되었다. 과거에는 시외버스 노선도 운영했으나, 2019년 강원고속으로 이관되었다. 현재는 기아, 현대자동차, 스카이웰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진네트웍스 - 전북고속
    전북고속은 2015년 분할 설립된 시외버스 운송 업체로,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현대 유니버스 모델 등을 사용한다.
  • 선진네트웍스 - 전주고속
    전주고속은 1970년 한진여객으로 설립되어 1992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전라북도 기반 버스 운송 기업으로, 전주, 군산, 익산, 정읍 등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노선을 운영하며 일부는 다른 고속버스 회사와 공동 운행하고 현대, 스카이웰 차량을 사용한다.
  • 1965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대성운수 (서울)
    대성운수는 1965년에 설립되어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노선을 운행하는 업체로, 333번, 343번, 345번, 440번, 3313번 등의 노선을 운영하며 하이거 버스와 현대자동차 차종의 차량을 운용한다.
  • 1965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신수교통
    신수교통은 2004년 서울운수로부터 서울특별시 면허 버스 노선 등을 양도받아 설립되었고 이후 신성교통으로부터 일부 노선을 인수받았으며, 현재 서울특별시 은평구를 연고로 간선버스 4개 노선과 지선버스 3개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 운송 회사이다.
  • 가평군의 교통 -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7호선은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경기도 파주시까지 총 연장 405km에 걸쳐 6개 도를 연결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노선 변경에 따른 주민 불편과 일부 구간의 교통 혼잡 문제도 안고 있는 일반국도이다.
  • 가평군의 교통 - 서울양양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는 서울 강동구에서 강원 양양군을 잇는 약 151km의 고속도로로, 1997년 타당성 조사 후 2017년 전 구간 개통되었으며, 민자 및 국고 구간으로 나뉘고 대한민국 최장 터널인 인제양양터널을 포함하여 원톨링 시스템 도입 등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가평교통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주식회사 가평교통
원어Gapyeong Traffic Corp.
국가대한민국
장소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가화로 51 (대곡리)
창립1965년 12월 29일
인물박원범 (대표이사)
산업운수업
제품농어촌버스
재무 정보
자본금966,580,000원 (2020.12)
매출액11,204,627,000원 (2020)
영업이익-765,993,127원 (2020)
순이익-1,027,394,464원 (2020)
자산총액8,031,287,299원 (2020.12)
주주 정보
주주선진시내버스(주): 75%
박원범: 20%
강일봉: 5%
기타 정보
종업원151명 (2020.12)
웹사이트가평교통 공식 웹사이트

2. 연혁

가평교통은 1965년 12월 29일 경기여객운수에서 분리 독립하여 설립된 삼용버스(주)를 모태로 한다.[1] 이후 1991년 진흥여객, 2005년 진흥고속으로 사명을 변경하였으며, 2020년 3월 5일 현재의 가평교통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2022년 1월 6일에는 선진네트웍스 그룹 버스 사업 부문 계열사로 편입되었다.

2. 1. 설립 초기 (1965년 ~ 1991년)

2. 2. 사명 변경 및 확장 (1991년 ~ 2020년)

2. 3. 가평교통으로의 변화 (2020년 ~ 현재)

3. 운행 노선

가평교통은 가평군을 중심으로 농어촌버스, 직행좌석버스, 간선급행버스, 맞춤형버스, 시티투어버스 등 다양한 종류의 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농어촌버스는 현리터미널, 청평터미널, 설악터미널, 가평터미널 등을 기점으로 하여 가평군 내 각 지역을 연결하며, 포천시 내촌면광릉내까지 운행하는 80번 노선[3] 등 일부 노선은 인접 지역까지 운행한다.

직행좌석버스는 1330번대 노선과 7000번대 노선이 있다. 1330번대 노선은 가평터미널이나 현리터미널 등에서 출발하여 남양주시, 구리시를 거쳐 서울특별시 청량리역까지 운행하며, 수도권 동북부 지역 주민들의 중요한 교통수단 역할을 한다. 7000번대 노선은 가평 및 설악 지역에서 서울양양고속도로를 경유하여 잠실역까지 운행한다.

간선급행버스는 8005번 노선이 있으며, 유명산에서 출발하여 설악면, 서울양양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등을 거쳐 청량리역까지 운행한다.

맞춤형버스는 50번대, 60번대 노선으로, 평일 통학 및 생활 편의, 주말 관광객 이동, 특정 지역 순환 등을 목적으로 운행된다.

가평시티투어 버스는 가평터미널아침고요수목원 등 주요 관광지를 연결하여 관광객의 편의를 돕고 있다.

3. 1. 농어촌버스


  • 80번: 현리터미널 ↔ 태봉리 ↔ 율길삼거리 ↔ 서파 ↔ 베어스타운 ↔ 내촌 ↔ 마명리 ↔ 광릉[3]
  • 현리지선: 현리터미널을 기점으로 하여 가평 일대를 운행하는 농어촌버스 노선이다.
  • 청평지선: 청평터미널을 기점으로 하여 가평 일대를 운행하는 농어촌버스 노선이다.
  • 설악지선: 설악터미널을 기점으로 하여 가평 일대를 운행하는 농어촌버스 노선이다.
  • 가평지선: 가평터미널을 기점으로 하여 가평 일대를 운행하는 농어촌버스 노선이다.

3. 2. 직행좌석버스

3. 3. 간선급행버스

3. 4. 맞춤형버스

번호운행구간경유지운행
대수운행
횟수배차
간격비고50-1가평역↔적목리
(용수동종점)가평터미널, 목동, 논남, 백둔리1대1회-평일 통학형 노선50-2가평터미널↔가평군청가평오거리, 가평역, 가평고2대25회30분평일 생활형 노선50-3목동↔백둔리백둔리입구1대8회40~60분주말 관광형 노선50-4목동↔적목리
(용수동종점)명지산, 논남5회-주말 관광형 노선50-5목동↔멱골농공단지5회-주말 관광형 노선60-10가평터미널가평터미널레일바이크 → 가평군청 → 읍내10리 → 에덴빌라4차 → 가평종합운동장가평역가평고 → 자라섬13회60분순환 맞춤형 노선60-19가평터미널가평터미널레일바이크 → 가평군청 → 읍내10리 → 에덴빌라4차 → 가평종합운동장가평역가평고 → 자라섬11회60분순환 맞춤형 노선


3. 5. 가평시티투어

4. 이전 운행 노선

가평교통이 과거에 운행했던 노선들이다. 자세한 노선 정보는 아래 하위 문서를 참고하라.

4. 1. 직행좌석버스

4. 2. 시외버스

2019년 7월 1일 부로 7000번 계열을 제외한 모든 시외버스 노선을 강원고속에 이관하였다. 이관 전 운행했던 주요 노선은 아래와 같다.

노선 번호기점종점주요 경유지비고
R8281인천동송안양, 장현, 포천, 운천2019년 1월 1일 폐선
R8283인천춘천안양, 도농, 마석, 청평, 가평강원고속과 공동 운행
R1204화천동서울춘천, 가평, 청평, 대성리역
R2305춘천천안가평, 청평, 마석, 도농
R8208춘천성남강원고속, 대원고속과 공동 운행
R8245춘천평택가평, 청평, 오산, 송탄대원고속, 강원고속과 공동 운행
R8251춘천안산가평, 청평, 마석, 도농
R8254춘천고양가평, 청평, 마석, 돌다리, 고양화정강원고속과 공동 운행
R8260춘천수원가평, 청평, 마석, 도농[4]


5. 보유 차량

제조사모델
기아기아 뉴 그랜버드 이노베이션 파크웨이
현대자동차현대 카운티
현대 그린시티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일렉시티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엘레강스
스카이웰스카이웰 네오포스
스카이웰 리오네


6. 갤러리

가평농어촌버스 1330-2번


가평농어촌버스 1330-4번


가평농어촌버스 1330-44번


가평농어촌버스 8005번

참조

[1] 문서 2000년 부도로 파산한 남양주시 마석 소속의 삼용버스는 과거 회사명이 '동양버스'로, 이 회사와는 전혀 별개이다.
[2] 웹사이트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1-03-29
[3] 문서 선진시내버스 소속 7번 노선과 일동부터 거의 동일한 노선이다.
[4] 문서 이 노선은 완행 노선이며 직통노선을 이용하려면 금강고속 소속 차량을 이용해야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