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위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간위구는 중화인민공화국 장쑤성 롄윈강시에 속하는 구이다. 기원전 221년 진나라 때 처음 설치되었으며, 서진 시대에 현재의 형태가 확립되었다. 1952년 산둥성에서 장쑤성으로 이관되었으며, 2014년 구로 승격되었다. 간위구는 습윤 아열대 기후이며, 15개의 진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오랴오 관화의 간위 방언을 사용하며, 서복, 탕쯔, 허우용, 왕이린 등의 인물이 이 지역과 관련이 있다. 간위구의 음식으로는 젠빙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롄윈강시의 행정 구역 - 관난현
관난현은 1957년 관운현과 연수현의 일부를 합쳐 만들어진 장쑤성 롄윈강시의 현으로, 9개의 진과 5개의 향으로 이루어져 있다. - 롄윈강시의 행정 구역 - 둥하이현
둥하이현은 중국 장쑤성 롄윈강시에 위치한 현으로, 남북조 시대에 기원하여 수나라 때 개칭되었고, 원나라 시기 잠시 구산현에 통합되었으나 중화민국 시대에 재설치되었으며, 온대 기후에 속하고 주자칭, 쉬저천, 장위안 등의 인물을 배출했다. - 장쑤성의 시할구 - 칭허구 (화이안시)
칭허구는 장쑤성 화이안시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송나라 시대 칭허현에서 유래하여 1983년 설치되었으며 현재 9개의 가도와 2개의 향을 관할한다. - 장쑤성의 시할구 - 쑤위구
쑤위구는 장쑤성 쑤첸 시의 행정 구역으로, 1996년에 쑤위 현에서 분할되어 설치되었다가 2004년 시할구로 개편되었으며, 14개의 진과 3개의 향을 관할한다.
간위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간위구 (赣榆区) |
다른 이름 | Kanyu |
종류 | 구 |
위치 | 중화인민공화국 장쑤성 롄윈강 시 |
면적 | 1363 km² |
인구 (2020년) | 1,003,844 명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UTC+8) |
우편 번호 | 222100 |
지역 번호 | 0518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 18개 진 (镇) |
정부 소재지 | 칭커우 진 (青口镇) |
2. 역사
간위구는 기원전 221년 진나라 때 처음 설치되어 서기 198년까지 낭야군의 관할 하에 있었다.[1] 서진이 동오를 정벌하여 중국을 통일한 후인 280년에 현대적 형태가 설립되었다.
1952년 산둥성에서 장쑤성으로 이관되었고,[1] 2014년 5월 '''간위구'''로 개편되었다.[1]
2. 1. 고대 ~ 중세
간위구는 오랜 역사를 지닌 지역이다. 기원전 221년 진나라 때 처음 설치되었다.[1] 서기 198년까지 낭야군의 관할 하에 있었다.[1] 전한에 의해 설치되었다.[2] 후한 시대에 일시 폐지되었으나 곧 재설치되었고, 삼국 시대가 되자 위에 의해 폐지되었다.[2]서진이 동오를 정벌하여 중국을 통일한 후인 280년 (태강 원년)에 현재의 간위구 형태가 확립되었다.[1] 남북조 시대에는 남조와 북조의 영토 쟁탈전이 벌어지면서 행정 구역 개편이 잦았다. 남조 송의 명제 때, 회북을 북위에게 빼앗기자 간위현에 청주가 설치되었다.[2] 583년 (개황 3년), 수나라 때 잠시 폐지되었다.[2]
남조 양 때 회인현으로 설치되었고, 1167년 (대정 7년), 금나라 때 간위현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2. 2. 근현대
1952년에 산둥성에서 장쑤성으로 이관되었고,[1] 2014년 5월에 간위현에서 '''간위구'''로 개편되어 현재에 이른다.[1]3. 지리 및 기후
간위현은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Cwa'')로, 동아시아 몬순의 영향을 받는다. 겨울은 춥고 꽤 건조하며, 여름은 덥고 비가 많이 오며 습하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 | 4.5°C | 7°C | 11.9°C | 18.9°C | 24.3°C | 27.4°C | 29.9°C | 29.5°C | 26.1°C | 21.1°C | 13.8°C | 7°C | |
평균 최저 기온 (℃) | -3.5°C | -1.3°C | 2.9°C | 9°C | 14.7°C | 19.7°C | 23.6°C | 23.1°C | 18.3°C | 11.9°C | 4.7°C | -1.4°C | |
평균 기온 (℃) | 0°C | 2.3°C | 7°C | 13.6°C | 19.2°C | 23.2°C | 26.5°C | 26.1°C | 21.9°C | 16.1°C | 8.8°C | 2.3°C | |
최고 기온 기록 (℃) | 14.9°C | 23.3°C | 27.3°C | 32.5°C | 37.3°C | 37.9°C | 39.5°C | 36.8°C | 35.4°C | 31.6°C | 27.1°C | 18.6°C | |
최저 기온 기록 (℃) | -13.1°C | -13.8°C | -7.9°C | -1°C | 4.9°C | 11.2°C | 16.9°C | 13.6°C | 8.6°C | 0.5°C | -6.5°C | -13.3°C | |
강수량 (mm) | 17.6mm | 21.8mm | 31.8mm | 41.2mm | 76.3mm | 108.2mm | 243.3mm | 199.7mm | 86.5mm | 42.7mm | 30.3mm | 14.4mm |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4.0 | 5.2 | 6.4 | 6.6 | 8.3 | 8.6 | 14.0 | 11.0 | 7.6 | 6.6 | 5.4 | 3.6 | |
평균 상대 습도 (%) | 66 | 67 | 67 | 66 | 71 | 77 | 84 | 83 | 76 | 71 | 68 | 66 | |
월간 평균 일조 시간 | 175.5 | 172.9 | 204.9 | 227.5 | 254.8 | 226.9 | 208.1 | 234.0 | 219.0 | 211.8 | 181.2 | 178.8 | |
일조율 (%) | 56 | 56 | 56 | 58 | 59 | 53 | 47 | 56 | 59 | 60 | 58 | 59 |
[6][7]
월 평균 기온은 1월 0°C에서 7월 26.5°C까지이며, 연평균 기온은 14.2°C이다. 연 강수량은 912.2mm이며, 여름과 기타 따뜻한 달에 집중되어 있다.[2][3][4]
3. 1. 지리
간위구는 장쑤성 북동부, 롄윈강시 북쪽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황해와 접하고, 서쪽으로는 산둥성과 경계를 이룬다. 지형은 평야와 구릉 지대가 번갈아 나타나는 형태이다.간위현은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Cwa'')로, 동아시아 몬순의 영향을 받는다. 겨울은 춥고 꽤 건조하며, 여름은 덥고 비가 많이 오며 습하다. 월평균 기온은 1월 0.3°C에서 7월 26.7°C까지이며, 연평균 기온은 14.2°C이다. 연 강수량은 912.2mm이며, 여름과 기타 따뜻한 달에 집중되어 있다.[2][3][4]
3. 2. 기후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 | 4.5 | 7.0 | 11.9 | 18.9 | 24.3 | 27.4 | 29.9 | 29.5 | 26.1 | 21.1 | 13.8 | 7.0 | |
평균 최저 기온 (℃) | -3.5 | -1.3 | 2.9 | 9.0 | 14.7 | 19.7 | 23.6 | 23.1 | 18.3 | 11.9 | 4.7 | -1.4 | |
평균 기온 (℃) | 0.0 | 2.3 | 7.0 | 13.6 | 19.2 | 23.2 | 26.5 | 26.1 | 21.9 | 16.1 | 8.8 | 2.3 | |
최고 기온 기록 (℃) | 14.9 | 23.3 | 27.3 | 32.5 | 37.3 | 37.9 | 39.5 | 36.8 | 35.4 | 31.6 | 27.1 | 18.6 | |
최저 기온 기록 (℃) | -13.1 | -13.8 | -7.9 | -1.0 | 4.9 | 11.2 | 16.9 | 13.6 | 8.6 | 0.5 | -6.5 | -13.3 | |
강수량 (mm) | 17.6mm | 21.8mm | 31.8mm | 41.2mm | 76.3mm | 108.2mm | 243.3mm | 199.7mm | 86.5mm | 42.7mm | 30.3mm | 14.4mm |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4.0 | 5.2 | 6.4 | 6.6 | 8.3 | 8.6 | 14.0 | 11.0 | 7.6 | 6.6 | 5.4 | 3.6 | |
평균 상대 습도 (%) | 66 | 67 | 67 | 66 | 71 | 77 | 84 | 83 | 76 | 71 | 68 | 66 | |
월간 평균 일조 시간 | 175.5 | 172.9 | 204.9 | 227.5 | 254.8 | 226.9 | 208.1 | 234.0 | 219.0 | 211.8 | 181.2 | 178.8 | |
일조율 (%) | 56 | 56 | 56 | 58 | 59 | 53 | 47 | 56 | 59 | 60 | 58 | 59 |
간위구는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기후 구분 ''Cwa'')로, 동아시아 몬순의 영향을 받는다. 겨울은 춥고 꽤 건조하며, 여름은 덥고 비가 많이 오며 습하다. 월 평균 기온은 1월 0.3°C에서 7월 26.7°C까지이며, 연평균 기온은 14.2°C이다.[6][7] 연 강수량은 912.2mm이며, 여름과 기타 따뜻한 달에 집중되어 있다.[2][3][4]
4. 행정 구역
이름 | 한자 | 한국어 발음 |
---|---|---|
칭커우진 | 칭커우진 | |
저왕진 | 저왕진 | |
스차오진 | 스차오진 | |
진산진 | 진산진 | |
헤이린진 | 헤이린진 | |
리좡진 | 리좡진 | |
하이토우진 | 하이터우진 | |
타산진 | 타산진 | |
간마진 | 간마진 | |
반좡진 | 반좡진 | |
청터우진 | 청터우진 | |
청시진 | 청시진 | |
쑹좡진 | 쑹좡진 | |
사허진 | 사허진 | |
둔상진 | 둔상진 |
5. 문화
간위구 지역 주민들은 주로 자오랴오 관화의 간위 방언을 사용한다. 이는 장쑤성 북부의 다른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장화이 관화와는 다른 특징을 보인다. 간위 방언은 산둥성 동부와 랴오둥 반도 대부분 지역에서도 사용된다.
6. 인물
- 허우용(배우) (侯勇|허우용중국어)
- 탕쯔 (唐咨|탕쯔중국어): 삼국 시대 오나라의 장군
- 서복 (徐福|쉬푸중국어): 고대 연금술사, 항해사, 탐험가
- 왕이린 (王宜林|왕이린중국어): 사업가이자 석유 재벌
6. 1. 역사적 인물
- 서복(진나라): 진시황의 명을 받아 불로초를 찾아 동쪽으로 항해를 떠난 것으로 알려진 고대 연금술사, 항해사, 탐험가이다.徐福|쉬푸중국어
- 탕쯔: 삼국 시대 오나라의 장군으로, 손권과 손량을 섬겼다.唐咨|탕쯔중국어
6. 2. 현대 인물
- 허우용 (侯勇|허우용중국어), 배우
- 왕이린 (王宜林|왕이린중국어), 사업가이자 석유 재벌
7. 음식
참조
[1]
웹사이트
Ganyu
https://www.google.c[...]
2014-07-02
[2]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25
[3]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25
[4]
웹사이트
中国地面国际交换站气候标准值月值数据集(1971-2000年)
http://old-cdc.cma.g[...]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0-05-25
[5]
웹사이트
2011年统计用区划代码和城乡划分代码:赣榆县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3-02-21
[6]
웹인용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0-04-15
[7]
웹인용
中国地面国际交换站气候标准值月值数据集(1971-2000年)
http://old-cdc.cma.g[...]
중국기상국
2010-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