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갈리아 루그두넨시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리아 루그두넨시스는 로마 제국의 속주로, 현재 프랑스 중부에 해당하는 지역에 위치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정복 이후 아우구스투스 치하에서 갈리아 지역을 재편성하는 과정에서 설치되었으며, 루아르 강과 가론 강 사이 지역은 갈리아 아퀴타니아에, 중동부 지역은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에 할양되었다. 296년 사두정치 하에 루그두넨시스 프리마와 루그두넨시스 세쿤다로 분할되었고, 이후 콘스탄티누스 1세에 의해 다시 분할되어 루그두넨시스 세노니아와 루그두넨시스 테르티아가 추가되었다. 5세기 동안 프랑크족과 부르군트족의 침략으로 점차 소멸되었으며, 주요 도시로는 리옹, 루앙, 투르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공화국의 속주 - 시칠리아 속주
    시칠리아 속주는 기원전 241년 로마 공화정이 시칠리아 섬을 최초의 속주로 만들면서 시작되었고, 로마의 중요한 밀 공급지였으며 노예 반란과 섹스투스 폼페이우스의 곡물 공급 차단 사건을 겪은 후 아우구스투스에 의해 재편되었다.
  • 로마 공화국의 속주 - 갈리아 나르보넨시스
    갈리아 나르보넨시스는 로마 제국의 속주로, 현재 프랑스 남부 지역에 위치하며 로마 문화의 영향력이 강했고 이탈리아와 히스파니아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이자 무역로를 장악하여 로마 경제에 기여했다.
  • 갈리아 - 갈리아 제국
    갈리아 제국은 3세기 위기 속에서 260년 포스투무스에 의해 선포된 로마 제국에서 분리된 국가로, 로마 제국의 행정 체계를 모방했으나 내분으로 274년 로마 제국에 재통합되었다.
  • 갈리아 - 갈리아 전쟁
    갈리아 전쟁은 카이사르의 정치적 야망, 갈리아의 불안정, 게르만족 침입이 맞물려 기원전 58년부터 50년까지 벌어진 로마의 갈리아 정복 전쟁으로, 카이사르의 권력 강화와 로마 공화정 몰락의 전환점이 되었으나 기록의 신뢰성 및 잔혹성 비판도 존재한다.
갈리아 루그두넨시스
기본 정보
갈리아 루그두넨시스 속주 강조 표시.
갈리아 루그두넨시스 속주 강조 표시.
공식 명칭Provincia Gallia Lvgdvnensis
일반 명칭갈리아 루그두넨시스
국가로마 제국
수도루그두눔
현재 국가프랑스
역사
시작기원전 27–25년 / 기원전 16–13년
시작 사건갈리아 전쟁 이후 설립
사건 1갈리아 제국 (260–274년)
종료486년
종료 사건프랑크 제국

2. 역사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갈리아 정복(기원전 58~50년)을 묘사한 그의 저서 ''갈리아 전기''에서, 당시 이미 로마 속주였던 갈리아 남부의 ''provincia nostra''와, 아퀴타니, 벨가이, 그리고 갈리(Galli)라고도 알려진 켈트족의 세 지역을 구분했다. 갈리족의 영토는 북동쪽으로 센 강과 마른 강에서 시작하여 갈리아 벨기카와 경계를 이루었고, 남서쪽으로는 가론 강까지 뻗어 갈리아 아퀴타니아와 경계를 이루었다. 아우구스투스 치하에서 갈리아 루그두넨시스는 갈리족의 영토를 축소하여 만들어졌다. 루아르 강과 가론 강 사이의 지역은 갈리아 아퀴타니아에 할양되었고, 중동부 지역은 새로운 속주인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에 할양되었다. 갈리아 루그두넨시스의 창설 연도는 아우구스투스가 갈리아를 방문한 시기인 기원전 27~25년 사이인지, 기원전 16~13년 사이인지 논의가 있다.

이곳은 제국 속주였으며, 제국의 총독이 통치할 만큼 중요하게 여겨졌다. 사두정치 (296년) 하에서, 처음에는 뤼옹을 수도로 하는 루그두넨시스 프리마와 루앙을 수도로 하는 루그두넨시스 세쿤다의 두 지역으로 분할되었다. 이러한 분할은 베로나 목록에 기록되어 있다.[1] 두 새로운 속주는 헬베티아, 벨기에, 게르마니아 속주와 함께 갈리아 관구에 속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속주를 다시 분할했다. 상스를 수도로 하는 루그두넨시스 세노니아는 프리마에서 분리되었고, 투르를 수도로 하는 루그두넨시스 테르티아는 세쿤다에서 분리되었다. ''노티티아 디그니타툼''에 따르면, 프리마는 ''콘술라리스''가 통치했고, 나머지 세 지역은 ''프라에세스''가 통치했다. 모든 속주는 5세기 동안 침략하는 프랑크족과 부르군트족에 의해 점차적으로 점령되었다. 세쿤다와 세노니아를 지배했던 로마 장군 시아그리우스가 프랑크족에게 패배한 서기 486년 혹은 487년에 속주의 남은 부분은 사실상 소멸되었다.[1]

'''제정 이전 갈리아에 관해서는 갈리아를 참조하십시오.'''

공화정에서 제정으로 로마가 바뀌어 아우구스투스 치세가 되자 이 속주의 범위는 축소되었다. 루아르 강과 가론 강으로 둘러싸인 지역은 갈리아 아퀴타니아에 병합되었고, 북동부는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와 합병되었다.

296년디오클레티아누스에 의한 사두정치로 제국의 통치가 분할되자, 이 지역은 "갈리에"라고 불리며 종종 혼동되어 사용되었다. 원래 "갈리에"에는 "갈리아인의 땅"이라는 의미가 있어, 종종 켈트족, 벨가에, 게르만족이 거주하는 지역 전부를 포함한 총칭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서로마 제국에서는 "갈리아인이 사는 땅"이라는 의미로 남동 갈리아, 브리타니아, 히스파니아도 함께 "갈리에"라고 불렀다.

2. 1. 갈리아 정복과 속주 설치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그의 저서 ''갈리아 전기''에서 갈리아를 ''provincia nostra'', 아퀴타니, 벨가이, 갈리(Galli)의 세 지역으로 구분했다.[1] 갈리족의 영토는 북동쪽으로 센 강과 마른 강에서 갈리아 벨기카와, 남서쪽으로는 가론 강까지 뻗어 갈리아 아퀴타니아와 경계를 이루었다.[1] 아우구스투스 치하에서 갈리아 루그두넨시스는 갈리족의 영토를 축소하여 만들어졌는데, 루아르 강과 가론 강 사이 지역은 갈리아 아퀴타니아에, 중동부 지역은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에 할양되었다.[1] 갈리아 루그두넨시스의 창설 연도는 기원전 27~25년 사이, 혹은 기원전 16~13년 사이로 추정된다.[1]

갈리아 루그두넨시스는 제국 속주였으며, 제국의 총독이 통치했다.[1] 사두정치 (296년) 하에서 루그두넨시스 프리마(뤼옹)와 루그두넨시스 세쿤다(루앙)로 분할되었고, 이 분할은 베로나 목록에 기록되어 있다.[1] 두 속주는 헬베티아, 벨기에, 게르마니아 속주와 함께 갈리아 관구에 속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속주를 다시 분할하여 루그두넨시스 세노니아(상스)는 프리마에서, 루그두넨시스 테르티아(투르)는 세쿤다에서 분리되었다.[1] ''노티티아 디그니타툼''에 따르면, 프리마는 ''콘술라리스''가, 나머지 세 지역은 ''프라에세스''가 통치했다. 모든 속주는 5세기 동안 프랑크족과 부르군트족에 의해 점차 점령되었고, 486/7년에 로마 장군 시아그리우스가 프랑크족에게 패배하면서 속주의 남은 부분은 사실상 소멸되었다.[1]

서로마 제국에서는 "갈리아인이 사는 땅"이라는 의미로 남동 갈리아, 브리타니아, 히스파니아도 함께 "갈리에"라고 불렀다.

2. 2.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개편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그의 저서 ''갈리아 전기''에서 갈리아를 ''provincia nostra'', 아퀴타니, 벨가이, 갈리(켈트족)의 세 지역으로 구분했다.[1] 갈리족의 영토는 센 강과 마른 강에서 가론 강까지 뻗어 있었다. 아우구스투스 치하에서 갈리아 루그두넨시스는 갈리족 영토를 축소하여 만들어졌다. 루아르 강과 가론 강 사이 지역은 갈리아 아퀴타니아에, 중동부 지역은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에 할양되었다.[1] 갈리아 루그두넨시스 창설은 기원전 27~25년 사이 또는 기원전 16~13년 사이로 추정된다.

이곳은 제국 총독이 통치하는 중요 속주였다. 사두정치 (296년) 하에 루그두넨시스 프리마(뤼옹)와 세쿤다(루앙)로 분할되었고, 베로나 목록에 기록되었다. 이 두 속주는 헬베티아, 벨기에, 게르마니아 속주와 함께 갈리아 관구에 속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속주를 다시 분할했다. 프리마에서 루그두넨시스 세노니아(상스)가, 세쿤다에서 루그두넨시스 테르티아(투르)가 분리되었다. ''노티티아 디그니타툼''에 따르면, 프리마는 ''콘술라리스''가, 나머지 세 지역은 ''프라에세스''가 통치했다. 모든 속주는 5세기 동안 프랑크족과 부르군트족에 점령되었다. 486/7년에 로마 장군 시아그리우스가 패배하며 속주 남은 부분은 소멸되었다.[1]

서로마 제국에서 "갈리아인이 사는 땅"이라는 의미로 남동 갈리아, 브리타니아, 히스파니아도 함께 "갈리에"라고 불렀다.

2. 3. 사두정치와 속주 분할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그의 저서 ''갈리아 전기''에서 갈리아를 ''provincia nostra'', 아퀴타니, 벨가이, 갈리(켈트족)의 세 지역으로 구분했다.[1] 아우구스투스 치하에서 갈리아 루그두넨시스는 갈리족의 영토를 축소하여 만들어졌는데, 루아르 강과 가론 강 사이 지역은 갈리아 아퀴타니아에, 중동부 지역은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에 할양되었다. 갈리아 루그두넨시스의 창설은 기원전 27~25년 사이, 혹은 기원전 16~13년 사이로 추정된다.

사두정치 (296년) 하에서 루그두넨시스는 루그두넨시스 프리마(수도는 리옹)와 루그두넨시스 세쿤다(루앙을 수도)로 분할되었다. 이 분할은 베로나 목록에 기록되어 있다.[1] 두 속주는 헬베티아, 벨기에, 게르마니아 속주와 함께 갈리아 관구에 속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속주를 다시 분할하여, 루그두넨시스 세노니아(수도는 상스)는 프리마에서, 루그두넨시스 테르티아(수도는 투르)는 세쿤다에서 분리되었다. ''노티티아 디그니타툼''에 따르면, 프리마는 ''콘술라리스''가, 나머지 세 지역은 ''프라에세스''가 통치했다.

2. 4. 콘스탄티누스 1세 시대의 재분할

사두정치 (296년) 하에서 갈리아 루그두넨시스는 처음에는 뤼옹을 수도로 하는 루그두넨시스 프리마와 루앙을 수도로 하는 루그두넨시스 세쿤다의 두 지역으로 분할되었다. 이러한 분할은 베로나 목록에 기록되어 있다.[1] 두 새로운 속주는 헬베티아, 벨기에, 게르마니아 속주와 함께 갈리아 관구에 속했다.

콘스탄티누스 1세(306년 ~ 337년)는 속주를 다시 분할했다. 상스를 수도로 하는 루그두넨시스 세노니아는 프리마에서 분리되었고, 투르를 수도로 하는 루그두넨시스 테르티아는 세쿤다에서 분리되었다. ''노티티아 디그니타툼''에 따르면, 프리마는 ''콘술라리스''가 통치했고, 나머지 세 지역은 ''프라에세스''가 통치했다. 모든 속주는 5세기 동안 침략하는 프랑크족과 부르군트족에 의해 점차적으로 점령되었다. 세쿤다와 세노니아를 지배했던 로마 장군 시아그리우스가 프랑크족에게 패배한 486년 혹은 487년에 속주의 남은 부분은 사실상 소멸되었다.[1]

2. 5. 서로마 제국 멸망과 속주 소멸

아우구스투스 치세에 갈리아 루그두넨시스의 범위는 축소되었다. 루아르 강과 가론 강 사이 지역은 갈리아 아퀴타니아에, 북동부 지역은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에 할양되었다.[1] 296년 디오클레티아누스사두정치 하에 루그두넨시스는 뤼옹을 수도로 하는 루그두넨시스 프리마와 루앙을 수도로 하는 루그두넨시스 세쿤다로 분할되었다.[1] 이 두 속주는 헬베티족, 벨가에족, 게르만족이 거주하는 지역과 함께 갈리아 관구에 속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속주를 다시 분할하여, 상스를 수도로 하는 루그두넨시스 세노니아를 프리마에서, 투르를 수도로 하는 루그두넨시스 테르티아를 세쿤다에서 분리했다. ''노티티아 디그니타툼''에 따르면, 프리마는 ''콘술라리스''가, 나머지 세 지역은 ''프라에세스''가 통치했다. 5세기 동안 모든 속주는 프랑크족과 부르군트족에 의해 점차 점령되었다. 세쿤다와 세노니아를 지배했던 로마 장군 시아그리우스가 프랑크족에게 패배한 486년 또는 487년에 속주의 남은 부분은 사실상 소멸되었다.[1]

3. 주요 도시

4세기 후반의 ''갈리아 지리지(Notitia Galliarum)''에 민족 명칭으로 나열된 갈리아 루그두넨시스의 네 개 속주의 도시와 ''카스트라''(castra, 요새)는 다음과 같다. 마콩의 ''카스트룸''(castrum, 요새)은 ''노티티아''(Notitia)에 나중에 추가되었다.


  • 루그두넨시스 프리마(Lugdunensis Prima)

  • ''메트로폴리스 키비타스 루그두넨시움''(Metropolis civitas Lugdunensium): 리옹
  • ''키비타스 아에두오룸''(Civitas Aeduorum): 아우구스토두눔(오퇼)
  • ''키비타스 링고눔''(Civitas Lingonum): 안데마투눔(랑그르)
  • ''카스트룸 카빌로넨세''(Castrum Cabillonense): 샬롱쉬르손
  • ''카스트룸 마티스코넨세''(Castrum Matisconense): 마콩

  • 루그두넨시스 세쿤다(Lugdunensis Secunda)

  • ''메트로폴리스 키비타스 로토마겐시움''(Metropolis civitas Rotomagensium): 루앙
  • ''키비타스 바이오카시움''(Civitas Baiocassium): 아우구스토도룸(바유)
  • ''키비타스 아브린카툼''(Civitas Abrincatum): 인게나(아브랑슈)
  • ''키비타스 에브로이코룸''(Civitas Ebroicorum): 메디올라눔(에브뢰)
  • ''키비타스 사이오룸''(Civitas Saiorum): 세
  • ''키비타스 렉소비오룸''(Civitas Lexoviorum): 노비오마구스(리시외)
  • ''키비타스 콘스탄티아''(Civitas Constantia): 쿠탕스

  • 루그두넨시스 테르티아(Lugdunensis Tertia)

  • ''메트로폴리스 키비타스 투리노룸''(Metropolis civitas Turinorum): 카에사로두눔(투르)
  • ''키비타스 케노마노룸''(Civitas Cenomannorum): 수인두눔(르망)
  • ''키비타스 레도눔''(Civitas Redonum): 콘다테()
  • ''키비타스 안데카보룸''(Civitas Andecavorum): 율리오마구스(앙제)
  • ''키비타스 남네툼''(Civitas Namnetum): 콘디빈쿰(낭트)
  • ''키비타스 코리오솔리툼''(Civitas Coriosolitum): 파눔 마르티스(코르쇠)
  • ''키비타스 베네툼''(Civitas Venetum): 다리오리툼()
  • ''키비타스 오시스모룸''(Civitas Osismorum): 보르기움(카레)
  • ''키비타스 디아블린툼''(Civitas Diablintum): 노비오두눔(주블랭)

  • 루그두넨시스 세노니아(Lugdunensis Senonia)

  • ''메트로폴리스 키비타스 세노눔''(Metropolis civitas Senonum): 아게딘쿰(Agedincum) ()
  • ''키비타스 카르노툼''(Civitas Carnotum): 아우트리쿰(Autricum) (샤르트르)
  • ''키비타스 오티시오도룸''(Civitas Autisiodorum): 오세르
  • ''키비타스 트리카시움''(Civitas Tricassium): 아우구스토보나(Augustobona) (트루아)
  • ''키비타스 아우렐리아노룸''(Civitas Aurelianorum): 케나붐(Cenabum) (오를레앙)
  • ''키비타스 파리지오룸''(Civitas Parisiorum): 루테티아(Lutetia) (파리)
  • ''키비타스 멜두오룸''(Civitas Melduorum): 이아티눔(Iatinum) ()

3. 1. 루그두넨시스 프리마 (Lugdunensis Prima)

4세기 후반 갈리아 지리지(Notitia Galliarum)에 따르면, 루그두넨시스 프리마에는 다음과 같은 도시 및 ''카스트라''(castra, 요새)가 있었다:

  • ''메트로폴리스 키비타스 루그두넨시움''(Metropolis civitas Lugdunensium): 리옹
  • ''키비타스 아에두오룸''(Civitas Aeduorum): 아우구스토두눔(오퇼)
  • ''키비타스 링고눔''(Civitas Lingonum): 안데마투눔(랑그르)
  • ''카스트룸 카빌로넨세''(Castrum Cabillonense): 샬롱쉬르손
  • ''카스트룸 마티스코넨세''(Castrum Matisconense): 마콩 (''노티티아''에 나중에 추가됨)

3. 2. 루그두넨시스 세쿤다 (Lugdunensis Secunda)

4세기 후반의 ''갈리아 지리지(Notitia Galliarum)''에 따르면, 갈리아 루그두넨시스는 네 개의 속주로 나뉘었으며, 각 속주는 여러 도시와 ''카스트라''(castra, 요새)로 구성되었다. 루그두넨시스 세쿤다는 루앙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도시들을 포함했다.

  • ''메트로폴리스 키비타스 로토마겐시움''(Metropolis civitas Rotomagensium): 루앙
  • ''키비타스 바이오카시움''(Civitas Baiocassium): 아우구스토도룸(바유)
  • ''키비타스 아브린카툼''(Civitas Abrincatum): 인게나(아브랑슈)
  • ''키비타스 에브로이코룸''(Civitas Ebroicorum): 메디올라눔(에브뢰)
  • ''키비타스 사이오룸''(Civitas Saiorum): 세
  • ''키비타스 렉소비오룸''(Civitas Lexoviorum): 노비오마구스(리시외)
  • ''키비타스 콘스탄티아''(Civitas Constantia): 쿠탕스

3. 3. 루그두넨시스 테르티아 (Lugdunensis Tertia)

4세기 후반 ''갈리아 지리지(Notitia Galliarum)''에 따르면, 갈리아 루그두넨시스는 네 개의 속주로 나뉘었고, 각 속주에는 여러 도시와 ''카스트라''(castra, 요새)가 있었다. 루그두넨시스 테르티아에는 투르(카에사로두눔)를 중심으로 르망(수인두눔), 렌(콘다테), 앙제(율리오마구스), 낭트(콘디빈쿰), 코르쇠(파눔 마르티스), 반(다리오리툼), 카레(보르기움), 주블랭(노비오두눔) 등의 도시가 포함되었다.

3. 4. 루그두넨시스 세노니아 (Lugdunensis Senonia)

4세기 후반 ''갈리아 지리지(Notitia Galliarum)''에 따르면, 갈리아 루그두넨시스의 네 개 속주 중 하나인 루그두넨시스 세노니아에는 다음과 같은 도시와 ''카스트라''(castra, 요새)가 민족 명칭으로 나열되어 있다.

  • ''메트로폴리스 키비타스 세노눔''(Metropolis civitas Senonum): 아게딘쿰(Agedincum) ()
  • ''키비타스 카르노툼''(Civitas Carnotum): 아우트리쿰(Autricum) (샤르트르)
  • ''키비타스 오티시오도룸''(Civitas Autisiodorum): 오세르
  • ''키비타스 트리카시움''(Civitas Tricassium): 아우구스토보나(Augustobona) (트루아)
  • ''키비타스 아우렐리아노룸''(Civitas Aurelianorum): 케나붐(Cenabum) (오를레앙)
  • ''키비타스 파리지오룸''(Civitas Parisiorum): 루테티아(Lutetia) (파리)
  • ''키비타스 멜두오룸''(Civitas Melduorum): 이아티눔(Iatinum) ()

4. 역대 총독

아킬리우스 아비올라(Acilius Aviola)는 서기 21년경 갈리아 루그두넨시스의 총독이었다. 유니우스 블레수스(Junius Blaesus)는 66-69년 사이 총독을 역임했다. 티투스 테티에누스 세레누스(Titus Tettienus Serenus)는 78년부터 80년까지 총독이었다. 80년부터 83년까지는 가이우스 코르넬리우스 갈리카누스(Gaius Cornelius Gallicanus)가 총독직을 수행했다. 루키우스 미니키우스 루푸스(Lucius Minicius Rufus)는 83년부터 87년까지 총독이었다.

400px


123년과 130년 사이에는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콰르티누스(Tiberius Claudius Quartinus)가 총독을 역임했고, 126년과 137년 사이에는 티투스 비트라시우스 폴리오(Titus Vitrasius Pollio)가 총독이었다. 티투스 플라비우스 롱기누스 퀸투스 마르키우스 투르보(Titus Flavius Longinus Quintus Marcius Turbo)는 146년에서 149년경까지 총독직을 수행했다. 138년과 161년 사이에는 [...] 파카투스(Pacatus)와 [...]라틴 피[...]아투스(latin Pi[...]atus)가 총독을 역임했다.

가이우스 포필리우스 카루스 페도(Gaius Popilius Carus Pedo)는 161년부터 162년까지 총독이었고, 161년과 168년 사이에는 루키우스 아에밀리우스 프론티누스(Lucius Aemilius Frontinus)가 총독을 역임했다. 160년과 169년 사이, 혹은 177년과 180년 사이에는 [...] 에그[릴리우스 플라리아누스 라르키우스 렙]이두스 [플라비우스 ...] (... Egr[ilius Plarianus Larcius Lep]idus [Flavius ...)가 총독직을 수행했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Septimius Severus)는 187년에서 188년, 또는 185년에서 189년까지 총독이었다. 티티우스 플라비우스 세쿤두스 필리피아누스(Titius Flavius Secundus Philippianus)는 195년에서 198년경까지 총독을 역임했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파울리누스(Tiberius Claudius Paulinus)는 218년경 총독이었다. 마르쿠스 아이디니우스 율리아누스(Marcus Aedinius Julianus)는 220년부터 222년까지 총독 대리(procurator agens vice praesidis)를 역임했다. 223년 이후에는 바디우스 코미아누스(Badius Comnianus)가 총독 대리(procurator agens vice praesidis)를 맡았다. 아피우스 알렉산더(Appius Alexander)는 240년과 245년 사이에 속주 총독(praeses provinciae)이었다.

참조

[1] 간행물 Lugdunensis Prima, Secunda, Senonia, and Tertia
[2] 논문 Church and State in the ''Notitia Galliarum''
[3] 서적 Annales (Tacitus)
[4] 서적 Histories (Tacitus)
[5] 논문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6] 간행물 Jahres- und Provinzialfasten
[7] 간행물 Jahres- und Provinzialfasten
[8] 논문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9] 서적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n Antoninen Habelt Verlag
[10] 서적 Konsulat und Senatorenstand
[11] 서적 Legio X Fretensis: A Prosopographical Study of its Officers (I-III c. A.D.) Franz Steiner
[12] 서적 Commodus: An Emperor at the Crossroads
[13] 서적 The Imperial Cult in the Latin West: Studies in the Ruler Cult of the Western Provinces of the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E.J. Brill
[14]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in der Zeit von Commodus bis Severus Alexander J.C. Gieben
[15]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16] 논문 Statue Bases of the Mid Third Century A.D. from Smyrna https://ifa.phil-fa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