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 (프랑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Vannes)은 프랑스 모르비앙 주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베네티족의 거주지였으며, 로마 제국, 브르타뉴 왕국, 프랑크 왕국 등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받았다. 중세 시대에는 브르타뉴 공국의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1795년 프랑스 혁명 시기에는 왕당파의 공격을 격퇴했다.
모르비앙 만에 위치한 반은 해양성 기후를 보이며, 철도, 고속도로, 공항 등 다양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반은 역사 및 예술의 도시로, 생 피터 대성당, 에르민 성, 중세 성벽 등 다양한 건축 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몬스, 쿡스하펜 등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르비앙주의 코뮌 - 로리앙
로리앙은 프랑스 브르타뉴 남부 해안에 위치한 도시로, 17세기 초 인도 무역 거점으로 시작하여 해군 기지 및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보트 기지 건설과 폭격을 겪은 후 재건되어 조선업과 어업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이다. - 모르비앙주의 코뮌 - 오레 (프랑스)
오레는 브르타뉴 왕위 계승 전쟁의 격전지이자 해상 무역으로 번성했던 프랑스 모르비앙주의 코뮌으로, 프랑스 주요 역사적 사건과 관련 있으며 현재는 해양 관광 중심지이다. - 프랑스의 항구 도시 - 칸 (도시)
프랑스 남동부 코트다쥐르에 위치한 칸은 세계적인 칸 영화제 개최지이자, 19세기 이후 국제적인 휴양지로 발전하여 현재는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영화도시로 지정된 유명한 관광 도시이다. - 프랑스의 항구 도시 - 니스 (프랑스)
니스는 프랑스 남동부에 위치한 지중해 연안 도시로, 고대 그리스에 의해 건설되어 오랜 역사 동안 여러 국가의 지배를 받았으며, 1860년 프랑스에 합병되었고, 니스 코트다쥐르 공항이 위치하며, 관광, 문화, 경제적으로 중요한 도시이다. - 프랑스의 주도 - 몽펠리에
몽펠리에는 프랑스 에로주에 위치한 중세 시대에 성립된 도시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의 숙박 도시로 번영했으며, 1220년 설립된 의학부가 몽펠리에 대학교의 기원이 되었고, 아라곤 왕국과 프랑스 합병, 격변기를 거쳐 현재는 프랑스에서 큰 도시 중 하나이며 대학 문화와 관광 명소를 지닌 도시이다. - 프랑스의 주도 - 스트라스부르
스트라스부르는 프랑스 동부 알자스 지방의 일 강과 라인 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요새에서 시작하여 프랑스와 독일 영토를 오가며 상업 및 종교 개혁의 중심지로 발전, 현재는 유럽 기관들이 위치한 국제 도시이자 유럽 통합의 상징이다.
반 (프랑스) | |
---|---|
기본 정보 | |
![]() | |
프랑스어 이름 | Vannes |
브르타뉴어 이름 | Gwened (ˈɡweːnet, ˈɡɥeːnet) |
위치 | 47.6559 |
INSEE 코드 | 56260 |
우편 번호 | 56000 |
면적 | 32.3 km2 |
고도 | 22 m |
최소 고도 | 0 m |
최대 고도 | 56 m |
인구 | 52,648 명 (2012년) |
인구 밀도 | 1,630 명/km2 |
행정 | |
국가 | 프랑스 |
레지옹 | 브르타뉴 지역 |
데파르트망 | 모르비앙 현 |
아롱디스망 | 반 아롱디스망(아롱디스망의 현청 소재지) |
캉통 | 반-1 캉통, 반-2 캉통, 반-3 캉통(캉통의 현청 소재지) |
시장 | 다비드 로보 |
임기 | 2020–2026년 |
Intercommunality | 골프 뒤 모르비앙 - 반 아글로메라시옹 |
기타 정보 | |
주민 | Vannetais |
2. 역사
반은 브르타뉴어로 '작은 바다'를 의미하는 모르비앙만 입구에 세워진 도시이다. 도시 이름은 고대 갈리아 시대 이 지역에 거주했던 켈트족 계열의 항해 민족인 베네티족(Vénètes)에서 유래했다. 로마 시대 이전부터 존재했으며, 로마 제국 시기에는 '다리오리툼'(Darioritum)으로 불렸다.
로마 제국 멸망 후, 반은 브르타뉴 왕국과 브르타뉴 공국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특히 Bro Waroch|브로 와로크bre 지방의 중심지였다. 5세기에는 가톨릭 주교좌가 설치되어 종교적으로도 중요한 도시가 되었다. 중세와 근대를 거치며 다양한 역사적 변화를 겪었으며, 오늘날에는 역사 유적과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한 관광 도시이자 해양 리조트로 알려져 있다. 동시에 과학 및 해양 기술 발전을 추구하는 테크노폴리스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2. 1. 고대
반(Vannes)이라는 지명은 고대 로마의 침략 이전 골의 아르모리카 남서부에 거주했던 항해 민족인 켈트족 계열의 베네티족에서 유래했다. 고대에 베네티족은 현재의 모르비앙 지역 일대를 장악하고 있었다.이들은 오래전부터 해협을 건너는 교역에 종사했으며, 가죽배나 페리 보트 등을 이용했던 것으로 보인다.[3] 중동 지역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되는 밀 또한 이러한 교역품 중 하나였다.[4] 기원전 150년경에는 그레이트브리튼의 템스강 하구 지역과의 교역이 활발해졌음을 보여주는 증거(갈로-벨기에 동전 등)가 증가했다.[5]
기원전 56년, 베네티족은 로크마리아케르 앞바다에서 벌어진 모르비앙만 해전에서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이끄는 로마 함대에 패배했다. 이 전쟁으로 수많은 베네티족이 학살당하거나 노예로 팔려나가는 비극을 겪었다. 로마는 베네티족이 살던 지역에 '''다리오리툼'''(Darioritum)이라는 도시를 건설했다.
465년에는 성 파트르누(St. Paternus)가 초대 반 주교로 선출되면서 지역의 기독교화가 진행되었다.
2. 2. 중세
5세기부터 7세기까지, 이 지역에 남아있던 골족은 색슨족의 브리튼 침략을 피해 이주해 온 브리튼족에 의해 대체되거나 동화되었다. 브르타뉴어로 Gwened|그웨네드bre(Veneti에서 파생됨)라고 불린 이 도시는 Bro-Gwened|브로-그웨네드bre("반"Vannes) 또는 Bro-Wereg|브로-에레그bre("그웨레그의 땅")라는 독립적인 공국 또는 왕국의 중심지가 되었다. 후자는 왕조의 저명한 인물인 카라독 스트롱암의 후손임을 주장했다. 반 교구는 5세기에 세워졌으며, 461년에는 반 공의회가 열렸다. 이 왕국은 6세기 초에 코르누아이유를 잠시 합병하기도 했으나, 약 635년 국왕 성 유디카엘 아래 돔노니아와 영구적으로 통합되었다. 6세기 중반에는 브르타뉴인 수장 와록이 반을 본거지로 삼아 프랑크 왕국과 대립했다.751년부터 753년까지 피핀 3세에 의해 반은 카롤링거 왕조의 지배하에 놓였다. 이후 여러 차례 외세의 침략과 지배를 겪었다. 865년과 919년에는 바이킹의 침략을 받았으며, 특히 919년 침략 때는 대성당이 파괴되기도 했다. 991년부터 1037년까지 파괴된 대성당이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재건되었다. 1168년부터 1187년까지는 플랜태저넷 가문의 지배를 받았다.
1341년부터 1364년까지 이어진 브르타뉴 왕위 계승 전쟁 시기에는 장 드 몽포르 측에 섰다. 1342년에는 양측 군대에 의해 네 번이나 포위되었으며, 도시 방어 사령관이었던 올리비에 4세 드 클리송은 영국군에게 포로로 잡혔다가 풀려난 후 프랑스 측으로부터 배신자로 의심받아 처형당했다. 결국 반은 샤를 드 블로와 측에 의해 포위되어 항복했다. 전쟁 이후 장 4세 시대(1364년-1399년)에는 공작의 본거지가 반에 자리 잡았으며, 1379년에는 에르민 성벽 건설이 시작되었다. 1487년에는 대 프랑스 전쟁 중 프랑스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주요 연표'''
연도 | 사건 |
---|---|
461년 | 반 공의회 개최 |
465년 | 성 파트르누, 초대 반 주교로 선출 |
5세기-7세기 | 브리튼족 이주, Bro-Gwened|브로-그웨네드bre 왕국 형성 |
6세기 중반 | 와록 수장, 반을 본거지로 삼고 프랑크 왕국과 대립 |
약 635년 | 성 유디카엘 국왕 아래 돔노니아와 영구 통합 |
751년-753년 | 피핀 3세에 의해 카롤링거 왕조 지배하에 놓임 |
865년 | 바이킹 침략 |
890년-907년 | 반 백작이자 브르타뉴 왕 알랭 1세 치세 |
919년 | 두 번째 바이킹 침략, 대성당 파괴 |
991년-1037년 |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대성당 재건 |
1168년-1187년 | 플랜태저넷 가문 지배 |
1341년-1364년 | 브르타뉴 왕위 계승 전쟁 |
1342년 | 반, 4차례 포위됨. 올리비에 4세 드 클리송 사건 발생 |
1364년-1399년 | 장 4세 시대, 반이 공작 본거지가 됨 |
1379년 | 에르민 성벽 건설 시작 |
1487년 | 대 프랑스 전쟁 중 프랑스군에 점령됨 |
2. 3. 근세
1487년, 대 프랑스 전쟁으로 인해 프랑스군에 의해 반이 점령되었다.1554년, 브르타뉴 고등법원이 반으로 이전되었다.
1759년, 반은 영국 침공 계획을 위한 집결지로 사용되었다. 대규모 군대가 이곳에 집결했으나, 같은 해 11월 키브롱 만 해전에서 프랑스 해군이 패배하면서 계획은 무산되었다.
1795년, 프랑스 혁명 기간 중 반에 주둔한 프랑스군은 키브롱을 통해 상륙한 영국-왕당파 연합군의 침공 시도를 성공적으로 격퇴했다. 루이 라자르 오슈 장군이 이 지역을 평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4. 근현대
- 1795년 - 왕당파가 키브롱에 상륙하였으나, 루이 라자르 오슈 장군이 이끄는 혁명군에 의해 평정되었다.
- 1862년 - 반에 철도가 건설되었다.
3. 지리
모르비앙 만 북쪽 해안, 마를 강과 빈생 강 두 개의 강어귀에 자리 잡고 있다. 낭트에서는 북서쪽으로 약 100km, 파리에서는 남서쪽으로 약 450km 떨어져 있다. 바다와 연결된 항구 도시이자 시장 도시로서의 특징을 지닌다.
도시는 브르타뉴어로 '작은 바다'를 의미하는 모르비앙 만 입구에 세워졌다. 주변에는 약 2000년 전에 건설된 원형 경기장의 유적이 남아있다. 1세기 로마 제국 시절, 만에 면한 도시 로크마리아케르를 대신하여 갈리아의 부족 중 하나인 베네티인(Vénètes프랑스어)이 이곳을 수도로 삼으면서 도시 이름 '반(Vannes)'이 유래되었다. 이는 '베네티인의 도시'라는 뜻이다. 브르타뉴어 이름인 그위네드(Gwened)로도 불렸으며, 과거 브르타뉴 왕국과 브르타뉴 공국의 수도였고, 브로 와로크(Bro Waroch프랑스어) 지방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3. 1. 교통
'''철도'''반 기차역은 캥페르, 렌, 낭트, 파리 및 여러 지역 목적지로 연결되는 노선을 제공한다. 고속 열차 TGV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시간이 소요된다.
TER는 오레 또는 케스탕베르와 같은 인근 기차역으로 연결되는 더 느린 열차이다. 반에서 생브리외(브르타뉴 북부 118km)까지 가는 직행 노선은 없다. 따라서 반에서 생브리외까지 가는 기차는 렌을 경유하며, 이는 이동 시간과 비용을 증가시킨다. 기차로 반에서 생브리외까지 가는 데는 2~3시간이 걸린다.
'''자동차'''
반 북쪽에 있는 두 개의 고속도로는 자동차로 빠르게 다른 도시들과 연결된다.
이 외에도 소규모 도로망이 반과 더 작은 도시들을 연결한다. 반에서 생브리외까지는 고속도로가 없어 브르타뉴 북부로 가는 길은 소규모 도로로 이루어져 있다. 반과 생브리외(북쪽 118km) 사이에 고속도로나 철도가 없다는 점은 브르타뉴 북부와 남부 간의 소통을 어렵게 만들고, 브르타뉴 전체의 경제 성장에도 제약을 가하는 요인이 된다.
자동차로 약 1시간 거리에 렌, 낭트, 캥페르가 있으며, 파리까지는 자동차로 4시간이 소요된다. 낭트 아틀란티크 공항은 고속도로로 약 1시간, 로리앙 남브르타뉴 공항은 약 30분 거리에 있다.
'''항공'''
반에는 몽테르블랑 마을에 작은 비행장인 반-뫼옹 공항(또는 "반 - 골프 뒤 모르비앙 공항")이 있다. 과거에는 군용 공항이었으나 현재는 일반 항공기가 이용한다. 이 공항은 반을 중심으로 한 도시 연합체에 속해 있으며, 주요 이용자는 반 비행 클럽, 현지 초경량 비행기 클럽, 반 스카이다이빙 학교 등이다.
'''버스'''
반에는 두 개의 버스 네트워크가 있다.
- 키세오(Kicéo): 반 도시 연합의 위탁을 받아 반 레퓌블리크 광장에서 출발하는 단거리 노선을 운행한다.
- CAT: 모르비앙 데파르트망의 위탁을 받아 기차역에서 출발하는 장거리 노선을 운행한다.
이에 따라 반에는 리베라시옹 광장과 기차역, 두 곳에 중앙 버스 정류장이 있다.
'''자전거'''
반에는 파리의 벨리브와 유사한 공공 자전거 대여 프로그램인 'Vélocéo'가 운영되고 있다. 각각 10~15대의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는 10개의 자동 대여 스테이션에서 수백 대의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다.[7] 각 Vélocéo 서비스 스테이션에는 자동 대여 단말기와 자전거 거치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서비스는 2017년 8월에 중단된 이전의 Velocea 서비스를 대체한다.[8]
3. 2. 기후
반은 브르타뉴 반도 남쪽, 모르비앙 만 북쪽에 위치하며, 해양성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Cfb)의 영향을 받는다. 이로 인해 겨울은 온화하고 비가 많으며, 여름은 서늘하고 비교적 습한 특징을 보인다. 강수량은 연중 고른 편이나, 주로 늦가을부터 겨울 사이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22][6]
4. 인구
반(Vannes)의 주민들을 "반네테"라고 부른다.
1793년부터 1954년까지의 인구 변화는 프랑스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의 자료를 따른다.[20] 1962년 이후의 인구 변화는 다음 표와 같다.[17][21]
연도 | 인구 |
---|---|
1962 | 30,411 |
1968 | 36,576 |
1975 | 40,359 |
1982 | 42,178 |
1990 | 45,644 |
1999 | 51,759 |
2007 | 52,984 |
2012 | 52,648 |
2017 | 53,352 |
5. 문화
반은 여러 문학 작품의 배경으로 등장했다.
- 알렉상드르 뒤마의 1847년 소설 ''브라젤론 자작: 10년 후''에서는 아라미스가 반의 주교로 등장한다.
- 옥타브 미르보의 1890년 소설 ''세바스티앵 로슈''는 반의 생-프랑수아-자비에 학교를 배경으로 한다.
- 아서 코난 도일의 1906년 소설 ''나이젤 경''에서 주인공 나이젤은 브르타뉴 전투 후 반 성의 시종장이 된다.
- 장-프랑수아 파로는 18세기를 배경으로 한 니콜라 르 플로흐 시리즈에서 주인공이 반의 학교에서 교육받는 설정을 사용했다. 이 소설은 텔레비전 시리즈로도 제작되었다.
- 폴 베르나의 1966년 어린이 도서 ''잃어버린 보트의 비밀''의 원제는 ''La Voile Rouge''이다.
- 라닐트 리칠디스의 2014년 단편 소설 "샤를마뉴와 플로렌"과 C.J. 아드리앙의 2015년 소설 ''The Oath of the Father'' 역시 반을 배경으로 한다.
역사적으로 반은 465년에 반 공의회가 열린 곳이며, 이때 주교좌와 가톨릭 수도회가 설치되었다. 초대 반 주교는 성 파트르누였다. 도시의 문장은 1696년 프랑스 문장 도감에 기록되었는데, 문장에 사용된 흰담비(fra: hermine)는 브르타뉴 공작 장 4세가 반에 에르민 성을 짓고 1381년에 에르민 기사단을 창설한 이후 널리 쓰이게 된 상징이다. 또한 1532년에는 프랑스 왕 프랑수아 1세 앞에서 브르타뉴 공국의 프랑스 병합이 선언된 장소이기도 하다.
현재 반은 관광지와 해양 리조트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과학 및 해양 테크노폴리스로의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
5. 1. 건축물


반은 프랑스 역사 및 예술의 도시(Villes et pays d'art et d'histoire)로 지정될 만큼 풍부한 역사적 건축물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건축물은 다음과 같다.
- 종교 건축물
- 생 피터 대성당: 고딕 양식의 대성당으로, 15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건설되었다.
- 생 파턴(Saint-Patern) 교회: 고전 양식의 교회로, 18세기에 지어졌다.
- 생-이브(Saint-Yves) 예배당: 바로크 양식의 교회로, 예수회에 의해 1661년에 건설되었다.
- 노트르담 뒤 루아예크(Notre-Dame-du-Rohanic) 예배당
- 생-겡(Saint-Guen) 예배당의 옛 출입구
- 우르쉴린(Ursulines) 예배당
- 성 및 방어 시설
- 옛 시의 성벽: 중세 시대의 성벽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한다.
- 투르 뒤 코네타블(Tour du Connétable): 성벽의 일부인 거대한 중세 탑이다.
- 에르민 성(Château de l'Hermine): 14세기에 브르타뉴 공작 장 4세가 건설한 성이 전신이다. 13세기부터 16세기까지 브르타뉴 공작의 거주지였으며, 17세기에 궁전으로 개조되었다. 전쟁으로 인해 일부 파괴되었으나 1795년 현재의 건물이 재건되었다. 현재는 브르타뉴 문화 연구소가 위치해 있다.
- 칼몽(Calmont) 문: 중세 도시 관문.
- 프리종(Prison) 문: 중세 도시 관문 (15세기).
- 포테른(Poterne) 문: 중세 도시 관문.
- 생-장(Saint-Jean) 문: 중세 도시 관문.
- 생-뱅상(Saint-Vincent) 문: 18세기 도시 관문.
- 기타 주요 건축물
- 가이야르 성(Château Gaillard): 고고학 박물관으로 사용되는 중세 가옥이다.
- 라 코후(La Cohue) 미술관: 미술관으로 사용된다.
- 시청
- 구시가지의 많은 목조 가옥
- "반과 그의 아내": 가이야르 성 앞에 있는 15세기 채색 화강암 조각상이다.
- 항구
이러한 건축물들은 반의 역사적 중요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
5. 2. 언어
2007년 10월 12일, 반 자치구는 야 다르 브레조네그를 통해 언어 계획을 시작했다. 이는 지역 언어인 브르타뉴어의 사용을 장려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2008년 기준으로 초등 교육 과정에서 7.71%의 어린이가 브르타뉴어와 프랑스어를 함께 사용하는 이중 언어 학교에 다녔다.[11]반이라는 도시 이름은 고대 갈리아 부족 중 하나인 베네티인(Vénètes)에서 유래했으며, '베네티인의 도시'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들은 로마 제국 시기에 이 지역을 수도로 삼았다. 반의 브르타뉴어 명칭은 그위네드(Gwened)이다. 역사적으로 반은 브르타뉴 왕국과 브르타뉴 공국의 수도였으며, 브르타뉴의 전통적인 지역 구분인 브로 와로크 지방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5. 3. 교육
- 브르타뉴 수드 국립 공과대학
- 가톨릭 예술 및 공예 연구소
- 브르타뉴 남부 대학교 Université de Bretagne-Sudfra - 1995년에 설립된 공립 대학교.
5. 4. 스포츠
반을 연고로 하는 지역 축구팀은 반 OC이다. 이 팀은 2023-24 시즌 기준으로 프랑스 5부 리그인 Championnat National 3에서 활동하고 있다.럭비 유니온 팀으로는 럭비 클럽 반이 있으며, 2023-24 시즌에는 프로 D2에 참가했다.
두 팀 모두 2001년에 건설된 라빈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또한 반은 2015년 투르 드 프랑스 제9구간의 출발 도시이기도 했다.
6. 자매 도시
반은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4]
7. 저명한 출신 인물
- 알비누스 (469년 출생): 앙제 출신의 로마 가톨릭교회 성인.
- 생테밀리옹(에밀리아누스) (?–767): 수도사이자 로마 가톨릭교회 성인. 보르도의 주요 적포도주 산지 중 하나인 생테밀리옹에 그의 이름이 붙었다.
- 프랑수아 1세 (1414–1450): 브르타뉴 공작.
- 루이마리 오티시에 (1772–1830): 화가.
- 아르망 알렉상드르 드 카스타니 (1807–1900): 군 장군.
- 피에르 드 라 고르스 (1846–1934): 역사가.
- 폴 세자르 엘뢰 (1859–1927): 화가.
- 에밀 조르당 (1860–1931): 퐁타벤파 화가.
- 루이 마르탱-쇼피에 (1894–1980): 작가, 저널리스트, 프랑스 레지스탕스 회원.
- 이브 로카르 (1903–1992): 물리학자.
- 레미 대령 (1904–1984): 프랑스 레지스탕스의 비밀 요원.
- 알랭 레네 (1922–2014): 영화 감독.
- 장 베쟁 (1933–2020): 고문서학자.
- 이브 코펭스 (1934년 출생): 고생물학자.
- 세르주 라투슈 (1940년 출생): 경제학자.
- 세드릭 모건 (1943년 출생): 작가, 2015년 브레즈 상 수상자.
- 클로드미셸 쇤베르크 (1944년 출생): 가수, 작곡가.
- 베르나르 푸아냐 (1945년 출생): 정치인.
- 엘렌 드 푸제롤 (1973년 출생): 배우.
- 마티유 베르송 (1980년 출생): 축구 선수.
- 루이즈 부르갱 (1981년 출생): 배우.
- 얀 케르모르강 (1981년 출생): 축구 선수.
- 조리스 마르보 (1982년 출생): 축구 선수.
- 실뱅 마르보 (1986년 출생): 축구 선수.
- 줄리앙 샤르티에 (1999년 출생): 체조 선수.
- 제레미 캘러한: 오스트레일리아 배우 겸 작가.
참조
[1]
웹사이트
Maires du Morbihan
https://www.morbihan[...]
Préfecture du Morbihan
2020-07-07
[2]
웹사이트
History of Vannes
http://en.mairie-van[...]
[3]
서적
Britain and the continent: networks of interaction. A Companion to Roman Britain
John Wiley & Sons
[4]
웹사이트
DNA recovered from underwater British site may rewrite history of farming in Europe
https://www.science.[...]
Science
2015-03-16
[5]
서적
Britain and the continent: networks of interaction." A Companion to Roman Britai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6]
웹사이트
Normales et records pour Vannes-Sene (56)
http://www.meteociel[...]
Meteociel
2020-09-14
[7]
웹사이트
Vélocéo
https://veloceo.kice[...]
2020-09-27
[8]
웹사이트
Vélocéo. Premiers coups de pédales le 9 juin
https://www.letelegr[...]
2020-09-27
[9]
간행물
Vannes
Cassini-Ehess
[10]
웹사이트
Population en historique depuis 1968
https://www.insee.fr[...]
INSEE
[11]
간행물
Enseignement bilingue
http://www.ofis-bzh.[...]
Ofis ar Brezhoneg
[12]
웹사이트
Le Vannetais Julian Chartier champion d'Europe de trampoline avec l'équipe de France
https://www.letelegr[...]
2024-05-17
[13]
웹사이트
Restoration of a classic French apartment
https://www.homestol[...]
2020-05-12
[14]
웹사이트
Relations internationales
https://www.mairie-v[...]
Vannes
2021-04-13
[15]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25
[16]
웹사이트
Température mensuelle moyenne à Vannes
http://www.meteociel[...]
[17]
웹사이트
http://cassini.ehess[...]
[18]
웹사이트
http://www.statistiq[...]
[19]
웹사이트
http://www.insee.fr
[20]
간행물
Vannes
Cassini-Ehess
[21]
웹사이트
Population en historique depuis 1968
https://www.insee.fr[...]
INSEE
[22]
웹인용
Normales et records pour Vannes-Sene (56)
http://www.meteociel[...]
Meteociel
2020-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