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강술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강술래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해안 지역에서 유래된 여성들의 전통 민속놀이로, 둥글게 원을 이루며 춤을 추고 노래하는 형태를 띤다. 유래에 대해서는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의 지략에서 비롯되었다는 설과 고대 한국인들이 풍요를 기원하며 달 아래에서 춤을 춘 데서 유래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여성들이 사회적 제약에서 벗어나 함께 즐기는 기회를 제공했으며, 현대에는 학교 교육과 대중문화를 통해 전승되고 있다. 강강술래는 춤, 노래, 놀이, 장단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며, 지역에 따라 독자적인 형태로 전승된다. 2008년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무 - 나니사나흐
나니사나흐는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이 의례적, 사교적 목적으로 추는 원형 공동체 춤이며, 특히 19세기 후반 고스트 댄스 의식으로 확산되었으나 탄압 후 일부 부족에서 비밀리에, 라코타족을 중심으로 개인적인 의식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 원무 - 캐럴 (음악)
캐럴은 축제 행진곡과 종교극 반주에서 유래한 음악 형식으로, 종교 개혁 후 기독교 가사를 붙여 크리스마스에 예수 탄생을 축하하는 "크리스마스 캐럴"로 널리 알려져 있다. - 조선의 무용 - 한량무
한량무는 조선 후기 남사당패에서 유래하여 진주 교방에서 전승되는 7인의 춤으로, 한량, 별감, 승려, 색시 등의 등장인물을 통해 당시 사회상을 풍자하며, 북, 장구 등 악기 반주에 맞춰 춤사위를 펼친다. - 조선의 무용 - 진주포구락무
진주포구락무는 진주 지역의 연회 및 행사에서 공연된 춤으로, 궁중 문화의 영향을 받아 상벌을 주는 방식, 개수장의 창사, 세령산 반주 등의 특징을 지니며 진주민속예술보존회를 중심으로 맥을 이어오고 있다.
| 강강술래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종류 | 한국의 원무 |
| 유래 | 전라남도 지역 |
| 관련 문화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8호 (1966년 2월 15일 지정) |
| 유네스코 등재 | 2009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
| 다른 이름 | 강강수월래 (강강수월래) |
| 세부 정보 | |
| 기원 | 고려 시대 |
| 주최 | 부녀자 |
| 시기 | 음력 8월 15일 (추석) |
| 장소 | 전라남도 해안 지역 |
| 특징 | 손을 잡고 원을 그리며 춤을 춘다. 노래와 춤, 놀이가 결합된 종합 예술이다. 다양한 놀이 형태가 포함되어 있다. (문지기놀이, 고사리 꺾기, 청어 엮기 등) |
| 의미 |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고 공동체의 화합을 도모한다. |
| 로마자 표기 | Ganggangsullae; Ganggangsuwollae |
2. 유래
강강술래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강강술래의 어원은 불분명하지만, 그 기원은 토착 한국어 또는 한자를 통해 이름을 해석하여 추측할 수 있다. 일부에서는 강강술래의 '강'이 원을 의미하고, '술래'는 '수레' 또는 경계를 뜻하는 '수누'나 '술라'에서 유래된 토착 한국어 단어라고 추측한다. 이를 결합하면, 원을 그리며 수레를 돌거나 경계하라는 뜻이 된다. 또한, 전라도 방언에서 '강강'은 '주변' 또는 '원형으로'를, '술래'는 '순찰'을 의미하여, '강강술래'가 "주변을 조심하라"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3]
다른 설로는, 강강술래가 적의 침입을 알리기 위한 노래였으므로, "강력한 오랑캐가 우리나라를 침략해 올 것이다"라는 한자 구절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있다. 이는 이순신이 강강술래를 군사 전략으로 활용한 역사에서 파생되었지만, 이 이론을 뒷받침할 만한 증거는 거의 없다.[3]
2. 1. 민간어원설과 이순신 설화
정유재란 때 명량해전에서 이순신 장군이 해남 우수영에서 왜군과 대치할 때의 일화가 전해진다. 조선 수병들이 매우 많은 것처럼 보여 왜군이 함부로 침입할 수 없게 하기 위해 부녀자들이 남자 차림을 하고 떼 지어 옥매산 허리를 빙빙 돌게 했다. 바다 위의 왜군들은 이순신의 군사가 엄청나게 많은 줄 알고 지레 겁을 먹고 달아났다 한다. 싸움이 끝난 뒤 부근의 마을 부녀자들이 이를 기념하기 위해 '강강술래'라는 노래를 부르며 신나게 즐기던 것이 오늘날의 강강술래라고 한다. 따라서 한자어 '강강수월래(強羌水越來)'는 '강한 오랑캐가 물을 건너온다'고 해석된다는 것이다.[3]그러나 우리말을 자세히 분석해 보면 '강강'의 강은 '주위·원(圓)'이란 뜻의 전라도 사투리이며, 술래는 한자어 '순라(巡羅)'에서 비롯된 말로서 경계하라는 뜻을 지니고 있으므로 '주위를 경계하라'는 구호가 아닌가 싶다. 그런데 '술래'가 '수월래'로 들리며 간혹 그렇게 쓰기 쉬운 것은, 노래를 할 때 길게 뽑으면 그렇게 들리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3]
위와 같은 한자 풀이식 해석은 대표적인 민간어원설이다. 강강수월래는 의미가 없거나 원래 의미가 희석된 후렴구로서 원래 있었던 놀이가 당시의 이야기와 결합되면서 만들어진 해석으로 보인다.
2. 2. 고대 기원설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왜군에게 우리 병사가 많다는 것을 보이기 위한 의병술로 마을 부녀자들을 모아 남자 차림을 하게 하고 옥매산을 돌도록 한데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있으나, 원시시대부터 1년 중 가장 달이 밝은 밤에 축제를 벌여 노래하고 춤추던 풍습에서 비롯된 민속놀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이 춤은 고대 한국인들이 해, 달, 지구를 우주의 지배자로 믿었던 고대 시대에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7] 참가자들은 풍요로운 수확을 기원하기 위해 1년 중 가장 밝은 보름달 아래에서 춤을 췄다.[7]
3. 역사
강강술래는 고대 한국인들이 해, 달, 지구를 우주의 지배자로 믿었던 시대에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참가자들은 풍요로운 수확을 기원하기 위해 1년 중 가장 밝은 보름달 아래에서 춤을 췄다.
강강술래는 설날, 정월 대보름, 단오, 추석과 같은 한국의 주요 명절에 행해진다. 특히 추석은 1년 중 가장 큰 달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수십 명의 젊은 여성들이 함께 춤을 추고 노래하며, 이는 추석 연휴의 중요한 행사로 여겨진다.[7]
3. 1. 조선 시대
고려는 불교의 영향으로 자유로운 분위기였으나, 새로 건국된 조선은 유교를 국가 정책으로 삼았다. 유교의 영향이 커지면서 여성의 지위는 크게 하락했고, 귀족 여성에게도 많은 제약이 생겼다. 예를 들어, 여성은 외출할 때 얼굴과 머리를 가리는 긴 두건을 써야 했고, 외출 자체가 제한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서 강강술래는 여성들이 제약에서 벗어나 함께 노래를 부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8][9][10][11]16세기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은 여성들에게 군복을 입고 강강술래를 추게 하여 일본군을 위협하는 전략을 썼다. 여성들은 옥매산에서 군복을 입고 춤을 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일본 정찰병들이 조선군의 전력을 과대평가하게 만들었다.[8][9][10][11]
3. 2. 현대의 전승
오늘날 강강술래는 지역 학교의 음악 수업에서 젊은 세대에게 전수되고 있으며, 학생들은 예술 운동의 기원을 포함한 민속 무용 공연 방법을 배우고 멜로디 기술을 연습할 수 있다.[1] 특히 한국 무용이 대중문화에 진입하는 사례가 있다.[1] 예를 들어, 한국의 팝 그룹 ATEEZ는 한국 문화의 움직임과 전반적인 언급을 특징으로 하는 공연에 강강술래를 포함시키고 있다.[1]4. 특징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왜군에게 우리 병사가 많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 마을 부녀자들을 모아 남자 차림을 하게 하고 옥매산을 돌도록 한데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있으나, 원시시대부터 1년 중 가장 달이 밝은 밤에 축제를 벌여 노래하고 춤추던 풍습에서 비롯된 민속놀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강강술래는 여성의 놀이가 적었던 때에 활달한 여성의 기상을 보여준 민속놀이의 하나로 민족 정서가 아름답게 표현되어 있다.
전통적으로 이 춤은 악기 없이 밤에 여성들만 춘다. 젊은 여성과 노인 여성들이 달빛 아래에서 원을 그리며 춤을 추는데, 한복을 입고 서로 손을 잡고 원을 만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선창자가 한 소절을 부르면 모두 '강강술래'라는 후렴구를 부르며, 노래의 템포는 점차 빨라진다. 이들은 개인적인 고난, 관계, 욕망에 대해 노래하며, 춤을 추는 동안 다양한 게임을 한다.[11] 춤은 동이 틀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11]
4. 1. 놀이 방법
동쪽 하늘에 둥근 달이 떠오르기 시작하면 여인들은 손에 손을 잡고 오른쪽으로 돌며 둥근 원을 그려나간다. 목청 좋고 소리 잘하는 사람이 맨 앞에 서서 메기는 소리를 하면 나머지 사람들은 ‘강강술래’하며 받는 소리를 한다. 처음에는 늦은 가락으로 나아가다 노랫소리도 빨라지고 춤도 빨라져서 나중에는 뛰는 것처럼 동작이 빨라진다.[11] 일반적으로 둥근 원을 그리며 원무(圓舞)를 추다가 흥이 나면 가운데 한 사람이 들어가 춤을 추는 남생이놀이를 비롯해서 고사리꺾기, 청어엮기, 기와밟기, 꼬리따기, 덕석말이, 문지기놀이, 실바늘꿰기 등으로 변화를 주었다. 강강술래는 처음부터 끝까지 쉬지 않고 노래하고 춤을 추어 구성지고 활기찬 한마당을 이룬다.놀이는 늦은강강술래로 시작하여 중강강술래, 잦은강강술래로 변화하면서 발놀림이 빨라지고 흥이 절정에 이르는데, 이 중 가장 아름답고 여성놀이다운 멋이 깃들여 있는 것이 늦은강강술래이고, 중강강술래는 해남과 진도지방에서만 보이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강강술래의 주요 동작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뱅글뱅글 도는 것이다. 서로 손을 잡을 때는 오른손 등쪽이 위로, 왼손 손바닥이 위로 오도록 한다. 걸을 때는 뒤꿈치가 먼저 땅에 닿아야 한다. '달리기'를 하는 사람들은 '걷기'보다 더 빨리 달려야 한다. 다리를 크게 벌려서는 안 되며, 달리는 동안 무릎을 높이 들어야 한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사람을 제외하고, 나머지 사람들은 문을 통과할 준비를 하기 위해 줄을 선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사람이 문을 만들고, 그 다음 문을 통과한 바로 다음 사람이 문을 만든다. 이때 문을 만들었던 사람은 다시 줄로 돌아간다.
전통적으로 이 춤은 악기 없이 밤에 여성들만 춘다. 젊은 여성과 노인 여성들이 달빛 아래에서 밤에 원을 그리며 춤을 춘다. 그들은 한복을 입고 밖으로 나가 서로 손을 잡고 원을 만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선창자가 한 소절을 부르고 모두 '강강술래'라는 후렴구를 부른다. 노래의 템포는 점차 빨라진다. 그들은 개인적인 고난, 관계, 그리고 욕망에 대해 노래한다. 춤을 추는 동안 여성들은 다양한 게임을 한다.[11] 춤은 동이 틀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11]
강강술래는 춤을 추는 사람들이 완전한 원을 이루면서 시작한다.[15] 이 원은 나선형 패턴, 동심원, 크기가 다른 원 등 다양한 형태로 역동적으로 변형된 후, 직선으로 분해되었다가 결국 완전한 원으로 다시 형성된다. 춤은 일반적으로 짧고 반복적이며, 전통적인 한국 사회의 문화적 가치, 사회적 신념, 삶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고 전달하도록 안무된다. 이러한 안무 요소는 공동체 생활과 사회적 전통의 본질을 포착하도록 설계되었다. 역사적으로, 달의 위상은 고대 한국의 농업 관행에 필수적이었으며, 파종과 수확 시기를 결정하는 데 지침이 되었다. 사람들은 보름달의 힘을 기리기 위해 축제와 춤을 췄다. 시작 원은 보름달을 나타낸다. 이것이 강강술래가 보름달 아래, 추석에 공연되는 이유이다.[13]
4. 2. 부가적인 놀이
강강술래는 둥근 원을 그리며 원무(圓舞)를 추다가 흥이 나면 가운데 한 사람이 들어가 춤을 추는 남생이놀이를 비롯해서 고사리꺾기, 청어엮기, 기와밟기, 꼬리따기, 덕석말이, 문지기놀이, 실바늘꿰기 등으로 변화를 주었다.[1] 처음부터 끝까지 쉬지 않고 노래하고 춤을 추어 구성지고 활기찬 한마당을 이룬다.[1]4. 3. 노래 (민요)
강강술래는 대부분의 한국 민요와 마찬가지로 메기는 소리(maegineun-sori)와 받는 소리(banneun-sori) 형식을 따른다. 목청 좋고 소리 잘하는 사람이 맨 앞에 서서 메기는 소리를 하면 나머지 사람들은 ‘강강술래’하며 받는 소리를 한다.[13]노래 가사는 다음과 같다.[13]
: 술래술래 강강술래, 달이 뜬다 달이 뜬다
: 동해 바다에서 달이 뜬다, 동창에서
: 팔월 한가위 날, 이것은 여자들이 하는 놀이
: 가을 저녁에
: 오동잎 사이로 밝은 달빛 비칠 때
: 나는 내 님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네
: 내 님, 내 님, 내게 노하지 마오. 내가 당신을 위해 만든 솜버선
: 당신 말고 누구에게 주겠어요?[13]
놀이는 늦은강강술래로 시작하여 중강강술래, 잦은강강술래로 변화하면서 발놀림이 빨라지고 흥이 절정에 이른다. 처음에는 늦은 가락으로 나아가다 노랫소리가 빨라지고 춤도 빨라져서 나중에는 뛰는 것처럼 동작이 빨라진다.
4. 4. 장단
장단(長短)은 "길고 짧음"을 의미하며, 한국 춤과 음악의 기본 리듬 패턴으로, 서양의 전통과는 구별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 독특한 리듬 체계는 음악 구조의 필수적인 부분인 반복적인 패턴을 특징으로 하며, 호흡의 자연스러운 박자에서 영감을 받아 신체의 내적 리듬을 반영한다.공연 내내 장단 패턴은 역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연주자가 실시간으로 리듬을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유연성은 매우 중요한데, 춤의 템포에 영향을 미쳐 변화하는 리듬에 맞춰 동작을 가속하거나 감속할 수 있게 해준다.[3]
강강술래에서 노래는 춤의 리듬과 에너지를 상당히 좌우하는 의도적인 템포 진행을 따른다. 공연은 일반적으로 진양조라고 알려진 느린 템포로 시작하여, 사색적이고 꾸준한 속도를 설정한다. 공연이 진행됨에 따라 템포는 중모리 또는 중중모리라고 불리는 중간 속도로 점차 증가하며, 참여자의 참여를 높이는 더 역동적인 리듬을 도입한다. 공연은 자진모리라고 불리는 빠른 템포로 절정에 달하며, 리듬이 빠르고 활기차게 되어 춤의 피날레에 대한 흥분을 고조시킨다. 이러한 템포의 진행은 강강술래 경험을 풍부하게 하고, 공연의 진화하는 본질을 반영하며, 짜릿한 축제로 마무리된다.[3]
장단을 연주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악기는 장구로, 복잡한 리듬 패턴으로 유명한 모래시계 모양의 북이다. 또한, 통 모양의 북인 북도 사용할 수 있다. 이 악기들 간의 상호 작용은 한국 음악 및 춤 전통의 핵심인 풍부하고 다채로운 리듬을 만들어낸다.[13]
5. 지역적 관점
강강술래는 지역에 따라 독립적인 '강강술래'로 해석되고 전해져 온다. 그렇기 때문에 각 지역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방법은 모두 다르고, 강강술래의 의미 또한 지역에 따라 다르다.
6.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2008년 9월 박선, 박양애, 김종심, 박종숙, 박부덕, 정순엽, 이인자, 김복자가 강강술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대표자로 선정되었다.[18]
세계유산 위원회는 강강술래가 다음 기준을 충족했다고 밝혔다.
- R1: 공연자들이 일체감을 가지고 있으며, 세대를 이어온 여인들의 자유로운 표현 경로를 제공하였다.
- R2: 강강술래의 등재는 사람들 간의 다정하고 조화로운 유대에 대한 무형유산으로서의 예를 제공하며, 문화적 다양성과 인간 창의성에 대한 경의를 제공한다.
- R3: 공연자들이 어느 정도의 인성을 겸비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Korea's pastimes and customs: a social history
https://books.google[...]
Homa & Sekey Books
2011-07-25
[2]
웹사이트
Ganggangsullae Dance
http://eng.haenam.go[...]
[3]
서적
Korea's Pastimes and Customs: A Social History
https://books.google[...]
Homa & Sekey Books
2006
[4]
웹사이트
강강술래
https://terms.naver.[...]
2021-05-02
[5]
웹사이트
Ganggangsullae (Circle Dance)
https://english.cha.[...]
Korea Heritage Service
[6]
웹사이트
Ganggangsullae
https://ich.unesco.o[...]
[7]
웹사이트
강강술래 {{!}} 유네스코와 유산
http://heritage.unes[...]
2017-12-01
[8]
웹사이트
Ganggang Sullae, Thanksgiving Day Festival
http://www.arirang.c[...]
2008-12-18
[9]
웹사이트
Ganggangsullae of Sopo
http://www.invil.org[...]
[10]
웹사이트
Ganggangsullae
http://www.prkorea.c[...]
[11]
서적
Korea's pastimes and customs: A Social History
Homa & Sekey Books
2006
[12]
웹사이트
UNESCO - Ganggangsullae
https://ich.unesco.o[...]
2024-07-31
[13]
간행물
Teaching about the Korean Ganggangsullae Folk Tradition in General Music Class
http://journals.sage[...]
2019-03
[14]
웹사이트
Ganggangsullae
http://tribune.cnume[...]
2024-07-31
[15]
문서
Korean Folk Encyclopedia
https://folkency.nfm[...]
[16]
뉴스
강강술래 등 5건,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 등재
http://news.kbs.co.k[...]
KBS 뉴스
2009-09-30
[17]
웹인용
강강술래
https://terms.naver.[...]
2021-05-02
[18]
문서
http://www.unesco.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