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듭제곱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듭제곱근은 주어진 수 x에 대해 n제곱이 x가 되는 수 r을 의미하며, n은 양의 정수이다. 모든 양의 실수는 양의 n제곱근을 가지며, 음수는 홀수 제곱근만 실수 범위에서 존재한다. 제곱근은 제곱했을 때 x가 되는 수로, 양의 실수는 두 개의 제곱근을 가지며, 세제곱근은 세제곱했을 때 x가 되는 수로, 모든 실수는 하나의 실수 세제곱근을 갖는다. 거듭제곱근은 지수 형태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음이 아닌 실수 a와 b에 대해 곱셈과 나눗셈 연산 규칙이 적용된다. 단순화된 근호 표현은 근호 안의 인수를 지수보다 크거나 같은 거듭제곱으로 표현할 수 없고, 근호 안에 분수가 없으며, 분모에 근호가 없는 형태를 말한다. 거듭제곱근은 무한 급수로 표현 가능하며, 뉴턴 방법, 십진법, 로그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복소수의 경우, 0이 아닌 모든 복소수는 서로 다른 n개의 n제곱근을 가지며, 1의 n제곱근은 단위 원을 따라 균등하게 배치된다. 다항식의 해는 5차 이상의 방정식에서는 일반적으로 근호로 표현할 수 없으며, 유한체 F의 원은 단위 원의 거듭제곱근으로 얻어진다. 체 K에 a의 멱근 α를 첨가하는 확대 K(α)/K를 멱근 확대라고 한다.
양의 정수 ''n''에 대해, 숫자 ''x''의 ''n''제곱근은 ''n''제곱했을 때 ''x''가 되는 ''n''개의 실수 또는 복소수 ''r''을 의미한다.
n제곱근을 구하는 연산에 대한 고어는 '라디케이션'(radication)이다. "surd"라는 용어는 알콰리즈미(825년경)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그는 유리수와 무리수를 각각 "가청"과 "불가청"으로 언급했다. 이것은 나중에 무리수에 대한 아랍어 أصم|아삼ar (, "귀머거리" 또는 "벙어리"를 의미)가 라틴어 surdus|수르두스la ("귀머거리" 또는 "벙어리"를 의미)로 번역되었다. 제라르 드 크레모나(1150년경), 피보나치 (1202) 그리고 로버트 레코드 (1551)는 모두 형식의 ''미해결 무리근''을 언급하는 데 이 용어를 사용했다.[6]
거듭제곱근의 차수를 과 같이 지수 형태로 표현하면 거듭제곱과 근을 쉽게 조작할 수 있다. 가 음이 아닌 실수라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6]
중첩되지 않은 근호 표현은 근호 안의 인수가 지수보다 크거나 같은 거듭제곱으로 표현될 수 없고, 근호 안에 분수가 없으며, 분모에 근호가 없는 경우 '''단순화된 형태'''라고 한다.[8]
근 또는 거듭제곱근은 다음의 무한 급수로 표현될 수 있다.
뉴턴 방법을 사용하여 숫자 $A$의 $n$제곱근을 계산할 수 있다. 초기 추측값 $x_0$에서 시작하여 다음 점화 관계를 사용해 반복한다.[6]
2. 정의 및 표기법
:
모든 양의 실수 ''x''는 하나의 양의 ''n''제곱근(주 ''n''제곱근)을 가지며, 로 표기한다. ''n''이 2일 때는 주 제곱근이라고 하며, ''n''을 생략하고 로 쓴다. ''n''제곱근은 지수를 사용하여 ''x''1/n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n''이 짝수이면 양수는 음의 ''n''제곱근도 가지지만, 음수는 실수 ''n''제곱근을 가지지 않는다. ''n''이 홀수이면 모든 음수 ''x''는 음의 실수 ''n''제곱근을 가진다. 예를 들어 -2는 와 같은 실수 5제곱근을 가지지만, -2는 실수 6제곱근이 없다.
제곱근과 세제곱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섹션을 참조한다.
2. 1. 제곱근
'''제곱근'''은 제곱했을 때 ''x''가 되는 수 ''r''을 말한다.
:r2 = x.
모든 양의 실수는 양의 제곱근과 음의 제곱근, 두 개의 제곱근을 갖는다. 예를 들어 25의 두 제곱근은 5와 -5이다. 양의 제곱근은 '''주제곱근'''이라고도 하며, 근호로 표시한다.
:√25 = 5.
모든 실수의 제곱은 음수가 아니므로, 음수는 실수 제곱근을 갖지 않는다. 하지만 모든 음의 실수에 대해 두 개의 허수 제곱근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25의 제곱근은 5''i''와 -5''i''이며, 여기서 ''i''는 제곱이 -1인 수를 나타낸다.
2. 2. 세제곱근
어떤 수 ''x''의 '''세제곱근'''은 세제곱했을 때 ''x''가 되는 수 ''r''을 말한다.
:
모든 실수 ''x''는 정확히 하나의 실수 세제곱근을 가지며, 로 표기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모든 실수는 두 개의 추가적인 복소수 세제곱근을 갖는다.
3. 역사
4. 성질
:
모든 음이 아닌 수는 정확히 하나의 음이 아닌 실수 제곱근을 가지므로, 음이 아닌 피제곱근 와 를 포함하는 무리수 연산 규칙은 실수 범위 내에서 간단하다.[6]
:
음수 또는 복소수의 제곱근을 구할 때는 다음과 같은 미묘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6] 예를 들어,
:
이지만,
:
이다.
규칙은 음이 아닌 실수 피제곱근에만 엄격하게 적용되므로, 이 규칙을 적용하면 위의 첫 번째 단계에서 부등식이 발생한다.[6]
5. 단순화된 근호 표현
예를 들어, 근호 표현 를 단순화된 형태로 쓰려면 다음과 같이 진행할 수 있다.
:1. 먼저 제곱근 기호 아래에서 완전 제곱수를 찾아 제거한다.
:
:2. 다음으로, 근호 기호 아래에 분수가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변경한다.
:
:3. 마지막으로, 분모에서 근호를 제거한다.
:
무리수를 포함하는 분모가 있는 경우, 표현식을 단순화하기 위해 분자와 분모 모두에 곱할 인수를 항상 찾을 수 있다.[9][10] 예를 들어, 두 세제곱의 합의 인수분해를 사용한다.
:
6. 무한 급수
:
여기서 이다. 이 식은 이항 급수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7. 계산 방법
:$x_{k+1} = \frac{n-1}{n}x_k + \frac{A}{n}\frac{1}{x_k^{n-1}}$
원하는 정밀도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한다.
예를 들어 34의 다섯제곱근을 구하려면 $n=5$, $A=34$, $x_0=2$ (초기 추측)을 대입한다. 처음 5번의 반복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근사치).[6]
|$x_0$|$x_1$|$x_2$|$x_3$|$x_4$|$x_5$|
|---|---|---|---|---|---|
|2|2.025|2.024397...|2.024397458...|2.0243974584998850425108172...|2.024397458499885042510817245541937419114621701073118...|
(모든 정확한 숫자가 표시됨)
근사치 $x_4$는 소수점 25자리까지 정확하며, $x_5$는 51자리까지 정확하다.
제곱근의 자릿수별 계산법을 기반으로 $x(20p + x) \le c$ 또는 $x^2 + 20xp \le c$ 공식을 이용하면, 파스칼의 삼각형과 관련된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6] 숫자 $P(n,i)$의 $n$번째 근은 파스칼의 삼각형의 $n$번째 행의 $i$번째 요소 값으로 정의되며 ($P(4,1) = 4$), 이 식은 $\sum_{i=0}^{n-1}10^i P(n,i)p^i x^{n-i}$로 다시 쓸 수 있다. 편의상 이 식의 결과를 $y$라고 하자. 이 일반식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자릿수별로 모든 양의 주 근을 계산할 수 있다.[6]
1. 원래 숫자를 십진법 형태로 쓴다. 나눗셈 알고리즘과 유사하게 작성하며, 근은 위에 작성한다. 소수점을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 모두에서 계산되는 근과 같은 자릿수 그룹으로 숫자를 나눈다. 근의 소수점은 피제수의 소수점 위에 위치한다.
2. 가장 왼쪽 자릿수 그룹부터 시작하여 각 그룹에 대해 다음 절차를 수행한다.[6]
'''152.2756의 제곱근 계산 예:'''[6]
1 2. 3 4
/
\/ 01 52.27 56
01 x = 1 $10^0 \cdot 1 \cdot 0^0 \cdot 1^2 + 10^1 \cdot 2 \cdot 0^1 \cdot 1^1 \le 1 < 10^0 \cdot 1 \cdot 0^0 \cdot 2^2 + 10^1 \cdot 2 \cdot 0^1 \cdot 2^1$
01 y = 1 $y = 10^0 \cdot 1 \cdot 0^0 \cdot 1^2 + 10^1 \cdot 2 \cdot 0^1 \cdot 1^1 = 1 + 0 = 1$
00 52 x = 2 $10^0 \cdot 1 \cdot 1^0 \cdot 2^2 + 10^1 \cdot 2 \cdot 1^1 \cdot 2^1 \le 52 < 10^0 \cdot 1 \cdot 1^0 \cdot 3^2 + 10^1 \cdot 2 \cdot 1^1 \cdot 3^1$
00 44 y = 44 $y = 10^0 \cdot 1 \cdot 1^0 \cdot 2^2 + 10^1 \cdot 2 \cdot 1^1 \cdot 2^1 = 4 + 40 = 44$
08 27 x = 3 $10^0 \cdot 1 \cdot 12^0 \cdot 3^2 + 10^1 \cdot 2 \cdot 12^1 \cdot 3^1 \le 827 < 10^0 \cdot 1 \cdot 12^0 \cdot 4^2 + 10^1 \cdot 2 \cdot 12^1 \cdot 4^1$
07 29 y = 729 $y = 10^0 \cdot 1 \cdot 12^0 \cdot 3^2 + 10^1 \cdot 2 \cdot 12^1 \cdot 3^1 = 9 + 720 = 729$
98 56 x = 4 $10^0 \cdot 1 \cdot 123^0 \cdot 4^2 + 10^1 \cdot 2 \cdot 123^1 \cdot 4^1 \le 9856 < 10^0 \cdot 1 \cdot 123^0 \cdot 5^2 + 10^1 \cdot 2 \cdot 123^1 \cdot 5^1$
98 56 y = 9856 $y = 10^0 \cdot 1 \cdot 123^0 \cdot 4^2 + 10^1 \cdot 2 \cdot 123^1 \cdot 4^1 = 16 + 9840 = 9856$
00 00
알고리즘 종료: 답은 12.34
'''4192의 세제곱근을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계산하는 예:'''[6]
1 6. 1 2 4
3 /
\/ 004 192.000 000 000
004 x = 1 $10^0 \cdot 1 \cdot 0^0 \cdot 1^3 + 10^1 \cdot 3 \cdot 0^1 \cdot 1^2 + 10^2 \cdot 3 \cdot 0^2 \cdot 1^1 \le 4 < 10^0 \cdot 1 \cdot 0^0 \cdot 2^3 + 10^1 \cdot 3 \cdot 0^1 \cdot 2^2 + 10^2 \cdot 3 \cdot 0^2 \cdot 2^1$
001 y = 1 $y = 10^0 \cdot 1 \cdot 0^0 \cdot 1^3 + 10^1 \cdot 3 \cdot 0^1 \cdot 1^2 + 10^2 \cdot 3 \cdot 0^2 \cdot 1^1 = 1 + 0 + 0 = 1$
003 192 x = 6 $10^0 \cdot 1 \cdot 1^0 \cdot 6^3 + 10^1 \cdot 3 \cdot 1^1 \cdot 6^2 + 10^2 \cdot 3 \cdot 1^2 \cdot 6^1 \le 3192 < 10^0 \cdot 1 \cdot 1^0 \cdot 7^3 + 10^1 \cdot 3 \cdot 1^1 \cdot 7^2 + 10^2 \cdot 3 \cdot 1^2 \cdot 7^1$
003 096 y = 3096 $y = 10^0 \cdot 1 \cdot 1^0 \cdot 6^3 + 10^1 \cdot 3 \cdot 1^1 \cdot 6^2 + 10^2 \cdot 3 \cdot 1^2 \cdot 6^1 = 216 + 1080 + 1800 = 3096$
096 000 x = 1 $10^0 \cdot 1 \cdot 16^0 \cdot 1^3 + 10^1 \cdot 3 \cdot 16^1 \cdot 1^2 + 10^2 \cdot 3 \cdot 16^2 \cdot 1^1 \le 96000 < 10^0 \cdot 1 \cdot 16^0 \cdot 2^3 + 10^1 \cdot 3 \cdot 16^1 \cdot 2^2 + 10^2 \cdot 3 \cdot 16^2 \cdot 2^1$
077 281 y = 77281 $y = 10^0 \cdot 1 \cdot 16^0 \cdot 1^3 + 10^1 \cdot 3 \cdot 16^1 \cdot 1^2 + 10^2 \cdot 3 \cdot 16^2 \cdot 1^1 = 1 + 480 + 76800 = 77281$
018 719 000 x = 2 $10^0 \cdot 1 \cdot 161^0 \cdot 2^3 + 10^1 \cdot 3 \cdot 161^1 \cdot 2^2 + 10^2 \cdot 3 \cdot 161^2 \cdot 2^1 \le 18719000 < 10^0 \cdot 1 \cdot 161^0 \cdot 3^3 + 10^1 \cdot 3 \cdot 161^1 \cdot 3^2 + 10^2 \cdot 3 \cdot 161^2 \cdot 3^1$
015 571 928 y = 15571928 $y = 10^0 \cdot 1 \cdot 161^0 \cdot 2^3 + 10^1 \cdot 3 \cdot 161^1 \cdot 2^2 + 10^2 \cdot 3 \cdot 161^2 \cdot 2^1 = 8 + 19320 + 15552600 = 15571928$
003 147 072 000 x = 4 $10^0 \cdot 1 \cdot 1612^0 \cdot 4^3 + 10^1 \cdot 3 \cdot 1612^1 \cdot 4^2 + 10^2 \cdot 3 \cdot 1612^2 \cdot 4^1 \le 3147072000 < 10^0 \cdot 1 \cdot 1612^0 \cdot 5^3 + 10^1 \cdot 3 \cdot 1612^1 \cdot 5^2 + 10^2 \cdot 3 \cdot 1612^2 \cdot 5^1$
원하는 정밀도가 달성되었다. 4192의 세제곱근은 16.124...이다.
양수의 주 $n$제곱근은 로그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x$의 $n$제곱근을 $r$로 정의하는 방정식 $r^n=x$ ($x$는 양수)에서 주 근 $r$도 양수이므로, 양변에 로그를 취하면 (어떤 로그 밑도 가능) 다음과 같다.[6]
:$\log_b r = \frac{\log_b x}{n}$
역로그를 취하여 근 $r$을 얻는다.[6]
:$r = b^{\frac{1}{n}\log_b x}$
(이 공식은 $b$가 나눗셈 결과로 거듭제곱된 것을 보여주며, $b$에 나눗셈 결과를 곱한 것이 아니다.)
$x$가 음수이고 $n$이 홀수인 경우, 음수인 실수 근 $r$이 존재한다. 이 경우, 정의 방정식에 -1을 곱하여 $|r|^n = |x|$를 얻은 다음, $|r|$을 구하고 $r = -|r|$을 이용하여 $r$을 찾는다.[6]
8. 복소수 멱근
0이 아닌 모든 복소수는 서로 다른 n개의 n제곱근을 갖는다.[6] 복소수의 두 제곱근은 항상 서로 반대 부호를 가진다.[6] 예를 들어, 의 제곱근은 와 이며, ''i''|i영어의 제곱근은 다음과 같다.[6]
복소수를 극좌표계로 표현하면, 반지름의 제곱근을 취하고 각도를 반으로 나누어 제곱근을 구할 수 있다.[6]
복소수의 주 제곱근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의 조건을 가진 복소 평면의 양의 실수 축을 따라, 또는 의 조건을 가진 음의 실수 축을 따라 가지 절단을 도입한다.[6]
첫 번째(마지막) 가지 절단을 사용하면 주 제곱근 는 를 음수가 아닌 허수부(실수부)를 가진 반평면에 매핑한다. 마지막 가지 절단은 Matlab 또는 Scilab과 같은 수학 소프트웨어에서 전제된다.[6]
일반적인 복소수 ''a''의 ''n'' 제곱근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r''은 ''a''의 절댓값이고, 는 ''a''의 편각이다.
극좌표 형식에서, 하나의 ''n''제곱근은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찾을 수 있다.[6]
여기서 ''r''은 근을 구하려는 수의 크기(모듈러스, 절댓값)이며, 만약 그 수가 ''a+bi''로 표현될 수 있다면 이다. 또한, 는 원점에서 양의 수평축에서 시작하여 원점에서 그 수까지의 반직선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형성되는 각도이며, 의 성질을 갖는다.[6]
따라서 복소 평면에서 ''n''제곱근을 찾는 것은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모든 ''n''제곱근의 크기는 원래 수의 크기의 ''n''제곱근이다. 둘째, 양의 수평축과 원점에서 ''n''제곱근 중 하나까지의 반직선 사이의 각도는 이며, 여기서 는 근을 구하려는 수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정의된 각도이다. 게다가, 모든 ''n''개의 ''n''제곱근은 서로 동일한 간격의 각도를 갖는다.[6]
만약 ''n''이 짝수라면, 짝수 개의 ''n''제곱근을 갖는 복소수의 ''n''제곱근은 가법적 역원 쌍으로 나타나며, 만약 수 ''r''1이 ''n''제곱근 중 하나라면 ''r''2 = –''r''1은 또 다른 근이다. 이는 짝수 ''n''에 대해 후자의 계수 –1을 ''n''제곱하면 1이 되기 때문이다.[6]
모든 복소수는 복소 평면에서 서로 다른 ''n''개의 ''n''제곱근을 가지며, 다음과 같다.[6]
여기서 ''η''는 하나의 ''n''제곱근이고, , ''ω'', ''ω'', ... ''ω''는 1의 ''n''제곱근이다. 예를 들어, 2의 네 개의 서로 다른 네제곱근은 다음과 같다.[6]
제곱근과 마찬가지로, 위의 공식은 전체 복소 평면에 대해 연속 함수를 정의하지 않으며, 대신 ''θ'' / ''n''이 불연속적인 지점에 분기 절단을 갖는다.[6]
8. 1. 1의 거듭제곱근
수 1은 복소 평면에서 ''n''개의 서로 다른 ''n''제곱근을 가지며, 이들은 복소 평면에서 단위 원을 따라 균등하게 배치된다.[6]여기서
이 근들은 복소 평면의 단위 원 위에 의 배수에 해당하는 각도로 균등하게 배치된다.[6] 예를 들어, 1의 제곱근은 1과 −1이고, 1의 네제곱근은 1, , −1, 그리고 이다.[6]
9. 다항식의 해
한때 모든 다항 방정식은 대수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는 추측이 있었다. 즉, 다항식의 모든 근은 유한 개의 근호와 기본 연산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는 3차 다항식(3차 함수)과 4차 다항식(4차 함수)에 대해서는 사실이지만, 아벨-루피니 정리(1824)는 차수가 5 이상일 때는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
방정식의 해는 근호로 표현될 수 없다. (''참고'' 5차 방정식)
10. 유한체
유한체에 관하여, 그 위수는 소수 ''p''의 거듭제곱 ''q = pf''이다. 이 때, 유한체 ''F''의 영원 0 이외의 원은 단위 원 1의 ''q-1''제곱근으로서 얻어진다. 즉,
:
가 성립한다. 여기서 는 위수 ''p''의 유한체 의 대수적 폐포이다. 또는
:
라고 적어도 마찬가지이다.
11. 멱근 확대
체 ''K''에 ''a''의 멱근 ''α''를 첨가하는 확대 ''K''(''α'')/''K''를 ''K''의 '''멱근 확대'''라고 한다.
만약 ''K''가 1의 원시 ''n'' 제곱근을 포함한다면 확대체 ''K''(''α'')는 이항 다항식 ''x''''n'' - ''a''의 최소 분해체가 되며, 이 이항 다항식은 중근을 가지지 않으므로 확장은 갈루아 확대가 된다. 이를 '''쿠머 확대'''라고 부른다. 쿠머 확대는 순환 확대이며 그 확대 차수는 ''n''의 약수이다. 반대로 ''n''의 약수 ''d''에 대해, 확대 차수가 ''d''인 순환 확대 ''L''/''K''는, ''K''가 1의 원시 ''n'' 제곱근을 포함한다는 가정 하에 쿠머 확대이다. 이로부터 어떤 방정식이 계수에 대해 사칙 연산과 멱근을 첨가하는 조작을 유한 번 반복함으로써 풀릴 수 있다면(대수적으로 가해) 갈루아 군은 순환군만으로 구성된 조성열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성질은 추상군에 대해 가해군의 개념으로 정식화된다.
참조
[1]
웹사이트
Lesson Explainer: nth Roots: Integers
https://www.nagwa.co[...]
2023-07-22
[2]
서적
New Approach to CBSE Mathematics IX
https://books.google[...]
Laxmi Publications
[3]
서적
Algebra and trigonometry
https://archive.org/[...]
Prentice-Hall
[4]
웹사이트
Definition of RADICATION
https://www.merriam-[...]
[5]
웹사이트
radication – Definition of radication in English by Oxford Dictionaries
https://en.oxforddic[...]
[6]
웹사이트
Earliest Known Uses of Some of the Words of Mathematics
http://jeff560.tripo[...]
2008-11-30
[7]
서적
A Course of Pure Mathematics
https://archive.org/[...]
Cambridge
[8]
서적
Elementary algebra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9]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1976 ACM Symposium on Symbolic and Algebraic Computation
[10]
논문
Simplification of Expressions Involving Radicals
[11]
간행물
Recherches sur les moyens de reconnaître si un Problème de Géométrie peut se résoudre avec la règle et le compas
http://visualiseur.b[...]
[12]
문서
"「冪」の字の代わりに[[略字]]の「巾」を用いることがある。"
[13]
문서
"{{math|exp(·)}} は[[自然指数関数]]、{{math|ln(·)}} は[[自然対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