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등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등왕은 금관가야의 제2대 국왕으로, 재위 기간은 199년부터 253년까지이다. 가야의 시조인 수로왕과 허황옥의 아들이며, 모정부인을 왕비로 두었고, 아들 마품왕을 두었다. 수로왕 사후 편방을 설치하고 제사를 지내도록 했으며, 부모의 은혜를 기리기 위해 사찰을 건립했다. 209년 포상팔국의 난 당시 신라에 구원을 요청하여 군사적 지원을 받았고, 231년에는 신라와 연합하여 감문국을 병합했다. 249년 왜의 침략에 군사를 보내 대응하기도 했다. 김해 칠산 서쪽 기슭에 있는 초선대와 관련된 전설이 전해지며, 그곳에는 거등왕의 초상으로 추정되는 마애여래좌상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관가야 국왕 - 수로왕
김수로왕은 삼국시대 금관가야의 시조이자 초대 왕으로, 42년에 하늘에서 내려온 황금 알에서 태어나 가락국을 건국하고 아유타국 공주 허황옥을 왕비로 맞이하여 가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능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고 김해 김씨의 시조로 받들어지고 있다. - 금관가야 국왕 - 구형왕
구형왕은 금관가야의 마지막 왕으로, 신라에 항복 후 신라 진골 귀족으로 편입되었으며, 그의 후손 김유신은 신라의 삼국통일에 공헌하였다. - 253년 사망 - 제갈각
제갈각은 오나라의 정치가이자 군인으로, 손권의 총애를 받으며 군사적 재능을 발휘하여 동흥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섭정 시기 독단적인 행보로 인해 손준에게 살해당했다. - 253년 사망 - 아이밀리아누스
아이밀리아누스는 3세기 위기 시대에 고트족 격파로 황제가 되었으나 발레리아누스와의 다툼에서 패배 후 자신의 군대에 의해 살해당하고 사후 명예훼손이 선포된 로마 황제이다. - 2세기 한국의 군주 - 기루왕
기루왕은 백제의 제5대 국왕으로, 다루왕 사후 즉위하여 신라를 공격했으나 패배하고 신라와 평화 조약을 맺었으며 말갈의 침입 시 신라의 지원을 받았고 자연재해가 빈번했다. - 2세기 한국의 군주 - 수로왕
김수로왕은 삼국시대 금관가야의 시조이자 초대 왕으로, 42년에 하늘에서 내려온 황금 알에서 태어나 가락국을 건국하고 아유타국 공주 허황옥을 왕비로 맞이하여 가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능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고 김해 김씨의 시조로 받들어지고 있다.
| 거등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거등왕 |
| 한자 | 居登王 |
| 한국어 (한글) | 거등왕 |
| 로마자 표기 | Geodeung wang |
| 영문 표기 | King Geodeung |
| 신상 정보 | |
| 배우자 | 모종부인 |
| 사망일 | 259년 |
| 왕위 계승 정보 | |
| 전임자 | 수로왕 |
| 후임자 | 마품왕 |
| 기타 정보 | |
| 왕조 | 금관가야 |
| 재위 기간 | 199년 - 259년 |
| 성 | 김 |
| 이름 (휘) | 거등 |
| 묘호 | 도왕 |
| 사망일 (날짜) | 259년 9월 17일 |
| 아버지 | 수로왕 |
| 어머니 | 허황옥 |
2. 생애
삼국유사 가락국기(駕洛國記)에 따르면 금관가야의 제2대 왕으로, 재위 기간은 199년부터 253년까지이다. 가야국의 시조인 수로왕(首露王)과 허황옥(許黃玉)의 아들이다. 허황옥(許黃玉)가 곰이 나타나는 해몽을 꾸고 거등왕을 낳았다고 전해진다. 왕비는 천부경(泉部卿) 신보(申輔)의 딸 모정부인(慕貞夫人)이며, 마품을 낳았다. 신보는 인도에서 온 허황후를 시종하던 신하였다.
수로왕이 사망하자 그를 위해 편방(便房)을 설치하고 매년 정월 3일과 7일, 5월 5일, 8월 5일과 15일에 제사를 지내도록 지시했다. 부모의 은혜를 기리기 위해 천태산에 아버지 수로왕을 위한 부은암(父恩菴), 무척산에는 어머니 허황옥을 위한 모은암(母恩庵)을 창건했다. 자암산에는 자신을 위한 자은암을 세웠다고 전해진다.[2]
2. 1. 가계 및 왕비
아버지는 금관가야의 시조 수로왕이며, 어머니는 인도 아유타국 출신의 허황옥이다. 허황옥이 곰이 나타나는 꿈을 꾸고 거등왕을 낳았다고 전해진다.[2]왕비는 천부경(泉部卿) 신보(申輔)의 딸 모정부인(慕貞夫人)이다.[2] 신보는 허황옥을 인도에서부터 모시고 온 신하로 알려져 있다.[2] 슬하에 아들 마품왕을 두었다. 마품왕은 거등왕의 뒤를 이어 금관가야의 제3대 왕이 되었다.
2. 2. 치세
199년~253년 재위하였다.[2] 아버지 수로왕이 사망하자 수로왕을 위해 편방(便房)을 설치하고 매년 정월 3일과 7일, 5월 5일, 8월 5일과 15일에 제사를 지내도록 지시했다. 부모의 은혜를 기리기 위해 천태산에 아버지 수로왕을 위한 부은암(父恩菴), 무척산에는 어머니 허황옥을 위한 모은암(母恩庵)을 창건했다. 자암산에는 자신을 위한 자은암을 세웠다고 전해진다.[2]2. 3. 대외 관계 및 군사 활동
209년 포상팔국(浦上八國)이 난을 일으켜 신라에 구원을 요청하였다. 신라에서는 태자 우로와 이벌찬 이음에게 명하여 군사를 이끌고 와서 포상팔국의 장군을 격살하고 포로 6천 명을 가락국에 돌려주었다.[1]231년 7월 가락국 군대가 신라 장수 석우로와 연합하여 감문국(甘文國)을 병합하였다.[2]
249년 왜가 신라를 침략하여 왕자 우로를 살해하였다. 이 때 거등왕이 군사를 보내 왜병 2백여 명의 목을 베었다.
2. 4. 초선대 전설
東國輿地勝覽중국어에 따르면, 초선대에서 가락국의 거등왕이 칠점산의 선인을 초대해 거문고와 바둑을 즐겼다는 전설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이곳에는 높이 5.1m의 거대한 암벽에 거등왕의 초상으로 추정되는 마애여래좌상이 새겨져 있다.[1]
3. 가계
참조
[1]
서적
Samguk Yusa: Legends an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Silk Pagoda
2006
[2]
문서
권2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거등왕(居登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