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걱은 열매를 의미하는 베트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학명은 Momordica cochinchinensis이다. 이 식물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18세기 서구 세계에 처음 소개되었다. 걱은 암수딴몸 식물로, 멜론 크기의 원형 또는 타원형 열매를 맺으며, 붉은색 씨앗 겉껍질에 싸인 갈색 또는 회색 씨앗이 많이 들어있다.
걱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며, 열매는 식용과 약용으로 사용된다. 베트남에서는 찹쌀과 함께 요리하여 붉은색의 쏘이 걱을 만들어 먹으며, 씨앗은 전통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걱에는 베타카로틴과 라이코펜과 같은 카로티노이드가 풍부하며, 비타민 A, 비타민 E, 불포화 지방산도 함유되어 있어 눈 건강, 항산화, 노화 방지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주족 - 여주 (식물)
여주는 열대 아시아 원산의 덩굴성 한해살이풀로, 쓴맛이 강한 열매는 식재료, 특히 오키나와 요리의 고야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건강 및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재배된다. - 여주족 - 아달라이
아달라이는 약리 연구를 통해 당뇨병 동물 모델에서 저혈당증 활성을, 쥐의 심근 손상을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 파푸아뉴기니의 식물상 - 우단콩
우단콩은 15m 이상 자라는 덩굴성 관목으로, 가려움을 유발하는 털이 있는 꼬투리에 L-도파를 함유한 씨앗을 가지고 있으며, 사료, 녹비 작물, 약용 등으로 사용된다. - 파푸아뉴기니의 식물상 - 염주 (식물)
염주는 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이 원산인 벼과의 한해살이풀로, 구슬 모양 열매는 염주나 장식품, 불교 염주 재료로 사용되며 씨앗은 식용으로도 쓰이는 율무의 원종이다. - 캄보디아의 식물상 - 단삼
단삼은 붉은 뿌리, 특유의 냄새, 쓴맛이 특징인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전통 의학에서 심혈관 질환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혈액순환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으나, 현대 의학적으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부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 캄보디아의 식물상 - 포멜로
포멜로는 동남아시아 원산의 감귤류 과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여러 감귤류 잡종의 조상이고, 신맛이 적고 단맛과 향이 있는 과육은 생과일이나 가공품으로 섭취되지만, 일부 약물과의 상호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걱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Momordica cochinchinensis |
명명자 | (Lour.) Spreng. |
이명 | Muricia cochinchinensis Lour. Momordica cochinchinensis subsp. andamanica Kattuk., Y.C.Roy & Krishnaraj Momordica macrophylla Gage Momordica meloniflora Hand.-Mazz. Momordica mixta Roxb. Momordica ovata Cogn. Momordica sphaeroidea Blanco Momordica suringarii Cogn. Zucca commersoniana Ser. |
다른 이름 | 베트남어: gấc (걱) 낭반카라스우리 낭반키카라스우리 모크베트시 모크벳시 Spiny Bitter Gourd (가시 여주) Cochinchin Gourd |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속씨식물문 |
강계급 없음 | 진정쌍떡잎식물군 |
아강계급 없음 |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 |
하강계급 없음 | 장미군 |
소강계급 없음 | 콩군 |
목 | 박목 |
과 | 박과 |
속 | 여주속 |
종 | 낭반카라스우리 (Momordica cochinchinensis) |
2. 어원
'걱'은 베트남어로 "quả gấc"(, 꽈걱/quả gấcvi)이라고 불리며, 여기서 "quả"는 열매를 뜻한다.[25] 학명 ''Momordica cochinchinensis''의 "cochinchinensis"는 프랑스 식민지 시절 남부 베트남 지역을 가리키던 '코친차이나'에서 유래했다.[25] 속명 ''Momordica''는 "물다"라는 뜻의 라틴어 ''mordeo''에서 유래했으며, 씨앗의 씹힌 듯한 모양에서 비롯되었다.
걱은 18세기 포르투갈 신부 루시소(J. Lourcis)에 의해 처음 서구 세계에 소개되었으며, 1790년 그의 저서 ''Flora Cochinchinesis''에 ''Murica cochinchinensis''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었다.[26] 이후 1826년 독일 식물학자 쿠르트 폴리카르프 요아힘 슈프렝겔에 의해 현재의 학명인 ''Momordica cochinchinensis''로 변경되었다.[26] 주앙 드 로레이루는 이 식물이 "Cochinchinâ, & Chinâ"에서 발견되었다고 기록했다.
걱은 암수딴몸(자웅이주) 식물로 5-10cm 정도의 꽃을 피운다.[27] 줄기는 20m까지 자란다.[27] 잎은 손바닥 모양으로 3~5개로 갈라지며, 길이는 6-10cm인 잎자루에 달린다. 잎은 줄기에 어긋나게 배열된다.
이 식물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 여러 국가에 자생하며 다양한 일반명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밧 케랄라''(아삼어), ''무 비에 구아'', ''무 비에 지'' 및 ''텅 통''(중국어), 발삼 배, 차이니즈 오이, 자이언트 스파이늬 고드(영어), ''카쿠르'', ''칸톨라'' 및 ''카크롤''(힌디어), ''테푸랑''(인도네시아어), ''모쿠베 츠시''(일본어), ''마카오''(크메르어), ''카오즈''(라오어), ''푸피아'', ''테루아'' 및 ''토로부크''(말레이어), ''주세 카렐라''(네팔어), ''파쿠레부''(술라웨시), ''부욕 부욕''(타갈로그어), ''팍 카오''(태국어) 등이 있다.
3. 역사
4. 특징
열매는 멜론 크기의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는 약 13cm, 너비는 10cm 정도이다. 껍질에는 수많은 작은 가시가 덮여 있다.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성숙하면 짙은 주황색/빨간색으로 변하며, 밝은 빨간색 씨앗 겉껍질에 싸인 불규칙한 모양의 갈색 또는 회색 씨앗이 많이 들어 있다.
4. 1. 열매
일반적으로 걱 열매는 멜론 정도 크기의 원형 또는 타원형 과실로 길이는 13cm, 너비는 10cm이다. 표면 전체는 가시 모양의 돌기가 돋아 있는 두껍고 단단한 껍질로 둘러싸여있다.[27] 녹색의 걱은 열매가 익기 시작하면서 주황색으로 변하고, 수확 직전 완전히 익은 상태에는 붉은색을 띤다.[27] 이때 걱의 표면은 매우 단단해지지만 수확 후 쉽게 쪼그라들기 때문에 보관과 운송에 주의를 요한다.[27]
부드러운 식감을 가진 걱 열매는 두꺼운 과육(Mesocarp)을 가지고 있다. 걱 내부는 노란 부분의 열매와 붉은 부분의 가종피로 나뉘어 있다.[28] 열매의 크기가 클수록 먹는 부위인 가종피(Aril)의 비율도 큰 편이다.[28]
걱은 암수딴그루 덩굴 식물로, 열매는 보통 길이 13cm, 지름 10cm 정도의 구형 또는 타원형이다. 익은 열매의 표면은 짙은 오렌지색이며 짧은 가시로 덮여 있고, 내부의 가종피는 짙은 붉은색이다. 수확 시기는 비교적 짧아 12월부터 1월이 절정이다. 농촌 지역의 집 현관이나 정원의 울타리에 얽혀 자라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4. 2. 개화 및 결실
북반구에서는 6월부터 8월까지 꽃이 피고, 8월에서 10월 사이에 열매가 맺힌다. 호주에서는 12월부터 1월까지 개화하고, 2월부터 4월까지 열매가 맺힌다. 열매는 보통 길이 13cm, 지름 10cm 정도의 구형 또는 타원형이다. 익은 열매의 표면은 짙은 오렌지색이며 짧은 가시로 덮여 있고, 내부의 가종피는 짙은 붉은색이다.
5. 재배 및 번식
걱은 주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재배되며, 중국 남부와 오스트레일리아 북동부에서도 자생한다.[41] 재배 조건(기온, 강수, 고도 등)에 따라 영양 함량에 차이가 있는데, 베타카로틴은 최고 온도가 34도 이하, 강수량이 높은 지역에서, 라이코펜은 최저 온도가 14도 이하, 지대가 높은 곳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다.[41] 베트남 북부의 호아빈 지역은 베타카로틴(5.66mg/g)과 라이코펜(5.17mg/g) 모두 높은 함량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역이다.[41]
걱은 암수딴몸식물이므로 수분(受粉)을 위해서는 수나무와 암나무가 모두 필요하다.[28] 최소한 한 개 이상의 수나무를 열매를 맺는 암나무 주변에 심어야 한다.[28] 곤충이 수분을 돕기도 하지만, 인공 수분을 하면 더 나은 과실 수확량을 기대할 수 있다.[6] 암꽃 재료를 수꽃의 주된 줄기에 접목하는 방법도 있다.[6] 곤충 수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암꽃 10그루당 수꽃 1그루 정도의 비율이 권장된다.
씨에서 발아가 시작되는 경우 식물의 휴면 상태나 나이와 같은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새로 자라나는 식물의 경우 많은 과실을 위해 덩이뿌리로부터 만들어진다.[28] 덩굴에서 번식하는 경우, 농부들은 대각선으로 (약 15-20cm 길이, 3-6mm 너비) 잘라낸 후, 심기 전에 물 또는 통풍이 잘 되는 촉촉한 화분 배지에 덩이를 뿌리내린다.
걱은 열매가 원산지인 동남아시아 국가 외에도 아열대 기후 지역에서도 재배할 수 있다. 서늘한 온도는 성장을 억제한다.
6. 분포
7. 용도
원산지인 베트남에서는 걱을 식용과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약용으로는 1200여 년 전 중국과 베트남에서 전통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29] 무비에지(mù/木중국어biē/鱉중국어zǐ/子중국어, 단단한 자라 모양의 씨)이라고도 불리는 걱의 씨는 전통 약재로 경구용과 국소용 등 다양하게 사용된다.[30] 또한 유선염이나 종기, 피부 질환에 도움을 준다고도 알려져있다.[31][32] 《동의보감》에 따르면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달며 독이 없다. 붓고 맺힌 것, 악창, 치질로 항문이 부은 것, 부인의 요옹을 삭인다."고 하였다. 《본초강목》에서는 걱을 목별자(木鼈子)라 하여 "그 씨가 자라나 게 모양과 유사하므로 이름이 지어졌다."고 하며 "부러져 상한 것을 치료하고, 종기가 뭉쳐 생긴 악창을 없애며, 새 살이 돋게 하고, 요통을 멎게 한다. 분자(粉刺)와 기미, 주근깨를 없앤다. 부인의 유옹(乳癰), 항문이 아픈 증상 등을 치료한다. 식초에 개어 환부에 문질러 주면 종독을 인다. 감적(疳積)으로 인한 비괴(痞塊), 대장이 매끄러워 생긴 설사, 치질이나 나력 등을 치료한다."라 이야기하고 있다.
숙성된 걱의 씨를 둘러싸고 있는 가종피(Aril)를 이용한 베트남의 대표 음식 베트남 결혼식, 설날에 대표적으로 등장하는 붉은 색 음식으로 “Xoi Gac”으로 불린다. 인도에서는 덜 익은 녹색의 걱도 식재료로 사용한다. 가시로 둘러싸인 껍질을 제거하고 열매를 잘게 썰어 감자와 조롱박을 섞어 사용한다.[33] 한편 스리랑카에서는 걱을 카레와 함께 사용하고, 태국에서는 아이스크림에 첨가한다.[34]
걱 열매의 가공 과정에서 거의 대부분 버려지는 과육(Pulp), 껍질, 씨 부분에도 영양소가 가득하다. 베타카로틴과 라이코펜 뿐 아니라 눈 질병에 도움을 주는 루테인과 잔토필이 풍부하다.[35] 씨의 경우 중국에서는 오랜기간 전통 약재로 사용되어 왔는데 트립신 억제인자가 풍부하여 인간의 건강에 도움을 준다.[36]
높은 베타카로틴과 라이코펜 함량 때문에 걱의 가종피(Aril)에서 추출한 추출물은 소프트 캡슐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으로 생산되거나 주스 형태로 생산된다.[37] 걱을 재료로 만든 음식을 섭취한 베트남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체내 베타카로틴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38]
7. 1. 식용
베트남에서는 걱의 가종피를 찹쌀과 함께 요리하여 붉은색의 쏘이 걱(Xôi gấc)을 만들어 먹는다. 쏘이 걱은 결혼식이나 설날과 같은 특별한 날에 먹는 전통 음식이다.[8][12] 쏘이 걱은 찹쌀과 섞기 전에 가종피와 씨앗을 꺼내어 도수가 높은 술을 뿌려 밑손질을 하면 가종피의 붉은색이 더욱 선명해지고 씨앗이 쉽게 떨어진다.[13] 걱은 주로 원산지 국가에서 음식 및 전통 의학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7]인도에서는 덜 익은 녹색 걱을 식재료로 사용하며, 가시 껍질을 제거하고 열매를 잘게 썰어 감자와 호리병 박을 섞어 사용한다.[8][33] 스리랑카에서는 걱을 카레에 사용하고, 태국에서는 아이스크림에 첨가한다.[9][34]
베타카로틴과 라이코펜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과일의 가종피 추출물은 건강 보조 식품을 제조하거나 식품 염료로 식품 및 음료에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10]
7. 2. 약용
걱 씨앗은 '무비에지'(무비에지/木鱉子중국어)라고 불리며, 중국과 베트남에서 1200여 년 전부터 전통 약재로 경구용과 국소용 등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다.[29][30][7] 《동의보감》에서는 걱(목별자)이 붓고 맺힌 것, 악창, 치질, 부인병 등에 효과가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14] 《본초강목》에서는 부러져 상한 것을 치료하고, 종기를 없애며, 새 살이 돋게 하고, 요통을 멎게 하는 등의 효능을 언급하고 있다. 또한 유선염이나 종기, 피부 질환에 도움을 준다고도 알려져있다.[31][32]걱 씨앗에는 트립신 억제인자가 풍부하여 인간의 건강에 도움을 준다.[36] 현대 의학에서는 걱의 항산화, 항암, 소염 작용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7. 3. 기타
걱의 가종피 추출물은 베타카로틴과 라이코펜 함량이 높아 건강기능식품이나 식품 염료로 사용된다.[10] 걱을 재료로 만든 음식을 섭취한 베트남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체내 베타카로틴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38]베트남에서는 걱을 식용과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약용으로는 1200여 년 전 중국과 베트남에서 전통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29] 무비에지(mù/木중국어biē/鱉중국어zǐ/子중국어, 단단한 자라 모양의 씨)이라고도 불리는 걱의 씨는 전통 약재로 경구용과 국소용 등 다양하게 사용된다.[30] (뜻: '나무 거북이 씨앗')[7] 또한 유선염이나 종기, 피부 질환에 도움을 준다고도 알려져있다.[31][32] 《동의보감》에 따르면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달며 독이 없다. 붓고 맺힌 것, 악창, 치질로 항문이 부은 것, 부인의 요옹을 삭인다."고 하였다. 《본초강목》에서는 걱을 목별자(木鼈子)라 하여 "그 씨가 자라나 게 모양과 유사하므로 이름이 지어졌다."고 하며 "부러져 상한 것을 치료하고, 종기가 뭉쳐 생긴 악창을 없애며, 새 살이 돋게 하고, 요통을 멎게 한다. 분자(粉刺)와 기미, 주근깨를 없앤다. 부인의 유옹(乳癰), 항문이 아픈 증상 등을 치료한다. 식초에 개어 환부에 문질러 주면 종독을 인다. 감적(疳積)으로 인한 비괴(痞塊), 대장이 매끄러워 생긴 설사, 치질이나 나력 등을 치료한다."라 이야기하고 있다.
숙성된 걱의 씨를 둘러싸고 있는 가종피를 이용한 베트남의 대표 음식으로 xôi gac이 있다. 이것은 베트남 결혼식, 설날에 대표적으로 등장하는 붉은 색 음식이다. 인도에서는 덜 익은 녹색의 걱도 식재료로 사용한다. 가시로 둘러싸인 껍질을 제거하고 열매를 잘게 썰어 감자와 조롱박을 섞어 사용한다.[33] 한편 스리랑카에서는 걱을 카레와 함께 사용하고, 태국에서는 아이스크림에 첨가한다.[34]
걱 열매의 가공 과정에서 거의 대부분 버려지는 과육, 껍질, 씨 부분에도 영양소가 가득하다. 베타카로틴과 라이코펜 뿐 아니라 눈 질병에 도움을 주는 루테인과 잔토필이 풍부하다.[35] 씨의 경우 중국에서는 오랜기간 전통 약재로 사용되어 왔는데 트립신 억제인자가 풍부하여 인간의 건강에 도움을 준다.[36]
8. 영양 성분
많은 연구를 통해 걱에는 베타카로틴과 라이코펜과 같은 항산화 물질인 카로티노이드가 풍부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39][40][41] 인체 내의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인체 세포와 기관들의 노화 현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한다고 알려진 카로티노이드 중 활성산소에 가장 강력한 물질인 라이코펜[42]은 토마토의 70배에서 최대 200배, 베타카로틴은 고구마나 당근의 10배에서 최대 54배로 나타났다.[43][44] 또한, 생체유효도가 높아 체내 세포 흡수력이 뛰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걱의 카로테노이드 흡수율은 당근 뿌리와 토마토의 8배가량 높다.[45] 뿐만 아니라 가종피(Aril)와 씨에는 단불포화지방산과 고도불포화지방산이 가득하다.[46] 전체 지방산 중 70% 이상이 불포화 지방산이고 그 중 50%가 단불포화지방산이다. 다른 열매들과는 달리 걱에는 높은 수준의 오메가6(리놀렌산)과 오메가3를 함유되어 있는데 걱에 포함된 지방은 카로테노이드와 같은 지용성 영양소의 흡수를 돕는다.[46] 이는 당근, 토마토와의 생체이용률 비교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47] 베타카로틴과 라이코펜 이외의 카로틴, 예를 들면 루테인, 제아잔틴, 베타 크립토잔틴 또한 상당히 많은 양이 발견된다.[43]
열매, 씨앗, 씨앗 기름에는 상당량의 베타카로틴과 리코펜이 함유되어 있어 열매 조직에 특징적인 붉은 오렌지색을 부여한다.[1][2][3][4] 아릴과 씨앗 모두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며,[5] 기름에는 69%의 불포화 지방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중 35%는 고도 불포화 지방이다.[4] 걱은 오메가-6과 오메가-3의 농도가 높다.[5]
걱 열매는 비타민 A의 전구체인 β-카로틴과 같은 카로테노이드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15] 걱 유래의 β-카로틴을 함유한 쌀 요리를 먹은 베트남 어린이들은 대조군에 비해 β-카로틴 혈중 농도가 높았다.[16] 걱 가종피에 포함된 유지에는 고농도의 비타민 E가 녹아 있다.[17] 가종피의 기름에 포함된 지방산은 카로테노이드와 같은 지용성 영양소의 흡수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18]
가종피는 β-카로틴과 리코펜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15][18], 걱 추출물은 소프트 캡슐에 담긴 건강 보조 식품이나 믹스 주스로 판매되고 있다. 걱 열매는 리코펜과 β-카로틴 외에도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있는 단백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19] 또한, 트립신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있는 MCoT-I과 MCoT-II라는 2종류의 사이클로타이드가 분리되어 있다.[20]
8. 1. 효능
걱에는 항산화 물질(베타카로틴, 라이코펜 등의 카로테노이드, 비타민C, 비타민E, 아연 등)과 오메가3와 같은 소염 물질이 많이 들어있어 눈 건강에 도움을 준다.[48] 체내에서 비타민 A로 변환되는 베타카로틴이 풍부하여 야맹증 예방에 도움을 주며, 망막의 황반을 공급하는 루테인과 제아잔틴이 풍부하여 황반변성 및 시각 저하를 예방 또는 지연시킨다.[49] 라이코펜은 활성 산소로부터 눈을 보호하여 백내장을 예방 또는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다.[50] 라이코펜의 항산화 및 소염 기능은 노인들의 시력 저하을 지연시키는데 영향을 준다.[51]씨를 감싸고 있는 가종피(Aril)는 비타민 A의 전구체인 베타카로틴의 함량이 매우 높아 비타민 A의 원료로 많이 알려져 있다. 베트남에는 가종피에서 추출한 오일을 밥과 섞어 만든 Xoi Gac이란 전통 음식이 있는데 이는 시력을 회복하고 부족한 비타민 A를 보충하며 눈 건강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52] 걱에 함유된 베타카로틴은 다른 녹황색 채소에서 발견되는 베타카로틴보다 흡수율이 높은데, 흡수에 용이한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53] 지방질도 흡수율을 높이는데 역할을 한다.[54]
가종피(Aril)와 이와 관련된 제품은 높은 함량의 카로테노이드 특히, 라이코펜 덕분에 항산화 작용이 탁월하다.[55][56][57] 생리활성작용이 가장 우수한 라이코펜은 항암효과, 심장보호, 소염작용 등과 같은 효능을 제공한다. 남만카라스우리 열매는 리코펜과 β-카로틴 외에도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있는 단백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19] 또한, 트립신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있는 MCoT-I과 MCoT-II라는 2종류의 사이클로타이드가 분리되어 있다.[20]
하만(Harman)의 활성 산소 이론에 따르면 노화는 체내의 지속적인 산화 작용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58] 걱에 함유된 항산화 물질 (카로테노이드 등)은 활성산소의 영향을 경감시켜 노화 방지에 기여한다. 남만카라스우리 유래의 β-카로틴을 함유한 쌀 요리를 먹은 베트남 어린이들은 대조군에 비해 β-카로틴 혈중 농도가 높았다.[16] 남만카라스우리 가종피에 포함된 유지에는 고농도의 비타민 E가 녹아 있다.[17] 가종피의 기름에 포함된 지방산은 카로테노이드와 같은 지용성 영양소의 흡수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18]
참조
[1]
논문
Carotenoids concentration of gac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fruit oil using cross-flow filtration technology
https://dipot.ulb.ac[...]
2014
[2]
논문
Oxidative metabolites of lycopene and γ-carotene in gac (''Momordica cochinchinensis'')
[3]
논문
Comparative analysis of carotenoid content in ''Momordica cochinchinensis'' (Cucurbitaceae) collected from Australia, Thailand and Vietnam
2017
[4]
논문
A method of preserving and testing the acceptability of gac fruit oil, a good source of beta-carotene and essential fatty acids
2003-06
[5]
논문
Fatty acid and carotenoid composition of gac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fruit
2004
[6]
웹사이트
Propagation and cultivation of Gac plant
https://gacfruit.wee[...]
2018-11-26
[7]
논문
Gac fruit (''Momordica cochinchinensis'' Soreng,): a rich source of bioactive compounds and its potential health benefits
2015
[8]
논문
Effects of maturity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ac fruit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2015-10-06
[9]
뉴스
RMIT researcher uncovers the exceptional health benefits of gac fruit
https://www.rmit.edu[...]
RMIT University Vietnam
2018-11-26
[10]
웹사이트
The Next Big Fruit Juice?
http://www.brownalum[...]
Brown Alumni Magazine
2015-08
[11]
문서
米倉浩司・梶田忠 (2003-) BG Plants 和名-学名インデックス」(YList)
http://ylist.info/yl[...]
[12]
문서
ソイガック(Xoi gac)の作り方|ベトナムごはん
http://vietnam-gohan[...]
[13]
문서
ガックフルーツ - ハノイたべもの研究会・レシピ集
https://web.archive.[...]
[14]
문서
台灣小農:曾亮誠 研發耕種
https://herbaltcm.sn[...]
[15]
논문
Fatty acid and carotenoid composition of gac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fruit
2004
[16]
논문
Plasma beta-carotene and retinol concentrations of children increase after a 30-d supplementation with the fruit Momordica cochinchinensis (gac)
http://ajcn.nutritio[...]
2002
[17]
논문
Karat, pulque, and gac: three shining stars in the traditional food galaxy
http://onlinelibrary[...]
2004-11
[18]
논문
''Momordica Cochinchinensis'', ''Rosa Roxburghii'', Wolfberry, and Sea Buckthorn — Highly nutritional fruits supported by tradition and science
[19]
논문
Inhibition of tumor growth and angiogenesis by water extract of Gac fruit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2005-04
[20]
문서
The bountiful biological activities of cyclotides
http://www.cysonline[...]
Gerlach SL, Mondal D
2012
[21]
웹인용
Momordica cochinchinensis (Lour.) Spreng.
http://www.theplantl[...]
큐 왕립식물원
2012-03-23
[22]
웹인용
목별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8-02-13
[23]
뉴스
걱(gấc) 열매의 잠재력
http://viethantimes.[...]
2017-03-08
[24]
뉴스
아열대작물이 뜬다<38> 게욱(geuk,gac)
http://www.nongupin.[...]
2015-10-30
[25]
웹인용
Taxon: Momordica cochinchinensis (Lour.) Spreng. U.S. National Plant germplasm System
https://npgsweb.ars-[...]
2019-01-09
[26]
저널
Underutilized β-carotene–rich Crops of Vietnam
https://doi.org/10.1[...]
2000
[27]
저널
Gac fruit, a plant genetic resource with high potential
https://www.research[...]
[28]
저널
Propagation and production of Gac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A greenhouse case study
https://www.research[...]
2013
[29]
웹인용
Researchers use nature to fight cancer
https://research.jcu[...]
2019-01-10
[30]
저널
Gac fruit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a rich source of bioactive compounds and its potential health benefits
https://onlinelibrar[...]
2015
[31]
저널
An ester extract of Cochinchina momordica seeds induces differentiation of melanoma B16 F1 cells via MAPKs signaling
https://www.ncbi.nlm[...]
2012
[32]
저널
Isolation of a trypsin inhibitor with deletion of N-terminal pentapeptide from the seeds of Momordica cochinchinensis, the Chinese drug mubiezhi
https://www.ncbi.nlm[...]
1999-06
[33]
저널
Effects of maturity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ac fruit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https://www.ncbi.nlm[...]
2015-10-06
[34]
웹인용
RMIT researcher uncovers the exceptional health benefits of gấc fruit
https://www.rmit.edu[...]
2019-01-10
[35]
저널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fruit fractions (peel, pulp, aril and seed) of Thai gac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https://www.ncbi.nlm[...]
2011-08-01
[36]
저널
Multiple trypsin inhibitors from Momordica cochinchinensis seeds, the Chinese drug mubiezhi
https://www.scienced[...]
2004-02-01
[37]
웹인용
The Next Big Fruit Juice?
https://www.brownalu[...]
2019-01-10
[38]
저널
Plasma β-carotene and retinol concentrations of children increase after a 30-d supplementation with the fruit Momordica cochinchinensis (gac)
https://academic.oup[...]
2002-05-01
[39]
저널
Carotenoids Concentration of Gac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Fruit Oil Using Cross-Flow Filtration Technology
https://onlinelibrar[...]
2014
[40]
저널
Oxidative Metabolites of Lycopene and γ-Carotene in Gac (Momordica cochinchinensis)
https://doi.org/10.1[...]
2015-02-11
[41]
저널
Comparative analysis of carotenoid content in Momordica cochinchinensis (Cucurbitaceae) collected from Australia, Thailand and Vietnam
https://www.ncbi.nlm[...]
2017-08
[42]
저널
Lycopene content differs among red-fleshed watermelon cultivars
https://onlinelibrar[...]
2001
[43]
저널
Carotenoid pigments in GAC fruit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https://www.ncbi.nlm[...]
2002-11
[44]
저널
Genetic diversity, nutritional and biological activity of Momordica cochinchinensis (Cucurbitaceae)
http://researchbank.[...]
2019-01-10
[45]
저널
Carotenoids from gac fruit aril (Momordica cochinchinensis [Lour.] Spreng.) are more bioaccessible than those from carrot root and tomato fruit
https://www.ncbi.nlm[...]
2017-09
[46]
저널
Fatty Acid and Carotenoid Composition of Gac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Fruit
https://doi.org/10.1[...]
2004-01-01
[47]
저널
Carotenoids from gac fruit aril (Momordica cochinchinensis [Lour.] Spreng.) are more bioaccessible than those from carrot root and tomato fruit
https://www.scienced[...]
2017-09-01
[48]
저널
Nutrients for the aging eye
https://www.ncbi.nlm[...]
2013
[49]
웹인용
How Well Do You Convert Beta-Carotene to Vitamin A?
https://www.geneticl[...]
2019-01-10
[50]
저널
Lycopene attenuates oxidative stress induced experimental cataract development: an in vitro and in vivo study
https://www.ncbi.nlm[...]
2003-09
[51]
저널
Lycopene inhibits ICAM-1 expression and NF-κB activation by Nrf2-regulated cell redox state in human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http://dx.doi.org/10[...]
2016-06
[52]
서적
A Dictionary of Medicinal Plants of Vietnam
Ho Chi Minh City: Medicine Publisher
1997
[53]
저널
Effect of daily and weekly micronutrient supplementation on micronutrient deficiencies and growth in young Vietnamese children
https://www.ncbi.nlm[...]
1999-01
[54]
저널
Intestinal absorption and tissue distribution of carotenoids
http://www.sciencedi[...]
1997-07-01
[55]
저널
Lycopene: a review of its potential as an anticancer agent
https://www.ncbi.nlm[...]
2005-11
[56]
저널
Lycopene and cardiovascular diseases: an update
https://www.ncbi.nlm[...]
2011
[57]
저널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lycopene complements the antioxidant action of ascorbic acid and α-tocopherol
http://www.sciencedi[...]
2012-05-15
[58]
서적
Oxidative Stress and the Aging Brain: From Theory to Prevention
http://www.ncbi.nlm.[...]
CRC Press/Taylor & Francis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