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겔리메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겔리메르는 530년 쿠데타로 왕위에 오른 반달 왕국의 마지막 왕이다. 권력욕이 강했던 그는 무어인과의 패배를 틈타 힐데릭 왕을 폐위시켰다. 동로마 제국은 힐데릭의 복위를 요구하며 반달 전쟁을 시작했고, 겔리메르는 아드 데키뭄 전투와 트리카마룸 전투에서 연이어 패배하여 결국 항복했다. 콘스탄티노플에서 개선식에 참여한 후 원로원 의원이 되었으며, 갈라티아에서 여생을 보내다 553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53년 사망 - 소기
    소기는 양 무제의 아들로, 익주자사 재임 중 쓰촨성 지역을 발전시키고 후경의 난 이후 황제를 칭했으나, 이복형 양 원제 소역과의 갈등과 서위의 침공으로 인해 살해당했다.
  • 반달족 전쟁 - 프로코피오스
    프로코피오스는 6세기 동로마 제국의 역사가로서 유스티니아누스 1세 시대의 주요 전쟁과 건축 활동을 기록한 《전사》, 《건축에 대하여》, 《비사》 등의 저작을 남겼으며, 특히 《전사》는 벨리사리우스 장군의 법률 고문으로서 전쟁에 종군했던 경험을 상세히 묘사하여 동로마 제국 초기 역사서 중 가장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고, 《비사》는 황제 부부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아 논란이 되었다.
  • 반달족 전쟁 - 벨리사리우스
    벨리사리우스는 비잔티움 제국의 유스티니아누스 1세 치하에서 활약하며 여러 전쟁에서 승리하여 제국 영토 확장에 기여한 뛰어난 군사령관이다.
  • 반달인의 왕 - 게이세리쿠스
    게이세리쿠스는 5세기 중반 반달 왕국의 왕으로서, 서로마 제국의 쇠퇴기에 북아프리카를 정복하고 지중해를 장악했으며, 로마 약탈과 동·서 로마 연합 함대 격파 등의 업적을 통해 서로마 제국의 몰락에 영향을 미치고 "반달리즘"의 어원이 된 인물이다.
  • 반달인의 왕 - 고디기젤
    고디기젤은 현재 내용이 없는 빈 문서이다.
겔리메르

2. 생애

겔리메르는 반달 왕국의 건국자 가이세릭의 증손이자, 4대 왕 트라사문드의 막내 동생 게라리스의 아들이다. 전사로서 명성이 높았지만, 권력욕과 물욕이 강한 인물이었다고 한다.

530년, 무어인과의 전투에서 패배한 틈을 타 쿠데타를 일으켜 힐데릭 왕을 폐위시키고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이 사건에 대해 동로마 제국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친로마 정책을 펼치던 힐데릭의 편을 들어 겔리메르에게 힐데릭을 다시 왕위에 앉힐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겔리메르는 이를 거부하고 힐데릭과 그의 조카 에우아게스를 가두었으며, 에우아게스의 형 호아멜의 눈을 뽑았다. 유스티니아누스는 힐데릭을 넘겨줄 것을 요구했지만 이 역시 거부당했다. 로마 제국의 부활을 꿈꾸던 유스티니아누스는 이를 명분 삼아 반달 전쟁을 일으켰고, 벨리사리우스가 이끄는 원정군을 보냈다.[11][12]

이후 겔리메르는 벨리사리우스에게 항복하고 콘스탄티노플로 보내져 개선식에 구경거리로 끌려갔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와 황후 테오도라에게 신하의 예를 갖춘 후, 원로원 의원으로 임명되었다. 갈라티아 지방에 영지를 받아 가족과 함께 여생을 보냈고, 553년에 사망했다.[20][21]

2. 1. 쿠데타와 즉위

겔리메르는 전사로서 명성이 높았지만, 권력욕과 물욕이 강한 인물이었다고 한다. 530년 겔리메르는 무어인에 대한 패배를 틈타 쿠데타를 일으켜 Hilderic|힐데릭영어 왕을 폐위시키고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이 정변에 대해 동로마 제국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친로마 정책을 취하던 힐데릭의 편에 서서 겔리메르에게 힐데릭의 복위를 요구했다.[11][12]

그러나 겔리메르는 이를 거부하고 힐데릭과 그의 조카 에우아게스를 유폐했으며, 에우아게스의 형 호아멜의 눈을 뽑았다. 유스티니아누스는 힐데릭의 신병 인도를 요구했지만 이 역시 거부당했다. 로마 제국의 부활을 꾀하던 유스티니아누스는 이를 구실로 반달 전쟁을 시작했고, 벨리사리우스가 이끄는 원정군 파견을 결정했다.[11][12]

2. 2. 동로마 제국과의 갈등

겔리메르는 가이세릭의 증손이자 4대 왕 트라사문드의 막내 동생 게라리스의 아들로, 전사로서 명성은 높았지만 권력욕과 물욕이 강한 인물이었다. 530년, 무어인에 대한 패배를 틈타 쿠데타를 일으켜 힐데릭 왕을 폐위시키고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동로마 제국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친로마 정책을 취하던 힐데릭의 편에 서서 겔리메르에게 힐데릭의 복위를 요구했으나, 겔리메르는 이를 거부하고 힐데릭과 그의 조카 에우아게스를 유폐했으며, 에우아게스의 형 호아멜의 눈을 뽑았다. 유스티니아누스는 힐데릭의 신병 인도를 요구했지만 이 역시 거부당했다. 로마 제국의 부활을 꾀하던 유스티니아누스는 이를 구실로 반달 전쟁을 시작했고, 벨리사리우스가 이끄는 원정군 파견을 결정했다.[11][12]

이로 인해 트리폴리가 반달 왕국에서 동로마로 전향했고, 사르디니아로 연공을 징수하러 파견된 고다스가 이반했다. 겔리메르는 트리폴리는 포기했지만 형 자논을 사르디니아로 5,000명의 군대와 함께 보냈다.[13]

아프리카의 스타그눔에 상륙한 벨리사리우스는 수도 카르타고를 목표로 진격했다. 이 소식을 들은 겔리메르는 동생 아마타스에게 힐데릭과 그의 친족을 죽이게 하고, 군대를 동원하여 요격에 나섰다. 겔리메르는 데키뭄이라는 좁은 길목에서 벨리사리우스를 맞아 싸우려 했고, 533년 9월 13일 양군은 격돌했다 (아드 데키뭄 전투). 겔리메르는 아마타스 부대에 양동 작전으로 바다를 오른쪽에 두고 진격하는 적 정면에 공격을 가하게 하고, 조카 기바문드 부대에게 적의 좌익을 포위하게 하고, 자신의 부대가 배후를 치는 작전을 실행에 옮겼다. 그러나 이 치밀한 작전은 각 부대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실패했고, 겔리메르는 누미디아 방면으로 패주했다. 이후 벨리사리우스는 카르타고로 입성했다.[14]

겔리메르는 로마군 장병에게 현상금을 걸어 남은 병사들과 무어인들에게 로마군에 대한 테러를 행하게 하는 한편, 무어인들에게 협력을 요청하여 군 재건을 진행했다. 고다스를 죽인 자논이 돌아오자 그와 합류하여 카르타고로 진격했다. 아리우스파 신도나 로마군의 훈족 부대를 아군으로 끌어들이려 하거나, 적을 카르타고 시외로 유인하려 했으나 실패했기 때문에 겔리메르는 카르타고를 떠났다. 그곳에 벨리사리우스가 출격했고, 533년 12월에 트리카마룸 전투가 일어났다. 겔리메르는 다시 패배하여 무어인이 사는 파푸아 산지의 메데우스로 도망쳤다.[15][16]

벨리사리우스는 헤룰리족 부대 대장 파라스에게 그 지역을 포위하도록 명령했고, 파라스는 강공으로 실패한 후, 식량 공격을 했다. 파라스가 항복하면 원로원 의원으로 여생을 보내도록 하겠다는 항복 권고에 대해, 겔리메르는 오랫동안 먹지 못한 빵과 눈물을 닦을 해면, 그리고 자신의 비운을 노래할 때 연주할 거문고를 요구했고, 그것들을 받았다. 그리고 석 달 후, 열악한 생활 환경을 견디지 못한 겔리메르는 마침내 로마군에 투항했다.[17][18]

2. 3. 반달 전쟁

530년 게리메르는 쿠데타를 일으켜 힐데릭 왕을 폐위시키고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동로마 제국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힐데릭의 복위를 요구했으나, 게리메르는 이를 거부하고 힐데릭과 그의 친족들을 유폐했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이를 구실로 반달 전쟁을 일으켜 벨리사리우스가 이끄는 원정군을 파견했다.[11][12]

이로 인해 트리폴리가 반달 왕국에서 동로마 제국으로 넘어갔고, 사르디니아에서 고다스가 반란을 일으켰다. 게리메르는 자논에게 군대를 주어 사르디니아로 보냈다.[13]

벨리사리우스아프리카의 스타그눔에 상륙하여 카르타고로 진격했다. 게리메르는 아드 데키뭄 전투와 트리카마룸 전투에서 벨리사리우스에게 패배한 후, 파푸아 산지의 메데우스로 도망쳤다.[15][16] 헤룰리족 출신 파라스가 이끄는 동로마 제국군에 포위된 게리메르는 결국 항복했다.[17][18]

2. 3. 1. 아드 데키뭄 전투

530년 쿠데타를 일으켜 힐데릭 왕을 폐위시키고 스스로 왕위에 오른 게리메르는, 동로마 제국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힐데릭의 복위를 요구하자 이를 거부하고 힐데릭을 유폐시켰다. 유스티니아누스는 이를 구실로 반달 전쟁을 시작했고, 벨리사리우스가 이끄는 원정군을 파견했다.[11][12]

트리폴리사르디니아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게리메르는 자논을 사르디니아로 보냈다.[13]

아프리카에 상륙한 벨리사리우스는 카르타고를 목표로 진격했고, 게리메르는 동생 아마타스에게 힐데릭과 그의 친족을 죽이게 하고 군대를 동원하여 요격에 나섰다. 533년 9월 13일, 게리메르는 데키뭄이라는 좁은 길목에서 벨리사리우스를 맞아 싸우려 했고, 양군은 격돌했다 (아드 데키뭄 전투). 게리메르는 아마타스 부대에게 양동 작전을, 조카 기바문드 부대에게 적의 좌익 포위를, 자신의 부대가 배후를 치는 작전을 실행했으나, 각 부대의 연계 실패로 누미디아 방면으로 패주했다. 이후 벨리사리우스는 카르타고로 입성했다.[14]

2. 3. 2. 트리카마룸 전투

533년 12월, 게리메르는 트리카마룸 전투에서 벨리사리우스가 이끄는 동로마 제국군에게 다시 패배하고, 무어인들이 사는 파푸아 산지의 메데우스로 도망쳤다.[15][16]

벨리사리우스는 헤룰리족 부대 대장 파라스에게 메데우스 지역을 포위하도록 명령했다. 파라스는 강공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이후 식량 공급을 차단하는 전략을 사용했다. 파라스는 게리메르에게 항복하면 원로원 의원으로 여생을 보낼 수 있도록 해주겠다고 제안했다. 이에 게리메르는 오랫동안 먹지 못한 빵, 눈물을 닦을 해면, 자신의 비운을 노래할 때 연주할 거문고를 요구했고, 파라스는 이를 제공했다. 석 달 후, 열악한 생활 환경을 견디지 못한 게리메르는 결국 로마군에 항복했다.[17][18]

2. 4. 최후

게리메르는 무어인에 대한 패배를 틈타 530년에 쿠데타를 일으켜 힐데릭 왕을 폐위시키고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동로마 제국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힐데릭의 복위를 요구했지만, 게리메르는 이를 거부하고 힐데릭과 그의 친족들을 유폐했다. 유스티니아누스는 이를 구실로 반달 전쟁을 시작했고, 벨리사리우스가 이끄는 원정군을 파견했다.[11][12]

이로 인해 트리폴리가 반달 왕국에서 동로마로 전향했고, 사르디니아로 파견된 고다스가 이반했다. 게리메르는 자논을 사르디니아로 보냈다.[13]

벨리사리우스아프리카의 스타그눔에 상륙하여 카르타고를 목표로 진격했다. 게리메르는 동생 아마타스에게 힐데릭과 그의 친족을 죽이게 하고, 533년 9월 13일 아드 데키뭄 전투에서 벨리사리우스를 요격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누미디아 방면으로 패주했다. 이후 벨리사리우스는 카르타고에 입성했다.[14]

게리메르는 남은 병사들과 무어인들을 통해 로마군에 대한 테러를 실시하고, 군 재건을 진행했다. 자논과 합류하여 카르타고로 진격했으나, 533년 12월 트리카마룸 전투에서 다시 패배하여 무어인이 사는 파푸아 산지의 메데우스로 도망쳤다.[15][16]

벨리사리우스는 헤룰리족 부대 대장 파라스에게 포위하도록 명령했고, 파라스는 식량 공격을 했다. 파라스의 항복 권고에 게리메르는 빵, 해면, 거문고를 요구했고, 석 달 후 로마군에 투항했다.[17][18] 벨리사리우스와의 면담에서 게리메르는 크게 웃었다.[19]

콘스탄티노플로 보내진 게리메르는 개선식의 구경거리로 끌려간 후, 유스티니아누스 1세와 황후 테오도라에게 신하의 예를 바치고 원로원 의원이 되었다. 게리메르는 갈라티아 지방에 영지를 받아 가족과 함께 여생을 보냈고, 553년에 사망했다.[20][21]

3. 역사적 의의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이전 출력 결과를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Missorium de Geilamir, roi des Vandales http://medaillesetan[...] 2019-04-06
[2] 서적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 https://penelope.uch[...] London 1923
[3] 간행물 Die Ostgermanen und Arianismus 1939
[4] 문서 Hodgkin, III, 669
[5] 서적 De Bellus Loeb Classical Library 1979
[6] 간행물 La dernière retraite de Gélimer 1959
[7] 서적 Algeria: The Topography and History, Political, Social, and Natural, of French Africa https://books.google[...] Nathaniel Cooke 1854
[8] 서적 Belisarius : the last Roman general https://archive.org/[...] Westholme 2009
[9] 서적 De Bellus null
[10] 웹사이트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Vol. 4: Chapter 41: Conquests of Justinian, Character of Balisarius. Part II http://www.sacred-te[...]
[11] 문서 松谷, p. 143-146
[12] 문서 ギボン, p. 137-138
[13] 문서 松谷, p. 148-151
[14] 문서 松谷, p. 156-161
[15] 문서 松谷, p. 164-176
[16] 문서 ギボン, p. 159-160
[17] 문서 松谷, p. 176-183
[18] 문서 ギボン, p. 163-166
[19] 문서 ギボン, p. 166
[20] 문서 松谷, p. 185-190
[21] 문서 ギボン, p. 168-169
[22] 웹사이트 Missorium de Geilamir, roi des Vandales http://medaillesetan[...] 2019-04-06
[23] 서적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 https://penelope.uch[...] London 1923
[24] 간행물 Die Ostgermanen und Arianismus 193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