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막은 뇌와 척수를 보호하는 뇌수막의 가장 바깥층으로, 뇌척수액 재흡수, 정맥 환류, 뇌의 지지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두개골 경막은 골막층과 수막층의 두 층으로 구성되며, 척수를 덮는 경막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경막은 대뇌 낫, 소뇌 천막, 소뇌 낫, 안장 격막 등의 구조를 가지며, 경막 정맥동을 통해 정맥혈을 내경정맥으로 보낸다. 경막은 혈액 공급과 신경 지배를 받으며, 경막하 혈종, 경막외 혈종, 경추성 두통, 키아리 기형, 경막 확장증, 자발성 뇌척수액 누출 등 다양한 임상적 중요성을 가진다. 라틴어 'tough mother'에서 유래된 경막은 'pachymeninx'라고도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경막 | |
---|---|
개요 | |
라틴어 | dura mater |
어원 | "단단한 어머니"를 의미 |
설명 | 뇌와 척수를 둘러싸는 가장 바깥쪽 보호막인 뇌척수막의 가장 바깥층 |
전구체 | 신경릉세포 |
구조 | |
위치 | 뇌와 척수를 둘러쌈 |
![]() | |
기능 | |
역할 | 중추신경계 보호 |
추가 기능 | 대뇌낫과 소뇌천막 같은 구조물을 형성하여 뇌의 여러 부분을 분리하고 지지함 |
발생 | |
기원 | 신경릉세포에서 유래 |
발달 과정 | 머리 발달 동안 세포 역학 및 조직 상호 작용에 관여 |
관련 질병 | |
질병 | 경막의 손상 또는 질병은 다양한 신경학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 |
추가 정보 | |
발음 | , |
2. 구조
경막은 거미막을 감싸는 막으로, 여러 기능과 층을 가지고 있다. 주요 기능 중 하나는 뇌척수액을 재흡수하고, 뇌의 정맥 환류를 심장으로 운반하는 경막 정맥동(경질막정맥굴)을 둘러싸고 지지하는 것이다.
두개골을 덮는 경막은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바깥쪽의 골막층은 실제로 신경두개골(머리덮개와 내두개골) 안쪽 면의 골막이며, 안쪽의 수막층이 진정한 의미의 경막이다. 이 두 층 사이에는 경막외강이라는 잠재적 공간이 존재하는데, 외상으로 인해 수막 동맥이 파열되면 이 공간에 혈액이 고여 경막외 혈종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척수를 덮고 있는 경막은 두개골 경막과 달리 수막층이라는 단일 층만 가지고 있다. 이 척수 경막은 경막낭 또는 지주막하강이라고도 불린다.
2. 1. 대뇌겸 (Falx Cerebri)
뇌 경막은 머리뼈 안쪽 면에서 머리뼈의 뼈막과 유착되어 있다. 뇌 경막은 두개골 내면의 정중선에서 '''대뇌겸'''(大腦鎌, Falx cerebri|팔크스 케레브리lat)이라고 불리는 판 모양의 돌출부를 형성한다. 대뇌겸은 대뇌의 두 뇌반구를 분리하며, 반구 사이의 대뇌 종열에 위치한다.[7] 대뇌겸은 뇌량까지 이어진다.대뇌겸의 앞쪽 끝부분은 두개저 안쪽 면 정중선에 있는 벌집뼈의 볏돌기(Crista galli|크리스타 갈리lat) 바로 위에서 시작하는 전두릉(前頭稜, frontal crest|프론탈 크레스트eng)을 따라 머리뼈에 붙어 있다. 뒤쪽에서 대뇌겸은 좌우로 나뉘어, 소뇌를 덮는 소뇌 천막(Tentorium cerebelli|텐토리움 케레벨리lat)이라는 구조와 이어진다.
2. 2. 소뇌 천막 (Tentorium Cerebelli)
경막은 특정 부위에서 두 겹으로 나뉘어 뇌 안쪽으로 판처럼 돌출되는데, 이를 "경막 반사" 또는 "경막 주름"이라고 부른다. 소뇌 천막은 이러한 주요 경막 반사 중 하나이다.소뇌 천막은 소뇌와 뇌간을 대뇌의 후두엽과 분리하는 구조물이다.[6]
2. 3. 소뇌겸 (Falx Cerebelli)
소뇌 낫 (falx cerebelli|팔크스 케레벨리la)은 후두개와의 후방 부분에서 소뇌 천막 아래에 위치하는 수직 경막 내접힘이다. 이는 소뇌 반구를 부분적으로 분리한다.2. 4. 안장 격막 (Diaphragma Sellae)
안장 격막은 가장 작은 경막 내접힘으로, 침상돌기 사이에 매달려 있다. 이는 뇌하수체 위에 부분적인 지붕을 형성하는 둥근 경막 시트이다. 안장 격막은 뇌하수체와를 덮고 있으며, 누두(뇌하수체 줄기) 및 뇌하수체 정맥이 통과하는 구멍이 있다.2. 5. 경질막정맥굴 (Dural Venous Sinuses)
경막과 머리뼈 사이, 그리고 좌우 뇌경막이 합쳐지는 부분에는 큰 틈이 존재한다. 이 틈들을 경질막정맥굴 또는 정맥굴이라고 부른다. 이곳은 뇌를 지나온 정맥혈을 모아 속목정맥으로 보내는 통로이다.경질막정맥굴은 여러 부분으로 나뉜다. 주요 정맥굴은 다음과 같다.
명칭 | 설명 |
---|---|
위시상정맥굴 | 대뇌낫의 위쪽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한다. |
하시상정맥굴 | 대뇌낫의 아래쪽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한다. |
가로정맥굴 | 소뇌의 뒤쪽에서 좌우로 뻗어 있다. |
구불정맥굴 | 가로정맥굴과 이어지며, 목정맥구멍 근처에서 S자 모양으로 구부러진다. |
해면정맥굴 | 뇌하수체 주변에 위치한다. |
해면간정맥굴 | 좌우 해면정맥굴을 연결한다. |
위바위정맥굴 | 해면정맥굴에서 목정맥구멍 방향으로 이어진다. |
아래바위정맥굴 | 해면정맥굴에서 목정맥구멍 방향으로 이어지며 위바위정맥굴보다 아래에 있다. |
척수경막은 척추의 골막과 경막상강이라는 틈을 사이에 두고 있다. 경막상강은 정맥총을 포함한 지방 조직으로 채워져 있다. 척수경막은 거미막, 연막과 함께 척수신경의 뿌리를 감싸서 척주관 밖으로 나온다. 척수신경이 척수신경절을 만들어 앞가지와 뒷가지로 갈라진 뒤에도 경막은 이어지는데, 그 부분은 신경상막이라고 불린다.
경막의 혈액 공급은 두개강 부위에 따라 다르다.
뇌 천막 상부 경막은 삼차 신경의 작은 수막 분지(V1, V2 및 V3)에 의해 지배된다.[8] 뇌 천막 하부 경막의 신경 지배는 상부 경추 신경과 미주 신경의 수막지를 통해 이루어진다.[9]
경막은 다양한 의학적 질환 및 상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대표적인 예로 두부 외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막하 혈종과 경막외 혈종이 있다. 또한, 뇌종양 제거 수술이나 삼차 신경통 치료를 위한 미세 혈관 감압술과 같은 신경외과 시술 시 경막을 절개하고 봉합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때로는 경막 대체재나 수술용 밀봉 필름이 사용되기도 한다.
경질막정맥굴 내부에는 거미막이 경막을 뚫고 돌출된 구조물인 거미막 과립이 존재한다. 거미막 과립은 거미막밑공간에 있는 뇌척수액이 거미막을 통과하여 정맥혈로 흡수되는 장소로 여겨진다. 이 과립은 뇌척수액이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밸브 역할을 한다.
또한, 경막을 통과하는 수막 정맥과 뇌 기저부의 신경 조직에서 나온 혈액을 운반하고 경막을 뚫고 나가는 연결 정맥들이 경질막정맥굴로 흘러 들어간다. 만약 외부 충격 등으로 연결 정맥이 파열되면 경막하 혈종이 발생할 수 있다.
3. 척수 경막
4. 혈액 공급
전두개와에서는 앞뇌막동맥(사골동맥의 가지)이 혈액 공급을 담당한다. 중두개와에서는 중간뇌막동맥과 일부 부속 동맥이 혈액 공급을 담당한다. 중간뇌막동맥은 위턱동맥에서 직접 분지되어 극구멍을 통해 두개강으로 들어간 후 앞가지(보통 익상결합을 가로질러 수직 방향으로 뻗어감)와 뒤가지(후상방으로 뻗어감)로 나뉜다. 한편, 부속 뇌막 동맥(위턱동맥의 가지)은 난원 구멍을 통해 두개골로 들어가 두 구멍 사이의 부위에 혈액을 공급한다.
후두개와에서 경막은 여러 동맥으로부터 다양한 혈액 공급을 받는다. 주요 동맥은 다음과 같다.동맥 기원 동맥 통과 경로 뒤뇌막동맥 오름인두동맥 경정맥공 뇌막동맥 오름인두동맥 설하신경관 뇌막동맥 뒤통수동맥 경정맥공 또는 유돌공 뇌막동맥 척추동맥 큰구멍
5. 신경 지배
6. 임상적 중요성
최근 연구에서는 목 근육(뒤머리곧은근, 작은뒤머리곧은근)과 경막 사이의 해부학적 연결이 밝혀졌으며, 이는 경추성 두통이나 삼차 신경통 등 특정 두통 및 통증 증상의 원인과 관련될 수 있다.[10][11][12]
과거 경막 이식 수술이나 뇌하수체 유래 성장 호르몬 투여는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전파 위험 요소로 간주된다.[13] 또한, 키아리 기형은 선천적인 원인 외에도 외상, 특히 편타성 손상으로 인해 경막의 긴장 변화로 발생할 수 있으며,[14] 마르판 증후군이나 엘러스-단로스 증후군과 같은 결합 조직 질환에서는 경막 확장증이 흔하게 나타난다. 경막에 구멍이 생겨 뇌척수액이 누출되는 자발성 뇌척수액 누출 역시 경막과 관련된 질환이다.
6. 1. 경막하 혈종 (Subdural Hematoma)
경막하 혈종은 경막과 거미막 사이에 비정상적으로 혈액이 고이는 현상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두부 외상으로 인한 정맥 파열로 발생한다.
6. 2. 경막외 혈종 (Epidural Hematoma)
경막외 혈종은 경막과 두개골 내면 사이에 혈액이 고이는 현상으로, 일반적으로 동맥 출혈로 인해 발생한다.
6. 3. 뇌종양 및 삼차 신경통 수술
뇌종양 제거 또는 삼차 신경통 치료와 같은 경막내 시술은 미세 혈관 감압술을 통해 경막에 절개가 필요하다. 수술 후 뇌척수액 누출과 같은 합병증을 예방하고 수밀 봉합을 달성하기 위해, 경막은 일반적으로 수술 봉합사를 사용하여 꼼꼼하게 봉합된다. 만약 수술 중 경막에 결손이 발생하면, 이 부분을 대체하기 위해 인공 경막 대체재(dural substitute)를 사용할 수 있다. 경막에 생긴 작은 틈은 수술용 밀봉 필름으로 덮어 봉합 부위를 강화하기도 한다.
6. 4. 경추성 두통 (Cervicogenic Headache)
2011년, 연구자들은 뒤머리곧은근에서 목 경막으로 연결되는 결합 조직 다리를 발견했다. 다양한 임상 증상이 이러한 해부학적 관계와 관련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두통, 삼차 신경통 및 목 경막과 관련된 기타 증상이 포함된다.[10] 작은뒤머리곧은근도 유사한 부착을 가지고 있다.[11]
상부 경추 및 후두부의 경막-근육, 경막-인대 연결은 경추성 두통의 원인에 대한 해부학적 및 생리학적 답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제안은 경추성 두통 치료에 있어 도수 치료의 효과를 더욱 설명할 것이다.[12]
6. 5. 크로이츠펠트-야콥병 (Creutzfeldt-Jakob Disease, CJD)
미국 적십자사를 비롯한 일부 혈액 기증 기관은 경막 이식과 뇌하수체 유래 성장 호르몬 수용을 크로이츠펠트-야콥병에 대한 우려로 위험 요소로 간주한다.[13]
6. 6. 키아리 기형 (Chiari Malformation)
소뇌 편도 이소증 또는 키아리 기형은 과거에는 선천적인 질환으로 여겨졌으나, 외상, 특히 편타성 손상으로 인해 유발될 수도 있는 질환이다.[14] 경막의 긴장이 소뇌를 아래쪽으로 당기거나, 두개골의 변형이 뇌를 아래로 밀어내면서 발생할 수 있다.
6. 7. 경막 확장증 (Dural Ectasia)
경막 확장증은 경막이 비정상적으로 넓어지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주로 마르판 증후군이나 엘러스-단로스 증후군과 같은 결합 조직 질환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흔하게 발견된다. 때때로 아놀드-키아리 기형과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6. 8. 자발성 뇌척수액 누출 (Spontaneous Cerebrospinal Fluid Leak)
자발성 뇌척수액 누출은 경막에 구멍이 생겨 뇌척수액의 액체와 압력이 손실되는 것이다.
7. 어원
''경질막''(dura mater)이라는 이름은 라틴어 'tough mother (or hard mother)'에서 유래되었으며,[15] 아랍어 أم الدماغ الصفيقة|움 알디마그 알사피카ara(umm al-dimāgh al-ṣafīqah)의 번역 차용어(calque)로, 문자 그대로 '두꺼운 뇌의 어머니', 뇌의 기질을 의미한다.[16][17] 'pachymeninx' (복수형 'pachymeninges')라는 용어로도 불린다.[16]
참조
[1]
학술지
Proteomic interrogation of the meninges reveals the molecular identities of structural components and regional distinctions along the CNS axis.
2023-10-19
[2]
서적
Jonqueira's Basic Histology
McGraw Hill
2024
[3]
학술지
Developmental biology of the meninges.
2019-05
[4]
학술지
Cellular dynamics and tissue interactions of the dura mater during head development
[5]
웹사이트
University of New England
http://biodrawing.co[...]
[6]
웹사이트
Head Trauma.
http://www.emedicine[...]
Emedicine.com
2004
[7]
웹사이트
Penetrating Head Trauma.
http://www.emedicine[...]
Emedicine.com
2004
[8]
서적
Gray's Anatomy for Students
Elsevier
2005
[9]
학술지
Innervation of the posterior fossa dura of the cat
1985-01-01
[10]
학술지
Anatomical Connection Between the Rectus Capitis Posterior Major and the Dura Mater
[11]
학술지
Anatomic relation between the rectus capitis posterior minor muscle and the dura mater
1995-12-01
[12]
학술지
Visualization of the Muscle-Dural Bridge in the Visible Human Female Data Set
https://www.nlm.nih.[...]
[13]
웹사이트
International Red Cross and Red Crescent Movement
http://www.redcross.[...]
2005-12-14
[14]
학술지
A case-control study of cerebellar tonsillar ectopia (Chiari) and head/neck trauma (whiplash).
2010
[15]
학술지
Anatomy of the Spinal Meninge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16]
웹사이트
Medical Definition of Dura
http://www.medterms.[...]
2009-06-01
[17]
웹사이트
dura mater (n.)
http://www.etymonlin[...]
Douglas Harp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