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뇌하수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뇌하수체는 뇌 기저부에 위치한 콩알만 한 크기의 내분비 기관으로, 크게 뇌하수체 전엽, 중엽, 후엽으로 나뉜다. 뇌하수체는 뼈 구조물인 터키안 내에 위치하며, 시상하부의 조절을 받아 다양한 호르몬을 분비하여 신체의 성장, 대사, 생식 등 여러 생리 과정을 조절한다. 뇌하수체 전엽은 다양한 호르몬을 분비하며, 뇌하수체 중엽은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을, 후엽은 항이뇨호르몬과 옥시토신을 분비한다. 뇌하수체 기능 이상은 중추성 요붕증, 거대증, 뇌하수체 종양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뇌하수체의 구조와 기능은 동물 종류에 따라 다르며, 뇌하수체 호르몬 연구를 통해 발견된 뇌하수체 호르몬과 면역정량 방법의 발견으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뇌하수체 - 뇌하수체 전엽
    뇌하수체 전엽은 뇌하수체 호르몬을 생성하여 혈류로 방출하며, 시상 하부 호르몬에 의해 조절되고, 성장, 생식 등 다양한 생리적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 뇌하수체 - 갑상샘자극호르몬
    갑상샘자극호르몬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어 갑상선을 자극하여 티록신과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 생산 및 분비를 촉진하는 당단백질 호르몬으로, 갑상선 기능 이상 진단 및 치료 지표로 활용되며 갑상선 호르몬의 음성 피드백에 의해 분비가 억제된다.
  • 내분비계 - 부신
    부신은 신장 위에 위치한 내분비 기관으로, 부신피질과 부신수질로 나뉘어 알도스테론, 코르티솔, 아드레날린 등을 생성하여 혈압, 대사, 스트레스 반응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에 관여하며, 기능 이상 시 특정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 내분비계 - 콩팥
    콩팥은 노폐물을 소변으로 배설하고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기관으로, 네프론을 통해 혈액을 처리하여 소변을 생성하며, 에리스로포이에틴, 칼시트리올, 레닌 등 호르몬을 분비하여 혈압 조절, 적혈구 생성, 칼슘 흡수 등 생리적 기능에 관여하고, 기능 저하는 만성 신장병으로 이어져 투석이나 신장 이식이 필요할 수 있다.
  • 뇌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뇌 - 시상
    시상은 감각 정보를 대뇌 피질로 전달하고 수면-각성 조절, 운동 조절, 기억 및 인지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회백질 구조물이다.
뇌하수체
뇌하수체 정보
측면도
시상하부-뇌하수체 복합체의 측면도
기본 정보
라틴어hypophysis cerebri, glandula pituitaria
무게0.5 - 1 그램
위치뇌의 내분비샘
발생 기원신경 및 구강 외배엽, 라스케 주머니 포함
계통내분비계
혈액 공급
동맥위뇌하수체동맥
infundibular artery
prechiasmal artery
아래뇌하수체동맥
capsular artery
inferior cavernous sinus 동맥
구조
구성 요소뇌하수체전엽
뇌하수체중엽
뇌하수체후엽
해부학 정보
그레이 해부학275
그레이 페이지1275
AnatomographyPartsIDFMA13889
SylviusID_s215
BredeROI_number258
NeuroNamesID399
NIF뇌하수체
MeshNamePituitary+Gland
DorlandsPrenine/000955852
추가 정보
영어Pituitary gland, hypophysis
일본어뇌하수체
로마자 표기hypophysis, glandula, pituitaria
약어Pit, Hp

2. 구조

사람의 뇌하수체는 콩알만한 크기로, 뇌 기저부의 접형골에 있는 터키안(sella turcica)이라는 뼈 구조물 안에 위치한다. 뇌하수체는 뇌하수체 전엽, 뇌하수체 중엽, 뇌하수체 후엽으로 구분된다.[32] 뇌하수체 중엽은 혈관이 지나지 않으며 사람에서는 거의 아무런 기능을 하지 않지만, 설치류 등 다른 동물에서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33]

뇌하수체의 조직 이미지


뇌하수체의 높이는 5.3~7.0 mm 정도이며, 부피는 200~440 mm3 정도이다.[34] 뇌하수체는 경막에 싸여 뇌의 배측에 접하며, 시교차 후방, 간뇌의 시상하부에 접하는 위치에 있다. 아래쪽은 두개골의 접형골에 접하며, 접형골에는 뇌하수체가 꼭 들어맞는 오목한 부분인 터키안이 있다.

뇌하수체는 혈관이 발달되어 있어 분비된 호르몬이 효율적으로 혈류를 타고 전신으로 운반되는 구조를 하고 있다. 뇌하수체전엽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는 호르몬은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며, 뇌하수체를 통과하는 혈관 중 일부는 시상하부를 경유한 후 뇌하수체에 들어가기 때문에, 시상하부의 분비 조절 호르몬의 자극이 효율적으로 뇌하수체전엽에 전달된다. 뇌하수체후엽 호르몬은 시상하부의 신경세포에서 생성되어 신경세포의 축삭을 통해 운반되며, 이 축삭은 시상하부에서 뇌하수체후엽까지 이어져 있어 혈관에 방출된다.

뇌하수체는 크게 앞쪽 아래에 있는 선하수체(뇌하수체선엽)와 뒤쪽 위에 있는 신경하수체(뇌하수체신경엽 또는 후엽)으로 나눌 수 있다. 선하수체는 구개의 상피가 증식하여 생긴 라트케낭이라는 주머니 모양의 함입에서 유래한 상피성 세포 덩어리로 구성된다. 신경하수체는 뇌의 간뇌가 발생 과정에서 뻗어 나와 형성된 부분이다. 선하수체는 다시 신경엽에 접하는 얇은 부분인 뇌하수체중엽(중간부)과 그 외의 부분인 전엽으로 나뉜다.

2. 1. 뇌하수체 전엽

뇌하수체 전엽은 구강 외배엽의 함입에서 발생하며, 이는 신경외배엽에서 유래하는 뇌하수체 후엽과 대조적이다.[35] 발생 단계의 구강으로부터 유래한다.[37]

전엽의 내분비세포는 시상하부에서 분비되어 뇌하수체 문맥계를 통해 전엽으로 들어오는 방출호르몬에 의해 조절된다.[8] 이 호르몬들은 전엽 내분비 세포에 결합하여 호르몬 방출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뇌하수체 전엽은 샘의 약 80%를 차지하는 결절부(누두부)와 원위부(샘부)로 나눌 수 있다. 중간엽(중간엽)은 원위부와 결절부 사이에 있으며, 인간에서는 흔적적이지만 다른 종에서는 더 발달되어 있다.[6]

전뇌하수체는 호르몬을 합성하고 분비하는 여러 가지 유형의 세포를 포함하며,[9] 최소 5가지 유형의 세포를 구별할 수 있다.

순번세포 유형분비되는 호르몬세포 유형의 백분율
1소마토트로프인간 성장 호르몬 (hGH)30–50%
2코르티코트로프부신피질자극호르몬 (ACTH)20%
3갑상선자극세포갑상선자극호르몬 (TSH)3–5%
4생식선자극세포생식선자극호르몬 (황체형성호르몬 (LH)과 난포자극호르몬 (FSH))3–5%
5유즙분비세포프롤락틴 (PRL)3–5%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다음과 같다.



시상하부, 뇌하수체 전엽, 표적 기관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다음과 같다.

표 1. 시상하부, 뇌하수체 전엽, 표적 기관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시상하부GHRHSSTRHPRFPIFCRHGnRH
분비자극(↓)
뇌하수체 전엽GHTSHPRLACTHLHFSH
분비자극(↓)
표적 기관(-)T3, T4(-)코르티코스테로이드안드로겐PE


2. 2. 뇌하수체 중엽

대부분의 척추동물에서 발견되는 부분이나, 인간의 경우 퇴화하여 존재하지 않으며 뇌하수체 전엽이 이를 대신한다.[36] 중간엽은 무혈관성이며 인간에게서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많은 동물들에서 이 세 개의 엽은 구별된다. 중간엽은 많은 동물 종, 특히 뇌하수체 발생과 기능 연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온 설치류, 쥐에서 발견된다.[6]

사람에게는 미발달되어 (종종 전뇌하수체의 일부로 간주됨) 있지만, 전뇌하수체와 후뇌하수체 사이에 위치한 중간엽은 많은 동물에게 중요하다. 예를 들어, 어류에서는 생리적 색 변화를 조절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성인 인간에서는 전뇌하수체와 후뇌하수체 사이의 얇은 세포층일 뿐이다.

일반적으로 중간엽은 사지동물에서 잘 발달되지 않았으며, 조류에서는 완전히 없다.[28]

중엽에서는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멜라노트로핀, MSH)이 분비된다.[36]

2. 3. 뇌하수체 후엽

뇌하수체 후엽은 신경외배엽에서 발생하며, 시상하부의 연장이다.[6] 뇌하수체 후엽은 호르몬을 직접 합성하지 않고, 시상하부에 있는 뉴런들에서 만들어진 신경호르몬을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분비한다.[37]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다음과 같다.

후엽뇌하수체 호르몬은 시상하부의 세포체에서 합성된다. 시상하부에 위치한 시상상핵과 뇌실주위핵의 거대신경분비세포는 축삭을 유두체 아래로 후엽뇌하수체의 종말까지 투사한다. 뇌하수체후엽 호르몬은 시상하부의 신경세포에서 생성되어 신경세포의 축삭을 통해 운반되며, 이 축삭은 시상하부에서 뇌하수체후엽까지 이어져 있어 혈관에 방출된다.

3. 기능

뇌하수체 호르몬


뇌하수체는 뇌와 함께 경막에 싸여 있으며, 뇌의 배측에 접해 있다. 시교차 후방, 간뇌의 시상하부에 접하는 위치에 있다. 아래쪽은 두개골의 접형골에 접하며, 사람 등의 접형골에는 뇌하수체가 꼭 들어맞는 듯한 오목한 부분이 있는데, 이를 '''터키안'''이라고 부른다. 뇌하수체는 혈관이 발달되어 있어 분비된 호르몬이 효율적으로 혈류를 타고 전신으로 운반된다.[35]

뇌하수체는 크게 선하수체(앞쪽)와 신경하수체(뒤쪽) 두 부분으로 나뉜다.

  • '''선하수체'''는 라트케낭이라는 주머니 모양의 함입에서 유래한 상피성 세포 덩어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뇌하수체'''중엽'''과 '''전엽'''으로 구분된다.
  • '''신경하수체'''는 뇌의 간뇌가 발생 과정에서 뻗어 나와 형성된 부분이다.


전엽에서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 갑상선자극호르몬(TSH), 성선자극호르몬, 성장호르몬(GH), 프롤락틴 등 여러 종류의 호르몬이 분비되어 스트레스, 성장, 생식, 신진대사율, 수유 등 다양한 생리 과정을 조절한다. 중엽에서는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MSH)이, 신경엽에서는 항이뇨호르몬(바소프레신)과 옥시토신이 분비된다. 항이뇨호르몬은 수분·전해질 균형을 조절하고, 옥시토신은 분만 시 자궁 수축과 인간의 애착에 관여한다.

3. 1.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

뇌하수체 전엽은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방출호르몬에 의해 조절되는 샘자극호르몬을 분비한다.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주요 호르몬은 다음과 같다.[35]

순번세포 유형분비되는 호르몬세포 유형의 백분율기능
1.소마토트로프성장 호르몬(GH)30–50%성장 촉진, 단백질 합성, 혈당 증가
2.코르티코트로프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20%부신피질 호르몬 분비 촉진
3.갑상선자극세포갑상선자극호르몬(TSH)3–5%갑상선 호르몬 분비 촉진
4.생식선자극세포황체형성호르몬(LH), 난포자극호르몬(FSH)3–5%
5.유즙분비세포프롤락틴(PRL)3–5%젖 분비 촉진



이 호르몬들은 시상하부-뇌하수체 문맥계를 통해 뇌하수체 전엽으로 운반되는 시상하부 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분비된다.[8]


  • '''성장 호르몬(GH)''' (소마토트로핀): 성장 호르몬 방출 호르몬(GHRH)에 의해 방출이 촉진되고, 소마토스타틴에 의해 억제된다.
  •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 프로오피오멜라노코르틴 단백질에서 분리되며, 베타-엔도르핀,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을 포함한다.[10]
  • '''갑상선자극호르몬(TSH)''': 갑상선자극호르몬 방출 호르몬(TRH)에 의해 방출이 촉진되고, 소마토스타틴에 의해 억제된다.
  • '''황체형성호르몬(LH)''' 및 '''난포자극호르몬(FSH)''': 생식선자극호르몬 방출 호르몬(GnRH)에 의해 자극된다.
  • '''프롤락틴(PRL)''': 다양한 호르몬에 의해 방출이 촉진되고, 도파민에 의해 억제된다.[11]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은 성장, 혈압, 임신 및 출산, 모유 생산, 생식 기관 기능, 갑상선 기능, 에너지 생성, 수분 및 삼투압 조절, 체온 조절, 통증 완화 등 다양한 생리 과정을 조절한다.

3. 2. 뇌하수체 중엽 호르몬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MSH)은 사람에게는 미발달되어 있지만, 많은 동물에게 중요하다. 예를 들어, 어류에서는 생리적 색 변화를 조절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성인 인간에서는 전뇌하수체후뇌하수체 사이의 얇은 세포층일 뿐이다. 중간엽은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을 생성하지만, 이 기능은 종종 전뇌하수체의 기능으로 돌려진다.[36] 일반적으로 중간엽은 사지동물에서 잘 발달되지 않았으며, 조류에서는 완전히 없다.[28]

3. 3.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

뇌하수체 후엽은 발생(發生) 단계에서 시상하부로부터 유래한다.[37] 뇌하수체 후엽은 호르몬을 직접 합성하지 않으며, 시상하부에 있는 뉴런들에서 만들어진 신경호르몬을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분비한다. 후뇌하수체(신경뇌하수체)는 정중융기를 통해 뇌하수체줄기(깔때기줄기 또는 깔때기라고도 함)라는 작은 관으로 시상하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후뇌하수체는 항이뇨호르몬(ADH) 분비를 통해 수분·전해질 균형을 조절하고, 분만 시 자궁 수축과 인간의 애착(옥시토신 분비)을 조절한다.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다음과 같다.

  • 옥시토신(OTC): 대부분 시상하부의 실방핵에서 방출된다. 옥시토신은 양성 되먹임 고리를 만드는 몇 안 되는 호르몬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자궁 수축은 후엽 뇌하수체에서 옥시토신의 방출을 자극하고, 이는 다시 자궁 수축을 증가시킨다. 이 양성 되먹임 고리는 분만 내내 계속된다.
  • 항이뇨호르몬(ADH): 대부분 시상하부의 시상상핵에서 방출된다.

4. 발생

뇌하수체의 발생은 배아 초기 단계에서 시작되며, 이 과정은 두 가지 다른 배아 조직이 관여하는 복잡한 단계를 거친다.

'''1. 배아 기원'''

뇌하수체는 두 가지 배아 조직으로부터 발생한다.


  • 라트케낭(Rathke's pouch): 원시 입(구강, stomodeum) 천장에서 발생하는 외배엽 돌출부로, 뇌하수체 전엽(선하수체, adenohypophysis)을 형성한다.
  • 깔때기(infundibulum): 뇌의 간뇌(diencephalon)에서 발생하는 신경외배엽의 아래쪽 돌출부로, 뇌하수체 후엽(신경하수체, neurohypophysis)을 형성한다.


'''2. 발생 단계'''

  • 라트케낭 형성 (임신 4주차): 4주차에 구강 외배엽이 함입되어 라트케낭이 형성된다.
  • 분화 및 이동 (5~6주차): 라트케낭은 발달 중인 뇌 쪽으로 자라난다. 낭의 상부는 결국 수축하여 구강에서 분리된다. 라트케낭의 세포는 뇌하수체 전엽의 세 부분, 즉 전엽(pars distalis), 중간엽(pars intermedia), 뇌하수체줄기(pars tuberalis)로 분화한다.
  • 뇌하수체 후엽 형성 (4~8주차): 간뇌에서 발생한 깔때기는 아래쪽으로 길어져 라트케낭과 연결되는 줄기를 형성한다. 이 줄기는 신경엽(pars nervosa) 또는 뇌하수체 후엽으로 발달한다. 시상하부의 특수 세포인 피투이사이트(pituicytes)는 뇌하수체 후엽으로 이동하여 옥시토신바소프레신과 같은 호르몬의 저장 및 방출을 돕는다.


'''3. 호르몬 생성 및 기능적 성숙'''

  • 임신 12~16주경에는 뇌하수체 전엽이 성장 호르몬(GH),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ACTH) 등 태아 발달에 필수적인 호르몬을 생성하기 시작한다.
  • 뇌하수체 후엽은 주로 저장 기능을 수행하며, 시상하부에서 생성된 호르몬을 저장하여 혈류로 방출한다.


'''4. 최종 구조적 분화'''

  • 뇌하수체는 임신 초기 3개월 말까지 전엽과 후엽이 완전히 분리된 최종 형태를 갖추게 된다.
  • 뇌하수체는 뇌하수체 줄기를 통해 시상하부와 연결되어 뇌로부터 신호를 통합하고 신체의 다양한 내분비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이중 기원 구조와 기능은 뇌하수체를 신경계와 내분비계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는 내분비계의 독특하고 중요한 구성 요소로 만든다.

'''5. 뇌하수체 줄기세포'''

뇌하수체에는 줄기세포가 존재하며,[12] [13] 생리적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호르몬 생성 세포로 분화될 수 있다.[14] 신생아에서 이러한 줄기세포는 특히 성선자극호르몬 생성세포(gonadotropes)로의 대규모 분화 파동을 겪는데, 이는 대부분의 성인 성선자극호르몬 생성세포 집단의 기초를 형성하지만, 일부 배아 기원의 성선자극호르몬 생성세포는 남아 있다.[15]

뇌하수체는 뇌와 함께 경막에 싸여 있으며, 뇌의 배측에 접해 있다. 시교차의 후방, 간뇌의 시상하부에 접하는 위치에 있다. 아래쪽은 두개골의 접형골에 접한다. 사람 등의 접형골에는 뇌하수체가 꼭 들어맞는 듯한 오목한 부분이 있으며, '''터키안'''이라고 불린다. 내분비 기관인 뇌하수체는 혈관이 발달되어 있으며, 분비된 호르몬이 효율적으로 혈류를 타고 전신으로 운반되는 구조를 하고 있다. 뇌하수체전엽 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하는 호르몬은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며, 뇌하수체를 통과하는 혈관 중 일부는 시상하부를 경유한 후 뇌하수체에 들어가기 때문에, 시상하부의 분비 조절 호르몬의 자극이 효율적으로 뇌하수체 전엽에 전달되는 구조를 하고 있다. 한편, 뇌하수체후엽 호르몬은 시상하부의 신경세포에서 생성되어 신경세포의 축삭을 통해 운반된다. 이 축삭은 시상하부에서 뇌하수체 후엽까지 이어져 있으며, 여기서 혈관에 방출된다.

뇌하수체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주로 앞쪽 아래에 있는 부분은 '''선하수체'''(뇌하수체'''선엽''')이라 불리며, 발생 과정에서 구개의 상피가 증식하여 생긴 '''라트케낭'''이라는 주머니 모양의 함입에서 유래한 상피성 세포 덩어리로 구성된다. 주로 뒤쪽 위에 있는 부분은 '''신경하수체'''(뇌하수체'''신경엽''' 또는 '''후엽''')이라 불리며, 뇌의 간뇌가 발생 과정에서 뻗어 나와 형성된 부분이다. 선하수체는 다시 뇌하수체'''중엽'''(또는 '''중간부''')과 '''전엽'''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

5. 임상적 의의

거대증으로 인한 비정상적으로 커진 손(오른쪽)과 정상적인 손(왼쪽)


뇌하수체와 관련된 질병에는 중추성 요붕증, 거대증 및 말단비대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 뇌하수체 기능 항진증,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범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뇌하수체 종양, 뇌하수체 선종 등이 있다. 뇌하수체의 모든 기능은 관련 호르몬의 과다 또는 과소 생성으로 인해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

뇌하수체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HPA 축)을 통해 스트레스 반응을 매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청소년기 뇌하수체의 성장은 아동 학대나 어머니의 불쾌한 행동과 같은 초기 생활 스트레스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16]

더 많은 양의 DHEA 및 DHEA-S는 더 큰 뇌하수체 용적과 관련이 있는 경향이 있으며,[17] 뇌하수체 용적과 사회적 불안 하위 척도 점수 사이의 상관관계도 확인되었다.[17] DHEA 및 DHEA-S는 더 큰 뇌하수체 용적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사회적 불안의 증가된 평가와도 관련이 있었다.[17] 조기 부신 성숙을 경험한 어린이는 후기 부신 성숙을 경험한 어린이에 비해 뇌하수체 용적이 더 큰 경향이 있다.[17]

랫드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뇌하수체가 과로로 인해 이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피로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가한 결과, 뇌하수체의 여러 부위에서 기능 이상이 발생했고, 뇌하수체 중엽에서는 세포 사멸이 관찰되었다.[29] 3일 정도의 피로 스트레스만으로는 세포 사멸은 관찰되지 않았지만, 뇌하수체 기능 이상은 이미 발생하고 있었다.[30]

5. 1. 뇌하수체 기능 항진증

뇌하수체 기능 항진증은 뇌하수체에서 정상적으로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호르몬 분비가 증가(항진)된 상태를 말한다. 뇌하수체의 모든 기능은 관련 호르몬의 과다 생성으로 인해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동기에 성장 호르몬이 과다 분비되면 거대증이 발생하고, 성인기에 성장 호르몬이 과다 분비되면 말단비대증이 발생한다.[16]

5. 2.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은 뇌하수체에서 정상적으로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호르몬 분비가 감소(저하)되는 것을 말한다. 범뇌하수체 기능 저하증은 대부분의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가 감소하는 경우이다. 뇌하수체의 모든 기능은 관련 호르몬의 과다 또는 과소 생성으로 인해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은 다음과 같다.

  • 중추성 요붕증: 바소프레신 결핍으로 인해 발생한다.
  •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 자극 호르몬 결핍으로 인해 발생한다.

5. 3. 뇌하수체 종양

뇌하수체 종양은 뇌하수체에 발생하는 종양이다. 뇌하수체 선종은 뇌하수체에 발생하는 비암성 종양이다. 뇌하수체의 모든 기능은 관련 호르몬의 과다 또는 과소 생성으로 인해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16]

6. 역사

그리스의사 갈레노스는 뇌하수체를 '샘'이라는 뜻의 ἀδήν|아덴grc[18][19]으로 처음 언급하며 콧물 분비 기관으로 묘사했다.[18]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는 이를 '점액이 떨어지는 샘'으로 번역하고 ''glandula pituitaria''라는 명칭을 사용했는데, 여기서 영어 이름 ''pituitary gland''[22]가 유래되었다. 17세기에 뇌하수체가 콧물을 생성한다는 가설은 틀린 것으로 밝혀졌다.[18] 사무엘 토마스 폰 젬머링은 "뇌하수체(hypophysis)"라는 이름을 만들었으며,[18] "appendix cerebri"라는 표현도 사용했다.[18][21]

6. 1. 어원

그리스의 의사 갈레노스는 뇌하수체를 ἀδήν|아덴grc[18], 즉 '샘'이라는 단어만을 사용하여 언급했다.[19] 그는 뇌하수체를 콧물을 분비하는 일련의 분비 기관의 일부로 묘사했다.[18] 해부학자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는 ἀδήν|아덴grc을 ''glans, in quam pituita destillat'', 즉 "점액(''pituita''[20])이 떨어지는 샘"으로 번역했다.[18][21] 베살리우스는 이러한 '기술적인' 이름 외에도 ''glandula pituitaria''를 사용했는데, 여기서 영어 이름 ''pituitary gland''[22]가 유래되었다.

''glandula pituitaria''라는 표현은 공식 라틴 명명법 ''Terminologia Anatomica''[23]에서 ''hypophysis''와 함께 공식적인 동의어로 여전히 사용된다. 17세기에 뇌하수체가 콧물을 생성한다는 가정은 틀렸음이 밝혀졌다.[18] 따라서 ''glandula pituitaria'' 및 그 영어 표현 ''pituitary gland''는 역사적 관점에서만 정당화될 수 있다.[24]

해부학자 사무엘 토마스 폰 젬머링은 "뇌하수체(hypophysis)"라는 이름을 만들었다.[18] 이 이름은[18][24] ὑπό|히포grc ('아래')[19]와 φύειν|피에인grc ('자라다')[19]로 구성된다. 젬머링은 또한 "appendix cerebri"[18][21]라는 표현을 사용했는데, 여기서 "appendix"는 "부속물"을 의미한다.[20]

6. 2. 노벨 생리학·의학상

1977년 앤드루 섈리로제 기유맹, 로절린 서스먼 얠로와 함께 뇌하수체 호르몬 발견과 면역정량 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7. 다른 동물

뇌하수체는 모든 척추동물에서 발견되지만, 그 구조는 종에 따라 다양하다.

포유류의 뇌하수체 구분은 모든 사지동물에도 다양한 정도로 해당된다. 그러나 후엽이 치밀한 모양을 갖는 것은 포유류에서만 볼 수 있다. 폐어에서는 전엽 위에 비교적 납작한 조직층을 이루지만, 양서류, 파충류, 그리고 조류에서는 점점 더 발달한다. 일반적으로 중간엽은 어떤 종에서도 잘 발달되어 있지 않으며, 조류에서는 완전히 없다.[28]

폐어를 제외한 어류의 뇌하수체 구조는 일반적으로 다른 동물과 다르다. 일반적으로 중간엽은 잘 발달하는 경향이 있으며, 크기가 나머지 전엽과 맞먹을 수도 있다. 후엽은 전형적으로 뇌하수체 줄기 기저부에 조직층을 형성하며, 대부분의 경우 불규칙한 손가락 모양의 돌기를 바로 아래에 있는 전엽 조직으로 보낸다. 전엽은 일반적으로 더 앞쪽의 '로스트랄' 부분과 뒤쪽의 '근위' 부분으로 나뉘지만, 두 부분 사이의 경계는 종종 명확하지 않다. 상어목에서는 고유 전엽 아래에 추가적인 '복측엽'이 있다.[28]

칠성장어의 배열은 뇌하수체가 조상 척추동물에서 원래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보여줄 수 있다. 여기서 후엽은 뇌 기저부에 있는 단순한 납작한 조직층이며, 뇌하수체 줄기는 없다. 라트케낭은 비강 개구부 근처의 외부로 열린 채로 남아 있다. 이 낭과 밀접하게 관련된 것은 중간엽과 전엽의 로스트랄 및 근위 부분에 해당하는 세 개의 별개의 선 조직 군집이다. 이러한 다양한 부분은 뇌막으로 분리되어 있어, 다른 척추동물의 뇌하수체가 분리되었지만 관련된 한 쌍의 샘의 융합으로 형성되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28]

대부분의 아르마딜로는 후엽과 형태가 매우 유사하지만 꼬리에 위치하고 척수와 관련된 신경 분비샘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삼투조절에 기능이 있을 수 있다.[28]

문어 뇌에는 뇌하수체와 상사하는 구조가 있다.[27]

8. 추가 연구

과로가 뇌하수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랫드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일정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피로 스트레스를 가했을 때 뇌하수체의 여러 부위에서 기능 이상이 발생했다. 뇌하수체 중엽에서는 세포 사멸까지 관찰되었다.[29] 3일 정도의 짧은 기간 동안 피로 스트레스를 가했을 때는 세포 사멸은 관찰되지 않았지만, 뇌하수체 기능 이상은 이미 발생하고 있었다.[30]

참조

[1] 논문 Arteries to the pituitary
[2] 서적 Guyton and Hall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Saunders/Elsevier 2011
[3] 서적 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Elsevier 2016
[4] 서적 Gray's Clinical Anatomy Elsevier Health Sciences
[5] 논문 Anatomy, Head and Neck, Pituitary Gland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0-01-00
[6] 서적 The Pituitary -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is an imprint of Elsevier
[7] 논문 MRI Evaluation of Size and Shape of Normal Pituitary Gland: Age and Sex Related Changes http://jcdr.net/arti[...] 2017
[8] 서적 Medical Physiology Saunders Elsevier
[9] 서적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Elsevier Saunders
[10] 논문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 biology, clinical relevance and implication in melanoma 2023-08-22
[11] 서적 The pituitar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0-12-03
[12] 논문 Sox2+ Stem/Progenitor Cells in the Adult Mouse Pituitary Support Organ Homeostasis and Have Tumor-Inducing Potential https://linkinghub.e[...] 2013-10-00
[13] 논문 Pituitary stem cells: past, present and future perspectives https://www.nature.c[...] 2024-02-00
[14] 논문 Mobilized Adult Pituitary Stem Cells Contribute to Endocrine Regeneration in Response to Physiological Demand https://linkinghub.e[...] 2013-10-00
[15] 논문 Gonadotrophs have a dual origin, with most derived from pituitary stem cells during minipuberty http://biorxiv.org/l[...] 2024-09-09
[16] 논문 Early life stress alters pituitary growth during adolescence—A longitudinal study http://www.psyneuen-[...]
[17] 논문 Associations between dehydroepiandrosterone (DHEA) levels, pituitary volume, and social anxiety in children 2016-02-00
[18] 서적 Onomatologia Anatomica. Geschichte und Kritik der anatomischen Sprache der Gegenwart. Wilhelm Braumüller. K.K. Hof- und Universitätsbuchhändler
[19]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revised and augmented throughout by Sir Henry Stuart Jones. with the assistance of. Roderick McKenzie. Clarendon Press
[20] 서적 A Latin dictionary founded on Andrews' edition of Freund's Latin dictionary. Clarendon Press
[21] 서적 Synonymia anatomica. Synonymik der anatomischen Nomenclatur. im Bureau für Literatur
[22] 서적 Dorland's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W.B. Saunders Company
[23] 간행물 Terminologia Anatomica Thieme
[24] 서적 Die anatomischen Namen. Ihre Ableitung und Aussprache. Anhang: Biographische Notizen. Verlag J.F. Bergmann
[25] 간행물 Nomina Anatomica Excerpta Medica Foundation
[26] 서적 Vertalend en verklarend woordenboek van uitheemsche geneeskundige termen. De Erven F. Bohn
[27] 논문 Pituitary Analogue in the Octopus
[28] 서적 The Vertebrate Body Holt-Saunders International
[29] 웹사이트 과로時の下垂体変性の分子機序の解明 https://kaken.nii.ac[...]
[30] 웹사이트 과로時の下垂体変性の分子機序の解明 https://kaken.nii.ac[...]
[31] 웹사이트 뇌하수체
[32] 논문 Anatomy, Head and Neck, Pituitary Gland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0-01-00
[33] 서적 The Pituitary -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is an imprint of Elsevier
[34] 논문 MRI Evaluation of Size and Shape of Normal Pituitary Gland: Age and Sex Related Changes http://jcdr.net/arti[...] 2017
[35] 서적 Medical Physiology Saunders Elsevier
[36] 서적 Biology: Concepts and Applications https://archive.org/[...] Thomson Brooks/Cole
[37] 서적 생명: 생물의 과학 교보문고 2003-02-2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