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의 민속문화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상북도의 민속문화재는 1호부터 100호, 101호부터 200호로 나뉘어 지정되어 있으며, 각 문화재는 고유한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주요 문화재로는 안동 지역의 다양한 종택과 가옥, 구미, 영천, 상주, 경주, 봉화 등 경상북도 각 지역의 고택, 서원, 정사 등이 있다. 이 목록은 문화재의 번호, 명칭, 소재지, 관리자 정보를 제공하며, 일부는 지정 해제되었거나 정보가 부족하여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민속문화재 - 묵계서원 및 안동김씨 묵계종택
묵계서원 및 안동김씨 묵계종택은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에 위치한 서원과 종택으로, 묵계서원은 옥고와 김계행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으나 철폐령으로 철거 후 복원되었으며, 묵계종택은 서원 근처에 위치하고, 묵계서원의 서원사당지, 묵계종택 정침, 보백당, 서원주사는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경상북도의 민속문화재 - 경상북도의 민속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는 경상북도에서 지정한 민속문화재 101호부터 200호까지의 목록을 정리한 문서이다. - 대한민국의 시도민속문화유산 - 부산광역시의 민속문화재
부산광역시의 민속문화재는 부산 지역의 역사, 종교, 생활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1999년부터 총 19건이 지정되었으며 갑주, 군복, 불교 의식구, 민간 신앙 유적 등 다양한 유형의 문화재를 포함한다. - 대한민국의 시도민속문화유산 - 전라남도의 민속문화재
전라남도의 민속문화재는 가옥, 사당, 재실, 장승, 제례·의례 관련 유물 등 다양한 유형으로 이루어져 전라남도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며 보존 및 활용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문화재이다.
경상북도의 민속문화재 | |
---|---|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 |
지정 유형 |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
개요 | |
지정 목적 | 경상북도 내의 민속 문화유산 보호 및 보존 |
특징 | 경상북도 지역의 독특한 생활양식, 풍습, 전통 기술 등을 반영 |
관리 주체 | 경상북도, 관련 시·군 |
분류 체계 | |
유형 | 의식주, 생업, 공예, 민속놀이, 신앙 등 다양한 분야 |
예시 | 전통 가옥 생활 도구 전통 의상 민속 음식 민속 공예품 민속 축제 및 행사 |
역사적 의미 | |
지역 문화 반영 | 경상북도 지역의 고유한 역사와 문화를 보존 |
문화 다양성 증진 | 다양한 민속 문화유산들을 통해 지역 문화의 다양성 증진 |
교육적 가치 | 지역의 전통 문화에 대한 학습 및 연구 자료 제공 |
활용 및 관리 | |
보존 노력 | 체계적인 관리 및 보존 정책 수립 |
홍보 | 일반 대중에게 민속문화재의 가치 홍보 |
활용 | 지역 문화 관광 자원으로 활용 |
현황 및 과제 | |
현황 | 다양한 민속 문화유산이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 |
과제 | 문화재 훼손 방지 및 체계적인 보존 지역 주민들의 참여와 관심 증진 지속적인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
관련 정보 | |
관련 법규 | 문화재보호법 등 관련 법규 준수 |
관련 기관 | 경상북도청 각 시·군 문화재 담당 부서 |
추가 정보 | |
기타 | 민속 문화재의 지정 및 관리는 지역 문화 발전에 중요한 역할 민속 문화유산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 |
2.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지정 목록
경상북도의 민속문화재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으로, 다양한 종류의 고택, 서원, 정자, 민속자료 등이 포함된다. 현재까지 약 200여 점이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각 문화재는 고유한 번호, 명칭, 소재지, 관리자 정보를 가진다. 상세한 목록은 아래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2. 1. 제1호 ~ 제100호
번호 | 등록명 | 소재지 | 관리자 |
---|---|---|---|
제001호 | |||
갈천동 초가 카치구멍집 (葛川洞草家カチ穴家)|영덕군|개인 | |||
안동 서부동 송곡고택 (安東西部洞松谷故宅)|안동시|개인 | |||
안동 예안동 간재고택 (安東礼安東澗斎故宅)|안동시|개인 | |||
안동 의촌동 초가 토토마리집 (安東宜村洞草家トトマリ家)|안동시|안동시 | |||
번남택 (樊南宅)|안동시|개인 | |||
안동 토계동 계남고택 (安東土渓洞渓南故宅)|안동시|개인 | |||
안동 토계동 향산고택 (安東土渓洞響山故宅)|안동시|개인 | |||
이육사 생가 (李陸史生家)|안동시|개인 | |||
안동 원촌동 치암고택 (安東遠村洞恥巌故宅)|안동시|개인 | |||
제012호 | |||
제013호 | |||
안동 사월동 초가 토벽집 (安東沙月洞草家土壁家)|안동시|안동시 | |||
가류동 박씨 고가 (加流洞朴氏古家)|안동시|개인 | |||
제016호 | |||
기양서당 (岐陽書堂)|안동시|개인 | |||
융와종택 및 침간정 (慵窩宗宅及び枕澗亭)|구미시|개인 | |||
묵계서원 및 안동김씨 묵계종택 (黙渓書院及び安東金氏黙渓宗宅) 19-1 서원주사 19-2 서원사당지 19-3 종택정침 19-4 보백당|안동시|개인 | |||
완구정 (玩亀亭) 20-1 완구정 20-2 식호와 20-3 정침 20-4 행랑채 20-5 고방 20-6 변소|영천시|공주안씨 문중 | |||
작산정사 및 가창재사 (鵲山精舍及び可倉斎舎)|안동시|개인 | |||
작산구강당 및 주사 (鵲山旧講堂及び厨舎)|안동시|개인 | |||
제023호 | |||
제024호 | |||
안동김씨 종택 (安東金氏宗宅)|안동시|개인 | |||
안동김씨 대장재사 (安東金氏台荘斎舎) 26-1 이상루 26-2 대장재사 26-3 고직사|안동시|안동김씨 종중 | |||
안동김씨 북애공종택 (安東金氏北涯公宗宅) 27-1 종택 27-2 태고정|안동시|안동김씨 종중 북애파 종중 | |||
남흥재사 (南興斎舎)|안동시|영양남씨 문중 | |||
녕해난고종가정침 (寧海蘭皐宗家正寝)|영덕군|개인 | |||
안동 관왕묘 (安東関王廟) 30-1 무안왕묘 30-2 묘우삼문 30-3 광감루 30-4 동서재|안동시|안동시 | |||
우복종가 (愚伏宗家)|상주시|진주정씨 종중 | |||
상주 오작당 (尚州悟昨堂)|상주시|개인 | |||
남장사석장승 (南長寺石長丞)|상주시|남장사 | |||
양동 대성헌 (良洞対聖軒) 34-1 내동 34-2 사랑채 34-3 행랑채|경주시|개인 | |||
안동 구봉종택 (安東亀峯宗宅)|안동시|개인 | |||
안동 전주유씨 삼산종택 (安東全州柳氏三山宗宅) 36-1 대문간채 36-2 사랑채 36-3 안채 36-4 사당채|안동시|개인 | |||
안동 세덕사 (安東世徳祠)|안동시|개인 | |||
안동 풍산김씨 종택 (安東豊山金氏宗宅) 38-1 대문간채 38-2 사랑채 38-3 안채 38-4 사당채|안동시|개인 | |||
안동 풍산김씨 영감택 (安東豊山金氏令監宅) 39-1 대문간채 39-2 안채 39-3 사랑채 39-4 고방채1 39-5 고방채2|안동시|개인 | |||
봉화 법전강씨 종택 (奉化法田姜氏宗宅) 40-1 사랑채 40-2 안채 40-3 제청 40-4 사당채1 40-5 사당채2|봉화군|개인 | |||
해평동 북애고택 (海平洞北厓古宅) 41-1 안채 41-2 사랑채|구미시|개인 | |||
주곡동 옥천종택 (注谷洞玉川宗宅) 42-1 안채 42-2 초당 42-3 사당|영양군|개인 | |||
대산동 교리택 (大山洞校理宅) 43-1 안채 43-2 사랑채 43-3 서재 43-4 대문채 43-5 중문채 43-6 사당|성주군|개인 | |||
대산동 북비고택 (大山洞北扉古宅) 44-1 안채 44-2 사랑채 44-3 아래채 44-4 북피 44-5 대문채 44-6 사당|성주군|개인 | |||
대산동 한주종택 (大山洞寒洲宗宅) 45-1 안채 45-2 아래채 45-3 고방채 45-4 중문채 45-5 사랑채 45-6 대문채 45-7 사당 45-8 한주정사 45-9 행랑채 45-10 정자대문채|성주군|개인 | |||
대산동 월곡택 (大山洞月谷宅) 46-1 안채 46-2 사랑채 46-3 대문채 46-4 중문채 46-5 고방채 46-6 사당|성주군|개인 | |||
전주유씨 무실종택 (全州柳氏務実宗宅)|안동시|개인 | |||
무실정려각 (務実旌閭閣)|안동시|개인 | |||
이우당종택 (二愚堂宗宅)|안동시|개인 | |||
의성김씨 운암종택 (義城金氏雲岩宗宅) 50-1 안채 50-2 사랑채|안동시|개인 | |||
방호정 (方壺亭)|청송군|함안조씨 문중 | |||
오고당구택 (五高堂旧宅) 52-1 안채|봉화군|개인 | |||
경암헌고택 (畊菴軒古宅) 53-1 안채 53-2 사랑채 53-3 사당|봉화군|개인 | |||
도암정 (陶巌亭)|봉화군|개인 | |||
56-1 모채 56-2 공간 56-3 측간|울릉군|울릉군 | |||
지례동 양동택 (知禮洞良洞宅) 58-1 안채 58-2 사당 58-3 외양간|안동시|개인 | |||
제천동 임당택 (輞川洞林塘宅)|구미시|개인 | |||
퇴계태실 (退渓胎室) 60-1 태실 60-2 노송정 60-3 사당 60-4 성림문|안동시|개인 | |||
인량리 용암종택 (仁良里龍巌宗宅)|영덕군|개인 | |||
점필재종택 (佔畢斎宗宅) 62-1 안채 62-2 사랑채 62-3 중사랑채 62-4 고방채 62-5 사당 62-6 대문간채|고령군|개인 | |||
학조정 및 정침 (鶴樵亭及び正寝)|영양군|개인 | |||
괴헌고택 (槐軒古宅)|영주시|개인 | |||
삼소재 (三素斎)|안동시|개인 | |||
예안이씨 상리종택 (礼安李氏上里宗宅)|안동시|개인 | |||
예안이씨 사직공파구택 (礼安李氏司直公派旧宅)|안동시|개인 | |||
안동 마령동 와카치구멍집 (安東馬嶺洞瓦カチ穴家)|안동시|개인 | |||
수암종택 (修巌宗宅)|상주시|개인 | |||
연안이씨 별좌공종택 (延安李氏別坐公宗宅)|예천군|개인 | |||
안동 주하동 경류정종택 (安東周下洞慶流亭宗宅)|안동시|개인 | |||
목조문무인상 (木造文武人像)|경주시|개인 | |||
무안박씨 무의공파종택 (務安朴氏武毅公派宗宅)|영덕군|개인 | |||
영양남씨 괴시파종택 (英陽南氏槐市派宗宅)|영덕군|개인 | |||
천운정사 (天雲精舍)|상주시|개인 | |||
회곡고택 (晦谷古宅)|영양군|개인 | |||
오덕동 애은당고택 (吾徳洞愛隠堂古宅)|포항시|개인 | |||
오덕동 사우정고택 (吾徳洞四友亭古宅)|포항시|개인 | |||
예천 상금곡동 추원재 및 사당 (醴泉上金谷洞追遠斎及び祠堂)|예천군|함양박씨 문중 | |||
영덕 도곡동 충효당 (盈徳陶谷洞忠孝堂)|영덕군|개인 | |||
묵재고택 (黙斎古宅)|안동시|개인 | |||
성주 수성리 중매택 (星州水成里中梅宅)|성주군|개인 | |||
환구세덕사 (環丘世徳祠)|영천시|개인 | |||
양계정사 (暘渓精舍)|영천시|개인 | |||
평산신씨 판사공파종택 (平山申氏判事公派宗宅)|청송군|개인 | |||
운곡정사 (雲谷精舍)|청도군|개인 | |||
석계고택 (石渓古宅)|영양군|개인 | |||
해우당고택 (海愚堂古宅)|영주시|개인 | |||
만죽재고택 (晩竹斎古宅)|영주시|개인 | |||
경주 귀래정 (慶州帰来亭)|경주시|여강이씨 문중 | |||
면운재고택 (眠雲斎古宅)|영덕군|개인 | |||
빈동재사 (賓洞斎舎)|봉화군|개인 | |||
화기리 인동장씨 종택 (花岐里仁同張氏宗宅)|영주시|개인 | |||
충의당 (忠義堂)|경주시|개인 | |||
안동 서지리 성황당 (安東西枝里城隍堂)|안동시|개인 |
2. 2. 제101호 ~ 제200호
번호 | 등록명 | 소재지 | 관리자 |
---|---|---|---|
서벽고택(棲碧古宅)|청송군|개인 | |||
춘우재고택(春雨斎古宅)|예천군|개인 | |||
연곡고택(延谷古宅)|예천군|개인 | |||
서설당(瑞雪堂)|봉화군|개인 | |||
의구총(義拘塚)|구미시|구미시 | |||
의우총(義牛塚)|구미시|구미시 | |||
분천리 토토마리집(汾川里トトマリ家)|봉화군| | |||
분천리 카치구멍집(汾川里カチ穴家)|봉화군|개인 | |||
설매리 중가(雪梅里重家)|봉화군| | |||
상주 동학교당 유물(尚州東學教堂遺物)|상주시|개인 | |||
법주사 왕절구(法住寺王挽き臼)|군위군|법주사 | |||
광산김씨 유일재고택(光山金氏惟一斎古宅)|안동시|개인 | |||
원리조곡고택(院里做谷古宅)|영양군|개인 | |||
영주 청구리 입석(栄州青丘里立石)|영주시| | |||
박곡 효자 정려비(博矩孝子旌閭碑)|성주군|개인 | |||
영주 수도리 김덕진가옥(栄州水島里金徳鎮家屋)|영주시|개인 | |||
영주 수도리 김뢰진가옥(栄州水島里金賚鎮家屋)|영주시|개인 | |||
경주김씨 눌곡종택(慶州金氏訥谷宗宅)|영덕군|개인 | |||
상주 동학교당(尚州東學教堂)|상주시|개인 | |||
봉화 만산고택(奉化晩山古宅)|봉화군|개인 | |||
산수정(山水亭)|안동시|진성이씨 제천파 종중 | |||
곡강고택(曲江古宅)|영덕군|개인 | |||
성주 대산리 진사택(星州大山里進士宅)|성주군|개인 | |||
쌍송정정침(雙松亭正寝)|봉화군|개인 | |||
봉정사 영산암(鳳停寺霊山庵)|안동시|봉정사 | |||
풍산유씨 수동재사(豊山柳氏水洞斎舎)|안동시|개인 | |||
원사암(遠思庵)|안동시|의성김씨 평장공파 삼대문중 | |||
안동 제산종택(安東霽山宗宅)|안동시|개인 | |||
수절당 및 재사(守拙堂及び斎舎)|안동시|개인 | |||
원주변씨 간재종택 및 간재정|안동시|개인 | |||
성주 대산리 도동택(星州大山里道東宅)|성주군|개인 | |||
구미 금강사 금란가사(亀尾金剛寺金襴袈裟)|구미시|금강사 | |||
예천 삼강주막(醴泉三江酒幕)|예천군|예천군 | |||
문경사기가마(聞慶沙器窯)|문경시|개인 | |||
제136호 | |||
제137호 | |||
제138호 | |||
제139호 | |||
제140호 | |||
영주 김광리 성황당(栄州金光里城隍堂)|영주시|개인 |
경상북도에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간직한 다양한 민속문화재가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이들 문화재는 고택, 종택, 서원과 같은 전통 건축물부터 까치구멍집, 토토마리집과 같은 특색 있는 서민 가옥, 성황당, 정려각, 석장승 등 신앙 및 생활과 관련된 유적, 그리고 동학교당 유물이나 항일 시인 이육사의 생가처럼 역사적 의미를 지닌 장소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유형을 아우른다. 이러한 문화재들은 대부분 개인이나 문중에 의해 관리되고 있으며, 일부는 해당 지자체에서 관리하기도 한다.
3. 주요 민속문화재 상세 정보
상세한 개별 문화재 정보는 아래 '안동 지역 민속문화재' 및 '그 외 지역 민속문화재' 섹션의 목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3. 1. 안동 지역 민속문화재
19-1 서원주사
19-2 서원사당지
19-3 종택정침
19-4 보백당개인 제021호 작산정사 및 가창재사 개인 제022호 작산구강당 및 주사 개인 제025호 안동김씨 종택 개인 제026호 안동김씨 대장재사
26-1 이상루
26-2 대장재사
26-3 고직사안동김씨 종중 제027호 안동김씨 북애공종택
27-1 종택
27-2 태고정안동김씨 북애파 종중 제028호 남흥재사 영양남씨 문중 제030호 안동 관왕묘
30-1 무안왕묘
30-2 묘우삼문
30-3 광감루
30-4 동서재안동시 제035호 안동 구봉종택 개인 제036호 안동 전주유씨 삼산종택
36-1 대문간채
36-2 사랑채
36-3 안채
36-4 사당채개인 제037호 안동 세덕사 개인 제038호 안동 풍산김씨 종택
38-1 대문간채
38-2 사랑채
38-3 안채
38-4 사당채개인 제039호 안동 풍산김씨 영감택
39-1 대문간채
39-2 안채
39-3 사랑채
39-4 고방채1
39-5 고방채2개인 제047호 전주유씨 무실종택 개인 제048호 무실정려각 개인 제049호 이우당종택 개인 제050호 의성김씨 운암종택
50-1 안채
50-2 사랑채개인 제058호 지례동 양동택
58-1 안채
58-2 사당
58-3 외양간개인 제060호 퇴계태실
60-1 태실
60-2 노송정
60-3 사당
60-4 성림문개인 제066호 삼소재 개인 제067호 예안이씨 상리종택 개인 제068호 예안이씨 사직공파구택 개인 제069호 안동 마령동 와카치구멍집 개인 제072호 안동 주하동 경류정종택 개인 제085호 묵재고택 개인 제100호 안동 서지리 성황당 개인 제113호 광산김씨 유일재고택 개인 제122호 산수정 진성이씨 제천파 종중 제126호 봉정사 영산암 봉정사 제127호 풍산유씨 수동재사 개인 제128호 원사암 의성김씨 평장공파 삼대문중 제129호 안동 제산종택 개인 제130호 수절당 및 재사 개인 제131호 원주 변씨 간재종택 및 간재정 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