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궤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성궤도는 1930년 왕십리와 뚝섬 사이를 잇는 4.3km 구간으로 개통한 사설 궤도이다. 일제강점기 동안 동대문, 광장리 등으로 노선이 확장되었으나, 한국 전쟁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1953년 서울특별시로 경영이 이관되어 시영 체제로 운영되다, 수송력 부족, 시설 노후화 등으로 1960년대 초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노면전차 - 부산 도시철도 오륙도선
부산 도시철도 오륙도선은 부산 남구 용호동 일대를 연결할 도시철도 노선으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공모사업 선정 후 2021년 착공 예정이었으나 개통 시기는 미정이다. - 대한민국의 노면전차 - 대전 도시철도 2호선
대전 도시철도 2호선은 대전광역시 5개 자치구를 순환하는 총 길이 38.8km의 노선으로, 2024년 9월 착공하여 2028년 12월 개통 예정이며 노면전차(트램)를 차량 시스템으로 사용하고 수소 트램 34편성이 운행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화순선
화순선은 전라남도 화순군의 화순역에서 복암역까지 이어진 철도 노선으로, 석탄 수송을 목적으로 개통되었으나 화물 열차 운행 종료 후 2022년에 폐선되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섬진강 기차마을
섬진강 기차마을은 전라선 복선화로 폐선된 곡성역과 압록역 사이의 철도 노선을 활용하여 2004년 개장한 관광 시설로, 증기기관차 관광열차, 레일바이크, 미니열차 등의 철도 시설과 장미공원, 요술랜드, 동물농장 등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 궤도 교통 - 히로시마 전철
히로시마 전철은 1910년 히로시마 전기궤도로 설립되어 히로시마시에서 총 35.1km의 노면 전철 및 철도 노선을 운영하는 일본 최대 규모의 회사로, 원폭 투하 후 재건에 기여했으며 시설 현대화와 서비스 개선을 추진하고 버스, 부동산 사업도 전개한다. - 궤도 교통 - 궤도차
궤도차는 철도를 이용하여 여객 및 화물 수송, 궤도 유지보수, 안전 관리, 운영 지원, 군사 목적 등 다양한 목적으로 운행되는 차량의 총칭이다.
| 경성궤도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 노선 정보 | |
| 노선명 | 경성궤도 |
| 노선명2 | 서울궤도 |
| 상태 | 폐선 |
| 기점 | 동대문역, 상후원역 |
| 종점 | 유원지역, 광장역 |
| 역 수 | 14개 (1956년 당시) |
| 개통일 | 1930년 11월 1일 |
| 폐지일 | 1966년 7월경 |
| 운영자 | 경성궤도주식회사 → 서울특별시 |
| 영업 거리 | 13.5km |
| 궤간 | 1067 mm |
| 선로 | 1개 |
| 전철화 | 전 구간 |
2. 역사
1930년 11월, 경성교외궤도주식회사가 왕십리와 뚝섬(현재의 뚝섬) 사이 4.3km 구간을 개업하면서 경성궤도의 역사가 시작되었다.[1] 1932년 4월, 경영권이 경성궤도주식회사로 넘어가고, 같은 해 10월 동대문과 왕십리 사이 2.9km 구간이 연장되었다. 1934년 12월에는 상후원에서 분기하여 광장리까지 7.1km 노선이 개업되었다.
1936년 6월, 용두교에서 뚝섬행 기동차가 화물 열차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2] 1945년 광복 당시 경성궤도는 영업선 13.6km, 전차 9량(4량 고장)을 보유했다. 1949년 차량을 수리, 증편하여 10량을 운행했다.
1950년 한국 전쟁으로 큰 피해를 입었지만,[3] 1953년 10월 귀속 재산 처리법에 의해 서울특별시에 경영이 이관되었다. 1957년 3월, 전쟁으로 파괴된 청계천 교량이 복구되었다. 그러나 1961년 7월, 서울특별시 운수 사업 조례 폐지에 관한 조례가 발효되면서 경성궤도는 폐지 수순을 밟았다.[4] 실제 궤도 철거 시기는 불명확하다.
2. 1. 일제강점기
1930년 11월, 경성교외궤도주식회사가 왕십리~뚝섬 간 4.3km 구간에 대한 면허를 받아 경성궤도를 부설한 것이 시초이다.[1] 당시 동대문에서 왕십리 간은 서울전차 노선을 함께 사용하거나, 왕십리를 종착역으로 하는 계획을 세웠던 것으로 보이나, 자세한 내용은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이 회사는 경영 문제로 해당 노선을 경성궤도주식회사에 넘겼다.경성궤도주식회사는 1932년 4월에 노선을 인수받아 운영을 시작했으며, 같은 해 10월에 동대문~왕십리 간 별도의 노선을 건설하고, 동대문역(현재 흥인지문 동남측)을 종착역으로 만들었다. 1934년 10월 9일에는 경성궤도주식회사에서 설치한 한강변의 유원지까지 노선이 연장되었고,[6] 같은 해 12월 25일에는 상후원역에서 분기하여 광장리까지 가는 7.2km의 지선이 추가 건설되었다. 이 지선은 자갈 채취선을 연장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 날짜 | 사건 |
|---|---|
| 1930년 11월 | 경성 교외 궤도(주)가 왕십리와 뚝섬(후의 뚝섬) 사이 4.3km를 개업[1] |
| 1932년 4월 | 경성 궤도(주)에 경영 인계. 전철화 시기는 불명 |
| 1932년 10월 | 동대문과 왕십리 사이 2.9km 연장 |
| 1934년 12월 | 상후원에서 분기하여 광장리까지 7.1km 노선 개업 |
| 1936년 6월 | 용두교에서 뚝섬행 기동차가 화물 열차와 충돌[2] |
| 1945년 | 영업선 13.6km, 전차 9량(그 중 4량이 고장) |
2. 2. 해방 이후
해방 후 군정령에 의해 적산 시설로 몰수되었으나, 이후 강석기(姜錫麒)가 최선임 직원으로 임시 선임되어 경영을 담당하였다.[6] 그러나 한국전쟁으로 차량은 물론, 청계천 교량을 비롯한 시설의 80%가 파괴되는 등 피해가 커서 경영 정상화는 사실상 불가능해졌다.[3] 결국 1953년 서울시가 인수하여 시영 체제로 운영하게 되었다.교량 복구까지 광장 방향 노선은 1957년까지 운행이 중단되는 등 복구도 지연되었으며, 만성적인 수송력 부족과 궤도 사업 운임 동결은 경영난을 더욱 심화시켰다. 차량과 시설 노후화 역시 해결해야 할 과제였다. 결국 1961년 서울특별시는 경성궤도 폐지를 결정하였다.
정확한 운행 중지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폐지 결정 연도인 1961년에 폐지되었다는 주장도 있고, 1966년 3월에도 열차가 운행되었다는 기록도 있어[7] 그 이후에 폐지된 것으로 보인다. 선로 철거 때까지 근무한 경성궤도의 마지막 기관사 이현근은 2015년까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14가길 2-28에 거주하였다.[8][9]
경성궤도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 날짜 | 내용 |
|---|---|
| 1945년 | 영업선 13.6km, 전차 9량 (그 중 4량 고장). |
| 1949년 | 차량 수리, 증비로 10량 확보. |
| 1950년 | 한국 전쟁으로 큰 피해.[3] |
| 1953년 10월 | 귀속 재산 처리법에 의해 서울특별시에 경영 이관. |
| 1957년 3월 | 전쟁으로 파괴된 청계천 교량 복구. |
| 1961년 7월 | 서울특별시 운수 사업 조례 폐지에 관한 조례 발포.[4] (실제 궤도 철거 시기는 불명) |
2. 3. 연혁
경성궤도의 노선은 1930년 11월에 경성교외궤도주식회사가 왕십리~뚝섬 간 4.3km에 대해 면허를 받아 부설한 것이 시초이다. 이 회사는 경영상의 문제로 해당 노선을 경성궤도주식회사에 이관하였다.경성궤도주식회사는 1932년 4월에 노선을 인수받아 운영을 개시하였으며,[14][15] 같은 해 10월에 동대문~왕십리 간 별선을 건설하고, 동대문역(현재 흥인지문 동남측)을 종착역으로 건축하였다. 1934년 10월 9일에는 경성궤도주식회사에서 설치한 한강변의 유원지까지 노선이 연장되었고,[6] 같은 해 12월 25일에는 상후원역에서 분기하여 광장리까지 가는 지선 7.2km가 추가 건설되었다.[25][26]
해방 후 군정령에 의해 적산시설로 몰수되었으나, 이후 강석기(姜錫麒)가 최선임 직원으로 임시 선임되어 경영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한국전쟁으로 차량, 시설(청계천 교량 등)의 80%가 파괴되어 경영 정상화가 불가능해졌다.[3] 1953년 서울시가 인수하여 시영 체제로 운영하게 되었다.
교량 복구 지연, 만성적인 수송력 부족, 궤도사업 운임 동결, 차량과 시설 노후 등의 문제로 1961년 서울특별시는 경성궤도 폐지를 결정하였다.[31][34]
정확한 폐지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1961년 폐지 결정 이후 1966년 3월에도 열차가 운행된 기록이 있어[7] 그 이후에 폐지된 것으로 보인다.
| 연도 | 사건 |
|---|---|
| 1927년 3월 31일 | 뚝섬궤도(纛島軌道)에서 왕십리-동독도 간 4.3km 궤도 부설 허가[10] |
| 1929년 3월 14일 | 사명을 경성뚝섬궤도(京城纛島軌道)로 변경[11] |
| 일자 불명 | 사명을 경성교외궤도(京城郊外軌道)로 변경[10] |
| 1930년 11월 1일 | 왕십리-동독도 간 4km 영업 개시[12] |
| 1931년 9월 16일 | 경성교외궤도에서 왕십리-동대문 간 2.976km 궤도 부설 허가[13] |
| 1932년 4월 | 경성궤도(京城軌道)에서 경성교외궤도의 시설 및 운행 권리 일체 인수[14][15] |
| 1932년 10월 11일 | 동대문-왕십리 간 2.9km 영업 개시[16][17] |
| 1933년 2월 27일 | 왕십리-화양리 간 2km 궤도 부설 허가[18] |
| 1933년 7월 15일 | 상후원-화양 간 2km 화물 영업 개시[19] |
| 1933년 10월 17일 | 상후원-화양 간 1.6km 화양지선 여객 영업 개시[20] |
| 1934년 1월 13일 | 화양리-광장리 간 4.3km 궤도 부설 허가[21] |
| 1934년 3월 3일 | 동독도리-자마장리 간 여객·화물 겸용 구간과 자마장리-한강강안 간 화물 전용 구간 총 1.8km 궤도 부설 허가[22] |
| 1934년 10월 9일 | 동독도-유원지 간 0.6km 영업, 동독도화물지선 0.2km 화물 영업 개시[23] |
| 1934년 11월 21일 | 도교-화양 간 0.9km 영업 개시[24] |
| 1934년 12월 25일 | 화양-광장 간 3.5km 영업 개시[25][26] |
| 1935년 12월 | 동대문-서독도 간 전철화[27] |
| 1939년 7월 29일 | 서독도-광장 간 5.943km 전철화[28] |
| 1951년~1953년 | 한국전쟁으로 청계천교량 파괴, 광장리선 운행 중지, 동대문-동뚝 간 7.1km만 운행[29] |
| 1953년 10월 28일 | 서울특별시에서 경성궤도주식회사 인수, 시영체제로 전환[31] |
| 1954년 4월 1일 | 서울특별시 궤도사업관리청으로 변경[31] |
| 1956년 6월 1일 | 궤도사업관리청을 운수사업청으로 개칭[32] |
| 1957년 3월 | 광장리선 운행 재개[33] |
| 1961년 7월 11일 | 경성궤도 폐지 결정[31][34] |
| 1966년 5월 18일 | 경성궤도 철거 계획 발표[35] |
| 1966년 7월경[36] | 운행 중지 |
경성궤도는 총 13.5km의 노선 연장을 가진 궤도였다.[5] 운영 기관은 해방 이전에는 경성궤도주식회사였고, 폐선될 때까지는 서울시에서 운영하였다. 궤간은 1067mm(협궤)였으며, 좌측 통행 방식이었다. 전 구간이 단선이었고, 1940년경 전 구간이 전철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3. 노선 및 역 목록
용두역과 마장역 사이에서는 청계천을 건넜으며, 성동역과 상후원역 사이에서는 도로와 궤도가 함께 사용되는 성동교를 통해 중랑천을 건넜다. 상후원역은 현재의 서울 지하철 2호선 뚝섬역 부근에 있었다.
3. 1. 노선
1943년 당시 노선
1956년 당시 노선
3. 2. 역 목록
용두역과 마장역 사이에서 청계천을 횡단하였으며, 성동역과 상후원역 사이에서 도로·궤도 겸용 교량이었던 성동교로 중랑천을 건넜다. 상후원역은 지금의 서울 지하철 2호선 뚝섬역 근처에 있었다.1943년과 1956년 당시의 역 목록은 하위 문단을 참조하라.
3. 2. 1. 1943년
다음 목록은 1943년의 것으로, 당시의 시각표[37]와 조선총독부 고시를 취합 정리하였다.|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 동대문 | 東大門 | - | 0.0 | 서울전차 | 경기도 | 경성부 | ||
| 동묘전 | 東廟前 | 0.7 | 0.7 | |||||
| 용두 | 龍頭 | 0.9 | 1.6 | |||||
| 마장 | 馬場 | 0.7 | 2.3 | |||||
| 왕십리 | 往十里 | 0.6 | 2.9 | 경원선 | ||||
| 전곶 | 箭串 | 0.9 | 3.8 | |||||
| 상후원 | 上後原 | ? | ? | 화양지선 | 고양군 | 1930-1933년 중 개통 | ||
| 후원 | 後原 | ? | 6.1 | |||||
| 서독도 | 西纛島 | 0.3 | 6.4 | |||||
| 동독도 | 東纛島 | 1.4 | 7.8 | |||||
| 유원지 | 遊園地 | 0.6 | 8.4 | |||||
|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 상후원 | 上後原 | - | 0.0 | 본선 | 경기도 | 고양군 | ||
| 도교 | 稻橋 | 1.1 | 1.1 | |||||
| 화양 | 華陽 | 0.9 | 2.0 | |||||
| 모진 | 毛陳 | ? | ? | |||||
| 구의 | 九宜 | ? | ? | 1934-1937년 중 개통 | ||||
| 광장 | 廣壯 | ? | 5.5 | |||||
3. 2. 2. 1956년
다음은 경성궤도를 서울특별시 운수사업청에서 운행하던 시기의 역 목록이다.[32]|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 동대문 | 東大門 | - | 0.0 | 서울전차 | 서울특별시 | 동대문구 | ||
| 동묘 | 東廟 | 0.8 | 0.8 | 옛 명칭은 ‘동묘전(동묘앞)’ | ||||
| 용두 | 龍頭 | 0.9 | 1.7 | |||||
| 마장 | 馬場 | 0.6 | 2.3 | 성동구 | ||||
| 왕십리 | 往十里 | 0.7 | 3.0 | 경원선 | ||||
| 성동 | 城東 | 1.0 | 4.0 | 옛 명칭은 ‘전곶(살곶이)’ | ||||
| 상후원 | 上後原 | 0.8 | 4.8 | 광장리선 | ||||
| 서뚝 | 西纛 | 1.1 | 5.9 | 옛 명칭은 ‘서독도(서뚝섬)’ | ||||
| 동뚝 | 東纛 | 1.2 | 7.1 | 옛 명칭은 ‘동독도(동뚝섬)’ | ||||
| 유원지 | 遊園地 | 0.5 | 7.6 | |||||
4. 운영
1930년 개통 당시 경성궤도는 정기 열차를 하루 15회(편도 기준), 임시 열차를 하루 6회 운행했다.[10] 1932년 동대문 방향 선로가 개통된 후에는 오전 7시부터 오후 10시까지 30분 간격으로 운행했다.[38] 해방 이후에는 상후원까지 10분 간격, 이후 각 지선으로는 20분 간격으로 운행했다.
일제강점기 경성궤도는 기관차 4량, 디젤 객차 2량, 디젤 동차 4량, 견인차 2량, 5톤 화차 23량, 6톤 화차 10량, 7톤 화차 10량을 보유했다.[39] 개업 초기에는 경유 동차를 사용했고,[39] 일제 말기에는 전기차량을 도입했다. 일본에서 볼 수 있는 철형(凸形) 소형 전기 기관차가 600호대 차호를 부여받아 100호대 객차를 견인하며 여객 수송을 담당했고, 서울전차에서 이관받은 전차도 일부 사용했다.
해방 이후 경성궤도는 11대의 여객 차량을 보유했으나, 한국 전쟁으로 인해 5대가 운행 불능 상태가 되었다.[29] 1957년 말에는 10대의 차량을 보유한 것으로 확인된다.[33]
1953년 10월 28일, 경성궤도가 시영 체제로 전환된 직후 요금은 10환이었다. 당시 광장리선은 휴업 중이었으며, 동대문-유원지 구간은 거리에 상관없이 단일 요금이 적용되었다.[30] 1956년 6월 1일 개정된 여객 및 화물 운임은 아래와 같다.[32]
| 동대문 | 1 | 1 | 1 | 1 | 1 | 1 | 2 | 2 | 2 | 2 | 2 | 3 | 3 |
| 동묘앞 | 1 | 1 | 1 | 1 | 1 | 2 | 2 | 2 | 2 | 2 | 3 | 3 | |
| 용두 | 1 | 1 | 1 | 1 | 2 | 2 | 2 | 2 | 2 | 3 | 3 | ||
| 마장 | 1 | 1 | 1 | 2 | 2 | 2 | 2 | 2 | 3 | 3 | |||
| 왕십리 | 1 | 1 | 2 | 2 | 2 | 2 | 2 | 3 | 3 | ||||
| 성동 | 1 | 2 | 2 | 2 | 2 | 2 | 3 | 3 | |||||
| 상후원 | 1 | 1 | 1 | 1 | 1 | 2 | 2 | ||||||
| 서뚝 | 1 | 1 | 2 | 2 | 3 | 3 | |||||||
| 동뚝 | 1 | 2 | 2 | 3 | 3 | ||||||||
| 유원지 | 2 | 2 | 3 | 3 | |||||||||
| 화양 | 1 | 2 | 2 | ||||||||||
| 모진 | 1 | 1 | |||||||||||
| 구의 | 1 | ||||||||||||
| 광장 |
| 구분 | 1구간 | 2구간 | 3구간 | 비고 |
|---|---|---|---|---|
| 보통여객 | 10KRW | 20KRW | 30KRW | 교통세 포함 |
| 통근(1개월) | 360KRW | 720KRW | 1080KRW | 교통세 포함 |
| 통학(1개월) | 300KRW | 500KRW | 650KRW | |
| 화물 | 600KRW | |||
| 소화물(개당) | 30KRW | 길이 2m, 중량 30kg, 부피 0.5m3까지 | ||
4. 1. 운행
1930년 개통 당시에는 편도 기준으로 정기 열차가 1일 15회, 임시 열차가 1일 6회 다녔다.[10] 1932년 동대문 방향 선로가 개통된 뒤로는 7시~22시 동안 30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38] 해방 이후에는 상후원까지는 10분 간격, 이후 각 지선으로는 20분 간격으로 운전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4. 2. 차량
일제강점기 당시 목록에는 기관차 4량, 디젤 객차 2량, 디젤 동차 4량, 견인차 2량, 5톤 화차 23량, 6톤 화차 10량, 7톤 화차 10량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난다. 경성궤도는 개업 당시에는 전철화되지 않은 노선이었으며, 운행 역시 경유 동차를 이용하였다.[39]일제 말기에 전철화가 진행되면서 전기차량이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해당 노선에서는 전기 기관차가 사용된 것이 확인된다. 일본에서 볼 수 있는 철형(凸形) 소형 전기 기관차로, 600호대 차호를 부여받았으며, 100호대 객차를 견인하여 여객 수송에 투입되었다. 이 외에도 서울전차의 전차를 일부 이관받아 사용하였다.
해방 이후에는 11대의 여객 차량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한국 전쟁으로 인해 그 중 5대가 운행 불능 상태가 되었다.[29] 1957년 말 자료에는 10대의 차량을 보유한 것으로 확인된다.[33]
4. 3. 운임
1953년 10월 28일, 사철이었던 경성궤도를 시영 체제로 전환한 직후의 요금은 10환이었다. 동대문-유원지 간 어느 구간을 이용하든 단일 요금이 적용되었다. 당시에는 광장리선이 휴업 중이었다.[30]1956년 6월 1일 개정된 여객 및 화물 운임은 아래와 같았다.[32]
| 동대문 | 1 | 1 | 1 | 1 | 1 | 1 | 2 | 2 | 2 | 2 | 2 | 3 | 3 |
| 동묘앞 | 1 | 1 | 1 | 1 | 1 | 2 | 2 | 2 | 2 | 2 | 3 | 3 | |
| 용두 | 1 | 1 | 1 | 1 | 2 | 2 | 2 | 2 | 2 | 3 | 3 | ||
| 마장 | 1 | 1 | 1 | 2 | 2 | 2 | 2 | 2 | 3 | 3 | |||
| 왕십리 | 1 | 1 | 2 | 2 | 2 | 2 | 2 | 3 | 3 | ||||
| 성동 | 1 | 2 | 2 | 2 | 2 | 2 | 3 | 3 | |||||
| 상후원 | 1 | 1 | 1 | 1 | 1 | 2 | 2 | ||||||
| 서뚝 | 1 | 1 | 2 | 2 | 3 | 3 | |||||||
| 동뚝 | 1 | 2 | 2 | 3 | 3 | ||||||||
| 유원지 | 2 | 2 | 3 | 3 | |||||||||
| 화양 | 1 | 2 | 2 | ||||||||||
| 모진 | 1 | 1 | |||||||||||
| 구의 | 1 | ||||||||||||
| 광장 |
| 구분 | 1구간 | 2구간 | 3구간 | 비고 |
|---|---|---|---|---|
| 보통여객 | 10KRW | 20KRW | 30KRW | 교통세 포함 |
| 통근(1개월) | 360KRW | 720KRW | 1080KRW | 교통세 포함 |
| 통학(1개월) | 300KRW | 500KRW | 650KRW | |
| 화물 | 600KRW | |||
| 소화물(개당) | 30KRW | 길이 2m, 중량 30돈, 부피 0.5m3까지로 함 | ||
참조
[1]
웹사이트
ソウル六百年史、電車
http://seoul600.seou[...]
[2]
웹사이트
街の中に生きている歴史 標石たちが語る 京城軌道会社址
http://pyosuk.cultur[...]
韓国コンテンツ振興院
2012-06-14
[3]
웹사이트
ソウル六百年史、電車交通の再建
http://seoul600.seou[...]
[4]
웹사이트
ソウル六百年史、京城軌道トゥクソム・クァンナル線廃止
http://seoul600.seou[...]
[5]
간행물
한국교통연감
강생회
1962
[6]
뉴스
東(동)뚝섬遊園地(유원지) 十(십)일부터운수개시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2018-11-25
[7]
뉴스
機動車(기동차)에轢死(역사) 검정다리鐵路(철로)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2014-08-24
[8]
서적
인문으로 만나는 도시골목여행
발언미디어
2017
[9]
뉴스
기동차 기관사는 17살 여고생의 사랑을 싣고 달렸다
https://web.archive.[...]
한겨레
2018-11-25
[10]
서적
한국 철도의 역사와 발전 I
BG북갤러리
2011
[11]
간행물
궤도회사명변경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1929-03-27
[12]
간행물
가소린궤도운전영업개시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1930-11-10
[13]
간행물
궤도부설허가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1931-09-22
[14]
간행물
권리의무이전허가 및 궤도경영자변경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1932-04-21
[15]
뉴스
郊外軌道收入(교외궤도수입)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8-24
[16]
간행물
궤도운수영업개시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1932-10-18
[17]
뉴스
東大門(동대문),往十里(왕십리) 京軌新線開通(경궤신선개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4-08-24
[18]
간행물
궤도부설허가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1933-03-07
[19]
간행물
궤도운수개시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1933-07-20
[20]
간행물
궤도운수영업개시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1933-10-27
[21]
간행물
궤도부설허가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1934-01-23
[22]
간행물
궤도부설허가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1934-03-09
[23]
간행물
궤도운수개시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1934-10-15
[24]
간행물
궤도운수개시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1934-11-28
[25]
간행물
궤도운수개시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1935-01-17
[26]
뉴스
東大門廣壯里(동대문광장리) 軌道車(궤도차)가開通(개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4-08-24
[27]
뉴스
京城軌道(경성궤도)의電化(전화)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4-08-24
[28]
뉴스
西纛島(서독도)—廣莊里間(광장리간) 電車運轉認可(전차운전인가)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4-08-24
[29]
서적
城東區誌
서울특별시 성동구
1992
[30]
서적
城東區誌
서울특별시 성동구
1992
[31]
웹사이트
경성궤도 뚝섬·광나루선 폐지
http://seoul600.seou[...]
[32]
조례
운수사업조례
1956-06-01
[33]
간행물
交通總覽
행정신문사
1958
[34]
조례
운수사업조례 폐지에 관한 조례
1961-07-11
[35]
뉴스
電車(전차)2百餘臺(백여대) 市(시)서無償引受(무상인수)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2014-08-24
[36]
뉴스
서울市 不正 公務員(시 부정 공무원) 수십名(명)을 摘發(적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7-01-28
[37]
서적
日本鉄道旅行地図帳 歷史編成 朝鮮·台湾
新潮社
2009
[38]
서적
한국 철도의 역사와 발전 I
BG북갤러리
2011
[39]
간행물
鮮內鐵道沿線要覽 (朝鮮鐵道沿線要覽)
조선총독부
193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