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동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동구는 1943년 경성부에 설치된 구로, 이후 서울특별시로 편입되었다. 왕십리를 중심으로 교통의 요충지이며, 서울 지하철 2호선, 3호선, 5호선, 경의·중앙선, 분당선이 통과한다. 2015년 기준 17개 행정동, 16.85km²의 면적에 298,202명이 거주한다. 주요 문화 시설로는 청계천, 살곶이다리, 서울숲 등이 있으며, 한양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교육 기관이 위치해 있다. 자매 도시로는 하동군, 영천시, 함평군, 서천군, 진천군, 영월군, 화성시, 동구, 화이러우 구, 뚜이호아, 콥군, 바이양걸구, 약카사라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성동구 - 서울숲
    서울숲은 서울 성동구에 위치한 대규모 도시 숲으로, 과거 뚝섬에 조성되어 정수장, 경마장, 체육공원 등을 거쳐 2005년 시민 휴식 공간으로 개장했으며, 다양한 테마 공간과 동식물을 관찰할 수 있는 생태 공간이자 젠트리피케이션 방지를 위해 노력하는 공간이다.
  • 서울 성동구 - 한국자동차협회
    한국자동차협회는 1969년에 설립된 사단법인으로, 자동차 교통 안전 증진을 위한 활동을 수행하며 국제 자동차 연맹의 정회원국이다.
  • 1943년 설치 - 종로구
    종로구는 서울특별시 중심에 위치한 자치구로서, 조선 시대 한양의 중심지이자 대한민국 정치·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구 이름은 종루가 있던 종로에서 유래했고, 청와대, 정부서울청사, 경복궁, 창덕궁 등 주요 기관과 유적지가 위치한 "한국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지역이다.
  • 1943년 설치 - 서대문구
    서대문구는 서울특별시 중서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산과 하천이 어우러진 지형적 특징을 지니며, 대학교와 역사 유적지가 위치하고 신촌 지역을 중심으로 젊은 세대의 문화가 발달한 14개 행정동으로 구성된 지역이다.
  • 서울 성동구의 행정 구역 - 마장동
    마장동은 서울 동대문구의 행정동으로, 조선시대 양마장에서 유래한 이름이며, 대한민국 최대 축산물시장이 있고, 경원선 철도가 동을 관통하며, 다양한 주거 형태와 교육 시설을 갖추고, 마장역이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 서울 성동구의 행정 구역 - 옥수동
    옥수동은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위치한 동으로, 옥정수에서 유래된 지명이며, 경의·중앙선과 서울 지하철 3호선 옥수역을 통해 대중교통 이용이 가능하다.
성동구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성동구 깃발
깃발
공식 명칭성동구 (城東區)
로마자 표기Seongdong-gu
유형서울특별시의 자치구
면적16.85 km²
행정동20개
우편번호04700 – 04899
지역번호+82-2-2200,400
웹사이트성동구 공식 웹사이트
구청 소재지서울특별시 성동구 고산자로 270
구목느티나무
구화개나리
구조참매
인구 통계
총인구277,361명 (2023년)
남자 인구134,519명
여자 인구142,842명
세대수133,435세대 (2022년)
총 인구 (2022년)281,370명
정치
구청장정원오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중구·성동구 갑: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중구·성동구 을: 박성준 (더불어민주당)
구의회성동구의회
하위 행정 구역
행정동 (20개)금호1가동
금호2·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
왕십리2동
왕십리도선동
마장동
사근동
행당1동
행당2동
응봉동
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송정동
용답동

2. 역사

1943년 일제강점기에 경기도 경성부의 일부 지역(상왕십리정, 하왕십리정, 마장정, 사근정, 행당정, 응봉정, 금호정, 옥수정, 신당정)을 관할로 성동구가 설치되었다. 해방 이후 1946년 9월 28일에는 구 내의 "정(町)"을 "동(洞)"으로 고쳤다.[9][10]

1949년 8월 13일, 고양군 뚝도면이 성동구로 편입되면서 뚝도출장소가 설치되었다.[11][12] 이후 서울특별시의 확장과 함께 성동구는 여러 차례 행정구역 변경을 겪었다. 1963년 1월 1일에는 광주군 일부 지역이 성동구로 편입되었고, 면목동동대문구로 편입되었다.[14] 1973년 7월 1일에는 영등포구의 일부 지역(반포동, 잠원동, 서초동, 양재동, 우면동, 원지동)이 성동구로 편입되었다.[16]

1975년 10월 1일에는 대규모 행정구역 개편으로 명일동 등이 강남구로, 신당동황학동 등은 중구로, 장한평 일대는 장안동으로 신설되어 동대문구로 편입되었다.[17] 이 과정에서 성동구청도 중구로 이전되었다가 1977년 3월에 자양동(현재의 광진구청)으로 이전하였다.[18]

1995년 3월 1일에는 중곡동 등이 광진구로 분리되었고, 성동구청사는 광진구청사로 승계되었다.[19] 이후 성동구청은 1995년 3월 2일 청계천로 540 (마장동 527-6)번지(현 시설관리공단)으로 이전하였다가, 2004년 5월 1일 현재의 위치인 고산자로 270 (행당1동 7)으로 다시 이전하였다.

2008년 8월 11일에는 왕십리1동과 도선동이 왕십리도선동으로, 금호2가동금호3가동금호2·3가동으로, 옥수1동옥수2동옥수동으로 통합되었다. 2012년 10월 6일에는 분당선 왕십리역 ~ 선릉역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20년대에는 왕십리역 남쪽 소월아트홀로 성동구청을 이전할 계획이 수립되었다.

2. 1. 일제강점기

1943년 6월 10일 경기도 경성부 상왕십리정, 하왕십리정, 마장정, 사근정, 행당정, 응봉정, 금호정, 옥수정, 신당정 지역을 관할로 하여 성동구가 설치되었다.[9] 1946년 9월 28일 구 내의 “정(町)”을 “동(洞)”으로 고쳤다.[10]

2. 2.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3. 지리

왕십리


왕십리를 중심으로 강남과 강북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로 2호선, 3호선, 5호선, 경의·중앙선, 분당선이 통과하며, 동호대교, 성수대교를 축으로 강남, 강북을 연결하는 교통 중심지이다. 청계천, 중랑천, 한강 등 총 14.2km의 수변과 접하고 있는 물의 도시로, 성동구는 수변구간의 적극적인 개발을 통해 수변도시로 발전을 꾀하고 있다. 2.17km2의 성수 준공업 지역의 생산 기능과 용답동 중고자동차 매매시장, 마장동 축산물시장의 유통 기능, 금호동, 옥수동, 행당동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한 주거 기능을 골고루 갖추고 있다.[20]

4. 행정 구역



성동구는 17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21]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4. 1. 행정동 및 법정동

성동구는 17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서울시의 2.8%를 차지하는 16.85km2이다. 2015년 8월을 기준으로 성동구의 인구는 126,989가구, 298,202명이다.[21]

성동구 행정구역도


행정동한자면적 (km2)세대인구 (명)
왕십리제2동往十里第2洞0.41km26,75316,263
왕십리도선동往十里道詵洞0.72km28,20719,752
마장동馬場洞1.06km210,44524,419
사근동沙斤洞1.11km26,51311,549
행당제1동杏堂第1洞0.59km26,43714,786
행당제2동杏堂第2洞0.42km29,41426,097
응봉동鷹峰洞0.57km26,28017,045
금호1가동金湖1街洞0.46km25,46013,799
금호2·3가동金湖2·3街洞0.64km29,26822,797
금호4가동金湖4街洞0.84km26,12514,670
성수1가제1동聖水1街第1洞1.98km27,19517,257
성수1가제2동聖水1街第2洞0.89km27,81817,272
성수2가제1동聖水2街第1洞1.18km28,84919,427
성수2가제3동聖水2街第3洞1.03km25,48311,990
송정동松亭洞0.68km25,59312,721
용답동龍踏洞2.32km27,90516,191
옥수동玉水洞1.95km29,30623,128
성동구城東區16.85km2126,989298,202



행정동법정동
왕십리제2동하왕십리동
왕십리도선동상왕십리동, 하왕십리동, 홍익동, 도선동
마장동마장동
사근동사근동, 행당동
행당제1동행당동
행당제2동
응봉동응봉동
금호1가동금호동1가
금호2·3가동금호동2가, 금호동3가
금호4가동금호동4가
옥수동옥수동
성수1가제1동성수동1가
성수1가제2동
성수2가제1동성수동2가
성수2가제3동
송정동송정동
용답동송정동, 용답동


5. 인구

연도총인구
1966년554,822명
1970년817,828명
1975년629,254명
1980년687,249명
1985년750,949명
1990년798,510명
1995년333,976명
2000년322,990명
2005년324,986명
2010년290,277명
2015년295,006명


6. 문화·관광

한양대학교와 살곶이다리


성동구에는 다양한 문화·관광 명소와 행사가 있다. 청계천종로구, 중구, 동대문구를 거쳐 성동구에서 중랑천과 합류하여 한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살곶이다리청계천중랑천이 만나는 지점에 있으며,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가장 긴 돌다리이다. 응봉산성수대교 북단에 있는 야트막한 언덕으로, 서울 도심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서울숲은 과거 골프장과 승마장이 있던 곳에 조성된 대규모 공원으로, 한강과 중랑천 근처에 있다.

주요 행사로는 매년 4월 응봉산 개나리 축제, 9월 하순 서울숲 가요제가 있으며, 2019년 6월에는 두모포 야간 전시회가 열렸다.[23]

6. 1. 명소


남산, 북악산 등에서 발원하여 종로구, 중구, 동대문구, 성동구 등을 거치며 중랑천과 합류한 뒤 한강으로 흘러드는 마른 하천이다. 한강은 동에서 서로 흐르는 반면에 청계천은 서에서 동으로 흐른다. 본래의 이름은 개천(開川)이었으나 일제 강점기에 “청계천”으로 바뀌어 오늘날의 이름이 되었다.
청계천중랑천과 만나 한강으로 흘러드는 지역에 있는 다리로, 보물 제1738호이다. 현재 한양대학교에서 내려다보이는 개울 부근에 있다. 조선의 수도인 한성부와 한반도 남동부를 잇는 주요 교통로에 세워졌으며, 강릉·충주 지방을 연결하는 주요 통로였다. ‘전곶교’라고도 불리며, 현존하는 조선 시대 돌다리 중 가장 길다. 1420년 세종 2년에 짓기 시작해 1483년 성종 14년에 완공했다.
성수대교 북단, 서울 지하철 2호선 뚝섬역한양대역 사이에 보이는 야트막한 언덕이다. 도심에서 멀지 않으면서도 전망이 탁 트여 있다. 동쪽으로는 성수대교 교차로와 강남 빌딩군, 서쪽으로는 동호대교한강의 풍경을 찍을 수 있다.[22]
본래 골프장과 승마장이 있었던 지역으로, 시민들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약 2352억의 사업비를 들여 2005년 6월에 완성하였다. 면적은 1156498m2이며, 5개의 테마공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강과 중랑천이 공원 근처에 흐르고 있다. 마포구 월드컵공원과 송파구 올림픽공원에 이어 서울에서 세 번째로 큰 규모의 공원이다.
서울에 최초로 설치된 수원시설이었다. 1903년 미국인 콜브란과 보스트 웍크는 대한제국 정부로부터 상수도시설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 이들은 정수장의 송수실과 완속여과지를 1906년 8월에 착공하여 1908년 8월에 준공하였다. 당시 정수장 건물은 수도박물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 '''마장축산물시장'''

  • '''왕십리광장'''

  • '''용답동 로데오거리'''

6. 2. 행사


  • 응봉산 개나리 축제 (매년 4월)
  • 서울숲 가요제 (매년 9월 하순)
  • 두모포 야간 전시회 (2019년 6월 8일부터 6월 30일)[23]

7. 교육 기관

한양대학교 캠퍼스 여름 풍경


행당동사근동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명문 사립대학교인 한양대학교가 성동구에 있다.


8. 교통

성수대교의 야경


성동구의 교통은 크게 철도와 도로로 나뉜다. 철도는 한국철도공사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노선들이 지나간다. 도로는 대로급, 로급, 길급으로 구분된다.

8. 1. 철도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8. 2. 도로

성동구의 도로는 대로급, 로급, 길급으로 구분된다.

  • 길급
  • * 가람길
  • * 금호산길
  • * 사근동길
  • * 살곶이길
  • * 상원길
  • * 서울숲길
  • * 송정길
  • * 성덕정길
  • * 자동차시장길
  • * 찬트길
  • * 뚝섬길
  • * 한림말길
  • * 무스막길
  • * 무학봉길
  • * 메봉길
  • * 용답길
  • * 용답중앙길
  • * 연무장길

9. 자매 도시

성동구는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9. 1. 국내


9. 2. 국외

국가도시
베이징시 화이러우 구
푸옌성 뚜이호아
조지아주 캅군
울란바토르
바이양걸구
타슈켄트 약카사라이


10. 역대 구청장

(출력 내용 없음)

참조

[1] settlement
[2]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3] 웹사이트 성동구 (Seongdong District 城東區) https://archive.toda[...] Doosan Encyclopedia 2008-04-18
[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5] 웹인용 2022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6] 웹인용 2022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7] text
[8] text
[9]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63호 :s:조선총독부령 제163호 1943-06-09
[10] 뉴스 https://newslibrary.[...] 1946-01-23
[11] 법률 시·도의 관할 구역 및 구·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의 건 1949-08-13
[12] 법률 서울시 구 출장소 설치에 관한 건 1949-08-13
[13] 뉴스 https://newslibrary.[...] 1949-10-07
[14] 법률 서울특별시·도·군·구의 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 1962-11-21
[15] 웹인용 청담동 동명 유래 http://tour.gangnam.[...] 2008-04-14
[16] 법률 서울특별시의 구의 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1973-03-12
[17] 법률 구의 증설 및 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1975-09-23
[18] 뉴스 https://newslibrary.[...] 1976-02-18
[19] 법률 서울특별시 광진구 등 9개 자치구 설치 및 특별시·광역시·도 간 관할 구역 변경 등에 관한 법률 1994-12-22
[20] 웹사이트 성동구 지역 특성 http://www.sd.go.kr/[...] 2012-06-25
[21] 간행물 행정자치부 인구통계
[22] 뉴스 [트래블] 겨울, 도시, 불빛 순간을 가두다 http://news.khan.co.[...] 경향닷컴 2007-12-27
[23] 뉴스 성동구, 두모포 출정 600주년 맞아 역사 재조명 http://www.slnews.co[...] 서울로컬뉴스 2019-06-13
[24] 웹사이트 # 또는 다른 적절한 type으로 변경 필요. 내용만으로는 type을 특정하기 어려움. 신곤마을버스 및 신곤운수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